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808A -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808A
KR20080078808A KR1020087012547A KR20087012547A KR20080078808A KR 20080078808 A KR20080078808 A KR 20080078808A KR 1020087012547 A KR1020087012547 A KR 1020087012547A KR 20087012547 A KR20087012547 A KR 20087012547A KR 20080078808 A KR20080078808 A KR 2008007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main
rope
respect
main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254B1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는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 로프와, 메인 로프를 승강체에 연결하기 위한 로프 멈춤 장치를 가지고 있다. 로프 멈춤 장치는 승강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로프 멈춤 장치는 메인 로프의 단부가 접속되어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승강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승강체에 대해서 회동되는 회동 레버와, 회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승강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와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승강체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SUSPENSION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등의 승강체를 매달기 위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서,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으로 편향하는 가이드 롤러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하고, 메인 로프의 단부에 설치된 씸블 로드(thible rod)를 엘리베이터 칸에 수평으로 설치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메인 로프의 연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5-21294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메인 로프가 가이드 롤러에 의해서 항상 굽혀져 있으므로, 메인 로프의 수명이 짧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체의 높이 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 로프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는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의 단부가 접속되고,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승강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승강체에 대해서 회동되는 회동 레버와, 회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승강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와,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승강체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가지고 승강체에 설치된 로프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메인 로프의 각 장력이 조정되고 있을 때의 로프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승강체)(2) 및 균형추(승강체)(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4) 내에는 지지대(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5)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6)와 디플렉션 쉬브(7)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6)는 모터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8)와, 권상기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9)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9) 및 디플렉션 쉬브(7)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메인 로프 그룹(10)이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쉬브(9)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가이드 레일(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 가이드 레일(11)에 안내되는 가이드 장치(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가이드 장치(12)가 가이드 레일(11)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각 가이드 레일(11)에 따라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실(13)과, 엘리베이터 칸 실(13)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4)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4)은 엘리베이터 칸 실(13)이 실린 하부 프레임(15)과, 엘리베이터 칸 실(13)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16)과, 하부 프레임(15) 및 상부 프레임(16)의 각 단부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7)을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 그룹(10)은 복수(이 예에서는 한 쌍)의 메인 로프(18, 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에는 메인 로프 멈춤 기구(단말(端末) 기구)(20)에 의한 단말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6),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에는 다른 쪽의 메인 로프(18)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에 머무르게 하기 위한 로프 멈춤 장치(21)와, 다른 쪽의 메인 로프(19)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에 머무르게 하기 위한 로프 멈춤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로프 멈춤 장치(21, 2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는 로프 멈춤 장치(21, 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18, 19)의 단부 및 로프 멈춤 장치(21, 22)는 상부 프레임(16)에 설치된 한 쌍의 받이 부재(23, 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로프 멈춤 장치(21)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회동 레버(25)와, 회동 레버(25)에 접속되어 회동 레버(25)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26)와, 변위체(26)와 받이 부재(23)와의 사이에서 줄어들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가압 스프링(가압체)(27)를 가지고 있다.
회동 레버(25)는 상부 프레임(16)에 설치된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동 레버(25)는 지지축(28)의 로프 멈춤 장치(22) 측(즉, 지지축(28)의 받이 부재(23)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와, 지지축(28)의 위쪽에 위치하는 변위체용 장착부(25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에는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설치된 단말 기구(20)가 핀(2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25b)에는 변위체(26)의 일단부가 핀(2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회동 레버(25)는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변위체(26)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25)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25)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변위체(26)는 변위체용 장착부(25b)에 접속된 로드(변위체 본체)(30)와, 로드(30)에 설치되어 로드(30)에 대한 수평 방향(변위체(26)가 변위되는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조정 부재(스프링 베어링)(31)와, 로드(30)에 나사 맞춤 되 어 조정 부재(31)의 로드(30)에 대한 위치를 고정하기(즉, 위치 결정을 실시하기) 위한 더블 너트(위치 결정 장치)(32)를 가지고 있다.
