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557A - 복공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복공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557A
KR20080057557A KR1020060130992A KR20060130992A KR20080057557A KR 20080057557 A KR20080057557 A KR 20080057557A KR 1020060130992 A KR1020060130992 A KR 1020060130992A KR 20060130992 A KR20060130992 A KR 20060130992A KR 20080057557 A KR20080057557 A KR 2008005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fastening
stopping bar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687B1 (ko
Inventor
조우연
윤태양
이필구
김병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6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설치 구조는,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과 별개로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분리형 스토핑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핑 바아가 서로 체결된다.
복공판, 스토핑바아, 체결볼트, 고무패드, 너트, 일체거동

Description

복공판 설치 구조 {INSTALLATION STRUCTURE OF LINING BOARD}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 거더 1a... 상부 플랜지
10... 복공판 11a, 11b... 체결공
20... 스토핑 바아 21... 체결 볼트
22... 너트 30... 고무 패드
본 발명은 복공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공판의 일체 거동을 도모하는 복공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 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복공판은 다수의 ㄷ형 또는 H형 형강이 나란히 배열된 상판과, 상판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측판, 상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리브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거더와 거더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바, 이들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가 용접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복공판들은 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놓여지는 방식으로서 연속되게 배열되기 때문에, 반복되는 차량의 충격하중, 제동하중 및 가속에 의한 횡방향 하중으로 인해 원래 위치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접하는 복공판과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공판의 충돌은 복공판의 국부 파손과 소음 발생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공판들의 일체 거동으로서 복공판의 이동을 제한하여 복공판의 국부 파손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복공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설치 구조는,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과 별개로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분리형 스토핑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핑 바아가 서로 체결된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스토핑 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바아는 "ㄷ"자 형태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형태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핑 바아에 용접 접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의 복공판이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스토핑 바아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설치 구조는, 상기 체결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서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핑 바아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 결합 구조(100)는 거더(1)와 거더(1) 사이에 배치되는 양쪽의 복공판(10)이 개별적 거동이 아닌 일체 거동함으로써 각 복공판(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복공판(10)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판, 하판 및 측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복공판으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복공판 결합 구조(100)는 거더(1)와 개별적으로 결합되면서 복공판(10)과 체결되는 분리형 스토핑 바아(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핑 바아(20)는, 복공판에 용접 접합되는 종래의 스토퍼와 달리, 복공판(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스토핑 바아(20)는 복공판(10)의 가장자리 부분(거더에 실질적으로 지지되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10)의 가장자리 부분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ㄷ"자 형태로서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와 형태의 결합을 이룬다. 이 경우 스토핑 바아(20)는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에 대해 움직임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부 플랜지(1a)와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핑 바아(20)는 그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 볼트(2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체결 볼트(21)는 복공판(10)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스토 핑 바아(20)의 상면에 용접 접합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체결 볼트(21)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여 복공판(10)의 모서리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 볼트들(21)은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10)의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고, 별도의 너트(22)와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각 복공판(10)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 볼트(21)가 관통될 수 있는 제1 체결공(11a)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바, 제1 체결공(11a)은 복공판(10)을 구성하는 하판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복공판(10)을 구성하는 상판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제1 체결공(11a)을 관통한 체결 볼트(21)에 너트(22)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그 너트(22)가 관통될 수 있는 제2 체결공(11b)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에 스토핑 바아(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양쪽 복공판(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복공판(10)의 제1 체결공(11a)에 스토핑 바아(20)의 체결 볼트(21)를 끼우고, 제2 체결공(11b)을 통해서 체결 볼트(21)에 너트(22)를 결합하게 되면 각각의 복공판(10)은 체결 볼트(21) 및 너트(22)에 의해 스토핑 바아(20)와 체결된다. 이 때, 제2 체결공(11b)은 복공판(10)과 스토핑 바아(2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마감캡(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서 마감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 결합 구조(100)는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와 스토핑 바아(20)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30)를 더욱 포함한다. 이 고무 패드(30)는 반복된 차량 하중에 의해 복공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분 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고무 패드(30)는 스토핑 바아(20)의 하면에 부착되는 바, 그 하면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구비될 수 있고, 상부 플랜지(1a)의 양측 단부 쪽에 대응하여 스토핑 바아(20)의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복공판 설치 구조(100)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10)이 체결 볼트(21) 및 너트(22)에 의해 스토핑 바아(20)와 체결됨에 따라, 이들 복공판(10)들은 개별적 거동이 아닌 일체 거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거더(1)의 상부 플랜지(1a)와 스토핑 바아(20) 사이에 고무 패드(30)가 설치됨에 따라, 반복된 차량 하중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별개로 결합하는 스토핑 바아를 구비하고 그 스토핑 바아와 복공판들이 서로 체결됨에 따라, 복공판들의 일체 거동을 유도하여 복공판의 개별적 거동을 제한함으로써 복공판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스토핑 바아 사이에 고무 패드가 장착됨에 따라, 반복된 차량하중에 의한 복공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공판의 국부 파손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복공판의 사용 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거더와 거더 사이에 배치되는 복공판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과 별개로 상기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분리형 스토핑 바아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핑 바아가 서로 체결되는 복공판 설치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공을 형성하는 복공판 설치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스토핑 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는 복공판 설치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바아는 "ㄷ"자 형태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형태의 결합을 이 루는 복공판 설치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핑 바아에 용접 접합되게 설치된 복공판 설치 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양쪽의 복공판이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스토핑 바아와 체결되는 복공판 설치 구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서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핑 바아가 서로 체결되는 복공판 설치 구조.
KR1020060130992A 2006-12-20 2006-12-20 복공판 설치 구조 KR10130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92A KR101300687B1 (ko) 2006-12-20 2006-12-20 복공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92A KR101300687B1 (ko) 2006-12-20 2006-12-20 복공판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57A true KR20080057557A (ko) 2008-06-25
KR101300687B1 KR101300687B1 (ko) 2013-08-26

