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435A -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435A
KR20080058435A KR1020087010042A KR20087010042A KR20080058435A KR 20080058435 A KR20080058435 A KR 20080058435A KR 1020087010042 A KR1020087010042 A KR 1020087010042A KR 20087010042 A KR20087010042 A KR 20087010042A KR 20080058435 A KR20080058435 A KR 2008005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arbon atoms
manufacturing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야지마
요시노리 사토
히로시 요시노
다츠야 고이즈미
야스히로 히로키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3/00Derivatives of thio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3/02Mono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07C333/04Mono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having nitrogen atoms of thiocarbamic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56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키마제 저해제의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Description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BENZO[b]THIOPHEN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의약품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중요한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지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 경화성 혈관 병변, 혈관 내 협착, 말초 순환기 장애를 비롯한 여러가지 질환에 대한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에 응용할 수 있는 키마제 저해제의 합성에 유용한 제조 중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1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 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중간체로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히드록실기를 브롬 원자로 치환한 화합물은, 국제 공개 제01/53291호 팜플렛에 나타나 있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합성 중간체가 될 수 있는 것이며,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중간체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생체에 있어서 키마제 저해 활성을 갖고 있어, 염증 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순환기 질환, 또는 뼈·연골 대사 질환의 예방·치료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유망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현재까지, 상기 식 (II) 에 나타내는 화합물과 같은, 3 위치에 히드록시메틸기를 갖고, 또한 다른 치환기를 위치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벤조티오펜 유도체의 제조는 매우 곤란하여, 공업화에 적절한 것은 없었다. 예를 들어, 벤조[b]티오펜에 빌스마이어 반응 등에 의해, 3-포르밀-벤조[b]티오펜을 합성하여 (J. 0rg. Chem., 72, 1422, (1957)), 이것을 환원시키는 방법이나, 벤조[b]티오펜에 프리델ㆍ 크래프츠 반응을 실시하여, 원료가 되는 3-트리클로로아세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합성하고 (J. Chem. Soc., Perkin Trans. 2, 1250, (1973)), 이것을 가수 분해한 후에 환원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에서도, 처음부터 갖고 있는 치환기의 종류나 위치에 따라, 2, 3 위치의 양방에, 혹은 벤조[b]티오펜 고리 상의 2 위치 에서 7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치환 반응이 진행되어 버린다. 그리고, 그 선택성은 사용하는 기질과 반응 조건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높지 않다. 또한,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만을 단리시키는 것도 매우 곤란하다.
또, 상기 식 (II) 에 나타내는 3 위치에 히드록시메틸기를 갖는 벤조티오펜 유도체 중, 다른 치환기를 위치 선택적으로 배치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국제 공개 제02/066457호 팜플렛 및 국제 공개 제02/090345호 팜플렛에 제조예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국제 공개 제02/066457호 팜플렛에서 개시되어 있는 제조 방법보다 고수율인, 또, 국제 공개 제02/090345호 팜플렛에서 개시되어 있는 제조 방법보다 짧은 공정의 제조 방법도 기대된다. 또한, 대량 합성에 있어서는, 고수율이고 짧은 공정인 것은 이점 중 하나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 공개 제01/53291호 팜플렛에 기재된 키마제 저해제인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3-히드록시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을, 위치 선택적이고, 고수율이며, 또한 짧은 공정으로 제조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법과 비교하여, 짧은 공정이고, 고수율이며, 또한 위치 선택적인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찾아냈다.
즉, 본 발명은
(1) 식 (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3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2)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3)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붕소 나트륨 또는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4) 식 (I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4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5)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4)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6)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5)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7)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탈할로겐화함으로써, 식 (I) 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8) 탈할로겐화 조건으로서 접촉 환원을 사용하는 (7)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9) 탈할로겐화 시약으로서 수소와 팔라듐 탄소를 사용하는 (8)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0)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11)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10)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2)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3)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이 나트륨 수소화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인 (1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4) 식 (IV)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5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르밀화함으로써, 식 (I) 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1) ∼ (3) 및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5) 포르밀화 조건으로서 빌스마이어(Vilsmeier) 반응 조건을 사용하는 (14)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6) 포르밀화 시약으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시 염화 인을 사용하는 (14)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7) 식 (IV)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르밀화함으로써, 식 (III) 으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4)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8) 포르밀화 조건으로서 빌스마이어 반응 조건을 사용하는 (17)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19) 포르밀화 시약으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시염화 인을 사용하는 (17)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0) 식 (V)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6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R5 및 R6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고리화시킴으로써, 식 (IV) 로 나타내는 디히드로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14)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1) 고리화 시약으로서, 염기를 사용하는 (20)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2) 고리화 시약으로서,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를 사용하는 (2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3) 식 (IX)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7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카르바모일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식 (V) 로 나타내는 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20)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4) 시약으로서 염기를 사용하는 (23)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5) 시약으로서 탄산 칼륨 및 수소화 나트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24)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6) 식 (V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8
[식 중, R1, R2, R3, R4, R5 및 R6 은 상기 식 (V) 에서의 정의와 동일.]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전위 반응에 의해, 식 (V) 로 나타내는 티오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20)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7) 전위 반응 조건으로서, 200℃ 에서 300℃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26)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8) 식 (V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09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티오카르바모일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식 (VI) 로 나타내는 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26) 또는 (27)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29) (i) 및 (ii) 의 제법을 포함하는 식 (XX) 으로 나타내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i) 청구항 1 ∼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
(i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식 (XX) 으로 나타내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0
[식 (XX)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혹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혹은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R23 및 R24 는 일체가 되어 -O-CH2-O-, -O-CH2CH2-O-, 혹은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 원자는 1 개 혹은 복수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A 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수 1 ∼ 7 의 직사슬, 고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0-, -S-, -SO2-, -NR25- (여기에서, R25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1 개 혹은 복수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의 알킬기,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인접하는 2 개가 아세탈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의 알킬티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술포닐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1 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페녹시기이다. 이들의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의 임의의 장소에서 1 개 혹은 복수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식 (XX) 중, M 이 단결합이고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E 는 -COOR25, -SO3R25, -CONHR25, -SO2NHR25, 테트라졸-5-일기, 5-옥소-1,2,4-옥사디아졸-3-일기, 또는 5-옥소-1,2,4-티아디아졸-3-일기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M 은 단결합 또는 -S(O)m- 을 나타내고, m 은 0 ∼ 2 의 정수이다.
