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9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99A
KR20100004999A KR1020097018449A KR20097018449A KR20100004999A KR 20100004999 A KR20100004999 A KR 20100004999A KR 1020097018449 A KR1020097018449 A KR 1020097018449A KR 20097018449 A KR20097018449 A KR 20097018449A KR 20100004999 A KR20100004999 A KR 2010000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rake
unit
brake control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343B1 (ko
Inventor
다카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315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049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비상 제동 동작시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되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갖고,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를 갖고, 제1 연산부에는 문턱값이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2 연산부에는 제1 연산부와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 제동시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비상 제동시에, 감속 지령값 및 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소정값으로 되도록 전자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제어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칸이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있으면, 엘리베이터칸이 큰 감속도로 신속하게 감속되어 정지된다. 또,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칸이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있는 경우 이외이면, 엘리베이터칸이 충분히 낮은 감속도로 감속되어 정지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15721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30651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기본적인 비상 제동 동작과 제동력의 제어 동작 양쪽이 1개의 브레이크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지고 있기 때 문에,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고장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면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반대로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과소로 되면 제동 거리가 길어져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시의 엘리베이터칸 감속도가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의해 단속적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종단층 부근과 중간층에서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권상기(卷上機);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懸架) 수단; 현가 수단에 의해 매달아져,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비상 제동 동작시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되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갖고,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를 갖고, 제1 연산부에는 문턱값이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2 연산부에는 제1 연산부와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설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감속도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이 감속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브레이크 코일의 전류, 전자 계전기(電磁 繼電器)의 상태, 및 감속도 제어 스위치 상태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에 설정된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제3 및 제4 연산부에 설정된 과속도 감시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현가 수단으로서의 메인 로프(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아져 있고,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권상기(4)는 메인 로프(3)가 감겨진 구동 쉬브(5),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6), 및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7)를 갖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7)는 구동 쉬브(5)와 동축(同軸)에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 브레이크 바퀴; 8)과, 브레이크 드럼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brake shoe; 9)와,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에 프레스(press)하여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으로부터 개리(開離)시켜 제동력을 해방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갖고 있다.
권상기 모터(6)에는 그 회전축의 회전 속도, 즉 구동 쉬브(5)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권상기 인코더부(10)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 인코더 부(10)는 각각 독립된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 도 2)를 갖고 있다.
승강로의 상부 종단층 근방에는 상부 승강로 스위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 종단층 근방에는 하부 승강로 스위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스위치(11, 12)는 엘리베이터칸(1)의 절대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위치 보정 스위치로서 이용된다. 엘리베이터칸(1)에는 승강로 스위치(11, 12)를 조작하는 조작 캠(13)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로의 저부(底部; 피트(pit))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는 엘리베이터칸(1)의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완충기(15)는 균형추(2)의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governor sheave; 16)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tension sheave; 17)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6) 및 텐션 쉬브(17)에는 조속기 로프(governor rope; 과속도 검출 로프; 18)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8)의 양단부는 엘리베이터칸(1)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8)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된다. 이로 인해, 조속기 쉬브(16) 및 텐션 쉬브(17)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16)에는 조속기 쉬브(16)의 회전 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거버너 인코더부(governor encoder portion; 19)가 마련되어 있다. 거버너 인코더부(19)는 각각 독립된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거버너 인코터(19a, 19b; 도 10)를 갖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는 권상기 인코더부(10), 승강로 스위치(11, 12) 및 거버너 인코더부(1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는 브레이크 장치(7)의 전자 마그넷의 전류에 따른 신호가 입력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권상기 인코더부(10)로부터의 신호와, 전자 마그넷의 전류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각각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21, 22)와 과속도 감시부(23)를 갖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7)의 전자 마그넷에는 브레이크 코일(전자 코일; 2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코일(24)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이 여자(勵磁)되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슈(9)가 브레이크 드럼(8)으로부터 개리된다. 또, 브레이크 코일(24)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의 여자가 해제되어,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9)가 브레이크 드럼(8)에 프레스된다.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에는 방전 저항(25)과 제1 방전 다이오드(26)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코일(24)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전자 계전기(27a, 27b)와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를 통하여 제2 방전 다이오드(31)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는 상시 폐(閉, closed)의 계전기이다.