가압 스프링(27)은 조정 부재(31)와 받이 부재(23)와의 사이에 줄어들어 있다. 즉, 가압 스프링(27)은 변위체(26)의 받이 부재(2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즉,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26)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30)는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압축력으로서 받는다. 또, 받이 부재(23)는 변위체(26)에 대한 가압력의 반력을 가압 스프링(27)으로부터 받는다.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은 로드(30)에 대한 조정 부재(31)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메인 로프(18)의 장력은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다른 쪽의 로프 멈춤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회동 레버(33)와, 회동 레버(33)에 접속되어 회동 레버(33)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34)와, 변위체(34)와 받이 부재(24)와의 사이에 줄어들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가압 스프링(가압체)(35)을 가지고 있다.
회동 레버(33)는 상부 프레임(16)에 설치된 지지축(3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 레버(33)는 지지축(36)의 로프 멈춤 장치(21) 측(즉, 지지축(36)의 받이 부재(24)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와, 지지축(36)의 위쪽에 위치하는 변위체용 장착부(33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 착부(33a)에는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설치된 단말 기구(20)가 핀(2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33b)에는 변위체(34)의 일단부가 핀(2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회동 레버(33)는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변위체(34)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변위체(34)는 변위체용 장착부(33b)에 접속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로드(변위체 본체)(37)와, 로드(37)에 설치되어 로드(37)에 대한 수평 방향(변위체(34)가 변위되는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조정 부재(스프링 베어링))(38)와, 로드(37)에 나사 맞춤 되어 조정 부재(38)의 로드(37)에 대한 위치를 고정하기(즉, 위치 결정을 실시하기) 위한 더블 너트(위치 결정 장치)(39)를 가지고 있다.
가압 스프링(35)은, 조정 부재(38)으로 받이 부재(24)와의 사이에 줄어들어 있다. 즉, 가압 스프링(35)은 변위체(34)의 받이 부재(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즉,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 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34)를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37)는 가압 스프링(35)의 가압력을 압축력으로서 받는다. 또, 받이 부재(24)는 변위체(34)에 대한 가압력의 반력을 가압 스프링(35)으로부터 받는다.
가압 스프링(35)의 가압력은 로드(37)에 대한 조정 부재(38)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메인 로프(19)의 장력은 가압 스프링(35)의 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각 핀(29)에는 접속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retainer)(e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메인 로프(18, 19)의 각 장력이 조정되고 있을 때의 로프 멈춤 장치(21, 2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31)의 로드(30)에 대한 위치 및 조정 부재(38)의 로드(37)에 대한 위치는 메인 로프(18, 19)의 각각의 장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메인 로프(18)의 길이가 메인 로프(1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 메인 로프(18)의 단부의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위치가 메인 로프(19)의 단부의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위치보다 하위(下位)에 있는 상태로 메인 로프(18, 19)의 각각의 장력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회동 레버(25)가 회동되고, 회동 레버(25)의 회동에 의해 변위체(26)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27)이 변위체(26)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변위체(26) 및 가압 스프링(27)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로프 멈춤 장치(21)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설치된 단말 기구(20)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로프 멈춤 장치(21) 및 단말 기구(20) 상부 프레임(16)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변위체(26) 및 가압 스프링(27)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메인 로프(18)를 굽히지 않기 때문에 메인 로프(18)의 장기 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변위체(26)는 회동 레버(25)에 접속된 로드(30)와, 로드(30)에 설치되어 로드(30)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조정 부재(31)을 가지고,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은 조정 부재(31)의 로드(30)에 대한 위치의 조정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18)의 장력의 조정을 위해서 조정 부재(31)의 로드(30)에 대한 위치를 바꾸어도, 조정 부재(31)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바뀌는 것만으로, 로프 멈춤 장치(21)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변위체(26)는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압축력으로서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압체(27) 및 변위체(26)를 수평 방향으로 늘어놓아 배치할 수 있고, 로프 멈춤 장치(21)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프 멈춤 장치(22)도 로프 멈춤 장치(21)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회동 레버(25)는 메인 로프(18)의 단부가 접속된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와, 변위체(26)의 일단부가 접속된 변위체용 장착부(25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는 지지축(28)의 로프 멈춤 장치(22) 측(지지축(28)의 받이 부재(23)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25b)는 지지축(28)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받이 부재(23)는 조정 부재(31)와 회동 레버(2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30)는 받이 부재(23)를 관통하고 있다. 또, 로드(30)는 받이 부재(23)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27)은 조정 부재(31)와 받이 부재(23)와의 사이에 줄어들어 있다.
