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485B1 -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485B1
KR100922485B1 KR1020027014185A KR20027014185A KR100922485B1 KR 100922485 B1 KR100922485 B1 KR 100922485B1 KR 1020027014185 A KR1020027014185 A KR 1020027014185A KR 20027014185 A KR20027014185 A KR 20027014185A KR 100922485 B1 KR100922485 B1 KR 100922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arbon atoms
halogen atom
benz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293A (ko
Inventor
히로시 사이또
나오끼 쯔찌야
쯔요시 미즈노
도모히데 이다
요시유끼 사와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56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4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3,4-2치환된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고,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Ⅱ 및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의 혼합물로부터 표적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2034629000-pct00071
[화학식 Ⅳ]
Figure 112002034629000-pct00072
[화학식 Ⅴ]
Figure 112002034629000-pct00073
[화학식 Ⅱ]
Figure 112002034629000-pct00074
[화학식 Ⅲ]
Figure 112002034629000-pct00075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할로게노, 트리할로메틸,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를 나타내고,
X 는 히드록실 또는 할로게노를 나타내며;
R3 및 R4 는 수소, 할로게노, 트리할로메틸,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를 나타내고,
R5 는 C1-3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BENZO[b]THIOPHENE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약품 분야에서 유용한 화합물의 제조원료로서 중요한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현재까지 수많이 합성되어, 화성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 다수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1
[식 중, R17 내지 R20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X 는 히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치환-벤조티오펜 유도체는,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제조에 있어서의 중간체로서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화학식 ⅩⅢ 으로 표시되는 3-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 중, R17 내지 R20 이 수소원자, 또한 X 가 브롬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 R17 이 메틸기이고 R18 내지 R20 이 수소원자, 또한 X 가 브롬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 R18 이 메틸기이고 R17, R19, R20 이 수소원자, 또한 X 가 브롬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 R17, R19 가 메틸기이고 R18, R20 이 수소원자, 또한 X 가 브롬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WO01/53291에 나타나 있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합성중간체의 원료 등으로 될 수 있고,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제조에서의 중간체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WO01/53291에 나타나 있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의약상 유용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이고, 기관지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 경화성 혈관병변, 혈관내협착, 말초순환기장해를 비롯한 각종 질환에 대한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로 응용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유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2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X는 히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 벤조[b]티오펜 골격합성시에 4위, 6위의 이성체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이성체의 분리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합성된 보고가 없다. 그러나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는, 그와 같은 특징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의약품 개발에서 고활성 물질의 원료로 매우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에 관련되는 기술로는, "J.Chem.Soc.,Chem.Comm.,848(1974)" 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벤젠티올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고, 이어서 산화반응에서, 하기 화학식 :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3
[식 중, R21, R22 는 전부 수소원자, 또는 R21, R22 로 벤젠환을 형성해도 됨]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그것을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4
[식 중, R21, R22 는 전부 수소원자, 또는 R21, R22 로 벤젠환을 형성해도 됨]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다시 p-톨루엔술폰산 존재하, 물-디옥산 중에 서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5
[식 중, R21, R22 는 전부 수소원자, 또는 R21, R22 로 벤젠환을 형성해도 됨]
이 얻어지는 반응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가 없고, 제법에 대해서도 p-톨루엔술폰산-디옥산이 존재한다는 조건만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또 이 문헌에 기재된 조건에서 합성하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이성체인 6-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 이외에도 부생성물의 비율이 많이 생성되고, 따라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가 필수로 되기 때문에, 공업적 제법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목적물질의 분획은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과 6-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의 약 3:2의 혼합물로 되어, 이 혼합물로부터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조금도 기재되어 있지 않고, 또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정제로도 완전히 분리할 수 없다.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는 합성방법으로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의 합성은 매우 곤란하였다.
또 이 문헌의 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의 합성에 대해서도, 부생성물의 합성에 의해, 수율이 64%로 낮고, 그 뒤의 할로겐화(3-할로메틸-벤조[b]티오펜의 합성) 등을 고려하면 공정이 증가하므로, 공업적으로 불리하다.
또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다른 합성법으로는, p-톨루엔티올에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을 반응시켜 술피드로 한 후, 폴리인산으로 환화하여 5-메틸-벤조[b]티오펜을 얻은 후에, 염화수소가스-포름알데히드를 작용시켜, 클로로메틸기를 도입하는 방법 [J.Chem.Soc., C, 514(1968)] 이나, 벤조[b]티오펜에 프리델ㆍ크라프트반응을 실시하여, 원료가 되는 3-클로로아세틸-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합성하고 [J.Chem.Soc., Perkin Trans. 2, 1250, (1973)], 이것을 가수분해한 후에, 환원, 할로겐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어느 방법에서도, 2위, 3위의 양방에 할로메틸기가 도입되고, 그 선택성은 반드시 높지 않으며, 또 무엇보다도 3-할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2-할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이상의 상황으로부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가 요망되고, 또 이의 효율적이고 간편한 합성방법이 요망되었다.
또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효율적이고 간편한 합성방법에 대해서도 요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합성법으로는 곤란하였던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제공하고,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 은, 공정이 짧고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순도가 높은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한 결과, 의약품 등의 원료로서 유용한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발견하고, 이의 선택적 합성방법을 발견하였다. 또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효율적인 합성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화학식 Ⅰ]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6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X는 히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이다.
상기 화학식 Ⅰ 에 있어서, X 가 히드록실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R1 이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화학식 Ⅰ 에 있어서, X 가 할로겐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R1 이 메틸기이고, X 가 브롬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7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과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8
[식 중, R2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얻는 방법이다. 결정화시키는 상기 용매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2 내지 6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용매,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6 내지 8 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용매, 또는 아세토니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09
[식 중, R3 이 수소이고 또한 R4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3 이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또한 R4 는 수소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중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0
[식 중, R3 및 R4 는 상기 화학식 Ⅳ 와 동일하고,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소화금속착화합물로 환원, 또는 염기성 가수분해, 또는 산성 가수분해하는 것에 의한,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또는 상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환원은,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m-치환벤젠티올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1
[식 중, R6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다음에 이것을 산화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2
[식 중, R6 은 상기 화학식 Ⅵ 의 정의와 동일함]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다시 이것을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탄소수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중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은 후에,
에스테르기를 히드록실기로 변환하여 얻어지는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상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혼합물을, 용매 중에서 정석하는 것에 의한,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화학식 Ⅵ 에 있어서, R6 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히드록실기를, 다시 할로겐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3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4-치환-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화학식 Ⅷ 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4
[식 중, R8 내지 R11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등량 이상의 산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5
[식 중, R8 내지 R11 은 화학식 Ⅸ 와 동일하고,
R12 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환벤젠티올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6
[식 중, R13 및 R15 는 동시에, 그리고 R14 는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이고, 또한 R16 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6 이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 또한 R13 내지 R15 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합물 (ⅩⅠ) 을 산화하여,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7
[식 중, R13 내지 R16 은 상기 화학식 ⅩⅠ 과 동일함]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Ⅹ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등량 이상의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Ⅹ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Ⅸ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R8 및 R10 이 동시에, 또한 R9 가 독립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또한 R11 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1 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한 R8 내지 R10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이고, 그리고 상기 화학식 ⅩⅠ 및 상기 화학식 ⅩⅡ 의 R13 및 R15 가 동시에, 또한 R14 가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또한 R16 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6 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한 R13 내지 R15 가 동 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Ⅹ 에 있어서, 식 중, R12 가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Ⅰ 또는 상기 화학식 Ⅹ 로부터, 화학식 ⅩⅩ 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화학식 ⅩⅩ) 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8
[화학식 ⅩⅩ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거나, R23 및 R24 는 함께 -O-CH2-O-, -O-CH2 CH2-O- 또는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원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도 있음) 을 나타내고,
A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7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O-, -S-, -SO2-, -NR25- (여기에서 R 25 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냄) 을 하나 또는 복수개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인접하는 2개가 아세탈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술포닐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녹시기이고, 이들의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의 임의의 장소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 각각 독립하여 치환될 수도 있으며, 단, 화학식 ⅩⅩ 중, M 이 단결합으로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하고,
E 는 -COOR25, -SO3R25, -CONHR25, -SO2NHR25 , 테트라졸-5-일기, 5-옥소-1,2,4-옥사디아졸-3-일기, 또는 5-옥소-1,2,4-티아디아졸-3-일기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냄) 을 나타내며,
M 은 단결합 또는 -S(O)m- 을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G 또한 J 는, 상기 화학식 Ⅰ 또는 상기 화학식 Ⅹ 를 나타내며, 단, G 는 상기 화학식 Ⅰ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벤조티오펜의 3위의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Ⅰ 의 Ⅹ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R12 는 벤즈이미다졸환 상의 질소 원자로 치환되고,
X 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냄].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벤조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의 예를 다음에 들었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의 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학식:
[화학식 Ⅰ]
Figure 112002034629000-pct00019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X는 히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이다. R1 은 바람직하게는 트리할로메틸기, 메틸기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를 들 수 있다. 또 X 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 브롬원자, 염소원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Ⅰ 의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표 1 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표 중,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합물번호 1, 2, 3 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0
(Ⅰ)
화합물 번호 R1 X
1 Me OH
2 Me Cl
3 Me Br
4 CF3 OH
5 CF3 Cl
6 CF3 Br
(Me는 메틸기를 나타냄)
화학식 Ⅰ 의 제법으로는 하기 화학식:
[화학식 Ⅳ]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1
[식 중, R3 이 수소이고 또한 R4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R3 이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또한 R4 는 수소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그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중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화학식 Ⅴ]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2
[식 중, R3 및 R4 는 상기 화학식 Ⅳ 와 동일하고, R5 는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Ⅳ 로부터 화학식 Ⅴ 로의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아세트산i-프로필, 아세트산n-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을 들 수 있다.
