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946B1 -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946B1
KR101050946B1 KR1020097002818A KR20097002818A KR101050946B1 KR 101050946 B1 KR101050946 B1 KR 101050946B1 KR 1020097002818 A KR1020097002818 A KR 1020097002818A KR 20097002818 A KR20097002818 A KR 20097002818A KR 101050946 B1 KR101050946 B1 KR 10105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washing machine
attached
s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844A (ko
Inventor
히데하루 히와키
히데히코 우에다
마사아키 도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Abstract

세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스테이터 유지부(33)와, 스테이터(5a)와, 자석을 갖고, 세탁기 본체에 받쳐지는 회전축(4a)에 부착되는 로터(5b)를 갖는 모터 유닛(55)이, 세탁기 본체에 대한 부착을 수반하여 조립될 때에, 스테이터 유지부(33)에 부착되기 전의 스테이터(5a)와,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회전축(4a)에 부착되기 전의 로터(5b)가 조합되는 제1 단계와, 로터(5b)가 회전축(4a)에 부착되는 제2 단계와, 스테이터(5a)가 스테이터 유지부(33)에 부착되는 제3 단계를 갖는다. 이에 의해,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55)의 조립 시에, 숙련을 요하지 않고 높은 작업성으로 용이하게 행해지는 모터 유닛(55)을 포함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MOTOR UNIT, METHOD OF ASSEMBLING MOTOR UNIT,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ASSEMB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부착되는 스테이터와, 세탁기에 받쳐진 구동용의 축에 부착되며, 자석을 갖는 로터를 가진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그 모터 유닛이 탑재된 세탁기의 조립 방법과, 그들에 이용되는 세탁기의 모터 유닛과, 그 모터 유닛이 탑재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의 모터가 부착된 종래의 세탁기는, 예를 들면,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드럼식 세탁기(100)(이하, 세탁기(100)라고 부른다)의 구성을 갖는다. 이들 세탁기(100)에는, 세탁기 본체(101)(이하, 본체(101)라고 부른다) 내에, 수조(102)와 회전 드럼(104)(이하, 드럼(104)이라고 부른다)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102)는, 서스펜션 구조(도시 생략)에 의해, 본체(101)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104)은, 수조(102) 내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1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104)은, 모터(10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문(106)이 본체(101)의 정면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문(106)이 열림으로써, 수조(102)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10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도시 생략)이 드럼(104) 내로부 터 넣고 꺼내어진다.
또, 문(106)을 열어 드럼(104)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가 투입되어,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100)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102) 내에 급수부(10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102) 내에 급수된 물(도시 생략)은, 다수의 구멍(103)을 통해 드럼(104) 내에 진입하고, 드럼(104) 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모터(105)에 의해 드럼(104)이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면, 드럼(10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드럼(104)의 내주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108)에 걸려져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드려 빠는 작용이 가해져,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 후, 더러워진 세탁수는 배수부(109)에 의해 본체(101)의 외부로 배수되고, 새롭게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104)이 고속 회전됨으로써,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특개평 10-263271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부른다), 특개 2006-43105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2라고 부른다), 특개 2005-16811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3이라고 부른다), 특개 2004-21616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4라고 부른다)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세탁기는, 예를 들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정역(正逆) 회전이 가능한 제1 모터와, 탈수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한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제2 모터를 갖는다. 제1 모터는,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제1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정역 회전 구동한다. 제2 모터는, 탈수 행정에 있어서, 제2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한 방향으로 연속 회전한다. 제1 모터와 제2 모터는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V벨트에 의해 회전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 드럼의 구동 방식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 수조의 배면에 부착한 모터의 회전을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직접 전달하는 구동 방식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수조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의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인너 로터식의 모터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혹은, 스테이터의 외주에 로터가 배치된 아우터 로터식의 모터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방식에는 여러 가지의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9는, 인너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아우터 로터 방식의 모터(105)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드럼식 세탁기(100)에 있어서나, 모터(105)는 수조(102)의 배면인 바깥 바닥면에, 스테이터(110)가 부착되고, 로터(111)가 회전축(112)에 부착되어 있다.
또, 스테이터(110)를 수조(102)의 바깥 바닥면에 부착하는 구성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110)와 로터(111)가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되어 있다. 부착다리(113)가, 스테이터(110)가 수지 몰드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 또는 볼트(114)를 이용하여, 부착다리(113)가 수조(102)의 바깥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105)가 수조(102)의 바깥 바닥면에 부착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105)가 세탁기(100)의 구동에 이용될 때에는, 수조(102)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기(100)의 어딘가의 고정부에 스테이터(110)가 부착된다. 또한, 로터(111)는, 드럼(104) 등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의 축에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다.
어쨌든,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110)가 수조(102)의 배면 등의 세탁기(100)의 고정부에 부착된다. 또한, 세탁기(100)의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112)에, 로터(111)가 직접 부착된다. 이러한, 스테이터(110)와 로터(111)의 부착을 수반하여, 모터(105)는, 스테이터(110)와 로터(111)가 조립된다.
스테이터(110)와 로터(111)의 각각의 부착를 수반하는, 종래의 세탁기(100)에 대한 모터(105)의 조립에는, 스테이터(110)와 로터(111) 사이의 균일한 공극의 확보와, 로터(111)와 회전축(112)의 세레이션 또는 키 등에 의한 회전 멈춤 걸어 맞춤부의 부착이 필요하다.
