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71B1 -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 Google Patents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471B1
KR101621471B1 KR1020150116141A KR20150116141A KR101621471B1 KR 101621471 B1 KR101621471 B1 KR 101621471B1 KR 1020150116141 A KR1020150116141 A KR 1020150116141A KR 20150116141 A KR20150116141 A KR 20150116141A KR 101621471 B1 KR101621471 B1 KR 10162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upport
main nut
weight
found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호
김성희
김미숙
서순복
백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in which the screw-thread of the locknut differs from that of the nut

Abstract

본 발명은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초구조물을 통해 지주로 전달되는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고 지주와 기초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신축적 이동 및 진동발생시에도 지주가 기초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진보강형 방음벽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에 이중나선부가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이중앵커볼트와, 기초구조물에 돌출된 이중앵커볼트의 이중나선부가 하단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배치하는 지주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와 기초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설치되는 탄성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를 관통한 이중나선부에 체결되어 기초구조물에 지주를 고정하는 메인너트와, 메인너트 상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메인너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중나선부에 체결되어 메인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캡너트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SOUNDPROOF WALL SUPPORTING DEVICE HAVING UNSCREW 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통행에 따른 진동 및 교량의 진동발생시, 이를 완충 흡수하여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으로 인한 방음벽 지주와 기초구조물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에 따른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의 증가와 함께 사회 기반 시설(도로, 철도, 공항)의 확충에 따라, 도로주변, 공항 주변, 철도 주변 등에는 각종 차량 들로 인하여 큰 소음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로변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로 주변의 아파트 또는 주택 및 상가 등이 밀집되어 있는 경우 주민의 편의성 및 민원의 방지를 위해 방음벽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통상 교량, 철교, 도시철도 고가구조물 또는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 또는 구조물 슬래브면에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기초구조물에 등간격으로 앵커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앵커볼트에 H형상의 지주들이 세워져 설치된 후, 이들 지주들 사이에 다수의 방음판들이 상하로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물은 기초 구조물은 환경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일정구간마다 틈새 즉,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인트에는 신축성 소재 또는 커버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방음벽이 설치되는 도로 및 교량 등에는 각종 차량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 및 조인트부위의 신축에 의해 너트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어 기초구조물로부터 지주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특히, 기초구조물의 조인트와 인접한 위치에 지주가 결합되는 경우, 도로의 상판 또는 교량의 상판이 환경 변화에 따라 신축력 및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고정너트의 풀림에 의해 기초구조물로부터 지주가 분리되어, 결국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은 앵커볼트 및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행인, 차량 또는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고, 외관 및 미관이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분실의 위험까지도 상존하는 등 앵커볼트의 노출에 따른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41000(2011.06.07)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98939(2011.12.20)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76636(2010.08.11)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58146(2014.05.14)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구조물을 통해 지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고 지주와 기초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신축적 이동 및 진동발생시에도 지주가 기초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에 이중나선부가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이중앵커볼트와, 기초구조물에 돌출된 이중앵커볼트의 이중나선부가 하단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배치하는 지주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와 기초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설치되는 탄성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를 관통한 이중나선부에 체결되어 기초구조물에 지주를 고정하는 메인너트와, 메인너트 상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메인너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중나선부에 체결되어 메인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캡너트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주와 기초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탄성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환경에 따른 신축 및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 완충시키고, 지주와 기초구조물이 이중앵커볼트 및 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는 메인너트와 캡너트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기초구조물과 또다른 기초구조물 사이의 조인트에 인접하여 지주가 설치되어도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음벽에 설치된 이중앵커볼트 및 메인너트가 캡너트에 의해 완전하게 은폐 및 보호되므로, 행인 또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너트와 같은 부품의 도난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앵커볼트의 