또 카르복실산, 또는 산무수물로서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그 후,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에스테르기를 히드록실기로 변환함으로써, 화학식 Ⅱ 및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는다.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에스테르기를,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히드록실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산 가수분해, 염기성 가수분해 또는 수소화금속착화합물에 의한 환원 등으로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가수분해, 수소화금속착화합물에 의한 환원이다. 염기성 가수분해의 염기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또 수소화금속착화합물로는,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지만, 수소화붕소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그 화학식 Ⅱ 및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킴으로써,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결정화시키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2 내지 6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용매 중,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6 내지 8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용매나, 또는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정석(晶析)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의 바람직한 예로는, 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옥탄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헥산, 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탄화수소는, 단독용매로 사용해도, 혼합용매로 사용해도 된다. 방향족 탄화수소의 바람직한 예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톨루엔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카르복실산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 에스테르로는,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포름산에틸, 프로피온산에틸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에틸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정석조건의 용매의 조합으로는, 헥산-아세트산에틸, 시클로헥산-아세트산에틸, 헥산-시클로헥산-아세트산에틸, 헥산-톨루엔, 시클로헥산-톨루엔, 헥산-시클로헥산-톨루엔, 헥산-크실렌, 시클로헥산-크실렌, 헥산-시클로헥산-크실렌, 또는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정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정석 조건으로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탄소수 2 내지 6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용매 중,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6 내지 8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용매 중, 또는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환류하고, 그 후 냉각하여 정석하는 방법, 또는 탄소수 6 내지 8의 방향족 탄화수소나, 탄소수 2 내지 6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에 용해시킨 후에,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혼합용매 중에서 정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혼합용매의 비율로는 탄소수 5 내지 8의 탄화수소:카르복실산에스테르=1:2∼9:1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 내지 8의 탄화수소:카르복실산에스테르=1:2∼5:1을 들 수 있다. 또 탄소수 6 내지 8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의 비율로는, 탄소수 5 내지 8의 탄화수소:방향족 탄화수소=1:2∼5:1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8의 탄화수소:방향족 탄화수소=1:2∼3:1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정석조건의 예로는, 헥산:아세트산에틸=1:2∼5:1 이나, 또는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혼합용매:아세트산에틸=1:2∼5:1이나, 또는 헥산:톨루엔=1:2∼3:1이나, 또는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혼합용매:톨루엔=1:2∼3:1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바람직한 비율로는, 시클로헥산:헥산=1:3∼3:1을 들 수 있다.
기질에 대한 용매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에 대해, 1배 내지 10배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의 2배 내지 5배량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얻어진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히드록실기를 할로겐원자로 변환함으로서, 화학식 Ⅷ 으로 표시되는 4-치환-3-할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Ⅱ 내지 화학식 Ⅷ 의 할로메틸화의 시약으로는, 할로겐화수소, 할로겐화인, 술폰산클로리드, 할로겐화티오닐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인, 할로겐화티오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삼브롬화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시판되는 원료화합물로부터 합성하는 방법을 다음에 서술한다. 이 방법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이 효율적이고 고순도로 합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래에 구체례를 들어 설명한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3
(제 1 공정)
본 공정은 (ⅩⅦ) 로 표시되는 m-톨루엔티올의 메르캅토기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Ⅵ)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프로파르길기의 도입은, 할로겐화프로파르길, 예컨대 브롬화프로파르길, 염화프로파르길 등을 사용하여, 염기성 물질의 존재하에 실시한다. 염기성 물질로는, 예컨대 무기염기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 유기염기로는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사용한다. 용매로는 톨루엔, 아세톤,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2-부탄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톨루엔, 2-부탄올을 바람직한 용매로 들 수 있다. 반응은 실온 내지 환류온도에서, 수십분 내지 수시간에 얻을 수 있다.
(제 2 공정)
본 공정은, 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화학식 Ⅵ 로부터 화학식 Ⅶ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황원자의 산화반응은, 예컨대 과황산칼륨이나 과산화수소수, 메타과요오드산염류, 과염소산염류, m-클로로벤조산 등의 산화제와, 적당한 용매,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알코올류, 아세톤, 물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여 반응을 실시한다. 본 공정에서는, 1 내지 1.2 등량의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물의 용매 중, 실온에서 수십분 내지 수시간 교반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제 3 공정)
본 공정은 술폭시드의 전이환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Ⅶ 로부터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술폭시드의 경우, 바람직한 용매로는 디옥산, 아세트산프로필, 톨루엔, 크실렌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톨루엔,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의 10배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 15배량 내지 30배량이다.
반응온도는 60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도 내지 100도이다.
본 공정에서, 화학식 Ⅶ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용매에 녹인 후에 가열해도 반응은 진행되지만, 용매를 미리, 이 반응온도로 가열해 두고, 가열된 용매에 화학식 Ⅶ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액을 적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열시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이 반응온도에서 적하시킨 후, 수십분 내지 2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질 적하 종료부터의 가열시간을 1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부생성물의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공정)
본 공정은,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환화체 (화학식 Ⅳ) 를 다시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용매는, 제 3 공정에서 사용한 반응용매를 농축하지 않고, 그 반응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에스테르화 전이반응이 진행된다. 또 제 3 공정에서의 용매를 농축하고, 다른 용매하에서 반응시켜도, 동일한 반응이 진행된다. 본 공정의 카르복실산으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카르복실산무수물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무수물은, 기질의 0.5 내지 1.2 등량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등량을, 기질 용매에 적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의 반응에서의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무수물의 적하시의 반응온도로는, 0℃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30℃ 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공정의 반응은 실온에서 실시한 경우, 수분 내지 수시간에 종료한다.
