KR102005315B1 -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315B1
KR102005315B1 KR1020120079807A KR20120079807A KR102005315B1 KR 102005315 B1 KR102005315 B1 KR 102005315B1 KR 1020120079807 A KR1020120079807 A KR 1020120079807A KR 20120079807 A KR20120079807 A KR 20120079807A KR 102005315 B1 KR102005315 B1 KR 10200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contents
terminal
clou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251A (ko
Inventor
김진용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315B1/ko
Priority to US13/948,440 priority patent/US20140026061A1/en
Priority to EP13177621.3A priority patent/EP2690545A3/en
Publication of KR2014001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with a user or administ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6/00Indexing scheme related to dedicated interfaces for computers
    • G06F2206/10Indexing scheme related to storage interfaces for computers, indexing schema related to group G06F3/06
    • G06F2206/1008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열람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박스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컨텐츠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c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에 특화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등을 제공해 왔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 또는 외부에서 수신된 사진 등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타 단말기들의 전화번호 등을 저장 및 관리하여 사용자가 타 단말기들과의 통화를 위해 요구하는 전화번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기능 지원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 항목 등을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기능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또는 특정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양한 단말기들이 자신이 보유한 컨텐츠들을 업로드하거나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종래 클라우드 서비스는 단순히 특정 사용자가 특정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하는 등의 수단으로 이용해왔기 때문에 별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화면이 제공되지 않았다. 한편 최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를 보다 손쉽고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박스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컨텐츠들로 구성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박스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상기 컨텐츠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 또는 사용자가 열람하기 용이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해당 서비스 환경에 대한 다양한 조정을 사용자 희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용 과정에서 새로운 컨텐츠의 생성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제공의 컨텐츠 열람 화면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의 일 형태 중 캔버스 뷰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중 타임라인 뷰 형태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제어 메뉴를 출력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컨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의 추가 컨텐츠 선택 메뉴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을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을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추가된 컨텐츠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컨텐츠 탐색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기능 중 공유 메시지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텍스트 입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중 선호도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컨텐츠에 설명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사용자의 코멘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의 핸드라이팅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이 여러 개의 레이어가 입체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도 35에서 설명한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한편 상기 샌드 박스는 앞서 설명한 컨텐츠 열람 화면 각각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공유 영역에 해당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샌드 박스 운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샌드 박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컨텐츠들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작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각 샌드 박스 이용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컨텐츠 열람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컨텐츠 열람 화면에 포함되는 컨텐츠들은 샌드 박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컨텐츠 열람 화면의 기능 지원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방식들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 박스 제목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 및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 박스 그룹명 변경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간에 컨텐츠 열람과 확인, 컨텐츠의 업로드와 다운로드, 컨텐츠의 생성 등에 필요한 데이터 송수신 지원을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기(100)의 통신부 형태 및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통신부 형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장치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되, 컨텐츠별 식별과 구분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며, 컨텐츠 열람을 위한 화면 조정과 이동 및 기타 사용자 기능 수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용 이력이나 컨텐츠들의 특성, 컨텐츠들의 세부 정보, 컨텐츠들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 수행을 보다 직관적이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지원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이용하기 위한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컨텐츠를 업로드한 시점에서의 환경에 대응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사전 정의된 특정 방식에 따라 설계된 컨텐츠 열람 화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열람 화면은 기본적으로 이차원 상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들이 사용자 기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위치에 배치된 형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열람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은 표시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이용 이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효과를 가지고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고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일정 면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들이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의 캔버스 영역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열람 화면의 각 컨텐츠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그룹 지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설계 방식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시계열적 방식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컨텐츠의 이동 기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컨텐츠 선호도 지정 기능,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기능,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컨텐츠 열람 화면이 제공된 환경에서 사전 정의된 방식에 따라 컨텐츠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캔버스 영역 상에 표시된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하여 일정한 메모를 기입하여 메모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메모 컨텐츠 생성 화면을 단말기 자체에서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운용하는 메모 컨텐츠 생성 화면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기(100)의 각 기능 지원에 대한 설명을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의 접속을 허용하고, 해당 단말기(100)의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컨텐츠의 이동 기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컨텐츠의 선호도 지정 기능,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기능,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 기능, 메모 컨텐츠 생성 및 검색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사전 등록된 단말기(100)들의 접속 허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들을 확인할 수 있는 인증 정보의 보관 및 관리를 지원한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고, 해당 컨텐츠 열람 화면을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열람 화면에 포함되는 컨텐츠들이 표시될 형태와 색들에 대한 정보, 각 컨텐츠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 또는 각 컨텐츠들이 배치되는 캔버스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컨텐츠 열람 화면 제공 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열람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을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신호에 따라 재구성하거나 재배열한 정보, 새로운 컨텐츠 생성에 따른 컨텐츠들의 추가나 삭제 또는 수정을 적용한 정보 등을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운용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단말기(100)의 화면 예시도들의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10)은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 각각의 컨텐츠들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 및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컨텐츠들의 이동, 추가, 삭제, 수정 등에 따른 화면 적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호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10) 중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수행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업로드된 컨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부(140)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 입력을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사용자 제어 입력이 적용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업로드된 다양한 컨텐츠들의 열람 기능 및 컨텐츠들의 다양한 운용 기능을 통하여 컨텐츠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사용자는 타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 또는 자신이 보유한 복수개의 단말기들의 정보 공유 수행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환경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며,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 환경 예를 들면 인터넷 환경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되거나, 인터넷 환경과 연결되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 과정에서 인증 확인을 위한 인증 정보 데이터의 송수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 요소들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 사용자 제어 입력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송신, 사용자 제어 입력에 대응한 결과 데이터의 수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가상의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3*4 키 맵, 5*4 키 맵, 쿼티 키 맵, 드보락 키 맵 등 다양한 키 맵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기능 지원을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컨텐츠 열람을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는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컨텐츠의 이동 기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컨텐츠의 선호도 지정 