G 및 J 는 상기 식 (II) 를 나타낸다. 단, G 는 상기 식 (II) 의 벤조티오펜의 3 위치의 메틸렌을 나타내고, 상기 식 (II) 의 히드록실기는, 벤즈이미다졸 고리 상의 질소 원자로 치환된다.
X 는 -CH=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30)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1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정의와 동일.]
(31) R1, R2, R3 및 R4 중 3 개가 수소 원자인 (30) 에 기재된 화합물 ;
(32)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31) 에 기재된 화합물 ;
(33)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32) 에 기재된 화합물 ;
(34) R1 이 메틸기인 (33) 에 기재된 화합물 ;
(35)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2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36) R1, R2, R3 및 R4 중 3 개가 수소 원자인 (35) 에 기재된 화합물 ;
(37)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36) 에 기재된 화합물 ;
(38)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37) 에 기재된 화합물 ;
(39) R1 이 메틸기이고, 또한 X 가 클로로 원자인 (38) 에 기재된 화합물 ;
(40) 식 (V) 로 나타내는 화합물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3
[식 중, R1, R2, R3, R4, R5 및 R6 은 상기 정의와 동일.]
(41) R5 및 R6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4 0) 에 기재된 화합물 ;
(42) R1, R2, R3 및 R4 중 3 개가 수소 원자인 (41) 에 기재된 화합물 ;
(43)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42) 에 기재된 화합물 ;
(44)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43) 에 기재된 화합물 ;
(45) R1 이 메틸기인 (44) 에 기재된 화합물 ;
(46)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4
(식 중, R1, R2, R3, R4, R5 및 R6 은 상기 식 (V) 에서의 정의와 동일.]
(47) R5 및 R6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46) 에 기재된 화합물 ;
(48) R1, R2, R3 및 R4 중 3 개가 수소 원자인 (47) 에 기재된 화합물 ;
(49)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48) 에 기재된 화합물 ;
(50)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49) 에 기재된 화합물 ;
(51) R1 이 메틸기인 (50) 에 기재된 화합물 ;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생성물은 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생성물로서 염이 얻어진 경우, 혹은 반응 후에 염으로 유도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마제 저해제인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짧은 공정, 고수율, 또한 위치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공업적 가치는 크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식 (VIII) 에 정리한다. 단, 각각 1 개의 공정만으로도 본 발명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5
[식 중, R1, R2, R3, R4, R5 및 R6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R1, R2, R3 및 R4 중에서도, 어느 3개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R1 이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1 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X 는 클로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5 또는 R6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란, 탄소수 1 ∼ 6 의 직사슬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이소헥실, 2-메틸펜틸, 1-에틸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할로겐 원자」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의미하고, 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이란, 할로겐 원자와 상기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불화 메틸, 염화 메틸, 브롬화 메틸, 1-불화 에틸, 2-불화 에틸, 3-불화n-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란, 상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와 옥시기로 이루어지는 기를 의미한다.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1 ∼ C6 알킬티오기」란, 상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와 티오기로 이루어지는 기를 의미한다. 예로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아실과 옥시기의 조합의 기를 의미한다. 「탄소수 1 ∼ 6 의 아실기」는, 상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와 카르보닐기의 조합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및 피발로일 등이 있다.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는, 예를 들어,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부티릴옥시, 이소부티릴옥시, 발레릴옥시, 이소발레릴옥시 및 피발로일옥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란, 탄소수 1 ∼ 6 의 아실과 아미노기의 조합의 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이소부티릴아미노, 발레릴아미노, 이소발레릴아미노 및 피발로일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란, 할로겐 원자와 상기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로 이루어지는 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불화 메톡시기, 2-염화 에톡시기, 1-브롬화 이소프로폭시기, 2-요오드화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VIII) 중, 최초 공정의 (VII) 에서 (VI) 을 합성하는 제 1 공정은, 티오카르바모일화 반응이다. 그 반응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과 같은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n-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가 사용된다.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부틸리튬 등이 사용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50℃ 에서 100℃ 이다. 그 중에서도,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를 용매로 하고, 수소화 나트륨을 염기로서 0℃ 에서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부근) 에서 반응시킨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VIII) 중, 제 2 공정째의 (VI) 에서 (V) 를 합성하는 반응은, 뉴먼-콰르트(Newman-Kwart) 전위이다. 그 반응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디페닐에테르, 데카린, N,N-디메틸아닐린, 톨루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클로로포름 등이 사용된다. 또는 무용매이어도 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80℃ 에서 280℃ 이고, 필요에 따라 염화 알루미늄이나 염화 아연 등의 첨가물을 공존시켜도 된다. 특히, 디페닐에테르를 용매로 하고, 200℃ 에서 2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부근) 에서 가열하면 반응 시간도 짧아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VIII) 중, 제 2 공정에서는 고온에서의 반응이 필요하고, 공업 제법상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제 1A 공정의 (IX) 에서 (V) 를 합성할 수도 있다.
