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05B1 -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05B1
KR102076505B1 KR1020170144241A KR20170144241A KR102076505B1 KR 102076505 B1 KR102076505 B1 KR 102076505B1 KR 1020170144241 A KR1020170144241 A KR 1020170144241A KR 20170144241 A KR20170144241 A KR 20170144241A KR 102076505 B1 KR102076505 B1 KR 10207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ixing
soundproof wall
connecting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928A (ko
Inventor
이덕민
이상규
박문기
박동구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7014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2개의 고정 너트를 2개의 고정링에 삽입 고정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2개의 고정링을 연결함으로써, 2개의 고정 너트에 대한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고정 너트를 재설치하는 등의 추가 작업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2개의 고정 너트에 삽입된 2개의 고정링 사이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정 너트와 고정링의 결합 상태를 강화시켜 외부 진동 등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 너트의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Loosening Prevention Device for Fixing Nut of Soundproof Wall Post}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2개의 고정 너트를 2개의 고정링에 삽입 고정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2개의 고정링을 연결함으로써, 2개의 고정 너트에 대한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고정 너트를 재설치하는 등의 추가 작업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2개의 고정 너트에 삽입된 2개의 고정링 사이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정 너트와 고정링의 결합 상태를 강화시켜 외부 진동 등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 너트의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소음 때문에 도로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차량 소음에 따른 피해가 크다. 따라서, 대부분 국가에서는 도로 주변 지역에서의 소음이 일정 한도 미만이 되도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규정에 따라 도로를 설계할 때 통상적으로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벽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고속도로를 비롯한 도로 주변에 주택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방음 시설의 대형화 및 고소화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음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음벽은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 옹벽(10)이 설치되고, 지지 옹벽(10)의 상부에 일정 간격마다 방음벽 지주(2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방음벽 지주(20) 사이에 방음 패널(30)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방음벽 지주(20)는 H 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안정적 결합을 위해 수평 평판형 지지판(21)이 용접 접합된다. 지지 옹벽(10)에는 앵커 볼트(22)가 상향 돌출되게 삽입되고, 지지판(21)은 앵커 볼트(2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앵커 볼트(22)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 너트(23)에 의해 고정된다. 즉, 방음벽 지주(20)는 하단의 지지판(21)이 앵커 볼트(22)와 고정 너트(23)에 의해 지지 옹벽(10)에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방음벽 지주(20)는 방음벽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방음벽 지주(20)의 고정력이 약화되면 방음벽이 무너지거나 또는 방음 패널(30)이 분리 낙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방음벽 지주(20)는 바람, 교량 진동 등 외적 요인에 의해 계속적으로 외부 하중을 받으며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음벽 지주(20)를 결합 고정하고 있는 고정 너트(23)의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고정 너트(23)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면, 방음벽 지주(20)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방음벽이 무너지거나 또는 방음 패널(30)이 분리 낙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 경우, 도로의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큰 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방음벽의 대형화 및 고소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방음벽 지주(20)의 진동이 증가하여 고정 너트(23)의 풀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고정 너트(23)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나오고 있으나, 그 설치 방법이 복잡하고 어렵거나 고가의 장치로 구성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개선 방안들은 새로 설치되는 방음벽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방음벽 지주의 고정 너트에 대해 적용하기에는 앵커 볼트 또는 고정 너트를 다시 재설치해야 하는 등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31814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2개의 고정 너트를 2개의 고정링에 삽입 고정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2개의 고정링을 연결함으로써, 2개의 고정 너트에 대한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고정 너트를 재설치하는 등의 추가 작업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고정 너트에 삽입된 2개의 고정링 사이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정 너트와 고정링의 결합 상태를 강화시켜 외부 진동 등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 너트의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방음벽의 방음벽 지주를 지지 옹벽에 고정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 너트에 대해 상기 고정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로서, 상기 고정 너트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너트에 삽입 결합되며, 2개의 고정 너트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은 상기 고정 너트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가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은 다양한 종류의 고정 너트가 삽입되어 회전 구속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너트 고정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고정 요철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너트 고정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연결바; 일단이 상기 제 2 너트 고정링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 1 연결바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2 연결바;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바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바의 연장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제 1 체결부 및 제 2 체결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2개의 상기 측면 연장부를 연결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 부재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조작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로부터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 또는 제 2 너트 고정링 측으로 직선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바 또는 제 2 연결바의 결합부와 맞물림되어 회전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2개의 고정 너트를 2개의 고정링에 삽입 고정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2개의 고정링을 연결함으로써, 2개의 고정 너트에 대한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방음벽 지주에 설치된 고정 너트를 재설치하는 등의 추가 작업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고정 너트에 삽입된 2개의 고정링 사이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정 너트와 고정링의 결합 상태를 강화시켜 외부 진동 등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 너트의 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음벽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가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가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는 도로에 설치된 방음벽의 방음벽 지주(20)를 지지 옹벽(10)에 고정하는 앵커 볼트(22)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 너트(23)에 대해 고정 너트(23)의 풀림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과, 간격 조절 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방음벽 지주(20)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에 지지판(21)이 부착되고, 지지판(21)을 관통하는 형태로 앵커 볼트(22)가 지지 옹벽(10)에 설치되고, 지지판(21)을 사이에 두고 앵커 볼트(22)의 상단에 고정 너트(23)가 체결된다. 