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339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339B1
KR100994339B1 KR1020097002819A KR20097002819A KR100994339B1 KR 100994339 B1 KR100994339 B1 KR 100994339B1 KR 1020097002819 A KR1020097002819 A KR 1020097002819A KR 20097002819 A KR20097002819 A KR 20097002819A KR 100994339 B1 KR100994339 B1 KR 10099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fitting
rotor
motor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893A (ko
Inventor
히데하루 히와키
시게루 마츠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Abstract

모터(5)는 스테이터(5a)와 로터와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검출부(26)를 가지고, 스테이터(5a)에 설치된 제1의 위치 검출부(41)와 제2의 위치 검출부(42)가, 회전 위치 검출부(26)에 설치된 제1의 끼워맞춤부(43)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와 각각 끼워맞춰진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하게 위치 정밀도좋게 회전 위치 검출부가 부착된 모터(5)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세탁기 등의 고정부에 부착되는 스테이터와, 세탁기 등의 구동용의 축에 부착되는 로터를 가진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터는, 예를 들어,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드럼형 세탁기(100) 등에 이용되고 있다. 드럼형 세탁기(100)에는, 세탁기 본체(101)(이하, 본체(101)라고 부른다) 내에, 수조(102)와 회전 드럼(104)(이하, 드럼(104)이라고 부른다)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102)는, 서스펜션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101)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104)은 수조(102) 내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1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104)은 모터(10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어(106)가 본체(101)의 정면측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106)가 열림으로써, 수조(102)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10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이 드럼(104)내로부터 넣어지고 꺼내진다.
또한, 도어(106)를 열어 드럼(104)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가 투입되고,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102) 내에 급수부(10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102) 내에 급수된 물(도시하지 않음)은, 다수의 구멍(103)을 통해서, 드럼(104) 내에 진입하고, 드럼(104) 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모터(105)에 의해 드럼(104)이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면, 드럼(10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드럼(104)의 내주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108)에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따라, 세탁물에는 두드리는 세탁 작용이 가해져,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의 후, 더러워진 세탁수는 배수부(109)에 의해, 본체(101)의 외부로 배수되고, 새롭게 급수된 물을 이용해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104)이 고속 회전됨으로써,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특개평 10-263271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부른다), 일본국 특개 2006-43105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2라고 부른다), 일본국 특개 2005-16811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3이라고 부른다), 일본국 특개 2004-21616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4라고 부른다), 일본국 특개 2000-254385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5라고 부른다)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세탁기는, 예를 들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정역회전가능한 제1의 모터와, 탈수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한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제2의 모터를 가진다. 제1의 모터는,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제1의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정역 회전 구동한다. 제2의 모터는, 탈수 행정에 있어서, 제2의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한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킨다. 제1의 모터와 제2의 모터는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V벨트에 의해 회전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 한 회전 드럼의 구동 방식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수조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의 회전을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직접 전달시키는 구동 방식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수조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의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인너 로터식의 모터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혹은, 스테이터의 외주에 로터가 배치된 아웃터 로터식의 모터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13은, 인너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아웃터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00)를 나타내고 있다. 어떠한 드럼식 세탁기(100)에 있어서나, 모터(105)는 수조(102)의 배면인 외측 저면에 스테이터(110)가 부착되고, 로터(111)가 회전축(11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가 수조의 외측 저면에 부착되는 구성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즉, 스테이터와 로터가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되어 있다. 스테이터가 수지 몰드된 부분에 부착발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부착발이 수조의 외측 저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가 수조의 외측 저면에 부착된다.
한편, 탈수 행정 후에 회전 드럼이 90도 이하의 미소 회전 각도 내에서, 복수회 정역 회전된다. 특히, 회전 드럼(104)은 10도 이상 30도 미만의 미소 회전 각도로 복수회 정역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 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이 떨 어져, 회전 드럼 내의 상부에 굳어진 상태로 존재하는 세탁물이 풀어진다. 또한, 탈수 시의 언밸런스의 해소가 도모되어, 건조 후의 세탁물의 취출성이 개선된 구성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구성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5에 개시되어 있다.
모터가 세탁기에의 부착을 수반하는 조립에 있어서, 세탁기측에 부착되는 스테이터와 구동용 축에 부착되는 로터는, 통상, 소정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적정한 모터 특성을 발휘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이에 대해, 특허 문헌 5에 기재와 같이, 모터의 360도 미만의 호(弧)회전이, 정역 교대로 반복되는 구동 방식의 경우, 모터의 호회전이 정역 교대로 전환되는 회전 위치가 검출되고, 위치 검출 신호를 기본으로 모터의 정역 구동의 반전 제어가 행해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10-263271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국 특개 2006-43105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국 특개 2005-168116호 공보
특허 문헌 4:일본국 특개 2004-216166호 공보
특허 문헌 5:일본국 특개 2000-254385호 공보
본 발명은, 회전 위치 검출부가, 간단하게, 위치 정밀도 좋게 장비되고, 로터의 회전 위치 검출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와,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검출부를 가지고, 스테이터는,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스테이터 수지 몰
드부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가지고, 로터는,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로터 수지 몰드부를 가지고, 회전축에 끼워맞춰지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는, 받침면과 제1의 위치 결정부와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받침면은, 복수의 부착부 중 2개의 부착부에 설치되고, 제1의 위치 결정부는, 받침면에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2의 위치 결정부는,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회전축의 직경 방향으로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회전 위치 검출부는, 설치면과 제1의 끼워맞춤부와 제2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설치면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둘레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의 끼워맞춤부는, 설치면에 설치되고,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2의 끼워맞춤부는, 스테이터측의 단면에 설치되며,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설치면이 받침면 상에 설치됨으로써, 회전 위치 검출부는 2개의 부착부 사이에서 로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1의 위치 결정부에 제1의 끼워맞춤부가 끼워맞춰짐과 더불어, 제2의 위치 결정부에 제2의 끼워맞춤부가 끼워맞춰진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위치 검출부와 로터의 높은 위치 결정 정밀도가 확보되어,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는 모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모터가 이용된 세탁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를 배면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부착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에 이용되는 회전 위치 검출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회전 위치 검출부의 배면도이다.
