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058B1 -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058B1
KR101579058B1 KR1020150149081A KR20150149081A KR101579058B1 KR 101579058 B1 KR101579058 B1 KR 101579058B1 KR 1020150149081 A KR1020150149081 A KR 1020150149081A KR 20150149081 A KR20150149081 A KR 20150149081A KR 101579058 B1 KR101579058 B1 KR 10157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eismic
existing
vertical plate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준
소춘영
Original Assignee
(주)우암건설
소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암건설, 소춘영 filed Critical (주)우암건설
Priority to KR102015014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 교량의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의 거동을 제한하여 지진에 의한 교량상판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을 위해 제작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교량상판의 거더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으로 교량상판이 지진하중에 따른 거동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과 교량상판 사이에 완충재를 형성하여 교량상판 및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파손 및 충격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완충재 내부에 보강판을 형성해 완충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Seismic reinforcing method of bridge}
본 발명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 교량의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의 거동을 제한하여 지진에 의한 교량상판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란, 교통로, 수로 등의 하천, 계곡, 움푹꺼진 땅,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철도차량 포함)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이다.
이러한, 교량은 기본적으로 교량상판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교대 및 다수의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강교, 콘크리트교,목교, 석교 등으로 나뉘어지고, 용도에 따라서는 도료교, 철도교, 육고, 고가교 등으로 나누어 지며 면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로교, 중로교, 하로교, 2층교로 분류되고 형태에 따라서는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트교, 슬라브교, 라멘교, 사장교, 현수교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교량은 교각 및 교대에 교량상판이 얹혀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교량상판이 떨어지는 낙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29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57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8606호 등에서 제시한 낙교방지는 교량상판과 교각에 설치되는 교좌장치에 브라켓을 형성하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 교량상판이 낙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10-0402954 B1 교량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 설치 방법
(특허문헌 2) KR20-425703 Y1 교량의 상부 구조물 내진성 강화 전단키 구조
(특허문헌 3) KR10-1008606 B1 교량빔의 낙교방지 방법 및 그 구조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대부분 교량상판과 교각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교좌장치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들이 적용되는 교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교량상판의 낙교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교좌장치와 더불어 교량상판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로 인해 교축방향의 거동에 따른 교량상판의 낙교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교좌장치가 나오기 이전에 제작된 오래된 교량들 대부분은 교량상판과 교각 및 교대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오래된 교량들의 경우 30년이상 기존 교량들이지만 특이한 이상거동의 징후 없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나, 교좌장치의 부재로 인해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오래된 교량들의 경우 교량의 노후도를 고려할 때에 기존 구체의 노후화로 인해 교좌장치를 신설하기에는 경제성 및 안전성 확보가 어렵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오래된 교량들은 현재까지 아무런 무리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진 발생시 교량상판의 낙교가 발생하여 교량의 붕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술하였던 종래기술들은 모두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교량들에 적용한 기술로서 다양한 내진보강을 제시할 수 있지만, 오래된 교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교량상판의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거동을 제한하여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을 실시하기 위한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강재부분과 교량상판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재를 도입해 교량상판과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파손방지와 더불어 완충작용에 따른 내진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변화, 기후변화 및 화재시에도 완충재의 변형이되지 발생하지 않도록 기능성을 부여하여 완충재 변형에 따른 내진보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교량상판의 낙교가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교축직각방향의 거동뿐만 아니라 교축방향으로의 거동도 제한하여 내진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내진보강 브라켓과 교량 상판 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교량의 거동시 완충재가 완충작용을 하여 교량상판 및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교각에 설치시 교각을 관통시킨 후 대칭된 위치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하나의 앵커볼트를 이용해 결합하여 앵커볼트의 개수를 줄임과 동시에 앵커볼트의 인장력에 의해 정착력 향상으로 인한 시공성 개선 효과가 크다.