부식방지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방음벽 하부의 외관 및 미관을 깨끗하고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너트와 캡너트에 의해 방음벽 지주가 기초구조물 상면에 체결되어 결합되므로, 작업공수를 줄이고, 방음벽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너트와 메인너트가 체결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이중앵커볼트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상호반작용 현상에 의해서 역학적으로 너트가 풀리지 않게 되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메인너트가 풀리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 및 앵커볼트의 부식방지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 및 고정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또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 및 고정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또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10)과, 기초구조물(10)에 이중나선부(21)가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이중앵커볼트(20)와, 기초구조물(10)에 돌출된 이중앵커볼트(20)의 이중나선부(21)가 하단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기초구조물(10)의 상면(11)에 배치하는 지주(30)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와 기초구조물(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설치되는 탄성베이스플레이트(40)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를 관통한 이중나선부(21)에 체결되어 기초구조물(10)에 지주(30)를 고정하는 메인너트(50)와, 메인너트(50) 상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메인너트(5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중나선부(21)에 체결되어 메인너트(50)의 풀림을 방지하는 캡너트(6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구조물(10)은, 교량 상판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콘크리트 소재로 거푸집 성형되거나, 성형된 콘크리트부재를 이동설치한다. 이와 같은 기초구조물은 열차 또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호벽 및 지주 결합용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물(10)에는, 계절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 구간마다 틈새가 구비되도록 형성 또는 설치되며, 상기 틈새에는 신축재 또는 탄성 베이스 플레이트가 하나의 조인트를 이루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초구조물의 구성은 주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중앵커볼트(20)는 하단고정부(22)가 기초구조물(10)내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이중나선부(21)가 기초구조물(10)의 상면(11)으로 돌출되도록 기초구조물(10)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하단고정부(22)와 이중나선부(2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나선부(21)는 메인너트(50)가 체결되는 제1나선부(23)와, 상기 제1나선부(23) 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제1나선부(23)의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너트(60)가 체결되는 제2나선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이중나선부(21)는 하단고정부(22) 측에 위치하도록 제1나선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나선부(23)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중앵커볼트(20)의 선단에 제2나선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선부(23)와 제2나선부(2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제2나선부(24)의 직경(d2)는 제1나선부(23)의 직경(d1) 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다.
상기 지주(30)는 기초구조물의 상면(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이중앵커볼트의 이중나선부(21)가 관통되는 복수의 고정홀(32)이 형성된 하단플레이트(31)와, 상기 하단플레이트(31)에 수직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지주대(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주대(33)는 공지의 "H" 형 또는 "I"형 지주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30)는 방음판(70)의 고정을 위해 기초구조물(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지주(33)는 하단플레이트(31) 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단플레이트(31)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32)을 통해 기초구조물(10)에 하단고정부(22)가 매설된 이중앵커볼트의 이중나선부(21)가 관통되어 메인너트(50) 및 캡너트(60)와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교량, 고가, 철교, 도로 등의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 및 수평 변위를 흡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고분자계 고탄성재질 즉, 고분자계 고무(Rubber)라텍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수한 접착력과 고탄성, 고신율, 충격흡수력 및 내후력이 우수한 특성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15∼20 중량부, 폴리우레탄(PU)수지 10∼15 중량부, 알킬디페닐에테르 디설폰산 수용성염(유화분산제) 1∼1.5 중량부, 실리카 10∼20 중량부, 페놀수지 1∼5 중량부, 벤조일퍼옥사이드 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3∼5 중량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ianate) 1∼3 중량부, 디메타크릴산 아연 0.1∼0.5 중량부, 가황제 0.5∼2 중량부, 가황촉진제 0.5∼2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는 천연고무와의 블렌딩성이 양호한 특성을 구비하는 수용성 유화고분자로서, 전단마찰을 줄여서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원하는 다짐 밀도를 성취하도록 하며 가요성 및 탄성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고탄성을 구비하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필요로 하는 탄성을 구비하기 어렵고, 1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전체 물성이 저하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되어야 한다.
상기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ianate)는 우레탄-N=N-우레탄 구조를 지니고 있어 천연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우레탄수지 사이의 친화력을 화학적 결합으로 증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와 폴리우레탄(PU)수지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정범위내에서 첨가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범위에 대하여,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고탄성 및 신장율을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너무 연질로 이루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지주와 기초구조물 사이에 설치될 수 없게 된다.
