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471A -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 Google Patents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471A
KR20080071471A KR1020070041526A KR20070041526A KR20080071471A KR 20080071471 A KR20080071471 A KR 20080071471A KR 1020070041526 A KR1020070041526 A KR 1020070041526A KR 20070041526 A KR20070041526 A KR 20070041526A KR 20080071471 A KR20080071471 A KR 2008007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ing
heating
rotation
arm
scrap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163B1 (ko
Inventor
도쿠지 가지와라
히사오 에하라
Original Assignee
가지와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지와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지와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에서도, 혼합효율의 저하, 타서 붙는 것이나 변질 혹은 혼합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피각반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용기(3), 이 가열용기(3)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선단에 긁어내기 날개(39)를 가지는 각반부(5), 이 각반부(5)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가열용기(3) 내의 피각반물을 각반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7)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7)는 상기 각반부(5)를 정회전 및 반회전시켜서, 상기 반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상기 피각반물을 막형상 혹은 층형상으로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열용기, 각반부, 구동모터, 정회전, 반회전, 날개, 긁어내기, 문지르기, 경사배치, 아암, 피각반물, 팥소

Description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Smearing-with-and-scraping-off type heating and stirring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을 도시하며,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사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도 4의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의 동작을 도시하며, (a)는 정회전시, (b)는 반회전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가열각반시의 가열용기와 피각반물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사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사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주요 부분의 설명}
1 :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3 : 가열용기
5 : 각반부 7 : 구동모터
9 : 제어박스 35 : 회전축
37 : 아암 39 : 긁어내기 날개
41 : 코일 스프링 65 : 결합핀
75, 83, 85 : 규제핀 81 : 느슨결합 오목부
87 : 결합 오목부
본 발명은 식재료 등을 가열하면서 각반가능한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긁어내기 방식의 가열각반솥으로는, 예를 들면 가열용기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각반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러한 긁어내기식 가열각반솥은 가열용기 내에 식재료 등의 피각반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면서 선단에 긁어내기 날개 를 가진 각반부를 회전구동하여 가열용기 내의 피각반물을 가열각반할 수 있다. 가열각반은 회전하는 각반부가 가열된 피각반물을 가열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피각반물 전체를 혼합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긁어내기식 가열각반솥에서는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을 가열각반하면, 피각반물이 각반부와 함께 회전하여 혼합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피각반물은 대부분이 긁어내기식 날개에 의해 긁어내어지지만, 소량의 긁어낸 후에 잔류하는 피각반물이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한다. 잔류한 피각반물이 상기와 같이 함께 회전하면, 새로운 피각반물이 가열용기의 내주면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타서 붙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긁어낼 때에는 일반적으로 각반부의 긁어내기 날개의 뒷면에 피각반물이 부착한다. 긁어내기 날개의 뒷면은 피각반물의 교체가 적고, 고온상태로 체류된다. 이 때문에 부착되어 체류된 피각반물이 가열각반의 진행에 동반하여 고형물 등으로 변질할 우려가 있다.
또한, 유동성이 비교적 좋은 피각반물이어도, 각반부 자체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축과 함께 회전하여 그 각반부 자체나 축에도 피각반물이 부착한다. 이 부착된 피각반물에 의해 전체로서 혼합불량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 특허문헌 : 일본 특허공개 2002-453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종래의 긁어내기식 가열각반솥에서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의 혼합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타서 붙거나 변질 혹은 혼합불량 등이 생기기 쉬운 점이다.
본 발명은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에서도 혼합효율의 저하, 타서 붙거나 변질 혹은 혼합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피각반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용기, 이 가열용기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선단에 긁어내기 날개를 가진 각반부, 및 이 각반부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가열용기 내의 피각반물을 각반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각반부를 정회전 및 반회전시켜서, 상기 반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상기 피각반물을 막형상 혹은 층형상으로 바르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한다.