회동 레버(25)는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변위체(26)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25)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25)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압 스프링(27)은 변위체(26)의 받이 부재(2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즉, 메인 로프(18)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26)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로드(30) 는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인장력으로서 받는다. 또, 받이 부재(23)는 변위체(26)에 대한 가압력의 반력을 가압 스프링(27)으로부터 받는다.
회동 레버(33)는 메인 로프(19)의 단부가 접속된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와, 변위체(34)의 일단부가 접속된 변위체용 장착부(33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는 지지축(36)의 로프 멈춤 장치(21) 측(지지축(36)의 받이 부재(24)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33b)는 지지축(36)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받이 부재(24)는 조정 부재(38)와 회동 레버(3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37)는 받이 부재(24)를 관통하고 있다. 또, 로드(37)는 받이 부재(24)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가압 스프링(35)은 조정 부재(38)와 받이 부재(24)와의 사이에 줄어들어 있다.
회동 레버(33)는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변위체(34)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압 스프링(35)은 변위체(34)의 받이 부재(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 위에 거스르는 방향(즉, 메인 로프(19)의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변위체(34)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로드(37)는 가압 스프링(35)의 가압력을 인장력으로서 받는다. 또, 받이 부재(24)는 변위체(34)에 대하는 가압력의 반력을 가압 스프링(35)으로부터 받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변위체(34)가 가압 스프링(27)의 가압력을 인장력으로서 받게 되어 있으므로, 로프 멈춤 장치(21)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변위체(26)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로프 멈춤 장치(22)도 로프 멈춤 장치(21)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각 회동 레버(25, 33)는 상부 프레임(16)에 설치된 공통의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축(45)은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레버(25)는 메인 로프(18)의 단부가 접속된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와, 변위체(26)의 일단부가 접속된 변위체용 장착부(25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는 지지축(45)의 로프 멈춤 장치(22) 측(지지축(45)의 받이 부재(23)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25b)는 지지축(28)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회동 레버(33)는 메인 로프(19)의 단부가 접속된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와, 변위체(34)의 일단부가 접속된 변위체용 장착부(33b)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는 지지축(45)의 로프 멈춤 장치(21) 측(지지축(45)의 받이 부재(24)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위체용 장착부(33b)는 지지축(45)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각 회동 레버(25, 33)가 공통의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구조의 복잡화나 코스트의 상승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회동 레버(25, 33)가 공통의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회동 레버(25, 33)가 공통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권상기(6)는 권상기 본체(8)와, 권상기 본체(8)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51) 및 제2 구동 쉬브(52)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8)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51, 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쉬브(51, 52)는, 공통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 제1 구동 쉬브(51)의 근방에는 제1 디플렉션 쉬브(53)가 설치되고, 제2 구동 쉬브(52)의 근방에는 제2 디플렉션 쉬브(5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51) 및 제1 디플렉션 쉬브(53)에는 한쪽의 메인 로프(18)가 감겨져 있다. 또, 제2 구동 쉬브(52) 및 제2 디플렉션 쉬브(54)에는 다른 쪽의 메인 로프(19)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 메인 로프(18, 19)에 의해 매달려 있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로프 멈춤 장치(21, 22)는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로프 멈춤 장치(21, 22)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의 지지축(28)에 대한 위치와, 메인 로프용 장착부(33a)의 지지축(36)에 대한 위치가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측에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로프 멈춤 장치(21, 22)는 변위체용 장착부(25b)의 지지축(28)에 대한 위치와, 변위체용 장착부(33b)의 지지축(36)에 대한 위치가 상하 방향에 대해 각각 동일 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위체(26, 34)는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예에서는 메인 로프용 장착부(25a, 33a)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축(28, 36)으로부터 각각 돌출하고, 변위체용 장착부(25b, 33b)는 지지축(28, 36)의 위쪽으로 각각 돌출하고 있다. 