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581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581A
KR20080083581A KR1020080022066A KR20080022066A KR20080083581A KR 20080083581 A KR20080083581 A KR 20080083581A KR 1020080022066 A KR1020080022066 A KR 1020080022066A KR 20080022066 A KR20080022066 A KR 20080022066A KR 20080083581 A KR20080083581 A KR 20080083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otor
rotor
drum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838B1 (ko
Inventor
히데하루 히와키
히로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모터(5)는 로터(25)와 스테이터(21)를 갖고, 스테이터(21)는 권선(24)과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22)와 요철 형상부(40)를 갖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22)는 수지 재료에 의해 권선(24)을 몰딩하고, 요철 형상부(40)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22)의 단부면(22a)에 마련된 오목부(40a)와 스테이터 볼록부(40b)를 갖고, 오목부(40a)는 권선(2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단부면(22a)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테이터(21)로부터의 방열 특성이 향상된 모터(5)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세탁기 등의 고정부에 장착되는 스테이터와, 세탁기 등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로터를 갖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터(110)와 로터(111)를 갖는 종래의 모터(105)는, 예컨대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00)[이하, 세탁기(100)라고 칭함] 등에 이용되고 있다.
세탁기(100)에는, 세탁기 본체(101)[이하, 본체(101)라고 칭함]내에 수조(102)와 회전 드럼(104)[이하, 드럼(104)이라고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수조(102)는 서스펜션(suspension)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101)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104)은 수조(102)내에 마련되고, 다수의 구멍(1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104)은 모터(10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문(106)이 본체(101)의 정면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문(106)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수조(102)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10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하여, 세탁물(도시하 지 않음)이 드럼(104)내에 출납된다.
또한, 문(106)을 개방하여 드럼(104)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가 투입되고,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102)내에 급수부(10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102)내에 급수된 물(도시하지 않음)은 다수의 구멍(103)을 통하여 드럼(104)내에 진입하고, 드럼(104)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소요량의 물이 급수되면, 모터(105)에 의해 드럼(104)이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드럼(104)이 회전 구동되면, 드럼(104)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드럼(104)의 내주면에 마련된 교반 돌기(108)에 걸려서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들김 세척 작용이 부가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후,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부(109)에 의해 본체(101)의 외부로 배수된다. 그 후, 새롭게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104)이 고속 회전되는 것에 의해,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가,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263271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칭함),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43105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라고 칭함),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168116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3이라고 칭함), 일본 공개 특허 제 2004-216166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4라고 칭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세탁기는, 예컨대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을 실행하기 위해 정역 회전 가능한 제 1 모터와, 탈수 행정을 실행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제 2 모터를 갖는다. 제 1 모터는,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제 1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정역 회전 구동한다. 제 2 모터는, 탈수 행정에 있어서, 제 2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한다. 제 1 모터와 제 2 모터는 수조의 배면에 장착되고, V 벨트에 의해 회전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 드럼의 구동 방식이,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수조의 배면에 장착된 모터가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직접 전달시키는 구동 방식이,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수조의 배면에 장착된 모터의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인너 로터 방식의 모터가, 예컨대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혹은, 스테이터의 외주에 로터가 배치된 아우터 로터 방식의 모터가, 예컨대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 도 12는 종래의 인너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드럼식 세탁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종래의 아우터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드럼식 세탁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어떠한 세탁기(100)에 있어서도, 모터(105)는 수조(102)의 배면인 외측 바닥면에 스테이터(110)가 장착되고, 로터(111)가 드럼(104)의 회전축(11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드럼식 세탁기는 제 1 모터와 제 2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 팬이 수조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냉각 덕트가 냉각 팬에 고정되고, 냉각 덕트의 냉각풍 분출구가 제 1 모터와 제 2 모터에 대향하도록 분기하여 있다. 냉각 팬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냉각 덕트를 통하여 보내지는 것에 의해, 수조를 주체로 하는 요동체의 요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없이, 2개의 모터에 냉각풍이 확실하게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모터의 발열이 억제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각부의 구성에서는, 본체(101)내에 설치되는 기기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세탁기(100)의 대형화와 중량화와 비용 상승이 야기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로터 방식의 모터(105)의 경우, 특히, 발열원인 스테이터(110)의 외주면에 로터(111)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로터(111)를 회전축(112)에 장착하기 위한 천장 커버 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탁기(100) 등에의 스테이터(110)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천장 커버 부분이 세탁기(100)의 반대측으로부터 스테이터(110)를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워서, 모터(105)의 축열(蓄熱)이 억제되기 어렵다. 따라서, 모터(105)가 보다 높은 토크로 구동될 경우, 모터(105)의 발열이 특히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의 방열성을 향상시켜서, 스테이터로부터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터는 회전 구동되는 로터와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스테이터를 갖고, 스테이터는 권선과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와 요철 형상부를 갖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는 수지 재료에 의해 권선을 몰딩하고, 요철 형상부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마련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스테이터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오목부는 권선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단부면상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테이터로부터의 방열 특성이 향상된 모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5)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1)[이하, 세탁기(1)라고 칭함]의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5)가 이용된 세탁기(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의 내부를 본 배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기 하우징(2)[이하, 하우징(2)이라고 칭함]내에 수조(3)와 회전 드럼(4)[이하, 드럼(4)이라고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수조(3)는 서스펜션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2)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4)은 수조(3)내에 마련되고, 다수의 관통 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4)은 모터(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문(6)이 하우징(2)의 정면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문(6)이 개방되는 것에 의해, 수조(3)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서,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이 드럼(4)내에 출납된다.
