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6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65B1
KR101152565B1 KR1020097023210A KR20097023210A KR101152565B1 KR 101152565 B1 KR101152565 B1 KR 101152565B1 KR 1020097023210 A KR1020097023210 A KR 1020097023210A KR 20097023210 A KR20097023210 A KR 20097023210A KR 101152565 B1 KR101152565 B1 KR 10115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tate
door
door ope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541A (ko
Inventor
리키오 곤도
히로시 기가와
다카하루 우에다
준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Abstract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 열림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을 급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의 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는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의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는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과 균형추를 메인 로프에 의해 두레박식으로 현가(懸架)함과 아울러, 이 메인 로프를 권상기의 구동 쉬브(driving sheave)에 감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의 회동(回動)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을 주행 및 정지시키고 있다. 또, 이용자가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를 승하차하는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칸은 소정의 착상 위치에 정지되어 있고, 이 때의 엘리베이터칸은 상기 권상기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의 정지 유지력에 의해 정지 유지되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동작한다.
한편, 비상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가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시에도 동작하여,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을 주행 상태로부터 비상 정지시킬 때에, 엘리베이터칸을 서서히 정지시키도록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206288호 공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이 주행을 개시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리레벨(relevel)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칸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 엘리베이터칸을 저속 주행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리레벨 기능은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수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메인 로프가 늘어나는 양이 증감하여, 엘리베이터칸이 소정의 착상 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엘리베이터칸을 상기 소정의 착상 위치로 되돌리는 기능을 말한다.
그리고, 이 리레벨 동작 중에 엘리베이터칸의 비상 정지가 필요하게 된 경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칸을 서서히 정지시키려고 하면,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는 당연히 길어져, 경우에 따라서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 주행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 열림 주행 상태, 즉 리레벨 동작 중의 주행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급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통상 운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와;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부와; 엘리베이터칸의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통상 운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와;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부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 및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 제어를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의 엘리베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변경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를 구비하고,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는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는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소정값을 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 주행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 열림 주행 상태, 즉 리레벨 동작 중의 주행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급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비상 정지시에 안전 릴레이를 제어하여 정지 거리를 제한할 때의 동 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비상 정지시에 안전 릴레이를 제어하여 정지 거리를 제한할 때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비상 정지시에 안전 릴레이를 제어하여 정지 거리를 제한할 때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칸, 2 균형추, 3 메인 로프, 4 권상기, 5 구동 쉬브,
6 모터, 7 브레이크 장치, 8 제어 장치, 9 브레이크 제어 장치,
10 브레이크 바퀴, 11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g), 12 브레이크 코일,
13 제어 지령부, 14 가속도계, 15 저울 장치, 16 권상기 인코더,
17 조속기(governor), 18 조속기 인코더, 19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
20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 21 주행 상태 판정부, 22 도어 개폐 검지 센서,
23 층 위치 센서, 24 안전 릴레이, 25 경계선, 26 사선부,
27 경계선, 28 사선부, 29 경계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2는 승강로 내를 엘리베이터칸(1)과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3은 엘리베이터칸(1)과 균형추(2)를 두레박식으로 현가하는 메인 로프, 4는 메인 로프(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이다. 또한, 상기 메인 로프(3)는 벨트 등의 다른 현가 수단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권상기(4)는 예를 들어 구동 쉬브(5), 모터(6), 브레이크 장치(7)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로프(3)가 감겨진 구동 쉬브(5)의 회동을 모터(6)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을 주행(승강) 및 정지시킨다. 8은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 제어를 관장하는 제어 장치이고, 모터(6)로의 동작 지령은 이 제어 장치(8)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용자의 승강시, 엘리베이터칸(1)은 소정의 착상 위치에 정지되어 있고, 이 때의 엘리베이터칸(1)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7)의 정지 유지력에 의해서 정지 유지된다. 9는 제어 장치(8)로부터의 입력 신호 등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7)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이다.
