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726A -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 - Google Patents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726A
KR20080070726A KR1020087012983A KR20087012983A KR20080070726A KR 20080070726 A KR20080070726 A KR 20080070726A KR 1020087012983 A KR1020087012983 A KR 1020087012983A KR 20087012983 A KR20087012983 A KR 20087012983A KR 20080070726 A KR20080070726 A KR 2008007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ide
less
resistant alloy
heat
creep ru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375B1 (ko
Inventor
마코토 다카하시
구니히데 하시모토
마코토 히네노
Original Assignee
구보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구보다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7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01B3/38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the catalyst being continuously externally h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constructed of material selected for its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being installed in a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6Making non-ferrous alloys with the use of special agents for refining or deoxid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01J2219/025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reactor vessel proper
    • B01J2219/0277Metal based
    • B01J2219/029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1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ustion of fuel
    • C01B2203/0816Heating by fl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Catalysts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중량 %로, C : 0.6%를 넘고 0.9% 이하, Si : 2.5% 이하, Mn : 3.0% 이하, Cr:20∼28%, Ni:8∼55%, Ti:0.01∼0.8%, Nb:0.05∼1.5%,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Nb)/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Zr : 0.5%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경우는, (Ti+Nb+Zr)/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이 합금은 약 8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입자 내에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고, 이에 의해 크리프 변형이 지연되어, 크리프 파단 강도가 향상되므로, 수소 제조용 개질관의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Description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HEAT-RESISTANT ALLOY CAPABLE OF DEPOSITING FINE Ti-Nb-Cr CARBIDE OR Ti-Nb-Zr-Cr CARBIDE}
본 발명은 내열 합금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조(鑄造) 후의 가열에 의해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이 석출되고, 이에 의해 고 크리프(creep) 파단 강도를 가지는 내열 합금 및 상기 내열 합금을 이용한 수소 제조용 개질관에 관한 것이다.
수소 제조 장치는, 혼합된 탄화 수소와 수증기를, 개질 노(爐)의 개질관 내에 도입하고, 촉매를 통한 개질 반응에 의해, 수소가 풍부한 개질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개질관 내에서의 개질 반응은 약 800∼1000℃의 고온 및 약 10∼30kgf/㎠의 고압력 조건하에서 행해지고, 그 반응은 흡열 반응이기 때문에, 개질관을 외부로부터 가열하는데 다량의 연료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열 효율을 향상시켜서, 연료 사용량을 저감하는 것은, 작동 비용의 저감뿐만 아니라, CO2 배출량의 저감으로 연결되므로,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 개질관에 이용되는 재료는, 상기의 고 온도 및 고 압력의 조건에 견딜 수 있는 크리프 파단 강도를 구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재료의 크리프 파단 강도가 높을수록, 반응관의 강도 향상에 의한 장기 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의 개질관과 동등한 레벨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개질관의 설계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열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수소 제조용 개질관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 5-230601호 공보는 중량 %로, C : 0.1∼0.6%, Si : 3.0% 이하, Mn : 2.0% 이하, Cr:22∼30%, Ni:22∼50%, Nb:0.2∼1.5%, W : 0.5∼5.0%, Ti:0.01∼0.50%를 포함하고, 잔부 Fe로 이루어지는 내열 합금을 개시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소 57-40900호 공보는, 중량 %로, C:O.25∼0.8%, Ni:8∼62%, Cr:12∼32%, W:0.05% 이상 2% 미만, Ti:0.05% 이상 1% 미만, Si:3.5% 이하, Mn:3% 이하, Nb:2% 이하, N :0.3%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 Fe 로 이루어지는 내열 합금 주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내열 합금으로 제조된 수소 제조용 개질관의 크리프 파단 강도는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발명자 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약 800℃ 이상의 촉매 개질 반응 온도로 미세한 Ti-Nb-Cr 탄화물(Zr을 더 포함하는 경우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시키면, 결정 입자 내에서의 전위 활주의 진전이 지연되어, 크리프 파단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 후의 가열에 의해, 미세한 Ti-Nb-Cr 탄화물(Zr을 더 포함하는 경우는 Ti-Nb-Zr-Cr 탄화물)이 석출되고, 고 크리프 파단 강도를 가지는 내열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내열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조 후의 가열에 의해, 미세한 Ti-Nb-Cr 탄화물(Zr을 더 포함하는 경우는 Ti-Nb-Zr-Cr 탄화물)이 석출되는 내열 합금으로 만들어진 수소 제조용 개질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내열 함금은, 중량 %로, 0.6%를 넘고 0.9% 이하, Si : 2.5% 이하, Mn : 3.0% 이하, Cr:20∼28%, Ni:8∼55%, Ti:0.01∼0.8%, Nb:0.05∼1.5%,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Nb)/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Zr : 0.5% 이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 (Ti+Nb+Zr)/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W : 3% 이하, Mo : 3% 이하 및 B : 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Mg : 0.001∼0.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Ce : 0.00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수소 제조용 개질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표 1에 나타내는 크리프 파단 시간의 시험 결과를 플롯한 그래프이 다.