도 9A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에 이용되는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스테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에 도시하는 회전 위치 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9A에 도시하는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C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에 이용되는 별도 양태의 회전 위치 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D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에 이용되는 별도 양태의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하는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B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C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D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E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F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2G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13은 인너 로터 타입의 모터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아웃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본체 5 : 모터
5a : 스테이터 5b : 로터
5b1 : 인너 로터 5b2 : 아웃터 로터
5c : 받침면 5d : 외주면
20 : 스테이터 코어 20a : 톱니
22 : 자석 23 : 로터 코어
24 : 베어링부 26 : 회전 위치 검출부
26a : 센서 26b : 센서 케이스
26c : 단면 26d : 부착 구멍
26e : 설치면 31 :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
32 : 부착부 33 : 스테이터 보유부
34 : 볼트 37 : 로터 수지 몰드부
41 : 제1의 위치 결정부 42 : 제2의 위치 결정부
43 : 제1의 끼워맞춤부 44 : 제2의 끼워맞춤부
45 : 나사 50 : 세탁기
54 : 권선(捲線)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1∼도 12G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탁기 본체(1)(이하, 본체(1)라고 부른다) 내에, 수조(2)와 회전 드럼(4)(이하, 드럼(4)이라고 부른다)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2)는, 서스펜션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1)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4)은, 수조(2) 내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은 모터(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어(6)가 본체(1)의 정면측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6)가 열림으로써, 수조(2)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하여,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이 드럼(4) 내로부터 넣어지고 꺼내진다.
또한, 도어(6)를 열어 드럼(4)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도시하지 않음)가 투입되고, 세탁기(50)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50)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2) 내에 급수부(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2) 내에 급수된 물(도시하지 않음)은, 다수의 구멍(3)을 통해서, 드럼(4) 내에 진입하고, 드럼(4) 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모터(5)에 의해서, 드럼(4)이 소정의 회전 속도, 예를 들어 5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면, 드럼(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드럼(4)의 내주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8)에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드림 세정의 작용이 가해져,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 후, 더러워진 세탁수는 배수부(11)에 의해 본체(1)의 외부로 배수된다. 더러워진 세탁수가 배수된 후, 새롭게 수조(2) 내에 물이 급수되고, 급수된 물을 이용한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4)이 예를 들어, 1000rpm 정도로 고속 회전된다. 이에 따라,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세탁기(50)는, 건조부(13)를 장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이다. 즉, 건조부(13)는, 송풍기(12)에 의해 수조(2) 내와 드럼(4) 내의 공기를 흡인한다. 흡인된 공기에 대해서, 제습부(16)에 의한 제습과 가열부(17)에 의한 가열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그 후, 제습되어 가열된 공기는, 건조한 고온 공기로 되어, 다시 수조(2) 내와 드럼(4) 내로 송풍된다. 이에 따라, 건조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탈수 행정 후에 건조 행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세탁기(50)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각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14)에 의한 모드 설정, 또는, 제어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제어 기판(9) 등의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5)와 급수부(7)와 배수부(11)와 건조부(13)가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50)는 세정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건조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어 기판(9)에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급수부(7)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폐에 의해, 급수 경로(61)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적시에 급수된다. 또한, 세탁기(50)는, 급수를 이용하여 세제 수용부(도시하지 않음)의 세제가, 수조(2) 내에 적시에 투입되는 기구를 가진다. 세탁 행정 종료 시, 헹굼 행정 종료 시 등의 배수가 필요할 때에, 배수부(11)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폐에 의해, 배수 경로(62)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배수한다. 건조부(13)는, 수조(2) 내와 드럼(4) 내의 공기를 송풍기(12)에 의해 순환시키는 순환 경로(63)를 가진다. 또한, 건조부(13)는, 필터(15)와 제습부(16)와 가열부(17)를 가진다. 필터(15)는, 수조(2)와 드럼(4)으로부터 도입된 도입 공기 중의 실보푸라기 등을 포집하여 제진(除塵)한다. 제습부(16)는, 필터(15)에 의해 제진된 공기를 제습한다. 가열부(17)는, 제습부(16)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한 고온 공기를 생성한다. 송풍기(12)는, 가열부(17)에 대해서 순환 경로(6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12)는 습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조부(13)는, 증발기와 응축기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19)를 가진다. 공기 조화기(19)는, 압축기(18)를 이용하여 제습부(16)와 가열부(17)에 냉매를 순환시키고, 건조부(13)에 의해 순환 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건조부(1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드럼(4)은 드럼(4)의 배면에 부착된 회전축(4a)(이하, 축(4a)이라고 부른다)을 가진다. 축(4a)의 선단의 외주에는, 회전축 세레이션(serration)부(4a1)(이하, 세레이션부(4a1)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축(4a)은, 베어링부(24)에 받쳐지고, 수조(2)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축(4a)은, 드럼(4)과 수조(2)와 함께, 세탁기(50)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저부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각도 θ=20±10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드럼(4)이 수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 비해, 드럼(4)이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도 개구가 기울어져 상향으로 된다. 이에 따라, 세탁기(50)의 사용자는, 굽히거나 하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 등의 경험으로부터, 경사 각도 θ는 20±10도이므로, 아이(유아를 제외한)로부터 어른까지의 신장차이가 있어도, 또한, 휠체어 이용자라도, 세탁물을 꺼내고 넣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쉬운 세탁기(50)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드럼(4) 내에 급수된 물이 드럼(4)의 배면측에 고임으로써, 적은 수량으로도 깊은 저수 상태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50)는, 축(4a)이 드럼(4)의 배면에 설치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5)가 드럼(4)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한다. 또한, 이러한 축(4a)과 모터(5)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세탁기(50)는, 건조 기능을 가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 기능을 가지지 않는 드럼식 세탁기(50), 드럼(4)이 수직인 드럼식의 세탁기(50), 드럼(4)을 가지지 않는 등의 그 외의 세탁기(50)여도 된다. 또한, 모터(5)는 세탁기(50)의 세탁 방식, 또는, 구동 방식의 차이 등에 따라, 세탁기(50)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부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한, 로터(5b)에 회전 구동되는 구동용의 축(4a)에 대해서도, 축(4a)의 지지 구조, 또는, 드럼(4) 등 구동 대상으로의 회전 전달 방식도 특별히 따지지 않는다.