그리고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 완충재는 내후성, 내수성, 내열성, 내오존성, 난연성을 향상시켜 완충재 변형에 따른 내진보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재의 제작시 내부에 보강판을 형성하여 완충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측면완충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교대에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교각에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은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 교량(1)에 설치하여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교량상판(4) 거동을 제한하여 지진에 따른 내진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에는 교대(2) 또는 교각(3)에 고정결합되어 교량상판(4)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10)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플레이트(10)는 강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직플레이트(10)의 내측 하단에는 다수의 앵커볼트홀(11)이 구성되어 앵커볼트(70)에 의해 교대(2) 또는 교각(3)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앵커볼트홀(11)은 상, 하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 구성되며, 특히,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볼트홀(11)에 설치되는 앵커볼트(70)의 길이를 하측의 앵커볼트홀(11)에 고정결합하는 앵커볼트(7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수직플레이트(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측에 고정결합하는 앵커볼트(70)는 많은 하중을 받는 만큼 앵커볼트홀(11)에 결합시 앵커볼트(70)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판(71)을 덧대어 결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0)의 상, 하측에는 상, 하부플레이트(20, 3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대략 ㄷ자 형태로 구성되며, 수직플레이트(10)와 상,하부플레이트(20, 30)에는 다수의 보강대(40)가 용접 결합되어 교축직각방향으로 가동하는 교량상판(4)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보강대(40)는 수직플레이트(10) 및 상, 하부플레이트(20, 30)의 크기 및 요구되는 하중량에 따라 2개소 이상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특히, 수직플레이트(10) 및 상, 하부플레이트(20, 30)의 좌, 우측 단부에 용접결합하는 보강대(40)들은 각각의 플레이트들의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결합하여 수직플레이트(10) 및 상, 하부플레이트(20, 30)에 의해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 공간부(50)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면완충재 공간부(50)에는 측면완충재(60)가 억지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대(2) 및 교각(3)과 수직플레이트(10) 사이에 측면완충재(60)와 동일한 재질의 후면완충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완충재(60)와 후면완충재(80)는 크롤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 55 ∼ 62중량%, 카본블랙 20 ∼ 25중량%, 배합유 4 ∼ 5중량%, 산화납 4 ∼ 5중량%,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2,2'-methylenebis(6-tert-butyl-4-methylphenol)) 1 ∼ 2중량%, N-(1,3-디메틸부틸)-N'-페닐-페닐렌디아민(N-(1,3-Dimethylbutyl)-N'phenyl-phenylene diamine) 1 ∼ 1.4중량%, 스티렌네이티드 페놀(Styrenated Phenol) 1 ∼ 1.4중량%, 2,2,4-트리메틸-1,2-디하드로퀴놀린 폴리머(Polymer of 2,2,4-trimethly-1,2-dihydro quinoline)(가황촉진제) 0.1 ∼ 0.5중량%, 황 0.1 ∼ 0.5중량%, 탄산칼슘 2 ∼ 4중량%, 가황제 0.1 ∼ 0.3중량%, 인계 난연제 1 ∼ 3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롤로프렌고무는 단중합체로서 주사슬은 대부분이 완전한 트랜스-1,4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 규칙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신장에 의한 결정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크롤로프렌고무는 완충재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기본 재료로서 임계치 미만일 경우 탄성력을 부여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황시 물리적 성질의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실효성이 없다.
또한, 카본블랙은 충진제로서 인장강도 및 경도를 높여주고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며, 임계치 미만일 경우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합유는 가소제로서 크롤로프렌고무의 유연성 및 탄성을 형성해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임계치 미만일 경우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흐름성이 높아지게 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금속산화물인 산화납은 가황시 또는 가황물이 고온에서 사용될때 생성되는 수소화불소의 중화를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산화물은 산화마그네슘, 산화 아연인데 최적의 내수성, 내스팀성, 내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며, 본 발명에서는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2,2'-methylenebis(6-tert-butyl-4-methylphenol))은 알킬레이트 비스페놀의 입체적구조를 갖는 페놀 그룹으로서 가황 경화에 매우 효율적이며, 뛰어난 내오존성 및 가황시 갈라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N-(1,3-디메틸부틸)-N'-페닐-페닐렌디아민(N-(1,3-Dimethylbutyl)-N'phenyl-phenylene diamine)은 내굴곡성, 내산화, 내오존 균열 및 동결융해방지에 효과가 있고 오염성이 있으나 분해성이 좋아 가공성이 양호하다. 특히, 오존에 의한 산화, 동해, 굴곡균열의 방지작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스티렌네이티드 페놀은 무착색, 비오염성의 노화방지제로서 내열, 내굴곡에 양호하고 가황촉진제의 영향을 받지 않아 변형이 적다.
다음으로, 가황촉진제인 2,2,4-트리메틸-1,2-디하드로퀴놀린 폴리머(Polymer of 2,2,4-trimethly-1,2-dihydro quinoline)은 열에 의한 노화방지에 우수하며, 배합시 고무 표면에 배합제가 스며나오는 블루밍현상이 없으며, 특히, 크롤로프렌고무에는 강한 가황촉진력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황은 크롤로프렌고무의 가황시 경화제로서 이용한다.