이 공정은, 카르바모일화 반응이다. 그 반응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t-부틸메틸에테르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과 같은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n-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가 사용된다.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 탄산 칼륨, 수산화 나트륨, 부틸리튬 등의 무기 염 기나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가 사용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50 에서 100℃ 이다. 그 중에서도,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t-부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를 용매로 하고, 수소화 나트륨, 트리에틸아민, 또는 탄산 칼륨을 염기로 하여, 0℃ 에서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에서 60℃ 부근) 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VIII) 중, 제 3 공정째의 (V) 에서 (IV) 를 합성하는 반응은 폐환 반응이다. 그 반응 용매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t-부틸메틸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혹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 용매, 또는 아세트산 에틸과 같은 에스테르계 용매가 사용된다. 고리화 시약인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수소화 나트륨, 또는 부틸리듐 등이 사용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30℃ 에서 30℃ 이다. 특히, 비프로톤성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 t-부틸메틸에테르) 를 용매로 하고,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를 염기로 하여, 10℃ 이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VIII) 중, 제 4 공정째의 (IV) 에서 (I) 및/또는 (III) 을 합성하는 반응은, 통상, 방향족 화합물이나 방향족 복소환 화합물에 포르밀기를 도입하는 반응으로서 알려진 빌스마이어 조건에 의한 포르밀화 반응이다. 또한, 화합물 (IV) 은, 방향족 화합물도 아니고 방향족 복소환 화합물도 아니기 때문에, 이 조건 에 의해 포르밀화는 통상 실시되지 않는다. 시약의 옥시 염화인, 또는 옥시 브롬화 인은 통상 1 ∼ 5 당량 첨가되고, 반응 온도는 0℃ 에서 150℃ 이다. 특히 2 ∼ 3 당량의 옥시 염화 인을 첨가하여, 80℃ 에서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부근) 에서 반응시킨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또,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필요 당량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이나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반응 종료 후, 비수용성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조작에 의해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데,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등을 첨가하여 pH 를 6 으로 조절한 경우, 화합물 (I) 과 (III) 이 결정으로서 취출되므로 조작성이 좋아, (I) 과 (III) 의 혼합물로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공정에서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외에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도 생성되는데, 이 (III) 화합물은 다음 공정에서 식 (I) 또는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유도할 수 있고, 특히 이 단계에서 식 (III) 을 나눌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벤조[b]티오펜의 3 위치에 포르밀기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식 (IV) 가 이와 같은 Vilsmeier 조건에 의한 포르밀화의 출발 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식 (VIII) 중, 제 5 공정째의 (I) 및 (III) 의 혼합물로부터, (II) 를 합성하는 반응은 환원 공정이다. 환원제로서는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는데, 반응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첨가해도 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30℃ 에서 100℃ 이다. 또, 공업 제법상의 안전성을 고려하면, 나트륨 수소화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을 환원제로 하고, 톨루엔 용매 중에서 60℃ 부근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공업 제법상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III) 에서 (I) 을 합성하는 탈할로겐화의 접촉 환원에 이어, (I) 에서 (II) 를 합성하는 환원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먼저 (III) 에서 (I) 을 합성하는 접촉 환원시의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5 ∼ 20% 팔라듐 탄소, 20% 수산화 팔라듐 (II) 탄소 등의 팔라듐 촉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팔라듐 촉매로서는, 건조품 또는 함수(含水)품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공업 제법상의 안전성을 고려하면, 함수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 가스, 포름산, 포름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수소 가스가 바람직하다. 또, 첨가하는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이나 디에틸아민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디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면 팔라듐 촉매를 감량할 수 있게 되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로서는, 0℃ 에서 100℃ 이다.
계속되는 (I) 에서 (II) 를 합성하기 위한 환원 공정에서는,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소화 붕소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환원의 용매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는데, 반응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첨가해도 된다. 반응 온도로서는 -30℃ 에서 100℃ 이다.
본 발명의 식 (VIII) 에 있어서의 공정수는 4 또는 5 로 짧은 공정이다. 또, 통산 수율은 54 ∼ 76% 로, 고수율이 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식 (II) 의 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01/53291호 팜플렛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의약 상 유용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예를 들어, 식 (XX)) 의 합성을 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6
[식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혹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R23 및 R24 는 일체가 되어 -O-CH2-O-, -O-CH2CH2-O-, 혹은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 원자는 1 개 혹은 복수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A 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수 1 ∼ 7 의 직사슬, 고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0-, -S-, -SO2-, -NR25- (여기에서, R25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1 개 혹은 복수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인접하는 2 개가 아세탈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술포닐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페녹시기이다. 이들의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의 임의의 장소에서 1 개 또는 복수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도 된다. 단, 식 중, M 이 단결합이고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E 는 -COOR25, -SO3R25, -CONHR25, -SO2NHR25, 테트라졸-5-일기, 5-옥소-1,2,4-옥사디아졸-3-일기, 또는 5-옥소-1,2,4-티아디아졸-3-일기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M 은 단결합 또는 -S(O)m- 를 나타내고, m 은 0 ∼ 2 의 정수이다.
G 및 J 는 상기 식 (II) 를 나타낸다. 단, G 는 상기 식 (II) 의 벤조티오펜의 3 위치의 메틸렌을 나타내고, 상기 식 (II) 의 히드록실기는 벤즈이미다졸 고리 상의 질소 원자로 치환된다.