문(6)을 개방하여 드럼(4)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도시하지 않음)가 투입되고, 세탁기(1)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1)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3)내에 급수부(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3)내에 급수된 물(도시하지 않음)은 다수의 관통 구멍(4c)을 통하여 드럼(4)내에 진입하고, 드럼(4)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소요량의 물이 급수되면, 모터(5)에 의해, 드럼(4)이 소정의 회전 속도, 예컨대 4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드럼(4)이 회전 구동되면, 드럼(4)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드럼(4)의 내주면에 마련된 교반 돌기(4d)에 걸려서, 모터(5)의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가 되면 교반 돌기(4d)로부터 벗어나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들김 세척 작용이 부가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후,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부(8)에 의해 하우징(2)의 외부로 배수된다. 오염된 세탁수 가 배수된 후, 새롭게 수조(3)내에 물이 급수되고, 급수된 물을 이용한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4)이, 예컨대 100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고속 회전된다. 이에 의해,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 급수부(7)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폐에 의해 급수 경로(6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시에 급수한다. 또한, 세탁기(1)는 급수를 이용하여 세제 수용부(도시하지 않음)내의 세제를 수조(3)내에 적시에 투입하는 기구를 갖는다. 세탁 행정 종료시, 헹굼 행정 종료시 등의 배수가 필요할 때에, 배수부(8)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폐에 의해 배수 경로(6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건조부(9)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이다. 건조 동작시에는, 건조부(9)는 송풍기(14)에 의해 수조(3) 내부와 드럼(4) 내부의 공기를 흡인한다. 흡인된 공기에 대하여, 증발기(12)에 의한 제습(除濕)과 응축기(13)에 의한 가열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는, 건조된 고온 공기로 되어, 다시 수조(3) 내부와 드럼(4) 내부로 송풍된다. 이에 의해, 건조 행정이 실행된다. 또, 건조부(9)는 이들 행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탈수 행정후에 건조 행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건조부(9)는 수조(3) 내부와 드럼(4) 내부의 공기를 송풍기(14)에 의해 순환시키는 순환 경로(63)를 갖는다. 더욱이, 건조부(9)는 필터(17)와 증발기(12)와 응축기(13)를 갖는다. 필터(17)는 수조(3)와 드럼(4)으로부터 도입된 도입 공기중 의 실밥 등을 포집하여, 제진(除塵)한다. 증발기(12)는 필터(17)에 의해 제진된 공기를 제습한다. 응축기(13)는 증발기(12)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한 고온 공기를 생성한다. 송풍기(14)는 응축기(13)에 대하여 순환 경로(6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풍기(14)는 습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서,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건조부(9)는 증발기(12)와 응축기(13)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16)를 갖는다. 공기조화기(16)는 압축기(15)를 이용하여 증발기(12)와 응축기(13)에 냉매를 순환하여, 건조부(9)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실행한다. 또한, 건조부(9)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각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19)에 의한 모드 설정, 또는 제어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제어부(18)가 모터(5)와 급수부(7)와 배수부(8)와 건조부(9)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세탁기(1)는 세정 행정과 헹굼 행정과 탈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18)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탑재된 제어 기판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드럼(4)은, 드럼(4)의 배면(4b)에 동축으로 장착된 회전축(20)[이하, 축(20)이라고 칭함]을 갖는다. 축(20)의 선단의 외주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지 결합용의 회전축 세레이션(serration)부(20a)[이하, 세레이션부(20a)라고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축(20)은 베어링부(31)에 지지되고, 수조(3)의 배면(3a)에 장착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축(20)은, 드럼(4)과 수조(3)와 함께, 세탁기(1)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배면(3a)측을 향해서 회전축 방향을 수평방향으로부 터 각도 θ=20±10°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이 경사져서 설치되면, 드럼(4)이 수평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드럼(4)이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도 개구가 경사 상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세탁기(1)의 사용자는, 구부리거나 하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세탁물을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의 경험으로부터, 경사 각도(θ)가 20±10°인 것에 의해, 어린이(유아를 제외함)로부터 어른까지의 신장차가 있어도, 또한 휠체어 이용자라도, 세탁물의 출납의 작업이 가장 행하기 쉬운 세탁기(1)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드럼(4)내에 급수된 물이 배면(4b)측에 모이는 것에 의해, 적은 수량으로도 깊은 저수 상태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는 축(20)이 배면(3a)에 마련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5)가 드럼(4)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한다. 또한, 이러한 축(20)과 모터(5)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는다.