(실시예 1)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을 도시하고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1)은 유동성이 있는 피각반물의 가열각반에 이용되며, 특히 유동성이 나쁜 피각반물, 예를 들면 함수분체나 팥소 등의 분체나 고체 또는 점성이 높은 물질 혹은 소성유동하는 물질 등의 가열각반에 사용되는 것이다. 단, 유동성이 좋은 피각반물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1)은, 도 1 ~ 도 3과 같이, 가열용기(3), 각반부(5), 구동수단인 구동모터(7), 제어박스(9), 유압유닛(11), 배관유닛(12)을 지 지프레임(15)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5)은 덮개수용부(17)가 일체로 설치되어, 다리부(19)에 의해 플로어(1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19)에, 예를 들면 로드셀 등으로 구성된 중량센서(23)가 설치되어 있어서, 가열용기(3), 각반부(5), 구동모터(7), 제어박스(9), 유압유닛(11), 덮개수용부(17) 등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5) 상의 전중량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량측정에 의해, 가열용기(3) 내의 식재료의 가열조리에 따른 수분증발량 등을 연산하여,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1)의 자동가열각반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열용기(3)는 눕혀진 원통부(25) 상에 호퍼(27)를 설치한 것이다. 가열용기(3)는 지지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도 3의 2 점 쇄선과 같이, 유압유닛(11)의 유압실린더(29)에 의해 경동(傾動)회전된다. 가열용기(3)는 상단개구로부터 식재료 등의 피각반물이 투입되어, 상기 경동에 의해 상단개구로부터 가열각반 후의 피각반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단개구에는 착탈가능하게 분할덮개(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외주에는 가열 및 냉각용의 유체자켓(33)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부(25)의 축심부에는 회전축(35)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5)은 구동모터(7)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35)에는 소정각격으로 각반부(5)가 부착되어, 회전구동에 의해 가열용기(3) 내의 피각반물을 각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반부(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구동모터(7)는 회전축(35)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7)는 제어박스(9)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주기마다 정회전 및 정회전과는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반회전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박스(9)는 구동모터(7)의 동작 외에, 가열용기(3)의 유체자켓(33)으로의 증기의 공급, 유압유닛(11)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각반부의 상세한 구성]
도 4는, 도 1의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각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이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긁어내기 날개의 동작을 도시하고, 도 6(a)는 정회전시, 도 6(b)는 반회전시의 단면도이다.
상기 각 각반부(5)는, 도 1 ~ 도 5와 같이, 아암(37)과 이 아암(3)의 선단에 설치된 긁어내기 날개(39)와 아암(37)과 긁어내기 날개(39)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4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암(37)은 기단측에 설치된 클램프부(43)에 의해 회전축(35)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아암(37)의 선단에는 긁어내기 날개(39) 부착용의 브라켓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부(45)는 상기 회전축(35)의 축심에 대하여 θ의 각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설정각도 θ = 약 30°로 되어 있다. 단, 설정각도 θ는 임의이다.
상기 브라켓부(45)는 판형상의 기부(47)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7)에 각반부(5)의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전방 측단부로부터 종벽부(49)가 아암(37)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47)는 종벽부(49)에 인접하여 봉형상의 스프링시이트(51)가 아암의 축방향을 따라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벽부(49)의 폭방향 양측(지면 직행방향 양측)에는 긁어내기 날개(39)의 회전방향 후방측으로 향하여 대향벽(53)이 설치되어 있다. 대향벽(53)의 하부측에는, 상기 스프링시이트(51)에 대하여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편의(偏倚)되어 배치된 구멍(5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벽(53)에는 종벽부(49)측의 단부에 스토퍼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56)의 하단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스토퍼면(6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긁어내기 날개(39)는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후방(화살표 a 방향)으로 뒤로 경사지도록 경사배치되어 있다. 