X 는 -CH=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XX) 에 있어서, E 가 COOR25, M 이 S 인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합성법 (A) 또는 합성법 (B)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A)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7
[식 중, Z 는 할로겐, 술포닐옥시, 또는 암모늄염을 나타내고, R23, R24, R25, A, G, J 및 X 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즉,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 (a1) 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오르토페닐렌디아민 (a2) 을 얻는다. 이것에 CS2 를 반응시켜, 화합물 (a3) 로 한 후, 이것에 할라이드에스테르 유도체 (a4) 를 반응시켜 (a5) 를 얻고, 추가로 이것에 식 (II) 의 수산기를 할로겐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켜 화합물 (a7) 을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것을 가수 분해함으로써, R25 가 수소 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a8) 를 얻을 수 있다.
니트로기의 환원은 통상적인 접촉 환원 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Pd-C 등의 촉매 존재 하, 산성, 중성, 알칼리성 조건 하, 실온 ∼ 100℃ 의 온도에서 수소 가스와 반응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 산성 조건 하에서 아연이나 주석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중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아연 분말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다.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a2) 와 CS2 의 반응은, 예를 들어 더 저널 오브 오르가닉 케미스트리 (J.Org.Chem.) 1954년 19권 631-637페이지 (피리딘 용액) 또는 더 저널 오브 메디시날 케미스트리 (J.Med.Chem.) 1993년 36권 1175-1187페이지 (에탄올 용액)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티오벤즈이미다졸류 (a3) 와 할라이드에스테르 (a4) 의 반응은, 통상적인 S-알킬화 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NaH, Et3N, NaOH, K2CO3 등 염기의 존재 하에 0℃ ∼ 200℃ 의 온도에서 교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3-히드록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 (II) 를 (a6) 로 변환시키는 할로겐화의 시약으로서는, 할로겐화 수소, 할로겐화 인, 술폰산 클로라이드, 할로겐화 티오닐 등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인, 할로겐화 티오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브롬화 인을 들 수 있다. 또, 용매로서는, 시클로헥산, 헥산 등의 탄화 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를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 톨루엔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실온 에서 환류 온도에서, 수 십분 에서 수 시간이면 된다.
티오벤즈이미다졸류 (a5) 와 할라이드 유도체 또는 암모늄염 (a6) 의 반응은, 통상적인 N-알킬화 혹은 N-아실화 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NaH, Et3N, NaOH, K2CO3, Cs2CO3 등의 염기의 존재 하에 0℃ ∼ 200℃ 의 온도에서 교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카르복시 보호기 R25 의 탈리 반응으로서는, 수산화 리튬 등의 알칼리, 또는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가수 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법 (B)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8
즉,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 (a1) 의 아미노기를 적당한 보호기 L 에 의해 보호하여 (b1) 을 얻는다. 이것에 식 (II) 의 수산기를 할로겐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켜 (b2) 를 얻고, L 을 탈보호시킴으로써 (b3) 을 얻는다. (b3) 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b4) 를 얻는다. 이것에 CS2 혹은 KSC(=S)OEt 를 반응시켜, 화합물 (b5) 로 한 후, 이것에 할라이드 에스테르 유도체 (a4) 를 반응시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a7) 를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것을 가수 분해 반응함으로써, R25 가 수소 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 (a1) 에 대해 무보호 상태로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b3) 을 직접 얻을 수도 있다. 보호기 L 로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아세틸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b4) 와 CS2 의 반응은, 합성법 (A) 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고, KSC(=S)OEt 와의 반응은, 예를 들어 오르가닉 신세시스 (OS) 1963년 4권 569-570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그 밖의 반응은 합성법 (A) 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XX) 에 있어서, E 가 테트라졸-5-일, M 이 S 인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합성법 (E)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E)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19
[식 중 R23, R24, A, G, J 및 X 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니트릴체 (e1) 를 여러 가지의 아지 화합물과 반응시켜 테트라졸체 (e2) 로 변환시킨다. 아지 화합물로서는 트리메틸주석 아지드 등의 트리알킬주석 아지드 화합물, 아지화 수소산 또는 그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주석 아지드 화합물을 사용할 때에는 화합물 (e1) 에 대해 1 ∼ 4 배 몰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아지화 수소산 또는 그 암모늄염을 사용할 때에는, 아지화 나트륨과 염화 암모늄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3 급 아민을 화합물 (e1) 에 대해 1 ∼ 5 배 몰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각 반응은 0℃ ∼ 200℃ 의 온도에서, 톨루엔, 벤젠, DMF 등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실시된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XX) 에 있어서, M 이 S0 또는 SO2 인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합성법 (F)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F)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0
[식 중, R23, R24, R25, A, G, J 및 X 는 상기 정의와 동일.]
즉,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a7) 을 과산화 화합물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술폭시드 유도체 (f1) 및/또는 술폰 유도체 (f2) 가 얻어진다. 사용되는 과산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과벤조산, m-클로로 과벤조산, 과아세트산,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고,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7) 과 과산화 화합물의 사용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이 없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1.2배몰 ∼ 5배몰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반응은 통상 0 ∼ 50℃ 정도, 바람직하게는 0℃ ∼ 실온에서 실시되고, 일반적으로 4 ∼ 20 시간 정도에 종료된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XX) 에 있어서, M 이 단결합인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합성법 (G)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G)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1
[식 중, X, A, G, J 및 R25 는 상기 정의와 동일.]