이때, 앵커 볼트(22)는 하나의 방음벽 지주(20)에 대해 다수개 설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 너트(23) 또한 각각의 앵커 볼트(22)에 체결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앵커 볼트(22) 및 고정 너트(23)가 2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앵커 볼트(22) 및 고정 너트(23)는 3개 또는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고정 너트(23) 중 임의의 2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50)를 동일한 원리로 확장 적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은 고정 너트(23)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너트(23)에 삽입 결합되며, 2개의 고정 너트(23)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은 고정 너트(23)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너트(23)가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은 다양한 종류의 고정 너트(23)가 삽입되어 회전 구속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내주면을 따라 너트 고정 요철부(13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고정 너트(23) 또는 사각 고정 너트(23)가 모두 너트 고정 요철부(130)에 맞물림되어 회전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은 방음벽 지주(20)의 고정 너트(23)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고정 너트(23)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간격 조절 수단(200)은 양측단부가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을 연결하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200)은, 제 1 너트 고정링(11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바(210)와, 제 2 너트 고정링(12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바(220)와, 제 1 연결바(210)와 제 2 연결바(2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연결바(210)는, 일단이 제 1 너트 고정링(110)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부(201)와, 결합부(201)의 타단으로부터 제 2 너트 고정링(1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S1)이 형성되는 연장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연결바(220)는 제 1 연결바(210)와 대칭인 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단이 제 2 너트 고정링(120)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부(201)와, 결합부(201)의 타단으로부터 제 1 너트 고정링(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S2)이 형성되는 연장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연결바(210)의 연장부(202)와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제 1 연결바(210)의 연장부(202)에 형성되는 나사산(S1)과,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에 형성되는 나사산(S2)은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230)는 양측단부가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에 형성된 나사산(S1,S2)에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연결 부재(2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230)는, 제 1 연결바(210)의 연장부(202)의 나사산(S1)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체결부(231)와,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의 나사산(S2)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232)와, 제 1 체결부(231)와 제 2 체결부(232)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 1 체결부(231)와 제 2 체결부(232)를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조작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조작부(233)는, 제 1 체결부(231)로부터 제 1 연결바(210)의 연장부(202)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의 측면 연장부(233-1)와, 제 2 체결부(232)로부터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또 다른 하나의 측면 연장부(233-1)와, 제 1 체결부(231) 및 제 2 체결부(232)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연장부(233-1)를 연결하는 날개부(2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날개부(233-2)는 제 1 연결바(210)의 연장부(202) 및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조작부(233)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체결부(231) 및 제 2 체결부(232)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간격 조절 수단(200)은,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의 연장부(202)에 형성된 나사산(S1,S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 부재(2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 부재(2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에 각각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결합되므로, 이러한 작동 원리를 통해 제 1 너트 고정링(110)과 제 2 너트 고정링(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50)는 2개의 고정 너트(23)에 고정 결합되어 2개의 고정 너트(23)를 동시에 회전 구속함으로써, 고정 너트(23)의 풀림을 방지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를 회전 조작하면,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방음벽 지주(20)에 설치된 고정 너트(23)의 간격에 맞춰 간격 조절 수단(200)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을 2개의 고정 너트(23)에 각각 삽입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의 중심부에는 너트 고정 요철부(130)가 형성되므로,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이 고정 너트(23)에 각각 삽입되면, 너트 고정 요철부(130)에 의해 고정 너트(23)의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에 대한 상대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이 2개의 고정 너트(23)에 삽입 결합되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은 간격 조절 수단(2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도 2개의 고정 너트(23)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어느 하나의 고정 너트(23)가 풀림 회전되면, 고정 너트(23)에 삽입 결합된 제 1 너트 고정링(110)이 일체로 함께 회전해야 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간격 조절 수단(20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동시에 제 1 너트 고정링(110)을 중심으로 회전해야 한다. 그러나, 제 2 너트 고정링(120)은 또 다른 하나의 고정 너트(23)에 삽입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제 1 너트 고정링(110)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너트 고정링(110)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 1 너트 고정링(110)이 삽입 결합된 고정 너트(23) 또한 회전할 수 없어 풀림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각각의 고정 너트(23)에 단순 삽입된 상태이므로,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외부 하중이 작용하면,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고정 너트(23)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 사이 간격을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각각의 고정 너트(23)에 밀착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착 결합력에 의해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너트 고정링(110) 및 제 2 너트 고정링(120)이 2개의 고정 너트(23)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2개의 고정 너트(23)는 회전이 구속되어 풀림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상에서는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110,120)이 고정 너트(23)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간격 조절 수단(200) 또한 나사 체결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외부 진동 등에 의해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가 제 1 연결바(210) 및 제 2 연결바(220)의 사이 간격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풀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에 대한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별도의 스토퍼 부재(240)가 구비된다.