종래, 모터(105)가 세탁기(100)에 조립될 때에는, 우선, 스테이터(110)가 세탁기(100)에 부착된다. 그 후, 착자된 로터(111)와 이미 세탁기(100)에 부착되어 있는 스테이터(110)의 사이에 공극이 확보되면서, 로터(111)와 회전축(112)의 회전 멈춤부의 위치 맞춤이 행해져, 로터(111)가 회전축(112)에 끼워 맞춰져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100)에 모터(105)가 부착되는 작업은, 스테이터(110)에 대해, 착자된 로터(111)가, 스테이터(110)와 로터(111) 사이의 공극을 확보하여 끼워 맞춰진다. 또한, 착자된 로터(111)와 회전축(112)의 회전 멈춤부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러한 조립 작업에 있어서, 스테이터(110)와 로터(111)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스테이터(110)와 로터(111)가 자기 흡착하고자 하는 힘보다 크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조립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세탁기(100)와 같이, 스테이터(110)와 로터(111)의 끼워 맞춤 작업과, 로터(111)와 회전축(112)의 회점 멈춤부의 위치 맞춤을 수반하는, 로터(111)와 회전축(112)의 끼워 맞춤 작업이 동시에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기(100)의 조립은, 조립 작업성이 떨어짐과 더불어, 조립 작업에 숙련이 요구된다. 이 결과, 세탁기(100)의 조립 비용이 비싸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10-26327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6-4310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5-168116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 2004-216166호 공보
본 발명은,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의 조립이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용이하게 행해지는 세탁기와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그들에 이용되는 모터 유닛과, 그 모터 유닛이 탑재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조립 방법은, 세탁기 본체와, 수조와, 회전 드럼과, 회전축과, 스테이터 유지부와 스테이터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을 가진 세탁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수조는 세탁기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되고, 회전 드럼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수조 내에 배치되며, 회전축은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되며, 스테이터 유지부는,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부착부를 가지며, 스테이터 코어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에 권선이 감겨지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는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고, 부착부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되며, 로터는 금속제의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를 갖고, 보스는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자석은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로터 코어는 자석에 대응하며, 또한, 로터는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로터 세레이션부가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회전축에 부착된다. 또한, 세탁기의 조립 방법은,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스테이터와,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 후에, 로터 세레이션부가 스테이터 유지부에 베어링을 통해 받쳐진 회전축의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 후에, 부착부가 볼트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는 제3 단계를 갖는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의 조립이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용이하게 행해지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은, 스테이터 유지부와 스테이터와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스테이터 유지부는,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부착부를 가지며, 스테이터 코어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에 권선이 감겨지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는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고, 부착부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되고, 로터는 금속제의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를 갖고, 보스는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자석은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로터 코어는 자석에 대응하며, 또한, 로터는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로터 세레이션부가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회전축에 부착된다. 또한,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은,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스테이터와,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 후에, 로터 세레이션부가 스테이터 유지부에 베어링을 통해 받쳐진 회전축의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 후에, 부착부가 볼트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는 제3 단계를 갖는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의 조립이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용이하게 행해지는 모터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유닛은, 스테이터 유지부와 스테이터와 로터를 갖고, 스테이터 유지부는,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부착부를 가지며, 스테이터 코어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에 권선이 감겨지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는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고, 부착부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 부분에 설치되고, 로터는 금속제의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를 갖고, 보스는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자석은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로터 코어는 자석에 대응하며, 또한, 로터는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로터 세레이션부가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회전축에 부착된다. 또한,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스테이터와,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된 후에, 스테이터가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는 구성을 갖고,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와,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가지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의 스테이터 유지부측의 단면과,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角部)와,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의 스테이터측의 단면과,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의 쌍방 또는 한쪽이 테이퍼형 면 혹은 원호형 면으로 형성되고, 오목형의 위치 결정부의 최대 개구 직경과 볼록형의 위치 결정부의 최소 선단 직경의 차가, 스테이터의 직경과 로터의 직경의 차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의 조립이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용이하게 행해지는 모터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와, 수조와, 회전 드럼과, 회전축과, 스테이터 유지부와 스테이터와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을 갖고, 수조는 세탁기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되고, 회전 드럼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수조 내에 배치되며, 회전축은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되고, 스테이터 유지부는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부착부를 가지며, 스테이터 코어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에 권선이 감겨지고,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는,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고, 부착부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 부분에 설치되고, 로터는 금속제의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를 갖고, 보스는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자석은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로터 코어는 자석에 대응하며, 또한, 로터는 보스와 자석과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로터 세레이션부가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회전축에 부착된다. 또한, 모터 유닛은,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스테이터와,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된 후에, 스테이터가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된 구성을 갖고, 모터 유닛은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와,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가지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의 스테이터 유지부측의 단면과,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와,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의 스테이터측의 단면과,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의 쌍방 또는 한쪽이 테이퍼형 면 혹은 원호형 면으로 형성되고, 오목형의 위치 결정부의 최대 개구 직경과 볼록형의 위치 결정부의 최소 선단 직경의 차가, 스테이터의 직경과 로터의 직경의 차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탁기에 부착되는 모터 유닛의 조립이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용이하게 행해지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를 배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터 유닛의 부착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에 이용되는 다른 양태의 모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A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에 이용되는 다른 양태의 모터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을 구성하는 로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B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C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D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E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F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G는 도 4A에 도시한 모터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B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C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D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E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F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8G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세탁물의 거동 설명도이다.
도 9는 인너 로터 타입의 모터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이용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터의 배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본체 2 : 수조
3 : 구멍 4 : 회전 드럼
4a : 회전축 4a1 : 회전축 세레이션부
5 : 모터 5a : 스테이터
5b : 로터 5b1 : 인너 로터
5b2 : 아우터 로터 6 : 문
7 : 급수부 9 : 제어 기판
11 : 배수부 13 : 건조부
20 : 스테이터 코어 20a : 티스
21 : 세탁물 22 : 자석
23 : 로터 코어 24 : 베어링부
30 : 부착 기구 31 :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
32 : 부착부 33 : 스테이터 유지부
34, 40 : 볼트 37 : 로터 수지 몰드부
37b1 : 로터 세레이션부 38 : 보스
41a, 41b : 베어링 43, 43d :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
43a, 44a : 단면 43b, 44b : 둘레면
43c, 44c : 각부 43e, 44e : 단부
44, 44d :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 50 : 세탁기
54 : 권선 55 : 모터 유닛
63 : 순환 경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도 8G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드럼식의 세탁기(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이하, 본체(1)라고 부른다) 내에, 수조(2)와 회전 드럼(4)(이하, 드럼(4)이라고 부른다)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2)는 서스펜션 구조(도시 생략)에 의해, 본체(1)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4)은 수조(2) 내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은, 모터(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문(6)이 본체(1)의 정면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문(6)이 열림으로써, 수조(2)의 정면 개구부와 드럼(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도시 생략)이 드럼(4) 내로부터 넣고 꺼내어진다.