즉, 디아민 화합물 (b4) 에 공지된 산클로라이드 유도체 (g1) 을 반응시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g2) 를 얻을 수 있다. 또 (g2) 의 -COOR25 를 필요에 따라 가수 분해함으로써, R25 가 수소 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g3)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리화 반응은 더 저널 오브 메디시날 케미스트리 (J.Med.Chem.) 1993년 36권 1175-1187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O-(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화합물 (XVI))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2
아르곤 기류 하, 반응 용기에 2,3-디메틸페놀 (261g, 2.14㏖), 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클로라이드 (291g, 2.35㏖),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L) 를 투입하여, 내온 15℃ 이하까지 냉각시켰다. 교반 하, 내온 30℃ 이하에서 수소화 나트륨 (94.0g, 2.35㏖) 을 분할 투입하고 (47 분 필요로 하였다), 투입 종료 후에 실온까지 승온시켰다. 2 시간 교반 후, 수소화 나트륨 (8.56g, 0.214㏖) 을 추가하고, 다시 2 시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3L) 으로 켄치하고, 아세트산 에틸 (1.0L) 및 n-헥산 (1.0L) 을 첨가하여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물 (1.3L) 및 포화 식염수 (1.3L) 로 세정 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를 실시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켰다. 얻어진 미정제물을 감압 증류 (외온 170℃, 탑정 온도 150℃, 감압도 4.1mmHg) 로 정제하여, 화합물 (XVI) 을 백색 결정 (378.5g, 1.81mol) 으로 얻었다 (수율 84%).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3
[실시예 2-1]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S-(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화합물 XV)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4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화합물 (XVI) 의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O- (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378.5 g, 1.81㏖), 디페닐에테르 (380mL) 를 투입하고, 외온 275℃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실온까지 방랭시키고, 감압 증류에 의해 먼저 디페닐에테르를 증류 제거하고 (외온 130℃, 탑정 온도 105℃, 감압도 3.3mmHg), 이어서 감압 증류를 계속 (외온 160℃, 탑정 온도 140℃, 감압도 2.9mmHg) 함으로써, 화합물 (XV) 를 약간 황색미를 띤 백색 결정 (343.0g, 1.64㏖) 으로서 얻었다 (수율 91%).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5
[실시예 2-2]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S-(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화합물 XV)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6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수소화 나트륨 (60% 유성)(2.42g, 60.6m㏖), t-부틸메틸에테르 (11mL) 를 투입하고, 외온 0℃ 에서 디메틸벤젠티올 (5.58g, 40.4m㏖) 의 t-부틸메틸에테르 (22mL) 용액 및, 디메틸카르바모일클로라이드 (4.78g, 44.4m㏖) 의 t-부틸메틸에테르 (22mL) 용액을 순차 적하시켜, 외온 60℃ 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실온까지 방랭시키고, 추가로 빙랭시키고, 1M 염산 (28mL) 으로 중화 분액하였다. 수층을 t-부틸메틸에 테르 (28mL)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6mL), 물 (56mL) 및 포화 식염수 (56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화합물 (XV) 를 백색의 고체 (8.98g, 40.9m㏖) 로서 얻었다 (수율 106% : 수소화 나트륨 유래의 오일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는 그 이상의 정제를 실시하지 않고 다음 공정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3]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S-(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화합물 XV)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7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디메틸벤젠티올 (0.89g, 6.44m㏖) 과 t-부틸메틸에테르 (4.5mL), 탄산 칼륨 (1.78g, 12.98m㏖) 을 투입하고, 외온 0℃ 에서 디메틸카르바모일클로라이드 (0.76g, 7.08m㏖) 의 t-부틸메틸에테르 (4.5mL) 를 적하시켰다 (세정 t-부틸메틸에테르 4.5mL 로 2 회). 외온 60℃ 에서 29 시간 교반하여,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실온까지 방랭시키고, 추가로 빙랭시키고, 1M 염산 (10mL) 으로 중화 분액하였다. 수층을 t-부틸메틸에테르 (4.5mL) 로 2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9mL), 물 (9mL) 및 포화 식염수 (9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화합물 (XV) 를 백색 고체 (1.34g, 6.42m㏖) 로서 얻었다 (수율 100%). 얻어진 고체는 그 이상의 정제를 실시하지 않고 다음 공정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8
[실시예 3-1]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 (화합물 XIV)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29
아르곤 기류 하, 반응 용기에 테트라히드로푸란 (1.29L), 디이소프로필아민 (217mL, 1.55㏖) 을 투입하여 외온 -5℃ 로 냉각시켰다. 내온이 0℃ 부근인 것을 확인하고, n-부틸리튬 (1.0L, 1.54㏖) 을 내온 5℃ 이하에서 80 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적하 종료 후, 동온도에서 1 시간 교반하여 외온 -15℃ 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화합물 (XV) 의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S-(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128.9g, 0.616㏖)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387mL) 용액을 내온 0℃ 이하에서 45 분에 걸쳐 적하시키고 (세정 테트라히드로푸란 64mL), 30 분 교반 후, 원료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10% 염산 (1.93L) 을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 부근까지 승온시키고, 그대로 실온 부근에서 30 분 교반하였다. 그 후, 아세트산 에틸 (645mL) 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물 (1.3Lx3) 및 포화 식염수 (1.3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담황백색의 미정제물 (103.4g) 을 얻었다 (미정제 수율 102%).
