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857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857A
KR20080069857A KR1020070007606A KR20070007606A KR20080069857A KR 20080069857 A KR20080069857 A KR 20080069857A KR 1020070007606 A KR1020070007606 A KR 1020070007606A KR 20070007606 A KR20070007606 A KR 20070007606A KR 20080069857 A KR20080069857 A KR 20080069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eed
washing machine
predetermine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477B1 (ko
Inventor
나규성
고홍석
최승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77B1/ko
Priority to US11/976,069 priority patent/US20080172805A1/en
Priority to EP07120221.2A priority patent/EP1950336B1/en
Priority to CN2007101860293A priority patent/CN101230532B/zh
Publication of KR2008006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조의 과대 진동 이전에 모터 회전수를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재상승시키며, 일정 진동 이상이면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었다가 재상승시킴으로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터와 수조 및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제1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고, 상기 모터 회전수의 상승에 따른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조의 진동이 일정 진동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모터 회전수를 낮추고,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제2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회전조와 볼의 회전속도 차이에 따른 수조의 진동 발생을 나타낸 신호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회전조와 볼의 회전속도 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볼 거동 제어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회전수 제어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수조 30 : 회전조
50 : 모터 60 : 밸런서
61 : 볼 110 : 진동감지부
120 : 제어부 140 : 회전수감지부
본 발명은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편심 상태, 즉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수조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담는 수조와,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담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탈수동작 시 세탁물이 회전조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특정 부분에 몰려 있는 언밸런스 상태에서 회전조가 고속 회전하게 되면 회전조가 회전축에 대해 편심 운동하게 되어 수조와 부딪혀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회전조와 모터를 포함한 부품들이 고장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회전조의 편심 회전으로 인한 수조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회전조의 전단과 후단에 밸런서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38279호가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세탁기의 밸런서는 회전조가 고속 회전할 때 동적인 밸런스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회전조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레이스와, 이 레이스의 내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강철재질의 볼과, 레이스의 내부에 충전되어 볼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점성유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레이스는 원환 형상의 상판과 하판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조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조 자체의 불균형적인 편심 구조와 회전조 내 세탁물의 편중된 분포에 의해 회전조가 동적인 밸런스를 유지하지 못한 채로 회전하게 될 때 강철 볼이 이를 보상하게 되어 회전조가 동적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밸런서는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수조의 과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 레이스(inner race)와 바깥쪽(outer) 레이스 등 두 개 이상의 멀티 레이스를 두어 각각 다른 점도와 볼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많이 들고, 또한 수조의 과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레이스 구성이 정확한 계산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확률적으로 진동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수조의 과대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수조의 과대 진동 발생 확률을 더욱 낮추려면 더 많은 레이스를 사용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이 발생하기 이전의 일정 회전수에서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재상승시킴으로써 수조의 과대 진동 발생지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PM의 재상승 시 수조의 진동이 일정 진동 이상이면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일정 회전수까지 RPM을 낮추었다가 재상승시킴으로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와 수조 및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상기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회전수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1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 회전수는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수조의 과대 진동발생 회전수보다 낮은 모터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발생 회전수는 회전조의 회전속도와 상기 밸런 서 내부의 볼 회전속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수조 과대 진동지점의 모터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일정시간은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로 유지시켜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은,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에서 제1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되도록 한 후, 상기 세탁기의 탈수진행을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탈수RPM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발생하는 수조의 과대 진동지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모터 회전수를 수조의 과대 진동지점 이전의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 회전수의 상승에 따른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조의 진동이 미리 정해진 일정 진동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모터 회전수를 낮추고,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2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모터 회전에 따른 회전조의 회전속도와 상기 밸런서 내부의 볼 회전속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을 감지하 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회전수를 낮추는 것은,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까지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은, 낮아지는 상기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여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켜 탈수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 진동은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이라고 판단되는 기준 진동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일정시간은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 통과지점이 밸런싱 위치에 위치하도록 시험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은,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 