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063B1 - 복공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복공판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6063B1 KR101106063B1 KR1020090018538A KR20090018538A KR101106063B1 KR 101106063 B1 KR101106063 B1 KR 101106063B1 KR 1020090018538 A KR1020090018538 A KR 1020090018538A KR 20090018538 A KR20090018538 A KR 20090018538A KR 101106063 B1 KR101106063 B1 KR 101106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perforated plate
- support beam
- hole
- b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설치되는 복공판을 H 빔으로 이루어진 지지빔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공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싱을 통하여 지지빔상에서 복공판의 수평방향의 유격을 제거하여 복공판의 수평방향이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로드 하단에 연결된 로커암을 통하여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 또한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빔 상부와 복공판 지지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로드에 장착된 스프링으로 인하여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차량통행시 유격으로 인한 덜컹거림과 같은 소음발생 원인이 완벽하게 제거되고, 복공판상을 통행하는 차량, 통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복공판 상부에서 인양홀을 통해서 쉽게 탈착될 수 있으므로 작동 및 탈착이 매우 용이하고, 복공판이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화된 경우, 이를 해체하여 다른 복공판에 재활용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복공판, H 빔, 복공판 고정장치, 스프링, 부싱, 로커암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복공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지빔상에서 복공판의 수평방향의 유격을 제거하여 복공판의 수평방향이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 또한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어서 복공판상을 통행하는 차량, 통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복공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건설공사 또는 임시교량(가교) 공사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서 다수의 지지빔(10)을 설치하고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을 위하여 지지빔(10) 상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복공판(20)을 다수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20)은 통상 철판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도 2에는 1조의 H형 지지빔(10) 상에서 지지되는 종래의 복공판 고정구조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20)의 고정구조는 복공판(20)의 본체(22) 하부면에 설치되는 스토퍼(Stopper)(25)와 방진패드(Bearing Pad)(2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20)은 임시 가시설재이므로 통상적으로 복공판(20) 의 본체(22)와 지지빔(10)을 직접 연결시키지 않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ㄱ'자 형상의 스토퍼(25) 구조를 복공판 본체(22) 하면에 용접등 연결방법으로 설치하여 복공판(20)의 수평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 고정구조에서 상기 스토퍼(25)는 복공판(20)의 길이방향 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25)를 이용한 종래의 고정구조의 경우, 복공판(20)의 자중만으로 복공판(20)의 길이방향, 즉 수평방향 이동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량통행으로 인한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복공판(20)이 직상방으로 부상 또는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그 상부를 주행하는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공판 고정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7)를 본체(22) 하부면에 구비하고는 있으나, 복공판(20)은 수직방향으로 단순고정되어 있으므로 정밀하게 시공되지 아니한 복공판(20)은 수직방향 유격으로 인하여 차량통행시 덜컹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고, 통행자는 물론 주변 주민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복공판(20) 자체가 섬유강화 플라스틱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제작되어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FRP 복공판(20)을 H형 지지빔(10) 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어서 당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통행시 복공판이 부상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고, 복공판이 지지빔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며, 복공판과 지지빔 사이과의 유격으로 인하여 사용중 덜컹거리는 소음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복공판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공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홀을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편리하게 탈착이 가능하고, 복공판이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화된 경우, 이를 해체하여 다른 복공판에 호환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복공판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복공판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복공판의 인양홀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다각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 단면의 상부에는 연이어서 다각 단면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단면의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부측으로 머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각 단면의 하부측에는 핀 구멍이 형성된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의 돌기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로드가 끼워지는 복공판 의 인양홀 상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의 다각 단면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을 중앙에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그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고정구; 상기 로드가 끼워지는 복공판의 인양홀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의 다각 단면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을 형성한 부싱; 및 상기 