미정제물의 94.1g 에 에탄올 (47mL) 및 n-헥산 (188mL) 을 첨가하고, 외온 100℃ 에 가열 환류시켜 결정의 용해를 확인하였다. 5 분 교반 후, 방랭시켜 내온 40℃ 부근에서 결정의 석출을 교반한 후, 빙랭에 의해 냉각을 실시하였다. 내온 5℃ 이하에서 1 시간 교반 후, 결정을 여과 채취하여, 냉각된 에탄올/n-헥산 혼액 (에탄올/n-헥산=1/4, 141mL) 으로 토핑 세정하였다. Wet 결정을 50℃ 에서 16 시간 감압 건조시켜, 화합물 (XIV) 을 미황백색 분말 (72.55g, 0.442㏖) 로서 얻었다 (환산 수율 79%).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0
[실시예 3-2]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화합물 XIV)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1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t-부틸메틸에테르 (129mL), 디이소프로필아민 (16.7mL, 119m㏖) 를 투입하여, 외온 0℃ 로 냉각시켰다. n-부틸리튬 (2.6M 헥산 용액, 45.9mL, 119m㏖) 을 내온 6℃ 이하에서 1 시간에 걸쳐 적하시켰다. 적하 종료 후, 동온도에서 30 분 교반하고 다시 화합물 (XV) 의 디메틸-티오카르바민산 S-(2,3-디메틸페닐)에스테르 (10.0g, 47.8m㏖) 의 t-부틸메틸에테르 (60mL) 용액을 내온 4℃ 이하에서 2 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30 분 교반 후, 원료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3M 염산 (150mL) 을 천천히 첨가하여 실온 부근까지 승온시키고 분액 추출하였다. 수층을 t-부틸메틸에테르 (50mL 로 2 회)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물 (100mL 로 3 회) 및 포화 식염수 (100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담황백색 미정제물 (7.8g) 을 얻었다 (미정제 수율 100%).
미정제물의 1.0g 에 에탄올 (0.1mL) 을 첨가하고 외온 100℃ 에서 용해시키고, 동온도에서 추가로 n-헵탄 (2.4mL) 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방랭 에서 빙랭에 의해 냉각을 실시하였다. 내온 5℃ 이하에서 1 시간 교반 후, 결정을 여과 채취하여, 냉각된 에탄올/n-헵탄 혼액 (에탄올/n-헵탄=1/24, 1.0mL) 으로 2 회 토핑 세정하였다. Wet 결정을 50℃ 에서 16 시간 감압 건조시켜, 화합물 (XIV) 을 미황백색 분말 (0.84g, 5.11m㏖) 로서 얻었다 (환산 수율 83%).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2
[실시예 4-1]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화합물 (XI))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화합물 XIII)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3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화합물 (XIV) 의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 (3.0g, 18.27m㏖), N,N-디메틸포름아미드 (9mL) 를 투입하고, 외온 0℃ 에서 옥시 염화 인 (3.72mL, 40.19m㏖) 을 20 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적하 후, 외온 100℃ 까지 승온시키고, 2 시간 교반 후에 원료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외온 0℃ 까지 냉각시키고, 4.6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35mL) 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를 6 으로 조정한 후, 실온에서 10 분 교반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여, 물 (15mL) 로 토핑 세정함으로써,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XI)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XIII) 의 혼합물을 적갈색 분말 (Wet 3.22g) 로서 얻었다. 얻어진 wet 결정은, 정제·건조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에 사용하였다.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4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5
[실시예 4-2]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화합물 (XI))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화합물 XIII)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6
아르곤 분위기 하, 반응 용기에 화합물 (XIV) 의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 (4.9g, 29.7m㏖),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mL) 를 투입하고, 외온 0℃ 에서 옥시 염화 인 (10.0g, 65.24m㏖) 을 30 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적하 후, 외온 100℃ 까지 승온시키고, 1.5 시간 교반 후에 원료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반응액을 방랭시키고 내온이 41℃ 에서 톨루엔 (24mL) 을 첨가하여 빙랭시켰다. 여기에 5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42mL) 을 천천히 적하시키고 분액 추출을 실시하였다. 수층을 톨루엔 (24mL) 으로 3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물 (49mL 로 3 회) 및 포화 식염수 (49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 드 (XI)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XIII) 의 혼합물을 적갈색의 고체 (5.42g) 로서 얻었다. 얻어진 wet 결정은, 정제·건조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1]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올 (화합물 (XII))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7
주입량은 전공정 [실시예 4-1] 에서 얻어진 화합물 (XI) 및 (XIII) 의 혼합물의 절반량을 사용하였다. 중량 또는 용량 계산은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의 wet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몰 계산은 전공정이 100% 진행된 것으로 가정, 즉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을 기준으로서 계산하였다.
반응 용기에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의 혼합물 (wet 1.61g, 전공정의 절반량), 테트라히드로푸란 (8mL), 5% 팔라듐 탄소 (160mg, 50%wet), 디이소프로필아민 (3.11mL, 22.2m㏖) 을 투입하여, 반응계 내를 아르곤으로 3 회 치환시킨 후, 수소로 3 회 치환시켰다. 수소 상압 하, 외온 55℃ 에서 9 시간 교반하고, 반응의 종료를 확인한 후, 실온에서 15 시간 정치(靜置)시켰다.