통과지점이 밸런싱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일정시간을 유지한 후, 상기 세탁기의 탈수진행을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탈수RPM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터와 수조 및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상기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부; 및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회전수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 리 정해진 제1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 회전에 따른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수조의 진동이 미리 정해진 일정 진동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모터 회전수를 낮추고,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2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담는 수조(20)와,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담는 회전조(30)와,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4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20)의 상부에는 수조(20)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12)와 세제공급장치(14)가 설치되고, 수조(20)의 하부에는 세탁물의 세탁작업이 완료되면 수조(20)에 담겨진 세탁수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16)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조(30)의 후면에는 회전축(51)이 수조(20)의 후면을 통해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수조(20)의 후면 외측에는 회전축(51)이 결합되는 모터(50)가 설치된 다. 따라서 모터(50)가 동작하면 회전축(51)이 회전하면서 회전조(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조(30)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탈수홀(30a)이 형성되어 세탁행정 시에는 수조(20)에 담겨진 물이 회전조(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제가 용해되어 있는 물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탈수행정 시에는 물이 배수펌프(16)를 통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조(3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30b)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세탁행정 시 회전조(30)가 저속 회전하게 됨에 따라 물이 적셔진 세탁물을 회전조(3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끌어 올린 후 다시 회전조(30)의 바닥으로 떨어뜨려서 세탁물이 효과적으로 세탁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세탁행정 시에는 모터(50)에 의해 회전축(51)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면서 회전조(30)를 저속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며, 탈수행정 시에는 회전축(5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조(30)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탈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탈수과정에서 회전조(30)가 고속 회전할 때 회전조(30) 자체가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거나 회전조(30) 내부 세탁물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부분에 몰려 있게 되면 회전조(30)가 회전축(51)에 대해 편심 운동하게 되어 회전조(30)가 동적인 밸런스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동적인 언밸런스를 방지하여 회전조(30)가 회전중심과 무게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고속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회전조(30)의 전단과 후단에는 회전 조(30)의 회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밸런서(60)가 각각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조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회전조(30)는 전부와 후부가 개방되고 탈수홀(30a)과 리프터(30b)가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몸체(31)와, 몸체(31)의 개방된 전부에 결합되고 세탁물이 몸체(31)로 투입되거나 몸체(31)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는 개구부(34)가 마련된 전면부재(32)와, 몸체(31)의 개방된 후부에 결합되고 회전조(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51)이 결합되어 있는 후면부재(3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재(32)의 테두리에는 밸런서(60)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원환 형상의 리세스(35)가 마련되어 있고, 후면부재(33)의 테두리에도 마찬가지로 밸런서(60)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을 향해 개방된 원환 형상의 리세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부재(32)와 후면부재(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몸체(31)의 선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에 끼워져서 나사 결합이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밸런서(60)는 전면부재(32)와 후면부재(33)의 리세스(35)에 설치되는데, 이 밸런서(60)는 원환 형상의 싱글 레이스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밸런싱 기능을 하는 다수의 강철재질의 볼(61)과, 다수의 볼(61)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점성유(미도시)가 채워진다.
상기 볼(61)은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조(30)에 동적인 언밸런스가 발생하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적인 언밸런스가 발생한 곳과 대칭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회전조(30)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신호입력부(100), 진동감지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30) 및 회전수감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재질에 따라 선택하는 세탁코스(예를 들어, 섬세세탁코스 또는 표준세탁코스 등)와 세탁온도, 탈수rpm, 헹굼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120)에 입력한다.
상기 진동감지부(110)는 밸런서(60)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탈수동작 시 볼(61)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수조(20)의 과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조(20)의 과대 진동이 발생[과대 진동이 발생하는 회전수(A-RPM)는 약 270RPM]하기 이전의 일정 회전수(W-RPM;약 160~270RPM)에서 볼(61)이 밸런싱 위치(세탁물 "W"에 의한 언밸런스 반대편)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50)의 회전수를 유지시키는 동안 변화하는 수조(20)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진동주파수의 신호파형을 얻을 수 있다.
도 5의 진동주파수는 도 6에 도시한 회전조(30)의 회전속도(RPM1)와 볼(61)의 회전속도(RPM2) 차이에 따른 변조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파형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신호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탈수동작 시 수조(20)의 과대 진동 발생지점을 통과하도록 모터(50)의 회전수를 설정된 일정 회전수(W-RPM;수조의 진동이 규정치를 초과 하지 않고 변조 현상의 관찰이 용이한 회전수)에서 일정시간(W-T1일정 회전수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 회전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산출한 시간) 동안 유지시켜 볼(61)을 밸런싱 위치에 도달시킨 후, 모터(50)의 회전수를 재상승시켜 회전조(30)를 고속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모터(50)의 회전수를 재상승시킬 때에 수조(20)의 진동을 체크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 진동(수조의 과대 진동이라고 판단되는 기준 진동치) 이상인 경우 모터(50)에 브레이크를 걸어 일정 회전수(W-RPM)까지 RPM을 낮추었다가 재상승시킴으로서 탈수동작 시 수조(20)의 과대 진동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모터(50)에 브레이크를 걸어 일정 회전수(W-RPM)까지 RPM을 낮추었다가 재상승시키는 시간(W-T2)을 브레이크 발생 후 볼(61)이 밸런싱 위치에 위치하도록 과대 진동 통과지점이 반주기가 되도록 정하며, 이는 시험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12), 배수펌프(16), 모터(50) 등을 구동시킨다.