또한, 모터(5)는, 스테이터(5a)와 로터(5b)를 가진다. 또한, 스테이터(5a)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착 기구(30)에 의해, 스테이터(5a)가, 스테이터 보유부(33)(이하, 보유부(33)라고 부른다)에 부착되어 있다. 보유부(33)는, 수조(2)의 배면에 볼트 고정(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의 스테이터 부착 시트체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와 보유부(33)에 의해, 모터 유닛(55)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4a)은, 로터(5b)에 체결되어 있다.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에 작용하는, 3상 교류에 의한 전자(電磁) 작용에 의해, 로터(5b)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드럼(4)이 구동되어,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건조 행정 등의 각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보유부(33)는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스테이터(5a)는, 스테이터 코어(20)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31)(이하, 몰드부(31)라고 부른다)와 부착부(32)와 권선(54)에 접속된 커넥터(27)를 가진다. 스테이터 코어(20)는, 스테이터(5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톱니(20a)를 가진다. 스테이터 코어(20)는, 톱니(20a)에 권선(54)이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권선(54)이 둘레 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환 상(toroidal) 권선 방식의 모터(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로터(5b)는, 톱니(20a)에 대향하는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에, 전자 작용이 작용하고, 모터(5)가 회전한다. 몰드부(31)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20)를 덮도록 몰드하고 있다.
부착 기구(30)는, 복수의 부착부(32)와 볼트(34) 등의 체결구 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32)는, 몰드부(31)가 보유부(33)에 장착되는 측의 축 방향의 단면의 외주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착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트(34) 등의 체결구 류는, 부착부(32)와 보유부(33)를 나사 체결한다. 또한, 보유부(33)와 베어링부(2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4)에는, 축(4a)을 받치는 베어링(24a, 24b)과 오일 시일(24c)이 압입되어 있다. 또한, 보유부(33)는, 한쪽의 면이 수조(2)에 부착되고, 수조(2)가 부착된 면의 배면측에 스테이터(5a)가 부착되어 있다.
각 부착부(32)에는 부착 구멍(32a)이 형성되고, 보유부(33)에는 나사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32a)에, 보유부(33)의 반대측으로부터 볼트(34)가 통과됨으로써, 나사 구멍(33a)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이에 따라, 부착부(32)와 보유부(33)가 체결된다. 이 결과, 스테이터(5a)가 수조(2)의 배면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로터(5b)는, 보스(38)와,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터(5b)는,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로터 수지 몰 드부(37)(이하, 몰드부(37)라고 부른다)를 가지고 있다. 몰드부(37)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자석(22)과 로터 코어(23)를 덮도록 몰드하고 있다. 몰드부(37)는, 수조(2)의 반대측에 설치된 천정부(37a)를 가진다. 천정부(37a)의 중앙부에 금속제의 보스(38)가 인서트(insert)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스(38)가 인서트됨으로써, 천정부(37a)의 중앙부에 부착 구멍(37b)이 형성된다. 부착 구멍(37b)의 내주에는, 로터 세레이션부(37b1)(이하, 세레이션부(37b1)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 구멍(37b)과 축(4a)은, 보유부(33)의 반대측에서, 양쪽의 세레이션부(37b1, 4a1)가 서로 걸어맞춰지도록, 회전 방향의 회전 멈춤 상태가 확보되어 끼워맞춰진다. 또한, 세레이션부(37b1, 4a1) 대신에, 키(도시하지 않음)와 키 홈(도시하지 않음)이 걸어맞춰지는 회전 멈춤부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로터(5b)는, 가압 워셔(39)가 이용되고, 보스(38)에 대해서, 볼트(40) 등의 체결구 류에 의해 축(4a)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터(5b)가 축(4a)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모터(5)가 본체(1)에 부착되는 조립의 절차는,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또한, 회전 멈춤부와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의 공극의 위치 결정부는, 다양한 구성,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50)는, 드럼(4)의 회전축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각도 θ=20±10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드럼(4)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세탁기에 비해, 세탁물이 드럼(4)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낮은 위치에 모이기 쉬운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성도 포함하여, 또한, 세탁물의 얽힘, 꼬임의 발생이 크게 개선되어, 기계력의 작용을 높이면서 주름도 생기기 어 렵게 하는 것이 의도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세탁기(50)는, 제어 기판(9)을 이용한 드럼(4)의 구동 제어에 관하여,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가지고 있다.