또, 문(6)을 열어 드럼(4)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도시 생략)가 투입되어, 세탁기(50)의 운전이 개시된다. 세탁기(50)의 운전이 개시되면, 수조(2) 내에 급수부(7)로부터 급수된다. 수조(2) 내에 급수된 물(도시 생략)은, 다수의 구멍(3)을 통해 드럼(4) 내에 진입하고, 드럼(4) 내에도 소요량의 물이 급수된다. 모터(5)에 의해, 드럼(4)이 소정의 회전 속도, 예를 들면 4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면, 드럼(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드럼(4)의 내주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8)에 걸려져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드려 빠는 작용이 가해져,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이러한 세탁 행정 후, 더러워진 세탁수는 배수부(11)에 의해 본체(1)의 외부로 배수된다. 더러워진 세탁수가 배수된 후, 새롭게 수조(2) 내에 물이 급수되고, 급수된 물을 이용한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이 종료한 후, 드럼(4)이, 예를 들면, 1000rpm 정도로 고속 회전된다. 이에 의해,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은, 소정의 제어 순서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50)는, 건조부(13)를 장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이다. 즉, 건조부(13)는, 송풍기(12)에 의해 수조(2) 내와 드럼(4) 내의 공기를 흡인한다. 흡인된 공기에 대해, 제습부(16)에 의한 제습과 가열부(17)에 의한 가열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그 후,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는, 건조한 고온 공기가 되어, 다시 수조(2) 내와 드럼(4) 내로 송풍된다. 이에 의해, 건조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탈수 행정 후에 건조 행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50)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각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조작 패널(14)에 의한 모드 설정 또는 제어 프로그램 등에 따라, 제어 기판(9) 등의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5)와 급수부(7)와 배수부(11)와 건조부(13)가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50)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건조 행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제어 기판(9)에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급수부(7)는, 전자밸브(도시 생략)의 개폐에 의해, 급수 경로(6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시기에 급수한다. 또, 세탁기(50)는, 급수를 이용하여 세제 수용부(도시 생략)의 세제가, 수조(2) 내에 적당한 시기에 투입되는 기구를 갖는다. 세탁 행정 종료 시, 헹굼 행정 종료 시 등의 배수가 필요한 때에, 배수부(11)는, 전자밸브(도시 생략)의 개폐에 의해, 배수 경로(6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한다. 건조부(13)는, 수조(2) 내와 드럼(4) 내의 공기를 송풍기(12)에 의해 순환시키는 순환 경로(63)를 갖는다. 또한, 건조부(13)는, 필터(15)와 제습부(16)와 가열부(17)를 갖는다. 필터(15)는, 수조(2)와 드럼(4)으로부터 도입된 도입 공기 중의 실보무라지 등을 포집하여 제진한다. 제습부(16)는, 필터(15)에 의해 제진된 공기를 제습한다. 가열부(17)는, 제습부(16)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한 고온 공기를 생성한다. 송풍기(12)는, 가열부(17)에 대해 순환 경로(6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풍기(12)는, 습기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신뢰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건조부(13)는, 증발기와 응축기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19)를 갖는다. 공기 조화기(19)는, 압축기(18)를 이용하여, 제습부(16)와 가열부(17)에 냉매를 순환하고, 건조부(13)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건조부(13)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드럼(4)은, 드럼(4)의 배면에 부착된 회전축(4a)(이하, 축(4a)이라고 부른다)을 갖는다. 축(4a)의 선단의 외주에는, 회전축 세레이션(serration)부(4a1)(이하, 세레이션부(4a1)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축(4a)은 베어링부(24)에 받쳐지고, 수조(2)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축(4a)은 드럼(4)과 수조(2)와 함께, 세탁기(50)의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이 수평방향으로부터 각도 θ=20±10도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이 경사져 설치되는 경우, 드럼(4)이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드럼(4)이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도 개구가 비스듬히 상향이 된다. 이에 의해, 세탁기(50)의 사용자는 구부리거나 하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의 경험으로부터, 경사 각도(θ)는 20±10도임으로써, 아이(유아를 제외한다)에서 어른까지의 신장차가 있어도, 또, 휠체어 이용자여도,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작업이 가장 행하기 쉬운 세탁기(50)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드럼(4) 내에 급수된 물이 드럼(4)의 배면측에 저류됨으로써, 적은 물의 양으로도 깊은 저수 상태가 얻어지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의해, 적은 물의 양에 의한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이 실행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세탁기(50)는, 축(4a)이 드럼(4)의 배면에 설치된 모터(5)에 직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5)가 드럼(4)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한다. 또한, 이러한 축(4a)과 모터(5)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세탁기(50)는, 건조 기능을 갖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드럼식의 세탁기(50), 드럼(4)이 수직인 드럼식의 세탁기(50), 드럼(4)을 갖지 않는 등의 그 밖의 세탁기(50)여도 된다. 또, 모터(5)는, 세탁기(50)의 세탁 방식, 또는, 구동 방식의 차이 등에 따라, 세탁기(50)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부착되는 경우여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 로터(5b)에 회전 구동되는 구동용의 축(4a)에 대해서도, 축(4a)의 지지 구조, 또는, 드럼(4) 등 구동 대상에 대한 회전 전달 방식도 특별히 불문한다.
또, 모터(5)는 스테이터(5a)와 로터(5b)를 갖는다. 또한, 스테이터(5a)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착 기구(30)에 의해, 스테이터(5a)가 스테이터 유지부(33)(이하, 유지부(33)라고 부른다)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부(33)는, 수조(2)의 배면에 볼트 고정(도시 생략) 등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의 스테이터 부착 시트체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와 유지부(33)에 의해, 모터 유닛(55)이 구성되어 있다. 또, 드럼(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4a)은, 로터(5b)에 체결되어 있다.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에 작용하는, 삼상 교류에 의한 전자 작용에 의해, 로터(5b)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드럼(4)이 회전 구동되고,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건조 행정 등의 각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유지부(33)는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스테이터(5a)는, 스테이터 코어(20)와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31)(이하, 몰드부(31)라고 부른다)와 부착부(32)와 회전 위치 검출부(26)와 권선(54)에 접속된 커넥터(27)를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0)는, 스테이터(5a)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20a)를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0)는, 티스(20a)에 권선(54)이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또, 로터(5b)는, 티스(20a)에 대향하는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에 전자 작용이 작용하고, 모터(5)가 회전한다. 몰드부(31)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20)를 덮도록 몰드하고 있다.
부착 기구(30)는, 복수의 부착부(32)와 볼트(34) 등의 체결구류에 의해 구성 되어 있다. 부착부(32)는, 몰드부(31)가 유지부(33)에 부착되는 측의 축방향 단면의 외주에 대해,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착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34) 등의 체결구류는, 부착부(32)와 유지부(33)를 나사 체결한다. 또, 유지부(33)와 베어링부(2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4)에는, 축(4a)을 받치는 베어링(41a, 41b)이 압입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33)는, 한쪽의 면이 수조(2)에 부착되고, 수조(2)가 부착된 면의 배면측에 스테이터(5a)가 부착된다.