긁어내기 날개(39)는 아암(37)의 브라켓부(45)에 결합된 결합부(59)에 날개부(61)가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9)는 일단이 브라켓부(45)의 대향벽(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59)의 일단은 브라켓부(45)의 대향벽(53)의 구멍(55)에 대응하여 관통형성된 구멍(63)을 구비하여, 이 구멍(63)과 브라켓부(45)의 구멍(55)의 사이에 결합핀(65)이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긁어내기 날개(39)는 아암(37)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59)에는 상기 브라켓부(45)의 스토퍼부(56)와 대향하는 면에 접촉면(64)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64)에는 브라켓부(45)의 스프링시이트(51)에 대향하는 돌출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9)의 타단측에는 날개부(61)가 볼트(6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날개부(61)의 선단은 긁어내기 날개(39)의 경사상태에서 가열용기(3)의 내주 면(57)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41)은 스프링시이트(51)에 의해 브라켓부(45)의 기부(47)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41)은 브라켓부(45)의 스프링시이트(51) 주위에 배치되어 축심부를 스프링시이트(51)가 삽통하고 있다. 코일스프링(41)과 긁어내기 날개(39)의 돌출부(67)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실린더(71)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71)는 일단이 코일스프링(41)에 접촉하고 타단이 긁어내기 날개(39)의 돌출부(67)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71)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을 돌출부(67)를 거쳐서 긁어내기 날개(39)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41)은, 도 6(a)와 같이, 정회전시 및 정지시에 실린더(71)를 거쳐서 긁어내기 날개(39)를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측으로 눌러 탄성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71)는 긁어내기 날개(39)가 반회전하면, 도 6(b)와 같이, 긁어내기 날개(39)의 돌출부(67)에 의해 눌려 올라가고,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긁어내기 날개(39)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搖動)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긁어내기 날개(39)는 각반부(5)의 정회전시에 돌출부(67)가 브라켓부(45)의 스토퍼부(56)에 접촉하여,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근접방향으로 요동을 일정범위 내로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반부(5)의 반회전시에는 상기 접촉면(64)이 브라켓부(45)의 스토퍼(56)의 스토퍼면(62)에 접촉하여, 긁어내기 날개(39)의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이반하는 방향으로 요동을 일정범위 내로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긁어내기 날개(39)의 일정범위에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전방측에서, 긁어내기 날개(39)와 브라켓부(45)가 이루는 각도 α가 143°이고, 반회전시의 회전방향 후방측에서 긁어내기 날개(39)와 브라켓부(45)가 이루는 각도 β는 132°이며, 11°의 범위로 긁어내기 날개(39)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각도 α 및 β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고, 요동가능각도도 각도 α 및 β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린더(71)의 일단측 내부에는 스프링시이트(51)의 선단이 삽입되어 있고, 축방향을 따라서 스프링시이트(51)에 안내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71)의 타단측은 관통형성된 구멍(73)을 구비하여, 내부로 유입한 피각반물을 유출가능하게 하고 있다.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의 작용]
도 7은 가열각반시의 가열용기와 피각반물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각반물로서 수분을 함유한 점성이 높은 팥소제조용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재료를 가열각반할 때에는 미리 가열용기(3)의 분할덮개(31)를 분리하고, 분할덮개(31)를 덮개수용부(17)로 수용해 둔다. 그리고, 개구된 가열용기(3)의 상방개구로부터 재료를 투입한다. 이 때, 중량센서(23)에 의해 투입재료의 투입중량이 검출된다. 중량검출시에는 분리한 분할덮개(31)도 포함하여 검출되어, 분할덮개(31)의 장착후에 가열각반중의 중량검출제어시에 분할덮개(31)의 탈착을 고려한 연산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소프트웨어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배관유닛(12)은 플렉시블 파이프(32)에 의해 지지프레임(15) 측에 대하여 독립하여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센서(23)에 의한 중량검출시에 배관유닛(12)의 중량의 영향을 받는 것이 억제되어, 정확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재료투입후에는 분할덮개(31)를 가열용기(3)의 상방개구에 다시 장착하고, 제어박스(9)에 의해 구동모터(7)를 구동제어한다. 관련된 제어에 의해, 각반부(5)를 소정의 주기마다 정회전 및 반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정회전을 3 회전시킨 후, 반회전을 3 회전시키고, 수분증발에 의해 재료가 목적하는 중량으로 되기까지 이것을 반복한다. 단, 정회전 및 반회전의 회전수는 재료, 가열로 수분이 쫄아든 상태, 혼합 상태 등에 따라서 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회전을 2 회 회전시킨 후 반회전을 2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정회전과 반회전을 소정주기 마다 반복하면, 역방향의 회전력에 의해 재료가 각반부(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 혹은 해소할 수 있고, 재료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회전시에는 각반부(5)의 긁어내기 날개(39)에 의해 재료의 긁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 즉, 긁어내기 날개(39)는 회전방향 후방측으로 뒤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긁어내기 작용을 위한 각도가 예각을 이루면서 미끄럼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긁어내기 날개(39)는 재료를 가열용기(3) 내주면(57)으로부터 이반하도록 안내유동시킨다. 따라서, 재료는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서 가열된 부분과 그 내측의 가열되지 않은 부분이 혼합되어 전체로서 가열각반을 행한다.