(제 5 공정)
본 공정은 제 4 공정에서 얻어진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에스테르체의 히드록실화에 의해, 화학식 Ⅱ 또는 화학식 Ⅲ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조건으로는 염기성 가수분해, 또는 수소화금속착화합물에 의한 환원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가수분해의 염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의 용매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테트라히드로푸란-물계가 바람직하다. 또 수소화금속착화합물에 의한 환원의 경우, 수소화금속착화합물로는,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시아노트리히드로붕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붕소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염기성 가수분해의 염기 또는 수소화금속착화합물의 양은, 기질의 0.5 내지 1 등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계의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을 들 수 있다.
(제 6 공정)
본 공정은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와, 화학식 Ⅲ 로 표시되는 6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Ⅱ 와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의 정석화하는 용매로는, 헥산, 시클로헥산-아세트산에틸, 또는 헥산-톨루엔계를 바람직한 용매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정석조건의 예로는, 헥산:아세트산에틸=1:2∼5:1 이나,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혼합용매:아세트산에틸=1:2∼5:1, 헥산:톨루엔=1:2∼3:1,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혼합용매:톨루엔=1:2∼3:1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헥산과 헥산의 바람직한 비율로는, 시클로헥산:헥산=1:3∼3:1 을 들 수 있다.
기질에 대한 용매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에 대해, 1배량 내지 10배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의 2배량 내지 5배량을 들 수 있다.
본 공정에 의해, 화학식 Ⅱ 와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석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제 7 공정)
또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Ⅷ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4
본 공정은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히드록실기를 할로겐원자로 교환하는 공정이다.
할로겐교환의 할로메틸화의 시약으로는, 할로겐화수소, 할로겐화인, 술폰산클로리드, 할로겐화티오닐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인, 할로겐화티오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삼브롬화인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시클로헥산, 헥산 등의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 톨루엔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실온 내지 환류온도에서, 수십분 내지 수시간에 얻을 수 있다. 반응 후에 필요에 따라, 화학식 Ⅷ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결정화해도 된다. 결정화 용매로는 헵탄, 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를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 헵탄을 들 수 있다.
다음에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합성방법에 대해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화학식 Ⅸ]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5
[식 중, R8 내지 R11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등량 이상의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화학식 Ⅹ]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6
[식 중, R8 내지 R11 은 화학식 Ⅸ 와 동일하고, R12 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R8 내지 R11 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또 수소원자, 알킬기의 위치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임의이지만, 특 히 전부가 수소원자, 또는 R8, R10 및 R11 이 수소원자이고 R9 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R9 및 R11 이 수소원자, R8, R10 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Ⅹ 의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표 2 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표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합물번호 7, 8, 9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7
(Ⅹ)
화합물 번호 R8 R9 R10 R11 R12
7 H H H H Br
8 H Me H H Br
9 Me H Me H Br
10 H H H H Cl
11 H Me H H Cl
12 Me H Me H Cl
(Me는 메틸기를 나타냄)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Ⅸ 내지 화학식 Ⅹ 에 대한 반응에 사용하는 산으로는, 염화수소가스, 브롬화수소가스, 염화수소-디옥산용액,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염화수소-디옥산용액, 브롬화수소산이 바람직하다. 또 산의 양은 기질의 등량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 등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등량이다.
또 본 발명의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아세트산프로필, 톨루엔을 들 수 있다. 그 양으로는 기질중량의 5배량 이상, 바 람직하게는 10배량 내지 20배량을 첨가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의 반응온도로는, 0℃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특히 0℃ 내지 3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8
(제 1 공정)
본 공정은 화학식 ⅩⅧ 로 표시되는 치환벤젠티오닐의 메르캅토기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화학식 ⅩⅠ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프로파르길기의 도입은, 할로겐화프로파르길, 예컨대 브롬화프로파르길, 염화프로파르길 등을 사용하여, 염기성 물질의 존재하에 실시한다. 염기성 물질로는 예컨대 무기염기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 유기염기로는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사용하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2-부타논, 톨루엔 등의 용매 중에서, 실온 내지 환류온도에서, 수시간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할 수 있다.
(제 2 공정)
본 공정은, 화학식 ⅩⅠ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함으로써, 화학식 Ⅹ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1.2 등량의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물의 용매계에서, 실온에서 교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상기 조건에서 수시간에 반응이 완료된다.
(제 3 공정)
본 공정은 화학식 Ⅹ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술폭시드의 전이환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의 열전이반응에 있어서는, [J.C.S.Chem.Comm.,848-849,1974]에 기재된 방법이 참고가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술폭시드 반응의 경우, 디옥산, 아세트산프로필, 톨루엔, 크실렌 등을 바람직한 용매로 들 수 있다. 용매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의 10배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질중량 15배량 내지 30배량이다. 이 용매량으로 반응시킴으로써, 부생성물의 생성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0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100도 내지 상기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환류온도에서 실시한 경우, 수십분 내지 수시간에 달성된다.
(제 4 공정)
본 공정은,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환화체를, 다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Ⅹ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의 용매는, 제 3 공정에서 사용한 반응용매를 농축하지 않고, 그 반응계에 산을 첨가함으로써, 할로메틸화 전이반응이 진행된다. 또 제 3 공정에서의 용매를 농축하고, 다른 용매하에서 반응시켜도, 동일한 반응이 진행된다. 본 반응에서의 산으로는 염화수소가스, 브롬화수소가스,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염화수소-디옥산용액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에서의 반응온도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수십분 내지 수시간 정도에 달성된다.
이상에 서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화학식 Ⅸ 의 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WO01/5329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의약상 유용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ⅩⅢ 이나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3-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중간체로 하여, 약리학적으로 활성에서 유용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화학식 ⅩⅩ) 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ⅩⅩ]
Figure 112002034629000-pct00029
[화학식 ⅩⅩ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거나, R23 및 R24 는 함께 -O-CH2-O-, -O-CH2 CH2-O- 또는 -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원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도 있음) 을 나타내고,.
A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7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O-, -S-, -SO2-, -NR25- (여기에서 R 25 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냄) 을 하나 또는 복수개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인접하는 2개가 아세탈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술포닐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녹시기이며, 이들의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의 임의의 장소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 각각 독립하여 치환될 수도 있고, 단, 화학식 ⅩⅩ 중, M 이 단결합으로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E 는 -COOR25, -SO3R25, -CONHR25, -SO2NHR25 , 테트라졸-5-일기, 5-옥소-1,2,4-옥사디아졸-3-일기, 또는 5-옥소-1,2,4-티아디아졸-3-일기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냄) 을 나타내고,
M 은 단결합 또는 -S(O)m- 을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G 또한 J 는, 상기 화학식 Ⅰ 또는 상기 화학식 Ⅹ 를 나타내고, 단, G 는 상기 화학식 Ⅰ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벤조티오펜의 3위의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Ⅰ 의 Ⅹ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R12 는 벤즈이미다졸환 상의 질소원자로 치환되며,
X 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냄].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ⅩⅩ) 에 있어서, E가 COOR25, M이 S인 경우는, 다음에 나타낸 합성법 (A) 또는 합성법 (B)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A)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0
[식 중, Z는 할로겐 또는 암모늄염을 나타내고, R23, R24, R25, A, G, J 및 X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
즉,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 (a1) 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오르토페닐렌디아민 (a2) 을 얻는다. 이것에 CS2 를 반응시켜, 화합물 (a3) 으로 한 후, 이것에 할라이드에스테르 유도체 (a4) 를 반응시켜 (a5) 를 얻고, 다시 이것에 상기 화학식 Ⅷ, 또는 상기 화학식 Ⅹ 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켜 화합 물 (a7) 을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것을 가수분해함으로써, R25 가 수소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a8) 를 얻을 수 있다.
