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81A - 유치바늘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치바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81A
KR20080056681A KR1020070133597A KR20070133597A KR20080056681A KR 20080056681 A KR20080056681 A KR 20080056681A KR 1020070133597 A KR1020070133597 A KR 1020070133597A KR 20070133597 A KR20070133597 A KR 20070133597A KR 20080056681 A KR20080056681 A KR 2008005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leeve
catheter
slider
cath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311B1 (ko
Inventor
히로아키 나카지마
도시카즈 오하시
Original Assignee
메디키토 가부시키가이샤
도고 메디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키토 가부시키가이샤, 도고 메디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디키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환자의 신체 내로의 주입을 위한 주입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가능한 유치바늘 조립체를 제시한다. 유치바늘 조립체는,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가능한 바늘 끝을 가진 바늘; 바늘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슬리브; 슬리브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카테터 튜브를 포함한 카테터; 바늘의 가까운 쪽 단부에 고정된 기저체(base body); 및 슬리브에 고정되고, 슬리브로부터 돌출한 바늘 끝을 갖는 제1 위치와 슬리브 내로 들어간 바늘 끝을 갖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수 있도록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기저체와 맞물린 슬라이더로 구성되는데, 바늘, 슬리브, 기저체, 및 슬라이더는 카테터로부터 단일하게 빼낼 수 있다.

Description

유치바늘 조립체{INDWELLING NEEDLE ASSEMBLY}
본 발명은 주입 시에 환자의 혈관계 내로 카테터를 도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치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환자의 신체의 혈관계나 임의의 강(cavity) 내로의 유체의 주입이나 회수를 허용하도록 사용되는 가는 튜브를 포함한 기구나 가는 튜브형 의료 기구이다. 이러한 카테터를 환자의 혈관계 내로 도입하기 위해, 카테터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바늘을 가진 바늘 조립체가 자주 사용된다. 의료진은 카테터와 함께 바늘로 환자의 신체를 찌른다. 이후 바늘이 뽑힐 수 있지만, 카테터는 환자의 신체에 유지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카테터는 주입 기구에 연결됨으로써, 주입에 이용가능하게 된다. 일부 바늘 조립체들은 우발적으로 찌르는 일을 막기 위해 바늘을 덮는 보호 수단으로서 망원경식으로 연장가능한 슬리브(sleeve)로 구성된다.
요즈음에는 의료 기구들이 환자들에게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직경의 감소는 환자의 신체를 찌를 때의 통증 감소에 대한 잠재 해결책이다. 그러나, 바늘이 가늘게 형성될수록, 바늘은 좌굴(buckling)되기 쉽다. 또한, 카테터가 바늘에 꼭 끼워맞춤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늘 직경의 감소는 필연적으로 카테터의 내부 직경의 감소를 일으킨다. 따라서, 유치바늘 조립체의 바늘 직경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최소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전보다 더 가는 바늘의 응용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 수단을 가진 유치바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유치바늘 조립체는 환자의 신체 내로의 주입을 위한 주입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치바늘 조립체는, 환자의 신체 내로 사입가능한 바늘 끝; 바늘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슬리브; 슬리브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카테터 튜브를 포함한 카테터; 바늘의 가까운 쪽 단부에 고정된 기저체; 및 슬리브에 고정되고, 슬리브로부터 돌출한 바늘 끝을 갖는 제1 위치와 슬리브 내로 들어간 바늘 끝을 갖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기저체와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맞물린 슬라이더로 구성되는데, 바늘, 슬리브, 기저체, 및 슬라이더는 카테터로부터 단일하게 빼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테이퍼(taper) 단부 또는 비스듬하게 절단된 단부로 구성된다. 단부는 카테터로부터 바늘 끝쪽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카테터는 바늘에 끼워맞춤된 먼 쪽 단부 부분, 및 카테터 튜브로부터 먼 쪽 단부 부분으로 연속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바늘과 카테터 사이에 유지된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유치바늘 조립체는 제1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래치(latch)로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치바늘 조립체는 제2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스토퍼(stopper) 래치로 더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유치바늘 조립체는 슬라이더를 제2 위치 쪽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탄성체; 및 제1 위치로부터 슬라이더를 풀도록 구성된 릴리스(release)로 더 구성되는데, 릴리스는 기저체에 고정되어 기저체의 외부로부터의 작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제1 슬리브와 제1 슬리브에 끼워맞춤되는 제2 슬리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늘은 중공의(hollow) 찌르는 부분과 반투명체 부분으로 구성되며, 슬리브는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유치바늘 조립체는 환자의 신체 내로의 주입을 위한 주입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걸쳐서 관련 용어인 "먼 쪽(distal)"은 바늘 끝쪽으로 정의되어 사용되고, "가까운 쪽(proximal)" 은 이와 반대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유치바늘 조립체는 환자의 신체 내로의 주입을 위한 임의의 주입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10)는, 환자의 신체를 찌르는 바늘(11), 바늘(11)의 가까운 쪽 단부에 고정된 기저체(12), 바늘(11)에 끼워맞춤된 슬리브(19), 슬리브(19)에 고정된 슬라이더(20), 및 슬리브(19)에 끼워맞춤된 카테터 튜브(13)를 가진 카테터(15)로 구성된다.
바늘(11)은 슬리브(19)와 카테터(15)에 삽입된다. 바늘(11)의 외부 직경은 실질적으로 슬리브(19)의 내부 직경과 일치하고, 이에 따라 바늘(11)은 슬리브(19)안에 끼워맞춤되어, 이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바늘(11)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튬, 또는 그 합금과 같은 임의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늘(11)은 슬리브(19)와 카테터(15)로부터 돌출하는 바늘 끝을 가질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바늘 끝은 저항을 작게 받으며 환자의 신체를 찌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스듬하게 절단된 날카로운 바늘(11)의 단부이다. 바늘(11)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찌르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작게 설정된다.