이에, 상기 브레이크 장치(7)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0은 구동 쉬브(5)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브레이크 바퀴, 11은 도시하지 않은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해 브레이크 바퀴(10)측에 상시 가압(urge)되는 브레이크 라이닝, 12는 전자력을 발생시켜 브레이크 라이닝(11)을 브레이크 바퀴(10)로부터 이격(離隔)시키는 브레이크 코일이다. 통상 운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의 착상시,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라이닝(11)이 브레이크 바퀴(10)에 눌리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구동 쉬브(5)의 회동을 저지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 유지한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시에는 브레이크 코일(12)에 의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11)을 브레이크 바퀴(10)로부터 이격시켜, 구동 쉬브(5)를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한편,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제어 장치(8)로부터 받은 지령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7)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한다. 이 때,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칸(1)의 상태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속도나 감속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그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도록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장치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7)로서 전자브레이크가 채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코일(12)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브레이크 라이닝(11)을 브레이크 바퀴(10)에 누르는 힘(제동력)의 강약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제어 장치(9)의 상기 동작은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제어 지령부(13)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 지령부(13)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이 목표로 하는 상태와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1)이 목표 상태에 추종하도록 제동력의 강약을 조절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1)의 현재의 상태는 제어 장치(8)로부터의 상태 신호나 엘리베이터칸(1)으로부터의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상태 신 호는 엘리베이터칸(1)에 직접 마련된 센서 등의 신호를 이용해도 되고, 엘리베이터칸(1)과 연동하는 부위에 마련된 센서 등의 신호를 이용해도 된다. 엘리베이터칸(1)에 직접 마련된 센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 천장부에 설치된 가속도계(14)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메인 로프(3)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저울 장치(15) 등이다. 또, 엘리베이터칸(1)과 연동하는 부위에 마련된 센서는 예를 들어 권상기 인코더(16)나 조속기(17)에 마련된 조속기 인코더(18) 등이다.
다음으로, 도 3(도 3a 내지 도 3c)에 기초하여, 통상 주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는 도어 닫힘 상태로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시간 변화를, 도 3b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 3c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나타내고 있는 상태량이 다르지만, A 내지 D는 각각 기호마다, 공통되는 시스템 상태의 상태량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면 중, A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중량차가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 가속측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또, B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중량차가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 감속측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이에 대해, C는 A와 같은 상태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킨 경우에, 또, D는 B와 같은 상태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도 3a 내지 도 3c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를 목표의 감속도에 추종시키도록 제동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당연히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하기까지 엘리베이터칸(1)이 진행되는 거리는 길어진다. 그러나 통상 주행시,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완전하게 폐쇄되고 있어, 정지 거리가 늘어나도 특별히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장치(9)에는 상기 제어 지령부(13) 이외에,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고, 제어 장치(8)로부터의 입력 신호 등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하면, 제어 지령부(13)에 대해,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한다. 즉,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상기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와 주행 상태 판정부(21)에 의해 구성된다.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판정한다. 또한, 도어 열림 상태의 판정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을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움직임을 직접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의 검지 신호나, 도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전류나 전압,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검지 신호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도어 열림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의 검지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를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해도, 승강장 도어에 설치해도 된다. 단, 승강장 도어는 각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를 승강장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층의 승강장 도어로의 설치가 필요하다. 한편,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를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한 개소(箇所)만의 설치로 되기 때문에, 염가로 구성할 수 있고, 설치성 및 보수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도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전류나 전압의 변화로부터,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토크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거나, 도어 개폐 동작시 토크의 시간 변화를 검지하여 도어 닫힘에 이른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도, 도어 열림 상태는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인코더나 리졸버(resolver) 신호를 참조하여 도어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도어 열림 상태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21)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상태를 판정한 다. 