Family

ID=3980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992A KR101300687B1 (ko) 2006-12-20 2006-12-20 복공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063B1 (ko) * 2009-03-04 2012-01-18 유호산업개발(주) 복공판 고정장치
CN105926404A (zh) * 2016-06-29 2016-09-07 江苏邗建集团有限公司 钢质箱体扣帽式临时施工道路
KR2022013575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저토피 비개착 침하방지 복공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91B1 (ko) * 2018-01-04 2018-07-18 주식회사 포유텍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07U (ja) * 1991-10-01 1993-04-27 ヒロセ株式会社 覆工板の締結構造
KR200418570Y1 (ko) * 2006-02-24 2006-06-12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복공판 고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063B1 (ko) * 2009-03-04 2012-01-18 유호산업개발(주) 복공판 고정장치
CN105926404A (zh) * 2016-06-29 2016-09-07 江苏邗建集团有限公司 钢质箱体扣帽式临时施工道路
CN105926404B (zh) * 2016-06-29 2017-12-08 江苏邗建集团有限公司 钢质箱体扣帽式临时施工道路
KR2022013575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저토피 비개착 침하방지 복공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687B1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460B1 (ko) 방음벽 하중전이방지장치 및 이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패널 교체방법
KR20080057557A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100762223B1 (ko)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KR101811347B1 (ko) 터널 방음 구조
CA2316555A1 (en) Device for absorbing vibration of rail
JP5111194B2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KR101300684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JP2019065675A (ja) Rc床版と鋼床版との接続構造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0846234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장치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200385503Y1 (ko) 복공판
KR100954200B1 (ko) 복공판
KR100742222B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20060100118A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플레이트거더교 구조
KR200370302Y1 (ko) 지하철공사의 경사면 도로구간용 밀림방지 조립식 복공판
KR101502496B1 (ko) 조립식 철도승강장
CN216275186U (zh) 一种减震抗压的t梁
KR100994972B1 (ko) 방음벽
WO2022209066A1 (ja) 橋梁の耐震補強装置
KR101032739B1 (ko) 철도교의 교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보수공법
JP4481804B2 (ja) 橋梁用伸縮装置の遊間構造
KR20180056217A (ko) 스페리칼 받침
KR100517802B1 (ko) 철도교량의 교량상판 이음부 낙교방지구조
KR200386506Y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플레이트거더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