스토퍼 부재(24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날개부(233-2)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 조작부(23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33-2)의 외측면에 날개부(233-2)와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41)이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 부재(240)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241)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부재(240)는 회전 조작부(233)로부터 제 1 너트 고정링(110) 또는 제 2 너트 고정링(120) 측으로 직선 이동한 상태에서 제 1 연결바(210) 또는 제 2 연결바(220)의 결합부(201)와 맞물림되어 회전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50)를 설치 완료한 이후, 즉,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를 회전시켜 제 1 너트 고정링(110)과 제 2 너트 고정링(120)의 간격을 좁혀 각 고정 너트(23)에 밀착 결합시킨 이후, 스토퍼 부재(240)를 가이드 레일(241)로부터 인출하여 제 1 연결바(210) 또는 제 2 연결바(220)의 결합부(201)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조작함으로써,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격 조절 수단(200)의 연결 부재(230)가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풀림 회전되면, 풀림 회전 과정에서 스토퍼 부재(240)가 제 1 연결바(210) 또는 제 2 연결바(220)의 결합부(201)와 맞물림됨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연결 부재(230)의 풀림 회전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 옹벽
20: 방음벽 지주
22: 앵커 볼트 23: 고정 너트
110: 제 1 너트 고정링
120: 제 2 너트 고정링
130: 너트 고정 요철부
200: 간격 조절 수단
210: 제 1 연결바 220: 제 2 연결바
230: 연결 부재 231: 제 1 체결부
232: 제 2 체결부 233: 회전 조작부
233-1: 측면 연장부 233-2: 날개부
240: 스토퍼 부재

Claims (9)

  1. 도로에 설치된 방음벽의 방음벽 지주를 지지 옹벽에 고정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 너트에 대해 상기 고정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로서,
    상기 고정 너트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너트에 삽입 결합되며, 2개의 고정 너트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은 상기 고정 너트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가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너트 고정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연결바;
    일단이 상기 제 2 너트 고정링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 1 연결바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2 연결바;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바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바의 연장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제 1 체결부 및 제 2 체결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의 연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2개의 상기 측면 연장부를 연결하는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작부의 날개부에는 외측면에 상기 날개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조작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로부터 상기 제 1 너트 고정링 또는 제 2 너트 고정링 측으로 직선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바 또는 제 2 연결바의 결합부와 맞물림되어 회전 구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은 다양한 종류의 고정 너트가 삽입되어 회전 구속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너트 고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고정 요철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 고정링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방음벽.
KR1020170144241A 2017-10-31 2017-10-31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KR10207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41A KR102076505B1 (ko) 2017-10-31 2017-10-31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41A KR102076505B1 (ko) 2017-10-31 2017-10-31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28A KR20190048928A (ko) 2019-05-09
KR102076505B1 true KR102076505B1 (ko) 2020-02-13

Family

ID=6654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41A KR102076505B1 (ko) 2017-10-31 2017-10-31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1844A (zh) * 2021-01-25 2021-06-08 广东金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隔音屏障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471B1 (ko) * 2015-08-18 2016-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147Y1 (ko) 2003-03-19 2003-06-27 주식회사 이지클럽 방음벽 설치용 지지프레임의 고정구조
KR20100086151A (ko) * 2009-01-22 2010-07-30 박순동 풀림방지턴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471B1 (ko) * 2015-08-18 2016-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28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7552A (en) Guard device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2076505B1 (ko)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JP2002294853A (ja) 排水桝
CN211714641U (zh) 变电站钢结构施工防坠装置
RU193248U1 (ru) Барьер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автодорог
KR102010554B1 (ko)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319139B1 (ko) 휀스
CN205329728U (zh) 一种线井井盖
KR101859876B1 (ko) 앵커소켓의 설치 위치 변동이 가능한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228838B1 (ko) 설치가 용이한 난간
KR101285865B1 (ko)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102075377B1 (ko) 휀스
KR101958722B1 (ko)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JP7030311B2 (ja) 板状物落下防止用ワイヤーロープの取付け金具
US10197214B2 (en) Securing assembly
KR101554093B1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KR101636216B1 (ko) 지주 기초구조물
JP2017082460A (ja) ブラケット構造体、ブラケット及び防護柵
JP5524884B2 (ja) ケーブル防護柵
TWM534753U (zh) 橋墩三角托架結構
JP6431163B2 (ja) 道路の耐崩落性遮音壁とその遮音壁の吸音板の崩落防止施工方法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101886015B1 (ko) 난간 지주 및 그 시공방법
JP2010196310A (ja) 吊り戸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