도 3은, 실시예 No.3의 공시관(供試管)으로부터 잘라낸 시험편의 금속 조직(주조 후)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400)이다.
도 4는, 도 3의 시험편을 1050℃로 가열하여, 24.5MPa의 인장 응력을 100시간 추가한 후의 금속 조직의 광학 현미경 사진(×400)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금속 조직의 TEM 사진(×45000)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금속 조직의 TEM 사진(×90000)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금속 조직의 TEM 사진(×450000)이다.
도 8은, Cr23C6의 형광 X선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Ti-Nb-Cr 탄화물의 형광 X선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중량%로, 0.6%를 넘고 0.9% 이하, Si : 2.5% 이하, Mn : 3.0% 이하, Cr:20∼28%, Ni:8∼55%, Ti:0.01∼0.8%, Nb:0.05∼1.5%,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Nb)/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Zr : 0.5% 이하를 더 포함하고, (Ti+Nb+Zr)/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요망에 의해 W : 3% 이하, Mo : 3% 이하 및 B : 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Mg : 0.001∼0.05%, 및 Ce : 0.00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의 최대 특징은 원자%비로, (Ti+Nb)/C(단, Zr을 포함하는 경우는, (Ti+Nb+Zr)/C)(이하, 간단히 「관계식」이라고 한다)를 0.12∼0.29로 규정한 것에 있다.
이 관계식은, 탄소 1원자에 대한 Ti, Nb, Zr의 합계 원자수의 비를 나타내고 있고, 이 원자비가 0.12∼0.29의 범위 내에 있는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주조 후, 약 8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했을 때,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에, 입자 사이즈 약 1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0∼50nm의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이 상당량 석출된다. 이 미세 탄화물의 석출에 의해 크리프 변형에 수반하여, 결정 입자 내에서 발생하는 전위 활주의 발전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리프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크리프 파단 강도가 향상된다. 전위 활주선의 발전의 저지에 대해서는, 다음에,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계식의 값이 0.12보다 작은 경우, 즉, Ti, Nb, Zr의 합계 원자수가 C의 원자수의 0.12배보다 적을 때, Ti, Nb, Zr의 원자수가 C의 원자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2차 가열 후에 석출되는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의 양이 부족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가 불충분하다. 또한, 잉여의 C는, Cr23C6으로서 석출되는데, 이 Cr 탄화물의 석출 강화만으로는 크리프 파단 강도의 현저한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상기 관계식의 값이 0.29보다 큰 경우, 즉, Ti, Nb, Zr의 합계 원자수가 C의 원자수의 0.29배보다 많을 때, Ti, Nb, Zr의 원자수가 C의 원자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주조 단계에서 1차 탄화물로서 정출(晶出)하는 Ti-Nb 탄화물 또는 Ti-Nb-Zr 탄화물의 양이 많아져, 기지 내에 고용되는 C량이 적어지므로, 2차 가열 후에 석출되는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의 양이 부족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C:0.6%를 넘고 0.9% 이하
C는, 전술과 같이, 용강(溶鋼)의 주조 응고 시에 Cr, Ti, Nb, Zr과 결합하여, Cr 탄화물(Cr7C3), Ti-Nb 탄화물, Ti-Nb-Zr 탄화물을 1차 탄화물로서 입계(粒界)에 정출한다. 이들 탄화물은 입계를 강화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가진다.