또, 변위체(26, 34)는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메인 로프(18, 19)의 각 단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로프 멈춤 장치(21, 22) 사이에는 각 가압 스프링(27, 35)을 통하여 각 변위체(26, 34)에 연결된 공통의 받이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받이 부재(55)는 변위체(26)에 대한 가압력의 반력과, 변위체(34)에 대하는 가압력의 반력을 가압 스프링(27, 35)의 각각으로부터 받는다. 또, 받이 부재(55)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6)에는 받이 부재(55)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통 모양의 안내 부재(56)가 설치되어 있다. 받이 부재(55)는 안내 부재(56) 내가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각 가압 스프링(27, 35)을 통하여 각 변위체(26, 34)에 연결된 공통의 받이 부재(55)가 엘리베이터 칸(2)에 설치되고, 받이 부재(55)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가압 스프링(27, 35)의 각 가압력이 서로 균형을 맞추어, 메인 로프(18, 19)의 각 장력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승객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칸 실(13) 내의 구석에 집중해 엘리베이터 칸(2)에 편하중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메인 로프(18, 19)의 각 장력의 편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1 권상기(61) 및 제2 권상기(62) 의 각각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1 권상기(61)는 권상기 본체(63)와, 권상기 본체(63)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64)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62)는 권상기 본체(65)와 권상기 본체(6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66)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쉬브(64, 66)는 서로 동기(同期)하여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제1 및 제2 권상기(61, 62)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64, 66)를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구동 쉬브(64)의 근방에는 제1 디플렉션 쉬브(67)가 설치되고, 제2 구동 쉬브(66)의 근방에는 제2 디플렉션 쉬브(6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64) 및 제1 디플렉션 쉬브(67)에는 한쪽의 메인 로프(18)가 감겨져 있다. 또, 제2 구동 쉬브(66) 및 제2 디플렉션 쉬브(68)에는 다른 쪽의 메인 로프(19)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메인 로프(18, 19)에 의해 매달려 있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16)에는 각 가압 스프링(27, 35)을 통하여 각 변위체(26, 34)에 연결된 공통의 받이 부재(69)가 설치되어 있다. 받이 부재(69)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부 프레임(16)에는 받이 부재(69)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받이 부재(69)는 회동 레버(25)와 조정 부재(31)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받이부(69a)와, 회동 레버(33)와 조정 부재(38)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받이부(69b) 와, 각 회동 레버(25, 33)를 피해 제1 및 제2 받이부(69a, 69b)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69c)를 가지고 있다. 제1 받이부(69a)에는 로드(30)가 변위 가능하게 관통하고, 제2 받이부(69b)에는 로드(37)가 변위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안내 부재(70)는 받이 부재(69)의 상하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 부재이다. 받이 부재(69)는 각 돌기 부재가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각 가압 스프링(27, 35)을 통하여 각 변위체(26, 34)에 연결된 공통의 받이 부재(69)가 엘리베이터 칸(2)에 설치되고, 받이 부재(69)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가압 스프링(27, 35)의 각 가압력이 서로 규형을 맞추게 되어, 메인 로프(18, 19)의 각 장력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구동 쉬브(64, 66)의 각 회전의 동기가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도 메인 로프(18, 19)의 각 장력의 편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및 제2 권상기(61, 62) 중 어느 한쪽으로 부하가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프 멈춤 장치(21, 22)가 엘리베이터 칸(2)에 설치되어 있지만, 균형추(3)에 로프 멈춤 장치(21, 22)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등의 승강체를 매달기 위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 로프 및