상기 알킬디페닐에테르 디설폰산 수용성염은 천연고무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 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은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부분경화가 발생되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경화가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디메타크릴산 아연 및 페놀수지는 접착성 및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디메타크릴산 아연은 금속재질과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충분한 점착성을 얻지 못하게 되고,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생산성이 저하된다.
특히 디메탈크릴산 아연은 가황반응에 도움을 주며, 가교밀도를 증기시켜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동시에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실리카는 물성개선에 우수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나, 우수한 반응성으로 인하여 가교시스템내에서 산화아연을 흡수하여 가교반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메탈크릴산 아연을 첨가하여, 실리카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시키면서 접착성 및 가교밀도를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디메탈크릴산 아연이 첨가될 경우, 디메탈크릴산 아연의 아연이온이 실리카 표면의 히드록시기와 우선적으로 반응하게 되고, 이와 같이 실리카 표면에 화학적으로 또는 극성에 기인한 인력에 의해 결합된 아연이온은 운동성이 자유로운 아연화합물에 비해 이동성 저하되므로, 가교반응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가교밀도가 증가되게 된다.
상기 페놀 수지는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충분한 효과 즉, 고탄성, 고강성을 얻을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내구성 및 물성이 저하된다. 특히, 상기 페놀수지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헥사민)이 첨가된 것을 사용하며, 이와 같이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이 첨가된 페놀수지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의 경화기능에 의해 보다 더 우수한 접착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실리카는 물성증진을 위한 충전제로 첨가되는 것으로,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분산성이 악화되어, 가공 성 및 성형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탄성베이스플레이트의 인장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가황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일예로, 황, 가열에 의해 유황을 생성시키는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산화 마그네슘 등의 금속 산화물, 다관능성 모노머, 실라놀 화합물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에 의해 유황을 생성시키는 화합물로서는, 테트라 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 에틸 티우람 디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술펜아미드계 촉진제 또는 티우람계 촉진제를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술펜아미드계 촉진제를 사용한다. 상기 술펜아미드계 가황 촉진제로는, N-에틸-2-벤조티아질술펜 아미드, N-t-부틸-2-벤조티아질술펜 아미드, N, N-디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질술펜 아미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0.1∼2.0㎜ 크기를 구비하는 콜크분말 0.2∼2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콜크분말은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탄성 베이스플레이트는 아래 [표1] 및 [표2]에 따른 물성을 구비하며, 방음벽 지주의 높이와 하중을 고려하여 적정두께범위내에서 설치된다. 즉, 방음벽 지주의 높이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에 차이가 발생되므로, 상기 탄성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는 지주의 높이와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 설치한다.
[표1]
Figure 112015079885423-pat00001
[표2]
Figure 112015079885423-pat00002
또한,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표1] 및 [표2]에 따른 물성을 구비하는 2액형 고분자계 고무(Rubber)라텍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기초구조물의 이중앵커볼트(20)와 지주(30)의 접촉 연결부위 즉, 기초구조물의 상면(11)과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의 작용을 최소화하고,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의 완충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고정플레이트(12)가 더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12)에 지주(30)가 올려져 고정설치될 경우, 고정플레이트(12)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는 기초구조물의 반복 동적하중에 따른 진동 또는 신축팽창력 발생시, 이를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에 분산 전달하여, 지주(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기초구조물의 상면(11)에 고정플레이트(12),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가 순차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구조물(10)에 신축 팽창력이 발생되면 기초구조물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기초구조물의 움직임이 고정플레이트(12)를 중심으로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에 전달되어 흡수되므로,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주(30)에는 기초구조물(10)의 움직임 전달이 최소화되게 된다. 