주조된 합금이 8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고용된 C가, Cr, Ti, Nb, Zr와 결합하여, 입자 내에,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2차 탄화물로서 석출한다. 이에 의해, 크리프 파단 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된다.
800℃ 이상의 고온으로 원하는 크리프 파단 강도를 구비시키는데 필요한 탄화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C량은 적어도 0.6%를 넘어 함유시킨다. 한편, C가 0.9%를 넘으면, 애즈-캐스트(as-cast) 상태에서의 성장이 저하하므로, 상한을 0.9%로 한다.
Si:2.5% 이하
Si는 용강의 탈산(脫酸) 및 용강의 유동성 부여를 위해서 첨가되는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한 함유량은 2.5%까지로 충분하고, 이를 넘으면,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Mn:3.0% 이하
Mn은 용강의 탈산, 용강 중의 S의 고정(MnS의 형성)에 의한 용접성의 향상 및 연성(延性)의 개선을 위해서 첨가되는 원소이다. 그러나, 함유량이 너무 많아지면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가 일어나므로, 상한을 3.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Cr:20∼28%
Cr은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의 확보에 필요한 원소이다. 또, 주조시 및 주조 후의 가열에 있어서 크롬 탄화물을 형성한다. 수소 제조용 개질관에 요구되는 약 1000℃까지의 고온 사용 환경에 견딜 수 있는 크리프 파단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0%의 Cr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고온 강도 및 내 산화성은 Cr의 증량(增量)과 함께 향상되는데, 28%을 넘으면, 내산화성은 향상되는 반면,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상한을 28%로 한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23∼27%이다.
Ni : 8∼55%
Ni는 내 산화성 및 금속 조직의 안정성 확보에 필요한 원소이다. 함유량이 8%에 미치지 못하면 수소 제조용 개질관에 요구되는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8% 이상일 것을 요한다. 그러나, 55%를 넘어 함유해 도 크리프 판단 강도의 증가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한을 55%로 한다. 바람직한 범위는 15∼25%이다.
Ti:0.01∼0.8%
Ti는, 주조 응고시에, Nb, Zr과 함께 C와 결합하여, Ti-Nb 탄화물, Ti-Nb-Zr탄화물을 1차 탄화물로서 입계에 정출한다. 이들 탄화물 입계를 강화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가진다.
주조된 합금이 8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Ti는, Cr, Nb, Zr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고용된 C와 결합하여, 입자 내에,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2차 탄화물로서 석출한다. 이에 의해, 크리프 파단 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 Ti는, 적어도 0.01%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증량하면, 티탄 산화물의 생성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강의 청정도가 손상되어 품질의 저하를 초래함과 더불어, 인장도 신장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0.8%를 상한으로 한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15∼0.5%이다.
Nb:0.05∼1.5%
Nb는, Ti와 마찬가지로, 주조시에 Ti-Nb 탄화물, Ti-Nb-Zr 탄화물을 1차 탄화물로서 입계에 정출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높임과 더불어, 시효 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8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면,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에,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한다.
이들 효과는 0.05% 이상의 함유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과도한 증량은 내산화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1.5%를 상한으로 한다. 바람직한 범위는 0.4∼1.0%이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상기 성분을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데, 요망에 의해 Zr : 0.5%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W:3% 이하, Mo : 3% 이하 및 B: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Mg : 0.00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e : 0.001∼0.2%를 포함할 수 있다.
Zr:0.5% 이하
Zr은 Ti 및 Nb와의 공존으로, 주조시에 Ti-Nb-Zr 탄화물을 1차 탄화물로서 입계에 정출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높임과 더불어, 시효 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8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면,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에,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한다. 그러나, Zr의 함유량이 0.5%를 넘으면, Zr 산화물의 생성량의 증가에 의한 청정도의 저하와 그에 따른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상한을 0.5%로 한다.
W:3% 이하
W는,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3%를 넘으면 as-cast 성장의 저하가 커지므로, 상한을 3%로 한다.
