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164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164B1
KR101083164B1 KR1020080122264A KR20080122264A KR101083164B1 KR 101083164 B1 KR101083164 B1 KR 101083164B1 KR 1020080122264 A KR1020080122264 A KR 1020080122264A KR 20080122264 A KR20080122264 A KR 20080122264A KR 101083164 B1 KR101083164 B1 KR 10108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displayed
touch scree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900A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1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를 전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되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영역-상기 항목 또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상에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가 감지된 상기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좀 더 쉽고 용이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터치스크린, 메뉴, 컨텐츠,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menu surpport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정보 및 통신 환경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변화 중 하나로서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의 발전을 거듭하여 사용자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ecas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청을 지원하거나 음악파일로 된 음악컨텐츠의 감상을 지원하거나 동영상컨텐츠를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삭제 또는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서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이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뉴를 먼저 실행하고, 메뉴창에서 나열되는 리스트를 보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선택하는 등 최소한 3단계 이상의 선택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는 메뉴의 이용구조가 나무와 같은 구조 즉,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 선택의 반복으로 원하는 실행명령을 찾아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직접 원하는 실행명령을 찾아 선택하기 어려웠다.
특히 하위 메뉴에서 다른 하위 메뉴로의 직접이동 또는 어떤 컨텐츠에 대한 메뉴에서 다른 컨텐츠에 대한 메뉴로의 이동 등은 상위메뉴를 거쳐서 이동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러번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뉴구조를 개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및 메뉴지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를 전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되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영역-상기 항목 또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상에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가 감지된 상기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영역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영역에 전시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 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썸네일 (thumbnail)형태로 전시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항목은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이고, 상기 이미지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항목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된 텍스트영역이고, 상기 텍스트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상기 항목에 관한 세부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단계; 상기 전시단계에서 전시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항목영역- 상기 항목 또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상에는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터치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되어진 상기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실행단계; 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영역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영역에 전시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썸네일 (thumbnail)형태로 전시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전시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항목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된 텍스트영역이고,
상기 선택단계에서 상기 텍스트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기능실행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상기 항목에 관한 세부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기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 전시중인 하나의 항목영역상에 다수의 터치영역이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한 두 번의 터치만으로도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좀 더 용이해지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컨텐츠 이용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의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01), 메모리부(102) 및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101)는 특정 정보를 화면으로 전시(display)를 할 수 있으며 터치에 의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터치스크린부(101)는 특정 정보를 화면으로 전시(display)를 하는 스크린(여기서 스크린은 LCD, AMOLED 등과 같은 영상출력장치를 총칭(總稱)한다)과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입력을 받는 것(예를 들어,터치패널(touch pannel))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를 세세히 구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부로 통칭(統稱)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부(10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를 전시한다.
여기서 항목은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보여지는 컨텐츠 등의 리스트에서 리스트를 구성하는 개개의 항목을 지칭한다. 도 2의 예시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의 항목에는 이미지(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는 사진, 그림 등을 총칭한다.)와 이미지에 연관된 컨텐츠파일의 이름, 컨텐츠의 저장날짜 혹은 생성날짜, 컨텐츠의 이미지의 크기 등이 전시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의 예로서 컨텐츠 또는 컨텐츠가 속해 있는 그룹(예를 들면 음악, 동영상, DMB 와 같은 분류카테고리)을 들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하나의 항목에는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가 속해 있는 하나의 그룹이 연관되어 있다.
터치스크린부(101)는 제어부(103)의 제어를 받으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전시한다. 일 예로 터치스크린부(101)는 제어부(103)의 제어를 받아 메모리부(102)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시한다.
터치스크린부(10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감지신호를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터치스크린부(101)는 후술할 제어부(103)의 제어를 받는다.
메모리부(102)에는 터치스크린부(101)에 전시될 수 있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 가 저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메모리부(102)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등이 저장된다.