로드의 하단이 끼워지는 다각 구멍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의 핀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핀을 통해 로드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을 지지빔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을 지지빔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과 지지빔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을 제거하며, 로드에 장착된 스프링의 긴장력으로 복공판을 지지빔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복공판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복공판의 인양홀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상부측으로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이 형성된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의 돌기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로드가 끼워지는 구멍을 중앙에 형성하고,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를 중간에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을 관통하여 인양홀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부싱;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 상부측에 위치되어 인양홀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너트; 및 상기 로드의 하단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의 핀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핀을 통해 로드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을 지지빔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을 지지빔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과 지지빔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을 제거하며, 로드에 장착된 스프링의 긴장력으로 복공판을 지지빔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복공판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복공판의 인양홀로 삽입가능한 다각 단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상부측으로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이 형성된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의 돌기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로드가 끼워지는 다각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를 중간에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을 관통하여 인양홀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부싱; 상기 복공판의 인양홀 상부측에 위치되어 인양홀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너트; 및 상기 로드의 하단이 끼워지는 다각 구멍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의 핀 구멍 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핀을 통해 로드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을 지지빔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을 지지빔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과 지지빔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을 제거하며, 로드에 장착된 스프링의 긴장력으로 복공판을 지지빔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복공판에 장착된 부싱을 통해서 지지빔과 복공판의 폭방향, 즉 수평방향의 유격을 제거하기 때문에, 복공판의 수평방향이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로커암을 통해서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 또한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어서 차량, 통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지지빔 상부와 복공판 지지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으로 인하여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차량통행시 유격으로 인한 덜컹거림과 같은 소음발생 원인이 완벽하게 제거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복공판 상부에서 인양홀을 통해서 복공판을 지지빔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 및 복공판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공판에 육각 렌치를 통하여 탈착가능한 구조이어서 재활용 이 가능하므로 복공판이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화된 경우, 이를 해체하여 다른 복공판에 재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110) 상에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강재로 제작되는 일반 복공판(120)에도 적용이 가능하나, 경량으로 이루어지는 FRP 복공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복공판(120)에는 1조 이상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직하방에 형성되고 360도로 회전이 가능한 로드(Rod)(130), 스프링(150), 고정구(160), 부싱(Bushing)(170), 와셔(178), 로커암(Locker Arm)(180), 그리고 연결핀(190)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130)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머리부(132)의 하부측은 원형 단면(135)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다각 단면(137)이 형성되는데, 상기 다각 단면(137)은 원형 단면(135)에 연이어서 하부에 형성되며, 원형 단면(135)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단면(135)의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 되는데,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다각 단면(137)의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드(130)는 상기 머리부(132)가 바람직하게는 육각(Hexangular) 또는 사각단면으로 형성되어 렌치(미 도시)를 통해서 머리부(132)의 회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각 단면(137)은 바람직하게는 12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드(130)와 고정구(160)의 접촉면 및 로드(130)와 부싱(170)의 접촉면에서 상대 회전이 방지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드(130)의 머리부(132)와 다각 단면(137)은 육각 및 12각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두 육각으로 형성되거나, 4각 또는 8각의 다양한 다각 단면으로 형성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15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경은 상기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보다 다소 커서 다각 단면(137)이 코일 스프링(150)의 내부로 들어간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스프링(150)은 상기 로드(130)에 끼워져서 상단은 돌기(140)에 지지되고, 하단은 이후에 설명되는 고정구(160)에 지지된다.
