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10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3105A KR20120023105A KR1020117030154A KR20117030154A KR20120023105A KR 20120023105 A KR20120023105 A KR 20120023105A KR 1020117030154 A KR1020117030154 A KR 1020117030154A KR 20117030154 A KR20117030154 A KR 20117030154A KR 20120023105 A KR20120023105 A KR 20120023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brake
- speed
- condition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도어 열림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기 위한 조작 지령을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에 보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의 안전 확보를 위해, 도어 열림 상태의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의 제동에, 모터(구동 장치)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로프를 파지(把持)함으로써 로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프 글리퍼(rope gripper)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상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는 로프 글리퍼가 로프를 직접 제동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거리를 비교적 짧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로프 글리퍼가 이용되고 있기 위해, 브레이크 장치만을 이용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승강로 내에 로프 글리퍼용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할 필요가 있어, 빌딩 전체에서의 스페이스 효율이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 글리퍼의 제동 기능을 브레이크 장치만에 의해서 실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최대 제동력을, 보다 강한 것을 요구한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정전 등의 때에 승강 중인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서행 정지(비교적 완만하게 정지)시킨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의 최대 제동력을 강하게 했을 경우에, 그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면, 엘리베이터 칸이 급정지 상태가 되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승객에게 비교적 큰 감속 쇼크를 주어 버리게 된다.
이것에 더하여, 예를 들면, 도어 열림 상태인 엘리베이터 칸의 층 맞춤 동작(승객의 승하차에 의한 로프 성장에 기인하는 엘리베이터 칸 층의 위치 차이의 보정 동작) 시에, 모터 구동 제어 기능의 오동작 등에 의해서, 모터로부터 최대 가속 토크가 출력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를 벗어나기 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비교적 커진다. 이때에, 최대 제동력을 보다 강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면, 비교적 큰 속도로 승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이 급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열림 상태인 엘리베이터 칸의 층 맞춤 동작 시에, 모터 구동 제어 기능의 오동작 등에 의해서 모터로부터 최대 가속 토크가 출력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안의 승객에게 비교적 큰 감속 쇼크를 주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비상 정지시에 발생하는 감속 쇼크를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로프 글리퍼나 최대 제동력을 강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의 예측하지 못한 동작에 대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가 개방 상태인 때에 성립하는 도어 열림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밖일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일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각각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과, 상기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에, 승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급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정지시에 발생하는 감속 쇼크를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로프 글리퍼나 최대 제동력을 강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의 예측하지 못한 동작에 대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실시 형태 3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실시 형태 4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실시 형태 3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실시 형태 4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건물의 승강로에는 권상기(1)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1)는 구동 장치로서의 모터(2)와 시브(3)를 가지고 있다. 시브(3)는 모터(2)에 의해 회전된다. 시브(3)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권상기 인코더(4)가 장착되어 있다. 권상기 인코더(4)는 시브(3)의 회전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또, 시브(3)에는 메인 로프(5)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5)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매달려 있다. 모터(2)의 구동력에 의해서, 시브(3)가 회전된다. 또, 시브(3)와 메인 로프(5)의 접촉 개소에는 마찰력이 생기고 있다. 이 마찰력에 의해서, 시브(3)의 회전에 따라서, 메인 로프(5)가 이동된다. 그리고 메인 로프(5)의 이동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즉, 모터(2)의 구동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승강된다.