각 부착부(32)에는 부착구멍(32a)이 설치되고, 유지부(33)에는 나사구멍(33a)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구멍(32a)에, 유지부(33)의 반대측으로부터 볼트(34)가 통과됨으로써, 나사구멍(33a)에 나사 맞춤되어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착부(32)와 유지부(33)가 체결된다. 이 결과, 스테이터(5a)가 수조(2)의 배면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또, 로터(5b)는, 보스(38)와, 자석(22)과, 자석(22)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23)를 갖고 있다. 또한, 로터(5b)는,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된 로터 수지 몰드부(37)(이하, 몰드부(37)라고 부른다)를 갖고 있다. 몰드부(37)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자석(22)과 로터 코어(23)를 덮도록 몰드하고 있다. 몰드부(37)는, 수조(2)의 반대측에 설치된 천장부(37a)를 갖는다. 천장부(37a)의 중앙부에 금속제의 보스(38)가 인서트(insert)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스(38)가 인서트됨으로써, 천장부(37a)의 중앙부에 부착구멍(37b)이 형성된다. 부착구멍(37b)의 내주에는, 로터 세레이션부(37b1)(이하, 세레이션부(37b1)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구멍(37b)과 축(4a)은 유지부(33)의 반대측에서, 쌍방의 세레이션부(37b1, 4a1)가 서로 걸어 맞춰지도록, 회전 방향의 회전 멈춤 상태가 확보되어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로터(5b)는 누름 와셔(39)가 이용되고, 보스(38)에 대해, 볼트(40) 등의 체결구류에 의해 축(4a)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5b)가 축(4a)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모터(5) 또는 모터 유닛(55)이 본체(1)에 부착될 때, 조립성이 좋게 조립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50)와 세탁기(50)에 탑재되는 모터 유닛(55)은, 특히, 도 7A 내지 도 7G에 나타낸 단계의 순서로 조립이 행해진다. 이하, 도 7A로부터 도 7G를 이용하여, 세탁기(50)와 세탁기(50)에 탑재되는 모터 유닛(55)의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처리 단계에 있어서, 유지부(33)가 수조(2)에 부착되는 면의 측으로부터, 베어링부(24)에 베어링(41a)과 오일 시일(42)이 압입된다.
다음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전처리 단계에 있어서, 유지부(33)가 수조(2)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측으로부터, 베어링부(24)에 베어링(41b)이 압입된다. 또한, 베어링(41b)이 압입되는 측의 반대측으로부터, 축(4a)이 베어링부(24)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베어링부(24)에 의해 축(4a)을 받치는 구성이 조립된다. 또한, 도 7B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유지부(33)가 수조(2)의 평면에 부착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전처리 단계와 제2 전처리 단계에 있어서, 베어링부(24)에 베어링(41a) 또는 베어링(41b)이 압입되는 측이 수직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조립 작업 이 행해지면, 효율이 높은 조립 작업이 행해진다. 따라서, 제1 전처리 단계와 제2 전처리 단계의 사이에서, 유지부(33)의 상하가 반전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제2 전처리 단계 후, 유지부(33)에 대해 스테이터(5a)가 부착되는 측이 수직 위쪽을 향하는 것이, 그 후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 때문에, 제1 전처리 단계에서는, 유지부(33)에 대해 스테이터(5a)가 부착되는 측이 수직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로 압입 작업이 행해진다. 그 후, 유지부(33)에 대해 스테이터(5a)가 부착되는 측이 수직 위쪽을 향하도록, 유지부(33)가 180도 반전된다. 이 결과, 제2 전처리 단계의 작업 후에, 유지부(33)의 반전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다음에,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전처리 단계인 착자 단계에 있어서, 로터(5b)를 구성하는 자석(22)이 착자된다. 또한, 착자 단계에 있어서, 로터(5b)의 착자 상태가 검사된다. 또한, 반드시, 착자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로터(5b)의 착자가 별도의 기회에 행해지고, 착자된 로터(5b)가 아래에 서술하는 단계에 이용되어도 된다. 즉, 착자 상태가 관리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착자 단계가, 실제로는 로터(5b)의 착자 또는 착자 상태의 관리를 행하는 최종의 기회이다. 또, 이 때, 로터(5b)는 자석(22)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축(4a)에 대한 부착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다음에,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계에 있어서, 로터(5b)와 스테이터(5a)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된다. 또한, 제1 단계에 있어서 조립에 이용되는 로터(5b)는 자석(22)이 착자되고, 또한, 축(4a)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스테이터(5a)는 유지부(33)에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즉, 스테이터(5a)는 본체(1)에 대한 부착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다음에, 제1 단계 후에,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계에 있어서, 스테이터(5a)와 조합된 로터(5b)가 축(4a)에 삽입된다. 로터(5b)가 축(4a)에 삽입됨으로써, 세레이션부(37b1)가 베어링(41a, 41b)을 통해 유지부(33)에 받쳐진 축(4a)의 세레이션부(4a1)에 걸어 맞춰진다.
다음에, 제2 단계 후에, 도 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단계에 있어서, 부착부(32)가 볼트(34)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유지부(33)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수조(2)에 대해 모터(5)가 부착된다. 즉, 수조(2)의 배면에 모터 유닛(55)이 부착된다.
다음에, 도 7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처리 단계인 검사 단계에 있어서, 조립이 완료된 후의 모터(5), 모터 유닛(55)의 전자 특성에 관한 검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전압의 실효값으로의 치환, 센서 펄스폭, 회전 위치 검출부(26)가 검출하는 신호의 센서 어긋남 시간 등의, 모터(5)가 일주하는 동안의 펄스의 편차 등의 검사가 행해진다.
또, 제2 전처리 단계와 제3 전처리 단계는, 몰드부(31) 또는 몰드부(37)의 떨어짐 유무의 체크가 행해지는 최종의 기회이다. 또, 제2 단계에 있어서의, 로터(5b)와 축(4a)의 끼워 맞춤 작업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세레이션부(37b1, 4a1) 쌍방간의 위치 맞춤 작업을 수반한다. 또한, 제3 단계에 있어서, 볼트(34)를 이용한, 유지부(33)와 스테이터(5a)의 부착 작업은, 볼트(34)의 체결 토크의 관리를 수반한다. 볼트(40)를 이용한, 로터(5b)와 축(4a)의 체결 작업은, 로터(5b)가 축(4a)으로 끼워 맞춰진 직후여도 되고, 스테이터(5a)가 유지부(33)에 부착된 후여도 된다.
이러한, 모터 유닛(55) 또는 세탁기(50)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스테이터(5a)와 착자 완료의 로터(5b)의 조합 작업과, 로터(5b)와 축(4a)의 부착 작업이 상이한 단계에서 독립하여 행해진다. 즉, 로터(5b)와 축(4a)의 부착 작업은, 회전 멈춤 기구인 세레이션부(37b1, 4a1) 쌍방의 위치 맞춤 작업을 수반하는 끼워 맞춤 작업이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조합 작업과 로터(5b)와 축(4a)의 부착 작업이 상호 서로 방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끼워 맞춤 작업은, 서로 작업을 방해하는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프리한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제1 단계에 있어서,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쌍방간의 소정의 공극 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끼워 맞춤 작업은 간단한 작업이다.
또, 로터(5b)를 축(4a)에 부착하기 위한 끼워 맞춤 작업도,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한쪽으로 기울어진 자기 흡착에 의한 안정한 조립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이 끼워 맞춤 작업은, 작업을 방해하는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프리한 상태로 행해진다. 따라서, 세레이션부(37b1, 4a1) 등의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 작업은 간단한 작업이다. 또한,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 작업이 완료한 단계에서, 볼트(40)를 이용한 로터(5b)와 축(4a)의 부착 작업이 완료되어도 된다. 또,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 작업이 완료한 단계에서, 볼트(40)를 이용한 로터(5b)와 축(4a)의 부착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된다.