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 각도가 90도를 넘고, 또한, 180도 미만의 조건에서, 급정(急正) 호(弧)회전과 급역(急逆)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 드럼(4)은 40rpm∼6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진 세탁물이, 세탁물의 자중이 더 무거운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실현하는 회전 속도로 드럼(4)이 회전되고, 드럼(4)의 연속 회전이 정역 교대로 반복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한, 이들 2개의 구동 모드가 필요에 따라, 조합되어 실행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드럼(4) 내에 의사적 세탁물(21)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의, 드럼(4)의 구동 모드를 나타낸다. 도 1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드럼(4)의 정지 상태로부터,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럼(4)이 90도를 넘어, 180도 미만으로 호회전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21)을 최대한 90도를 넘어 180도 미만까지 들어올려진다. 또한, 이 호회전 구동이 정역 교대로 행해짐으로써, 세탁물(21)의 들어올림 최종 지점, 내지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에는, 회전의 반전을 위한 감속, 내지는 제동 상태가 생긴다. 이에 따라,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탁물(21)에 주어진 회전 관성에 의한 강제 벗겨짐력과 세탁물(21)의 자중에 의해, 드럼(4)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고 또한 순식간에 세탁물(21)이 벗겨져 떨어진다. 또한, 도 12C 내지 도 12F에 도시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즉, 도 12C 내 지 도 12F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럼(4)의 정역 교대의 호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21)의 들어올림 위치, 낙하 위치가 매회의 호회전 구동에 있어서 좌우 교대로 바꿔넣어진다. 이러한 구동 모드로 드럼(4)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세탁물(21)의 풀림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탁물(21)에 대해서, 기계력이 미치게 되어, 효과적으로 세탁된다. 또한, 도 12G는, 각각 90도씩 정역 호회전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F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만에서는, 세탁물(21)의 얽힘, 비틀림, 주름짐 등이 경감되는 한편으로, 세탁물(21)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바꿔지기 어려워, 세탁 얼룩이 생기기 쉽다. 여기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세탁물(21)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교체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즉,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의 얽힘, 비틀림, 주름짐이 경감됨과 더불어,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에 대한 기계력 부여의 불균형이 경감된다. 이와 같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의 양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세탁 행정 중과 헹굼 행정 중에 있어서, 세탁물(21)에 다른 2가지의 거동이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의 얽힘, 비틀림, 주름짐이 경감되면서, 확실한 손비빔 세탁의 거동이 실현된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이 크게 연속적으로 움직여, 세탁 얼룩이 경감되면서 세탁되고, 균일한 세탁 거동이 주어진다. 또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는, 급정 호회전과 급역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동작이 실행되므로,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크다. 그러 나,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비교적 작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경감된다.
이상과 같이, 드럼(4)의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에 따라, 드럼(4)의 좌우 한쪽측 상부까지 세탁물(21)이 들어올려지는 동작이 정역 교대로 행해진다. 또한, 세탁물(21)의 들어올림의 최종 지점, 내지는,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이 감속, 내지는 제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의 관성에 의한 강제 벗겨짐력과 세탁물(21)의 자중에 의한 중력이 세탁물(21)에 작용하여,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고 또한 순식간에 세탁물(21)이 벗겨져, 드럼(4)의 좌우 반대측에 떨어진다. 이 동작이 반복 행해짐으로써, 호회전마다 세탁물(21)의 들어올림 위치, 낙하 위치를 좌우 교대로 바꿔넣어, 세탁물(21)의 풀림 작용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세탁물(21)의 얽힘과 비틀림과 드럼(4)의 내면에의 부착이 방지되어, 세탁기(50)로부터의 세탁물(21)의 넣고 꺼냄이 용이하게 되어, 세탁물(21)에 대한 주름짐이 대폭 완화된다. 또한, 세탁물(21)에 기계력이 미치게 되어, 두드림 작용에 의한 두들김 세탁 효과와 두들김 헹굼 효과와 주름 펴짐 효과가 세탁물(21)에 가해진다. 세탁물(21)의 낙하 회수도 대폭 증대한다. 이와같이, 세탁 효과를 비롯한 세탁기(50)의 각 행정에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21)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의 종료 시의 얽힘, 비틀림, 주름짐 상태에서 드럼(4) 내면에 강하게 눌려지고, 탈수 행정이 끝난 상태에서, 세탁물(21)이 단단하게 붙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가 건조 행정에서 실행됨으로써, 세탁물(21)의 들어올림 위치와 낙하 위치가 좌우 교대로 바꿔넣어진다. 또 한, 이 동작에 의해, 세탁물(21)끼리의 좌우 교체를 수반하는 높은 풀림 작용과 기계력의 작용이 세탁물(21)에 작용한다. 또한, 세탁물(21)이 이와 같이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21)의 상하의 교체가 행해져, 세탁물(21) 개개에의 통기성이 높아져, 건조한 고온 공기가 세탁물(21)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미친다. 이 결과, 얼룩없이 단시간에 세탁물(21)이 건조한다. 또한, 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세탁물(21)의 낙하 시의 두들김 작용에 의한 주음 펴짐 작용이 수반되고, 개개의 세탁물(21)의 꼬임의 풀림에 의한 섬유의 펴짐과 섬유의 재생이 도모된다. 이 결과, 세탁, 헹굼, 탈수, 건조 후의 세탁물(21)의 마무리 상태가 크게 개선된다.