니트로기의 환원은, 통상의 접촉환원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컨대 Pd-C 등의 촉매존재하, 산성, 중성, 알칼리성 조건하, 실온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소가스와 반응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 산성조건하에서 아연이나 주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중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아연말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다.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a2) 와 CS2 의 반응은, 예컨대 더 저널 어브 오르가닐 케미스트리 (J. Org. Chem.) 1954년 19권 631-637면 (피리딘 용액) 또는 더 저널 어브 메디셔널 케미스트리 (J. Med. Chem.) 1993년 36권 1175-1187면 (에탄올 용액)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티오벤즈이미다졸류 (a3) 과 할라이드에스테르 (a4) 의 반응은, 통상의 S-알킬화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컨대 NaH, Et3N, NaOH, K2CO3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교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티오벤즈이미다졸류 (a5) 와 할라이드 유도체 또는 암모늄염 (a6) 의 반응은, 통상의 N-알킬화 또는 N-아실화반응의 조건에 따라, 예컨대 NaH, Et3N, NaOH, K2CO3, CS2CO3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교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카르복시 보호기 R25 의 탈리반응으로는,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또는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산을 사용하여 가수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법 (B)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1
즉,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 (a1) 의 아미노기를 적당한 보호기 L 에 의해 보호하여 (b1) 을 얻는다. 이것에 상기 화학식 Ⅷ, 또는 상기 화학식 Ⅹ 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켜 (b2) 를 얻고, L을 탈보호함으로써 (b3) 을 얻는다. (b3) 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b4) 를 얻는다. 이것에 CS2 또는 KSC(=S)OEt 를 반응시켜, 화합물 (b5) 로 한 후, 이것에 할라이드에스테르 유도체 (a4) 를 반응시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a7) 를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것을 가수분해반응함으로써, R25 가 수소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2-니트로아닐린 유도체는 (a1) 에 대해 보호기의 상태로 할라이드 유도체 (a6) 를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b3) 을 직접 얻을 수도 있다. 보호기 L 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아세틸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유도체 (b4) 와 CS2 의 반응은, 합성법 (A) 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고, KSC(=S)OEt 와의 반응은, 예컨대 [오르가닉 신세시스(OS) 1963년 4권 569-570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그 외의 반응은 합성법 (A) 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ⅩⅩ) 에 있어서, E 가 테트라졸-5-일, M 이 S 인 경우는, 다음에 나타낸 합성법 (E)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E)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2
[식 중 R23, R24, A, G, J 및 X 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
니트릴체 (e1) 를 각종 아지 화합물과 반응시켜 테트라졸체 (e2) 로 변환한다. 아지 화합물로는 트리메틸주석아지드 등의 트리알킬주석아지드 화합물, 아지화 수소산 또는 그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주석아지드 화합물을 사용할 때는 화합물 (e1) 에 대해 1 내지 4배몰량의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아지화수소산 또는 그 암모늄염을 사용할 때에는, 아지화나트륨과 염화암모늄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3급 아민을 화합물 (e1) 에 대해 1 내지 5배몰량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각 반응은 0℃ 내지 200℃ 온도에서, 톨루엔, 벤젠, DMF 등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실시된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ⅩⅩ) 에 있어서, M이 S0 또는 S02 인 경우는 다음에 나타낸 합성법 (F)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F)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3
[식 중 R23, R24, R25, A, G, J 및 X 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
즉,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a7) 을 과산화화합물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술폭시드 유도체 (f1) 및/또는 술폰 유도체 (f2) 가 얻어진다. 사용되는 과산화화합물로는, 예컨대 과벤조산, m-클로로과벤조산, 과아세트산,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고,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컨대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7) 과 과산화화합물과의 사용비율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일반적으로 1.2배몰 내지 5배몰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반응은 통상 0 내지 50℃ 정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에서 실시되고, 일반적으로 4 내지 20시간 정도로 종료한다.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ⅩⅩ) 에 있어서, M이 단결합인 경우는, 다음에 나타낸 합성법 (G)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합성법 (G)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4
[식 중, X, A, G, J 및 R25 은 상기 정의와 동일함].
즉, 디아민 화합물 (b4) 에 공지된 산클로리드 유도체 (g1) 을 반응시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g2) 를 얻을 수 있다. 또 (g2) 의 -COOR25 을 필요에 따라 가수분해함으로써, R25 이 수소원자인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g3)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환화반응은 [더 저널 오브 메디셔널 케미스트리 (J. Med. Chem) 1993년 36권 1175-1187면]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3-메틸-1-프로피-2-인일티오벤젠 (화학식 Ⅵ) 의 합성
5ℓ의 3목 플라스크에 냉각관, 내온계, 기계 교반기, 적하 로트를 장착하였다. 탄산칼륨 673g 과 메틸에틸케톤 1500㎖를 플라스크에 넣었다. 적하 로트에 m-톨루엔티올 500g 과 메틸에틸케톤 200㎖를 넣고, 1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대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내온은 28도까지 상승되었다. 수욕조에 담가, 프로파르길브로마이드 333㎖와 메틸에틸케톤 300㎖를 적하 로트에 넣어 적하를 개시하였다. 적하를 컨트롤함으로써, 내온을 55 내지 65도 부근을 유지시키면서 20분 동안에 적하하였다. 그대로 수욕하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대로 아세트산에틸 900㎖로 세정하면서 눗체로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고, 아세트산에틸 1500㎖와 물 2ℓ, 추가로 1NHCl 100㎖를 첨가하여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하 고, 500㎖의 아세트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포화식염수 1000㎖로 2회 세정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후, 농축하여 조체 (粗體) 601.14g (수율 92%, 순도 88%) 을 얻었다. 조체 300g만을 증류시켰다. 100 내지 102℃/7mmHg 에서 3-메틸-1-프로피-2-인일티오벤젠을 239.68g (회수율 80%, 순도〉98%) 얻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5
실시예2 3-메틸-1-프로피-2-인일술일피닐벤젠 (화학식 Ⅶ) 의 합성
10ℓ의 3목 플라스크에 내온계, 기계 교반기, 1ℓ 적하 로트를 장착하였다. 과요오드산나트륨 427.78g과 물 2000㎖와 메탄올 2000㎖를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대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지만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로 2000㎖의 물을 첨가하였다. 완전한 과요오드산나트륨의 용해를 확인한 후, 적하 로트에 3-메틸-1-프로피-2-인일티오벤젠 (300.01g) 과 메탄올 (1000㎖) 을 넣고, 30분 동안 적하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시간 후, 1시간에 걸쳐 빙욕 냉각후, 눗체로 여과하였다. 아세트산에틸 2ℓ로 여과물을 잘 세정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4ℓ의 수층으로부터, 아세트산에틸 1000㎖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000㎖로 2회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후, 농축함으로써 3-메틸-1-프로피-2-인일술일피닐벤젠의 오일 314.45g을 얻었다. 이 조체를 3000㎖의 메탄올 용액으로 하여, 3000㎖의 헥산으로 2회 추출함으로써 순도 98% 이상의 목적물 3-메틸-1-프로피-2-인일술일피닐벤젠을 얻었다 (수율 79%, 수량 248.42g).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6
실시예3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혼합물 (화학식 Ⅴ) 의 합성
10ℓ의 3목 플라스크에 내온계, 자기 교반기, 1000㎖ 적하 로트를 장착하였다. 톨루엔 3000㎖를 플라스크에 넣고, 욕온 95도의 오일욕에 담갔다. 내온 85도를 확인한 후, 700㎖의 톨루엔에 용해한 3-메틸-1-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 (251.25g) 을 15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후, 내온을 85 내지 95도 사이에서 유지하기 위해 톨루엔 500㎖를 적하하였다. 원료 적하를 종료하고 40분 후부터, 1시간에 걸쳐 20도까지 냉각하였다. 반응용기를 빙욕으로 하여 적하 로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120㎖) 을 넣었다. 빙욕하, 20분 동안 적하하였다. 그대로, 30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4ℓ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에 천천히 부었다.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 툴루엔 50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500㎖로 2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 농축하여, 주황색 오일,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 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혼합물 (356.72g) 을 얻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7
실시예4 가수분해반응에 의한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혼합물 (화학식 Ⅱ 및 Ⅲ) 의 합성
300㎖의 3목 플라스크에, 교반 막대와 100㎖ 적하 로트와 내온계를 장착하였다. 실시예 3 의 반응에서 얻어진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혼합물 30.05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녹여,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대로 내온 20℃까지 냉각하였다. 적하 로트에 1규정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0㎖) 을 넣었다. 10분 동안 적하하고, 그대로 60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500㎖ 분액 로트에 넣고, 추가로 헥산 300㎖를 첨가하였다. 그대로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 유기층을 물 500㎖로 3회, 포화식염수 500㎖로 2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농축하여, 갈색 오일,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혼합물 (28.24g) 을 얻었다.