또, 스테이터(5a)가, 유지부(33)에 대해 단독으로 부착된다. 즉, 스테이터(5a)가, 본체(1)에 대해 단독으로 부착된다. 스테이터(5a)의 유지부(33)에 대한 부착 작업에 있어서,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자기 흡착력보다 크게,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에 소정의 공극을 확보하는 상태로 부착 작업이 행해진다. 그러나,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소정의 공극은, 축(4a)과 본체(1)의, 즉, 축(4a)과 유지부(33)의 일의적인 위치 관계로부터 정해진다. 따라서, 스테이터(5a)가 유지부(33)에 고정될 때에, 기계력을 이용하는 등으로 하여 밀어 넣어짐으로써, 유지부(33)의 소정 위치에 대해, 스테이터(5a)가 위치 결정된다.
이 결과,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위치 결정 작업이, 모두 다른 부재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프리한 상태로, 소정의 공극이 확보되어 간단한 작업으로서 실행된다. 또한, 로터(5b)의 축(4a)에 대한 부착을 위한 끼워 맞춤 작업도,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분리 또는 덜컹거림의 염려가 없는 자기 흡착한 상태로, 또한, 다른 부재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프리한 상태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회전 멈춤 기구인 세레이션부(37b1, 4a1) 등의 위치 맞춤 작업이 수반되어도, 끼워 맞춤 작업은 간단한 작업이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5a)가 본체(1)측에 단독으로 부착된다. 모터 유닛(55)의 조립 작업은,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사이에 소정의 공극이 확보되는 위치 결정 작업을 수반한다. 그러나, 축(4a)과 본체(1)의 위치 관계로부터 정해지는 소정 위치에,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체(1)에 대한 부착을 수반하는 모터 유닛(55)의 조립이 숙련 되지 않은 작업자에 의해서도, 혹은, 개인차 없이, 정밀도 좋게 간단히 단시간에 행해진다. 이 결과, 모터 유닛(55)과 세탁기(50)의 조립 비용의 저감이 용이하게 도모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모터(5) 내지 모터 유닛(55)의 본체(1)측 고정부에 대한 부착을 수반하는 모터 유닛(55)과 세탁기(50)의 조립 작업은, 유지부(33)가 단독으로 취급된다. 유지부(33)가 본체(1)측, 구체적으로는 수조(2)에 대한 부착 전의 상태로, 도 7A∼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해짐으로써, 각각에서 필요한 작업이 편하게 행해진다. 그러나, 모터 유닛(55)과 세탁기(50)의 조립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의 측 또는 장비 완료된 장비물로의 유지부(33)에 대한 부착을 수반한 조립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5a)에는,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43)(이하, 위치 결정부(43)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33)에는,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44)(이하, 위치 결정부(44)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43)와 위치 결정부(44)는,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5a)에는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43d)(이하, 위치 결정부(43d)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유지부(33)에는,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44d)(이하, 위치 결정부(44d)라고 부른다)가 설치되어도 된다. 위치 결정부(43d)와 위치 결정부(44d)는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즉, 스테이터(5a)에는,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3, 43d)가 설치되고, 유지부(33)에는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4, 44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43, 43d)와 위치 결정부(44, 44d)는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4a)과 로터(5b)의 각 세레이션부(4a1, 37b1)의 제1 걸어 맞춤 길이(X)는, 위치 결정부(43, 43d)와 위치 결정부(44, 44d)의 제2 걸어 맞춤 길이(Y)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X>Y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걸어 맞춤 길이(X)가, 제2 걸어 맞춤 길이(Y)보다 긴 것에 의해, 제2 단계에 있어서, 세레이션부(4a1, 37b1)가 걸어 맞춰질 때에, 위치 결정부(43, 43d)와 위치 결정부(44, 44d)의 걸어 맞춤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위치 결정부(43, 43d)와 위치 결정부(44, 44d)가 설치됨으로써, 제3 단계에 있어서, 도 4C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43)가 위치 결정부(44)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모터 유닛(55)의 A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즉, 제2 단계에 있어서, 세레이션부(37b1, 4a1) 등의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 기구에 의해, 로터(5b)가 축(4a)에 끼워 맞춰진다. 이 끼워 맞춤 작업에 있어서, 로터(5b)의 축(4a)에 대한 끼워 맞춤의 초기로부터, 스테이터(5a)가 로터(5b)와 함께 축(4a) 기준에 의한 회전 멈춤 상태에서의 위치 규제를 받는다. 또한, 제3 단계에 있어서, 스테이터(5a)가 유지부(33)에 근접하는, 요컨대, 부착 위치에 근접하는 것이 이용되어, 위치 결정부(43)가 위치 결정부(44)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5a)가 축(4a)과 유지부(33)의 일의 적인 위치 관계로부터 정해지는 소정 위치에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결과, 스테이터(5a)는, 축(4a)에 의해 위치 결정된 로터(5b)에 대해, 적정한 공극이 자동적으로 확보되어 유지부(33)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위치 결정부(43)와 위치 결정부(44)는,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적정한 공극 내에서, 쌍방이 기울어져 생기는 기울어짐량 만큼이 교정되면 되고, 필요 교정량은 극히 약간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공극(L)은 0.65mm 정도이다. 이 때문에, 한쪽에서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자기 흡착이 생기는 기울어짐량은, 적정한 공극의 치수(L)와 다름없고, 0.65mm의 기울어짐을 교정할 수 있을 정도로, 스테이터(5a)의 내경과 로터(5b)의 외경의 각각의 치수가 결정되면 된다. 또한, 이 공극(L)의 2배의 치수(2L)가, 스테이터(5a)의 구경과 로터(5b)의 구경의 차이다.
여기에, 위치 결정부(43)와 위치 결정부(44)의 쌍방은, 축(4a)에 대해 동심인 원환형의 형상이면 된다. 그러나, 위치 결정부(43)와 위치 결정부(44)는, 완전한 원환이 아니어도 되고, 적절한 수로 등분 또는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즉, 위치 결정부(43)와 위치 결정부(44)가 위치 결정될 때에, 쌍방이 축 직각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거나, 위치 어긋남의 원인이 되는 변형이 생기거나 하지 않으면 위치 결정의 실효적인 효과는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립 방법이 채용되는 모터 유닛(55)으로서는, 유지부(33)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44)와 끼워 맞춰지는 위치 결정부(43)가 스테이터(5a)에 설치되면 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43a)과 둘레면(43b)의 접합부에 테이퍼형 면인 각부(43c)가 설치되어 있다. 단면(44a)과 둘레면(44b)의 접합부에 테이 퍼형 면인 각부(4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면(43a)은 위치 결정부(43)의 유지부(33)측의 단면이고, 둘레면(43b)은 위치 결정부(4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44)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다. 또, 단면(44a)은 위치 결정부(44)의 스테이터(5a)측의 단면이고, 둘레면(44b)은 위치 결정부(44)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43)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다. 즉, 둘레면(43b)과 둘레면(44b)이 끼워 맞춰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더욱 특징 있는 모터 유닛(55)의 조립이 가능하다.