즉,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된 방음판은 뒤틀림없이 초기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너트(50)와 캡너트(60)는 이중앵커볼트(20)에 상호 역방향으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메인너트(50)와 캡너트(60)의 상호반작용 현상에 의해서 역학적으로 메인너트(50)가 풀리지 않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메인너트(50)는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에 접촉되도록 이중앵커볼트(20)의 제1나선부(23)에 체결되어 하단플레이트(31)를 기초구조물(1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메인너트(50)의 외부면(51)에는 경사걸림턱(52)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걸림턱(52)은 메인너트(50)의 풀림방향측(C1)으로 외부면(51)에서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경사부(53)와, 상기 경사부(53)의 끝단에 연결되어 메인너트의 외부면(51)에 수직되도록 형성되는 수직부(54)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경사걸림턱(52)은 메인너트의 풀림방향(C1)으로 일측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톱니형상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사걸림턱(52)은 6각형상의 메인너트일 경우, 6개의 외부면 각각에 대하여 경사걸림턱(52)이 하나씩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경사걸림턱(52)은 캡너트(60)와의 결합시 메인너트(50)의 일측에 면접촉되어 메인너트(5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너트(50)는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걸림턱의 경사부(53)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므로, 메인너트(50)의 체결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캡너트(60)는 이중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에 체결되어 메인너트(50)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몸체부(61)와, 상기 몸체부(61)내에 형성되고 제2나선부(24)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부(62)와, 상기 너트부(62) 하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61)내에 형성되어 메인너트(50)가 삽입되는 고정부(63)와, 상기 너트부(62) 상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61)내에 형성되어 너트부(62)를 관통한 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가 삽입되는 지지부(64)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62)는 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가 체결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너트부(62)는 캡너트의 몸체부(61)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거나, 몸체부(61)내에 별도의 너트가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3)는 너트부(6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61)내에 형성되어 있어, 너트부(62)가 이중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에 체결될 시, 메인너트(50)에 함께 끼움결합되어 메인너트(50)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63)는 메인너트(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메인너트의 직경(d3)보다 1.1∼1.3 배의 직경(d4) 크기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63)는 메인너트의 경사걸림턱(52)에 일측이 면접촉되는 경사돌기(6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돌기(65)는 메인너트(50)의 잠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제2나선부(24)에 캡너트(60)가 체결 될 시, 메인너트의 경사걸림턱(52)과 일측이 면접촉된다.
즉, 상기 경사돌기(65)는 캡너트의 풀림방향측(C2)으로 내측면(66)에서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돌기경사부(67)와, 상기 돌기경사부(67)의 끝단에 연결되어 몸체부 내측면(66)에 수직되도록 형성되는 돌기수직부(68)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의 경사돌기(65)는 이중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에 캡너트(60)가 체결될 시, 경사돌기의 돌기경사부(67)가 메인너트의 경사부(53)를 타고 넘어가면서 캡너트(60)가 이중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에 체결되게 되며, 캡너트(60)의 체결완료 후, 진동 등에 의해 메인너트(50)에 풀림현상이 발생될 경우, 도 3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의 돌기수직부(68)가 메인너트 경사걸림턱의 수직부(54)에 면접촉되게 되므로, 메인너트(50)의 풀림방향 회전이 더욱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너트에 경사걸림턱(52)이 형성되지 않고, 캡너트의 고정부에 경사돌기(65)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메인너트(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캡너트의 고정부(63)가 형성되어 있어, 제2나선부(24)에 캡너트(60)가 체결될 시, 메인너트(50)와 고정부(63)의 삽입결합에 의해 메인너트(50)의 풀림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부(64)는 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 