다음으로, 탄산칼슘은 보조 충진제로서 사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황제는 크롤로프렌고무의 가황시 경화제로서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기계 난연제인 인계 난연제는 난연성을 부여하여 화재시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계 난연제와 다르게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60) 및 후면완충재(80)는 제작시 다수의 고무층 사이에 보강판(p)을 삽입하여 가황처리 함으로써 압축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하게 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성분들에 의해 내후성, 내수성, 내열성, 내오존성,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을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은 기존 교량(1)에 설치하기 전에 수직플레이트(10), 상, 하부플레이트(20, 30), 보강대(40)를 용접을 통해 결합하도록 하고, 측면완충재 공간부(50)에 측면완충재(60)를 끼움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교대(2) 또는 교각(3)과 맞닿는 수직플레이트(10)에는 측면완충재(6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후면완충재(80)를 통상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기존 교량(1)의 교대(2) 또는 교각(3)에는 조립이 완료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플레이트(10)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볼트홀(11)과 동일한 배열로 타공을 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교대(2) 또는 교각(3)에 형성되는 타공홀(h)은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수직플레이트(10)의 상단부가 교량상판(4)의 거더(4a)와 거더(4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특히,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측면완충재 공간부(50)에 결합되어 있는 측면완충재(60)가 각각의 거더(4a)와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하여 타공홀(h)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 후,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플레이트(10)의 앵커볼트홀(11)과 기존 교량(1)의 교대(2) 및 교각(3)에 형성되어 있는 타공홀(h)을 일치시킨 후 앵커볼트(70)를 체결하되, 상기 앵커볼트(70)는 케미컬앵커이기 때문에 타공홀(h)에 수지계 접착제를 삽입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술한 앵커볼트(70)는 수직플레이트(10)의 앵커볼트홀(11) 중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는 설계기준에 맞게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볼트홀(11)에 결합하는 앵커볼트(70)보다 더 긴 것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지지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기존 교량(1)의 교대(2) 또는 교각(3)에 고정결합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은 수직플레이트(10)의 상단부가 교량상판(4)의 거더(4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보(4b)에 맞닿아 있어, 교량상판(4)이 교축방향으로 거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에서 수직플레이트(10)의 후면에 결합된 후면완충재(80)는 강재로 이루어져 있는 수직플레이트(10)와 교량상판(4) 사이에 형성되어 교량상판(4)의 거동시 교량상판(4)의 가로보(4b)와 수직플레이트(1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내진보강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측면완충재(60)는 거더(4a) 사이에 형성되어 상술한 후면완충재(8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교량(1)의 기존 구조물을 활용하여 내진보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은 교대(2) 및 교각(3)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교대(2)의 경우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는 양쪽 모두 거동이 이루어지지만 교축방향으로는 한쪽만 교량상판(4)이 거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거동이 제한되지 않은 위치에만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을 형성하지만, 교각(3)의 경우에는 교축방향으로 2방향 모두 교량상판(4)의 거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교각(3)을 기준으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을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경우 앵커볼트(70)를 이용하여 교각(3)에 결합하는 만큼 지진 하중에 저항시키기 위해 교각(3)에 타공홀(h)을 다수 형성하여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앵커볼트(70)가 결합하는 타공홀(h) 중 상측에 형성되는 타공홀(h)을 교각(3)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한 후, 대칭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의 수직플레이트(1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앵커볼트홀(11)에 결합하여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100)을 연결시킴으로써 정착력을 높여 설치되는 앵커볼트(70)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앵커볼트(70)를 설치하기 위해 교각(3)에 타공하는 타공홀(h)의 개수를 줄여줌으로써 타공홀(h) 형성에 따른 교각(3)의 손상 및 단면감소, 경제성, 시공성 향상 등의 다양한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측면완충재(60) 및 후면완충재(80)는 가황하여 형성된 것으로 탄성력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교량상판(4)의 거동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섬유판이 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가 빠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측면완충재(50) 및 후면완충재(80)에는 000이 포함되어 있어, 내후성, 내수성, 내열성, 내오존성, 난연성이 부여되어 가혹한 환경에서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할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교량 2 : 교대 3 : 교각
4 : 교량상판 4a : 거더 4b : 가로보
10 : 수직플레이트 11 : 앵커볼트홀
20 : 상부플레이트 30 : 하부플레이트
40 : 보강대
50 : 측면완충재 공간부 60 : 측면완충재
70 : 앵커볼트 71 : 보강판 80 : 후면완충재
100 :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

Claims (4)

  1. 교좌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을 위해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기존 교량에 설치하는 내진보강공법에 있어서,
    교량을 구성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교대 또는 교각에 맞닿도록 배치하되, 내측으로 앵커볼트가 결합하는 다수의 앵커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플레이트;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 하부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 하부플레이트 및 수직플레이트에 고정 결합하는 다수의 보강대;