모터 유닛(55)의 조립에 있어서, 로터(5b)가 축(4a)에 끼워 맞춰지면서, 로터(5b)가 축(4a) 기준에 의해 위치 규제된다. 그 후, 스테이터(5a)가 유지부(33)에 접근하여, 위치 결정부(43)가 위치 결정부(44)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5a)와 로터(5b)가 소정의 공극을 갖고 위치 결정된다. 또한, 단면(43a)과 각부(43c)의 접합부에 단부(43e)가 설치되고, 단면(44a)과 각부(44c)의 접합부에 단부(44e)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43e)의 구경과 단부(44e)의 구경의 차가, 스테이터(5a)의 직경과 로터(5b)의 직경의 차보다 크다. 즉, 단부(43e)의 구경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3)의 최소 선단 직경이고, 단부(44e)의 구경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4)의 최대 개구 직경이다. 이에 의해, 단부(43e)의 구경과 단부(44e)의 구경의 차가, 스테이터(5a)와 축(4a)에 위치 결정된 로터(5b)와의 사이의 적정한 공극 내에서 기울어져 생기는 기울어짐량보다 커진다. 요컨대, 단부(43e)의 구경과 단부(44e)의 구경의 차가,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기울어짐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이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5a)와 로터(5b)의 기울 어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위치 결정부(43)가 위치 결정부(44)에 확실하게 취입되어 끼워 맞춰지기 시작한다. 또한, 끼워 맞춤이 진행됨에 따라 각부(43c)와 각부(44c)의 끼워 맞춤 위치가 서서히 외측으로 열림으로써, 위치 결정부(43)는 위치 결정부(44)에 의해 로터(5b)에 대해 적정한 공극을 확보하는 적정 위치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각부(43c, 44c)의 테이퍼형 면이 종료하는 끼워 맞춤 위치 이후, 위치 결정부(43)의 위치 결정부(44)에 대한 끼워 맞춤에 의해, 스테이터(5a)는 유지부(33)에 대해 적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부(33)에 부착된다. 따라서, 로터(5b)의 축(4a)에 대한 끼워 맞춤에 따라, 스테이터(5a)가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자기 흡착력보다 크게 유지부(33)측에 압착됨으로써, 모터 유닛(55)이 적정하게 조립된다. 또한, 모터 유닛(55)이 적정하게 조립되었을 때에, 둘레면(43c)과 둘레면(44c)이 끼워 맞춰진다.
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43d)가 오목형의 형상을 갖고, 위치 결정부(44d)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단부(43e)의 구경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3)의 최대 개구 직경이 되고, 단부(44e)의 구경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위치 결정부(44)의 최소 선단 직경이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 결정부(43d, 44d)의 구성이어도, 상술과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4A∼도 4C에 나타낸 모터 유닛(55)은, 테이퍼형 면인 각부(43c)와 테이퍼형 면인 각부(44c)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각부(43c)와 각부(44c)의 쌍방이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각부(43c) 또는 각부(44c)의 한쪽이 설치됨으로써, 상기의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각부(43c)의 한쪽만이 설치되는 경우, 단부(43e)는 단면(43a)과 각부(43c)의 접합부에 형성되고, 단부(44e)는 단면(44a)과 둘레면(44b)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반대로, 각부(44c)의 한쪽만이 설치되는 경우, 단부(43e)는 단면(43a)과 둘레면(44b)의 접합부에 형성되고, 단부(44e)는 단면(44a)과 각부(43c)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또한,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면의 각부(43c)와 원호형 면의 각부(44c)가 설치되어도 된다. 각부(43c)와 각부(44c)가 원호형 면이 경우도, 동일하게 단면(43a)과 각부(43c)의 접합부에 단부(43e)가 설치되고, 단면(44a)과 각부(44c)의 접합부에 단부(44e)가 설치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동일하게, 각부(43c) 또는 각부(44c)의 한쪽이 설치됨으로써, 상기의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부(43c)가 테이퍼형 면이고, 각부(44c)가 원호형 면이어도 된다. 반대로, 각부(43c)가 원호형 면이고, 각부(44c)가 테이퍼형 면이어도 된다.
또한, 로터(5b)가, 스테이터(5a)의 외주에 아우터 로터(5b2)를 갖는 모터(5)가 채용되는 경우, 아우터 로터(5b2)가 스테이터(5a)의 외측에 덮인다. 이에 의해, 모터 유닛(55)의 조립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공극이 아우터 로터(5b2)에 의해 차단되어, 눈으로 확인이 곤란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아우터 로터(5b2)를 갖는 모터 유닛(55)의 조립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눈으로 확인에 의한 조립 방법에서는, 적절한 공극의 확보와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유닛(55)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적정 한 공극이 자동적으로 확보된다.
또, 스테이터(5a)의 내주에 인너 로터(5b1)를 갖고, 스테이터(5a)의 외주에 아우터 로터(5b2)를 갖는 모터(5)가 채용된 경우도, 동일하게, 아우터 로터(5b2)가 스테이터(5a)의 외측에 덮인다. 이에 의해, 모터 유닛(55)의 조립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공극이 아우터 로터(5b2)에 의해 차단되어, 눈으로 확인이 곤란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너 로터(5b1)와 아우터 로터(5b2)를 갖는 모터 유닛(55)의 조립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눈으로 확인에 의한 조립 방법에서는, 적절한 공극의 확보와 회전 멈춤 기구의 위치 맞춤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유닛(55)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스테이터(5a)와 로터(5b) 사이의 적정한 공극이 자동적으로 확보된다.