주행 상태의 판정은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위치나 속도, 감속도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가속도계(14)나, 저울 장치(15), 권상기 인코더(16), 조속기 인코더(18), 또는 층 위치 센서(2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상태는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호는 반드시 그 전부가 필요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상은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와 주행 상태 판정부(21)에 의해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를 구성한 경우의 설명이지만,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상기 판정부(20 및 21) 쌍방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판정 방법에 의해서도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가속도계(14)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를 적분하여 속도 상당의 신호로서 이용하는 등의 궁리하기에 따라서 가속도계(14)로부터의 신호만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저울 장치(15)는 엘리베이터칸(1)의 가감속시에 있어서 외형의 엘리베이터칸(1) 내 중량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울 장치(15)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 동작 등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칸(1)의 가속이나 감속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통상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층 위치 센서(23)는 엘리베이터칸(1)이 착상 치위로부터 일정 이 상 이탈한 것이나 그 이탈량을 검지한다. 이 때문에, 층 위치 센서(23)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도어 열림 상태에서 일정 거리 이상 착상 위치로부터 이탈된 것을 판단하여,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으로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열림 주행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검지 장치가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그러한 모든 검지 장치에 의해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검지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해도 되고, 어느 하나의 검지 장치에 의해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검지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또는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검지한 검지 장치의 수나, 다수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경우에서,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주행 상태 판정부(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소정의 주행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1)이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검출되면, 제어 지령부(13)는 엘리베이터칸(1)이 필요 충분히 짧은 거리로 정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동력의 제어를 중지하여 브레이크 장치(7) 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지령부(13)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판단되면, 도어 닫힘 주행 상태에에 있어서 비상 정지의 경우보다 목표의 감속도를 큰 값으로 설정하거나, 전자 브레이크(electromagnetic brake)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큰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도록 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9)와 같이 통전 부분에 안전 릴레이(safety relay; 24)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지령부(13) 또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안전 릴레이(24)를 개방하여, 확실하게 전자 브레이크로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 4(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도어 열림 주행한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켰을 때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시간 변화를, 도 4b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 4c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나타내고 있는 상태량이 다르지만, E 및 F는 각각 기호마다 공통되는 시스템 상태의 상태량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즉, E는 정규의 착상 위치 정지 후에 엘리베이터칸(1)이 도어 열림 주행을 개시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면서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F는 E와 같은 상태로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발생시켜,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의 시간축은 공통되고, 도어 열림 주행을 개시한 점을 도어 열림 주행 개시점으로 하여, 브레이크 제어 장치(9)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가 검출되어, 브레이크 장치(7)에 의한 비상 정지가 개시된 점을 비상 정지 동작 개시점으로 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동력의 제어를 중지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또는 소정의 방법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를 큰 폭으로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가 리레벨 동작 중에 비상 정지 상태에 들어갔을 경우이어도, 엘리베이터칸(1)을 즉석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고,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어 열림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를 브레이크 제어 장치(9)의 내부에 마련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같은 기능을 가지는 수단을 외부에 마련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제어 장치(8)로부터의 신호에 도어 열림 주행의 판정 신호에 상당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신호만으로부터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 지령부(13)로의 전달이나 안전 릴레이(24)의 조작에 반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의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 있을 수 있는 최대 속도 V(이하,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라고 함)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09068258653-pct00001
상기 식 중의 각 정수 및 이하에 나타내는 식 중의 각 정수는 엘리베이터칸(1)의 동작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Figure 112009068258653-pct00002
(t)는 시각 t를 인수로 하는 엘리베이터칸(1)의 가속도, t1은 리레벨 동작 개시시의 시각, t2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가 비상 정지 지령을 출력한 후에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최대가 되는 시각, Fmot는 권상기(4)의 동력이 엘리베이터칸(1) 및 그 연동하는 부위를 가속하는 힘의 최대값, Fnub는 엘리베이터칸(1)과 균형추(2)의 중량 불균형이, 엘리베이터칸(1) 및 그 연동하는 부위를 가속하는 힘의 최대값, F(t)는 시각 t를 인수로 하는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력의 최소값이다. 또, 각 함수에서의 인수 t는 비상 정지 개시시를 기준 시각 0으로 한 시각이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1)에 연동하는 부위는 엘리베이터칸(1), 균형추(2), 권상기 로터, 로프 등의 구동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다음 식은 비상 정지 지령이 출력된 후의 힘의 평형식이고, 이에 의해 상기 t2가 정해진다.
[식 2]
Figure 112009068258653-pct00003
상기 식 중에는 권상기(4)의 동력을 나타내는 항 Fmot가 존재하지만, 비상 정지 동작시에는 권상기(4)의 동력 전달을 끊는 것으로 인하여, 통상의 엘리베이터에서는 Fmot=0으로 한다.
또, t1은 다음 식에 의해 정해진다.
[식 3]
Figure 112009068258653-pct00004
또한, M은 엘리베이터칸(1) 및 그 연동하는 부위에 대한 총관성 질량, X는 리레벨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가 비상 정지 지령을 출력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칸(1)의 최대 이동량이다.