또, 건물의 각층의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로서의 승강장 도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장치에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승강장용 도어 개폐 검출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용 도어 개폐 검출기는 승강장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또, 승강로의 내벽에 있어서 승강장의 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착상 플레이트(8A, 8B)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로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6)에는 저울 장치(9)와, 가속도 검출기(10)와,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의 착상 위치 검출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저울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6)의 적재 중량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가속도 검출기(10)는 엘리베이터 칸(6)의 연직 방향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착상 위치 검출기(12)는 엘리베이터 칸(6)의 외측면에 있어서 착상 플레이트(8A, 8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착상 위치 검출기(12)는 착상 플레이트(8A, 8B)와 접촉 또는 접근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승강로 내에는 조속기 유니트(13)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유니트(13)는 비상 멈춤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조속기 본체가 조립되어진 제1 텐션 쉬브(14A)와, 제2 텐션 쉬브(14B)와, 조속기 로프(15)를 가지고 있다. 비상 멈춤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6)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텐션 쉬브(14A) 및 제2 텐션 쉬브(14B)는 각각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5)는 제1 텐션 쉬브(14A) 및 제2 텐션 쉬브(14B) 간에 무단(無端)으로 길게 뻗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15)의 일부는 엘리베이터 칸(6)의 비상 멈춤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텐션 쉬브(14A) 및 제2 텐션 쉬브(14B)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에 따른 조속기 로프(15)의 이동에 의해서 회전된다. 제1 텐션 쉬브(14A)의 조속기 본체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도달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속기 본체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예를 들면, 조속기 로프(15)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6)의 비상 멈춤 기구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정지시킨다. 제1 텐션 쉬브(14A)에는 조속기 인코더(16)가 장착되어 있다. 조속기 인코더(16)는 제1 텐션 쉬브(14A)의 회전 속도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권상기(1)에는 브레이크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20)는 브레이크 휠(21),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 제1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제2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휠(21)은 모터(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휠(21)은 시브(3)과 함께 회전된다.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는 각각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동 위치란,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이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예를 들면, 외주면)과 접촉하는 위치이다. 개방 위치란,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이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이다. 즉, 개방 위치란,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이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과 비접촉 상태가 되는 위치이다.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은 각각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에 의해서,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에 의해서, 회전중인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에 프레스됨으로써, 브레이크 휠(21)의 제동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긴다. 이 마찰력에 의해서, 브레이크 휠(21)의 회전, 즉 모터(2)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제1 브레이크 라이닝(22A)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22B)은 각각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의 전자력에 의해서,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의 여자(勵磁)?소자(消磁)는 브레이크 제어부로서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승강은 운전 제어부로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의해서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는 권상기 구동용인 인버터(61)를 통하여, 권상기(1)의 모터(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인버터(61)는 전원 장치(62)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61)의 전원 라인에는 전원 차단 스위치(권상기 구동 전원 차단 스위치: 63)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 차단 스위치(63)가 열린 상태가 됨으로써, 인버터(6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와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브레이크 동작에 관한 동작 지령을 받는다. 또,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승강장용 도어 개폐 검출기, 권상기 인코더(4),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 및 착상 위치 검출기(12) 각각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는다.
또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각 기기(60, 4, 11, 12: 승강장용 도어 개폐 검출기를 포함함)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20)의 동작을 결정한다. 또,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결정한 브레이크 장치(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조작 지령을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에 보낸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통상 서비스(하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이 착상 위치에 정지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6)을 정지 유지하기 위한 정지 유지 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기 위한 조작 지령을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에 보낸다. 한편,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통상 서비스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이 착상 위치를 벗어날 때, 브레이크 장치(20)의 정지 유지용 제동력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 지령을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에 보낸다.
또,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권상기 인코더(4)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6)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6)의 도어 개폐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또,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착상 위치 검출기(12)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6)의 위치를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도어 열림 조건,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각각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도어 열림 조건이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즉,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이 개방 상태일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이란, 엘리베이터 칸(6)의 높이 위치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밖(예를 들면, 착상 플레이트(8A, 8B)의 범위외)일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이란, 엘리베이터 칸(6)의 주행 속도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의 정격 속도의 반 정도인 속도) 이상인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즉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의 결정에 따라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에 대한 여자 전류의 통전?차단 및 그 전류량을 제어한다. 또,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이 정지했을 때에,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6)을 정지시키기 위한 통상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엘리베이터 칸(6)이 승강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승강 중인 엘리베이터 칸(6)을 서행 정지시키는(엘리베이터 칸(6)을 비교적 완만하게 감속시켜 정지시킴) 위한 서행 정지용 제동력과 승강 중의 엘리베이터 칸(6)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급정지용 제동력 중 어느 하나 한쪽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브레이크 장치(20)에 급정지용 제동력 및 정지 유지용 제동력을 발휘시키는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에 대한 여자 전류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서, 브레이크 장치(20)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서 정해지는 최대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것에 대해서,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브레이크 장치(20)에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발휘시키는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전자 코일(23A) 및 제2 브레이크 전자 코일(23B)에 대한 여자 전류의 전류량을, 브레이크 장치(20)의 개방시보다도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서, 브레이크 장치(20)는 최대 제동력보다 작은 제동력인 중간 제동력을 발휘한다.