정치 후, 반응액을 외온 0℃ 로 냉각시키고, 수소화 붕소 나트륨 (520mg, 13.75m㏖) 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고,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반응액을 빙랭시키고, 외온 0℃ 에서 1M 염산 (25mL) 을 천천히 첨가하여 아세트산 에틸 (16mLx3)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포화 식염수 (16mL) 로 세정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올(화합물 (XII)) 을 담주황백색의 분말 (1.46g, 8.19m㏖) 로서 얻었다. 또한, 그 이상의 정제는 실시하지 않았다 (통산 수율 90%).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8
[실시예 5-2]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올 (화합물 (XII)) 의 합성
Figure 112008029943368-PCT00039
아르곤 분위기 하, 전공정 [실시예 4-2] 에서 얻어진 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 및 2-클로로-4-메틸-벤조[b]티오펜-3-카르발데히드의 혼합물 (1.00g, 5.28m㏖ : 몰 계산은 전공정이 100% 진행된 것으로 가정, 즉 4-메틸-3H-벤조[b]티오펜-2-온을 기준으로서 계산하였다.), 톨루엔 (5mL) 을 투입하고, 외온 0℃ 에서 나트륨 수소화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 (65% 톨루엔 용액, 2.46g, 7.91m㏖) 을 적하시켰다. 적하 종료 후에 외온 60℃ 에서 24 시간 교반하고, 원료의 소실을 확인 후, 실온까지 방랭시키고, 메탄올 1mL 로 켄치하고, 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mL) 으로 분액 추출하였다. 수층을 톨루엔 (5mL) 으로 3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물 (10mL 로 3 회) 및 포화 식염수 (10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화합물 (XII) 을 담주황백색의 분말 (0.85g, 4.78m㏖) 로서 얻었다. 또한, 그 이상의 정제는 실시하지 않았다 (수율 91%).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의약품 예를 들어 키마제 저해제의 제조 중간체로서 사용된다.

Claims (42)

  1. 식 (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0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1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붕소 나트륨 또는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제조 방법.
  4. 식 (I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2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탈할로겐화함으로써, 식 (I) 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탈할로겐화 조건으로서 접촉 환원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탈할로겐화 시약으로서 수소와 팔라듐 탄소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10.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식 (II) 로 나타내는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환원제로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소화 금속 착화합물이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인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수소화 알루미늄 착화합물이 나트륨 수소화 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늄인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IV)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3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르밀화함으로써, 식 (I) 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포르밀화 조건으로서 빌스마이어(Vilsmeier) 반응 조건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포르밀화 시약으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시 염화 인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17.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IV)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르밀화함으로써, 식 (III) 으로 나타내는 3-포르밀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포르밀화 조건으로서 빌스마이어 반응 조건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포르밀화 시약으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시 염화 인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V)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4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R5 및 R6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고리화시킴으로써, 식 (IV) 로 나타내는 디히드로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고리화 시약으로서 염기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고리화 시약으로서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IX)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5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카르바모일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식 (V) 로 나타내는 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시약으로서 염기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시약으로서 탄산 칼륨 및 수소화 나트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26.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V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6
    [식 중, R1, R2, R3, R4, R5 및 R6 은 상기 식 (V) 에서의 정의와 동일.]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전위 반응에 의해, 식 (V) 로 나타내는 티오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전위 반응 조건으로서 200℃ 에서 300℃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제조 방법.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식 (VII)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7
    [식 중, R1, R2, R3 및 R4 는 상기 식 (I) 에서의 정의와 동일.]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티오카르바모일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식 (VI) 로 나타내는 카르바모일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29. (i) 및 (ii) 의 제법을 포함하는 식 (XX) 으로 나타내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i)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
    (i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식 (XX) 으로 나타내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8
    [식 (XX)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혹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혹은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R23 및 R24 는 일체가 되어 -O-CH2-O-, -O-CH2CH2-O-, 혹은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 원자는 1 개 혹은 복수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A 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탄소수 1 ∼ 7 의 직사슬, 고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0-, -S-, -SO2-, -NR25- (여기에서, R25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1 개 혹은 복수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의 알킬기,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인접하는 2 개가 아세탈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의 알킬티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알킬술포닐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기, 직사슬 혹은 분기형의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1 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페녹시기이다. 이들의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의 임의의 장소에서 1 개 혹은 복수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식 (XX) 중, M 이 단결합이고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E 는, -COOR25, -SO3R25, -CONHR25, -SO2NHR25, 테트라졸-5-일기, 5-옥소-1,2,4-옥사디아졸-3-일기, 또는 5-옥소-1,2,4-티아디아졸-3-일기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M 은 단결합 또는 -S(O)m- 을 나타내고, m 은 0 ∼ 2 의 정수이다.
    G 및 J 는 상기 식 (II) 를 나타낸다. 단, G 는 상기 식 (II) 의 벤조티오펜의 3 위치의 메틸렌을 나타내고, 상기 식 (II) 의 히드록실기는 벤즈이미다졸 고리 상의 질소 원자로 치환된다.
    X 는 -CH=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30.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인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08029943368-PCT00049
  31. 제 30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화합물.
  32.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08029943368-PCT00050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 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X 는 염소 원자를 나타낸다.]
  33. 제 32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중 3 개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
  34. R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 X 는 할로겐 원자인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08029943368-PCT00051
  35. 제 34 항에 있어서,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화합물.
  36. 제 35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이고, 또한 X 가 클로로 원자인 화합물.
  37. R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 R5 및 R6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식 (V)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V)
    Figure 112008029943368-PCT00052
  38. 제 37 항에 있어서,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화합물.
  39. 제 38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화합물.
  40. R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 6 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할로겐화 알콕시기;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 R5 및 R6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08029943368-PCT00053
  41. 제 40 항에 있어서,
    R1 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화합물.
  42. 제 41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화합물.