더욱이, 세탁기(1)는 건조 기능을 갖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드럼식 세탁기, 회전 드럼이 수직하게 마련된 드럼식 세탁기, 회전 드럼을 갖지 않는 등의 그 밖의 세탁기이어도 좋다. 또한, 모터(5)는 세탁기(1)의 세탁 방식, 또는 구동 방식의 차이 등에 따라서 세탁기(1)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장착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한, 로터(25)를 회전시키는 구동용의 축(20)에 대해서도, 축(20)의 지지 구조, 또는 드럼(4) 등 구동 대상에의 회전 전달 방식도 특별히 문제삼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5)의 드럼식 세탁기(1)에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5)의 세탁기(1)에의 장착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배면(3a)에 장착된 상태의 모터(5)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모터(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모터(5)를 구성하는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평면 단면에 있어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로터(25)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스테이터(21)의 단부면에 형성된 제 1 요철 형상부(40)[이하, 요철부(40)라고 칭함]의 평면도이다.
모터(5)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1)와 로터(25)를 갖는다. 스테이터(21)는, 스테이터(2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착 기구(30)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유지부(33)[이하, 유지부(33)라고 칭함]에 장착되어 있다. 유지부(33)는 배면(3a)에 볼트 고정(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의 스테이터 장착 시트체(seat body)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와 유지부(33)에 의해, 모터 유닛(55)이 구성되어 있다. 로터(25)는 드럼(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20)에 접속되고, 배면(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터(21)와 로터(25) 사이에 작용하는, 3상 교류에 의한 전자 작용에 의해, 로터(25)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드럼(4)이 구동되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과 탈수 행정과 건조 행정 등의 각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유지부(33)는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1)는, 스테이터 코어(23)[이하, 코어(23)라고 칭함]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22)[이하, 몰드체(22)라고 칭함] 와 장착부(32)와 권선(24)에 접속된 커넥터(50)와 회전 위치 검출부(29)를 갖는다. 코어(23)는 인너 치형부(23a)[이하, 치형부(23a)라고 칭함]와 아우터 치형부(23b)[이하, 치형부(23b)라고 칭함]와 요크(23c)를 갖고 있다. 치형부(23a, 23b)는, 스테이터(2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스테이터(21)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요크(23c)는 치형부(23a)와 치형부(23b) 사이를 연결하는 대략 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요크(23c)에 의해, 인접하는 치형부(23a, 23b)끼리도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권선(24)이 요크(23c)에 권회되어 있다. 스테이터(21)의 거의 전체가 수지 재료로 몰딩되는 것에 의해, 몰드체(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위치 검출부(29)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모터(5)의 회전 위치가 정밀도 양호하게 검출된다. 또, 도 6에 도시하는 스테이터(21)는 권선(24)이 요크(23c)의 직경방향으로 권회된 토로이달 권선 방식을 채용한 스테이터(21)이다.
또한, 로터(25)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너 로터(25a)[이하, 로터(25a)라고 칭함]와 아우터 로터(25b)[이하, 로터(25b)라고 칭함]를 갖고 있다. 로터(25a)는 스테이터(21)의 내주면, 즉 몰드체(22)의 내주면(22b)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터(25b)는 스테이터(21)의 외주면, 즉 몰드체(22)의 외주면(22c)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로터(25a)는, 치형부(23a)에 대향하는 인너 자석(27a)[이하, 자석(27a)이라고 칭함]과, 자석(27a)에 대응하는 인너 코어(28a)[이하, 코어(28a)라고 칭함]를 갖고 있다. 또한, 로터(25b)는, 치형부(23b)에 대향하는 아우터 자석(27b)[이하, 자석(27b)이라고 칭함]과, 자석(27b)에 대응하는 아우터 코어(28b)[이하, 코어(28b)라고 칭함]를 갖고 있다. 더욱이, 로터(25) 전체가 수지 재료로 몰딩되는 것에 의해, 로터 수지 몰드체(26)[이하, 몰드체(26)라고 칭함]가 형성되어 있다. 즉, 몰드체(26)는 자석(27a, 27b)과 코어(28a, 28b)를 덮도록 몰딩하고 있다.
몰드체(22)는 대략 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몰드체(22)의 단부면(22a)에는, 오목부(40a)와 스테이터 볼록부(40b)[이하, 볼록부(40b)라고 칭함]가 교대로 마련되는 것에 의해, 요철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a)와 볼록부(40b)는 각각 스테이터(2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단부면(22a)에 형성되어 있다. 즉, 요철부(40)가 단부면(22a)에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a)은 몰드체(22)의 축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면이며, 드럼(4)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이다.