또,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전원 차단 스위치(63)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엘리베이터 칸(6)의 통상 운전시에는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닫힌 상태로 하고 있다. 또,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브레이크 장치(20)에 급정지용 제동력을 발휘시킬 때, 권상기(1)의 구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서,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열린 상태로 하여 인버터(61)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는 도어 열림 조건이 성립한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이 성립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기 위한 조작 지령을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에 보낸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는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하드웨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하드웨어의 기억부에는,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 및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의 하드웨어의 기억부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만 기초하여, 도어 열림 조건의 성립 판단을 실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승강장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조건의 성립 판단을 실행하는 경우더라도, 이하와 같은 취급이 가능하다(실시 형태 3, 4도 동일함).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닫힘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스텝 S101),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열림 상태인지 여부(도어 열림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102).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열림 상태인 것(도어 열림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102의 "예" 방향),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3: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이때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밖인 것(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104). 이것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열린 상태로 하여 권상기(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 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작업원에 의한 리셋트 조작을 받던지,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의한 복구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인 것(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5: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이때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104).
이것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열린 상태로 하여 권상기(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 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작업원에 의한 리셋트 조작을 받던지,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의한 복구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스텝 S10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스텝 S101),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반의 낙하 방지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밖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로프 글리퍼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층 맞춤 동작 등의 시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를 초과한 경우(도 4의 점 a)에는 도 4의 화살표 A0 및 화살표 A1처럼, 로프 글리퍼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이 급정지된다.
여기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 층 맞춤 동작 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구동 제어계에 제어 폭주 등의 오동작이 생겨서, 모터가 최대 가속 토크를 발생하고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 4의 화살표 B0 및 화살표 B1처럼,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상당히 높아진 후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를 빗나간 시점(도 4의 점 b)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이 급정지된다. 즉,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바처럼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화살표 B1처럼 엘리베이터 칸이 비교적 갑작스럽게 감속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안의 이용자에게 비교적 큰 감속 쇼크를 주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도어 열림 조건이 성립한 것을 확인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중 어느 한쪽이 성립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급정지시킨다. 즉,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 4의 화살표 A0 및 화살표 A1에 도시된 바처럼,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급정지시킨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 즉 도 4의 화살표 B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이 된 시점(도 4의 점 c)에서, 화살표 B2처럼,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급정지시킨다. 이 결과, 연속하는 감속 상태가 비교적 단시간이 됨으로서,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이용자에게 주는 감속 쇼크를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보다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도어 열림 범위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장소에서 엘리베이터 칸(6)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 글리퍼를 이용하는 일 없이, 또 브레이크 장치(20)의 최대 제동력을 보다 강하게 하는 일 없이, 도어가 열려 있는 엘리베이터 칸(6)의 예측하지 못한 동작에 대처할 수 있다. 즉, 비교적 고성능인 브레이크 라이닝이나, 즉시 동작을 위해서 즉응성을 향상시킨 브레이크 장치나, 브레이크 장치(20)와는 별도로 승강로(기계실)에 마련되는 로프 글리퍼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도어가 열려 있는 엘리베이터 칸(6)의 예측하지 못한 동작에 대처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열림 상태의 엘리베이터 칸(6)이 저속(소정 속도 미만)으로 이동할 때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한, 비상 정지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층 맞춤 동작 시에, 오동작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의 비상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센서류 및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동작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에,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각 센서류(권상기 인코더(4),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 및 착상 위치 검출기(12))가 용장화(다중화)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권상기 인코더(4)로서, 제1 권상기 인코더(4A) 및 제2 권상기 인코더(4B)가 이용된다.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용 도어 개폐 검출기(11)로서, 제1 도어 개폐 검출기(11A) 및 제2 도어 개폐 검출기(11B)가 이용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착상 위치 검출기(12)로서, 제1 착상 위치 검출기(12A) 및 제2 착상 위치 검출기(12B)가 이용된다. 이러한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의 기능은 실시 형태 1의 각 기기(4, 11, 12)의 기능과 같다.