상기 회전수감지부(140)는 모터(50) 브레이크로 RPM이 떨어졌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모터(5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입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 을 저감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세탁기의 동작이 탈수동작인가를 판단하여(S200) 탈수동작인 경우 제어부(120)는 구동부(130)를 통해 모터(50)를 구동하고, 모터(50)의 구동에 따라 회전조(30)가 탈수회전을 시작한다(S202).
상기 모터(50)의 구동에 따라 회전조(30)의 탈수회전이 시작되면, 모터(50)의 회전속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는데 회전초기에는 밸런서(60) 내부에 채워진 점성유(미도시)가 볼(61)을 밀어 올리지 못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30)의 회전속도(RPM1)와 볼(61)의 회전속도(RPM2)에 속도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회전조(30)의 회전속도(RPM1)와 볼(61)의 회전속도(RPM2) 차이로 인해 볼(61)이 밸런싱 위치(볼이 세탁물 "W"에 의한 언밸런스 반대편에 놓이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수조(20)가 과대 진동하는 공진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탈수동작 시 모터(50)가 수조(20)의 과대 진동이 발생하는 공진점(과대 진동 발생지점)의 회전수(A_RPM)을 통과하기 이전의 일정 회전수(W-RPM)에서 볼(61)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50)의 회전수를 유지시킴으로서 수조(20)의 과대 진동 발생지점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50) 구동에 따른 회전조(30)의 탈수회전 시 모터(50)의 회전수를 회전수감지부(14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204).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회전수감지부(140)에서 감지된 모터(50)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놓은 일정 회전수(W-RPM)와 비교하여 상기 모터(50)의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06).
상기 판단결과, 모터(50)의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한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50)의 회전수를 유지시킨다(S208).
도 8은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볼 거동 제어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회전수 제어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모터(50)의 회전수를 수조(20)의 과대 진동(Vmax)이 발생하기 이전의 일정 회전수(W-RPM)로 유지시켜 볼(61)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상기 모터(50)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W-RPM)로 유지시키는 동안 수조(20)의 속도변화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어, 진동감지부)을 통해 도 5에 도시한 신호파형을 얻을 수 있다.
도 5의 진동주파수는 도 6에 도시한 회전조(30)의 회전속도(RPM1)와 볼(61)의 회전속도(RPM2) 차이에 따른 변조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파형으로, 수조(20)의 진동이 미리 정해진 규정치를 초과하지 않고 일정 진동치(Vmax;수조의 과대 진동이라고 판단되는 기준 진동치) 이하에서 탈수가 진행되도록 회전조(30)의 회전속도(RPM1)와 볼(61)의 회전속도(RPM2) 차이에 따른 변조현상의 관찰이 용이한 모터(50)의 회전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120)는 모터(50)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W-RPM)로 유지시키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1일정시간(W-T1)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 여(S210), 제1일정시간(W-T1)을 경과하면 모터(50)의 회전수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RPM까지 재상승시키면서 탈수동작을 진행한다(S212).
이때, 모터(50)의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시점은 제어부(120)에 미리 설정해 놓은 제1일정시간(W-T1) 동안 모터(50)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W-RPM)에서 유지시켰다가 재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한 진동주파수의 신호파형을 제어부(120)에서 계속 체크하고 있다가 진동주파수가 최저치에 도달하는 신호최저지점 이전에 재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모터(50)의 회전수를 재상승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수조(20)의 진동을 진동감지부(11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214).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진동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수조(20)의 진동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놓은 일정 진동치(Vmax)와 비교하여 상기 수조(20)의 진동이 일정 진동치(Vmax)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16).
상기 S216의 판단결과, 수조(20)의 진동이 일정 진동치(Vmax) 이상인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50)에 브레이크를 걸어 RPM을 떨어뜨려 모터(50)의 회전수를 낮춘다(S218).
상기 모터(50)의 회전수를 낮추면 수조(20)의 진동이 저감되는데, 이때 낮아지는 모터(50)의 회전수를 회전수감지부(14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220).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회전수감지부(140)에서 감지된 모터(50)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S222), 모터(50)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모터(50)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50)에 브레이크를 걸어 RPM을 떨어뜨린다.
상기 S222의 판단결과, 모터(50)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W-RPM)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브레이크 발생 후 미리 정해진 제2일정시간(W-T2)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S224), 제2일정시간(W-T2)을 경과하면 모터(50)의 회전수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RPM까지 재상승시키면서 탈수동작을 진행한다(S226).