기능,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기능,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 기능, 메모 컨텐츠 생성 및 검색 기능 등을 운용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신호 발생과 운용에 대하여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컨텐츠들을 확인하고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정보를 보는 등의 입력 신호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설정한 오디오 데이터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을 기반으로 다양한 터치 이벤트들을 생성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기능 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의 이동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화면,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화면, 컨텐츠의 선호도 지정 기능 지원 화면,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기능 화면,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 기능 화면, 메모 컨텐츠 생성 및 검색 기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운영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열람 기능 지원을 위하여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열람 기능 수행 시 특정 컨텐츠들의 상세 보기 정보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50)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51)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지원하는 루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51)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51)은 컨텐츠 열람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제어 입력을 수집하는 루틴, 수집된 사용자 제어 입력을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는 루틴, 사용자 제어 입력이 적용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는 루틴, 표시부(140)에 표시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갱신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신호 처리와 데이터의 전달 및 데이터의 저장과 삭제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열람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고 접속을 위한 신호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지시할 수 있는 메뉴나 아이콘 위젯 등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부(140)에 컨텐츠 열람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 제어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입력 신호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한다. 작성된 메시지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제어 입력이 적용된 컨텐츠 열람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열람 화면 및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른 화면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상에서 메모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메모 컨텐츠 생성을 위한 레이어를 표시부(140)에 제공하며, 해당 레이어 상에서 작성된 메모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메모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장치 통신부(110), 장치 저장부(250) 및 장치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장치 저장부(250)와는 별도로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컨텐츠 DB(205)를 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DB(205)는 장치 저장부(250)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컨텐츠 DB(205)는 사용자들이 업로드하는 컨텐츠들,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 작성되는 메모 컨텐츠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DB(205)에는 실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장치 저장부(250)에는 컨텐츠 DB(205)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포인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각 단말기(100)들에게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공하되 실제 컨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된 화면이 아니라 컨텐츠들의 포인터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이 변경되면, 변경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컨텐츠 정보들을 컨텐츠 DB(201)에서 호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각 컨텐츠들의 식별과 구분 기능만이 요구되는 경우 컨텐츠의 포인터 정보 및 컨텐츠의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실제 컨텐츠가 요구되는 환경에서만 컨텐츠 DB(201)에서 컨텐츠 정보를 호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각 단말기(100)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장치 통신부(210)는 단말기(100) 접속 시 해당 단말기(100)에게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보유한 컨텐츠들을 기반으로 구성된 컨텐츠 열람 화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통신부(210)는 사용자 제어 입력을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장치 제어부(260)에 전달하고, 장치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는 클라우드 서버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프로그램(151)은 단말기(100) 접속, 단말기(100) 인증, 컨텐츠 열람 화면 제공,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른 열람 화면 처리, 변경된 열람 화면 제공 등을 위한 각각의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 프로그램(151)은 사전 정의된 캔버스 영역 상에 다양한 형태 및 색을 가지는 컨텐츠 이미지 또는 아이콘들을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배치시킨 컨텐츠 열람 화면을 구성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 프로그램(151)은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사용자 제어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 제어 입력 신호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 프로그램(151)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활성화 시 장치 제어부(260)에 로드되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며, 특히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열람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6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의 처리와 전달, 데이터의 갱신 및 삭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각 사용자 제어 입력에 따른 화면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컨텐츠의 이동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의 선호도 지정을 위한 제어 입력,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을 위한 제어 입력, 메모 컨텐츠 생성 및 검색 수행을 위한 제어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60)는 상술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입력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을 제어하고, 변경된 컨텐츠 열람 화면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6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열람 화면의 변경 상태에 대해서 후술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은 먼저, 401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사전 등록된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해당 인증 정보 확인을 거쳐 사전 등록된 정보에 부합되는 경우 단말기(10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403 단계에서 해당 단말기(100)에게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정보가 갱신된 상태의 컨텐츠 열람 화면이 될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접속을 수행한 단말기(100)가 직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상태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특정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일정 면을 가지며 컨텐츠들이 상호 구별되는 속성을 가지는 경우 그 형태나 색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나 이미지가 일정 영역 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열람 화면은 사진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별로 서로 구별되는 형태나 색을 가지고 일정 영역 상에 출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컨텐츠를 업로드한 단말기 또는 사용자별로 서로 구별되는 형태나 색을 가지고 일정 영역 상에 출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열람 화면은 컨텐츠의 속성 예를 들면 컨텐츠의 데이터 크기, 컨텐츠의 업로드 시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컨텐츠의 검색 횟수, 특정 사용자에 의하여 코멘트가 포함된 속성 등 다양한 속성에 따라 그 형태나 색이 구별되거나 또는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열람 화면은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입력된 메모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405 단계에서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부(140)에 컨텐츠 열람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 제어 입력을 40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제어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컨텐츠의 이동 기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컨텐츠에 대한 z-depth 검색 및 배치,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컨텐츠의 선호도 지정 기능, 신규 컨텐츠 알림 및 검색기능,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샌드 박스 운용 기능, 메모 컨텐츠 생성 및 검색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제어 입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 내에서 사용자 제어 입력을 추출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추출된 사용자 제어 입력에 해당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을 제어고, 409 단계에서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411 단계에서 자신이 보유한 컨텐츠 열람 화면을 갱신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은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하여 컨텐츠 구별과 인식이 쉽고 화면 제어가 용이한 컨텐츠 열람 화면을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하여 컨텐츠 검색과 열람, 컨텐츠의 이동이나 삭제, 수정 및 새로운 컨텐츠의 생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10)과,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 및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및 컨텐츠 열람 화면 변경 기능 등을 단말기(100)에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캔버스 영역(52) 상에 다양한 컨텐츠들이 배치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캔버스 영역(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는 단말기(100)들의 각 화면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01 영역에서와 같이 단말기(100)의 크기에 따라 캔버스 영역(52) 중 일부 영역들이 표시될 수 있다. 각 단말기(100)들에 표시되는 캔버스 영역(52) 중 일부 영역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사전 정의된 캔버스 영역(52)의 일정 지점이 될 수 있다. 또는 각 단말기(100)들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이용 중에 직전에 이용한 캔버스 영역(52)의 일정 지점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두 개의 크기가 다른 표시 영역을 가지는 단말기(100) 상에서 캔버스 영역(52) 중 일부 영역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표시 영역의 단말기(100)에서 도시된 형태 이외의 캔버스 영역(52)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캔버스 영역(52) 전체가 표시되는 단말기(100)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컨텐츠 열람 화면(50)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각각 어떠한 컨텐츠인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컨텐츠들의 형태와 모양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컨텐츠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502 영역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 파일, 사진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지시하는 이미지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한 단말기들을 운용하는 사용자들이 생성한 코멘트를 메모 컨텐츠(503)로서 제공할 수 있다. 