또, 실시 형태 2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로서,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로서,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 및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를 가지고 있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OR 연산부(53)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 및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또,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는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 중 동종의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신호가 다른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는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 중 한쪽이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비상 정지나 서비스 중지를 실행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또,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는 연산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의 신호에 대해서 동일 처리를 실행한 결과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결과가 다른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는 자신을 포함한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51B) 중 어느 한쪽이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비상 정지나 서비스 중지를 실행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 및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의 연산 결과는 OR 연산부(53)에 보내지고, OR 연산부(53)에 의해서 브레이크 동작의 논리합이 산출된다. 즉,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 및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 중 어느 한쪽이 고장났을 경우여도, 그 다른 쪽이 동작하면, 브레이크 장치(20)가 작동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 2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서는,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와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 각각에 대해서 다른 하드웨어를 이용해도 좋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실시 형태 2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서는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와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에 대해서도, 다른 하드웨어를 이용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다른 기능이나,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와,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 및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와,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가 용장화(다중화)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 독립하여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의 이상 발생을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기기의 고장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A) 및 제2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51B)와, 제1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A) 및 제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52B)와, 각 센서류(4A, 4B, 11A, 11B, 12A, 12B)가 각각 이중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이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기기?기능은 삼중화 이상의 구성이더라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승강장용 도어 개폐 검출기에 대해서도 용장화 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3.
우선,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비교적으로 빨리 개방하는 고속 도어 열림 방식을 채용하여 이용자의 승하차가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여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 고속 도어 열림 방식 중 하나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완전하게 층 위치에 도착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개방을 개시하는 착상전 도어 열림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착상전 도어 열림 방식을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관계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와 실시 형태 3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를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서는, 착상전 도어 열림 방식을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화살표 C0의 통상 운전으로서 표기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도어 열림 범위 내에 엘리베이터 칸(6)이 들어갔을 때 정지전에 있는 시점(도 6의 점d)에서, 만일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가 열리기 시작하면, 도어 열림 상태로 또한 소정 속도 이상 상태로 되어,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양쪽 모두가 성립한다. 이 때문에, 화살표 C1과 같이,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이 비상 정지된다. 즉,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서는 불필요하게 비상 정지를 실행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을 대신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양쪽 모두가 성립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20)에 급정지용 제동력을 발휘시킨다.
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이란,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일 때에서, 또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도달했을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이 성립 중일 때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에서 도어 열림 범위 밖으로 변위한 것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은 불성립이 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범위 내에 엘리베이터 칸(6)이 들어갔을 때의 정지전에 있는 시점(점 d)에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가 열리기 시작하더라도, 화살표 C0에 있어서 점 d의 우측과 같이,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이 비상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의 정보를 시계열 순서로 기억하고 있어, 엘리베이터 칸(6)의 과거 동작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같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에서는,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 가운데,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인 것을 확인한 후의 동작(도 4의 스텝 S103의 "아니오"방향 이후의 동작)이 차이가 난다. 여기에서는,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 가운데,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인 것을 확인하면(스텝 S103의 "아니오"방향),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5). 이때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도어 열림 범위(각층의 도어 열림 범위 가운데,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열림 범위)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6: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그 도어 열림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던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104). 이것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열린 상태로 하여 권상기(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 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작업원에 의한 리셋트 조작을 받던지,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의한 복구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그 도어 열림 범위 밖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던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206의 "아니오"방향),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동작 지령에 기초한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여(스텝 S101),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다른 동작은, 실시 형태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과,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에, 비상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따라서 도어 열림 조건이 성립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인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이더라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비상 정지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착상전 도어 열림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의 비상 정지를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정전 등의 비상 정지시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안전 판단을 실시하면서 감속 쇼크를 보다 완화하기 위해서, 비교적 완만하게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킨다. 특히, 비교적 높은 속도에서부터, 비교적 높은 제동력으로 감속 정지하면, 연속하여 비교적 높은 감속도 상태가 계속 되게 되어, 승객에게의 감속 쇼크에 의한 부담이 커진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중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된 경우에,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승강의 비상 정지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감속 쇼크를 보다 완화시키면서, 불필요하게 정지 거리가 길어지지 않도록 감속하는 비상시 감속 방식을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비상시 감속 방식을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적용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관계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실시 형태 4 각각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를 적용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에서는, 비상시 감속 방식을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적용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화살표 D1의 통상 운전으로서 표기한다.