즉 상기 스프링(150)의 하부측에는 상기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162)을 중앙에 형성한 고정구(160)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되고, 그 상부면이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구(160)는 그 중앙에 형성된 다각 구멍(162)으로 인하여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이 다각 구멍(162)에 끼워져서 일치하면 상기 로드(130)가 고정구(16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상대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로드(130)의 원형 단면(135)이 고정구(160)의 다각 구멍(162)에 위치하면 로드(130)는 고정구(160)의 다각 구멍(162)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구(160)의 다각 구멍(162) 크기가 정해짐으로써 만일 로드(130)가 하향으로 스프링(150)을 가압하여 로드(130)의 원형 단면(135)이 고정구(160)의 다각 단면(137)에 일치된다면, 로드(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스프링(150)의 복원력으로 로드(130)가 상승되어 다각 단면(137)이 다각 구멍(162)에 일치하면 로드(130)의 회전은 고정구(160)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172)을 형성한 부싱(17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싱(170)의 외면에 장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는 부싱(170)과 지지빔(110)간의 유격을 조절하고, 충격으로부터 부싱(170)을 보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복공판(120)과 지지빔(110)간의 유격을 제거하도록 된 것인데, 이와 같은 부싱(170) 구조를 통하여 그 외면이 지지빔(110)에 밀착되어 완충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싱(170)에 마련된 다각 구멍(172)은 바람직하게는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부싱(170)이 회전되면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보다 큰 크기의 수평방향 유격(△h)을 효과적으로 부싱(170)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상기 지지빔(110)과의 사이에 와셔(178)가 배치되어 밀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130)의 하단에는 로커암(180)이 핀(190)을 통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은 로커암(180)은 직사각형 단면 또는 변단면(Tapered Section)을 갖는 걸쇠로서, 상하방향으로 일측에 다각 구멍(182)을 형성하고, 상기 다각 구멍(182)에는 수평방향으로 핀 구멍(184)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커암(180)은 핀(190)을 통하여 상기 로드(13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로드(130)의 하단을 수평으로 연장시켜서 상기 로드(130)와 로커암(180)은 전체적으로 "L"의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로커암(180)은 지지빔(110)의 하부면, 즉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의 하부면으로 회전되는 경우,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게 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 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110)에 복공판(120)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착구조에서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스프링(150)과 고정구(160)가 장착된 로드(130)를 끼우고, 인양홀(125) 하부측에는 와셔(178), 부싱(170) 및 로커암(180)을 핀(190)으로 고정시켜서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 마련된 인양홀(125)에 각각 본 발명의 복공판 고정장치(100)를 조립으로 장착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110) 간의 거리(clearance)(D)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측정된 거리(D)에 맞춰서 도 5a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70)과 로커암(180)을 적절하게 손으로 돌려 놓아서, 지지빔(110)의 사이에 복공판(120)이 안착되는 경우, 부싱(170)과 로커암(180)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공판(120)이 복수의 지지빔(110) 사이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복공판(120)의 상부 인양홀(125)을 통해서 육각 렌치(미 도시)를 하강시켜 로드(130)의 머리부(132)에 결합시키고, 로드(130)를 하향으로 눌러서 스프링(150)을 압축시킨 다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부싱(170)은 미리 작업자가 손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시킨 상태이므로, 부싱(170)의 외면은 도 5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에 접촉되어 로드(130)의 회전은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지만,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로드(130)의 하단에 고정된 로커암(180)은 이미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측으로 90도 회전되어 하부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육각 렌지의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50)의 인장 복원력에 의해서 로드(130)는 상승되고, 로커암(180)은 그 일측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 하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고정되면, 부싱(170)의 외측면이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되어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면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스프링(150)은 그 인장 복원력으로서, 로드(130)의 돌기(14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로드(130)를 통해서 로커암(180)을 당기고, 복공판(120)은 고정구(160)와 부싱(170)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로커암(180)은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밀착시켜서 견고히 일체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에 마련된 인양홀(125)에 각각 장착되면, 복공판(120)은 지지빔(110)에 대해서 수평방향 유격(△h) 및 수직방향 유격(△v)이 제거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에 형성된 4개의 인양홀(125) 중에서 2개의 인양홀(125)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7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동시에 로커암(18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며, 나머지 2개의 인양홀(125)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7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는 상태로 장착가능하다.