메모 컨텐츠(503)는 503 영역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풍선 등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자유 기재 방식의 텍스트나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일 형태 중 캔버스 뷰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캔버스 뷰 화면 형태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캔버스 영역(52) 및 메뉴 영역(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캔버스 영역(52)은 다양한 형태와 색을 가지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일정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캔버스 영역(52)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을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표시 영역(61)과 컨텐츠 정보 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표시 영역(61)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할당된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 등이 제공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컨텐츠 표시 영역(61)은 컨텐츠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표시 영역(61)에는 앞서 설명한 컨텐츠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효과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영역(62)은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기재되는 영역이다. 이 컨텐츠 정보 영역(62)은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의 양이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정보 영역(62)은 컨텐츠가 일정 크기 이하로 표시되는 경우 별도의 정보 표시 없이 특정 형태의 라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정보 영역(62)은 컨텐츠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컨텐츠의 제목 정보,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텍스트 정보, 컨텐츠 설명 정보 등이 크기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에는 특정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호 컨텐츠로 지정한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선호 컨텐츠로 지정된 컨텐츠의 일측에 특정 이미지 효과 예를 들면 별표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컨텐츠가 특정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호 컨텐츠로 지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선호 컨텐츠 지정 표시는 해당 표시를 위해 컨텐츠를 지정한 사용자에 의하여 제거되거나,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관리자나 운용 권한을 가진 운영자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별표는 다른 이미지 효과 예를 들면 꽃다발이나 폭죽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사용자 지정에 따라 임의의 표식이나 기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텐츠 열람 화면(5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컨텐츠들(70)이 표시될 수 있다. 메모 컨텐츠들(70)은 텍스트 입력기에 의하여 입력된 제1 메모 컨텐츠(71)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하여 자유롭게 기재된 제2 메모 컨텐츠(7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메모 컨텐츠(72) 입력을 위하여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서 펜 등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를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해당 동작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전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해당 입력 신호를 포함한 메시지에서 메모를 추출하고, 이를 제2 메모 컨텐츠(72)로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제2 메모 컨텐츠(72)에 대한 실제 정보는 컨텐츠 DB(201)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메뉴 영역(51)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된 사용자가 입력한 샌드 박스의 제목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 알림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 및 메뉴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선택 영역은 새로운 컨텐츠 업로드, 텍스트를 입력, 검색 수행, 사용자 정보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메뉴 영역 제어를 통하여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캔버스 뷰 화면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된 경우, 새로 업로드된 컨텐츠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새로 업로드된 컨텐츠 표시 과정에서 해당 컨텐츠 표시는 다른 컨텐츠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또는 새로운 컨텐츠임을 지시하기 위한 이미지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 중 타임라인 뷰 형태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지원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타임라인 뷰 형태의 컨텐츠 열람 화면을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임라인 뷰 형태의 컨텐츠 열람 화면은 컨텐츠 정렬 영역(53) 및 시간 라인 영역(5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렬 영역(53)은 다양한 컨텐츠들이 정렬되는 영역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시간 라인 영역(54)은 컨텐츠 정렬 영역(53)에서 정렬된 컨텐츠들의 시간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일정 시간 정보들이 순서대로 기재된 영역이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시간 라인 영역(54)이 매월 단위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시간 라인 영역(54)은 현재 컨텐츠 정렬 영역(53)에 표시된 화면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현재 지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라인 영역(54)은 일정 단위별로 각 단위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라인 영역(54)에서 July와 June 사이에 3개의 바가 배치된 형태는 시간상으로 July와 June 사이에 업로드된 컨텐츠가 3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라인 영역(54)에 표시된 수평 바는 시간을 나타내며, 수직 바는 특정 시간대에 컨텐츠가 업로드된 시점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시간 라인 영역(54)의 최초 지점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사용자가 등록하여 최초 샌드 박스를 생성한 날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8 내지 도 15의 컨텐츠 표시 형태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일정 크기의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특정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컨텐츠 재생기 형태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오디오 컨텐츠(800)는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오디오 컨텐츠(8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목(801), 오디오 컨텐츠의 아이콘 이미지(802), 온-스크린 플레이어(803) 등이 표시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컨텐츠(800)는 재생 시 볼륨 조절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스피커 이미지(804)를 표시할 수 있다. 온-스크린 플레이어(803)는 재생과 일시 멈춤을 토글 형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오디오 컨텐츠(800)를 컨텐츠 열람 화면(50)에 제공하면서 썸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는 컨텐츠 이미지는 별도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화면 전환 등의 수행 없이 오디오 컨텐츠(800) 재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 발생 시 해당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오디오 컨텐츠(800)의 온-스크린 플레이어(803) 제어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 재생을 직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해당 오디오 컨텐츠(800)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을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오디오 컨텐츠(800)를 재생하고 이를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재생 목록 컨텐츠(900)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재생 목록 컨텐츠(900) 또한 앞서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800)와 같이 썸네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재생 목록 컨텐츠(900)는 목록 아이콘 이미지 영역(901)과 하이퍼링크 영역(903)을 포함할 수 있다. 목록 아이콘 이미지 영역(901)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는 사용자 중 해당 아이콘 이미지 조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하여 갱신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재생 목록 컨텐츠(90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악의 곡명, 앨범 자켓 이미지를 포함하며, 음악 재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이퍼링크(903) 선택을 수행하면, 하이퍼링크(903)에 연결된 해당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으며, 재생된 컨텐츠는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903) 선택 시 도 8에서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800)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비디오 컨텐츠(1000)를 나타낸 것이다.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비디오 재생을 위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플레이어를 위젯 형태나 썸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썸네일 형태로 제공되는 비디오 컨텐츠(1000)는 사용자에 의하여 그 크기가 조정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설계 방식에 따라 지정된 일정 개수의 크기로 조정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1000)는 화면 비율 조정을 위한 비율 버튼(1001), 볼륨 제어를 위한 볼륨 제어 버튼(1003),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영역(1005), 전체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전체 시간 정보 영역(10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사진 컨텐츠(1100)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1101 화면은 사진 컨텐츠의 표시 영역만이 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1103 화면은 사진 컨텐츠의 정보 영역이 함께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사진 컨텐츠(1100)의 표시 형태 변경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의 설계 방식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확인하면서 특정 사진 컨텐츠(1100)의 정보 영역 보기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 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확대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우 사진 컨텐츠(1100)는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1103 화면 상태로 조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확대 비율을 감소시켜 일정 비율 이하로 줄이는 경우 1101 화면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로부터 사진 컨텐츠(1100)의 정보 영역 보기를 지시하는 제어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1101 화면에서 1103 화면 상태로 사진 컨텐츠(1100)가 변경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되거나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표시된 특정 컨텐츠의 크기 비율이 화면의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2는 웹 컨텐츠(12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웹 컨텐츠(1200)는 12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1210)과, 해당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121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정보 영역(1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웹 컨텐츠(1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을 확대시키거나 크게 보기 제어 입력이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의하여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즉 웹 컨텐츠(1200)의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1210)은 웹 페이지 프리뷰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웹 페이지 정보 영역(1220)에 기재된 주소 정보를 토대로 해당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1210)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크게 보기 제어 입력은 실제 웹 컨텐츠(1200)가 제공되는 형태의 화면으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도 13은 위치 컨텐츠(1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위치 컨텐츠(13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컨텐츠(1300)는 일정 크기의 썸네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사전 정의된 썸네일 크기 및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제어 입력에 따른 썸네일 크기에 따라 해당 위치 컨텐츠(1300)의 위치 표시 영역(1310)에 출력된 지도의 축적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컨텐츠(1300)의 위치 정보 영역(1320)에는 해당 지도 정보를 제공한 서비스 서버 주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위치 컨텐츠(1300)에 표시되는 일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해당 위치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하이퍼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 컨텐츠(1300)에 