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463A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463A
KR20080059463A KR1020087012395A KR20087012395A KR20080059463A KR 20080059463 A KR20080059463 A KR 20080059463A KR 1020087012395 A KR1020087012395 A KR 1020087012395A KR 20087012395 A KR20087012395 A KR 20087012395A KR 20080059463 A KR20080059463 A KR 2008005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value
car
signal processing
brake control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188B1 (ko
Inventor
리키오 곤도
다카하루 우에다
히로시 기가와
겐이치 오카모토
다카시 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상태 센서와, 상기 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센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 상기 지령값 연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독립된 복수 계통을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를 제동하여 비상 정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감속도 지령과 속도 신호에 근거하여, 비상 정지시의 카의 감속도가 소정값이 되도록 전자(電磁)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에 따라, 비상 정지시에도 과부족이 없는 감속도로 정지할 수 있어, 과대한 감속도에 의한 인체로의 영향도 없고, 종단층에 있어도 허용 정지 거리 내에 정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 7-157211 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예에서는 제어계나 상태 센서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어서, 제품으로의 적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계통 이상의 상태 센서 및 제어계의 비교에 의해 제어계나 상태 센서의 고장을 확실히 검지하고, 고장시에는 제동력 제어를 중지함으로써, 또는 정상적인 계통을 이용함으로써, 고장시에도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제동하여 비상 정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을 획득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상태 센서와, 상기 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센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 상기 지령값 연산부 중 적어도 하나가 독립된 복수 계통을 갖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중복된 검지 수단이나 연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어계나 상태 센서의 고장을 확실히 검지하여, 고장시에는 제동력 제어를 중지함으로써, 또는 정상적인 계통을 이용함으로써, 고장시에도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제동하여 비상 정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도 2의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5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도 6의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4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카(15)와 균형추(14)를 연결하는 메인 로프(13)가 시브(a sheave:12)에 걸려 있고, 통상은 그 시브(12)를 권상기(11)로 회전시켜 시브(12)와 메인 로프(13) 사이의 마찰력으로 메인 로프(13) 및 이에 연결된 카(15)와 균형추(14)를 운동시킨다. 또한, 조속기(16)는 하강시에, 카(15)가 과대속이 되었을 때에 연동한 조속기 로프(17)를 끌어올림으로써 비상 멈춤을 동작시켜서 카(15)를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통상 주행시에는 카(15)의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한다.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카(15)의 감속도, 속도, 위치를, 정해진 목표값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카(15)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부분의 감속도, 속도, 혹은 위치, 또는 균형추(14) 혹은 카(15)에 관한 부하를 검지하는 상태 센서를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서는 2계통의 독립된 제 1 조속기 인코더(제 1 상태 센서)(1) 및 제 2 조 속기 인코더(제 2 상태 센서)(2)를 구비하고, 그 감속도 등으로부터 카(15)의 움직임을 추정한다. 2계통의 조속기 인코더(1, 2)로 검지된 신호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31)에 각각 입력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31)는 조속기 인코더(1, 2)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 1 브레이크 코일(23), 제 2 브레이크 코일(24)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브레이크 장치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동체(제 1 브레이크 플런저(21), 제 2 브레이크 플런저(22))를 피제동체(브레이크 차(25))에 가압 밀착하여 마찰력에 의해 피제동체(25)를 제동하고, 회로(제 1 브레이크 코일(23), 제 2 브레이크 코일(24))가 통전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력에 반발하는 방향으로 전자력이 제동체(21, 22)에 대하여 작용하여, 제동체(21, 22)가 피제동체(25)로부터 멀어지는 이른바 전자 브레이크를 상정하고 있고, 전원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했을 때에 최대의 제동력으로 카(15)를 제동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31)의 구성을 나타낸 일례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31) 내부에는 조속기 인코더(1, 2)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 신호 처리부(41)와, 처리된 센서 신호에 근거하여 지령값을 산출하여 브레이크 코일(23, 24)로 출력하는 지령 출력부(42)와, 무정전 전원 장치(32)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태에 따라 지령을 출력하는 전원 감시 장치(43)를 갖는다. 도면중, 점선 화살표는 신호의 전달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전력 공급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31)는 제어반 등의 엘리베이터 운행 장치로부터 비상 정지 지령 신호를 받고, 이에 근거하여 동작을 시작한다(단계 101).
전원 감시 장치(43)는 무정전 전원 장치(32)로부터 브레이크 제어계 전체에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시한다. 공급 전력이 불안정하면,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전원 공급 페일의 신호를 지령 산출부(42)에 제공한다(단계 102).