즉 상기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에 형성된 4개의 인양홀(125)중에서 2개의 인양홀(125)에는 부싱(170)만을 통하여 지지빔(110)측으로 밀착시켜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나머지 2개의 인양홀(125)에는 부싱(17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며, 동시에 로커암(18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구조에서도 복공판(120)은 지지빔(110)에 대해서 수평방향 유격(△h) 및 수직방향 유격(△v)이 제거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도 7 내지 도 9에 걸쳐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제1 실시예의 복공판 고정장치(100)에 기본적으로 유사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의 동일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단지 첨자(')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드(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로드(130')는 그 상부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드(130')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135')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각 단면이나 다각 단면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150')도 원통형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130')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는 부싱(170')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부싱(170')은 도 8a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구멍(172')을 중앙에 형성하고,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173')를 중간에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173')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을 관통하여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177')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지지빔(110')간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싱(170')의 구멍(172')은 정중앙에 형성되고, 복공판(120')과의 사이에는 와셔(178')를 통하여 밀착되며, 그 하부면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로커암(180')의 상부면이 끼워지는 결합홈(179')을 형성하여 상기 로커암(180')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되어서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하는 너트(19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너트(195')는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170')의 나사부(177')에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130')의 하단에는 로커암(18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로커암(180')은 도 8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멍(182')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82')에는 수평방향으로 핀 구멍(184')을 형성하며, 핀(190')을 상기 로드(130')의 핀 구멍(142')으로 삽입 고정하여 로드(130')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커암(180')은 전체적으로 "L"의 단면을 형성하며, 지지빔(110')의 하부면, 즉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의 하부면으로 회전되는 경우,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게 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 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110')에 복공판(120')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에 마련된 인양홀(125')에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를 고정시킨 다음, 부싱(170')과 로커암(180')을 적절하게 손으로 돌려 놓아서 지지빔(110')의 사이에 복공판(120')이 안착되는 경우, 부싱(170')과 로커암(180')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공판(120')이 복수의 지지빔(110') 사이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20')의 상부 인양홀(125')을 통해서 육각 렌치(미 도시)를 하강시켜 로드(130')의 머리부(132')에 결합시키고, 로드(130')를 하향으로 눌러서 스프링(150')을 압축시킨 다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부싱(170')은 로커암(180')과 함께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측으로 90도 회전되어 하부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육각 렌치의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50')의 인장 복원력에 의해서 로드(130')는 상승되고, 로커암(180')은 그 일측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 하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고정되면, 부싱(170')의 외측면이 지지빔(110')에 근접 위치되어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수평방향 유격(△h)을 작게 한다.
그리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면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도 10 내지 도 11에 걸쳐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복공판 고정장치(100)(100')에 기본적으로 유사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동일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단지 첨자(")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다각 단면(137")의 봉 형상의 로드(130")를 갖는다. 이와 같은 로드(130")는 상부측에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드(130")는 그 머리부(132")가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렌치를 통해서 머리부(13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 단면(137")도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드(130")와 부싱(170")의 접촉면에서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스프링(150")은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다각 구멍(172")을 형성한 부싱(170")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부싱(170")은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173")를 중간에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73")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을 관통하여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177")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지지빔(110")간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싱(170")의 다각 구멍(172")은 일측으로 편심지게 형성되고, 복공판(120")과의 사이에는 와셔(178")를 통하여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부싱(170")은 다각 구멍(172")에 다각 단면(137")의 로드(130")가 결합됨으로써 로드(130")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되며, 상기 다각 구멍(172")의 편심 구조로 인하여 지지빔(110")측으로 회전되면,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되어서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하는 너트(19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너트(195')는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170")의 나사부(177")에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130")의 하단에 결합되는 로커암(18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로커암(180")은 일측에 상기 로드(130")의 하단이 결합하는 다각 구멍(182")을 형성하고, 상기 다각 구멍(182")에는 수평방향으로 핀 구멍(184")을 형성하며, 핀(190")을 상기 로드(130")의 핀 구멍(142")으로 삽입 고정하여 로드(130")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로커암(180")도 전체적으로 "L"의 단면을 형성하며, 지지빔(110")의 하부면, 즉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의 하부면으로 회전되는 경우,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게 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110")에 복공판(120")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먼저 복공판(120")의 사방 귀퉁이에 마련된 인양홀(125")에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를 고정시킨 다음, 부싱(170")과 로커암(180")을 적절하게 손으로 돌려 놓아서 지지빔(110")의 사이에 복공판(120")이 안착되는 경우, 부싱(170")과 로커암(180")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공판(120")이 복수의 지지빔(110") 사이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복공판(120")의 상부 인양홀(125")을 통해서 육각 렌치(미 도시)를 하강시켜 로드(130")의 머리부(132")에 결합시키고, 로드(130")를 하향으로 눌러서 스프링(150")을 압축시킨 다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육각 렌지의 누르는 힘을 제거한다.