표시된 정보들 중 특정 정보들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또 다른 페이지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컨텐츠 제공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집 센서 예를 들면 GPS나 wifi 모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되어 위치 컨텐츠(13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1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텐츠 열람 화면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1400)는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설명(description), 숏컷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컨텐츠(14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외향이 다양한 아이콘이나 이미지 또는 아바타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컨텐츠(1400)를 선택하고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와 협업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컨텐츠(1400)의 설치, 실행 및 다운로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5는 플래너 컨텐츠(1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래너 컨텐츠(15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유하는 각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 플래너 컨텐츠(1500)는 포함된 다수의 사용자들의 명수에 따라 썸네일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로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요청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플래너 컨텐츠(15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특정 공유 영역 즉 샌드 박스 영역을 공유하는 사용자들의 일정에 대한 위치, 참석자, 관련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래너 컨텐츠(1500)는 1501 화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의 스케줄 정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반보기 화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래너 컨텐츠(15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크기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이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예를 들어 플래너 컨텐츠(1500)에 포함된 특정 이벤트들 중에 현재 시각 또는 현재 시각에 인접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있는 스케줄이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따라 1503 화면이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제공될 수 있다. 1503 화면에서와 같이 플래너 컨텐츠(1500)는 1501 화면에서 "task"와 "details" 탭에서 "details" 탭이 선택된 환경에 따라 설명, 참석자(members), 링크된 컨텐츠,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서 제어 메뉴를 출력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을 수행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수신하여 단말기(100)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캔버스 영역(52) 및 메뉴 영역(51)을 포함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메뉴 호출을 위하여 기 설정된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사전 설정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를 호출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1610)를 지정한 상태에서 컨텐츠 제어 메뉴(1600) 호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이러한 동작에 따른 제어 입력을 생성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 입력 수신에 따라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열람 화면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 입력에 다라 컨텐츠 제어 메뉴(1600)를 캔버스 영역(52)의 특정 컨텐츠(161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제어 메뉴(1600)는 다양한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어 메뉴(1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Detail view, Favorite, Move & Resize, Delete, Save for off-line, Add to Clipboard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Detail view 항목은 지정된 특정 컨텐츠(1610)의 상세 정보를 보기 위한 화면으로서 화면 전환을 수행하거나 특정 컨텐츠(1610)와 관련된 정보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별도의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Favorite 항목은 지정된 특정 컨텐츠의 선호도를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항목이다. Move & Resize 항목은 지정된 특정 컨텐츠(1610)를 캔버스 영역(52)의 특정 위치에 이동시키거나 크기를 조정할 수 잇도록 지원하는 항목이다. Delete는 삭제를 위한 항목이며, Save for off-line 항목은 다운로드 지원을 위한 항목이고, Add to Clipboard는 클립보드에 지정된 특정 컨텐츠(1610)를 추가하도록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 포함된 항목들은 컨텐츠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기(100)가 업로드한 컨텐츠의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제어 메뉴(1600) 중 Favorite 항목이 제외되거나 비활성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 포함된 Delete 항목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된 각 사용자들 또는 단말기별 등급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예로서 관리자 또는 운영자에 해당하는 등급을 가진 사용자 또는 단말기는 특정 컨텐츠 삭제를 위한 Delete 항목이 활성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반 등급의 사용자 또는 단말기는 특정 컨텐츠 삭제를 위한 Delete 항목이 제외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예외적으로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는 삭제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특정 컨텐츠의 이동이나 크기 조정이 제한된 컨텐츠의 경우에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서 해당 항목들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동 및 크기 조정 기능은 관리자나 운영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최초 컨텐츠 업로드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컨텐츠 제어 메뉴(1600)의 각 항목들의 동작에 대해서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컨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컨텐츠 선택 메뉴(1700)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일측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컨텐츠 선택 메뉴(1700)가 추가되는 영역이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컨텐츠 선택 메뉴(170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설정 변경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우측에 출력될 수 있으며, 또는 좌측과 우측에 출력될 수도 있다.
컨텐츠 선택 메뉴(1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가 항목 리스트(1710)와 컨텐츠 생성 항목 리스트(17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가 항목 리스트(1710)는 Info gallery, Gallery, Music, Video, S Memo, Recorded audio, Contacts, Calendar, Application info. My files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Info gallery는 사진과 관련된 갤러리 컨텐츠들의 정보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 gallery 항목은 사진 등 이미지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 Music은 음악과 같은 오디오 파일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으며, Video는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파일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S Memo는 스타일러스 팬 또는 특정 단말기(100)에 특화된 팬을 통해 컨텐츠를 추가하는 항목으로서 메모 컨텐츠 추가를 지원할 수 있다. Recorde audio는 녹음 정보 또는 통화 중 녹음 정보 등의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 Contacts는 폰북 정보와 같이 타 단말기와의 접속 정보의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 Calendar는 달력과 관련된 스케줄 정보 등의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 Application info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의 추가를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My files는 특정 단말기(100)가 보유한 임의의 특정 파일을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추가하는 것을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항목 리스트(1720)는 Camera, Voice recorder, S Memo 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서, 컨텐츠 열람 화면(5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즉각적인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 핸드라이팅 방식의 컨텐츠 생성 등을 지원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각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해당 기능 지원과 관련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실시간 컨텐츠 공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50)에서의 추가 컨텐츠 선택 메뉴(1800)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서 설명한 컨텐츠 선택 메뉴(1700)에서 특정 컨텐츠 형식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 형식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이 도 18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컨텐츠 선택 메뉴(1700)에서 사용자가 Gallery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18에서와 같이 단말기(1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 갤러리 컨텐츠를 추가 컨텐츠 선택 메뉴(1800)로서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보이는 추가 컨텐츠 선택 메뉴(1800)는 썸네일 형태의 컨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갤러리 카테고리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업로드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보다 손쉽게 선택하고, 이를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로 등록하기 위한 간단한 동작 수행을 통하여 컨텐츠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을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우선 1901 화면에서와 같이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이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일정 지점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화면의 중심점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다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사용자의 터치다운 이벤트에 의하여 선택되며, 터치다운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화면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상측 방향으로 플릭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19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이 좌상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1903 화면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일측을 지정하고, 지정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우상측 방향으로 플릭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1905 화면에서와 같이 우상측으로 이동된 화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을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우선 2001 화면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들은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배치되어 컨텐츠 정렬 영역(53)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화면의 일측에는 시간 라인 영역(54)이 출력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정렬 영역(53) 상에서 일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한 후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좌측 방향의 플릭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20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이 좌측으로 이동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2003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 방향의 플릭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는 2005 화면에서와 같은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의 화면 변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추가된 컨텐츠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21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표시할 수 있다. 2101 화면에서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에 해당한다. 