또, 상기 이동량(편차량) X는 통상 짧은 거리이기 때문에, 상기 식으로부터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는 작은 속도로서 산출된다. 이 때문에, 통상 주행 상태로부터의 비상 정지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초기 속도는 많은 경우에서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보다 커진다(도 3b 참조). 또, 도어 열림 주행으로부터의 비상 정지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초기 속도는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보다 작아진다(도 4b 참조).
따라서,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상기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를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예를 들어 제어 장치(8)로부터 비상 정지 지령이 입력된 경우나 엘리베이터칸(1)이 본래 정지해야 할 때에 주행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 상기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이하인 경우에는 도어 열림 주행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보다 크다고 검출된 경우보다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의 도어 열림 상태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도어 개폐 검지 센서(22)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한 도어 열림 상태의 판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단 수법에서는 통상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이어도, 도어 열림 주행으로 판단되어 엘리베이터칸(1)이 급정지되는 것과 같은 사태도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급정지될 때의 엘리베이터칸(1)은 매우 작은 속도로 주행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정지까지의 시간이 짧아, 제동력이 충분히 작용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해 불쾌감을 주기까지는 이르지 않는다.
실시 형태 3.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제어 장치(8) 등으로부터 비상 정지 지령이 발해졌을 경우에,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면, 도어 열림 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의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칸(1)이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항상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한 채로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주행 상태를 판정할 필요가 없어져, 그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실시 형태 4.
엘리베이터에서 통상 주행시, 도어는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시에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이 고의로 도어를 열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도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에서는 안전 시스템이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한다.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해 행해지는 비상 정지시에, 실시 형태 2에서 나타낸 방법이 적용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칸(1)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 긴 거리를 주행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승객에 의해 고의로 도어가 열려졌을 때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등의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는 급정지를 위한 제어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짧은 정지 거리로 정지한다. 이 때문에,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도어 열림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상기 소정 속도를 넘고 있는 경우는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기 위해 특별히 제한없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이 제어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 즉 도어 열림 주행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상기 비상 정지가 행해질 때에 실시 형태 3에서 나타낸 방법이 적용되면,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그 때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에 관계없이 급정지를 위한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과대한 감속도가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즉 엘리베이터칸(1)과 균형추(2)가 메인 로프(3)에 의해 두레박식으로 현가되는 구성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 회전하고 있는 구동 쉬브(5)를 강제적으로 제동하는 것에 의해 급정지가 행해진다. 즉, 구동 쉬브(5)를 급제동하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5)와 이 구동 쉬브(5)에 감겨진 메인 로프(3)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감속 및 정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이 미끄러짐의 양, 즉 구동 쉬브(5)의 회전량과 메인 로프(3)의 이동량(진행량)과의 차는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클수록 커진다. 따라서, 승객에 의해 도어가 열렸을 때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큰 경우에는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의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한 제어를, 엘리베이터의 3개의 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9)에서는 제어 장치(8) 등으로부터 비상 정지 지령이 발해지면(S101),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에 있어서, 먼저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정한다(S102). 여기서,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지 않는 경우(S102의 아니오),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제1 엘리베이터 상태(이하, 「케이스 1」이라고 함)에 대응한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 행한다.
한편, 도어 열림 상태 판정부(20)에 의해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면,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에서는 또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3). 여기서, 주행 상태 판정부(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S103의 예),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제2 엘리베이터 상태(이하, 「케이스 2」라 함)에 대응한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 행한다. 또, 주행 상태 판정부(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S103의 아니오),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제3 엘리베이터 상태(이하, 「케이스 3」이라 함)에 대응한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 행한다.
이하에, 케이스 1 내지 3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9)가 행하는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 1(도어 닫힘 상태의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기 위해서, 특별히 제한없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면,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길어져도 특별히 문제가 되는 일은 없으며, 또 정지 거리에 제한을 마련하면,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킨다고 하는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본래의 목적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단층 부근에서, 특별히 제한없이 과도하게 완만하게 엘리베이터칸(1)을 감속시키면,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로의 단부에 진입하여, 완충기 등의 안전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해 버리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이어도, 특별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 안전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기 위해,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제한해도 된다.