센서 신호 처리부(41)에서는 제 1 조속기 인코더(1), 제 2 조속기 인코더(2)에서 검지된 신호를 기초로, 카 감속도의 산출을 행한다. 센서 신호 처리부(41)는 2계통의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를 구비하고 있어서, 각각 독립해서 연산을 행한다. 우선, 각각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에 있어서, 조속기 인코더(1, 2)로부터 얻어진 양 신호에 근거하여 감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각 연산부 내에서 비교하여 인코더의 오동작을 검지한다. 예컨대,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에 있어서, 2계통의 인코더(1, 2)로부터 산출된 상태량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소정값(제 1 소정값)미만인 경우에는 양쪽의 인코더(1, 2)가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소정값보다 큰 경우, 즉 소정값(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인코더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103).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인코더(1, 2)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각각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에서 산출된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비교하여, 연산이 옳은 것 을 판단한다.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는 조속기 인코더(1, 2)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근거하여 각각 감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산출하여 그들의 평균치와,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가 산출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의 평균치와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는 조속기 인코더(1, 2)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근거하여 각각 감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산출하여 그들의 평균치와,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가 산출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의 평균치와 비교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2계통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에서 산출된 상태량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소정값(제 2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양쪽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가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소정값보다 큰 경우, 즉 소정값(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신호 처리 연산부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104).
센서 신호 처리부(41)는 조속기 인코더(1, 2), 및 신호 처리 연산부(51, 52)가 모두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컨대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와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가 각각 산출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의 평균치를 지령 산출부(42)에 출력한다. 복수 계통에 있어서의 평균치를 구하는 처리는 다른 처리나, 실시예 2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51)와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52)가 각각 산출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량 중 어느 한쪽의 값을 지령 산출부(42)에 출력해도 되고, 다른 처리나, 실시예 2에서도 동일하다. 조속기 인코더(1, 2), 및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중 어느 하나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검지 페 일의 신호를 지령 산출부(42)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지령 산출부(42)에서는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산출하여, 브레이크 및 전원에 지령을 인가한다. 지령 산출부는 2계통의 제 1 지령값 연산부(61), 제 2 지령값 연산부(62)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 독립해서 브레이크에 인가하는 지령값을 산출한다. 지령 산출부(42)에 검지 페일의 신호, 혹은 전원 공급 페일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에 근거하여 지령값 연산부(61, 62)에 지령값을 각각 산출하고, 양 지령값 연산부에서 산출된 지령값을 서로 비교하여, 지령값 연산부에서의 연산이 옳다는 것을 판단한다. 이 경우에도, 신호 처리 연산부에서 실행한 것과 같이, 2계통의 지령값 연산부(61, 62)에서 산출된 상태량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소정값(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양쪽 지령값 연산부가 정상 동작하여 지령값 산출이 정상으로 실행되었다고 판단하고, 소정값보다 큰 경우, 즉 소정값(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지령값 연산부가 오동작하여 지령값 산출이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단계 105).
지령값 연산부(61, 62)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각각 산출한 브레이크 동작 지령의 평균치를 브레이크 제어 장치(31)로부터 브레이크 장치로 제공한다(단계 106, 107). 여기서,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는, 카(15)의 사람이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 감속도이고,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31) 내에 카 위치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카(15)가 승강로 종단부에 돌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범위에서 완화시킨 감속도를 실현할 수 있는 목표값 을 정해서 행해야 한다.
지령값 산출이 정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혹은 검지 페일의 신호, 전원 공급 페일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코일(23, 24)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32)로부터의 급전을 정지하는 신호를 무정전 전원 장치(32)로 출력함으로써 전력 공급 자체를 차단하여, 승강로 단부에 위험한 속도로 돌입하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32)는 비상시에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축전 능력을 갖고 있다. 통상 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축전되어 있던 전력의 공급을 행한다. 또한, 비상 정지시에는 항상 축전 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브레이크를 해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원 공급량이 한정되어, 브레이크를 해방 상태로 하는 시간에 확실하게 상한을 마련할 수 있어, 한층 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더 높이는 방법으로서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31) 내부에 타이머 기능을 가져서, 일정 시간 경과했을 때,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의 감속도가 소정값보다 작을 때에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방법이나, 속도가 과대속이 된 경우에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타이머 기능에 이용하는 주기로서는 CPU의 클럭 주기나 수정 진동자 주파수의 이용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코일(23, 24)로의 통전 차단이나 무정전 전원 장치(32)로부터의 전원 공급 차단은 지령 산출부(42)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행하고 있지만, 전원 감시 장치(43)나 센서 신호 처리부(41)에서 불량을 검지한 경우에는 전원 감시 장치(43)나 센서 신호 처리부(41)로부터 직접 지령을 출력하여 통전 차단이나 전원 공급 차단을 행해도 된다.