한편 사용자는 2101 화면 상에서 메뉴 영역(51)에 제공되는 항목 중 신규 추가 컨텐츠 검색 항목을 지시하는 신규 추가 항목(211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신규 추가 항목(2110)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새로 추가된 항목들의 개수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규 추가 항목(2110)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는 각 단말기(100) 별로 제공되며, 신규 컨텐츠 확인 등을 통하여 각 단말기(100) 별로 제공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2101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규 추가 항목(2110)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2103 화면에서와 같이 새롭게 추가된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화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신규 추가 항목(2110)을 계속해서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2105 화면 및 2107 화면에서와 같이 새롭게 추가된 항목들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화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에서는 각각 A, B, C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새롭게 등록된 컨텐츠를 가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신규 추가 항목(2110)을 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컨텐츠들이 추가된 순서별로 각 새로 업로드된 컨텐츠들이 화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들이 제공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서 새롭게 추가된 신규 컨텐츠들만을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메뉴 영역(51)에 출력되는 신규 추가 항목(2110)은 새롭게 추가된 신규 컨텐츠 확인 과정이 발생하는 경우 메뉴 영역(51)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신규 추가 항목(2110)은 컨텐츠를 확인하더라도 제거되지 않고 지정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동안 유지됨으로써 신규 컨텐츠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새롭게 추가된 신규 컨텐츠들 A, B, C 컨텐츠들은 이전에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된 컨텐츠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일정 색이나 모양 또는 이미지 효과 등을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컨텐츠 탐색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새롭게 컨텐츠가 등록됨에 따라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새로운 컨텐츠 예를 들면 A 컨텐츠가 추가된 형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컨텐츠 열람 화면(50)의 메뉴 영역(51)에는 신규 컨텐츠가 추가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신규 추가 항목(211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신규 추가 항목(2110)이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2201 화면에서와 같이 새로 추가된 A 컨텐츠가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화면으로 변경됨으로써 신규 컨텐츠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규로 추가된 A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단말기(100)는 220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2200)을 출력할 수 있다. 상세 보기 화면(2200)은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 별도의 레이어가 오버레이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세 보기 화면의 일정 항목을 선택하여 신규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A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 선택 과정이 수행되면 신규 추가 항목(2110)에서 A 컨텐츠가 신규 항목에서 제외될 수 있다. 신규로 추가된 항목에서 A 컨텐츠가 제외되면 2105 화면에서와 같이 A 컨텐츠에 제공되던 이미지 효과는 제거될 수 있다. 즉 A 컨텐츠는 이전에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된 다른 컨텐츠들과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기능 중 공유 메시지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2301 화면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이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을 위하여 메뉴 영역(51)에 표시된 텍스트 항목(231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303 화면에서와 같이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화면 상태를 가지는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컨텐츠 열람 화면(50)에서 텍스트 입력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305 화면에서와 같이 텍스트 입력 창(232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쉽게 확인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텍스트 입력 창(2320)이 배치된 영역을 줌-인하여 확대된 형태로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텍스트 입력 창(2320)이 화면 중심에 배치되는 형태로 조정함과 아울러 텍스트 입력 창(2320)이 일정 크기를 가지도록 자동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창(2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영역(2321)과 텍스트를 기입할 수 있는 기입 영역(23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영역(2321)을 선택함으로써 2307 화면에서와 같이 텍스트 입력 창(2320)을 자신이 원하는 일정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텍스트 입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2307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텍스트 또는 메시지 기입을 위하여 기입 영역(2322)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401 화면에서와 같이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키 맵을 포함하는 SIP 영역(80)(Simple Input Panel Area)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쿼티 키맵을 SIP 영역(80)으로 화면 일측 예를 들면 화면 하단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SIP 영역(80)의 키들을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함으로써 2403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텍스트 예를 들면 "New text box"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는 기입 영역(2322)에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텍스트 입력 완료를 지시하는 특정 이벤트나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2405 화면에서와 같이 입력된 텍스트가 적용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텍스트 입력 과정에서 텍스트의 색상을 지원을 위하여 SIP 영역(80) 또는 메뉴 영역(51) 등에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팔레트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뉴 영역(51) 일측에는 기입되는 텍스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Size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뉴 영역(51)에는 기입되는 텍스트의 폰트를 조정할 수 있는 폰트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중 선호도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2501 화면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호도 표시를 위한 특정 컨텐츠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메뉴 호출을 위한 특정 컨텐츠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250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한 컨텐츠 제어 메뉴(1600)를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 중 선호도 항목(251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505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단말기 사용자의 선호도 지정을 나타내는 이미지 효과를 화면 일측 예를 들면 별표 등의 이미지를 해당 컨텐츠의 모서리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선호도 지정이 성공하였음을 지시하는 메시지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 컨텐츠에 설명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26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컨텐츠 제어 메뉴 호출을 위하여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2603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어 메뉴(1600)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 및 선택된 컨텐츠는 별도의 레이어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2603 화면에 출력된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서 "Edit" 항목(2610)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Edit 항목(2610)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2605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설명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컨텐츠의 이미지 영역(2611), 제목 영역(2613) 및 설명 영역(2615)을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영역과 컨텐츠 편집 과정에서 입력을 위한 SIP 영역(8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2607 화면에서와 같이 설명 영역(2615)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해당 설명 영역(2615)에 특정한 설명 정보들을 기입할 수 있는 화면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사용자의 코멘트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27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특히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를 위한 제어 입력을 수행한 경우 단말기(100)는 270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220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보기 화면(2200)은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상세히 표시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영역(2710)과,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기입한 코멘트를 보여주는 컨텐츠 부가 정보 표시 영역(27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코멘트 입력을 위하여 컨텐츠 부가 정보 표시 영역(2720)에서 입력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705 화면에서와 같이 코멘트 입력을 위한 SIP 영역(8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SIP 영역(80)이 출력되면서 단말기(100)는 다른 영역들 즉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영역(2710)과 컨텐츠 부가 정보 표시 영역(2720)의 크기를 리사이징하거나, SIP 영역(80)이 배치된 만큼 나머지 영역을 표시부(140) 영역에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부가 정보 표시 영역(2720)을 통하여 코멘트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송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코멘트를 해당 컨텐츠에 남기도록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서의 핸드라이팅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28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기 방식으로 메모 컨텐츠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메뉴 영역(51)에서 핸드라이팅 방식을 통한 메모 작성 기능을 위해 마련된 핸드라이팅 항목(2800)을 선택할 수 있다. 핸드라이팅 항목(2800)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2803 화면에서와 같이 핸드라이팅과 관련된 특정 서브 메뉴들을 포함하는 서브 메뉴 항목(2810)을 메뉴 영역(51) 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메뉴 항목(2810)은 설계 방식에 따라 메뉴 영역(51) 이외의 영역 예를 들면 캔버스 영역(52)에 출력될 수도 있다. 