메모리부(10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컨텐츠 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되는 부분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03)는 터치스크린부(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영역상에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마련한다. 그리고 제어부(103)는 이러한 터치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터치스크린부(101)로부터 전달받으면 터치가 감지된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항목영역은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전시되는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전시영역을 말한다. 다수의 항목영역들이 나열된 것이 항목리스트이며, 이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예시화면에서 알 수 있다.
하나의 항목은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그룹을 가리킨다. 여기서 그룹은 쉽게 말해서 분류명칭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에서 가족, 친구, 직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족, 친구, 직장처럼 분류되는 각각을 그룹이라고 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어떤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각각의 집합을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항목영역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터치스크린부(101)에 마련한다. 즉, 터치스크린부(101)에 전시되는 화면상에 터치영역을 구분하여 마련한다. 여기서 터치영역은 각각의 항목영역 내에 적어도 둘 이상 마련된다.
여기서 터치영역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항목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영역, 항목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되는 텍스트영역, 항목을 체크 또는 체크해제를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기 위하여 마련된 체크영역, 음악 또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가 재생목록에 추가 또는 제외된 것을 아이콘으로 전시하는 아이콘영역, 사용자가 그룹 또는 그룹에 속한 다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메모리를 확인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관리화면을 전시시키는 기능과 연관된 메모리관리영역 등이 있다. 이러한 이미지영역, 텍스트영역, 체크영역, 아이콘영역, 메모리관리영역 등은 터치영역에 해당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1)의 화면상에 전시된 항목을 보고 항목영역내에 마련된 특정 터치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제어부(103)가 실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터치된 터치영역에 관하여 터치감지신호를 터치스크린부(101)가 제어부(103)에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이란 어떤 터치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그 터치영역에 전시되고 있는 내용(이미지 혹은 텍스트 등)에 관련있는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말하며, 제어부(103)에 미리 이러한 연관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03)가 터치스크린부(101)로부터 특정 터치영역에서 감지된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그 터치영역에 연관된 특정 작업을 제어부(103)가 실행한다.
여기서 실행되는 작업에는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특정 화면(예를 들면, 다른 선택메뉴를 전시시키는 화면 등)이 전시되도록 하거나 해당 항목에 연관된 컨텐츠를 실행(예를 들면 음악파일을 재생) 하는 것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영역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이미지영역에 전시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썸네일 (thumbnail)형태로 전시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이미지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부(101)의 화면상에 전시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예로서 앨범정보를 들을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텍스트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항목에 관한 세부정보를 전시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또는 텍스트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부(101)의 전체화면으로 전시 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영역에 텍스트형태로 전시되는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의 명칭, 노래가사, 대사 및 재생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항목영역에는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시 간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전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룹에 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된 텍스트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그룹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터치스크린부(101)의 화면상에 전시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전시되는 항목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영상통화저장파일인 경우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영상통화보관함에 분류되어 저장중인 영상통화저장파일(컨텐츠에 해당된다.)들의 리스트가 전시되어 있다. 하나의 영상통화저장파일항목영역(200)이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터치스크린부(101)의 화면상에 전시된다. 여기서, 터치영역으로 3개가 전시되고 있다. 이미지영역(220), 텍스트영역(210) 및 체크영역(230)이 터치영역에 해당된다. 터치영역의 경계구분은 제어부(103)가 터치스크린부(101)를 통해 화면상에 구분선을 전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알 수 있게된다.
사용자가 이미지영역(220)을 터치한다. 그리고 이미지영역(220)에서의 터치를 터치스크린부(101)가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01)는 터치감지신호를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이미지영역(220)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썸네일(thumbnail)(221)들이 전시된 전시화면(225)으로 화면전환을 실행한다(도 5참조).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는 영상통화저장파일항목영역(210)에 연관된 영상통화저장파일 중 캡쳐이미지들일 수도 있으며, 영상통화저장파일이 속한 그룹의 영상통 화저장파일의 대표이미지들의 썸네일이미지들일 수도 있다.