또한, 로터(5b)는,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터(5a)의 안쪽에 설치된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가진 인너 로터(5b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터(5b)는, 스테이터(5a)의 바깥측에 설치된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가진 아웃터 로터(5b2)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로터(5b)는, 1개의 스테이터(5a)에 대해서, 스테이터(5a)의 내외주에 각각 로터 코어(23)를 가진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5a)에는, 인너 로터(5b1)와 아웃터 로터(5b2)의 사이에서 전자 작용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모터(5)의 진동, 소음의 저감에 지장을 주지않고, 모터(5)의 모터 토크가 증대된다. 또한, 인너 로터(5b1)는, 스테이터(5a) 내주측과 베어링부(24)의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가 활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5b)가 인너 로터(5b1)와 아웃터 로터(5b2)를 가짐으로써, 모터(5)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같이 과혹(過酷)하고, 또한, 구동 부 하가 높은 구동이 안정되게 실행된다.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급정 호회전과 급역 호회전의 급격한 제동을 수반하는 반전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토크 업된 모터(5)가 이용되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도, 반전 위치에 편차가 생기면, 토크 저하, 속도 변동, 조기의 수명 저하 등의 모터(5)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토크 저하와 속도 변동은, 모터(5)의 제어성 악화에 기인한다. 또한, 조기의 수명 저하는, 예를 들어, 진동, 또는, 베어링부(24)의 한쪽 줄어듦에 기인한다.
이러한, 모터(5)의 신뢰성 저하에 대응하기 위해서, 모터(5)는, 회전 위치 검출부(26)(이하, 검출부(26)라고 부른다)를 가진다. 즉, 검출부(26)가 설치됨으로써, 모터(5)의 회전 위치가 정밀도 좋게 검출된다. 모터(5)의 회전 위치는, 즉, 로터(5b)의 회전 위치이다. 검출부(26)는, 3개의 센서(26a)와 센서 케이스(26b)를 가진다. 3개의 센서(26a)는, 3상 교류의 U상, V상, W상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센서(26a)는, 센서 케이스(26b)의 스테이터(5a)측의 단면(26c)에 설치되고, 축(4a)의 방향, 즉, 로터(5b)측으로 검출면이 향해있다. 또한, 복수의 부착부(32) 중 인접하는 2개의 부착부(32)에는, 센서 케이스(26b)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면(5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받침면(5c)은, 받침면(5c)이 설치된 부착부(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검출부(26)는, 센서 케이스(26b)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부착 구멍(26d)이 형성되고, 받침면(5c)에는 나사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부착될 때, 센서 케이스(26b)가 받침면(5c) 상에 배치되 고, 장착 구멍(26d)에, 부착부(32)의 반대측으로부터 나사(45)가 통과됨으로써, 나사 구멍(32b)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센서 케이스(26b)와 부착부(32)가 체결된다. 이 결과,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세탁기(50) 등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구동 방식에 이용되는 모터(5)는, 저속 대토크가 요구되므로, 극수가 많은 모터(5)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예를 들어, 모터(5)의 극수가 2P인 경우, 기계각이 360도인 것은 전기각이 (360×P)도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검출부(26)의 기계적인 위치 검출 오차가, 전기적으로는 P배로 증폭된다. 전기적 오차가 큰 것은, 모터(5)를 제어하는 경우의 모터(5)의 제어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모터(5)는, 동일한 제어성을 확보하는 경우, 극수가 많을수록, 검출부(26)의 기계적인 위치 검출 오차가 작아지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어, 모터(5)는, 30극 모터(P=15)인 경우, 전기각 360도는 기계각 24도(=360/15)에 상당한다. 즉, 검출부(26)의 기계적인 위치 검출 오차가, 전기적으로는 15배로 증폭된다. 한편, 3개의 센서(26a)는, 통상, 스테이터 코어(20)에 감겨진 3상 권선(54)의 U상, V상, W상에 각각 대응한 전기적 주기로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3상 권선(54)의 U상, V상, W상의 각각에 전류를 통전하는 타이밍이 전환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센서(26a)는, 전기각 120도 간격이 되는 기계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 또는, 전기각 60도 간격이 되는 기계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센서(26a)의 배치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위치 검출 오차가 P배로 증폭된다. 여기서, 극수가 30인 모터(5)의 경우를 예로서 들면, 검출부(26)가 기계각으로 불과 1도 어긋난 것만으로 전기각은 15도 어긋나게 되어, 대폭적 어긋남량이 된다.