실시예5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Ⅱ) 의 정제-1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갈색 오일에 아세트산에틸 20㎖를 첨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그 후, 헥산 100㎖를 3회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그대로 2시간 교반한 후에 여과, 건조시키고, 옅은 주황색 결정인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을 8.33g 얻었다 (수율 27.8%). 순도는 98%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8
실시예6 환원반응에 의한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Ⅱ)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Ⅲ) 혼합물의 합성
3000㎖의 3목 플라스크에, 기계 교반기와 200㎖ 적하 로트와 내온계를 장착하였다. 실시예 3 의 반응에서 얻어진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혼합물 (300.00g) 을 톨루엔 1500㎖ 에 녹인 것을, 플라스크에 넣어 플라스크를 수욕에 침지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 30.00g을, 플라스크에 투입하였다. 적하 로트에 메탄올 (150㎖) 을 넣었다. 60분 동안에 적하하고, 그대로 60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플라스크에 물 (1000㎖) 을 첨가하여 셀라이트 여과를 실시하였다.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 수층을 톨루엔 500㎖로 추출, 유기층을 포화식염수 1000㎖로 2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농축하여, 황색 오일,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 올 및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의 혼합물 (295.12g) 을 얻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39
실시예7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Ⅱ)의 정제-2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황색 오일에, 아세트산에틸 100㎖를 첨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그 후, 헥산 400㎖를 4회로 나누어 첨가한다. 그대로 2시간 교반한 후에 여과, 건조시키고, 백색 내지 담황색 결정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을 80.05g 얻었다 (수율 27%).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0
실시예8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Ⅱ)의 정제-3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과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4메틸체/6메틸체의 비율=약 6/1) 의 혼합물 4.95g에, 아세토니트릴 25㎖를 첨가하여 환류하고, 그 후 실온에서 냉각, 다시 하룻밤 냉장고에서 냉각하였다. 그 후에 여과, 아세토니트릴로 세정, 건조시켜 3.15g의 백색 내지 담황색 결정,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을 얻었다 (회수율=64%). 순도=99% 이었 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1
실시예9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화학식 Ⅱ)의 정제-4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과 (6-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4메틸체/6메틸체의 비율=약 4/3) 의 혼합물 26g에 톨루엔 26㎖를 첨가하여 환류시키고, 그 후 실온에서 냉각, 헥산 26㎖를 첨가하고 다시 하룻밤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에 여과, 결정을 톨루엔-헥산 (1/1) 20㎖, 헥산 10㎖로 세정한 후에 건조시켜 7.3g의 백색 내지 담황색 결정,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을 얻었다 (회수율=28%). 순도=99%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2
실시예10 3-(브로모메틸)-4-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Ⅷ) 의 합성
1ℓ의 3목 플라스크에, 자기 교반기와 100㎖ 적하 로트와 내온계를 장착하였다. (4-메틸벤조[b]티오펜-3-일)메탄-1-올 (69.95g) 을, 시클로헥산 200㎖에 녹여 플라스크에 넣었다. 적하 로트에 3브롬화인 (18㎖) 을 넣었다. 실온에서 20분에 걸쳐 적하하고 (내온은 30도까지 상승), 60분 실온에서, 1시간 60도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빙수 (1ℓ) 에 첨가하여,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 수층을 톨루엔 1ℓ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 (1ℓ)로 2회 세정하고, 포화식염수 (1ℓ) 로 2 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농축하여, 담황색 고체 (99.69g) 을 얻었다. 얻어진 조체를 열시클로헥산 200㎖로 재결정하여, 3-(브로모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을 백색 고체 (52.19g, 수율 55%) 를 얻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3
실시예11 4-메틸-1-(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 (화학식 ⅩⅠⅠ) 의 합성
p-톨루엔티올 40g (322m㏖) 에 2-부타논 200㎖, 탄산칼륨 53.4g (386m㏖) 을 첨가하여 빙냉하고, 1-브로모-프로핀 26.7㎖ (354m㏖) 을 첨가하여, 반응용기를 수냉하면서 2시간 교반하였다. 2시간 후, 반응계를 여과하여, 침전물을 2-부타논 50㎖로 세정,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색 투명 오일의 4-메틸-1-프로피-2-인일티오벤젠 (일반식 ⅩⅠ)) 49.9g을 얻었다 (조(粗)수율:96%)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4
계속해서 과요오드산나트륨 68.7g (321m㏖) 을 물 250㎖에 첨가하여 용해시 키고, 4-메틸-1-프로피-2-인일티오벤젠 (화학식 ⅩⅠ) 49.6g (306m㏖) 의 메탄올 용액 (250㎖) 을 적하, 실온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2.5시간 후, 여과, 고체를 아세트산에틸 100㎖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 물 200㎖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 (150㎖) 로 3회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물 150㎖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여, 4-메틸-1-(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을 50.6g 얻었다. (조수율 93%)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5
실시예12 (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 (화학식 ⅩⅠⅠ) 의 합성
티오페놀 (55.34g, 502.3m㏖) 을 아세토니트릴 150㎖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2.07g, 15.0m㏖) 을 첨가하여 수욕하고, 프로파르길브로미드 49.2㎖ (652.9m㏖) 을 30분 동안에 걸쳐 적하하고, 추가로 아세토니트릴 100㎖를 첨가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1시간 20분 교반, 1시간 35분후에 프로파르길브로미드 (3㎖) 를 추가하여 다시 15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여과, 감압 농축하고, 감압 건조시켜 71.50g의 오일을 얻었다. 이 중의 70.50g (0.476m㏖) 의 오일을, 메탄올 500㎖에 용해시켜, 과요오드산나트륨 (108.3g, 0.506㏖) 의 수용액 500㎖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여과, 감압 농축하고, 하층을 분리하여,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250㎖×3) 하여, 유기층과 전술한 하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감압 농축, 건조시켜 (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을 77.8g 합성하였다. 조수율=96%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6
실시예13 3,5-디메틸-1-(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 (화학식 ⅩⅡ)의 합성
3,5-디메틸벤젠티올 5.56g (40.2m㏖) 을 아세토니트릴 20㎖에 용해하고, 프로파르길브로미드 3.63㎖ (48.3m㏖), 탄산칼륨 6.91g (50m㏖) 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그 후 환류하고, 1시간 후에 여과, 감압 농축하고, 감압 건조시켜 7.79g의 오일을 얻었다. 그것을 메탄올 70㎖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 (9.19g, 43m㏖) 의 수용액 40㎖를 적하, 추가로 메탄올 30㎖, 물 20㎖를 추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5시간 후에 여과, 침전을 메탄올로 세정한 후, 감압 농축하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100㎖×2) 하여,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감압 농축, 건조시켜 3,5-디메틸-1-(프로피-2-인일술피닐)벤젠을 7.66g 합성하였다. 조수율은 99%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7