Mo:3% 이하
Mo는,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3%를 넘으면 as-cast 성장의 저하가 커지므로, 상한을 3%로 한 다.
B:0.05% 이하
B는,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O.05%를 넘으면 용접 균열 감수성(感受性)이 높아지므로, 상한을 0.05%로 한다.
Mg:0.001∼0.05%
발명자 들은 Mg는 기지 내에 녹아 열전도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Mg를 함유하는 내열 합금을 수소 제조용 개질관으로서 이용한 경우, 전열 효율의 향상에 의해, 연료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런닝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연료 사용량의 저감은, CO2 배출량의 저감으로 연결되므로,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Mg는, 적어도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0.5%를 넘으면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상한을 0.05%로 한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1∼0.015%이다.
Ce:0.001∼0.2%
Ce는, 매트릭스에 고용하여 고온 내산화성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적어도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0.2%를 넘으면, Ce 산화물의 다량 생성에 의해 청정도가 손상되어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0.2%를 상한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수소 제조용 개질관은, 원심력 주조에 의한 주조관으로서 제조할 수 있고, 얻어진 주조관체는, 마무리 기계 가공을 실시한 후, 용접 시공에 의해, 수소 제조 장치에 부착된다.
도 1은, 수소 제조 장치의 개질 반응 노(1)에 부착된 개질관(2)의 일례를 나타낸다. 개질관(2)은, 예를 들면, 외경 약 100∼230mm, 두께 약 8∼20mm, 길이 약 10∼13m의 관체(1개 약 5m의 관이 용접 접합된다)이며, 관의 내부에 촉매(3)가 충전되어 있다. 노 내에 배치되는 개질관의 관체 수는, 수소 제조 플랜트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약 50∼200개이다. 개질관은, 노 벽에 설치된 버너(4)에 의해, 약 800∼1000℃의 개질 반응 온도로 가열되고, 탄화수소와 수증기가 혼합된 원료 가스는, 입구(5)로부터 약 10∼30kgf/㎠의 압력으로 공급되며, 관 내를 통과 중에 촉매 개질 반응이 행해져, 수소가 풍부한 개질 가스가 생성된다. 생성된 개질 가스는, 출구(6)로부터 매니폴드(manifold)를 거쳐 모인다.
실시예
<공시재의 제작>
고주파 유도 용해 노의 대기 용해에 의해,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을 가지는 주강(caststeel) 용탕을 용제하고, 금형 원심력 주조에 의해 공시관을 주조했다. 얻어진 공시관 사이즈는, 외경 137mm, 두께 20mm, 길이 260mm이다. 각 공시관으로부터 잘라낸 시험편에 대해서, 크리프 파단 시험, 열전도율 측정 및 내산화성 시험을 행했다. 표 1중, No.1∼No.18은 발명예, No.101∼No.111은 비교예이다.
또한, 표 1중, (Ti+Nb+Zr)/C의 관계식에 대해서, 원자%비의 산출은, 원자량을, C=12, Nb=93, Ti=48, Zr=91로서 계산했다.
<크리프 파단 시험>
JIS-Z2272에 준거하여, 각 공시재로 조제한 시험편(평행부 직경 6mm, 표점(標點) 거리 30mm)을 1050℃로 가열하여, 인장 응력 24.5MPa로 크리프 파단 시험을 행하고, 파단에 이른 시간(Hr)을 측정했다.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열전도율의 측정>
레이저 플래시법에 의해, 1000℃에서의 열전도율을 측정했다. 시험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112008038600021-PCT00001
표 1을 참조하면, (Ti+Nb+Zr)/C의 원자%비가 0.12∼0.29의 범위 내에 있는 발명예 No. 1∼No. 18은,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에 비해, 크리프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길고, 크리프 파단 강도가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표 1의 결과를 플롯한 것이며, 이 도 2로부터, 적어도 0.12 및 0.29가 임계점으로 판단된다.