또한, 정회전시에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과 함께 재료의 저항에 의해 긁어내기 날개(39)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눌려지므로 확실하게 긁어내기를 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반회전시에는 각반부(5)의 긁어내기 날개(39)에 의해 재료의 문지르기를 행할 수있다. 즉, 긁어내기 날개(39)는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후방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반회전시의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한 긁어내기 작용을 위한 각도가 둔각을 이루면서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긁어내기 날개(39)는 내측의 비가열 재료를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측을 향하여 안내유동시킨다.
유동한 재료는 긁어내기 날개(39)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눌려지고, 긁어내기 날개(39)의 선단과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사이로 들어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문질러진다. 이 때, 긁어내기 날개(39)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으로부터 선단이 이반하도록 요동하여 떠오르고, 또한 접촉면(64)이 아암(37) 측의 스토퍼면(62)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따른 반력을 재료에 대한 문지름력으로서 확실하게 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료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막형상 또는 층형상으로 확실하게 발라지게 된다.
발려진 재료(58)는, 도 7과 같이, 정회전 긁어내기시에 잔류한 재료(6)의 위에 발라진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잔류재료(60)는 위에 발라진 재료(58)로부터 수분이동이 행해지고, 위에 발라진 재료(58)로의 열이동이 일어나, 과열이 방지된다. 따라서, 잔류재료(60)는 수분이동과 열이동에 의해 타서붙는 것이 방지된다. 잔류 재료(60)는 수분이동에 의해 팽연(膨軟)상태로 되어, 다음의 정회전시에 용이하게 긁혀지게 된다.
상기 반회전시에는 정회전시에 사용되지 않았던 긁어내기 날개(39)의 뒷면을 사용하여 재료의 문지르기 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재료가 긁어내기 날개(39)의 뒷면을 미끄러지도록 이동하고, 이 부분으로의 재료의 부착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회전과 반회전에 의해, 반회전시에 운동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재료에 역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므로, 각반부(5)의 아암(37)이나 회전축(35) 등과 재료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착된 재료도 유동시켜서 부착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정회전시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상의 가열된 재료는 긁어내기 날개(39)에 의해 내주면(57)에 의해 긁어내기 날개(39)로 이동한다. 내주면(57) 상에는 소량의 재료가 잔류하지만, 이 잔류재료(60)가 과열(타서 붙음)되기 전에 각반부(5)를 반회전시킨다. 이 때, 재료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긁어내기 날개(39)가 역방향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재료가 운동을 멈춘 정지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회전의 관성을 파괴하고, 긁어내기 날개(39)와 재료와의 공동회전을 해소할 수 있다. 그 후, 긁어내기 날개(39)의 반대면인 뒷면이 재료를 누르도록 동작한다.
긁어내기 날개(39)는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한 긁어내기 작용을 위한 각도가 예각을 이루어, 긁어내기시에 재료를 표면으로부터 이동시키기 쉽게 한다. 이 긁어내기 날개(39)를 반회전시키면, 긁어내기 날개(39)는 회전방향 전방에 있는 재료를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문지르는 동작을 한다. 긁어내기 날개(39)는 가동식으로 되어 있고, 정회전 긁어내기시에 코일스프링(41)에 의해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눌려져 있지만, 반회전 문지르기 시에 내주면(57)으로부터 떠오른다. 이 떠오름에 의해, 가열되지 않은 수분을 함유한 재료(피각반물)를 내주면(57)에 문지를 수 있다.
따라서, 정회전시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상에 잔류한 재료(60)는 문질러진 재료(피각반물)(58)와 혼합되어 단독으로의 가열이 억제된다. 즉, 잔류재료(60)는 가열용기(3)의 내주면에 문질러진 재료(58)와 함께 가열되고, 다시 한 번 정회전으로 절환된 때에 긁혀져서 주위의 재료와 합일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정회전과 반회전을 절환하므로써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서의 재료(피각반물)의 과열, 타붙기 등을 억제하고, 전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동회전에 의한 혼합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결과]
가열각반시에 정회전만 행한 경우와 정회전과 반회전을 행한 경우의 실험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험결과는 각반부(5)의 회전속도를 15 rpm, 정회전 및 반회전을 각각 3 회전주기, 재료를 백생(白生)팥소 80 Kg, 그라뉴당 44 Kg, 계란 노른자 12 Kg, 물 5.3 Kg으로 제조한 황미(黃味)팥소로부터 얻은 것이다.