실시예14 5-메틸-3-메틸렌-2-히드로벤조[b]티오펜-2-올 (화학식 Ⅸ)의 합성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화합물 107.0㎎ (0.6m㏖) 을 아세트산프로필 1.6㎖에 용해시켜 20분 동안 환류하였다. 이어서 감압 농축, 건조시켜 5-메틸-3-메틸렌-2-히드로벤조[b]티오펜-2-올 108.5㎎을 얻었다. 조수율은 105%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8
실시예15 3-메틸렌-2-히드로벤조[b]티오펜-2-올 (화학식 Ⅸ)의 합성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화합물 301㎎을 디옥산 4.5㎖에 용해하고, 100도에서 2시간 가열하였다. 냉각후, 감압 농축하고, 황색 투명한 오일형상의 3-메틸렌-2-히드로벤조[b]티오펜-2-올을 292㎎ 합성하였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49
실시예16 4,6-디메틸-3-메틸렌-2-히드로벤조[b]티오펜-2-올 (화학식 Ⅸ)의 합성
실시예 13 에서 얻어진 화합물 117.6㎎ (0.61m㏖) 을 아세트산프로필 2㎖에 용해하고, 20분간 환류하여 냉각시킨 후, 감압 농축, 건조시켜 2,3-디하이드로-4,6-디메틸-3-메틸렌-벤조[b]티오펜-2-올을 합성하였다. 조수율은 95%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0
실시예17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4 에서 얻어진 화합물 71.9㎎ (0.40m㏖) 을 아세트산프로필 1㎖에 용해하고, 48% 브롬화수소산 0.0569㎖ (0.5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아세트산에틸 3㎖를 첨가하고, 물로 세정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여과, 건조시켜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88.2㎎을 얻었다. 수율은 91%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1
실시예18 3-(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5 에서 얻어진 화합물 270㎎ (1.64m㏖) 을 아세트산프로필 4㎖에 용해하고, 4M 염화수소디옥산용액 0.0615㎖ (2.46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농축하고, 물 10㎖ 를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여과, 건조시켜 3-(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 271㎎을 얻었다. 수율은 90%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2
실시예19 3-(브로모메틸)-4,6-디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6 에서 얻어진 화합물 55.3㎎을 아세트산프로필 1㎖에 용해하고, 48% 브롬화수소산 39.9㎕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20분 후에 아세트산에틸 3㎖를 첨가하고, 물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 건조시켜 3-(브로모메틸)-4,6-디메틸벤조[b]티오펜을 합성하였다. 수율은 90% 이 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3
실시예20 3-(클로로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화합물 873.4㎎ (4.9m㏖) 을 디옥산 15㎖에 용해시키고, 100℃에서 70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계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4M 염화수소-디옥산 1.5㎖ (6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계를 감압 농축하고, 시클로헥산 0.80㎖를 첨가하고, 10분간 70℃에서 가열, 실온까지 냉각하고, 침전물을 여과, 590.6㎎의 3-(클로로메틸)-5-메틸벤조[b]티오펜을 얻었다. 수율은 61% 이었다.
계산값 M = 196.70, 분석값 m/z=196[M+]
실시예21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화합물 7.18g (40.3m㏖) 을 디옥산 110㎖에 용해시키고, 100℃에서 100분간 환류하였다. 그 후 냉각하고, 48% 브롬화수소산 7.42g (44m㏖) 을 첨가하여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여 9.04g 의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을 얻었다. 수율은 93% 이었다.
계산값 M = 241.10, 분석값 m/z=241[M+]
실시예22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의 합성
실시예 11 에서 얻은 화합물 (29.7g, 167m㏖) 을 아세트산프로필 445㎖ 에 용해시키고, 100도에서 1시간 가열하였다. 그 후, 빙냉하여 내온을 10도로 한 후, 48% 브롬화수소산 22.8㎖를 첨가하여 빙냉하, 1시간 30분 방치하였다. 수층을 분리, 물 50㎖로 세정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 건조시켜, 갈색 투명한 오일형상의 3-(브로모메틸)-5-메틸벤조[b]티오펜 35.3g을 합성하였다. (수율=88%)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4
실시예23 3-(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 의 합성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화합물 5.02g (30.6m㏖) 을 1,4-디옥산 50㎖에 용해하고, 100도에 가열, 5시간 30분 후에 냉각하여, 반응계 내온을 10도로 하였다. 계속해서 4M 염화수소-디옥산용액 8.42㎖ (33.7m㏖) 을 첨가하여 실온에 방치하였다. 15분 후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아세트산에틸 50㎖에 용해시키고, 물 40㎖ 로 세정,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후, 디옥산 제거를 위해, 다시 아세트산에틸 50㎖에 용해시키고, 물 40㎖로 3회 세정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하여 3-(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 5.18g 을 얻었다. 수율은 93% 이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5
실시예24 3-(브로모메틸)-4,6-디메틸벤조[b]티오펜 (화학식 Ⅹ) 의 합성
실시예 13 에서 얻어진 화합물 2.26g (11.7m㏖) 을, 아세트산프로필 40㎖에 용해시키고, 30분간 환류하였다. 그 후 냉각하고, 48% 브롬화수소산 1.59㎖ (14m㏖) 을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물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여 2.49g의 3-(브로모메틸)-4,6-디메틸벤조[b]티오펜을 얻었다. 수율은 84% 이었다.
비교예
[J. Chem. Soc., Chem. Comm., 848(1974)] 에 준하여, 보고되어 있는 조건에서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3-메틸-페닐-프로파르길-술폭시드 218.4㎎을 디옥산 3㎖ (15배량) 에 용해하고, 2시간 30분 환류하였다. 그 후, 물 1㎖, p-톨루엔술폰산1수화물 21.7㎎을 첨가하고, 70도에서 2시간 가열하였다. 이 단계에서 TLC (헥산-아세트산에틸=5:1) 로는, Rf=0.23에 주생성물, 0.41, 0.55, 0.70, 0.83에 부생성물의 스폿이 확인되었다. 감압 농축한 후,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하여 280.1㎎의 잔사를 얻었다. 이것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Merck제 1. 13794 PLC 플레이트 20 ×20㎝ kisei gel 60 0.5㎜를 2장 사용, 전개계:헥산-아세트산에틸=5:1) 로 정제하여, 주생성물의 분획을 회수하고, 131.5㎎의 갈색 오일을 얻었다. 이 분획의 1H-NMR 및 2차원 NMR로부터, 3-히드록시-4-메틸-벤조[b]티오펜과 3-히드록시-6-메틸-벤조[b]티오펜의 비율이 약 3:2인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이 분획을 방치해도, 부분적으로 고화될 뿐으로, 3-히드록시-4-메틸-벤조[b]티오펜은 단리할 수 없었다.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7
본 발명에 의하면, 의약품원료로서 유용한,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합성방법이 선택적이고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또한 치환 벤젠티올로부터 공정이 짧고, 또한 간편하게, 3-할로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어 공업적으로도 우수하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
    [화학식 Ⅰ]
    Figure 112009017444834-pct00058
    [식 중, R1 은 트리할로메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Ⅰ 에서의 R1 이 메틸기인 3-할로겐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Ⅰ 에서의 R1 이 메틸기이고, X 가 브롬원자인 3-브로모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체.