따라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50")의 인장 복원력에 의해서 로드(130")는 상승되고, 로커암(180")은 그 일측이 지지빔(110")의 상부 플랜지(110a") 하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가 고정되면, 부싱(170")의 외측면이 지지빔(110")에 근접 위치되어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면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100')(100")는 부싱이 복공판에 횡방향력이 작용할 때 수평방향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빔의 상부 플랜지에 걸리는 로커암은 부상방지용 걸쇠구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100')(100")의 작동은 복공판 상면에 형성된 인양홀에서 실시하게 되므로 노면에서 작업이 용이한 장점과 복공판이 지지빔에 밀착시공되므로 차량통행시 수평및 수직방향 유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100)(100')(100")는 복공판에 장착된 부싱을 통해서 지지빔과 복공판의 폭방향, 즉 수평방향의 유격을 제거하기 때문에, 복공판의 수평방향이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로커암을 통해서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 또한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어서 차량, 통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빔 상부와 복공판 지지면 사이에 수직방향의 유격이 일부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으로 인하여 복공판의 수직방향이동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차량통행시 유격으로 인한 덜컹거림과 같은 소음발생 원인이 완벽하게 제거된다.
뿐만 아니라, 복공판 상부에서 인양홀을 통해서 복공판을 지지빔에 인양홀을 통하여 쉽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 및 탈착이 매우 용이하고, 복공판에 육각 렌치를 통하여 탈착가능한 구조이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복공판이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화된 경우, 이를 해체하여 다른 복공판에 재활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이 건설현장에서 시공되는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이 지지빔에 시공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측단면도, b)도는 복공판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복공판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지지빔에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지지빔에 고정하는 과정을 평면 및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복공판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의 부분 상세도로서,
a)도는 부싱의 상세도, b)도는 로커암의 상세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지지빔에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공판을 지지빔에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으로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110'.110"... 지지빔 20,120,120',120".... 복공판
22..... 본체 25..... 스토퍼(Stopper)
27..... 방진패드(Bearing Pad)
100,100',100".... 복공판 고정장치 125,125',125".... 인양홀
130,130',130".... 로드(Rod) 135,135'..... 원형 단면
137,137".... 다각 단면 140,140',140".... 돌기
142,142',142".... 핀 구멍 150,150',150".... 스프링
160.... 고정구 170,170',70".... 부싱(Bushing)
174,174',174".... 슬리브 177',177".... 나사부
178,178',178".... 와셔 180,180',180".... 로커암(Locker Arm)
190,190',190".... 연결핀
D..... 지지빔 사이거리 △h..... 수평방향 유격
△v.... 수직방향 유격
Claims (9)
-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110)상에 설치되는 복공판(120)의 고정장치에 있어서,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다각 단면(137)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 단면(137)의 상부에는 연이어서 다각 단면(137)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135)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단면(135)의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각 단면(137)의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형성된 로드(130);상기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162)을 중앙에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그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고정구(160);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130)의 다각 단면(137)이 일치하여 끼워지는 다각 구멍(172)을 형성한 부싱(170); 및상기 로드(130)의 하단이 끼워지는 다각 구멍(182)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184)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130)의 핀 구멍(142)으로 핀(190)을 삽입하여 상기 핀(190)을 통해 로드(130)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180);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170)을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며,상기 부싱(170)은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지지빔(110)간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다각 