또한, 모터(5)의 극수가 2P이고, 쇄교 자속이 ψa이며, 모터 전류가 Ia이고, 상(相) 유기 전압과 모터 전류의 위상 차이, 즉, 진각이β이며, q축 인덕턴스가 Lq이며, d축 인덕턴스가 Ld일 때, 모터 토크(T)는,
T=P(Ψa·Ia·cosβ+0.5·(Lq―Ld)·Ia2·sin(2·β)) …(1)
로 표시된다. 또한, 전술한 전기각의 어긋남은, β의 어긋남으로서 표시된다. 토크 제어, 또는, 회전수 제어 등으로 모터(5)를 제어하는 경우, β가 15도라는 대폭적 편차를 가지면, 제어되어야 할 모터 토크의 값이 대폭 커진다. 이 때문에, 제어성이 매우 악화된다. 이는, 식(1)로부터 용이하게 상상된다. 이 때문에, 검출부(26)가,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소정의 제어성이 충분히 얻어지는 정도란, 예를 들어,β의 최대 편차량이 ±5도 정도이다. 또한, β의 최대 편차량이 ±5도 정도로 억제되는, 비교적 정밀도 높은 상태까지 회전 위치의 검출 오차가 감소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검출 오차를 저감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모터(5)는, 스테이터(5a)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2의 위치 결정부(42)를 가지고, 검출부(26)가 제1의 끼워맞춤부(43)와 제2의 끼워맞춤부(44)를 가진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5a)와 검출부(26)가 조립될 때, 도 8A 내지 도 9B의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끼워맞춰지고,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끼워맞춰진다. 제1의 위치 결정부(41) 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4a)의 축방향의 센서 케이스(26b)측을 향하는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는, 받침면(5c)에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터(5a)의 외주면(5d)에 설치되고, 축(4a)의 직경 방향에 대해서 센서 케이스(26b)측을 향하는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의 끼워맞춤부(43)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 구멍(26d)의 근방에 설치되고,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4a)의 축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는, 축(4a)의 축방향을 향하는 구멍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의 끼워맞춤부(44)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면(26c)에 설치되고,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축(4a)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는, 축(4a)의 직경 방향을 향하는 오목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의 끼워맞춤부(43)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4a)의 축방향을 향하는 구멍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제1의 끼워맞춤부(43)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는, 오목형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는, 각각, 2개소 설치되어 있는데, 반드시 2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1개소 이상 있으면 된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는,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4a)의 축방향을 향하는 구멍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4a)의 직경 방향을 향하는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끼워맞춤부(43)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4a)의 축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도록, 축(4a)의 축방향의 부착부(32)측을 향하는 볼록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의 끼워맞춤부(44)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축(4a)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끼워 맞추는, 축(4a)의 직경 방향을 향하는 볼록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는,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4a)의 축방향을 향하는 구멍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제1의 위치 결정부(41)는, 제1의 끼워맞춤부(43)와 축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는, 오목형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도 10B,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몰드부(31)에 일체 형성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5a)를 구성하는 톱니(20a)에 대해서, 직경 방향 위치와 둘레 방향 위치와 축방향 위치가 일의적인 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검출부(26)는,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짐에 따라, 외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톱니(20a)의 최외주의 원호면에 대한 동심도(同心度)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또한, 검출부(26)는,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직경 방향으로 끼워맞춰짐으로써, 내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톱니(20a)에 대한 둘레 방향의 대향 관계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이 결과, 소정수의 톱니(20a)에 대해서, 검출부(26)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8A와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끼워맞추는 제1의 끼워맞춤부(43)와 동일한 위치 관계에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끼워맞추는 제2의 끼워맞춤부(44)와 동일한 위치 관계에 있다. 이에 따라서,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제1의 끼워맞춤 동작과,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제2의 끼워맞춤 동작에 의한, 축방향의 끼워맞춤과 직경 방향의 끼워맞춤은, 동시에 끼워맞춰져도 된다. 그러나, 적어도,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우선됨으로써, 끼워맞춤 조건이 반감되어,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의 초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검출부(26)가 다른쪽의 끼워맞춤 동작의 끼워맞춤 위치에 근접되거나, 혹은, 위치 맞춤된다. 또한, 이후,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진행되면서, 다른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용이하게 개시된다. 또한, 양쪽의 끼워맞춤 동작에 의해,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후는, 검출부(26)의 위치 결정 위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나사(45)에 의해,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나사 고정된다. 이 결과, 검출부(26)와 스테이터(5a)는, 위치 어긋나지 않게 체결된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축방향의 제1의 끼워맞춤량(L1)과,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축방향의 제2의 끼워맞춤량(L2)을 비교하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L1<L2의 관계이다. 또한, 제1의 끼워맞춤량(L1)은,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끼워맞춰져 있는 축방향의 길이이며, 제2의 끼워맞춤량(L2)은,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끼워맞춰져 있는 축방향의 길이이다. 따라서, 검출부(26)와 스테이터(5a)의 체결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는, 먼저,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제2의 끼워맞춤 동작이 개시되고, 그 후,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제1의 끼워맞춤 동작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제2의 끼워맞춤 동작은, 끼워맞춤 조건이 반감되면서 끼워맞춤 동작이 개시되고, 그 후, 제1의 끼워맞춤 동작과 제2의 끼워맞춤 동작이 평행하게 동작된다.