제3 전자 계전기(29e1)는 제1 전자 계전기(27a)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전자 계전기(29e2)는 제2 전자 계전기(27b)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의 제1 및 제3 전자 계전기(27a, 29e1)측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의 제2 및 제4 전자 계전기(27b, 29e2)측은 브레이크 스위치(32)를 통하여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2)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온/오프(ON/OFF)는 브레이크 판정부(33)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시에,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온으로 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도전(energize)시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또,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오프로 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비도전(deenergize)시켜, 브레이크 장치(7)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정지(靜止) 유지).
또한,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오프로 함과 아울러 전자 계전기(27a, 27b)를 개방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비도전시켜, 브레이크 장치(7)를 제동 동작시킨다. 이로 인 해,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된다. 방전 저항(25) 및 제1 방전 다이오드(26)는 전자 계전기(27a, 27b)가 개방된 후에,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신속하게 감소시켜 제동력의 발생을 앞당긴다.
브레이크 판정부(33)의 기능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제1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1 마이크로컴퓨터에는 브레이크 판정부(33)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1 브레이크 제어부(주제어부; 21)는 전자 계전기(27a, 27b, 29e1, 29e2), 제2 방전 다이오드(31), 브레이크 스위치(32) 및 브레이크 판정부(33)를 갖고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전류는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의해 검출된다.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는 제1 거버너 인코더(19a)와 승강로 스위치(11, 1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는 제2 거버너 인코더(19b)와 승강로 스위치(11, 12)를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 코일(24)과 제1 전자 계전기(27a) 사이의 단점(端点)은 제5 및 제6 전자 계전기(29a1, 29b1)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과 제2 전자 계전기(27b) 사이의 단점은 제7 및 제8 전자 계전기(29a2, 29b2)와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5 및 제6 전자 계전기(29a1, 29b1)와, 브레이크 코일(24)과, 제7 및 제8 전자 계전기(29a2, 29b2)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에는 제3 방전 다이오드(4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제동시에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에 의한 감속도 제어는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가 닫혀 있을 때에 유효하게 되고,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으면 무효가 된다.
제1 감속도 제어 스위치(42)의 온/오프는 제1 연산부(45)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연산부(45)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y[m],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1
[m/s2]를 연산한다. 또, 제1 연산부(45)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및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제1 감속도 제어 스위치(42)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1 연산부(45)는 제2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3)의 온/오프는 제2 연산부(46)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연산부(46)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연산부(45)로부터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위치 y[m],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2
[m/s2]를 연산한다. 또, 제2 연산부(46)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및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2 연산부(46)는 제3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연산부(45)와 제2 연산부(46) 사이에는 2 포트 RAM(47)이 접속되어 있다. 감속도 제어 판정부(48)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와 2 포트 RAM(47)을 갖고 있다.
제5 및 제7 전자 계전기(29a1, 29a2)는 제1 구동 코일(49a)에 의해 개폐된다. 제1 구동 코일(49a)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1 구동 코일(49a)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의 온/오프는 제1 연산부(45)에 의해 제어된다.
제6 및 제8 전자 계전기(29b1, 29b2)는 제2 구동 코일(49b)에 의해 개폐된다. 제2 구동 코일(49b)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2 구동 코일(49b)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가 접속되어 있다.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의 온/오프는 제2 연산부(46)에 의해 제어된다.
