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554B1 -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554B1
KR102010554B1 KR1020190016401A KR20190016401A KR102010554B1 KR 102010554 B1 KR102010554 B1 KR 102010554B1 KR 1020190016401 A KR1020190016401 A KR 1020190016401A KR 20190016401 A KR20190016401 A KR 20190016401A KR 102010554 B1 KR102010554 B1 KR 10201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protrusion
plate portio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종
Original Assignee
(주) 투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투템디자인 filed Critical (주) 투템디자인
Priority to KR102019001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수평프레임에 체결되는 몸체 및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하고, 상승시 관통구멍과의 간섭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스크루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의 가구를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분해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을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을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결합방법은 용접기와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한 전문기술로서, 비숙련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통상의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상호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법은 결합력이 약해 작은 충격에도 가구용 프레임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가 체결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을 구성토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일종의 매개체인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게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다리프레임과 수평프레임마다 연결구와 브래킷을 각기 결합해야 하는 구조로서,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한 작업이 복잡하여 분해조립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207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의 가구를 구성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수평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를 둘러싼 수평상판부, 상기 수평상판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수평하판부, 상기 수평상판부의 양측에 배치된 수직측판부 및 상기 수직측판부와 수평하판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측판부를 포함하는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Horizontal Frame);
상기 수평상판부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수직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 상기 사선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Body) 및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Bracket);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 노출하는 관통구멍이 상부에 형성되며, 보드(Board)가 상부에 얹혀지는 사각형의 제2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하고, 상승시 관통구멍과의 간섭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며, 하강시 제2 수평프레임과 고정블록을 분리시키는 스크루스토퍼(Screw Stopper);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기 고정결합되어 보드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다리프레임(Vertical Frame);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이며, 원판형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 수평프레임 및 다리프레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수평프레임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 및 하부고정부의 양측에 각기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는 상면과 하면에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되고, 제2 돌출부의 하면에 상기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외면에 조립홈이 마련된 제1 보조돌출부 및 상기 조립홈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를 통해 제1 보조돌출부에 조립되는 제2 보조돌출부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과 조립돌기는 분리방지를 위하여 역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과 스크루스토퍼를 통해 제1,2 수평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해 가능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을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된 제1 수평프레임(10)의 일 측면에 밀착고정되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30)이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2 돌출부(22a)(22b)로 구성된 고정블록(22)이 일 측면에 형성된 몸체(21)의 상부와 하부에 확장부(21d)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분리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21a), 측부고정부(21b) 및 하부고정부(21c)로 구성된 몸체(2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2a)가 제1,2 보조돌출부(50)(51)로 분리 구성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상부에 보드(2)가 얹혀지는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제1 수평프레임(10)의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다리프레임(60)이 하부방향으로 구비된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측에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양측 하부에 다리프레임(60)이 구비된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0) 사이에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고정결합되어 가구(1)를 구성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으로 활용 가능한 가구(1)를 구성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지지하게 되는 보드(2) 역시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Table) 또는 식탁용 상판으로 해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드(2)는 원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드(2)의 하부를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구성되어 예컨대, 용접을 통해 각기 고정결합되는 다리프레임(60)이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다리프레임(60)은 보드(2)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높낮이조절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은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속이 비어 있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되는데,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상판부(12), 수평하판부(13), 수직측판부(14) 및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상기 공간부(1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하판부(13)는 수평상판부(1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상판부(12)의 양측에 수직측판부(14)가 배치되며, 상기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측판부(15)로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부가 쐐기형으로 이루어진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수평프레임(10)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30)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31)이 마련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공간(31)을 통해서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수평프레임(30)은 수용공간(31)을 외부 노출하는 관통구멍(32)이 상부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2 수평프레임(10)(30) 및 다리프레임(60)은 통상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나, 고강도 합성수지를 통한 성형도 가능하므로, 반드시 금속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써,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 