표 1을 다시 참조하면, 발명예 중, Mg를 포함하는 No. 12∼No. 18은, Mg를 포함하지 않는 No. 1∼No. 11과 비교해, 열전도율이 크고, Mg의 함유에 의한 열전도성의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예 No.3에 대해서, 상기 공시관으로부터 시험편(10mm×10mm×10mm)을 잘라내, 주조 후의 금속 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현미경 사진(400배)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C는, Cr과 결합하여 Cr 탄화물 Cr7C3을 정출함과 더불어, Ti, Nb와 결합하여, Ti-Nb 탄화물(검게 보인다)을 정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1차 탄화물은 결정 입계에 출현한다.
다음에, 발명예 No.3에 대해서, 크리프 시험용의 시험편(평행부 직경 6mm, 표점 거리 30mm)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을 1050℃로 가열하여, 24.5MPa의 인장 응력을 100시간 가한 후의 금속 조직을, 광학 현미경과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했다. 도 4는, 도 3과 동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 도 5 내지 도 7은, 배율을 바꾸어 촬영한 TEM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계의 근방에 수많은 검은 반점 모양이 관찰되는데, 이는 2차 탄화물 Cr23C6이 석출된 것이다. 이 2차 탄화물은, 입계를 강화하여, 크랙의 진전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5는 45000배의 TEM 사진이며, 2차 탄화물인 Cr23C6 및 Ti-Nb-Cr 탄화물의 석출과, 크리프 변형에 의한 전위로 생긴 활주선을 나타낸다. 도 5중, Cr23C6는 대각선 길이 약 1㎛의 직사각형 형상이며, 도 8에 나타내는 형광 X선 분석 결과에 의해서 동정(同定)되었다.
도 6은 90000배의 TEM 사진으로, Ti-Nb-Cr 탄화물과 활주선을 나타내고, 도 7은 450000배의 TEM 사진으로, Ti-Nb-Cr 탄화물만을 더 확대해 나타낸다. Ti-Nb-Cr 탄화물은, 대각선 길이 약 20nm의 직사각형 형상이며, 도 9에 나타내는 형광 X선 분석 결과에 의해서 동정되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활주선은, 석출된 다수의 Ti-Nb-Cr 탄화물에 의해서 그 진전이 저해되어, 입자 내 활주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Ti-Nb-Cr 탄화물의 석출량이 많을수록, 입자 내 활주의 지연 효과는 크고, 크리프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No.1, No. 5, No. 12, No. 101, No. 102, No. 103 및 No. 104에 대해서, 상기 공시관으로부터 시험편(10mm×10mm×10mm)을 잘라내고, 이들 시험편을 1000℃로 200시간 가열한 후, TEM으로 금속 조직을 관찰했다. No. 1 및 No. 12는 Ti-Nb-Cr 탄화물, No.5는 Ti-Nb-Zr-Cr 탄화물이 상당량 석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No. 101∼No. 104의 시험편은, Ti-Nb-Cr 탄화물의 석출량이 적었다. 또 한, Ti-Nb-Zr-Cr 탄화물에 대해서도, Ti-Nb-Cr 탄화물과 마찬가지로, 형광 X선 분석에 의해서 동정되었다.
<내산화성 시험>
No.13과 No.15에 대해서, 내산화성 시험을 행했다. 상기 공시관으로부터 시험편(직경 8mm, 길이 30mm)을, 각각 3 개씩 가공하고, 1000℃의 가열 노(대기 분위기) 내에서 100시간 보관했다. 다음에, 가열 노로부터 시험편을 꺼내고, 시험편 표면의 관석(scale)을 산 용액으로 제거하고, 그 전후의 시험편의 중량 변화량을 측정하여, 산화 감량(減量)을 산출하여, 1시간당 산화 감량을 구했다.