또한, 카(15)의 감속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조속기(16)의 회전을 인코더(1, 2)에서 검지한 신호를 이용했지만, 카(15)와 연동 동작하는 다른 부위,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시브(12)의 회전량, 메인 로프(13)의 보내는 양, 균형추(14)나 카(15)의 상하 이동량을 센서로 검지한 신호를 이용해도 되고, 또는 동력원이 되는 전동기(모터)의 전류나 전압을 센서로 검지한 신호를 이용해도 된다. 독립된 2계통 이상의 상태 센서는 각각의 형태의 센서(예컨대 조속기 인코더, 권상기 인코더, 카 가속도 센서, 카 위치 센서 등)의 조합이여도 된다. 센서는 검지하는 위치에 의해 제어시의 특징이 다르다. 예컨대, 카(15)의 움직임을 직접 검지하면, 카(15)의 진동을 억제한 모양으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동에 이용하는 브레이크는 전자 브레이크를 상정하고 있지만, 토크를 변화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라면 유압 브레이크 등의 다른 브레이크여도 된다.
지령 산출부(42)에 있어서의 지령값의 산출은 목표값과 검지한 값의 차의 비례 요소, 시간 적분 요소, 시간 미분 요소로부터 산출하는, 이른바 PID 제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검지하는 값이 감속도인 경우는 그 검지한 감속도가 목표 감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동력을 감소시키는 지령을 인가하고, 검지한 감속도가 목표 감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동력을 증가하는 지령을 인가하는 방법이여도 된 다. 전자의 경우에는 시스템에 맞게 고밀도의 감속도 제어를 기대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지령값을 2값 가지고, 그 스위칭만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를 2계통 준비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는 경우를 들었지만, 1계통만으로 안전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가 실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를 1계통만 구비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이 가능하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32)와 전원 감시 장치(43)에 관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독립된 2계통의 전원 센서(71, 72)와, 전원 신호 처리 연산부(81, 82)를 구비하고, 전원 감시 장치(43) 내에서의 처리를 센서 신호 처리부(41)에서의 처리와 동일한 순서(도 3의 단계 103, 104와 마찬가지)로 진행시킴으로써 확실히 전원의 안정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대하여 도 5부터 도 8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에 더해서, 제 3 조속기 인코더(3)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브레이 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31)의 역할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고, 브레이크의 제동력 제어를 목적으로 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31) 내부에는 제 1 조속기 인코더(1), 제 2 조속기 인코더(2), 및 제 3 조속기 인코더(3)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 신호 처리부(41)와, 처리된 센서 신호에 근거하여 지령값을 산출 출력하는 지령 산출부(42)와, 무정전 전원 장치(32)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태에 따라 지령을 출력하는 전원 감시 장치(43)를 갖는다. 도면 중, 점선 화살표는 신호의 전달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전력 공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에 더해서, 센서 신호 처리부(41)에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53)를 마련하고, 지령 산출부(42)에 제 3 지령값 연산부(63)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비상 정지 지령의 판단(단계 201), 및 전원의 안정성 판단(단계 202)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은 실시예 1의 비상 정지 지령의 판단(도 3의 단계 101), 및 전원의 안정성 판단(도 3의 102)과 마찬가지다.
센서 신호 처리부(41)에서는 조속기 인코더(1, 2, 3)에서 검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카 감속도의 산출을 행한다. 센서 신호 처리부(41)는 3계통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를 구비하고 있어서, 각각 독립해서 연산을 행한다. 우선, 각각의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에 있어서, 조속기 인코더(1, 2, 3)로부터 얻어 진 신호에 근거하여 감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각 연산부 내에서 비교하여 인코더의 오동작을 검지한다. 비교는 2계통씩의 인코더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태량의 차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소정값(제 1 소정값)미만인 경우에는 양쪽 인코더가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값보다 큰 경우, 즉 소정값(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 인코더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인코더를 3계통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계통의 인코더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나머지의 2계통의 인코더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단계 203~208).
2계통 이상의 인코더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인코더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에서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산출한다. 그 연산 결과를 비교하여,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에서의 연산이 옳은 것을 판단한다. 이 경우에도, 비교는 2계통씩의 연산 결과로 행하고, 산출된 상태량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소정값(제 2 소정값)미만인 경우에는 양쪽의 신호 처리 연산부가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값보다 큰 경우, 즉 소정값(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신호 처리 연산부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연산부를 3계통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계통의 신호 처리 연산부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나머지의 2계통의 신호 처리 연산부에서의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단계 209~214).