KR1020087010042A 2005-10-27 2006-10-27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58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2697 2005-10-27
JP2005312697 2005-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435A true KR20080058435A (ko) 2008-06-25

Family

ID=3796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042A KR20080058435A (ko) 2005-10-27 2006-10-27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99074A1 (ko)
EP (1) EP1947097A1 (ko)
JP (1) JP2007145827A (ko)
KR (1) KR20080058435A (ko)
CN (1) CN101296919A (ko)
AU (1) AU2006306984A1 (ko)
CA (1) CA2627489A1 (ko)
TW (1) TW200734321A (ko)
WO (1) WO2007049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6160A (zh) * 2018-09-10 2018-12-28 浙江扬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连续流反应器制备取代苯硫酚及杂环硫酚的方法
DE102018215611A1 (de) * 2018-09-13 2020-03-19 Universität Rostock Elektrochemische Synthese von S-Arylthiocarbamaten
RU2722595C1 (ru) * 2019-12-27 2020-06-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био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м. академиков М.М. Шемякина и Ю.А. Овчин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БХ РА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жного эфира 4-формил-6,7-дигидрокси-бензо[b]тиофен-3-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CN114573549B (zh) * 2020-11-30 2024-04-02 江苏和成新材料有限公司 一种二苯并噻吩类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593A (en) * 1948-10-01 1956-12-25 Schenley Ind Inc Thiosemicarbazones of aldehydes and ketones of the heterocyclic series
BE658618A (ko) * 1964-01-25 1965-05-17
US3301885A (en) * 1964-04-13 1967-01-31 Velsicol Chemical Corp Phenyl nu-hydrocarboxy nu-hydrocarbyl thiocarbamates
DE1263744B (de) * 1964-07-18 1968-03-2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iocarbaminsaeureestern
CH653028A5 (de) * 1982-02-03 1985-12-13 Sandoz Ag Benzthiophenallylamin-verbind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8304647D0 (en) * 1983-02-19 1983-03-23 Beecham Group Plc Compounds
DE3460315D1 (en) * 1983-02-19 1986-08-28 Beecham Group Plc Benzofuran and benzothiophene-carboxylic-acid derivatives
JPS6256461A (ja) * 1985-09-06 1987-03-12 Mitsui Petrochem Ind Ltd N,n−ジメチルカ−バメ−ト誘導体
GB8611617D0 (en) * 1986-05-13 1986-06-18 Shell Int Research Fungicides
HUT64023A (en) * 1991-03-22 1993-11-29 Sandoz Ag Process for producing aminoguan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US20040010004A1 (en) * 2000-01-17 2004-01-15 Naoki Tsuchiya Benzimidazole derivatives
US7375125B2 (en) * 1999-08-04 2008-05-20 Ore Pharmaceuticals, Inc. Melanocortin-4 receptor binding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60130865T2 (de) 2000-01-17 2008-07-17 Teijin Pharma Ltd. Benzimidazol-derivate als menschliche chymase - inhibitoren
EP1362854B1 (en) 2001-02-22 2007-10-31 Teijin Pharma Limited Benzo[b[thiophe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774245B2 (en) 2001-05-07 2004-08-10 Teijin Limited 3-Hydroxymethylbenzo[b]thiophe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WO2003006435A1 (en) * 2001-07-09 2003-01-23 Merck & Co., Inc. Process for oxidation of alcohols
JP2003081978A (ja) * 2001-09-10 2003-03-19 Mitsubishi Pharma Corp スピロ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US7456289B2 (en) * 2004-12-31 2008-11-25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Anti-tumor compounds
CN101107234B (zh) * 2005-01-27 2013-06-19 泰博特克药品有限公司 抑制hiv的2-(4-氰基苯氨基)嘧啶衍生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7097A1 (en) 2008-07-23
CA2627489A1 (en) 2007-05-03
US20090299074A1 (en) 2009-12-03
WO2007049813A1 (ja) 2007-05-03
TW200734321A (en) 2007-09-16
AU2006306984A1 (en) 2007-05-03
JP2007145827A (ja) 2007-06-14
CN101296919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3016075A1 (en) 4-(1H-2-METHYLIMIDAZO[4,5-c]PYRIDINYLMETHYL)PHENYLSULPHONAMIDE DERIVATIVES AS ANTAGONISTS OF PAF
KR20080058435A (ko)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2485B1 (ko)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A2666405A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4-(ethyiamino)-3,4-dihydro-2-(3- methoxypropyl)-2h-thieno[3,2-e]-1,2-thiazine-6-sulfonamide-1,1-dioxide
CA2694347A1 (en) Process for making thiophene carboxamide derivative
US6774245B2 (en) 3-Hydroxymethylbenzo[b]thiophe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CZ33398A3 (cs) Způsob přípravy halogenovaných o-hydroxydifenylderivátů a jejich použití
KR20080058430A (ko)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3651819A (zh) 一种吡唑羧酸结构化合物、其盐或酯及其制备方法
CN111410654A (zh) 3-溴-5-(2-乙基咪唑并[1,2-a]吡啶-3-羰基)-2-羟基苯甲腈的合成
JP4759500B2 (ja) ベンゾ[b]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5009165A1 (fr) PROCEDE POUR PRODUIRE DU BENZO[b]THIOPHENE SUBSTITUE EN POSITION 2
JPH0425947B2 (ko)
CN1944415B (zh) 苯并[b]噻吩衍生物及其制备方法
JP3085698B2 (ja) 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75901B2 (ja) 3−アセチルチオフェン類の製造方法
KR810001979B1 (ko) 2, 5-디히드로-1, 2-티아지노 [5, 6-b] 인돌-3-카복사미드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CN112375065A (zh) 2-噻吩硫代羧酸酯衍生物的制备方法
JP2006348041A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