선단(캡너트의 너트부를 관통하는 끝단)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이중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에 캡너트(60)가 체결됨에 따라 캡너트(60)의 너트부(62)를 관통하여 제2나선부(24)의 선단이 지지부(64)내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64)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기능을 구비한 물질이 더 삽입되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60)와 메인너트(50) 사이 즉, 캡너트의 너트부(62)와 메인너트(5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부(63)내에 마찰지지대(69)가 더 설치되고, 상기 마찰지지대(69)는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찰지지대(69)는 중앙에 제1나선부 또는 제2나선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분자계 고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마찰지지대(69)는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앵커볼트의 제1나선부(또는 제2나선부)가 삽입되도록 캡너트의 너트부(62)와 메인너트(50) 사이에 설치되어, 너트부(62)와 메인너트(50)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 캡너트(60)와 메인너트(5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자체 마찰력에 의해 캡너트 또는 메인너트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마찰지지대(69)는 캡너트의 체결시, 너트부와 메인너트 사이에 밀착되므로, 밀착력에 의해 메인너트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이중앵커볼트(20)의 기초구조물(10)에 대한 시공오류로 인하여, 이중나선부의 제1나선부(23)가 길게 돌출되도록 즉, 메인너트(50)의 체결시, 체결되는 메인너트(50)를 관통하여 제1나선부(23)가 돌출될 경우, 이중나선부의 제2나선부(24)에 캡너트(60)를 체결하여도, 캡너트(60)와 메인너트(50) 사이에 갭이 존재하게 되므로, 제2나선부에 체결된 캡너트(60)는 메인너트(50)의 풀림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메인너트(50)와 캡너트(60)의 너트부(62) 사이에 마찰지지대(69)가 더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이중앵커볼트의 시공오류 발생시에도 캡너트(60)가 메인너트(50)의 풀림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철교, 교량, 도시철도, 고가교, 도로 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즉, 열차와 차량등에 의해 운행되는 모든 운행선, 또한 시설물에서 진동과 신축작용이 있는 도로 및 방음벽이 설치될 수 있는 도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기초구조물 (11) : 상면
(12) : 고정플레이트 (20) : 이중앵커볼트
(21) : 이중나선부 (22) : 하단고정부
(23) : 제1나선부 (24) : 제2나선부
(30) : 지주 (31) : 하단플레이트
(32) : 고정홀 (33) : 지주대
(40) : 탄성베이스플레이트 (50) : 메인너트
(51) : 외부면 (52) : 경사걸림턱
(53) : 경사부 (54) : 수직부
(60) : 캡너트 (61) : 몸체부
(62) : 너트부 (63) : 고정부
(66) : 내측면 (67) : 돌기경사부
(68) : 돌기수직부 (69) : 마찰지지대
(70) : 방음판

Claims (10)

  1. 기초구조물(10)에 이중나선부(21)가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이중앵커볼트(20)와,
    기초구조물(10)에 돌출된 이중앵커볼트(20)의 이중나선부(21)가 하단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기초구조물(10)의 상면(11)에 배치하는 지주(30)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와 기초구조물(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설치되는 탄성베이스플레이트(40)와,
    지주의 하단플레이트(31)를 관통한 이중나선부(21)에 체결되어 기초구조물(10)에 지주(30)를 고정하는 메인너트(50)와,
    메인너트(50) 상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메인너트(5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중나선부(21)에 체결되어 메인너트(50)의 풀림을 방지하는 캡너트(6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15∼20 중량부, 폴리우레탄(PU)수지 10∼15 중량부, 알킬디페닐에테르 디설폰산 수용성염(유화분산제) 1∼1.5 중량부, 실리카 10∼20 중량부, 페놀수지 1∼5 중량부, 벤조일퍼옥사이드 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3∼5 중량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ianate) 1∼3 중량부, 디메타크릴산 아연 0.1∼0.5 중량부, 가황제 0.5∼2 중량부, 가황촉진제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이중나선부(21)는, 메인너트(50)가 체결되는 제1나선부(23)와, 상기 제1나선부(23) 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제1나선부(23)의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너트(60)가 체결되는 제2나선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0.1∼2.0㎜ 크기를 구비하는 콜크분말 0.2∼2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탄성베이스 플레이트(40)는 하기의 [표1] 및 [표2]에 따른 물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표1]
    Figure 112015128726916-pat00003

    [표2]
    Figure 112015128726916-pat00004