또한, 몰드체(26)의 외연부(26c)가 로터(25b)를 지지한다. 몰드체(26)의 중앙부(26b)에 보스(36)가 마련되고, 보스(36)를 통해 몰드체(26)가 축(20)에 결합되어 있다. 몰드체(26)는 외연부(26c)와 중앙부(26b) 사이에 천장 커버부(26a)를 갖는다. 또한, 천장 커버부(26a)는 몰드체(26)의, 수조(3)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천장 커버부(26a)는 중앙부(26b)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불룩해지는 대략 원형 그릇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모터(5)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모터(5)에는, 1개의 스테이터(21)와, 스테이터(21)의 내주면(22b)과 외주면(22c)을 따라 배치된 로터(25a)와 로터(25b)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이, 분포권(分布卷) 타입의 모터와 동일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일없이, 스테이터(21)에 대하여 로터(25)가 회전된다. 더욱이, 스테이터(21)의 내주면(22b)과 베어링부(31) 사이 에 사공간(dead space)이 형성되고, 이 사공간에 로터(25a)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5)의 회전 토크가 증대된다. 이 결과, 큰 부하가 모터(5)에 부가된다고 하더라도, 안정한 상태에서 드럼(4)이 축(20)을 거쳐서 회전 구동된다. 또, 베어링부(31)는 유지부(33)의 중앙부에 마련된 공동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1)와 로터(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수지 재료로 몰딩되어, 몰드체(22, 26)가 형성되어 있다. 몰드체(22, 26)에 이용되는 수지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 필요로 하는 절연 특성과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여러가지 재료가 선택 가능하다. 또한, 비발연, 또는 비발화와 같은 안전면이 고려될 경우, 난연 재료, 바람직하게는 불연 재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등이 사용되면 좋다.
장착 기구(30)는 스테이터(21)를 유지부(33)에 장착하기 위해 복수 마련되어 있다. 장착 기구(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32)와 볼트(34) 등의 체결구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32)는, 몰드체(22)가 유지부(33)에 장착되는 측의 축방향의 단부면의 외주에 대하여, 외측에 연장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장착 푸트(foo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트(34) 등의 체결구류는 장착부(32)와 유지부(33)를 나사 체결한다. 또한, 유지부(33)와 베어링부(3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31)에는, 축(20)을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31a, 31b)과 오일 시일(31c)이 압입되어 있다. 또, 유지부(33)는, 한쪽 면이 배면(3a)에 장착되고, 배면(3a)에 장착된 면의 반대쪽 면에 스테이터(21)가 장착되어 있다.
각 장착부(32)에는 장착 구멍(32a)이 마련되고, 유지부(33)에는 나사 구멍(33a)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 구멍(32a)에, 유지부(33)의 반대측으로부터 볼트(34)가 통과되는 것에 의해, 나사 구멍(33a)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이에 의해, 장착부(32)와 유지부(33)가 체결된다. 이 결과, 스테이터(21)가 유지부(33)를 거쳐서 배면(3a)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26b)에, 금속제의 보스(36)가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보스(36)가 인서트되는 것에 의해, 중앙부(26b)에 장착 구멍(26d)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26d)의 내주에는, 로터 세레이션부(26e)[이하, 세레이션부(26e)라고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 구멍(26d)과 축(20)은, 유지부(33)의 반대측에서, 쌍방의 세레이션부(26e, 20a)가 서로 결합하도록, 회전방향의 회전 방지 상태가 확보되어서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세레이션부(26e, 20a) 대신에, 키(key)(도시하지 않음)와 키 홈(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는 회전 방지부가 사용되어도 좋다. 더욱이, 로터(25)는, 가압 와셔(37)가 사용되어서, 보스(36)에 대하여 볼트(38) 등의 체결구류에 의해 축(20)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25)가 축(20)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모터(5)가 하우징(2)에 장착되는 조립의 순서는, 여러가지 선택 가능하다. 또한, 회전 방지부와 스테이터(21)와 로터(25) 사이의 공극의 위치 결정부는 여러가지 구성, 수법이 응용 가능하다.