    상기 보강대 중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대는 상,하부플레이트 및 수직플레이트의 측면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되는 측면완충재 공간부;
    상기 측면완충재 공간부에 결합하며 크롤로프렌고무 55 ∼ 62중량%, 카본블랙 20 ∼ 25중량%, 배합유 4 ∼ 5중량%, 산화납 4 ∼ 5중량%,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1 ∼ 2중량%, N-(1,3-디메틸부틸)-N'-페닐-페닐렌디아민 1 ∼ 1.4중량%,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1 ∼ 1.4중량%, 2,2,4-트리메틸-1,2-디하드로퀴놀린 폴리머(가황촉진제) 0.1 ∼ 0.5중량%, 황 0.1 ∼ 0.5중량%, 탄산칼슘 2 ∼ 4중량%, 가황제 0.1 ∼ 0.3중량%, 인계 난연제 1 ∼ 3중량%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교대와 교량상판 또는 교각과 교량상판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수직플레이트는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가 교량상판의 거더와 거더 사이에 배치하도록 한 후, 수직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앵커볼트홀에 앵커볼트를 이용해 교각 또는 교대에 고정결합해 수직플레이트의 상부가 거더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보를 지지하여 교축방향의 거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내진보강 브라켓의 양 측면에 형성된 측면 완충재가 거더와 맞닿도록 배치되어 교량상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발생하는 거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이 교각에 설치될 경우에는 교축방향의 거동을 제한하도록 교각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 및 교각 또는 교대와 맞닿는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수직플레이트에는 후면완충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볼트는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측의 앵커볼트가 하측의 앵커볼트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을 교각에 설치할 경우 교각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에 형성된 앵커볼트 중 상측의 앵커볼트는 교각을 관통하여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교량용 내진보강 브라켓의 앵커볼트홀에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KR1020150149081A 2015-10-27 2015-10-27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KR10157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81A KR101579058B1 (ko) 2015-10-27 2015-10-27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81A KR101579058B1 (ko) 2015-10-27 2015-10-27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058B1 true KR101579058B1 (ko) 2015-12-21

Family

ID=5508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081A KR101579058B1 (ko) 2015-10-27 2015-10-27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54A (ko) * 2018-06-07 2019-12-17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교량 내진 보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02B1 (ko) * 2005-06-17 2005-10-0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의 교량상판 이음부 낙교방지구조
JP2009228296A (ja) * 2008-03-24 2009-10-08 Nippon Engineering Consultants Co Ltd 橋梁の耐震補強方法
JP2013133681A (ja) * 2011-12-27 2013-07-08 Kajima Corp ダンパー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4091979A (ja) * 2012-11-05 2014-05-19 Sho-Bond Corp 橋脚の上縁拡幅構造及び上縁拡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02B1 (ko) * 2005-06-17 2005-10-0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의 교량상판 이음부 낙교방지구조
JP2009228296A (ja) * 2008-03-24 2009-10-08 Nippon Engineering Consultants Co Ltd 橋梁の耐震補強方法
JP2013133681A (ja) * 2011-12-27 2013-07-08 Kajima Corp ダンパー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4091979A (ja) * 2012-11-05 2014-05-19 Sho-Bond Corp 橋脚の上縁拡幅構造及び上縁拡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54A (ko) * 2018-06-07 2019-12-17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교량 내진 보강구조
KR102094814B1 (ko) * 2018-06-07 2020-03-30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교량 내진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086B1 (ko)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Chan et al. Evaluation of yielding shear panel device for passive energy dissipation
KR101936186B1 (ko) 건축구조물 진동 감쇠용 결합부재
JP6173553B1 (ja) 橋梁用制震装置
JP2012177255A (ja) 落橋防止構造及び落橋防止装置
KR101924092B1 (ko)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16876B1 (ko) 도로와 교량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79058B1 (ko) 기존 교량의 내진보강 공법
JP4192225B2 (ja) せん断パネル型制震ストッパー
KR102135337B1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Sennah et al. Vehicle crash testing on a GFRP-reinforced PL-3 concrete bridge barrier
KR101621471B1 (ko) 역풀림방지형 방음벽 지주대
KR100591372B1 (ko) 완충구조의교량
KR101195774B1 (ko) 교량용 또는 지하차보도용 신축 이음장치
Rao et al. Fatigue tests of 27-year-old prestressed concrete bridge box beams
US20190368143A1 (en) Safety barrier
JP2005307477A (ja) 道路橋の連続化工法
KR102047343B1 (ko) 기존 교량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보강 장치 및 내진 보강 공법
JP3808822B2 (ja) 橋梁の衝撃吸収体
JP2014020112A (ja) 制振装置
CN108643028A (zh) 一种具有桥墩保护功能的桥梁梁体防偏移装置
JP4870483B2 (ja) 部材保持装置及び部材保持方法
JP439539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防護柵支柱
JP2003184032A5 (ko)
JP2017166268A (ja) 落橋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