제5 전자 계전기(29a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9 전자 계전기(29a3)와, 제7 전자 계전기(29a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0 전자 계전기(29a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52)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연산부(45)는 저항기(52)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1 연산부(45)는 제5 및 제7 전자 계전기(29a1, 29a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제6 전자 계전기(29b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1 전자 계전기(29b3)와, 제8 전자 계전기(29b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2 전자 계전기(29b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53)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연산부(46)는 저항기(53)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2 연산부(46)는 제6 및 제8 전자 계전기(29b1, 29b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에 대한 지령과,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개폐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에 접점 용착(接點 溶着) 등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연산부(45)는 제1 전류 검출기(34)로부터의 신호와 제2 전류 검출기(35)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제1 연산부(45)는 제1 권상기 인코더(10a)로부터의 신호와 제2 권상기 인코더(10b)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1 연산부(45)는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로부터의 신호와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1 연산부(45)는 제2 연산부(46)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47)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1 연산부(45)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연산부(46)는 제1 전류 검출기(34)로부터의 신호와 제2 전류 검출기(35)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제2 연산부(46)는 제1 권상기 인코더(10a)로부터의 신호와 제2 권상기 인코더(10b)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2 연산부(46)는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로부터의 신호와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2 연산부(46)는 제1 연산부(45)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47)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2 연산부(46)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개방하는 지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고장 검출 신호를 제1 고장 알림부(54)에 출력한다. 제1 고장 알림부(54)는 고장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했음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 치에 전달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고장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휴지시킴과 아울러, 외부에 고장을 발보하도록 동작시킨다.
제2 브레이크 제어부(감속도 제어부; 22)는 전자 계전기(29a1, 29a2, 29a3, 29a4, 29b1, 29b2, 29b3, 29b4),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방전 다이오드(44), 감속도 제어 판정부(48), 구동 코일(49a, 49b),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 저항기(52, 53) 및 제1 고장 알림부(54)를 갖고 있다.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는 제5 구동 코일(49e)에 의해 구동된다. 제5 구동 코일(49e)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13 ~ 제16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3 및 제14 전자 계전기(29c1, 29c2)는 제3 구동 코일(49c)에 의해 개폐된다. 제3 구동 코일(49c)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3 구동 코일(49c)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가 접속되어 있다.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의 온/오프는 제3 연산부(56)에 의해 제어된다. 제3 연산부(56)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연산한다. 또, 제3 연산부(56)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기초하여,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제3 연산부(56)는 제4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5 및 제16 전자 계전기(29d1, 29d2)는 제4 구동 코일(49d)에 의해 개폐 된다. 제4 구동 코일(49d)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4 구동 코일(49d)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가 접속되어 있다.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의 온/오프는 제4 연산부(58)에 의해 제어된다. 제4 연산부(58)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연산한다. 또, 제4 연산부(58)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기초하여,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제4 연산부(58)는 제5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연산부(56)와 제4 연산부(58) 사이에는 2 포트 RAM(59)이 접속되어 있다.
제13 전자 계전기(29c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7 전자 계전기(29c3)와, 제14 전자 계전기(29c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8 전자 계전기(29c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60)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연산부(56)는 저항기(60)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3 연산부(56)는 제13 및 제14 전자 계전기(29c1, 29c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제15 전자 계전기(29d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9 전자 계전기(29d3)와, 제16 전자 계전기(29d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20 전자 계전기(29d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61)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연산부(58)는 저항기(61)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4 연산부(58)는 제15 및 제16 전자 계전기(29d1, 29d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에 대한 지령과,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의 개폐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에 접점 용착 등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3 연산부(56)는 제4 연산부(58)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59)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3 연산부(56)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4 연산부(58)는 제3 연산부(56)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59)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4 연산부(58)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검출 신호를 제2 고장 알림부(62)에 출력한다. 제2 고장 알림부(62)는 고장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과속도 감시부(23)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했음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전달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과속도 감시부(23)에 고장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휴지시킴과 아울러, 외부에 고장을 발보하도록 동작시킨다.
과속도 감시부(23)는 전자 계전기(29c1, 29c2, 29c3, 29c4, 29d1, 29d2, 29d3, 29d4), 구동 코일(49c, 49d, 49e),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 제3 및 제4 연산부(56, 58), 2 포트 RAM(59), 저항기(60, 61) 및 제2 고장 알림부(62)를 갖고 있다.
과속도 감시부(23)는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 주행을 검출하면,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와는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또, 과속도 감시부(23)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독립적으로 감시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를 독립적으로 검출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감속도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를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한다. 도 3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우선 처리에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초기 설정한다(단계 S1). 본 예에서는 파라미터로서, 엘리베이터칸 정지 판정에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구동 쉬브 속도) V0[m/s], 감속도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V1[m/s],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문턱값 IO[A],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3
1[m/s2],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4
2[m/s2](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5
1<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6
2)를 설정한다.