그런데, 모터(5)는, 스테이터(21)의 내주면(22b)과 외주면(22c)을 따라서 로터(25a, 25b)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5)의 회전 토크가 높아 지고 있다. 그러나, 스테이터(21)가 갖는 발열원이 되는 권선(24)에 의한 온도 상승이 억제되지 않으면, 모터(5)의 구동 토크가 제한된다. 권선(24)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의 모터(5)는 공기보다도 열전도성의 양호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스테이터(21)가 몰딩된 몰드체(22)를 갖고 있다. 더욱이, 스테이터(21)의 축방향에 위치하고, 드럼(4)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22a)에, 도 4와 도 5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요철부(4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40a)와 볼록부(4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오목부(40a)는 권선(2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단부면(22a)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몰드체(22)의 방열에 기여하는 표면적이 증대된다. 몰드체(22)의 표면적이 증대되는 것에 의해, 단부면(22a)을 거쳐서 권선(24)으로부터의 높은 방열 특성이 얻어진다. 요철부(4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40a)와 볼록부(40b)가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부면(22a)의 표면적이 용이하게 증대되어,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스테이터(21), 즉 모터(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더욱이, 오목부(40a)는, 권선(2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단부면(22a) 상, 즉 축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권선(24)에 대응하는 바로 상부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이에 의해, 권선(24)으로부터의 열이 방산되는 공기층과 권선(24)의 거리가 짧아지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권선(24)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몰드체(22)에 머무르는 일없이, 단부면(22a)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된다. 이 결과, 방열 특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권선(24)에 대향하는 바로 상부 위치에 오목부(40a)가 배치 된 요철부(40)가 단부면(22a)상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단부면(22a)으로부터의 방열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순한 구조를 갖고, 비용 상승이 억제되고, 또한 모터(5)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스테이터(21), 즉 모터(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40a)가 스테이터(21)의 중심(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제 1 요홈(41)에 의해 형성되면 좋다. 즉, 내주면(22b) 위치의 오목부(40a)의 폭(Lb)에 대하여, 외주면(22c) 위치의 오목부(40a)의 폭(Lc)이 크면 좋다. 이와 같이, Lb <Lc의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오목부(40a)의 표면적이 최대한으로 확장된다. 이에 의해, 권선(24)의 근방에 축적되기 쉬운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된다. 이 결과, 발열원이 되는 스테이터(21)의 발열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1) 또는 모터(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이 결과, 모터(5)는 높은 회전 토크의 상태에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모터(5)는, 코어(23)가 치형부(23a)와 치형부(23b)와 요크(23c)를 갖는다. 또한, 치형부(23a, 23b)에 권선(24)이 권회된 분포권 타입 또는 집중권(集中卷) 타입의 모터(5)라도, 모터(5)가 회전 구동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모터 회전음의 정음화가 도모된다. 더욱이, 다수의 요크(23c)에 권회된 각각의 권선(24)에 대향하도록, 오목부(40a)가 단부면(22a)에 배치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권선(24)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몰드체(22)의 내부에 머무는 일없이, 단부면(22a)으로부터 방열된다. 이와 같이, 방열 특성이 향상된 모터(5)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모터(5)는 로터(25)로서 아우터 로터(25b)를 갖는다. 이에 의해, 스테이 터(21)는, 유지부(33)에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22a)과 외주면(22c)으로부터 로터(25)에 의해 덮여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간극에 열이 머물기 쉽다. 그러나, 요철부(40)를 갖는 것에 의해, 단부면(22a)으로부터 열이 방열되기 쉬워서, 모터(5)의 축열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더욱이, 오목부(40a)와 볼록부(40b)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로터(25)의 회전에 수반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여 오목부(40a)와 볼록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철부(40)가, 로터(25)의 회전에 수반하는 공기의 흐름을 교란시켜서, 몰드체(22)에 접촉하는 공기의 갱신을 촉진한다. 이 결과, 요철부(40)의 냉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5)는 아우터 로터(25b)에 부가하여 인너 로터(25a)를 갖는다. 즉, 1개의 스테이터(21)에 대하여, 2개의 로터(25a, 25b)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1)와 로터(25a, 25b)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이 증대하여, 모터(5)의 대형화를 수반하는 일없이, 모터(5)의 회전 토크가 증대된다. 그러나, 스테이터(21)는, 단부면(22a)으로부터 내주면(22b)과 외주면(22c)에 걸쳐서, 로터(25)로 덮여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간극에 열이 머물기 쉽다. 그러나, 단부면(22a)에 요철부(40)를 갖는 것에 의해, 단부면(22a)으로부터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모터(5)의 발열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 결과, 큰 회전 토크를 갖는 모터(5)이며, 게다가, 발열이 억제된 모터(5)가 실현된다. 이 때문에, 모터(5)의 발열이 우려되는 사용 조건에서도, 높은 회전 토크에 의한 모터(5)의 운전이 보증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1)의 단부면(22a)에 대향하는 로터(25)의 내면, 즉 천장 커버부(26a)의 내면에, 로터(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로터 볼록부(42)[이하, 볼록부(42)라고 칭함]가 마련되어도 좋다. 볼록부(42)는 로터(25)의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로터(25)의 중심 축선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42)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로터(25)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간극에 개재하는 공기가 교반된다. 이에 의해, 요철부(40)가 형성된 단부면(22a)으로부터의 방열과 냉각이 촉진된다. 모터(5)의 발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천장 커버부(26a)에 개구 창(43)이 마련되어도 좋다. 개구 창(43)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로터(25)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간극에 개재하는 공기가 모터(5)의 외부의 공기와 교체되어 갱신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1)와 로터(25)의 간극에 개재하는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교반된다. 이 결과, 요철부(40)가 형성된 단부면(22a)으로부터의 방열과 냉각이 더욱 촉진된다. 이 때문에, 모터(5)의 발열을 더욱 상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스테이터(21)의 축방향에 위치하는 몰드체(22)의 단부면(22a)에 요철부(40)를 갖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에 부가하여,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체(22)의 외주면(22c)에 제 2 요철 형상부(44)[이하, 요철부(44)라고 칭함]가 형성되어도 좋다. 