시험편 3개의 평균치는, No. 13이 0.030(mg/㎠·h), No. 15가 0.025(mg/㎠·h)이며, Ce를 포함하는 No. 15는, Ce를 포함하지 않는 No. 13보다 산화 감량이 적고, Ce의 함유에 의한 내산화성의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내열 합금으로 만들어진 수소 제조용 개질관은, 800∼1000℃에서의 조업시, 약 100nm 이하의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고, 이들 미세한 탄화물이,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소정량의 Mg를 함유함으로써, 뛰어난 열전도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 합금은, 800℃ 이상의 온도로 사용되면, 약 100nm 이하의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 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고, 높은 크리프 파단 강 도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약 800℃∼1000℃로 사용되는 수소 제조용 개질관 재료로서 매우 적합하고, 관 수명의 증대화 또는 관의 박육화에 의한 열효율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Mg의 함유에 의해 뛰어난 열전달성을 가지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중량 %로, C : 0.6%를 넘고 0.9% 이하, Si : 2.5% 이하, Mn : 3.0% 이하, Cr:20∼28%, Ni:8∼55%, Ti:0.01∼0.8%, Nb:0.05∼1.5%,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Ti+Nb)/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인 내열 합금.
  2. Zr : 0.5% 이하를 더 포함하고, (Ti+Nb+Zr)/C의 값이 원자%비로 0.12∼0.29인 내열 합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W : 3% 이하, Mo : 3% 이하 및 B : 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는 내열 합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g : 0.001∼0.05%를 포함하고 있는 내열 합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e : 0.001∼0.2%를 포함하고 있는 내열 합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열 합금으로 만들어진 수소 제조용 개질관.
KR1020087012983A 2005-10-31 2006-10-30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 KR101326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5669 2005-10-31
JP2005315669 2005-10-31
PCT/JP2006/322064 WO2007052782A1 (ja) 2005-10-31 2006-10-30 微細なTi-Nb-Cr炭化物又はTi-Nb-Zr-Cr炭化物を析出する耐熱合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726A true KR20080070726A (ko) 2008-07-30
KR101326375B1 KR101326375B1 (ko) 2013-11-11

Family

ID=3800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983A KR101326375B1 (ko) 2005-10-31 2006-10-30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959854B2 (ko)
EP (1) EP1947207B1 (ko)
JP (1) JP5213450B2 (ko)
KR (1) KR101326375B1 (ko)
CN (1) CN101300371B (ko)
CA (1) CA2627595C (ko)
DE (1) DE602006018984D1 (ko)
ES (1) ES2358177T3 (ko)
HK (1) HK1125137A1 (ko)
MY (1) MY145307A (ko)
RU (1) RU2424347C2 (ko)
UA (1) UA86722C2 (ko)
WO (1) WO2007052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9808B1 (fr) * 2008-12-16 2011-01-07 Air Liquide Alliages fer-nickel-chrome stables a haute temperature
CN102618797B (zh) * 2012-03-30 2013-12-11 包头市泽傲科贸有限公司 镍铬合金带上下加固环的铝水分配器
FR3015527A1 (fr) * 2013-12-23 2015-06-26 Air Liquide Alliage avec microstructure stable pour tubes de reformage
CN107326217A (zh) * 2017-06-27 2017-11-07 西北工业大学 一种含铌高碳镍铁基合金及制备方法
CN109112436B (zh) * 2018-10-10 2020-07-31 北京科技大学 一种原位生成纤维增强高温合金复合材料的方法
CN115261740A (zh) * 2022-08-16 2022-11-01 西峡县众德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高温蠕变性能耐热钢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311A (en) * 1975-08-01 1977-02-09 Babcock Hitachi Kk Heat resisting cast steel of high strength and its production process
GB1544614A (en) * 1977-05-04 1979-04-25 Abex Corp Iron-chromium-nickel heat resistant castings
US4077801A (en) 1977-05-04 1978-03-07 Abex Corporation Iron-chromium-nickel heat resistant castings
JPS5857506B2 (ja) * 1980-06-03 1983-12-20 太平金属工業株式会社 耐熱合金
JPS59173249A (ja) * 1983-03-19 1984-10-01 Nippon Steel Corp オ−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