도 8에 있어서, 통상 운전 중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는 소정 속도보다 높고, 어느 위치(도 8의 점 e)에서 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6)이 완만하게 감속하게 된다. 그리고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6)이 감속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를 초과한 때에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중 양쪽 모두가 성립하기 때문에, 도어 열림 범위를 초과한 시점(도 8의 점 f)에서, 화살표 D2처럼,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이 급정지하여 그 감속 쇼크가 비교적 커진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양쪽 모두가 성립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20)에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발휘시켜서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서행 정지시킨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20)에 급정지용 제동력을 발휘시키고,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급정지시킨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고 있을 때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양쪽 모두의 조건이 성립한 것을 확인하더라도, 도 8에 있어서 화살표 D3의 점 f의 우측처럼,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 상태를 계속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6)은 화살표 D3처럼, 브레이크 장치(20)의 서행 정지용 제동력에 의해 서, 비교적 완만하게 감속된다.
여기서, 실시 형태 3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충족 여부를 확인한 조건과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키는 제동력의 종류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모든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과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모든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과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급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또한, 실시 형태 4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의 정보를 시계열 순서로 기억하고 있어, 엘리베이터 칸(6)의 과거의 동작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같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닫힘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함과 아울러(스텝 S101),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열림 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102:도어 열림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열림 상태인 것(도어 열림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102의 "예" 방향),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밖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1: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이때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밖인 것(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2: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 서행 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303).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2의 "아니오"방향),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304).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 내인 것(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1의 "아니오"방향),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5: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이때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5의 "아니오"방향),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로부터의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여(스텝 S101),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비정상인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5의 "예" 방향), 그 도어 열림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6: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충족 여부의 확인).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그 도어 열림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던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6의 "예" 방향),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304).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그 도어 열림 범위 밖에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소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었던 것(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306의 "아니오"방향), 서행 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킨다(스텝 S303).
여기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실시 형태 1, 3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서행 정지용 제동력 또는 급정지용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작동시킬 때에, 전원 차단 스위치(63)를 개방 상태로 하여 권상기(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 후,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작업원에 의한 리셋트 조작을 받던지,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의한 복구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50)는 도어 열림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양쪽 모두의 성립과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했을 때, 또는 도어 열림 조건,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모두 성립을 확인했을 때에,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브레이크 장치(20)에 발휘시킨다. 이것에 의해, 비상시 감속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의 비상 정지를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 4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 있어서, 시계열 순서로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상태를, 복수의 기억부에 의해서 기억시켜도 좋다. 즉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의 하드웨어의 기억부를 용장화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 칸(6)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 4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50)에 있어서, 시계열 순서로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의 과거 상태를 기억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0)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의 과거 상태를 확인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6)의 속도를 검지하기 위해서 권상기 인코더(4, 4A, 4B)를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 이용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조속기 인코더(16)나, 가속도 검출기(10) 등의 다른 센서를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 이용하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검출해도 좋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권상기 인코더(4)나, 조속기 인코더(16)나, 가속도 검출기(10) 등의 다른 센서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이용하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해도 괜찮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6)의 절대 위치에 따른 신호를 상시 생성 가능한 센서이면, 그 신호에 대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50)가 미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속도도 동시에 취득 가능해진다.
또, 실시 형태 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6)의 층 맞춤 동작으로 비상 정지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라도, 층 맞춤 동작시에 생길 수 없는 속도를 소정 속도로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층 맞춤 기능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 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4의 소정 속도에 비해서 보다 낮은 속도(예를 들면, 정격 속도의 반보다 낮은 속도)로 설정해도 좋다.
여기서, 실시 형태 1~4에 있어서, 도어 열림 기준 위치에서부터 소정 거리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멀어진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의 경계 위치(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 1~4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층 맞춤 동작 시에, 도어 열림 상태의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 기준 위치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최대의 거리인 최대 허용 거리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도어 열림 범위의 경계 위치일 때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소정 속도일 때에, 그 엘리베이터 칸이 급정지하여 최종적으로 정지한 위치와 착상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된다. 이러한 위치 관계를 고려하면, 그 최대 허용 거리에 대해서, 승강장에서의 끼임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의 관점으로부터 상한을 일의(一意)에 규정하면, 문도어 열림 기준 위치에서부터의 소정 거리(즉, 도어 열림 범위)는 소정 속도와 급정지용 제동력의 관계로 정할 수 있다.