  4. 하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3,4-2치환-벤조[b]티오펜 유도체:
    [화학식 Ⅰ]
    Figure 112009017444834-pct00076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X는 히드록실기를 나타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Ⅰ 에서의 R1 이 메틸기인 3-히드록시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체.
  6. 하기 화학식 Ⅱ:
    [화학식 Ⅱ]
    Figure 112002034629000-pct00059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및
    하기 화학식 Ⅲ:
    [화학식 Ⅲ]
    Figure 112002034629000-pct00060
    [식 중, R2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결정화시키는 상기 용매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2 내지 6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용매,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와 탄소수 6 내지 8 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용매, 또는 아세토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8. 하기 화학식 Ⅳ:
    [화학식 Ⅳ]
    Figure 112002034629000-pct00061
    [식 중, R3 은 수소원자이고, 또한 R4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3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또한 R4 는 수소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중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Ⅴ]
    Figure 112002034629000-pct00062
    [식 중, R3 및 R4 는 상기 화학식 Ⅳ 와 동일하고,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Ⅴ 에서의 R5 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혼합물의 제조 방법.
  10. 하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소화 금속착화합물로 환원시키거나, 염기성 가수분해, 또는 산성 가수분해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Ⅱ]
    Figure 112009017444834-pct00077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Ⅲ]
    Figure 112009017444834-pct00078
    [식 중, R2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Ⅴ]
    Figure 112009017444834-pct00079
    [식 중, R3 은 수소원자이고, 또한 R4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3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또한 R4 는 수소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환원시키는 것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Ⅱ, 또는 상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12. m-치환벤젠티올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하기 화학식 Ⅵ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Ⅵ]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3
    [식 중, R6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이어서, 이것을 산화하여 하기 화학식 Ⅶ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Ⅶ]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4
    [식 중, R6 은 상기 화학식 Ⅵ 의 정의와 동일함],
    다시 이것을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탄소수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Ⅴ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은 후에,
    에스테르기를 히드록실기로 변환하여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혼합물을,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Ⅱ]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0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Ⅲ]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1
    [식 중, R2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Ⅳ]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2
    [식 중, R3 은 수소원자이고, 또한 R4 는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3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고 또한 R4 는 수소를 나타냄];
    [화학식 Ⅴ]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3
    [식 중, R3 및 R4 는 상기 화학식 Ⅳ 와 동일하고,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Ⅵ 에서의 R6 가 메틸기인 3-히드록시메틸-4-메틸-벤조[b]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14. 하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4-치환-3-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히드록실기를 할로겐원자로 변환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Ⅷ 로 표시되는 4-치환-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Ⅱ]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4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Ⅷ]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5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Ⅷ 에서의, R1 이 메틸기인 4-메틸-3-할로 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치환-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16. 하기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등량 이상의, 염화수소가스, 브롬화수소가스, 염화수소-디옥산용액, 염산, 브롬화수소산 또는 요오드화수소산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화학식 Ⅸ]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6
    [식 중, R8 내지 R11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하기 화학식 Ⅹ 으로 표시되는 3-할로메틸-벤조[b]티오펜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Ⅹ]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7
    [식 중, R8 내지 R11 은 화학식 Ⅸ 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R12 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17. 치환벤젠티올에 프로파르길기를 도입하여 하기 화학식 ⅩⅠ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ⅩⅠ]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8
    [식 중, R13 및 R15 가 동시에, 또한 R14 는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이고, 또한 R16 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6 이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 또한 R13 내지 R15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화합물 (ⅩⅠ) 을 산화하여, 하기 화학식 ⅩⅡ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ⅩⅡ]
    Figure 112009017444834-pct00069
    [식 중, R13 내지 R16 은 상기 화학식 ⅩⅠ 과 동일함],
    상기 화학식 Ⅹ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열전이반응에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Ⅸ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등량 이상의 염화수소가스, 브롬화수소가스, 염화수소-디옥산용액, 염산, 브롬화수소산 또는 요오드화수소산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하기 화학식 Ⅹ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Ⅸ]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5
    [식 중, R8 내지 R11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냄];
    [화학식 Ⅹ]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6
    [식 중, R8 내지 R11 은 화학식 Ⅸ 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R12 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Ⅸ 및 상기 화학식 Ⅹ 의 R8 및 R10 이 동시에, 또한 R9 는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또한 R11 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1 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한 R8 내지 R10 이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이고, 그리고 상기 화학식 ⅩⅠ 및 상기 화학식 ⅩⅡ 의 R13 및 R15 는 동시에, 또한 R14 가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또한 R16 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6 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한 R13 내지 R15 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Ⅹ 에 있어서, 식 중, R12 가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0. 하기 (1) 및 (2) 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ⅩⅩ 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ⅩⅩ]
    Figure 112009017444834-pct00070
    [화학식 ⅩⅩ 중, R23 및 R24 는,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이거나, R23 및 R24 는 함께 -O-CH2-O-, -O-CH2CH2-O- 또는 -CH2CH2CH2- (이 경우, 그 탄소원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도 있음) 을 나타내고,
    A 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7의 직쇄, 환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도중에 -O-, -S-, -SO2-, -NR25- (여기에서, R25 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냄) 을 하나 또는 복수개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이경우, 인접하는 2개가 아세탈결합을 형성할 수 있음),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술포닐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아실아미노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할로메톡시기, 페닐기, 옥소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녹시기이고, 이들 치환기는,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 각각 독립하여 치환될 수도 있으며, 단, 화학식 ⅩⅩ 중, M 이 단결합으로 M 에 결합하는 A 의 탄소에 수산기와 페닐기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E 는 -COOR25 (여기에서 R25 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나타냄) 을 나타내고,
    M 은 -S- 을 나타내고,
    G 및 J 는 화학식 Ⅰ 또는 화학식 Ⅹ 를 나타내고, 단, G 는 화학식 Ⅰ 및 화학식 Ⅹ 의 벤조티오펜의 3위의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Ⅰ 의 Ⅹ 및 화학식 Ⅹ 의 R12 는 벤즈이미다졸환 상의 질소원자로 치환되고,
    X 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냄].
    (1) 하기 화학식 I 를 제조하는 제 6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또는 하기 화학식 X 를 제조하는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화학식 Ⅰ]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7
    [식 중, R1 은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X는 히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화학식 Ⅹ]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8
    [식 중, R8 내지 R11 은 동시에 또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트리할로메틸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아미노기, 또는 트리할로메톡시기를 나타내고,
    R12 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2)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X 와 하기 (a5) 를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XX 를 제조하거나, 또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X 와 하기 (b1) 을 반응시켜 하기 (b2) 를 얻고, L 을 탈보호함으로써 하기 (b3) 을 얻고, (b3) 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하기 (b4) 를 얻고, (b4) 에 CS2 또는 KSC(=S)OEt 를 반응시켜, 하기 (b5) 로 하고, (b5) 에 하기 (a4) 를 반응시켜, 화학식 XX 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9017444834-pct00089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0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1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2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3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4
    ;
    Figure 112009017444834-pct00095
    .