초기 설정 후의 처리는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즉,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취입한다(단계 S2). 다음으 로,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7
[m/s2]를 연산한다(단계 S3).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엘리베이터칸 속도(모터 회전 속도)가 정지 판정 속도 V0보다 크고,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이 정지 판정 전류값 IO보다 작을 때에,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 동작 중이라고 판정한다. 비상 정지 동작 중이 아니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한다(단계 S10).
비상 정지 동작 중이면,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8
이 제1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09
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그리고,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0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1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2
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한다(단계 S10). 또,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3
>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4
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닫는다(단계 S6).
여기서,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는 권상기 모터(6)로의 통전도 차단되기 때문에,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하고 나서 실제로 제동력이 작용하기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칸(1)측의 하중과 균형추(2)의 하중과의 언밸런스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가속되는 경우와,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되는 경우가 있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서는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5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6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7
1이면,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1)이 가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조속히 제동력을 작용 시키도록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열림 상태로 한다. 또,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8
>
Figure 112009054362429-PCT00019
1이면, 엘리베 이터칸(1)이 감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닫고 감속도 제어를 실시한다.
감속도 제어에서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0
이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1
2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그리고,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2
>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3
2이면,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4
를 억제하기 위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를 미리 설정된 스위칭 듀티(예를 들어 50%)로 온/오프한다(단계 S8). 이로 인해, 브레이크 코일(24)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이 제어된다. 이 때,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서로 동기하도록 온/오프된다.
또,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5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6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7
2이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열림 상태인 채로 한다. 이 후,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제어 정지 판정을 실시한다(단계 S9). 제어 정지 판정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V가 문턱값 V1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V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8
V1이면, 그대로 입력 처리(단계 S2)로 되돌아온다. 또, V<V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하고 나서(단계 S10), 입력 처리(단계 S2)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도 4는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상태, 및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상태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상 정지가 발생했다고 하면, 엘리베이터칸(1)은 즉석에서 감속을 개시한 다. 그리고, 시각 T2에 감속도가
Figure 112009054362429-PCT00029
1에 도달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가 닫히고, 시각 T3에서 감속도가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0
2에 도달하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가 온/오프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V1 미만으로 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가 열리고,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에 의한 감속도 제어가 정지된다.
도 5는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도 3에 있어서 입력 처리(단계 S2) 이후의 각 처리가 완료한 시점에서 도 5에 나타내는 진단 처리를 호출한다.
이상 진단 동작에서는 센서로부터의 입력값이나 연산부(45, 46)에 의한 연산값의 정합성(整合性)을 판정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 입력값이나 연산값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이상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도 3에 있어서 다음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또, 입력값이나 연산값의 차가 소정의 범위를 넘은 경우, 이상 있음으로 판단하고,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열림 상태로 하고(단계 S12), 고장 검출 신호를 제1 고장 알림부(54)에 출력한다(단계 S13).
도 6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설정된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연산부(45)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1
1,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2
2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2 연산부(46)에는 제1 연산부(45)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3
1,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4
2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제1 및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5
1,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6
2는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7은 도 2의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설정된 과속도 감시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과속도 감시 패턴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과속도 감시 패턴은 한쪽의 종단층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종단층으로 엘리베이터칸(1)이 통상 주행한 경우 통상 주행 패턴에 대해 소정의 마진을 확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과속도 감시 패턴은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각각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감시하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 감시 패턴을 넘으면, 대응되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를 오프로 한다. 이로 인해, 구동 코일(49c, 49d)이 비도전되고,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가 열려, 구동 코일(49e)이 비도전된다. 구동 코일(49e)이 비도전되면, 전자 계전기(29e1, 29e2)가 열려,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된다. 이 때의 감속도 제어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속도 제어부인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가 주제어부인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는 도 6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7
2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제2 문턱값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8
2는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단층 부근에서는 비상 정지 지령의 발생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할 때까지의 정지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및 균형추 완충기(15)에 충돌하는 속도를 저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의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검출하므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의한 감속도 제어를 무효로 하므로, 연산부(45, 46)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소정의 속도 V0보다 크고,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가 소정의 값 IO보다 작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7)가 비상 정지 동작 중이라고 판정하므로,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로부터 독립적으로 비상 제동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면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과속도 감시부(23)를 추가로 갖고 있고, 과속도 감시부(23)에는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과속도 감시 패턴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에 충돌하는 속도를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의 용량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승강로의 피트 깊이 치수 및 오버헤드(overhead)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예는 실시 형태 1의 제3 연산부(56)의 기능이 제1 연산부(45)에 통합되고, 실시 형태 1의 제4 연산부(58)의 기능이 제2 연산부(46)에 통합되어 있다.