서브 메뉴 항목(2810)에는 펜에 의해 입력되는 선의 특성 조정을 위한 항목, 지우개 기능, undo, redo 항목 등 특정 항목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의도에 따라 해당 항목들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핸드라이팅 항목(2800) 선택과 함께 특정 입력 도구 예를 들면 전자 펜을 이용하여 2805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일측에 일정한 새 메모 컨텐츠(2820)를 생성할 수 있다. 2805 화면은 특정 컨텐츠에 "Love this"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핸드라이팅 방식으로 작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새 메모 컨텐츠(2820) 작성 완료를 위한 제어 입력을 수행하면, 단말기(100)는 2807 화면에서와 같이 새 메모 컨텐츠(2820) 생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9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핸드라이팅 기반의 메모 컨텐츠 생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2901 화면에서와 같이 메뉴 영역(51)에 서브 메뉴 항목(2810)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펜에 의해 입력되는 선의 특성 조정을 위한 선 특성 조정 항목(2811)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2903 화면에서와 같이 선 특정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특성 조정 팝업창(290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성 조정 팝업창(2900)을 통하여 입력되는 선의 색상이나 굵기, 펜의 형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30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화면의 확대를 위한 제어 입력 동작을 수행하면, 단말기(100)는 3003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화면 확대를 위한 제어 입력이 다시 발생하면 3005 화면에서와 같이 보다 확대된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3005 화면 상태에서 추가적인 확대 제어 입력이 발생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되면 3007 화면에서와 같이 현재 표시부(140)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또는 일정 비율 이상을 차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3007 화면에서 화면 축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3005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3005 화면에서 화면 축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3003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화면 축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일정 비율 이하의 축소 화면은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는 3001 화면에서는 축소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무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화면의 확대 축소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 변화뿐만 아니라 종류와 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화면이 확대되는 경우 컨텐츠 표시 영역(61)의 정보는 확대하여 표시하되, 컨텐츠 정보 영역(62)에 표시되는 정보는 정보의 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도 31의 31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가 일정 크기 이하로 표시되는 경우 컨텐츠 정보 영역(62)은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컨텐츠 열람 화면(50) 확대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3103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량의 정보 예를 들면 제목 정보를 컨텐츠 정보 영역(6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컨텐츠 열람 화면(50) 확대를 위한 입력 신호가 추가로 발생하면 3105 화면에서와 같이 보다 많은 정보를 컨텐츠 정보 영역(62)에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줌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확대 및 축소를 지원할 수 있다. 즉 32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이 출력된 상태에서 화면 확대를 위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140)의 접촉된 두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치 줌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32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확대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3203 화면 상태에서 화면 축소를 위한 제어 입력 즉,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140)의 접촉된 두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치 줌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3205 화면에서와 같이 축소된 상태의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 줌 기능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3301 화면에서와 같은 타임 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핀치 줌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33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33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축소를 위한 핀치 줌이 발생하면 3305 화면에서와 같이 축소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시간 라인 영역(54)은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정렬 영역(53)만이 화면 확대 및 축소에 따른 변화를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에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컨텐츠 열람 화면(50)을 34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컨텐츠 제어 메뉴(1600) 호출을 위하여 특정 컨텐츠 선택 및 컨텐츠 제어 메뉴(1600)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하면, 단말기(100)는 3403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어 메뉴(1600)를 컨텐츠의 인접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 포함된 항목 중 "Move & Resize" 항목(34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어 메뉴(1600)에서 Move & Resize 항목(3410)을 수행하기 위해 34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선택 컨텐츠(3420)를 이동 또는 크기 조정이 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컨텐츠(3420)의 색상이나 이미지 효과 변경 등을 통하여 이동 또는 크기 조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컨텐츠(3420)를 지정하기 위한 제어 입력 예를 들면 터치다운 이벤트를 생성한 후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벤트 즉 Touch & Move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단말기(100)는 3407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3420)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3407 화면 상태에서 선택 컨텐츠(3420)의 크기 조정을 위한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이에 따라 선택 컨텐츠(3420)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여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선택 컨텐츠(3420)는 이동과 크기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 지시자(3421, 34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택 컨텐츠(34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십자가 화살표 형태의 지시자(3421)가 선택 컨텐츠(3420)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 컨텐츠(3420)의 크기 조정 수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사선 화살표 형태의 지시자(3422)가 선택 컨텐츠(3420)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열람 화면이 여러 개의 레이어가 입체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5를 참조하면,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타입에 따라 메뉴 영역(51)과 캔버스 영역(52)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열람 화면(50)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일정 위치에 검색 영역(35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검색 영역(3500)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검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사전 정의된 다양한 검색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앞서 설명한 SIP 영역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검색어들을 제공하는 형태는 검색 영역(3500)이 선택되는 경우 리스트 형태로 사전 정의된 검색어들을 제공하고, 사용자 지정에 따라 특정 검색어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영역(3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도(My favorites)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선호도(My favorites)가 설정된 컨텐츠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한 단말기(100)들 사용자가 지정한 선호도(My favorites)를 가지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때 검색 영역(35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 효과 또는 아이콘(3501)이 함께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콘(3501) 입력 또는 검색어 선택, 또는 검색어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호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은 컨텐츠 열람 화면(50) 상에 일정 레이어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은 스크롤이 가능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정한 표시 규칙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를 가지는 컨텐츠들을 표시하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또는 단말기(100)는 현재 접속 중인 단말기(100) 사용자가 지정한 선호도를 가지는 컨텐츠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선호도를 가진 컨텐츠들인 경우에는 최신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선호도를 가진 컨텐츠는 사용자들이 지정한 선호도를 동일한 개수로 가진 선호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입력에 매치되는 텍스트 박스 등을 다음 순위로 표시하며, 나머지 검색 결과는 최신 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은 컨텐츠들을 표시하되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컨텐츠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텍스트나 메모 등은 차순위로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정보 영역에는 일부 정보 예를 들면 설명(description) 정보나 제목(title) 정보만이 기입될 수 있다.
도 36은 도 35에서 설명한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3601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열람 화면(50)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접속에 따라 수신되어 출력되면, 사용자는 메뉴 영역(51) 중 검색 항목(36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3603 화면에서와 같이 검색 항목(3610) 선택에 따라 사전 정의된 검색어들을 선택할 수 있는 검색어 선택 창(362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검색어 선택 창(3620)에서 선호도 항목(My favorites)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36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호도를 가지는 컨텐츠들을 별도의 레이어에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3605 화면에 제공된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은 앞서 도 35에서 설명한 컨텐츠 표시 규칙에 따라 출력된 화면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3607 화면에서와 같이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3510)을 이동시켜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샌드 박스의 특성 조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샌드 박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저장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샌드 박스는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샌드 박스는 운영자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사용자들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샌드 박스 특성 조정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 박스를 대표하는 아이콘 이미지 영역(3701), 샌드 박스를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삭제 버튼 영역(3703), 샌드 박스에 가입한 사용자 목록을 전화번호의 별도 그룹으로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전화번호부 그룹 생성 버튼 영역(3705), 샌드 박스 제목 영역(3707), 사용자 삭제 및 추가 영역(370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은 상술한 각 영역들의 편집을 위하여 SIP 영역(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3801 화면에서와 같이 폰북 정보나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접속 정보 화면(3810)이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를 새롭게 생성할 샌드 박스 사용자로서 초청하기 위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운영자나 관리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샌드 박스 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속 정보 화면(3810)에는 샌드 박스 앱 활성화를 위한 항목을 화면 일측에 제공할 수 있다. 샌드 박스 앱 활성화 항목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3803 화면에서와 같이 초청 화면(382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초청 화면(3820)은 접속 정보 화면(381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들이 기재되는 수신자 영역(3821)과, 초청 내용을 기입하는 내용 영역(38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청 화면(3820)은 내용 기입을 위하여 SIP 영역(8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SIP 영역(80)을 이용하여 내용을 기입하면 3805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내용을 내용 영역(382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3805 화면에서 샌드 박스 생성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단말기(100)는 3807 화면에서와 같이 새로운 샌드 박스를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새 샌드 박스를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에 제공할 수 있다.