JP2760004B2 (ja) * 1989-01-30 1998-05-2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耐熱鋼
JPH072981B2 (ja) * 1989-04-05 1995-01-18 株式会社クボタ 耐熱合金
CA2058997A1 (en) * 1990-04-16 1991-10-17 John H. Culling Heat resistant alloys
US5077006A (en) * 1990-07-23 1991-12-31 Carondelet Foundry Company Heat resistant alloys
JPH05230601A (ja) * 1991-08-07 1993-09-07 Kubota Corp クリープ破断強度の高い耐熱鋳鋼
US5194221A (en) * 1992-01-07 1993-03-16 Carondelet Foundry Company High-carbon low-nickel heat-resistant alloys
JP3422803B2 (ja) * 1992-02-28 2003-06-30 株式会社東芝 Cr−Ni系耐熱鋼
JPH06254666A (ja) * 1993-03-05 1994-09-13 Kubota Corp 耐浸炭性にすぐれた二層耐熱鋳鋼管の製造方法
JPH07233446A (ja) * 1994-02-23 1995-09-05 Kubota Corp 耐浸炭性耐熱鋳造合金鋼
CN1031003C (zh) * 1994-03-23 1996-02-14 冶金工业部钢铁研究总院 奥氏体耐热钢
JPH0953154A (ja) * 1995-08-11 1997-02-25 Kubota Corp クリープ伸びの小さい耐熱鋳鋼
RU2125110C1 (ru) 1996-12-17 1999-01-20 Байдуганов Александр Меркурьевич Жаропрочный сплав
JP3895089B2 (ja) * 2000-03-07 2007-03-22 株式会社クボタ 耐浸炭性及び耐メタルダスティング性にすぐれる耐熱合金
US6639344B2 (en) * 2001-12-14 2003-10-28 Thomson Licensing S. A. Cathode ray tube having a focus mask and support frame assembly with an improved border
JP2003277889A (ja) * 2002-03-26 2003-10-02 Daido Steel Co Ltd 耐熱疲労特性にすぐれた耐熱鋳鋼
JP2004190060A (ja) 2002-12-09 2004-07-08 Hitachi Metals Ltd エンジンバルブ用耐熱合金
CN1286317C (zh) * 2003-03-25 2006-11-22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数字电视及其信息的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24347C2 (ru) 2011-07-20
JP5213450B2 (ja) 2013-06-19
HK1125137A1 (en) 2009-07-31
WO2007052782A1 (ja) 2007-05-10
US20090098319A1 (en) 2009-04-16
RU2008121790A (ru) 2009-12-10
JPWO2007052782A1 (ja) 2009-04-30
EP1947207A1 (en) 2008-07-23
EP1947207B1 (en) 2010-12-15
MY145307A (en) 2012-01-13
US7959854B2 (en) 2011-06-14
EP1947207A4 (en) 2009-12-30
UA86722C2 (uk) 2009-05-12
CN101300371B (zh) 2011-02-09
CA2627595C (en) 2014-12-30
CN101300371A (zh) 2008-11-05
DE602006018984D1 (de) 2011-01-27
ES2358177T3 (es) 2011-05-06
KR101326375B1 (ko) 2013-11-11
CA2627595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112081T3 (en) Welding Assembly
DK2725112T3 (en) COATING RESISTANT METAL MATERIALS AND USES OF THE COATING RESISTANT METAL MATERIAL
JPWO2018066579A1 (ja) NiCrFe合金
CA2636624A1 (en)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metal dusting resistance
KR101326375B1 (ko) 미세한 Ti-Nb-Cr 탄화물 또는Ti-Nb-Zr-Cr 탄화물을 석출하는 내열 합금
CN111542639A (zh) 奥氏体系耐热合金
JP2012509407A (ja) 酸化アルミニウム形成性ニッケルベース合金
CN113088830B (zh) 铁素体合金
JP2017020105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及びオーステナイト系伝熱部材
CN111394663A (zh) 耐热铁基合金及其制备方法
JP7270444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07601A (ja) 集熱機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JP3895089B2 (ja) 耐浸炭性及び耐メタルダスティング性にすぐれる耐熱合金
JP2003171745A (ja) 熱交換器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554180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Liu et al. Preparation of ductile nickel aluminides for high temperature use
JP2020164919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JP7136325B2 (ja) フェライト系耐熱鋼
WO2023243133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71185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接手および燃料電池用部材
CN110709529A (zh) 铁素体合金
JP2002180169A (ja) Ni基耐熱合金
JP5346649B2 (ja) 時効後の耐クリープ性にすぐれたNb含有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
JP2021195602A (ja) 低合金耐熱鋼
JP3965682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