또,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고장 검지 처리(단계 S14), 과속도 검지 처리(단계 S15) 및 브레이크 제어 처리(단계 S16)를 소정의 주기로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상기의 처리를 싱글 태스크로 1 처리씩 차례차례 실행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2중계(重系)에 의한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예는 실시 형태 2와 같은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의 입출력 신호를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합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다중화 연산부(71)에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 2 포트 RAM(47), 고장 알림부(54), 입력 인터페이스(72), 출력 인터페이스(73), 제1 입력 커넥터(74), 제2 입력 커넥터(75), 제1 출력 커넥터(76), 제2 출력 커넥터(77), 및 제1 ~ 제4 데이터 버스(78 ~ 81)가 마련되어 있다.
다중화 연산부(71)의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제1 및 제2 입력 커넥터(74, 75)를 통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2)에 입력되고, 입력 인터페이스(72)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버스(78, 79)로 배분되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입력된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3 및 제4 데이터 버스(8O, 81)를 통하여 출력 인터페이스(73)에 입력되고, 출력 인터페이스(73)로부터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76, 77)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의 입력 신호는 공통의 입력 인터페이스(72)를 통하여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입력되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공통의 출력 인터페이스(73)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입력 인터페이스(72) 및 출력 인터페이스(73)는 각 신호의 안정성을 높이는 버퍼 기능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인터페이스부(82)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 터(83),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 제1 ~ 제6 버퍼(85a ~ 85f), 제1 거버너 인터페이스(86a) 및 제2 거버너 인터페이스(86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는 제1 입력 커넥터(74)에 접속된다.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는 제1 출력 커넥터(76)에 접속된다. 버퍼(85a ~ 85f)는 각 신호의 안정성이나 내노이즈 특성을 높인다. 버퍼(85a ~ 85f)로는, 예를 들어 광 커플러(optical coupler)가 이용되고 있다.
저항기(60, 61)의 전압 신호는 제1 및 제2 버퍼(85a, 85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승강로 스위치(11, 12)로부터의 신호는 제3 및 제4 버퍼(85c, 85d)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제1 및 제2 거버너 인코더(19a, 19b)로부터의 신호는 인코더 인터페이스(86a, 86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제3 및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와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 사이에는 제5 및 제6 버퍼(85e, 85f)가 개재되어 있다.
브레이크 제어 인터페이스부(87)에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 제7 ~ 제12 버퍼(85g ~ 85l), 제1 권상기 인코더 인터페이스(90a) 및 제2 권상기 인코더 인터페이스(90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는 제2 입력 커넥터(75)에 접속된다.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는 제2 출력 커넥터(77)에 접속된다. 버퍼(85g ~ 85l)는 각 신호의 안정성이나 내(耐)노이즈 특성을 높인다. 버퍼(85g ~ 85l)로는, 예를 들어 광 커플러가 이용되고 있다.
저항기(52, 53)의 전압 신호는 제7 및 제8 버퍼(85g, 85h)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로 보내진다.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는 인코더 인터페이스(90a, 90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로 보내진다.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및 제1 및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와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 사이에는 제9 ~ 제12 버퍼(85i ~ 85l)가 개재되어 있다.