외주면(22c)에 형성되는 요철부(44)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수직 혹은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2 요홈(45)[이하, 요홈(45)이라고 칭함]이 원주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 요홈(45)은 권 선(24)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한 외주면(22c)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주면(22c)에 마련된 요철부(44)에 의해 몰드체(22)의 표면적이 더욱 증대되어, 몰드체(22)의 외주면(22c)을 거쳐서 높은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요홈(45)이 권선(24)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한 외주면(22c)상, 즉 권선(24)에 대향하는 바로 상부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이에 의해, 권선(24)으로부터 방열되는 열이 방산되는 공기층과 권선(24)의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권선(24)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몰드체(22)에 머무르는 일없이, 외주면(22c)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모터(5)의 방열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5)는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과 탈수 행정을 실행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 행정을 더 실행하는 세탁 건조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높은 회전 토크가 요구되는 세탁기, 또는 세탁 건조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모터(5)가 드럼식 세탁기(1)에 적용되었을 때의 회전 구동 모드와 그때의 세탁물의 거동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그런데, 세탁기(1)는 드럼(4)의 회전축 방향이 수평방향으로부터 각도 θ=20±10°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럼(4)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세탁기에 비하여, 세탁물(70)이 드럼(4)의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모이기 쉬운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성도 포함시키고, 또한 세탁물의 얽힘, 비틀림 의 발생이 크게 개선되어, 기계력의 작용을 높이면서 주름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즉, 세탁기(1)는, 로터(25a)와 로터(25b)를 갖고, 회전 토크가 강화된 모터(5)의 특성을 살려서, 드럼(4)에 대한 제어부(18)에 의한 구동 제어에 관해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갖고 있다.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 각도가 90°를 초과하고, 또한 180° 미만의 조건에서, 급정(急正) 간헐 회전과 급역(急逆) 간헐 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드럼(4)은 40rpm 내지 6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진 세탁물(70)이, 세탁물(70)의 자중이 능가하는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실현하는 회전 속도로 드럼(4)이 회전되고, 드럼(4)의 연속 회전을 정역 교대로 반복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는, 세탁물(70)이 드럼(4)내의 낮은 위치에 모이기 쉬운 경향을 이용하여, 세탁물(70)의 얽힘, 비틀림의 발생이 크게 저감되어, 기계력의 작용을 높이면서 주름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을 의도한 구동 모드이다. 더욱이, 이들 2개의 구동 모드가 필요에 따라서, 조합되어 실행되어,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더욱이는 건조 행정의 어떠한 단계에서도 용이하게 실행된다.
우선,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될 경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이 실행될 경우, 특히 모터(5)에 대한 구동 부하가 크고, 가혹한 조건이다. 그러나, 모터(5)는 충분한 토크를 갖고, 안정하게 드럼(4)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도 11a로부터 도 11f는, 드럼(4)내에 유사한 세탁물(70)이 수납되어 있을 경우의 드럼(4)의 구동 모드를 도시한다.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드럼(4)의 정지 상태로부터,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4)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으로 간헐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70)이 최대한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까지 들어올려진다. 더욱이, 이러한 간헐 회전 구동이 정역 교대로 행해지는 것에 의해, 세탁물(70)의 들어올림의 최종 지점, 또는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에는, 회전의 반전을 위한 감속, 내지는 제동 상태가 생긴다. 이에 의해,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물(70)에 주어져 있는 회전 관성에 의한 강제 박리력과 세탁물(70)의 자중에 의해, 드럼(4)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또한 순식간에 세탁물(70)이 벗겨 떨어진다. 더욱, 도 11c로부터 도 11f에 도시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즉, 도 11c로부터 도 11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4)의 정역 교대의 간헐 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70)의 들어올림 위치와 낙하 위치가 매회의 간헐 회전 구동에 있어서, 좌우 교대로 교체된다. 이러한 구동 모드로 드럼(4)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세탁물(70)의 풀림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세탁물(70)에 대하여 기계력이 빈틈없이 미치게 되어, 효과적으로 세탁된다. 또, 도 11g는 각각 90°씩의 정역 간헐 회전이 반복 행해질 경우의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11a로부터 도 11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만에서는, 세탁물(70)의 얽힘, 비틀림, 주름 등이 경감되는 한편으로, 세탁물(70)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교체되기 어려워서, 세척 얼룩이 생기기 쉽다. 더욱 이,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는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크다. 여기에서, 구동 부하가 낮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세탁물(70)의 상하방향의 위치의 교체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즉,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70)의 얽힘, 비틀림, 주름 등이 경감되는 동시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70)에 대한 기계력의 부여의 불균형이 경감된다. 이와 같이,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의 양쪽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세탁 행정중과 헹굼 행정중에 있어서, 세탁물(70)에 상이한 2가지의 거동이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70)의 얽힘, 비틀림, 주름이 경감되면서, 빈틈없는 손 세탁의 거동이 실현된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70)이 크게 연속적으로 움직여져서, 세척 얼룩이 경감되면서 세탁되어 균일한 세척 거동이 주어진다. 또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는, 급정 간헐 회전과 급역 간헐 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동작이 실행되기 때문에,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크다. 그러나,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비교적 작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경감된다.