정회전만을 행한 경우는 재료가 긁어내기 날개(39)와 함께 회전하여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을 미끄러지는 상태로 되었다. 이 때문에, 가열용기(3) 내에서 재료가 유동하지 않고, 각반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이 미끄럼 상태에서도,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의해 재료를 가열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재료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과 부분적으로 접촉할 뿐이므로 재료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료의 가열효율도 현저하게 낮아졌다. 결과로서, 가열각반시간이 2 시간 30 분으로 장시간으로 되었다.
이 경우, 긁어내기시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잔류한 재료만이 가열되는 국부가열을 발생하여,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전면에 타서붙는 일이 생겼다.
한편, 정회전을 3 회 행하고, 반회전을 3 회 행한 경우는 정회전에 의해 재료의 공동회전이 발생하는 회전수에서 반회전되어 재료의 공동회전이 해소되어, 혼합각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혼합효율 및 가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가열각반시간이 1 시간 20 분으로 정회전만의 경우의 53% 정도의 단시간으로 할 수 있었다. 또한, 타서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품질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제 2 실험결과는 각반부(5)의 회전속도를 15 rpm, 정회전 및 반회전을 각각 2 회전주기, 재료를 소두생(小豆生)팥소 82.8 Kg, 그라뉴당 49.7 Kg, 상백당(上白糖) 6.6 Kg, 상남분(上南粉) 2.65 Kg, 상용분(上用粉) 2.65 Kg으로 제조된 촌우(村雨)팥소로부터 얻은 것이다.
이 제 2의 실험결과도 제 1의 실험결과와 같았다.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을 가열용기(3)에 수용하고, 가열하 면서 선단에 긁어내기 날개(39)를 가진 각반부(5)를 구동모터(7)에 의해 회전구동시켜서, 피각반물의 가열각반을 행할 수 있다. 가열각반시에는 구동모터(7)가 각반부(5)를 정회전 및 반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각반물이 각반부(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혼합효율의 저하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1)은 상기 반회전에 의해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피각반물을 막형상 또는 층형상으로 바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회전 긁어내기시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부착잔류한 피각반물에 대하여, 수분이 보다 많은 비가열의 피각반물을 위에 발라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한 피각반물에 따라 타서붙은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계에서는 정회전 및 반회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가열각반시에 긁어내기 날개(39)의 표면과 뒷면의 쌍방을 사용하여 긁어내기 날개(39)로의 피각반물의 부착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긁어내기 날개(39)에 부착잔류한 피각반물이 가열각반의 진행에 의해 변질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회전과 반회전으로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기 때문에, 각반부(5)의 아암(37)이나 회전축(35) 등과 피각반물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각반물의 혼합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회전과 반회전으로 아암(37)이나 회전축(35) 등에 부착한 피각반물도 유동시킬 수 있어서, 부착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37)이나 회전축(35) 등에 부착체류한 피각반물이 가열각반의 진행에 따라서 혼합부족 또는 변질(농축, 건조 등)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긁어내기 날개(39)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후방으로 뒤로 경사지도록 경사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회전시에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측을 향하여 확실하게 유동시키고,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피각반물을 보다 확실하게 막형상 또는 층형상으로 바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긁어내기 날개(39)가 회전방향 전후로 일정범위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반회전시에 긁어내기 날개(39)가 가열용기(3)로부터 이반하도록 요동하고,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에 대하여 피각반물을 보다 확실하게 막형상 또는 층형상으로 바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7)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35)에 지지된 아암(37)의 선단에 각반부(5)를 결합핀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고, 또한 아암(37)과 긁어내기 날개(39) 사이에 긁어내기 날개(39)를 회전탄성압축시켜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측으로 누르는 코일스프링(41)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정회전시에 긁어내기 날개(39)를 가열용기(39)의 내주면(57)에 확실하게 눌러서 긁어내기를 행하면서, 반회전시에 긁어내기 날개(39)를 일정 범위로 확실하게 요동시켜서, 재료에 대하여 긁어내기와 바르기를 교대로 반복하는 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이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이, 