또한, 특히, 스테이터(5a)의 내주와 외주의 쌍방에 인너 로터(5b1)와 아우터 로터(5b2)를 갖는 모터(5)에 있어서는, 권선(54)이 스테이터 코어(20)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감겨지는 토로이달 권선이 적용됨으로써, 권선(54)의 둘레 길이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모터(5)의 소형화, 고효율화가 가능하다. 또한, 모터(5)의 극수가 2P, 슬롯수가 S, N이 자연수일 때에, P:S=5N:6N의 조합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분포권의 모터(5)가 구성되고, 모터(5)의 저소음화가 도모되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50)는, 드럼(4)이 수평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럼(4)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세탁기에 비해, 세탁물이 드럼(4)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낮은 위치에 모이기 쉬운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세탁물의 엉킴, 꼬임의 발생이 크게 개선되어, 기계력의 기능을 높이면서 주름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50)는, 제어 기판(9)을 이용한 드럼(4)의 구동 제어에 관해, 정역 호회전(弧回轉)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갖고 있다.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또한 180도 미만의 조건에서, 급정(急正) 호회전과 급역(急逆)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는, 드럼(4)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진 세탁물이, 세탁물의 자중이 더 큰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실현하는 회전 속도로 드럼(4)이 회전되고, 드럼(4)의 연속 회전이 정역 교대로 반복되는 회전 구동 모드이다. 또한, 이들 2개의 구동 모드가 필요에 따라, 조합되어 실행된다.
도 8A로부터 도 8F는, 드럼(4) 내에 의사적(擬似的)인 세탁물(21)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의, 드럼(4)의 구동 모드를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드럼(4)의 정지 상태로부터,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이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으로 호회전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21)이 최대한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까지 들어 올려진다. 또한, 이 호회전 구동이 정역 교대로 행해짐으로써,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최종 지점 내지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에는 회전의 반전을 위한 감속 내지는 제동 상태가 생긴다. 이에 의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물(21)에 부여되어 있었던 회전 관성에 의한 강제 떼어냄력과 세탁물(21)의 자중에 의해, 드럼(4)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순간적으로 세탁물(21)이 떼내어진다. 또한, 도 8C로부터 도 8F에 나타낸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즉, 도 8C로부터 도 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의 정역 교대의 호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위치, 낙하 위치가 매회의 호회전 구동에 있어서 좌우 교대로 교체된다. 이러한 구동 모드로 드럼(4)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세탁물(21)의 풀림 작용이 높아진다. 또한, 세탁물(21)에 대해 기계력이 미쳐 효과적으로 세탁된다. 또한, 도 8G는, 각각 90도씩의 정역 호회전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 도 8A로부터 도 8F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만으로는, 세탁물(21)의 엉킴, 꼬임, 주름 등이 경감되는 한편으로, 세탁물(21)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교체되기 어렵고, 세탁 얼룩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세탁물(21)의 상하방향의 위치 교체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즉,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의 엉킴, 꼬임, 주름이 경감됨과 더불어,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에 대한 기계력 부여의 불균형이 경감된다. 이와 같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의 양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세탁 행정 중과 헹굼 행정 중에 있어서, 세탁물(21)에 상이한 2가지의 거동이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의 엉킴, 꼬임, 주름이 경감되면서, 견실한 손 비벼 빨기의 거동이 실현된다. 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세탁물(21)이 크게 연속적으로 움직여, 얼룩이 경감되면서 세탁되고, 균일한 빨기 거동이 부여된다. 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는, 급정 호회전과 급역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되는 동작이 실행되므로,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크다. 그러나,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비교 적 작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됨으로써,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경감된다.
이상과 같이, 드럼(4)의 호회전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에 의해, 드럼(4)의 좌우 한쪽 편 상부까지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동작이 정역 교대로 행해진다. 또한,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최종 지점 내지는 최종 지점의 근방에서 드럼(4)이 감속 내지는 제동된다. 이에 의해, 회전 운동의 관성에 의한 강제 떼어냄력과 세탁물(21)의 자중에 의한 중력이 세탁물(21)에 작용하여,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순간적으로 세탁물(21)이 떼내어져, 드럼(4)의 좌우 반대측으로 떨어진다. 이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호회전마다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위치, 낙하 위치가 좌우 교대로 교체되어, 세탁물(21)의 풀림 작용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세탁물(21)의 엉킴과 꼬임과 드럼(4)의 내면으로의 부착이 방지되고, 세탁기(50)로부터의 세탁물(21)의 취출이 용이해져, 세탁물(21)에 대한 주름 발생이 대폭으로 완화된다. 또, 세탁물(21)에 기계력이 미침으로써, 두드림 작용에 의한 두드려 빨기 효과와 두드림 헹굼 효과와 주름 펴짐 효과가 세탁물(21)에 가해진다. 세탁물(21)의 낙하 회수도 대폭으로 증대한다. 이와 같이, 세탁 효과를 비롯한 세탁기(50)의 각 행정에서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예를 들면, 세탁물(21)이,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의 종료 시의 엉킴, 꼬임, 주름 상태로 드럼(4) 내면에 강하게 압착되고, 탈수 행정이 끝난 상태로 세탁물(21)이 붙어 강하게 자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가 건조 행정에서 실행됨으로써, 세탁물(21)이 들어 올려지는 위치와 낙하 위치의 좌우 교대의 교체 가 행해진다. 또한, 이 동작에 의해, 세탁물(21)끼리의 좌우 교체를 수반하는 높은 풀림 작용과 기계력의 작용이 세탁물(21)에 작용한다. 또, 세탁물(21)이 이와 같이 부드럽게 풀리면서,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병용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21)의 상하 교체가 행해지고, 세탁물(21) 각각에 대한 통기성이 높아져, 건조한 고온 공기가 세탁물(21)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미친다. 이 결과, 얼룩 없이 단시간에 세탁물(21)이 건조된다. 또, 물이 없는 상태로의 세탁물(21)의 낙하 시의 두드림 작용에 의한 주름 펴짐 작용이 수반되어, 각각의 세탁물(21) 꼬임의 풀림에 의한 섬유의 펼쳐짐과 섬유의 재생이 도모된다. 이 결과, 세탁, 헹굼, 탈수, 건조 후의 세탁물(21)의 마무리 상태가 크게 개선된다.
이러한 드럼(4)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매우 크다. 그러나, 상술한 스테이터(5a)의 내외주에 인너 로터(5b1)와 아우터 로터(5b2)가 배치되어 토크 업된 모터(5)가 채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은 모터(5)여도, 급반전의 동작을 갖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급정 호회전과 급역 호회전의 급격한 제동을 갖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양쪽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따라서, 도 8A∼도 8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탁물(21)의 이상적인 거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5)는 과혹한 조건에 있어서도 쉽게 회전 모드가 실행된다. 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가 교대로 병용하여 실행됨으로써, 모터(5)에 가해지는 기계 부하가 경감된다.
세탁기에 대한 부착을 수반하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의 조립에 적용되어, 조립성, 조립 정밀도가 개선된다.

Claims (16)

  1. 세탁기 본체와,
    상기 세탁기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 드럼과,
    일단이 상기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테이터 유지부와,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를 갖고, 상기 티스에 권선이 감겨진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이 감겨진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금속제의 보스와, 상기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를 갖고, 상기 보스와 상기 자석과 상기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에,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상기 베어링을 통해 받쳐진 상기 회전축의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부착부가 볼트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는 제3 단계를 갖는 세탁기의 조립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와 끼워 맞춰지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가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지는 세탁기의 조립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된 세탁기의 조립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와 외주의 쌍방에 설치된 세탁기의 조립 방법.