이때, 모터(50)의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시점은 제어부(120)에 미리 설정해 놓은 제2일정시간(W-T2) 동안 모터(50)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W-RPM)에서 유지시켰다가 재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 발생 후 과대 진동(Vmax) 통과지점이 반주기가 되도록 시험을 통해 도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보듯이, 수조(20)의 진동이 일정 진동치(Vmax) 이상인 경우 모터(50)에 브레이크를 걸어 RPM을 일정 회전수(W-RPM)까지 급속히 떨어뜨림으로써 수조(20)의 진동을 확실히 저감시킨 후, 제2일정시간(W-T2) 후에 모터(50) 회전수를 재상승시킴으로써 수조(20) 과대 진동의 크기뿐만 아니라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재상승 시 시간을 줄여 전체 세탁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 탈수동작 완료이면(S228) 모터(50)의 구동을 정지하면서(S230)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탈수동작 시 발생하는 수조(20)의 과대 진 동을 저감하기 위한 탈수행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밸런서(60)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볼(61)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수조(20)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행정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수조의 과대 진동이 발생하기 이전의 일정 회전수에서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재상승시킴으로써 수조의 과대 진동 발생지점을 통과하도록 하여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PM의 재상승 시 수조의 진동이 일정 진동 이상이면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일정 회전수까지 RPM을 낮추었다가 재상승시킴으로서 수조의 과대 진동 방지가 확률이 아닌 제어동작으로 이루어져 수조의 과대 진동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모터와 수조 및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회전수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1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전수는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수조의 과대 진동발생 회전수보다 낮은 모터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발생 회전수는 회전조의 회전속도와 상기 밸런서 내부의 볼 회전속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수조 과대 진동지점의 모터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정시간은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로 유지시켜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은,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에서 제1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되도록 한 후, 상기 세탁기의 탈수진행을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탈수RPM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발생하는 수조의 과대 진동지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모터 회전수를 수조의 과대 진동지점 이전의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의 상승에 따른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조의 진동이 미리 정해진 일정 진동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브레 이크를 걸어 모터 회전수를 낮추고,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2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모터 회전에 따른 회전조의 회전속도와 상기 밸런서 내부의 볼 회전속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를 낮추는 것은,
    상기 볼이 밸런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까지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은,
    낮아지는 상기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여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켜 탈수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진동은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이라고 판단되는 기준 진동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정시간은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 통과지점이 밸런싱 위치에 위치하도록 시험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은,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상기 수조의 과대 진동 통과지점이 밸런싱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일정시간을 유지한 후, 상기 세탁기의 탈수진행을 위해 상기 모터 회전수를 탈수RPM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모터와 수조 및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탈수동작 시 상기 모터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부; 및
    감지된 모터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회전수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1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에 따른 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수조의 진동이 미리 정해진 일정 진동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 모터 회전수를 낮추고, 상기 모터에 브레이크 발생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제2일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모터 회전수를 재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70007606A 2007-01-24 2007-01-24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2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06A KR101428477B1 (ko) 2007-01-24 2007-01-24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976,069 US20080172805A1 (en) 2007-01-24 2007-10-19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120221.2A EP1950336B1 (en) 2007-01-24 2007-11-08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7101860293A CN101230532B (zh) 2007-01-24 2007-11-09 具有平衡器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06A KR101428477B1 (ko) 2007-01-24 2007-01-24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57A true KR20080069857A (ko) 2008-07-29
KR101428477B1 KR101428477B1 (ko) 2014-08-12

Family

ID=3941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606A KR101428477B1 (ko) 2007-01-24 2007-01-24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72805A1 (ko)
EP (1) EP1950336B1 (ko)
KR (1) KR101428477B1 (ko)
CN (1) CN101230532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489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10022496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10022494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1526976B1 (ko) * 2008-08-06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9234307B2 (en) 2009-07-2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249534B2 (en) 2009-10-1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416478B2 (en) 2009-03-3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9587343B2 (en) 2009-08-27 2017-03-07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US9822473B2 (en)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932699B2 (en) 2009-02-11 2018-04-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10533275B2 (en) 2009-07-27 2020-01-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59B1 (ko) 2008-01-2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볼 밸런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470710B1 (en) * 2009-08-27 2017-10-0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CN102549208B (zh) * 2009-08-27 2015-07-08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控制方法