이와 같이, 검출부(26)는, 톱니(20a)에 대해서, 일의적인 위치 관계가 유지되어 있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방향으로 끼워맞춤 관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검출부(26)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를 기준으로 한 외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톱니(20a) 최외주의 원호면에 대한 동심도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또한, 검출부(26)는, 제2의 위치 결정부(42)를 기준으로 한 내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복수의 둘레 방향 배열 톱니(20a)에 대한 둘레 방향의 대향 관계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이 결과, 소정수의 톱니(20a)에 대해서, 검출부(26)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끼워맞추는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대응하고,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위치 결정부(42)에 끼워맞추는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대응한다. 이들 끼워맞춤 동작은, 적어도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우선되고, 끼워맞춤 조건이 반감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개시된다. 또한, 초기의 끼워맞춤 동작에서, 검출부(26)가 다른쪽 끼워맞춤의 끼워맞춤 위치에 근접되거나, 혹은, 위치 맞춤된다. 그 후, 한쪽의 끼워맞춤 동작의 끼 워맞춤이 진행되면서, 다른쪽의 끼워맞춤 동작의 끼워맞춤이 용이하게 개시된다. 또한, 양쪽의 끼워맞춤 동작이 계속되어, 끼워맞춤 동작이 종료한다. 이에 따라, 톱니(20a)와 검출부(26)가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스테이터(5a)와 검출부(26)의 체결 작업이, 개인차 없이 간단하게 단시간에 실현된다.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2의 위치 결정부(42)는, 도 10B,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몰드부(31)에 일체 형성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5a)를 구성하는 톱니(20a)에 대해서, 직경 방향 위치와 둘레 방향 위치와 축방향 위치가 일의적인 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검출부(26)는,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짐으로써, 외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톱니(20a)의 최외주의 원호면에 대한 동심도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또한, 검출부(26)는,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직경 방향으로 끼워맞춰짐으로써, 내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과, 톱니(20a)에 대한 둘레 방향의 대향 관계가 실질적으로 규제된 위치 규제를 받는다. 이 결과, 소정수의 톱니(20a)에 대해서, 검출부(26)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5a)에 대해서 검출부(26)가 위치 결정된 후는, 위치 결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테이터(5a)의 방향이 유지된 채로,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또한, 스테이터(5a)의 방향은, 예를 들어, 받침면(5c)이 상향인 자세의 상태이다. 따라서, 검출부(26)가 높은 위치 결정 정밀도를 확보하여, 검출부(26)가,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만에 스테이터(5a)에 부착된다.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2의 위치 결정부(42)의 축방향의 끼워맞춤과 직경 방향의 끼워맞춤이 동시에 행해지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8A부터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터(5a)와 검출부(26)의 관계와 같이, 직경 방향을 향하는 제2의 위치 결정부(42)이면서, 검출부(26)의 제2의 끼워맞춤부(44)와의 끼워맞춤이, 축방향으로도 서로 끼워맞출 수 있는 관계로 하면 좋다. 이 축방향으로도 서로 끼워맞출 수 있는 관계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끼워맞춤 상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축방향의 제1의 끼워맞춤량(L1)이,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축 방향의 제2의 끼워맞춤량(L2)에 비해 작다. 즉, 검출부(26)의 설치면(26e)을 받는 받침면(5c)으로부터의 제1의 위치 결정부(41)의 돌출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위치 결정부(41)의 돌출량이, 제1의 끼워맞춤량(L1)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검출부(26)의 설치면(26e)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 위를 미끄러져,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제2의 위치 결정부(42)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맞춰진다. 이 때, 검출부(26)의 받침면(5c)에 대한 기울기가 작게 억제되어, 스테이터(5a)와 검출부(26)의 조립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 결과, 제2의 위치 결정부(42)에 대해서,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맞취지는 끼워맞춤 작업이 완료한 시점에 있어서,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대해서, 직경 방향과 둘레 방향의 양쪽에서 위 치 맞춰진다. 이 동작을 이용하여, 검출부(26)는 받침면(5c)에 대한 기울기가 작게 억제되고,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대해서 비틀림없이 끼워맞춰져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의 끼워맞춤부(43)와 제1의 위치 결정부(41)의 끼워맞춤을 위한 여유(간극)가 작게 억제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5a)와 검출부(26)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선적으로 끼워맞춰지는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끼워맞춤은, 단독으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의 여유(간극)가 없어도 용이하게 끼워맞춰지고,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톱니(20a)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센서(26a)의 둘레 방향의 위치 규제가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로터(5b)의 회전 위치 검출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의 위치 결정부(42)와 제2의 끼워맞춤부(44)의 직경 방향의 끼워맞춤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의 축방향의 끼워맞춤에 우선하여 행해지는 위치 결정 절차에 있어서, 검출부(26)가 톱니(20a) 배열 평면, 받침면(5c)에 대해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여 행해진다. 또한, 받침면(5c) 상에서 검출부(26)가 경사 자세로 미끄러져, 제2의 위치 결정부(42)에 대해서 제2의 끼워맞춤부(44)가 끼워맞춰진 후,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대해서, 제1의 끼워맞춤부(43)가 미끄러져 들어가도 된다. 이와 같이, 검출부(26)가 받침면(5c)에 대해서, 경사 자세를 유지하면서,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조립되어도,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는 용이하게 끼워맞춰진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부(32)는, 스테이터(5a)의, 로터(5b) 보다도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받침면(5c)이 부착부(3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면(5c)에 검출부(26)가 부착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터(5a)측의 받침면(5c) 상에 로터(5b)가 씌워지는 위치 관계에 있어서, 받침면(5c)과 로터(5b)의 사이에 간극(46)이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26)는, 간극(46)을 통해, 스테이터(5a)의 측방으로부터, 받침면(5c)과 로터(5b)의 사이에 삽입되고, 위치 결정되어 부착된다. 또한, 검출부(26)의 메인티넌스 등의 작업이 요구된 경우, 검출부(26)의 부착과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용이하게 검출부(26)가 떼어진다. 