4: 권상기 인코더
11: 도어 개폐 검출기
12: 착상 위치 검출기
23A: 제1 브레이크 자석 코일
23B: 제2 브레이크 자석 코일
50: 브레이크 제어 장치
5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
5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
6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1: 인버터
62: 전원 장치
11: 도어 개폐 검출기
12: 착상 위치 검출기
23A: 제1 브레이크 자석 코일
23B: 제2 브레이크 자석 코일
50: 브레이크 제어 장치
51: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
52: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
6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1: 인버터
62: 전원 장치
Claims (4)
-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가 개방 상태일 때에 성립하는 도어 열림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밖일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일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각각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과, 상기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에, 승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급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가 개방 상태일 때에 성립하는 도어 열림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밖인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가 소정의 도어 열림 범위 내인 때에,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에서부터 상기 소정 속도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각각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과, 상기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에, 승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급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일 때에 성립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충족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과 상기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는, 그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 상기 급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증가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서행 정지시키기 위한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과 상기 도어 열림 조건의 양쪽 모두의 성립을 확인했을 때는, 그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성립을 확인한 경우, 상기 급정지용 제동력을 대신하여 상기 서행 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불성립을 확인한 경우, 상기 급정지용 제동력을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발휘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열림 조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조건의 각각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와, 상기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브레이크 동작 판단부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 지령부는 각각 용장화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9/061333 WO2010150341A1 (ja) | 2009-06-22 | 2009-06-22 | エレベータ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105A true KR20120023105A (ko) | 2012-03-12 |
Family
ID=4338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30154A KR20120023105A (ko) | 2009-06-22 | 2009-06-22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73909A1 (ko) |
EP (1) | EP2447201A1 (ko) |
JP (1) | JPWO2010150341A1 (ko) |
KR (1) | KR20120023105A (ko) |
CN (1) | CN102459049A (ko) |
WO (1) | WO201015034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152A (ko) * | 2017-02-22 | 2018-08-30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97017B1 (en) * | 2008-06-03 | 2013-01-16 | Otis Elevator Company | Single brakeshoe test (electrical) for elevators |
WO2010067435A1 (ja) * | 2008-12-11 | 2010-06-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US9637349B2 (en) | 2010-11-04 | 2017-05-02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brake including coaxially aligned first and second brake members |
DE102010052396A1 (de) * | 2010-11-24 | 2012-05-24 | Kuka Roboter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Peripheriekomponente eines Robotersystems |
DE102010062154A1 (de) * | 2010-11-29 | 2012-05-31 |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
CN103459287A (zh) * | 2011-02-28 | 2013-12-18 | 奥的斯电梯公司 | 平台区中的电梯轿厢移动控制 |
DE102011054590B4 (de) * | 2011-10-18 | 2022-06-09 | Elgo-Electronic Gmbh & Co. Kg |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Aufzugka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
EP2594519A1 (de) * | 2011-11-15 | 2013-05-22 | Inventio AG | Aufzug mit Sicherheitseinrichtung |
DE102012011539A1 (de) * | 2012-06-08 | 2013-12-12 | Siemag Tecberg Gmbh | Scheibenbremsanlage |
FI125316B (fi) * | 2013-09-10 | 2015-08-31 | Kone Corp | Menetelmä hätäpysäytyksen suorittamiseksi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
EP3048074B1 (en) * | 2015-01-26 | 2022-01-05 | KONE Corporation | Method of eliminating a jerk arising by accelerating an elevator car |
US10450162B2 (en) * | 2015-06-29 | 2019-10-22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magnetic brake control circuitry for elevator application |
US10479645B2 (en) * | 2015-06-29 | 2019-11-19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
US10442659B2 (en) * | 2015-06-29 | 2019-10-15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