AU2010287152B2 (en) * 2009-08-27 2013-08-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EP2470708B1 (en) * 2009-08-27 2017-08-0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US20120154106A1 (en) * 2009-08-27 2012-06-21 Jae Hyuk Jang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CN102510915B (zh) * 2009-08-27 2014-12-17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控制方法
JP5861116B2 (ja) * 2011-04-21 2016-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乾燥装置
DE112013002158T5 (de) * 2012-04-23 2015-01-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aschmaschine vom Trommeltyp
US9493897B2 (en) * 2013-06-25 2016-11-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all balance ring
KR102089969B1 (ko) * 2013-07-12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5626A (ko) * 2013-12-26 2015-07-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진동 저감 장치 및 방법
US9809916B2 (en) * 2014-02-19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66333B2 (en) * 2014-02-21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JP6550329B2 (ja) * 2014-12-26 2019-07-2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の脱水時における振動低減方法
KR102608614B1 (ko) * 2018-09-21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7319A (en) * 1984-02-29 1988-02-12 Fisher & Paykel Clothes washing machine, control of spin cycle and of washing during water entry
US4782544A (en) * 1987-04-16 1988-11-08 Whirlpool Corporation Water extraction method and control for automatic washer
SE461279B (sv) * 1988-05-30 1990-01-29 Electrolux Ab Metod foer balansering av en kring en vaesentligen horisontell axel roterande behaallare
IT1267586B1 (it) * 1994-09-28 1997-02-07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biancheria con dispositivo perfezionato anti-sbilanciamento
JPH09313766A (ja) * 1996-01-31 1997-12-09 Sharp Corp ドラム式乾燥洗濯機、ドラム式乾燥機およびドラム式乾燥洗濯機の動作方法
JP3536566B2 (ja) * 1997-01-24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100207025B1 (ko) * 1997-04-18 1999-08-02 윤종용 세탁기의 제어방법
DE19718321C1 (de) * 1997-04-30 1998-10-29 Miele & Cie Verfahren zum Auswuchten von rotierenden Körpern
ES2186081T3 (es) 1997-12-20 2003-05-01 Miele & Cie Maquina lavadora de tambor o secadora de ropa y procedimiento para lavar y centrifugar la colada en una maquina lavadora o en una secadora de ropa.
DE19952464C2 (de) 1999-10-29 2002-05-08 Miele & Cie Verfahren zum Auswuchten eines rotierenden Körpers, der durch einen geregelten Antrieb in Rotation versetzt wird, und Verwendung des Verfahrens
US6578225B2 (en) * 2000-05-25 2003-06-17 Skf Autobalance Systems Ab Low-speed prebalancing for washing machines
CN1183283C (zh) * 2000-06-23 2005-01-05 惠尔普尔公司 洗衣机
RU2302569C2 (ru) * 2002-05-22 2007-07-10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балансировки
KR100493300B1 (ko) * 2002-11-25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7451510B2 (en) * 2003-07-25 2008-11-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performing spinning operation
KR101052787B1 (ko) * 2003-11-18 201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5690B1 (ko) * 2004-06-25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US7530133B2 (en) * 2005-02-18 2009-05-1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spin cycle in a washing machine
KR101085495B1 (ko) 2006-11-06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터브 진동제어방법
KR101156713B1 (ko) 2006-11-0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976B1 (ko) * 2008-08-06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9932699B2 (en) 2009-02-11 2018-04-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9416478B2 (en) 2009-03-3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9234307B2 (en) 2009-07-2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822473B2 (en)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10533275B2 (en) 2009-07-27 2020-01-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20110022489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10022496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10022494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US9587343B2 (en) 2009-08-27 2017-03-07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US9249534B2 (en) 2009-10-1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0532B (zh) 2011-10-12
EP1950336B1 (en) 2019-01-02
CN101230532A (zh) 2008-07-30
EP1950336A1 (en) 2008-07-30
US20080172805A1 (en) 2008-07-24
KR101428477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85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6713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8753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5496B1 (ko) 세탁기 및 포량산출방법
US6023854A (en) Spin extractor
KR101407959B1 (ko) 볼 밸런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2606A (ko) 볼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US10138584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82690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079989A (ja) ドラム式洗濯機
EP2377982B1 (en) Method of determining an unbalance condition in a laundry appliance and laundry treating appliance
AU2016427897A1 (en) Pre-drain unbalance detection in a washing machine
KR102491974B1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328248B1 (ko) 볼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진동 제어방법
KR10138650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8882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JP430733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30032886A (ko) 세탁기
KR100802468B1 (ko) 세탁기의 볼 밸런서 파손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751795B1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JPH1176688A (ja) 遠心脱水装置
JP2002292184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00109505A1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methods for preventing spin out-of-balance conditions
JP2019201976A (ja) 洗濯乾燥機
JP2020081417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