  5.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테이터 유지부와,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를 갖고, 상기 티스에 권선이 감겨진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이 감겨진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금속제의 보스와, 상기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를 갖고, 상기 보스와 상기 자석과 상기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로터를 구비한,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에,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상기 베어링을 통해 받쳐진 상기 회전축의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부착부가 볼트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는 제3 단계를 갖는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와 끼워 맞춰지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가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지는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된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와 외주의 쌍방에 설치된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
  9. 일단이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테이터 유지부와,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를 갖고, 상기 티스에 권선이 감겨진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이 감겨진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금속제의 보스와, 상기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를 갖고, 상기 보스와 상기 자석과 상기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된 후에,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지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의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측의 단면과,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角部)와,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의 상기 스테이터측의 단면과,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의 쌍방 또는 한쪽이 테이퍼형 면 혹은 원호형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형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최대 개구 직경과 상기 볼록형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최소 선단 직경의 차가, 상기 스테이터의 직경과 상기 로터의 직경의 차보다 큰 모터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된 모터 유닛.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와 외주의 쌍방에 설치된 모터 유닛.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로터보다 직경방향의 바깥쪽에 설치된 모터 유닛.
  13. 세탁기 본체와,
    상기 세탁기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 드럼과,
    일단이 상기 회전 드럼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회전축 세레이션부가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수조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이 압입된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테이터 유지부와,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를 갖고, 상기 티스에 권선이 감겨진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이 감겨진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수지 재료에 의해 몰드하는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와, 상기 스테이터 수지 몰드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지는 로터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금속제의 보스와, 상기 권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로터 코어를 갖고, 상기 보스와 상기 자석과 상기 로터 코어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드되고, 상기 로터 세레이션부가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걸어 맞춰진 후,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로터를 갖는,
    모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유닛에서,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자석이 착자 완료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 세레이션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로터가 자기 흡착에 의해 조합된 후에,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에 설치되어, 오목형 혹은 볼록형의 형상을 갖는 원환형의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스테이터에 설치되어, 볼록형 혹은 오목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지는 원환형의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를 더 가지며,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의 상기 스테이터 유지부측의 단면과,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와,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의 상기 스테이터측의 단면과, 상기 세탁기측 위치 결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스테이터측 위치 결정부에 대해 끼워 맞춰지는 둘레면이 이루는 각부의 쌍방 또는 한쪽이 테이퍼형 면 혹은 원호형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형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최대 개구 직경과 상기 볼록형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최소 선단 직경의 차가, 상기 스테이터의 직경과 상기 로터의 직경의 차보다 큰 세탁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설치된 세탁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와 외주의 쌍방에 설치된 세탁기.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로터보다 직경방향의 바깥쪽에 설치된 세탁기.
KR1020097002818A 2007-02-14 2007-11-28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KR10105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3093A JP4044602B1 (ja) 2007-02-14 2007-02-14 洗濯機のモータの組み立て方法と洗濯機のモータ
JPJP-P-2007-033093 2007-02-14
PCT/JP2007/072893 WO2008099551A1 (ja) 2007-02-14 2007-11-28 モータユニットと、モータ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と、洗濯機と、洗濯機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844A KR20090088844A (ko) 2009-08-20
KR101050946B1 true KR101050946B1 (ko) 2011-07-20

Family

ID=391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818A KR101050946B1 (ko) 2007-02-14 2007-11-28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44602B1 (ko)
KR (1) KR101050946B1 (ko)
CN (2) CN101517143B (ko)
TW (1) TW200835116A (ko)
WO (1) WO2008099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4602B1 (ja) * 2007-02-14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モータの組み立て方法と洗濯機のモータ
JP4603064B2 (ja) * 2008-07-04 2010-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603063B2 (ja) * 2008-07-04 2010-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AU2009334065B2 (en) * 2008-12-30 2013-05-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EP2390400B1 (en) 2008-12-31 2016-06-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20100129156A (ko)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00129157A (ko)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3067457B1 (en) * 2015-03-12 2018-05-3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with direct drive moto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TWI626430B (zh) * 2017-04-10 2018-06-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無感測器之直流無刷馬達負載量測方法以及其裝置
US11859334B2 (en) 2020-12-09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293A (ja) 1983-11-02 1985-06-0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モ−タ取付装置
JPH1128298A (ja) 1997-07-11 1999-02-0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1178989A (ja) * 1999-10-19 2001-07-03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の駆動部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0347A (ja) * 1982-12-15 1984-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軸方向空隙型モ−タ
DE19547745A1 (de) * 1995-12-20 1997-06-26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von vorn beschickbare Waschmaschine
JP2006043153A (ja) * 2004-08-04 2006-02-16 Nidec Shibaura Corp 洗濯機
JP4044602B1 (ja) * 2007-02-14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モータの組み立て方法と洗濯機の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293A (ja) 1983-11-02 1985-06-0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モ−タ取付装置
JPH1128298A (ja) 1997-07-11 1999-02-0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1178989A (ja) * 1999-10-19 2001-07-03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の駆動部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5116A (en) 2008-08-16
CN201204535Y (zh) 2009-03-04
WO2008099551A1 (ja) 2008-08-21
CN101517143B (zh) 2011-06-15
JP4044602B1 (ja) 2008-02-06
TWI362808B (ko) 2012-04-21
KR20090088844A (ko) 2009-08-20
JP2008194263A (ja) 2008-08-28
CN101517143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46B1 (ko) 모터 유닛과, 모터 유닛의 조립 방법과, 세탁기와, 세탁기의 조립 방법
JP4100576B1 (ja) ドラム式洗濯機
CA2053445C (en) Tumbler type washing/dry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351760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880091B1 (ko) 세탁기용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1510612A2 (en) Method of controlling a drying cycle in a washing machine
KR100962838B1 (ko) 모터
JP200731918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0523195A (ja) ドラム洗濯機
JP4044601B1 (ja) ドラム式洗濯機
JP4420245B2 (ja) モータ
WO2007126168A1 (en) Washing machine
KR100994339B1 (ko) 모터
JP2008228424A5 (ko)
JP4713620B2 (ja) 洗濯乾燥機
JP200714396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77159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모터 조립구조
JP2753377B2 (ja) 全自動洗たく機
JP200600697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2147366A (ja) 洗濯機
JP2022150128A (ja) 洗濯機
JP2004321636A (ja) 全自動洗濯機
KR20050051874A (ko) 드럼 세탁기
JPH06114186A (ja) 洗濯乾燥機
JPH05137870A (ja) 脱水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