코일스프링(41) 대신에, 아암(37A) 측 및 긁어내기 날개(39A) 측에 설치된 규제핀(75)과 결합부(77)에 의해 긁어내기 날개(39A)의 일정 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즉, 각반부(5A)의 아암(37A)의 선단에는 결합핀(65) 및 규제핀(75)이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긁어내기 날개(39)는 결합핀(65)과 규제핀(75) 사이에 지지된 결합부(59A)에 날개부(61A)가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59A)는 일단에 결합핀(65A)과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결합오목부(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오목부(79)가 결합핀(65A)에 결합하므로써, 긁어내기 날개(39A)는 결합핀(65A)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합부(59A)의 타단에는 규제핀(75) 보다도 긁어내기 날개(39A)의 회전방향으로 크게 형성된 결합부로서의 느슨끼움(遊嵌) 오목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느슨끼움 오목부(81)가 규제핀(75)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긁어내기 날개(39A)는 일정범위 이상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긁어내기날개(39A)는 정회전시에 피각반물의 저항에 의해 가열용기(3)의 내주면(57)측에 눌려져서, 긁어내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반회전시에 피각반물의 저항에 의해 내주면(57)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피각반물을 내주면(57)으로 문지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 범위에서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코일스프링(41)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변형예]
도 9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관한 것이고,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에 이용되는 긁어내기 날개 및 그 부착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9와 같이, 긁어내기 날개(39B)의 회전방향의 양측에 규제핀(83, 85)을 설치하여, 이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긁어내기 날개(39B)의 일정범위에서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긁어내기 날개(39B)에는 일측의 규제핀(85)과 대응하여 결합오목부(87)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오목부(87)는 긁어내기 날개(39B)가 타측의 규제핀(83)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규제핀(85)과 결합하여, 긁어내기 날개(39B)를 지지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 요소에 부수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긁어내기 날개는 아암에 대하여 일정범위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피각반물의 물성에 따라서는 아암에 대하여 요동불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긁어내기 날개는 날개부의 선단이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긁어내기를 행하는 접촉형이지만, 가열용기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긁어내기를 행하는 비접촉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비접촉형이어도 긁어내기 날개의 마모를 방지하는 목적으로서의 틈새, 예를 들면 긁어내기 날개와 가열용기(3)의 내주면(57) 사이에 5 ~ 10 mm 정도의 틈새를 두는 경우는 접촉형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용기 내에 식재료 등의 피각반물을 수용하고, 가열하면서 각반부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하여, 가열용기 내의 피각반물을 가열각반할 수 있다. 회전구동시에는 각반부를 정회전 및 반회전시켜서, 피각반물이 각반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반회전에 의해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피각반물을 막형상 혹은 층형상으로 바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성이 높은 피각반물이어도, 혼합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잔류한 피각반물과 그 위에 막형상 혹은 층형상으로 발라진 피각반물을 혼합하여 타서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회전과 반회전을 행하므로써, 긁어내기 날개의 표면과 뒷면의 쌍방을 사용할 수 있고, 긁어내기 날개로의 피각반물의 부착체류를 억제하고, 긁어내기 날개로 피각반물의 부착체류를 억제하여 날개에 장기간 체류하는 것으로 기인하는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회전 및 반회전에 의해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각반부에 대한 피각반물의 공동회전 및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서, 불량혼합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

  1. 피각반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용기;
    이 가열용기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에 긁어내기 날개를 가지는 각반부; 및