    상기 메인 로프의 단부가 접속되어 상기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상기 승강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승강체에 대해서 회동되는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강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와, 상기 메인 로프의 단부에 대한 상기 승강체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상기 변위체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가지고, 상기 승강체에 설치된 로프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는 상기 회동 레버에 접속된 변위체 본체와, 상기 변위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체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조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은 상기 조정 부재의 상기 변위체 본체에 대한 위치의 조정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는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을 압축력으로서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는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을 인장력으로서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상기 승강체에는 각 상기 메인 로프가 접속된 복수의 상기 로프 멈춤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회동 레버는 공통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한 쌍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한쪽의 상기 메인 로프가 접속된 상기 로프 멈춤 장치와, 다른 쪽의 상기 메인 로프가 접속된 상기 로프 멈춤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로프의 각 단부에 대한 상기 승강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각 상기 변위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체에는 각 상기 가압체를 통하여 각 상기 변위체에 연결된 공통의 받이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받이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KR1020087012547A 2006-03-07 2006-03-07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KR101012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4333 WO2007102196A1 (ja) 2006-03-07 2006-03-07 エレベータの吊り下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808A true KR20080078808A (ko) 2008-08-28
KR101012254B1 KR101012254B1 (ko) 2011-02-08

Family

ID=3847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547A KR101012254B1 (ko) 2006-03-07 2006-03-07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92582A4 (ko)
JP (1) JP5079495B2 (ko)
KR (1) KR101012254B1 (ko)
CN (1) CN101321680A (ko)
WO (1) WO2007102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1353A (zh) * 2010-05-13 2011-11-16 北京安泰通达电梯服务有限公司 家用电梯
FI20115641L (fi) 2011-06-22 2012-12-23 Kone Corp Hissin vetoelimen kiristysjärjestely
JP2013180868A (ja) * 2012-03-02 2013-09-12 Hitachi Ltd 省スペース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1193A (en) * 1941-11-03 1943-02-11 Asea Electric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ists, cranes, lifts and the like lifting apparatus
JPS4924142Y1 (ko) * 1970-12-26 1974-06-28
JPS5247394Y2 (ko) * 1972-05-31 1977-10-27
JPS59133571U (ja) * 1983-02-23 1984-09-0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補償ロープ取付装置
JP2001247277A (ja) * 2000-02-09 2001-09-11 Otis Elevator Co デッドエンドヒッチ
JP2005212941A (ja) * 2004-01-28 2005-08-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主索の連結装置
JPWO2006018868A1 (ja) * 2004-08-18 2008-05-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254B1 (ko) 2011-02-08
JP5079495B2 (ja) 2012-11-21
WO2007102196A1 (ja) 2007-09-13
EP1992582A1 (en) 2008-11-19
EP1992582A4 (en) 2013-03-13
JPWO2007102196A1 (ja) 2009-07-23
CN101321680A (zh)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0321C2 (ru)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CN105438924B (zh) 升降系统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513942A (ja) エレベータ
KR20140053810A (ko) 리프트 설비
JP2007501756A5 (ko)
JPH041213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6238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012254B1 (ko)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JP2004115184A (ja) エレベータの釣合補償用索状体案内装置
KR20140035485A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JP6318022B2 (ja) エレベーター
JP200124033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445692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JP2018167953A (ja) ガバナロープ張力調整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JPH05155560A (ja) かご枠自動重心補正装置
KR1012087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46034B2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チェーンガイド装置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JP2023136369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装置
US11807497B2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