<케이스 2(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그리고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등의 소정 속도 이하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칸(1)이 필요 충분히 짧은 거리로 정지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동력의 제어를 중지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경우, 비상 정지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는 작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이 최대까지 상승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칸(1)은 정지한다. 따라서, 비상 정지시에 생기는 감속도는 작으며,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미끄러짐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늦기 때문에, 만일 상기 양자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였다 하더이어도 그 미끄러짐량은 작고,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일은 없다. 또, 엘리베이터칸(1)을 의도적으로 급감속시키기 위해,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이 확보된다.
<케이스 3(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또한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등의 소정 속도를 넘는 속도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
브레이크 제어 장치(9)는 허용되는 거리 내에서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하도록 정지 거리를 제한하면서,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기지 않는 감속도로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이것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주행하는 거리에 제한을 가하여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에 의해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제어 장치(9;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는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는 판정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또,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이어도,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도어 열림 주행 상한 속도 V 등의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는 상기 소정 속도를 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3)에서는 케이스 1과 달리, 정지 거리에 제한을 갖게 하고 있다. 이하에, 정지 거리에 제한을 설정할 때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켰을 때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시간 변화를, 도 6b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 6c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나타내고 있는 상태량이 다르지만, A 내지 D는 각각 기호마다, 공통되는 시스템 상태의 상태량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면 중, A는 제동력의 제어를 행하지 않고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B는 상기 케이스 3에서 행하는 제동력의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서 행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또, C는 상기 케이스 1에서 행하는 제동력의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 행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도 6a 내지 도 6c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에 나타내는 경우는 엘리 베이터칸(1)의 정지 거리에 제한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목표 감속도는 C에 있어서 목표 감속도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 지령부(13)는 B 및 C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설정되어 있는 목표 감속도에 실제의 감속도가 추종하도록,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한다. 따라서, 비상 정지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 변화는 C보다 B의 경우가 큰 기울기(도 6b에 있어서 경사)를 가지게 되어, B의 정지 거리는 C의 정지 거리보다 당연하게 짧아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 2에서 행하는 제동력의 제어를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해 행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킨 경우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4를 인용하여 설명한 F의 경우에 대응한다. 이 케이스 2에 있어서,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는 케이스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높은 목표 감속도를 설정하여,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케이스 3에 나타내는 정지 거리의 제한에 대해서는 제어 지령부(13)의 동작에 의해 행해도 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9)가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 등이 안전 릴레이(24)를 조작(제어)하는 것에, 상기 정지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이하에, 도 7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안전 릴레이(24)를 개폐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정지 거리를 제한하는 경우의 구체적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7(도 7a 내지 도 7c)은 비상 정지시에 안전 릴레이를 제어하여 정지 거리를 제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엘리베이터 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시간 변화를, 도 7b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시간 변화를, 도 7c는 그 때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나타내고 있는 상태량이 다르지만, A 내지 D, 및 B'는 각각 기호마다 공통되는 시스템 상태의 상태량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b에는 경계선(25)과, 사선부(26)로 표시된, 이 경계선보다 늦은 속도 영역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선(25)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전 릴레이(24)의 개폐 제어는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와, 상기 경계선(25)에 나타내는 속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경계선(25)으로 표시되는 속도보다 늦은 경우는 안전 릴레이(24)를 폐로(閉路)하고, 현재의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경계선(25)으로 표시되는 속도보다 빠른 경우는 안전 릴레이(24)를 개로(開路)하도록,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19)로부터 안전 릴레이(24)에 대해 동작 지령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 있어서 A 내지 D, 및 B'의 각 상태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A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중량차가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 가장 가속측에 작용하는 경우로서, 제동력의 제어가 행해지지 않고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급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B는 A의 상태에서 트랙션 능력이 저하하여, 구동 쉬브(5)와 메인 로프(3)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한 경우에 대응한다. 즉, B는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에 있어서,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B'는 엘리베이터칸(1)의 상태량이 B로 될 때 구동 쉬브(5)의 상태량을 나타내고 있다.
C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중량차가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 감속측에 작용하는 경우로서, 감속도가 목표 감속도에 추종하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서서히 정지시킨 경우에 대응한다. 여기서, C에 있어서는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경계선(25)을 넘는 즉 경계선(25)으로 표시되는 속도보다 빨라졌을 경우는 안전 릴레이(24)를 개방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을 감속시킨다.