US10427908B2 (en) * | 2016-04-15 | 2019-10-01 | Otis Elevator Company | Emergency mode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having linear propulsion system |
EP3336032B1 (en) * | 2016-12-14 | 2020-10-14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
CN108217502B (zh) * | 2018-02-09 | 2024-01-12 | 广东亚太西奥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限速安控系统 |
DE102018205633A1 (de) * | 2018-04-13 | 2019-10-17 | Thyssenkrupp Ag | Aufzugsanlage |
DE102019212726A1 (de) * | 2019-08-26 | 2021-03-04 |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 Aufzugsanlage die einen Fahrkorb abhängig von einem Schließzustandssignal und einer Position des Fahrkorbs in einen Sicherheitsbetriebszustand überführt |
CN111332894B (zh) * | 2020-02-28 | 2021-10-22 | 深圳市通用互联科技有限责任公司 | 电梯故障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JP7543607B2 (ja) | 2022-11-04 | 2024-09-03 | 株式会社Omcテクニカ | 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7980A (en) * | 1979-08-30 | 1981-04-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US4785914A (en) * | 1987-06-19 | 1988-11-22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vator system leveling safeguard control and method |
US5107964A (en) * | 1990-05-07 | 1992-04-28 | Otis Elevator Company | Separate elevator door chain |
US5321216A (en) * | 1991-04-09 | 1994-06-14 | Otis Elevator Company | Restraining elevator car motion while the doors are open |
FI118466B (fi) * | 2005-04-08 | 2007-11-30 | Kone Corp | Kunnonvalvontajärjestelmä |
JP2007055691A (ja) | 2005-08-22 | 2007-03-08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戸開発車防止装置 |
CN101223097B (zh) * | 2006-03-20 | 2012-08-08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装置 |
KR101014960B1 (ko) * | 2006-07-27 | 2011-02-15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FI119767B (fi) * | 2006-08-14 | 2009-03-13 | Kone Corp | Hissijärjestelmä ja menetelmä turvallisuuden varmist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
FI20070486A (fi) * | 2007-01-03 | 2008-07-04 | Kone Corp | Hissin turvajärjestely |
WO2009008058A1 (ja) * | 2007-07-10 | 2009-01-1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エレベータ装置 |
ES2499340T3 (es) * | 2007-08-07 | 2014-09-29 | Thyssenkrupp Elevator Ag | Sistema de elevador |
DE112009004592B4 (de) * | 2009-03-04 | 2021-04-2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anlage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selben |
FI121065B (fi) * | 2009-03-05 | 2010-06-30 | Kone Corp | Hissijärjestelmä |
DE102009037347A1 (de) * | 2009-08-14 | 2011-02-17 | K.A. Schmersal Holding Gmbh & Co. Kg | Elektronisches Sicherheitssystem für einen Aufzug |
JP5550718B2 (ja) * | 2010-03-12 | 2014-07-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安全制御装置 |
-
2009
- 2009-06-22 KR KR1020117030154A patent/KR201200231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6-22 CN CN2009801600039A patent/CN102459049A/zh active Pending
- 2009-06-22 WO PCT/JP2009/061333 patent/WO20101503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6-22 EP EP09846474A patent/EP244720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6-22 US US13/376,643 patent/US2012007390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6-22 JP JP2011519404A patent/JPWO2010150341A1/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152A (ko) * | 2017-02-22 | 2018-08-30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47201A1 (en) | 2012-05-02 |
CN102459049A (zh) | 2012-05-16 |
WO2010150341A1 (ja) | 2010-12-29 |
US20120073909A1 (en) | 2012-03-29 |
JPWO2010150341A1 (ja) | 2012-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23105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025064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15256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5214239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2695838B1 (en) | Multi-ca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0995188B1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 |
KR101748475B1 (ko) | 멀티 카식 엘리베이터 | |
JP4907097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AU2017232232B2 (en) |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 |
US20150251877A1 (en) | Elevator apparatus | |
JP5419936B2 (ja) | 災害対応型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6299926B2 (ja) |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 |
JP5462836B2 (ja) |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WO2010150644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12140720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5541372B2 (ja) |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 |
JP5829869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 |
WO2021176547A1 (ja) | エレベーターの安全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ー | |
JP7092941B2 (ja)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JPWO2009008183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