체크영역(230)은 해당항목인 영상통화저장파일을 체크/체크해제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터치영역이다. 체크영역(230)을 터치하면 체크영역에 V 와 같은 선택표시가 전시된다. 물론 선택표시가 꼭 V 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ㅇ과 같은 표시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체크여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면 족하다. 체크영역(230)의 V표시를 보고 사용자는 해당 항목이 체크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항목들을 체크영역(230)에 표시한 후 도 2의 하단에 보이는 삭제나 편집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항목에 대한 삭제나 편집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텍스트영역(210)를 터치하면 텍스트영역(210)에 연관된 기능인 해당 항목의 상세보기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저장파일에 대한 텍스트영역(210)을 터치하면 해당 영상통화저장파일에 대한 상세보기 화면이 전시되며, 여기에 통화일시, 통화상대방 전화번호, 영상통화저장파일의 크기 등과 같은 상세정보가 전시된다.
도 3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음악/동영상 컨텐츠와 관련 메뉴가 전시된 예시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다수의 항목영역(300)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재생중인 항목을 나타내는 항목영역(301)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현재 컨텐츠의 실행중인 항목과 실행대기중인 항목이 구별되도록 항목영역(300,301)이 구별되게 전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음악컨텐츠가 실행중인 항목영역(301)에는 3개의 터치영역이 있다. 이미지영역(320)에는 현재 실행중인 음악컨텐츠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영역(320)을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103)는 이미지영역(320)에 연관된 기능인 음악컨텐츠의 앨범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으로 변경을 실행한다.
따라서 제어부(103)에 의해 터치스크린부(101)는 실행중인 음악컨텐츠의 앨범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전시한다.
재생/일시정지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터치영역(330)도 사용자가 터치영역(330)을 터치함에 의해 제어부가 해당 컨텐츠의 재생/일시정지를 실행하게 된다.
텍스트영역(310)에는 현재 실행중인 음악컨텐츠에 연관된 텍스트정보가 전시되고 있다. 텍스트영역(310)을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103)는 텍스트영역(310)에 연관된 기능인 전체보기화면으로 화면변경을 실행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부(101)는 실행중인 음악컨텐츠의 전체보기 화면을 전시한다.
한편 항목영역(300)에는 아이콘영역(340,341)이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아이콘영역 또한 터치영역에 해당된다. 아이콘영역(340,341)을 터치함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목록에 추가/제외가 선택된다. 추가/제외를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아이콘영역이 표시되는 예로서 재생목록에 추가된 경우 아이콘영역(340)과 재생목록에서 제외된 경우 아이콘영역(341)에는 구별될 수 있는 아이콘이 전시된다.
도 4에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룹들과 관련 메뉴가 전시된 예시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항목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그룹영역(400)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항목영역(400)에는 텍스트영역(410)과 메모리관리영역(420)이 있다. 사용자가 항목영역(400)의 텍스트영역(410)을 터치하면 해당 그룹의 상세보기로 전환된다. 즉, 해당 텍스트영역(410)의 터치를 터치스크린부(101)가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감지신호를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텍스트영역(410)에 연관된 기능인 그룹 상세보기 화면으로 화면전환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메모리관리영역(420)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부(101)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01)는 터치감지신호를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메모리관리영역(420)에 연관된 기능인 메모리관리 전용화면으로 화면전환을 실행한다.
이상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항목을 나타내는 항목영역상에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마련하고 각각의 터치영역에 대하여 실행되는 기능을 달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사용자는 터치횟수가 감소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면서도 원하는 기능을 이동통신단말기가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각 실시 예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순서를 표기하였지만, 이러한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이 그러한 순서에 의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이 되는 부분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은 전시단계, 선택단계 및 기능실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전시단계<S101>
전시단계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101)의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를 전시한다.