KR1020027014185A 2001-02-22 2002-02-22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2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6275 2001-02-22
JP2001046275 2001-02-22
JPJP-P-2001-00135927 2001-05-07
JP2001135927 2001-05-07
PCT/JP2002/001611 WO2002066457A1 (fr) 2001-02-22 2002-02-22 Derive benzo[b]thiophene et procede de production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293A KR20030005293A (ko) 2003-01-17
KR100922485B1 true KR100922485B1 (ko) 2009-10-20

Family

ID=2660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185A KR100922485B1 (ko) 2001-02-22 2002-02-22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884896B2 (ko)
EP (2) EP1362854B1 (ko)
JP (1) JP3999128B2 (ko)
KR (1) KR100922485B1 (ko)
CN (1) CN100457750C (ko)
AT (1) ATE376830T1 (ko)
AU (1) AU2002233698B2 (ko)
CA (1) CA2406913C (ko)
DE (1) DE60223227T8 (ko)
ES (1) ES2292712T3 (ko)
HK (1) HK1057215A1 (ko)
NO (1) NO328158B1 (ko)
NZ (1) NZ522150A (ko)
PL (1) PL358494A1 (ko)
PT (1) PT1362854E (ko)
WO (1) WO2002066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8990C (zh) * 2001-02-22 2009-10-14 帝人株式会社 苯并咪唑衍生物的制备方法
CL2004001034A1 (es) * 2003-05-14 2005-03-28 Teijin Pharma Ltd Formas cristalinas de acido 4-(1-((,etilbenzotiofen-3-il)me til)benzimidazol-2-iltio)butanoico;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las formas cristalinas; composicion farmaceutica;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lamatorias, alergicas, r
US20070032466A1 (en) * 2003-08-22 2007-02-08 Teijin Pharma Limited Drug containing chymase inhibitor as the active ingredient
US7169807B2 (en) * 2004-04-09 2007-01-30 Allergan, Inc. 10-Hydroxy-11-dihydroprostaglandin analogs as selective EP4 agonists
DE102004021637A1 (de) * 2004-05-03 2005-12-01 Merck Patent Gmbh Dihydrobenzothiophene
EP1826207A4 (en) * 2004-11-12 2009-05-20 Teijin Pharma Ltd ACID SALT OF A BENZIMIDAZOLE DERIVATIVE AND CRYSTAL THEREOF
BRPI0617924A2 (pt) 2005-10-27 2016-08-23 Teijin Pharma Ltd processo de produção, e, composto
TW200734321A (en) 2005-10-27 2007-09-16 Teijin Pharma Ltd Benzo [b] thiophen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benzo [b] thiophen derivatives
UA95788C2 (en) 2005-12-15 2011-09-12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Fused pyrrole derivatives
HUE037736T2 (hu) 2012-11-14 2018-09-28 Teijin Pharma Ltd Piridin származékok
US11236062B2 (en) * 2016-03-31 2022-02-01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5-(bromomethyl)-1-benzothioph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5147A1 (en) * 1979-02-23 1980-09-03 Rohm And Haas Company Lithographic ink containing oxidatively curable reactive diluent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4411A (en) * 1966-03-02 1969-12-17 Aspro Nicholas Ltd Novel Benzothiophen Compounds,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3910955A (en) * 1970-12-21 1975-10-07 Aspro Nicholas Ltd Benzothiophene-ethylamines
US5789436A (en) * 1994-04-11 1998-08-04 Chugai Seiyak Kabushiki Kaisha 4,6 Di-t-butyl-5-hydroxy-2,3-dihydrobenzothiophene
WO2000003997A1 (fr) * 1998-07-15 2000-01-27 Teijin Limited Derives de thiobenzimidazole
DK1078923T3 (da) * 1999-08-02 2006-07-10 Hoffmann La Roche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benzothiophenderivater
DE60130865T2 (de) * 2000-01-17 2008-07-17 Teijin Pharma Ltd. Benzimidazol-derivate als menschliche chymase - inhibitoren
JP2001199968A (ja) * 2000-01-18 2001-07-24 Teijin Ltd アミノ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GB0001439D0 (en) * 2000-01-21 2000-03-08 R P Adam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microbiological activity in water storage tanks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method
WO2002090345A1 (en) * 2001-05-07 2002-11-14 Teijin Limited 3-hydroxymethylbenzo[b]thiophe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5147A1 (en) * 1979-02-23 1980-09-03 Rohm And Haas Company Lithographic ink containing oxidatively curable reactive diluent and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Chem.Soc., Chem.Commun. (20), pp.848-849 (1974)
J.Chem.Soc., Perkin Trans.1, pp.3011-3015 (19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99128B2 (ja) 2007-10-31
CA2406913C (en) 2011-04-19
CA2406913A1 (en) 2002-08-29
JPWO2002066457A1 (ja) 2004-06-17
HK1057215A1 (en) 2004-03-19
ATE376830T1 (de) 2007-11-15
EP1362854B1 (en) 2007-10-31
EP1362854A1 (en) 2003-11-19
AU2002233698B2 (en) 2007-11-08
EP1362854A4 (en) 2004-06-09
CN100457750C (zh) 2009-02-04
NO20025053D0 (no) 2002-10-21
US20030176490A1 (en) 2003-09-18
NZ522150A (en) 2006-03-31
US6884896B2 (en) 2005-04-26
WO2002066457A1 (fr) 2002-08-29
PL358494A1 (en) 2004-08-09
CN1461301A (zh) 2003-12-10
PT1362854E (pt) 2008-01-21
KR20030005293A (ko) 2003-01-17
DE60223227T2 (de) 2008-08-14
EP1792614A1 (en) 2007-06-06
DE60223227D1 (de) 2007-12-13
ES2292712T3 (es) 2008-03-16
DE60223227T8 (de) 2008-11-27
NO328158B1 (no) 2009-12-21
NO20025053L (n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485B1 (ko)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S227347B2 (en) Method of preparing 6-hydroxy-2-(4-hydroxyphenyl)-3-(4-(2-aminoethoxy) benzoyl) benzo (b)thiophene
LT3038B (en) Heterobicyclic compounds
CS214891A3 (en) Thioxoheterocyclic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GB2097392A (en) Process for preparing 3-(4-aminoethylbenzoyl) benzo-(bthiophenes
EP0343474A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pure aminophenylthio- and aminoaphthalenylthio-propanoic acids
IL94302A (en) History of N-Arleic Acid (Il-Oxo) Theoxo (Pyrido] -D-3,2 [Pyridazinate
KR20080058435A (ko) 벤조[b]티오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US5008411A (en) Glycidic acid ester and process of preparation
CZ33398A3 (cs) Způsob přípravy halogenovaných o-hydroxydifenylderivátů a jejich použití
JPS6023112B2 (ja) 新規なベンゾ〔c〕キノリン類製造用中間体
HU208533B (en) Process for selective etherification of ascorbinic acid derivatives
FR2630110A1 (fr) Nouveaux derives heteroarotino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FR2704857A1 (fr) Nouvelles benzodioxines substitué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JP4759500B2 (ja) ベンゾ[b]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944415B (zh) 苯并[b]噻吩衍生物及其制备方法
JPH037259A (ja) Acat阻害剤、キノ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WO2007049812A1 (ja) 3−ヒドロキシメチルベンゾ[b]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8041A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3118596B2 (ja) アリールジアルキルチオカルバマート、2−メルカプトベンズアルデヒドおよび2−置換ベンゾ[b]チオフェンの製造方法
JPH04342569A (ja) キノリノン化合物
KR20010051069A (ko) 피페리디닐아미노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사이클릭 에테르화합물의 제조 방법
JPS5910564A (ja) 1−(置換ピロリル)−2−スルホニルオキシ−1−アルカノ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8003501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es de benzothiophene 2,6-disubstitue
JP2002053552A (ja) 4,6−ジメチルインドール及び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