또한, 이 경계선(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이기 때문에, 경계선(25)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기 최대의 제동력으로 감속시켜도, 도 2의 B에 나타내는 속도 변화선을 넘는 일은 없다. 예를 들어 D는 C의 i점(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경계선(25)을 넘은 점)에서,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상태에 빠졌을 경우의 상태량을 나타내고 있다. D에 나타내는 경우이어도,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B를 넘는 일은 없다. 즉, 경계선(25)은 그 각 시각에 대응하는 경계선(25)상의 소정 속도로부터 D에 상당하는 속도 변화선을 상정한 경우에, 그 속도가 B의 속도를 넘지 않는 각 시각과 속도의 관계로서 정해진다.
이와 같이 설정된 경계선(25)을 기준으로 하여 안전 릴레이(24)를 개폐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경우의 속도, 또는 그보다 낮은 속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비상 정지시에 있어서 정지 거리는 B에 나타내는 경우보다 확실하게 짧아진다. 즉, 엘리베이터의 설계에서는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지 거리의 발생도 예정되어 있는 바, 이것보다 정지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의 제어에 의한 영향으로 예정 외에 긴 정지 거리가 생길 우려는 없다.
또한, 경계선(25)을 정할 때에는 그 선상의 각 시각에 대한 각 속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그 경계선(25) 이하가 되는 사선부(26)를 넓게 취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안전 릴레이(24)를 폐로하여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완화할 수 있는 상태가 커져서, 본래의 기능인 감속도 저감 효과를 잘 발휘할 수 있다.
이상은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했을 때에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경우의 속도를 넘지 않도록 경계선(25)을 설정하여, 정지 거리를 짧게 한 경우의 예이다.
다음으로, 도 8에 기초하여, 경계선(25)의 다른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도 8a 및 도 8b)은 비상 정지시에 안전 릴레이를 제어하여 정지 거리를 제한할 때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케이스 1에 있어서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경우보다 긴 정지 거리를 허용하지만,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서 정지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로 단부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릴레이(24)의 개폐 조작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안전 릴레이(24)의 개폐 조작에서는 도 8b의 경계선(27)을 기준으로 안전 릴레이(24)를 개폐한다. 또한, 도 8b에서는 경계선(27)보다 늦은 속도 영역을 나타내는 사선부(28)가,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경계선(27)상에서 안전 릴레이(24)를 개방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한 경우, 그 속도 변화는 예를 들어 F, F',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긴다. 이 때문에, E로 나타내는 속도 변화선을 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기 경계선(27)을 기준으로 하여 안전 릴레이(24)를 개폐 하는 경우, E의 상태량 변화로 생기는 정지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 2의 경우에 정지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 장치(7)에 최대의 제동력을 일으키게 하여 정지하는 경우, 도 9b에 나타내는 경계선(29)을 기준으로, 안전 릴레이(24)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계선(29)은 비상 정지 동작 개시점으로부터 속도 0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그 경우 정지시의 상태 변화는 도 9에 A, B, 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 있어서 A, B, B'와 동양(同樣)으로 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의 비상 정지시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충분히 완만한 감속도로 감속 정지할 수 있는 효과, 및 도어 열림 주행시에는 도어 입구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주행 중에 도어가 열렸을 경우의 비상 정지시에는 정지 거리에 제한을 두고 정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은 그 적용이 소정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한정되지 않고, 모든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통상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와,
    통상 주행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소정의 도어 열림 주행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통상 주행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는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상기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소정의 주행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 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상기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소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에, 도어 열림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는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어 열림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통상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와,
    통상 주행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의 감속도를 제어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부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도어 개폐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의 제어를,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킬 때의 엘리베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변경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판단부는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는 상기 소정의 도어 열림 상태가 판정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상기 소정값을 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정지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23210A 2007-07-10 2008-01-0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52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7/063707 2007-07-10
PCT/JP2007/063707 WO2009008058A1 (ja) 2007-07-10 2007-07-10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41A KR20090128541A (ko) 2009-12-15
KR101152565B1 true KR101152565B1 (ko) 2012-06-01

Family

ID=4022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210A KR101152565B1 (ko) 2007-07-10 2008-01-0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65960B1 (ko)
KR (1) KR101152565B1 (ko)
CN (1) CN101678996B (ko)