  6. 삭제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메인너트(50)의 외부면(51)에는 경사걸림턱(52)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걸림턱(52)은 메인너트(50)의 풀림방향측(C1)으로 외부면(51)에서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경사부(53)와, 상기 경사부(53)의 끝단에 연결되어 메인너트의 외부면(51)에 수직되도록 형성되는 수직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캡너트(60)는, 몸체부(61)와, 상기 몸체부(61)내에 형성되고 제2나선부(24)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부(62)와, 상기 너트부(62) 하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61)내에 형성되어 메인너트(50)가 삽입되는 고정부(63)와, 상기 너트부(62) 상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61)내에 형성되어 너트부(62)를 관통한 앵커볼트의 제2나선부(24)가 삽입되는 지지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9. 청구항 8 에 있어서;
    고정부(63)에는 메인너트의 경사걸림턱(52)에 일측이 면접촉되는 경사돌기(6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돌기(65)는 캡너트의 풀림방향측(C2)으로 내측면(66)에서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돌기경사부(67)와, 상기 돌기경사부(67)의 끝단에 연결되어 몸체부 내측면(66)에 수직되도록 형성되는 돌기수직부(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10.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60)는 너트부(62)와 메인너트(5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부(63)내에 마찰지지대(69)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KR1020150116141A 2015-08-18 2015-08-18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KR10162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41A KR101621471B1 (ko) 2015-08-18 2015-08-18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41A KR101621471B1 (ko) 2015-08-18 2015-08-18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471B1 true KR101621471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141A KR101621471B1 (ko) 2015-08-18 2015-08-18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4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36B1 (ko) 2017-09-20 2018-07-16 김학군 이중나선구조를 활용한 풀림방지 지주대 앵커구조
KR101935522B1 (ko) * 2018-08-28 2019-01-04 주식회사 태평양 진동 완충형 구조물
KR20190048928A (ko) * 2017-10-31 2019-05-09 한국도로공사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KR102247958B1 (ko) * 2020-09-11 2021-05-11 (주)지온컨텍 방음판 지압 기능과 지주 좌굴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시설용 지주 및 볼트 풀림방지 앵커시스템을 갖는 방음벽의 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36B1 (ko) 2017-09-20 2018-07-16 김학군 이중나선구조를 활용한 풀림방지 지주대 앵커구조
KR20190048928A (ko) * 2017-10-31 2019-05-09 한국도로공사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KR102076505B1 (ko) * 2017-10-31 2020-02-13 한국도로공사 방음벽 지주용 고정 너트 풀림 방지 장치
KR101935522B1 (ko) * 2018-08-28 2019-01-04 주식회사 태평양 진동 완충형 구조물
KR102247958B1 (ko) * 2020-09-11 2021-05-11 (주)지온컨텍 방음판 지압 기능과 지주 좌굴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시설용 지주 및 볼트 풀림방지 앵커시스템을 갖는 방음벽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471B1 (ko)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KR101628086B1 (ko)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20150049750A (ko) 복합적 방진수단을 가지는 철도궤도 슬래브의 구조
JPH0754132B2 (ja) 免震装置
CN103938505B (zh) 轨道交通浮置板用易更换橡胶隔振器及其更换方法
JP5382867B2 (ja) 防音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レールの防音構造
KR100861479B1 (ko)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JP6097554B2 (ja) まくら木
KR101863616B1 (ko) 방음벽 구조물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장치
CN207878189U (zh) 一种用于浮置板的剪力铰
CN109778595A (zh) 一种用于浮置板的剪力铰
CN106283962A (zh) 一种高铁客运专线轨下橡胶减震扣件
JP2015067982A (ja) 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とその施工方法及び道路橋梁用ゴム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伸縮装置
KR20160011356A (ko) 방진매트와 이를 이용한 터널용 궤도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9058B1 (ko)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KR100973088B1 (ko) 콘크리트 침목 매립전
KR101900615B1 (ko) 관성댐퍼를 갖는 수지고정궤도의 구조
JPH0859899A (ja) 高減衰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構造体
JPH09242376A (ja) 免震装置
KR102047343B1 (ko) 기존 교량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보강 장치 및 내진 보강 공법
JP2001115401A (ja) ラダー型マクラギ軌道用防振ゴム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5715559U (zh) 一种高密封性的减噪窨井盖
CN216663868U (zh) 桥梁加宽用伸缩装置
CN211370968U (zh) 几字型开口销、开口销螺栓及声屏障
KR20090100197A (ko)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