또, 각 인터페이스부(82, 87)와 다중화 연산부(71) 사이의 신호 수수(授受)는 동일한 규칙(프로토콜)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중계의 신호 수수를 1개의 입력 인터페이스(72)와 1개의 출력 인터페이스(73)에 의해 통합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입력 인터페이스(72)로의 입력 신호를 2개의 입력 커넥터(74, 75)에 집약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2개의 출력 커넥터(76, 77)에 집약했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74, 75, 76, 77, 83, 84, 88, 89)에서의 신호 수수의 규칙이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도어 또는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1)이 주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능을, 다중화 연산부(71)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와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으 로부터 비상 정지 판정을 실시하였으나, 이것에 추가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미분값을 고려하여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소정의 속도보다 크고,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가 소정의 값보다 작으며,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미분값이 부(負)인 경우에, 비상 정지 중이라고 판정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 정지 중의 엘리베이터칸 내 진동에 의한 오 검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체적인 문턱값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V0=0.5[m/s], V1=0.1[m/s],
Figure 112009054362429-PCT00039
1=2.0[m/s2],
Figure 112009054362429-PCT00040
2=3.0[m/s2], IO=1[A]로 하면, 평균적인 비상 정지 감속도가 3.0[m/s2] 정도로 되어,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한 부담이 작으며, 또한 제동 거리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브레이크 장치(7)만을 나타내었으나,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브레이크 장치(7)를 이용해도 된다. 이로 인해, 1개의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장치(7)를 권상기(4)에 마련하였으나, 다른 위치에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된 엘리베이터칸 브레이크나, 메인 로프를 잡아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 등이어도 된다.
또, 현가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단면 원형의 로프, 또는 편평한 단면 형상 을 갖는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권상기(卷上機),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懸架) 수단,
    상기 현가 수단에 의해 매달아져,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이상 검출시에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비상 제동 동작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산부에는 상기 문턱값이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연산부에는 상기 제1 연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문턱값이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은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부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의 제어를 무효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코일을 갖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을 여자(勵磁)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보다 크고, 또한 상기 브레이크 코일의 전류가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 장치가 비상 정지 동작 중이라고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과속도 감시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과속도 감시부에는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과속도 감시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로의 입력 신호는 공통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에 입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산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공통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18449A 2007-05-24 2007-05-24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21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0575 WO2008142790A1 (ja) 2007-05-24 2007-05-2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99A true KR20100004999A (ko) 2010-01-13
KR101121343B1 KR101121343B1 (ko) 2012-03-09

Family

ID=400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449A KR101121343B1 (ko) 2007-05-24 2007-05-2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47883B1 (ko)
JP (1) JP5111502B2 (ko)
KR (1) KR101121343B1 (ko)
CN (1) CN101663218B (ko)
WO (1) WO2008142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4947B1 (en) 2008-12-05 2016-08-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WO2010125689A1 (ja) * 2009-05-01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3328362B (zh) 2011-02-04 2015-11-25 奥的斯电梯公司 用于制动装置的停止定序
US9385637B2 (en) * 2014-05-21 2016-07-0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Brake controller
CN104044964A (zh) * 2014-07-02 2014-09-17 吴优良 一种智能电梯装置
CN107000974B (zh) * 2014-11-27 2019-05-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位置检测装置
EP3705440B1 (en) * 2019-03-04 2024-01-17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testing an elevator machinery brake
US11415191B2 (en) * 2019-10-04 2022-08-16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identify conditions indicative of electromagnetic brake tempera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11A (ja) 1993-12-03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H07206288A (ja) * 1994-01-14 1995-08-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JPH0840662A (ja) * 1994-07-28 1996-02-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1233553A (ja) 2000-02-24 2001-08-28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953926B (zh) * 2005-03-31 2010-05-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689337B2 (ja) 2005-04-26 2011-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896136B2 (en) * 2006-03-02 2011-03-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with brake control device
US7938231B2 (en) * 2006-07-27 2011-05-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having independent second brak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7883B1 (en) 2017-11-29
JP5111502B2 (ja) 2013-01-09
EP2147883A4 (en) 2013-12-18
EP2147883A1 (en) 2010-01-27
JPWO2008142790A1 (ja) 2010-08-05
CN101663218A (zh) 2010-03-03
WO2008142790A1 (ja) 2008-11-27
CN101663218B (zh) 2013-03-20
KR101121343B1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180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11213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2179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737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15749A1 (fr) Dispositif d&#39;ascenseur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896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50809B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制御装置
KR10124699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151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20014003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