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에서 새로 생성된 샌드 박스(Family box)는 다른 샌드 박스들과 구분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 샌드 박스(Family box)는 일정 위치에 새로 생성됨을 지시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은 다른 샌드 박스들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간략히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에서 특정 샌드 박스에는 해당 샌드 박스에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들의 인원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접속 중 인원수는 해당 샌드 박스의 전체 이용 가능 인원수와 구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샌드 박스 신설이나 샌드 박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허용 여부에 따라 정보 제공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 박스 제목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단말기(100)는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을 39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3개의 샌드 박스를 개설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에서 별도의 제목이 없는 아이콘은 샌드 박스 신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 사용자가 제목 변경을 위하여 특정 샌드 박스 예를 들면 Sandbox C의 편집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3903 화면에서와 같이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에서 제목 영역(3707)을 선택하고, SIP 영역(80)을 이용하여 특정 제목 입력 예를 들면 "Business box"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은 3905 화면에서와 같이 제목 영역(3707)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해당 샌드 박스에 이용 가능한 사용자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의 사용자 삭제 및 추가 영역(3709)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를 제거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3907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사용자가 제거된 사용자 삭제 및 추가 영역(3709)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를 해당 샌드 박스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를 특정 샌드 박스에서 제외시키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해당 샌드 박스에서 사용자가 제외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샌드 박스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단말기(100)는 4001 화면에서와 같이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Sandbox C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40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샌드 박스의 특성 조정을 위한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해당 샌드 박스 제거를 위해 삭제 버튼 영역(3703)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삭제 버튼 영역(3703) 선택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4005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샌드 박스 삭제를 확인하는 확인창(4010)을 출력할 수 있다. 4005 화면에서 제공되는 확인창(4010)은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삭제 버튼 영역(3703) 선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확인창(4010)에는 샌드 박스 삭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샌드 박스 삭제가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4007 화면에서와 같이 제거를 위해 선택된 Sandbox C가 제외된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샌드 박스 운영자가 샌드 박스 제거 시에, 해당 샌드 박스 제거에 관한 메시지를 해당 샌드 박스에 소속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들의 샌드 박스 제거에 수락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샌드 박스 삭제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샌드 박스 삭제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투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는 샌드 박스 운영 권한을 특정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이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운영자 또는 특정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는 샌드 박스 삭제에 실패한 경우, 다른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게 해당 샌드 박스 운영 권한을 이임할 수 있다. 여기서 샌드 박스 권한은 특정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200) 정책에 따라 특정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토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샌드 박스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샌드 박스 이용 또는 운영 권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1 및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 박스 그룹명 변경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 입력 수신에 따라 4101 화면에서와 같이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Sandbox C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41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샌드 박스의 특성 조정을 위한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화면 상태에서 전화번호부 그룹 생성 버튼 영역(3705)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4105 화면에서와 같이 새로운 전화번호부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 창(411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그룹 생성 창(4110)을 출력함과 아울러 단말기(100)는 그룹명 변경을 위하여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3830)에서 제공되던 SIP 영역(80)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Sandbox C"를 다른 그룹명 예를 들면 "Movie-holics"로 변경한 이후 완료하면, 단말기(100)는 4107 화면에서와 같이 그룹명 변경을 그룹 생성 창(4110)에 제공하고, 완료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부 그룹을 새롭게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41의 4107 화면에서 그룹명 변경 완료를 위한 제어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도 42의 4201 화면에서와 같이 전화번호부 그룹의 이름이 "Movie-holics"를 가지며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창(4210)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해당 안내창(4210)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이전 상태 예를 들면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3700)을 4203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일정 사용자들이 공유 그룹으로 지정되어 컨텐츠를 공유하는 샌드 박스 운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컨텐츠 검색 시스템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210 : 장치 통신부
250 : 장치 저장부 260 : 장치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박스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상기 컨텐츠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은,
    새로 추가된 컨텐츠들과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며, 추가된 컨텐츠들을 검색하기 위해 제공된 신규 추가 항목 선택 시 새로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 중심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화면을 조정하되, 복수개의 컨텐츠들이 존재하는 경우 각 컨텐츠들이 위치한 지점들이 화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화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들이 일정 위치에 배치되는 캔버스 영역과 컨텐츠 관련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들이 배치되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기 컨텐츠들이 시간에 따라 정렬되는 컨텐츠 정렬 영역과 상기 정렬된 컨텐츠들의 시간 정보를 지시하는 시간 라인 영역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출력되는 컨텐츠는
    썸네일 형태로 재생 및 중지가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가능한 목록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 컨텐츠;
    썸네일 형태로 제공되며 선택에 따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컨텐츠;
    썸네일 형태로 제공되며 선택에 따라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사진 컨텐츠;
    웹 정보 수집 여부에 따라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을 제공하는 웹 컨텐츠;
    지도 정보를 포함하며 접속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또는 기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컨텐츠;
    선택에 따라 설치, 재생,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의 스케줄 정보를 공유하여 제공하는 플래너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출력된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 항목, 선호도 항목, 이동 및 크기 조정 항목, 삭제 항목, 다운로드 및 클립보드 추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메뉴를 상기 특정 컨텐츠의 인접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 메뉴에 포함되는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의 특성이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에 등록된 등급에 따라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컨텐츠 제어 메뉴에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은
    제어 입력에 따라 화면의 줌 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되, 확대 비율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의 부가 정보 양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되는 경우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컨텐츠 검색 입력 시,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을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 제공을 위해 일정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복수의 공유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샌드 박스들로 구성된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 박스의 이용 또는 운영 권한은
    특정 사용자 정보 또는 특정 단말기 식별 정보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샌드 박스 리스트에 표시된 특정 샌드 박스의 삭제를 위한 버튼, 특정 샌드 박스의 제목 영역, 특정 샌드 박스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전화번호부를 별도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버튼, 상기 샌드 박스에 소속된 사용자의 삭제 또는 새로운 사용자의 초청을 위한 사용자 삭제 및 추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13.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박스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메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컨텐츠들로 구성된 컨텐츠 열람 화면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열람 화면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새로 추가된 컨텐츠들과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
    상기 추가된 컨텐츠 검색을 위해 제공된 신규 추가 항목 선택 시 새로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 중심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화면을 조정하는 과정;
    상기 추가된 복수개의 컨텐츠들 검색을 위해 상기 신규 추가 항목 선택 시 각 컨텐츠들이 위치한 지점들이 화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화면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컨텐츠들이 일정 위치에 배치되는 캔버스 영역과 컨텐츠 관련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들이 배치되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캔버스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상기 컨텐츠들이 시간에 따라 정렬되는 컨텐츠 정렬 영역과 상기 정렬된 컨텐츠들의 시간 정보를 지시하는 시간 라인 영역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뷰 타입의 컨텐츠 열람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출력되는 컨텐츠는
    썸네일 형태로 재생 및 중지가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가능한 목록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 컨텐츠;
    썸네일 형태로 제공되며 선택에 따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컨텐츠;
    썸네일 형태로 제공되며 선택에 따라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사진 컨텐츠;
    웹 정보 수집 여부에 따라 웹 페이지 프리뷰 화면을 제공하는 웹 컨텐츠;
    지도 정보를 포함하며 접속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또는 기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컨텐츠;