구멍(172)은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120)과의 사이에는 와셔(178)를 통하여 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120)은 사방 귀퉁이에 형성된 4개의 인양홀(125)중에서 2개의 인양홀(125)에는 부싱(17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동시에 로커암(18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며, 나머지 2개의 인양홀(125)에는 부싱(170)을 통하여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사이의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30)의 머리부(132)는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렌치를 통해서 머리부(13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 단면(137)은 12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130)와 고정구(160)의 접촉면 및 상기 로드(130)와 부싱(170)의 접촉면에서 상대 회전이 방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110')상에 설치되는 복공판(120')의 고정장치에 있어서,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형성된 로드(130');상기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구멍(172')을 중앙에 형성하고,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173')를 중간에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173')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을 관통하여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177')를 형성하는 부싱(170');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되어 인양홀(125')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170')의 나사부(177')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너트(195'); 및상기 로드(130')의 하단이 끼워지는 구멍(182')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184')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130')의 핀 구멍(142')으로 핀(190')을 삽입하여 상기 핀(190')을 통해 로드(130')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180');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170')을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며,상기 부싱(170')은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지지빔(110')간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구멍(172')은 정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120')과의 사이에는 와셔(178')를 통하여 밀착되는 한편, 하부면에는 로커암(180')의 상부면이 끼워지는 결합홈(179')을 형성하여 상기 로커암(180')과 함께 회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 삭제
- 건설공사현장에서 노면 복공용으로 지지빔(110")상에 설치되는 복공판(120")의 고정장치에 있어서,복공판(120")의 인양홀(125")로 삽입가능한 다각 단면(137")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으로는 직경이 확대된 돌기(1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40")의 상부측으로 머리부(132")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핀 구멍(142")이 형성된 로드(130");상기 로드(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단이 상기 로드(130")의 돌기(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50");상기 로드(130")가 끼워지는 다각 구멍(172")을 형성하고,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하부측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단턱부(173")를 중간에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173")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을 관통하여 인양홀(125")의 상부측으로 돌출하는 나사부(177")를 형성하는 부싱(170");상기 복공판(120")의 인양홀(125") 상부측에 위치되어 인양홀(125") 상부측으로 돌출한 부싱(170")의 나사부(177")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을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너트(195"); 및상기 로드(130")의 하단이 끼워지는 다각 구멍(182")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핀 구멍(184")을 형성하며 상기 로드(130")의 핀 구멍(142")으로 핀(190")을 삽입하여 상기 핀(190")을 통해 로드(130")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로커암(180");을 포함하여 상기 부싱(170")을 지지빔(110")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지지빔(110")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 유격(△h)을 제거하고, 상기 로커암(180")을 지지빔(110")의 하부면으로 회전시켜서 복공판(120")과 지지빔(110") 상부면 사이의 수직방향 유격(△v)을 제거하며, 로드(130")에 장착된 스프링(150")의 긴장력으로 복공판(120")을 지지빔(110")에 일체로 고정시키며,상기 부싱(170")은 비부식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슬리브(174")를 삽입시켜 지지빔(110")간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다각 구멍(172")은 정중앙에서 벗어나서 일측으로 편심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120")과의 사이에는 와셔(178")를 통하여 