이상과 같이,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양쪽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거동을 상승적으로 겸비한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더욱이,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만이 이용될 경우, 큰 회전 토크를 얻기 위해서, 소비 전력이 커진다. 그러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건조 행정에 있어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조 행정에 있어서의 구동 순서와 세탁물(70)의 거동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건조 행정에서 실행되는 경우,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 부하는 어느 정도가 경감된다. 그러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비하면 큰 구동 부하가 모터(5)에 부가된다.
건조 행정에서는, 드럼(4)의 간헐 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70)이 드럼(4)의 좌우 한쪽 상부까지 들어올려지는 동작이 정역 교대로 행해진다. 이에 의해, 세탁물(70)의 들어올림의 최종 지점 내지는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에는 회전의 반전을 위한 감속 내지는 제동 상태가 생긴다. 이에 의해,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물(70)에 주어진 회전 관성에 의한 강제 박리력과 세탁물(70)의 자중에 의해,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또한 순간적으로 세탁물(70)이 벗겨 떨어진다. 더욱이, 드럼(4)의 좌우 반대측에 세탁물(70)이 떨어지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에 의해, 간헐 회전 구동마다에 세탁물(70)의 들어올림 위치와 낙하 위치가 좌우 교대로 교체되어, 세탁물(70)의 풀림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세탁물(70)의 얽힘과 비틀림과 드럼(4) 내면에의 부착이 억제되어, 세탁물(70)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세탁물(70)의 주름의 발생이 대폭 완화된다.
또한, 예를 들어 세탁물(70)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이 종료시의 얽힘 또는 비틀림, 주름 상태에서, 드럼(4) 내면에 강하게 가압 부착되고, 탈수 행정이 종료 된 상태에서,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가 건조 행정에서 실행되는 것에 의해, 세탁물(70)의 들어올림 위치와 떨어짐 위치의 좌우 교대의 교체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동작에 의해, 세탁물(70)끼리의 좌우 교체를 수반하는 높은 풀림 작용과 기계력의 작용이 세탁물(70)에 작용한다. 또한, 세탁물(70)이 이와 같이 원활하게 풀어지면서,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70)의 상하의 교체가 실행되어, 세탁물(70) 각각에의 통풍성이 높아져서, 건조한 고온 공기가 세탁물(70)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미친다. 이 결과, 얼룩 없이 단시간에 세탁물(70)이 건조한다. 또한, 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세탁물(70)의 낙하시의 두들김 작용에 의한 주름 펴짐 작용이 수반되어, 각각의 세탁물(70)의 비틀림의 풀림에 의한 섬유의 펴짐과 섬유의 재생이 도모된다. 이 결과, 세탁, 헹굼, 탈수, 건조후의 세탁물(70)의 마무리 상태가 크게 개선된다.