및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구성하는 제1 돌출부(22a)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하고, 상승시 관통구멍(32)과의 간섭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30)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크루스토퍼(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은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평상판부(12)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21a),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직측판부(14)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21b)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사선측판부(15)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21c)를 포함하는 몸체(21) 및 상기 몸체(2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31)에 수용되는 고정블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22)은 몸체(2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2a) 및 상기 제1 돌출부(22a)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2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부(2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2 돌출부(22a)(22b)는 상하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는 제1 수평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나 나사 등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21a) 및 하부고정부(21c)의 양측에 각기 반원형의 확장부(21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돌출부(22a)는 상면과 하면에 공간감소용 홈(22c)이 형성되어 도면상 H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돌출부(22b)의 하면에 상기 공간감소용 홈(22c)이 형성되어 도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합성수지를 통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성형하는데 따른 재료절감이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중량감소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돌출부(22a)는 하나의 구성이거나 두 개로 분리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두 개로 분리 구성된 제1 돌출부(22a)는 제1 보조돌출부(50) 및 상기 제1 보조돌출부(50)에 조립되어 일체화되는 제2 보조돌출부(5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보조돌출부(50)는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보조돌출부(51)와 마주보는 일면에 사각형 또는 역삼각형의 조립홈(50a)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돌출부(51)는 조립홈(50a)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사각형 또는 역삼각형의 조립돌기(51a)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홈(50a)에 조립돌기(51a)를 억지 끼움 체결하여 제1,2 보조돌출부(50)(51)를 일체화함으로써, 두 개로 분리 구성된 제1 돌출부(22a)는 하나로 구성되는 제1 돌출부(22a)와 비교할 때 강도는 균등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러한 제1 돌출부(22a)는 스크루스토퍼(4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상부에 체결구멍(22d)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22d)을 통해 제1 돌출부(22a)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루스토퍼(40)는 금속재질의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스토퍼(40)는 L렌치나 드라이버 등을 통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드라이버홈이나 렌치홈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스크루스토퍼(4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루스토퍼(40)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멍(22d) 및 상기 스크루스토퍼(40)와 간섭되는 관통구멍(32)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루스토퍼(40)를 체결구멍(22d)에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제1,2 돌출부(22a)(22b)를 제2 수평프레임(30)의 수용공간(31)에 진입시키고, 관통구멍(32)을 통해 상기 스크루스토퍼(40)를 회전시켜 상승시키면, 상기 관통구멍(32)과 스크루스토퍼(40)의 간섭이 발생하여 제2 수평프레임(30)의 분리가 방지된다.
이후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의 몸체(21)를 제1 수평프레임(10)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측에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수평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토록 함으로써, 대형의 가구(1)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 수평프레임(30)을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회전을 통해 상승한 스크루스토퍼(40)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루스토퍼(40)와 관통구멍(32)의 간섭을 해제하고, 제2 수평프레임(30)에서 고정블록(22)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스크루스토퍼(40)를 통해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가구(1)를 구성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된 제1 수평프레임(10)의 일 측면에 밀착고정되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30)이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 상기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연결하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 및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구성하는 고정블록(22)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하고, 상승시 제2 수평프레임(30)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크루스토퍼(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은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속이 비어 있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되는데, 사각형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상판부(12), 수평하판부(13), 수직측판부(14)를 통해 상기 공간부(1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상판부(12)의 양측에 수직측판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수평하판부(13)를 통해 상기 수직측판부(14)를 연결함으로써, 도면상 직사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수평프레임(10)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30)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31)이 마련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공간(31)을 통해서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은 수용공간(31)을 외부 노출하는 관통구멍(32)이 상부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2 수평프레임(10)(30)은 통상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나, 고강도 합성수지를 통한 성형도 가능하므로, 반드시 금속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은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써,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직측판부(14)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몸체(21)의 상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2a) 및 상기 제1 돌출부(22a)를 통해 형성된 상부공간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고정블록(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는 측면이 제1 수평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예컨대, 위아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볼트관통구멍(22e)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1)는 제1 돌출부(22a)의 반대방향인 하부 양측에 제2 돌출부(22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돌출부(22a)(22b)는 몸체(21)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21)는 측면 양측에 공간감소용 홈(22c)이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합성수지를 통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성형하는데 따른 재료절감이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중량감소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블록(22)은 제1 돌출부(22a)에 의해 형성된 