    선택에 따라 설치, 재생,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의 스케줄 정보를 공유하여 제공하는 플래너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출력된 특정 컨텐츠 선택 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 항목, 선호도 항목, 이동 및 크기 조정 항목, 삭제 항목, 다운로드 및 클립보드 추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메뉴를 상기 특정 컨텐츠의 인접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 메뉴에 포함되는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는 컨텐츠의 특성이나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에 등록된 등급에 따라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컨텐츠 제어 메뉴에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제어 입력에 따라 화면의 줌 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되, 확대 비율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의 부가 정보 양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되거나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에 표시된 특정 컨텐츠의 크기 비율이 화면의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 전환되는 과정;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검색 입력 시, 컨텐츠 검색 결과 화면을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 상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열람 화면 제공을 위해 일정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복수의 공유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샌드 박스들로 구성된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샌드 박스 리스트에 표시된 특정 샌드 박스의 삭제를 위한 버튼, 특정 샌드 박스의 제목 영역, 특정 샌드 박스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전화번호부를 별도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버튼, 상기 샌드 박스에 소속된 사용자의 삭제 또는 새로운 사용자의 초청을 위한 사용자 삭제 및 추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샌드 박스 특성 조정 화면을 출력 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 박스의 이용 또는 운영 권한을 특정 사용자 정보 또는 특정 단말기 식별 정보에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120079807A 2012-07-23 2012-07-23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0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07A KR102005315B1 (ko) 2012-07-23 2012-07-23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3/948,440 US20140026061A1 (en) 2012-07-23 2013-07-23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loud servic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EP13177621.3A EP2690545A3 (en) 2012-07-23 2013-07-23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loud servic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07A KR102005315B1 (ko) 2012-07-23 2012-07-23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251A KR20140013251A (ko) 2014-02-05
KR102005315B1 true KR102005315B1 (ko) 2019-07-30

Family

ID=4887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807A KR102005315B1 (ko) 2012-07-23 2012-07-23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026061A1 (ko)
EP (1) EP2690545A3 (ko)
KR (1) KR102005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6244B2 (en) * 2013-03-13 2018-06-12 Autodesk, Inc. User interface navigation elements for navigating datasets
USD757071S1 (en) * 2013-10-23 2016-05-24 Ares Trading S.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692S1 (en) * 2014-04-04 2016-04-12 Adp,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136S1 (en) * 2014-04-04 2016-04-05 Adp,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135S1 (en) * 2014-04-04 2016-04-05 Adp,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84547B2 (en) * 2014-05-29 2017-06-2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ecurity of an application and its extension
AU2015207842B2 (en) 2014-07-29 2020-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KR20160069300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의 슬라이드 쇼 생성 방법
KR102314109B1 (ko) * 2015-01-05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D809522S1 (en) 2015-06-14 2018-02-06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alert screen
USD807376S1 (en) 2015-06-14 2018-01-0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mart home automation system having a multifunction status
USD812076S1 (en) 2015-06-14 2018-03-06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remote video camera
US9361011B1 (en) 2015-06-14 2016-06-07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multiple live video feeds in a user interface
USD797131S1 (en) 2015-06-14 2017-09-12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user interface for mode selector icons
USD796540S1 (en) 2015-06-14 2017-09-05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bile camera history having event-specific activity notifications
USD803241S1 (en) 2015-06-14 2017-11-21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alert screen
US10133443B2 (en) 2015-06-14 2018-11-20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JP6514061B2 (ja) * 2015-07-28 2019-05-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6131116A (zh) * 2016-06-16 2016-11-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料的分享与存储管理方法及系统
USD882583S1 (en) 2016-07-12 2020-04-28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263802B2 (en) 2016-07-12 2019-04-16 Google Llc Methods and devices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 remote cameras
KR20180013169A (ko)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WO2018062591A1 (ko) * 2016-09-30 2018-04-0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D843398S1 (en) 2016-10-26 2019-03-19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timeline-video relationship presentation for alert events
US11238290B2 (en) 2016-10-26 2022-02-01 Google Llc Timeline-video relationship processing for alert events
US10386999B2 (en) 2016-10-26 2019-08-20 Google Llc Timeline-video relationship presentation for alert events
US10819921B2 (en) 2017-05-25 2020-10-27 Google Llc Camera assembly having a single-piece cover element
US10972685B2 (en) 2017-05-25 2021-04-06 Google Llc Video camera assembly having an IR reflector
US10683962B2 (en) 2017-05-25 2020-06-16 Google Llc Thermal management for a compact electronic device
CN107992243A (zh) * 2017-11-29 2018-05-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和装置、终端、可读存储介质
CN107888781B (zh) * 2017-11-30 2020-07-24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信息分享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170335A (zh) * 2017-12-26 2018-06-15 佛山市道静科技有限公司 一种在显示屏上显示备忘录信息的方法及系统
US11320958B2 (en) * 2018-05-02 2022-05-03 Apple Inc. Moving about a setting
USD886127S1 (en) * 2018-10-05 2020-06-02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933648B2 (en) 2021-04-14 2024-03-19 Invensense, Inc. Sensor output digitiz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253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JP2006011693A (ja) 2004-06-24 2006-01-12 Hitachi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2006252374A (ja) * 2005-03-14 2006-09-21 Toshiba Corp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110179083A1 (en) 2010-01-15 2011-07-21 Galloway Curtis C Accessing Specialized File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374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ui메뉴 표시방법
US20080040665A1 (en) * 2006-07-06 2008-02-14 Carsten Waldeck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locating and browsing data files
JP4997946B2 (ja) * 2006-12-05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Cad装置およびcadプログラム
US20090099919A1 (en) * 2007-07-18 2009-04-16 Freepath,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ormatting and delivery of playlist presentation content
US20090177538A1 (en) * 2008-01-08 2009-07-09 Microsoft Corporation Zoomable advertisements with targeted content
JP4636141B2 (ja) * 2008-08-28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93565B1 (ja) * 2008-08-28 2010-01-06 株式会社東芝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01544B2 (ja) * 2009-02-13 2012-12-19 富士通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方法、撮影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20100257457A1 (en) * 2009-04-07 2010-10-07 De Goes John A Real-time content collaboration
US20120197728A1 (en) * 2011-01-27 2012-08-02 Seven Networks, Inc. Single action access to context specific content at a mobile device
US20120198508A1 (en) * 2011-02-01 2012-08-02 Sony Corporation Multiple device iptv cloud-based recording and playback
JP6180084B2 (ja) * 2011-07-20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と記憶媒体
US9459767B2 (en) * 2011-08-29 2016-10-04 Ebay Inc. Tablet web visual browsing
US9432454B2 (en) * 2011-08-29 2016-08-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oud-to-cloud peering
US20130091525A1 (en) * 2011-10-07 2013-04-11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menu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253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JP2006011693A (ja) 2004-06-24 2006-01-12 Hitachi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2006252374A (ja) * 2005-03-14 2006-09-21 Toshiba Corp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110179083A1 (en) 2010-01-15 2011-07-21 Galloway Curtis C Accessing Specialized File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0545A2 (en) 2014-01-29
US20140026061A1 (en) 2014-01-23
EP2690545A3 (en) 2017-03-29
KR20140013251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31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21034205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974068B2 (ja) 端末及びその表示方法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US95355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multi-touch input
US9898163B2 (en) Menu display apparatus, menu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7426403B (zh) 移动终端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40014551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2428885A2 (en) Stripe user interface
CN105706428B (zh) 提供消息的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用户设备
KR20130064458A (ko)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EP2566141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multiple recording of data
CN108052274A (zh) 执行显示器上的对象的方法和设备
KR101921201B1 (ko) 단말기의 기능 연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1325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컨텐츠 검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단말기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50017099A (ko)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0831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KR20130052752A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6129749B6 (ja) メモ機能の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AU20152617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