WO (2) WO2009008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4988A (ja) * 2007-12-25 2009-07-1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JP5653758B2 (ja) * 2008-12-05 2015-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2282087B (zh) * 2009-02-20 2013-08-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2438929B (zh) * 2009-06-10 2014-04-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10150341A1 (ja) * 2009-06-22 2010-12-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20788A (ja) * 2009-07-15 2011-02-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I20090335A (fi) 2009-09-16 2011-03-17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EP2319791A1 (de) * 2009-11-10 2011-05-11 Inventio AG Aufzugsanlage
JP5556134B2 (ja) * 2009-11-13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検出装置
JP5516729B2 (ja) * 2010-06-18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25347B2 (ja) * 2010-06-28 2014-06-1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DE102010062154A1 (de) * 2010-11-29 2012-05-3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WO2012140720A1 (ja) * 2011-04-11 2012-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839875B2 (ja) * 2011-07-21 2016-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に用いられる制動制御方法
DE102011054590B4 (de) 2011-10-18 2022-06-09 Elgo-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Aufzugka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CN103420242B (zh) * 2013-08-21 2015-07-29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防止电梯意外的安全装置
CN103420247B (zh) * 2013-08-21 2015-07-29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关于电梯轿厢意外移动的安全装置
CN103420248B (zh) * 2013-08-21 2015-07-29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关于电梯轿厢意外移动的安全防护装置
CN103420241B (zh) * 2013-08-21 2015-09-30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防止电梯意外的安全防护装置
JP2015048215A (ja) * 2013-09-02 2015-03-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階間調整機能付きエレベータ
DE112015006825T5 (de) * 2015-08-21 2018-05-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orrichtung
JP7050021B2 (ja) * 2019-03-15 2022-04-0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動作状態診断システム
EP3744672A1 (de) * 2019-05-31 2020-12-02 Cedes AG Grenzkurvensteuerung für aufzüge
DE102019212726A1 (de) * 2019-08-26 2021-03-04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Aufzugsanlage die einen Fahrkorb abhängig von einem Schließzustandssignal und einer Position des Fahrkorbs in einen Sicherheitsbetriebszustand überführt
EP4008664A1 (en) * 2020-12-04 2022-06-08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preventing gravity jump at emergency stop in elevator systems
CN115123894A (zh) * 2021-03-26 2022-09-30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平稳制动控制方法和装置以及电梯制动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966A (en) * 1980-02-21 1981-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brake of elevator
JP2004231355A (ja) 2003-01-30 2004-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
JP7077956B2 (ja) * 2016-12-12 2022-05-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形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有機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46B2 (ja) * 1984-01-11 1995-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非常停止制御装置
CN1011217B (zh) * 1985-04-24 1991-01-1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升降机紧急停车控制装置
US5002158A (en) * 1990-08-03 1991-03-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JPH04153174A (ja) * 1990-10-02 1992-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斜行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206288A (ja) 1994-01-14 1995-08-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966A (en) * 1980-02-21 1981-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brake of elevator
JP2004231355A (ja) 2003-01-30 2004-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
JP7077956B2 (ja) * 2016-12-12 2022-05-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形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有機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41A (ko) 2009-12-15
WO2009008058A1 (ja) 2009-01-15
WO2009008183A1 (ja) 2009-01-15
EP2165960B1 (en) 2016-04-13
EP2165960A4 (en) 2014-03-12
CN101678996A (zh) 2010-03-24
EP2165960A1 (en) 2010-03-24
CN101678996B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5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2142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221267B1 (en) Elevator device
US8439168B2 (en) Elevator system having brake control
KR1017068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30926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EP2636626B1 (en) Elevator device
EP2695838A1 (en) Multi-ca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20023105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5662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50251877A1 (en) Elevator apparatus
EP3337745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11286132B2 (en) Enhancing the transport capacity of an elevator system
KR100815674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CN112079222A (zh) 电梯
JP629992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105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2049673A1 (ja) エレベーター
CN111847154A (zh) 用于操作电梯的解决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