여기서 항목 또는 항목에 연관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덧붙여서 항목의 예로서 컨텐츠 또는 컨텐츠가 속해 있는 그룹(예를 들면 음악, 동영상, DMB 와 같은 분류카테고리)를 들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하나의 항목에는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가 속해 있는 하나의 그룹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화면에서와 같이 항목이 전시된다. 여기서 전시되는 항목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예시화면에서는 항목들이 리스트화 되어 전시되고 있다. 즉, 항목리스트가 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2. 선택단계<S102>
선택단계에서는 전시단계S101에서 전시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항목영역-상기 항목 또는 상기 항목에 연관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상에는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터치에 의해 선택받는다.
여기서 터치영역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항목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영역, 항목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되는 텍스트영역, 항목을 체크 또는 체크해제를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받기 위하여 마련된 체크영역, 음악 또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가 재생목록에 추가 또는 제외된 것을 아이콘으로 전시하는 아이콘영역,사용자가 그룹 또는 그룹에 속한 다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메모리를 확인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관리화면을 전시시키는 기능과 연관된 메모리관리영역 등이 있다.
이러한 이미지영역, 텍스트영역, 체크영역, 아이콘영역, 메모리관리영역 등은 터치영역에 해당된다.
3. 기능실행단계<S103>
기능실행단계에서는 선택단계S102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어진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한다.
즉, 앞서 예로서 언급한 이미지영역, 텍스트영역, 체크영역, 아이콘영역, 메모리관리영역 등은 터치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된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제어부(103)가 실행한다. 즉, 터치된 터치영역에 관하여 터치감지신호를 터치스크린부(101)가 제어부(103)에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고 해당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터치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제어부(103)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어떤 작업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의 메뉴를 통해서 여러 선택과정을 거쳐야 했던 것과는 달리 터치스크린부에 전시된 항목영역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이 있으므로 시작부터 메뉴자체를 선택하여 시작(출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택과정 또는 선택단계가 대폭축소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취급 또는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의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터치스크린부 102 : 메모리부
103 : 제어부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컨텐츠리스트를 전시하는 정보를 전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되는 컨텐츠리스트에 속하는 컨텐츠에 연관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전시된 컨텐츠리스트에 속하는 컨텐츠들 각각이 표시된 컨텐츠항목에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제1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가 감지된 상기 제1 터치영역에 연관된 제1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 중 다른 하나의 제2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가 감지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연관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능과 제2 기능은 서로 다른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항목에 연관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영역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이미지영역에 전시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썸네일 (thumbnail)형태로 전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항목은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영역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전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항목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형태로 전시된 텍스트영역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영역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텍스트영역에 연관된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항목에 관한 세부정보를 전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2264A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KR10108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64A KR101083164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64A KR101083164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00A KR20100063900A (ko) 2010-06-14
KR101083164B1 true KR101083164B1 (ko) 2011-11-11

Family

ID=4236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64A KR101083164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79B1 (ko) 2006-10-31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미리 보기 기능을 구비한 파일 매니저를 포함하는통신 단말기 및 컨텐츠 미리 보기 방법
KR100883117B1 (ko) * 2007-04-10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79B1 (ko) 2006-10-31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미리 보기 기능을 구비한 파일 매니저를 포함하는통신 단말기 및 컨텐츠 미리 보기 방법
KR100883117B1 (ko) * 2007-04-10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00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010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9535600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531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RU241546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и графический интерфейс пользователя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ввода в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1614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201902050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5706428B (zh) 提供消息的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用户设备
CN103180814A (zh) 移动终端的屏幕显示方法和设备
JP2010152859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表示及び操作方法と電子デバイス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US20120210201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2014110053A (ja) 携帯端末機のコンテント処理装置及び方法
AU201428795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15201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p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3176734A (zh) 启用触摸屏的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JP51727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096545A (zh) 电子设备及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KR1010831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KR20130052752A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3777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