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30")의 머리부(132")는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렌치를 통해서 머리부(13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 단면(137")도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130")와 부싱(170")의 접촉면에서 상대 회전이 방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538A KR101106063B1 (ko) | 2009-03-04 | 2009-03-04 | 복공판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538A KR101106063B1 (ko) | 2009-03-04 | 2009-03-04 | 복공판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9947A KR20100099947A (ko) | 2010-09-15 |
KR101106063B1 true KR101106063B1 (ko) | 2012-01-18 |
Family
ID=430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8538A KR101106063B1 (ko) | 2009-03-04 | 2009-03-04 | 복공판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60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6650B1 (ko) * | 2012-01-09 | 2012-05-22 |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복공판의 체결장치 |
CN106884382B (zh) * | 2017-04-21 | 2018-11-27 | 中山市德丰科技服务有限公司 | 一种带缓冲件的组合式桥梁面板结构的桥梁 |
CN107447618A (zh) * | 2017-10-12 | 2017-12-08 | 刘冉冉 | 一种马路牙子停车用辅助装置 |
KR102001894B1 (ko) * | 2019-02-21 | 2019-07-19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상하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시공 방법 |
KR102096433B1 (ko) * | 2019-07-10 | 2020-04-02 | (주)이서이엔씨 | 가교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교 |
CH717041A2 (de) * | 2020-01-13 | 2021-07-15 | Kkbc Partners Kig | Modulares Verkehrswegele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17007A (ja) * | 1994-05-25 | 1995-12-05 | Kawashiyou Lease Syst Kk | 覆工板の取付構造 |
JP2006161549A (ja) * | 2004-11-12 | 2006-06-22 | Gecoss Corp | 覆工板取付け構造 |
KR100772088B1 (ko) * | 2006-12-18 | 2007-11-01 | 주식회사 미래 | 복공판용 로킹장치 |
KR20080057557A (ko) * | 2006-12-20 | 2008-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복공판 설치 구조 |
-
2009
- 2009-03-04 KR KR1020090018538A patent/KR101106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17007A (ja) * | 1994-05-25 | 1995-12-05 | Kawashiyou Lease Syst Kk | 覆工板の取付構造 |
JP2006161549A (ja) * | 2004-11-12 | 2006-06-22 | Gecoss Corp | 覆工板取付け構造 |
KR100772088B1 (ko) * | 2006-12-18 | 2007-11-01 | 주식회사 미래 | 복공판용 로킹장치 |
KR20080057557A (ko) * | 2006-12-20 | 2008-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복공판 설치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9947A (ko) | 2010-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6063B1 (ko) | 복공판 고정장치 | |
KR101620063B1 (ko) | 상하굴절 완충수단을 가지는 이중 내진형 배전함 | |
KR101370820B1 (ko) | 교량받침장치 | |
KR101312289B1 (ko) |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 |
KR100772088B1 (ko) | 복공판용 로킹장치 | |
KR20200017103A (ko) | 차선 규제봉 | |
JP2001107301A (ja) | 鉄道レールの防振装置 | |
JP2005299121A (ja) | 侵入規制装置 | |
KR101316696B1 (ko) |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 |
KR200411807Y1 (ko) |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 |
JP2001003313A (ja) | 橋梁用支承装置の据え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 |
KR102253508B1 (ko) | 신축이음장치 | |
KR102190118B1 (ko) | 교량 점검로 및 그 설치 공법 | |
KR20150064411A (ko) |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 |
JP7312422B2 (ja) | 橋梁の変位制限装置 | |
KR20090070667A (ko) |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 |
KR20190078202A (ko) | 임시 지지용 파이프 지지 장치 | |
KR102076505B1 (ko) |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 |
WO2022209066A1 (ja) | 橋梁の耐震補強装置 | |
KR101497331B1 (ko) | 풀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난간 | |
JP2004308108A (ja) | 既設弾性支承装置のベースプレートを利用した機能分離型の支承装置に補修する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 |
KR101216177B1 (ko) | 교량용 탄성받침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 |
JP4798625B2 (ja) | 移動制限装置 | |
KR200333764Y1 (ko) | 유도상 궤도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구조 | |
KR200234520Y1 (ko) | 지주형 도로표지판의 충격흡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