    이 각반부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가열용기 내의 피각반물을 각반가능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각반부를 정회전 및 반회전시키고, 상기 반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상기 피각반물을 막형상 혹은 층형상으로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긁어내기 날개는 상기 가열용기의 내주면에 대하여 정회전시의 회전방향 후방으로 뒤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긁어내기 날개는 회전방향 전후로 일정 범위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반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에 지지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긁어내기 날개는 상기 아암의 선단에 결합핀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상기 아암 또는 긁어내기 날개의 어느 일측에 규제핀을 설치하고, 그 타측에 상기 규제핀에 대하여 일정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느슨결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반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에 지지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긁어내기 날개는 상기 아암의 선단에 결합핀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상기 아암과 긁어내기 날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긁어내기 날개를 회전가압하여 상기 가열용기의 내주면측으로 누르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KR1020070041526A 2007-01-30 2007-04-27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교반솥 KR101331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8825 2007-01-30
JP2007018825A JP4226630B2 (ja) 2007-01-30 2007-01-30 掻取り押し付け式加熱撹拌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71A true KR20080071471A (ko) 2008-08-04
KR101331163B1 KR101331163B1 (ko) 2013-11-20

Family

ID=3972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26A KR101331163B1 (ko) 2007-01-30 2007-04-27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교반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26630B2 (ko)
KR (1) KR101331163B1 (ko)
CN (1) CN1012339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310A (ko) * 2009-02-18 2010-08-26 가지와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반조리장치
KR202201065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6717B2 (ja) * 2014-09-18 2018-04-25 株式会社カジワラ 攪拌装置
JP6219995B2 (ja) * 2016-02-29 2017-10-25 株式会社カジワラ 掻取押付式加熱撹拌装置
JP6368345B2 (ja) * 2016-10-25 2018-08-01 株式会社カジワラ 掻取撹拌装置
JP2018121849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フジワラテクノアート 掻き取り器を有する加熱攪拌装置
JP7112718B2 (ja) * 2018-06-07 2022-08-04 株式会社品川工業所 撹拌装置
JP7454403B2 (ja) 2020-02-26 2024-03-22 日本アイリッヒ株式会社 スクレーパ保持装置、および原料攪拌装置
CN114271451B (zh) * 2021-12-07 2022-09-02 山东海波海洋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鱼罐头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524U (ja) * 1981-08-07 1983-02-14 桐山工業株式会社 煮炊釜に於ける撹拌装置
CN2286966Y (zh) * 1996-11-12 1998-08-05 台山市威艺电子实业公司 一种搅拌器的搅拌片
JPH11267482A (ja) * 1998-03-20 1999-10-05 Taiheiyo Kiko Kk 横軸型ミキサ
JP2006000419A (ja) * 2004-06-17 2006-01-05 Shinagawa Kogyosho:Kk 食品の製造装置
CN2772387Y (zh) * 2005-01-17 2006-04-19 刘知东 卧式加热搅拌锅
CN2807991Y (zh) * 2005-05-08 2006-08-23 刘知东 全自动加热搅拌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310A (ko) * 2009-02-18 2010-08-26 가지와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반조리장치
KR202201065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3906A (zh) 2008-08-06
JP4226630B2 (ja) 2009-02-18
CN101233906B (zh) 2012-10-10
JP2008183176A (ja) 2008-08-14
KR101331163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471A (ko) 긁어내고 문지르는 방식의 가열각반솥
KR101956550B1 (ko) 교반조리장치
KR102002677B1 (ko) 자동 투여 장치
WO2018129634A1 (zh) 智能自动化烹饪及定量出料的装置
TW201900087A (zh) 自動炒菜機
JP6386686B1 (ja) 掻取羽根
GB2205047A (en) Food mixer and blender
JP2008132498A (ja) 撹拌装置
CN106361170B (zh) 一种全自动烤饼机
CN102481071A (zh) 自动制面包机
GB2488335A (en) Mixer for use in a microwave oven
JP6368345B2 (ja) 掻取撹拌装置
JP6227032B2 (ja) 掻取式加熱撹拌装置
JP2007014563A (ja) 炒め装置
JP6219995B2 (ja) 掻取押付式加熱撹拌装置
JP7217500B2 (ja) 掻取羽根
CN110456682A (zh) 一种滚筒炒菜机及其烹饪方法和计算机存储介质
CN213221738U (zh) 一种具有恒温功能的面团延伸剂制备用搅拌装置
JP6186028B1 (ja) 掻取羽根
JP5834209B2 (ja) 自動製パン機
JP7175490B2 (ja) 掻取羽根
CN216935638U (zh) 一种调味品炒料搅拌装置
CN219920821U (zh) 自动煮粥机
CN219333978U (zh) 一种盘式振动搅拌机
JPH0716724U (ja) 食品用攪拌機の羽根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