더욱이, 건조 행정에 있어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되면, 세탁물(70)과 건조 공기의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건조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건조 행정에 있어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건조 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또한, 세탁물(70)의 얽힘 또는 비틀림, 드럼(4) 내면에의 부착이 방지되어, 세탁물(70)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이와 함께, 세탁물(70)에의 주름이 대폭 완화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장점이 상승하여 겸비된 건조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만으로는, 큰 회전 토크를 얻기 위해서, 소비 전력이 커진다. 그러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터(5)를 이용한 세탁기(1)에 있어서, 정역 간헐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되는 것에 의해, 세탁물(70)에 기계력이 미치게 된다. 이와 함께, 세탁물(70)에 대한 두들김 작용에 의한 두들김 세척 효과와 두들김 헹굼 효과에 부가하여, 세탁물(70)의 얽힘과 비틀림의 방지 효과, 또한 주름 펴짐 효과를 갖는, 즉 양쪽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특징과 장점이 상승적으로 겸비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건조 행정의 각 행정이 실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가 이용된 세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내부를 본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장착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평면 단면에 있어서의 구성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의 요철 형상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태양의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의 요철 형상부의 평면도,
도 11a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b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c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d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e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f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1g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거동 설명도,
도 12는 종래의 인너 로터 방식의 모터가 이용된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아우터 로터 방식의 모터가 이용된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모터 21 : 스테이터
22 :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 24 : 권선
25 : 로터 40 : 요철 형상부
40a : 오목부 40b : 스테이터 볼록부

Claims (11)

  1. 회전 구동되는 로터와,
    권선과,
    수지 재료에 의해 상기 권선을 몰딩하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체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마련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스테이터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된 요철 형상부를 갖고,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권선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상기 단부면상의 위치에 마련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요홈인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몰딩된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향하는 내면에 마련되고, 중심 축선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로터 볼록부를 갖는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몰딩된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향하는 내면에 마련되고, 중심 축선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로터 볼록부를 갖는
    모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코어부를 갖고,
    상기 코어부는, 인너 치형부와, 아우터 치형부와, 상기 인너 치형부와 상기 아우터 치형부 사이를 연결하는 원환상의 요크를 갖고,
    상기 권선은 상기 요크에 권회된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몰딩된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향하는 내면에 마련되고, 중심 축선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로터 볼록부를 갖는
    모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몰딩된 원환상의 형상을 갖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향하는 내면에 마련되고, 중심 축선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로터 볼록부를 갖는
    모터.
KR1020080022066A 2007-03-12 2008-03-10 모터 KR100962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1697 2007-03-12
JP2007061697A JP4339900B2 (ja) 2007-03-12 2007-03-12 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581A true KR20080083581A (ko) 2008-09-18
KR100962838B1 KR100962838B1 (ko) 2010-06-09

Family

ID=3984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066A KR100962838B1 (ko) 2007-03-12 2008-03-10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39900B2 (ko)
KR (1) KR100962838B1 (ko)
CN (2) CN201219218Y (ko)
TW (1) TW200841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23A3 (ko) * 2010-10-29 2012-07-05 주식회사 아모텍 방열 구조를 구비한 슬림형 모터 및 직결식 구동 방식을 구비한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9900B2 (ja) * 2007-03-12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
US9557069B2 (en) * 2011-09-29 2017-01-31 Daikin Industries, Ltd. Dehumidification system
JP5288064B1 (ja) * 2012-06-14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
CN104412490B (zh) * 2012-06-18 2017-02-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动机
JP6034085B2 (ja) * 2012-07-26 2016-1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107359717B (zh) * 2017-09-11 2023-09-1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洗衣机、电机、转子及转子框架
CN110492632A (zh) * 2019-08-14 2019-11-22 射阳远景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转子的入风口框架以及一种发电机转子
JP2022154194A (ja) * 2021-03-30 2022-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送風装置、圧縮装置、および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494B2 (ja) 1998-05-21 2000-05-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100663641B1 (ko) * 2006-04-06 2007-01-05 주식회사 아모텍 일체형 스테이터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레이디얼코어타입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및 그의제조방법
JP4339900B2 (ja) * 2007-03-12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23A3 (ko) * 2010-10-29 2012-07-05 주식회사 아모텍 방열 구조를 구비한 슬림형 모터 및 직결식 구동 방식을 구비한 세탁기
US9287758B2 (en) 2010-10-29 2016-03-15 Amotech Co., Ltd. Slim-type motor having a heat-dissipating structure, and washing machine adopting a direct dri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838B1 (ko) 2010-06-09
JP2008228423A (ja) 2008-09-25
CN201219218Y (zh) 2009-04-08
CN101267134A (zh) 2008-09-17
TW200841561A (en) 2008-10-16
CN101267134B (zh) 2013-05-08
TWI360279B (ko) 2012-03-11
JP4339900B2 (ja)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838B1 (ko) 모터
JP2008228423A5 (ko)
KR101050946B1 (ko)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JP2007167263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3311068A (ja) 乾燥洗濯機
KR10201181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JP4044601B1 (ja) ドラム式洗濯機
JP4420245B2 (ja) モータ
KR100994339B1 (ko) 모터
JP2008194264A (ja) モータ
JP2005261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23324B1 (ko) 세탁기의 유도 모터
KR10216151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04730A1 (ja) 洗濯機
KR101629293B1 (ko) 세탁기의 건조제어방법
JP2002360966A (ja) 洗濯乾燥機
JP507731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30043915A (ko) 의류처리방법
JP202301556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79466B1 (ko) 진동식 세탁기
JP2004350981A (ja) 洗濯乾燥機
KR100802538B1 (ko) 히팅장치를 갖는 세탁기
JP200027967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3047827A (ja) 洗濯機
JPH10263271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