상부공간에 예컨대, 억지 끼움 체결되어 몸체(21)와 일체화됨으로써, 체결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러한 고정블록(22)은 스크루스토퍼(4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상부에 체결구멍(22d)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22d)을 통해 제1 돌출부(22a)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루스토퍼(40)는 금속재질의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스토퍼(40)는 L렌치나 드라이버 등을 통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드라이버홈이나 렌치홈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스토퍼(4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루스토퍼(40)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멍(22d) 및 상기 스크루스토퍼(40)와 간섭되는 관통구멍(32)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의 몸체(21)를 제1 수평프레임(10)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고정하고, 스크루스토퍼(40)를 체결구멍(22d)에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제2 수평프레임(30)의 수용공간(31)에 진입시키고, 관통구멍(32)을 통해 상기 스크루스토퍼(40)를 회전시켜 상승시키면, 상기 관통구멍(32)과 스크루스토퍼(40)의 간섭이 발생하여 제2 수평프레임(30)의 분리가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측에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수평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토록 함으로써, 대형의 가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수평프레임(30)을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회전을 통해 상승한 스크루스토퍼(40)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루스토퍼(40)와 관통구멍(32)의 간섭을 해제하고, 제2 수평프레임(30)에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스크루스토퍼(40)를 통해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가구를 구성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가구 2: 보드
10: 제1 수평프레임 11: 공간부
12: 수평상판부 13: 수평하판부
14: 수직측판부 15: 사선측판부
20: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21: 몸체
21a: 상부고정부 21b: 측부고정부
21c: 하부고정부 21d: 확장부
22: 고정블록 22a: 제1 돌출부
22b: 제2 돌출부 22c: 공간감소용 홈
22d: 체결구멍 22e: 볼트관통구멍
30: 제2 수평프레임 31: 수용공간
32: 관통구멍 40: 스크루스토퍼
50: 제1 보조돌출부 50a: 조립홈
51: 제2 보조돌출부 51a: 조립돌기
60: 다리프레임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를 둘러싼 수평상판부, 상기 수평상판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수평하판부, 상기 수평상판부의 양측에 배치된 수직측판부 및 상기 수직측판부와 수평하판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측판부를 포함하는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상판부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수직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 상기 사선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도록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 노출하는 관통구멍이 상부에 형성되며, 보드가 상부에 얹혀지는 사각형의 제2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하고, 상승시 관통구멍과의 간섭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며, 하강시 제2 수평프레임과 고정블록을 분리시키는 스크루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외면에 조립홈이 마련된 제1 보조돌출부 및 상기 조립홈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를 통해 제1 보조돌출부에 조립되는 제2 보조돌출부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기 고정결합되어 보드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다리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수평프레임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 및 하부고정부의 양측에 각기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는 상면과 하면에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되고, 제2 돌출부의 하면에 상기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16401A 2019-02-13 2019-02-13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01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01A KR102010554B1 (ko) 2019-02-13 2019-02-13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01A KR102010554B1 (ko) 2019-02-13 2019-02-13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554B1 true KR102010554B1 (ko) 2019-08-13

Family

ID=6762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401A KR102010554B1 (ko) 2019-02-13 2019-02-13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56B1 (ko) * 2019-12-05 2020-06-09 (주) 투템디자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140749B1 (ko) * 2019-09-25 2020-08-0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실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44A (ja) * 1998-06-16 2000-03-07 Kokuyo Co Ltd
KR200193211Y1 (ko) * 2000-03-24 2000-08-16 주식회사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칸막이 지주의 연결콘넥터
KR200268616Y1 (ko) * 2001-11-27 2002-03-16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장식장 연결부재
KR20110073684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KR101583332B1 (ko) * 2015-07-22 2016-01-19 (주)캠퍼스라인 브라켓이 구비된 테이블
KR101762074B1 (ko) 2016-08-04 2017-07-26 이준구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44A (ja) * 1998-06-16 2000-03-07 Kokuyo Co Ltd
KR200193211Y1 (ko) * 2000-03-24 2000-08-16 주식회사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칸막이 지주의 연결콘넥터
KR200268616Y1 (ko) * 2001-11-27 2002-03-16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장식장 연결부재
KR20110073684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KR101583332B1 (ko) * 2015-07-22 2016-01-19 (주)캠퍼스라인 브라켓이 구비된 테이블
KR101762074B1 (ko) 2016-08-04 2017-07-26 이준구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749B1 (ko) * 2019-09-25 2020-08-0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실험대
KR102120456B1 (ko) * 2019-12-05 2020-06-09 (주) 투템디자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554B1 (ko)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AU2005211415B2 (en) Suspended storage shelf
US20110265396A1 (en) Connector system for building modules
KR102120456B1 (ko)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058675B1 (ko) 테이블 지지각에 대한 프레임연결구의 이중 조립구조
KR102057842B1 (ko)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JP2011010691A (ja) 装置の固定具
JP4571672B2 (ja) 高置フロアアセンブリのための支持構造体
KR101316696B1 (ko)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KR1013358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CN101813301B (zh) 一种灯具的下壳及其照明灯具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JP2006200705A (ja) 防振架台
JP4478608B2 (ja) テーブル類における天板と脚部の連結構造
JP2006020742A (ja) 組立ラック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KR101503689B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20120014697A (ko) 식탁
KR100507751B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1900053B1 (ko) 프레임시스템 책상
JP2007126883A (ja) 手摺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JP2010267843A (ja) フレーム式キャビネット
KR20200015127A (ko) 부분교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JP2021046761A (ja) 組立構造体、及び組立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