따라서, 검출부(26)의 탈착에 있어서, 로터(5b)가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검출부(26)의 탈착 작업이 간단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8A와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위치에 부착되는 설치면(26e)과, 도 9A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터(5a)의 축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받침면(5c)이, 도 6과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맞닿아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검출부(26)의 축방향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또한, 도 6, 도 9A, 도 9B,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받침면(5c)은, 스테이터(5a)의, 스테이터(5a)가 본체(1)에 부착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검출부(26)는,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제1의 끼워맞춤부(43)에 의해 축 방향으로 끼워맞춰질 때, 설치면(26e)이, 받침면(5c)에 맞닿아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설치면(26e)은, 제1의 위치 결정부(4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각인 면으로서 형성되고, 받침면(5c)은,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검출부(26)는, 복수의 둘레 방향 배열 톱니(20a)와 로터(5b)의 축방향 위치의 규제와, 톱니(20a) 배열 평면에 대한 기울기가 제1의 위치 결정부(41)와 협동하고, 또는, 단독으로 규제되는 위치 결정을 받는다. 이에 따라, 검출부(26)가 스테이터(5a)에 부착될 때의 위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받침면(5c)이 스테이터(5a)의 본체(1)에의 부착 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면(5c)은 부착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을 향한 검출부(26)의 부착 상태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검출부(26)의 메인티넌스 시의 떼어냄, 또는, 교환 작업에 대해서 유리하다. 특히, 세탁기(50)가, 수평, 내지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4)을 장비하는 경우, 본체(1)에 대해서, 모터(5)의 부착 대상이 되는 수조(2)의 배면이 본체(1)의 배면의 바로 안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본체(1)의 배면판(도시하지 않음)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떼어진 상태에서, 간단하게 검출부(26)가 탈착된다.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의 회전 위치 검출부의 부착에 이용되고, 회전 위치 검출부가 모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높은 위치 검출 정밀도가 얻어진다.

Claims (3)

  1.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가지는 스테이터와,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로터 수지 몰드부를 가지고, 회전축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복수의 부착부 중 2개의 부착부에 설치된 받침면과,
    상기 받침면에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으로 향하는 제1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으로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직경 방향으로 향하는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위치 검출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의 끼워 맞춤부와,
    상기 스테이터측의 상기 회전 위치 검출부의 단면(端面)에 설치되고,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설치면이 상기 받침면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위치 검출부는, 상기 2개의 부착부의 사이에서, 상기 로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 위치 결정부에 상기 제1의 끼워맞춤부가 끼워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제2의 위치 결정부에 상기 제2의 끼워맞춤부가 끼워맞춰지는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위치 검출부는, 상기 받침면과 상기 로터의 하단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측방으로부터 삽입될 때, 상기 제1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받침면 상을 경사 자세로 미끄러지면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의 끼워맞춤부가 상기 제2의 위치 결정부에 끼워맞춰진 후, 상기 제1의 끼워맞춤부가 상기 제1의 위치 결정부에 끼워맞춰지는 모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의 끼워맞춤부의 축방향의 끼워맞춤량은, 상기 제2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2의 끼워맞춤부의 축방향의 끼워맞춤량보다 작은 모터.
KR1020097002819A 2007-02-14 2007-11-28 모터 KR100994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3123A JP4044603B1 (ja) 2007-02-14 2007-02-14 モータ
JPJP-P-2007-033123 2007-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893A KR20090033893A (ko) 2009-04-06
KR100994339B1 true KR100994339B1 (ko) 2010-11-12

Family

ID=3912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819A KR100994339B1 (ko) 2007-02-14 2007-11-28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44603B1 (ko)
KR (1) KR100994339B1 (ko)
CN (2) CN101512880B (ko)
TW (1) TW200838095A (ko)
WO (1) WO2008099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4603B1 (ja) * 2007-02-14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モータ
CN101860161A (zh) * 2010-05-28 2010-10-13 中国矿业大学 一种三相6/8结构外转子开关磁阻电机转子位置检测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079A (ja) 2001-09-14 2003-03-20 Nidec Shibaura Corp 位置センサの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5176597A (ja) 2003-12-10 2005-06-30 Lg Electron Inc ドラム洗濯機のアウターローター型モ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959A (ja) * 1988-09-22 1990-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4496010B2 (ja) * 2004-05-20 2010-07-07 株式会社東芝 モータ
JP4044603B1 (ja) * 2007-02-14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079A (ja) 2001-09-14 2003-03-20 Nidec Shibaura Corp 位置センサの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5176597A (ja) 2003-12-10 2005-06-30 Lg Electron Inc ドラム洗濯機のアウターローター型モ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8095A (en) 2008-09-16
WO2008099552A1 (ja) 2008-08-21
KR20090033893A (ko) 2009-04-06
CN201188578Y (zh) 2009-01-28
JP4044603B1 (ja) 2008-02-06
CN101512880A (zh) 2009-08-19
JP2008194271A (ja) 2008-08-28
CN101512880B (zh) 2011-07-20
TWI362809B (ko) 201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46B1 (ko)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RU253716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EP2468939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962838B1 (ko) 모터
US2013019896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75717A (ko) 드럼 세탁기
JP200809324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94339B1 (ko) 모터
JP4872777B2 (ja) 洗濯機
JP4044601B1 (ja) ドラム式洗濯機
JP436639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106233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2002171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326842B2 (ja) 洗濯機
JP485191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30733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420245B2 (ja) モータ
JP49357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297123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189537A (ja) 洗濯機
JP2011104141A (ja) 洗濯機
JP407314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228424A5 (ko)
WO2024004730A1 (ja) 洗濯機
JP2005342274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