지령 산출부(42)에 있어서도 센서 신호 처리부(41)와 같이, 지령값 연산부를 3계통 구비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2계통의 지령값 연산부가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1계통의 지령값 연산부가 고장이 난 경우에도, 정상 동작한 지령값 처리부에서의 처리 결과만 이용함으로써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215~220).
센서 신호 처리부(41)는 조속기 인코더(1, 2, 3) 및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 중, 각 2계통 이상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에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태량을 출력하여, 조속기 인코더(1, 2, 3) 및 신호 처리 연산부(51, 52, 53) 중, 2계통 이상의 조속기 인코더 또는 2계통 이상의 신호 처리 연산부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검지 페일의 신호를 지령 산출부(42)에 출력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32)와 전원 감시 장치(43)에 대해서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계통의 전원 센서(71, 72, 73)와 3계통의 전원 신호 처리 연산부(81, 82, 83)를 구비하여 검지, 연산함으로써,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센서 신호 처리부(41)와 같이, 센서나 연산부가 하나 고장난 경우에도, 고장이 전혀 없는 경우와 같이 동작하는 방법을 취해도 된다.
또한, 센서나 연산부를 4계통 이상 구비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2계통 이상이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2계통 이상의 연산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정상 동작한 연산부에서의 처리 결과만 이용함으로써 지령 산출부(42)를 동작하는 방법을 취해도 된다. 또한, 이용하는 센서나 연산부의 계통수는 그 센서나 연산부의 신뢰성이나 시스템에 요구되는 안전도의 높이에 따라서, 본 실시 예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계통 이상을 이용하는 방법과,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계통을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나 연산부를 3계통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을 비교함으로써 3계통 이상의 센서나 연산부가 정상 동작하고 있을 때만 운행을 행하고, 일부의 센서나 연산부가 고장나서 2계통만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가 되면 운행을 중지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더 안전한 운행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전자 브레이크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전원 차단에 의해 제어를 행하지 않고 강제 정지하는 일이 없어서, 브레이크의 제어는 항상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를 3계통 준비하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는 경우를 들었지만, 2계통 또는 1계통만으로 안전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가 실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태 센서나 연산부를 2계통 또는 1계통만 구비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상태 센서와,
    상기 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와,
    상기 상태 센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 장치를 갖고,
    상기 상태 센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 상기 지령값 연산부 중 적어도 하나가 독립된 복수 계통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센서는, 상기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제 1 상태 센서와, 상기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제 2 상태 센서의 2계통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제 1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상태 센서 및 상기 제 2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기초한 연산 결과의 차가 제 1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2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가 제 2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 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2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센서는, 상기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제 1 상태 센서와, 상기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제 2 상태 센서와, 상기 카의 동작을 검지하는 제 3 상태 센서의 3계통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제 1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제 2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상태 센서 및 상기 제 2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기초한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상태 센서 및 상기 제 3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기초한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상태 센서 및 상기 제 1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기초한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1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의 3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3 신호 처 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2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3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2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가 제 2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2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연산된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2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연산부는,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와, 상기 상태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카의 감속도를 연산하는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의 3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신호 처리 연산부 및 상기 제 1 신호 처리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2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3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값 연산부는,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1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2 지령값 연산부와, 상기 카의 감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값을 연산하는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3계통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2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상기 제 3 지령값 연산부 및 상기 제 1 지령값 연산부의 연산 결과의 차 중 어느 하나가 제 3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차 모두가 제 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KR1020087012395A 2005-11-25 2005-11-25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KR10099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1710 WO2007060733A1 (ja) 2005-11-25 2005-11-25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463A true KR20080059463A (ko) 2008-06-27
KR100995188B1 KR100995188B1 (ko) 2010-11-17

Family

ID=3806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395A KR100995188B1 (ko) 2005-11-25 2005-11-25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8320B2 (ko)
EP (1) EP1958909B1 (ko)
JP (1) JP5079517B2 (ko)
KR (1) KR100995188B1 (ko)
CN (1) CN101312898B (ko)
WO (1) WO2007060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94B1 (ko) * 2009-05-27 2013-03-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361B2 (ja) * 2006-03-02 2013-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0595122C (zh) * 2006-03-17 2010-03-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8012896A1 (fr) *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WO2008136114A1 (ja) * 2007-04-26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ES2499340T3 (es) * 2007-08-07 2014-09-29 Thyssenkrupp Elevator Ag Sistema de elevador
JP5137508B2 (ja) * 2007-09-11 2013-02-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保持装置
WO2009107218A1 (ja) * 2008-02-28 2009-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263961B1 (en) * 2008-04-15 2015-10-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EP2565145B1 (en) * 2008-06-03 2015-03-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KR101215132B1 (ko) * 2008-06-20 2012-12-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2123928B (zh) * 2008-08-18 2013-05-08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监控电梯设备中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相应的用于电梯设备的制动监视器
JP5517432B2 (ja) * 2008-10-16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KR101223303B1 (ko) * 2008-11-18 2013-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BRPI0923522B1 (pt) * 2008-12-23 2019-08-06 Inventio Aktiengesellschaft Instalação de elevador
JP5611937B2 (ja) * 2009-03-13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0113356A1 (ja) * 2009-04-03 2010-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1338843B1 (ko) * 2009-12-15 2013-12-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I20105033A (fi) * 2010-01-18 2011-07-19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liikkeen valvomiseksi sekä hissijärjestelmä
US9637349B2 (en) 2010-11-04 2017-05-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including coaxially aligned first and second brake members
CN102020158A (zh) * 2010-11-29 2011-04-20 席尔诺智能互动科技(上海)有限公司 电梯停电自动放人系统
JP5529075B2 (ja) * 2011-05-25 2014-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GB2513518B (en) * 2012-02-03 2017-06-14 Otis Elevator Co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peed of an elevator car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JP6190171B2 (ja) * 2013-06-10 2017-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JP6220613B2 (ja) * 2013-09-19 2017-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6460920B2 (ja) * 2015-06-12 2019-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9862568B2 (en) 2016-02-26 2018-01-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un profile modification for smooth rescu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46B2 (ja) 1984-01-11 1995-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非常停止制御装置
US4750591A (en) * 1987-07-10 1988-06-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and motion sequenc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H0313467A (ja) * 1989-06-13 1991-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かご内負荷検出装置
US5360952A (en) * 1993-06-01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eleveator communications network
JPH07157211A (ja) 1993-12-03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H07206288A (ja) 1994-01-14 1995-08-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US6196355B1 (en) * 1999-03-26 2001-03-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scue system
JP2002241062A (ja) 2001-02-16 2002-08-28 Mitsuru Takayam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6516922B2 (en) * 2001-05-04 2003-02-11 Gregory Shadkin Self-generating elevator emergency power source
DE502004004449D1 (de) * 2003-06-30 2007-09-06 Inventio Ag Sicherheitssystem einer aufzugsanlage
EP1710190B1 (en) * 2003-11-19 2012-10-31 Mitsubishi Denki K.K. Elevator controller
US7334665B2 (en) * 2004-03-02 2008-02-26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Interlock wiring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JP4566587B2 (ja) * 2004-03-17 2010-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0406689C (zh) * 2004-04-27 2008-07-30 三菱扶桑卡客车公司 内燃机的可变气门机构
WO2005115900A1 (ja) * 2004-05-31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EP1698580B1 (de) * 2005-03-05 2007-05-0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FI118729B (fi) * 2006-04-04 2008-02-29 Kone Corp Järjestely hissikorin pysäyttämiseksi hätäjarrutustilanteessa ja hissi
FI119508B (fi) * 2007-04-03 2008-12-15 Kone Corp Vikaturvallinen tehonohjauslaitteis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94B1 (ko) * 2009-05-27 2013-03-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2898B (zh) 2012-03-07
JPWO2007060733A1 (ja) 2009-05-07
EP1958909B1 (en) 2014-01-08
KR100995188B1 (ko) 2010-11-17
WO2007060733A1 (ja) 2007-05-31
EP1958909A1 (en) 2008-08-20
JP5079517B2 (ja) 2012-11-21
US20090266649A1 (en) 2009-10-29
EP1958909A4 (en) 2012-01-04
US7918320B2 (en) 2011-04-05
CN101312898A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88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KR10101491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141108B1 (en) Brake device for elevator
US8869945B2 (en) Supplemental elevator safety system
EP261637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CN104080722B (zh) 用于减小升降机轿厢的速度的系统和方法
EP3599200B1 (en) Elevator
EP2380841A1 (en) Elevator device
KR20120023105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1715426A (zh) 自动防故障电力控制装置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99428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2015008907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449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5234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00499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1406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US11866295B2 (en) Active braking for immediate stops
US20170121147A1 (en) Destination dispatch overlay including car positioning monitoring system
CN109476450B (zh) 电梯的控制装置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KR200801106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