기저체(12)는 유치바늘 조립체(10)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그립(121), 및 바 늘(11)의 가까운 쪽 단부가 고정되는 바늘 기저(122)로 구성된다. 그립(121)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관통 구멍을 갖는다. 바늘 기저(122)는 그립(121)의 관통 구멍에 수용되고, 이로써 그립(121)에 고정된다. 그립(121)의 관통 구멍은 하기에 설명하는 슬라이더(20)의 탄성 래치(201)를 더 수용한다. 탄성 래치(201)에 의해 걸리는 목적으로, 그립(121)은 관통 구멍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그루브(123)로 구성된다.
의료진이 바늘(11)로 환자의 신체를 찌를 때, 의료진은 취급을 위해 기저체(12)를 사용할 수 있다. 찌른 후에는, 바늘(11)을 유치바늘 조립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의료진은 기저체(12)를 뽑는다. 그 다음, 바늘(11), 슬리브(19), 기저체(12), 및 슬라이더(20)가 카테터(15)로부터 단일하게 빼내어진다. 뺄 때 혈액이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지혈 밸브(18)가 제공된다.
카테터(15)는 카테터 튜브(13), 및 유치바늘 조립체(10)의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카테터 아답터(14)로 구성된다. 카테터 튜브(13)는 혈관벽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수지로 만들어져야 한다.
슬리브(19)가 바늘(11)에 꼭 끼워맞춤됨에 따라, 슬리브(19)가 없는 바늘(11)의 구조와 비교하여 바늘(11)과 슬리브(19)의 전체 구조가 강화 및/또는 단단해진다. 또한, 슬리브(19)는, 바늘 끝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바늘(11)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하에 이러한 기능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슬리브(19)는 금속이나 수지로 만들어질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한, 반투명 수지가 더 바람직하다. 슬리브(19)는 튜브 형상, 또는 그 대신 바늘(11)을 둘러싸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20)는 플랜지(flange)를 가진 짧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20)는 바늘(11)과 바늘 기저(122)의 먼 쪽 부분을 수용하는 관통 구멍이 있다. 슬리브(19)의 후단부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더(20)는 그루브(123)와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탄성 래치(201)로 더 구성된다.
한 쌍의 탄성 래치(201)를 탄성적으로 좁히면, 슬라이더(20)는 기저체(12)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래치(201)는 바깥쪽으로의 반발력을 갖는다. 이러한 삽입에 따라, 바늘 기저(122)의 먼 쪽 부분은 슬라이더(20)의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0)는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기저체(12)와 맞물린다.
유치바늘 조립체(10)는 크램프(cramp) 튜브(16)와 연결부(17)로 더 구성되는데, 이 둘은 모두 카테터(15)와 지혈 밸브(18) 사이에 끼인다. 바늘(11)과 슬리브(19)는 크램프 튜브(16), 연결부(17), 및 지혈 밸브(18)를 관통하여 이들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고, 이때 크램프 튜브(16)는 카테터 아답터(14)와 연결된다. 바늘(11)과 슬리브(19)는 크램프 튜브(16), 연결부(17), 및 지혈 밸브(18)를 관통하여 이들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바늘(11)과 슬리브(19)를 빼낸 후에는, 통상 크램프 튜브(16), 연결부(17), 및 지혈 밸브(18)와 함께 카테터 튜브(13)가 유치된 상태로 남는다.
슬리브(19)가 슬라이더(20)에 고정되고, 바늘(11)이 기저체(12)에 고정되기 때문에, 기저체(12)에 대한 슬라이더(20)의 위치가 슬리브(19)의 먼 쪽 단부와 바 늘(11)의 바늘 끝 사이의 위치 관계를 조정한다. 슬라이더(20)가 처음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더(20)가 슬리브(19)로부터 돌출한 바늘 끝을 갖는다. 반대로 슬라이더(20)가 바늘 끝쪽으로 약간 움직여서, 래치(201)가 그립(121)의 그루브(123)에 걸리는 다음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슬라이더(20)가 슬리브(19) 내로 들어간 바늘 끝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바늘 끝 주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슬리브(19)는 카테터 튜브(13)의 먼 쪽 단부(131)로부터 돌출한 테이퍼 단부(191)를 갖는다. 테이퍼 단부(191)는 바늘 끝쪽으로 가늘어진다. 바늘(11)의 바늘 끝은 기저체(12)가 처음 위치에 있을 때 소정의 길이(L2)만큼 단부(191)로부터 돌출한다.
바늘(1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바늘이거나, 또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실(solid) 코어 바늘(11A)이다.
빼내어진 바늘(11)은 초기에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바늘(11)의 바늘 끝은 슬리브(19)로부터 돌출한다. 이때 의료진은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기저체(12)를 잡고, 다른 쪽 손의 손가락을 슬라이더(20)를 잡을 수 있다. 의료진이 양손을 약간 움직여서 슬라이더(20)를 기저체(12)로부터 분리하면, 슬라이더(20)가 바늘 끝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바늘(11)의 바늘 끝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간다.
슬라이더(20)의 운동이 길이(L1)에 도달하면, 래치(123)는 그루브(123)로 들어온다. 이때 좁혀진 래치(123)가 자체 반발력에 의해 밖으로 넓어져서 그루 브(123)에 걸린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0)가 기저체(12)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가 우발적으로 찌르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전술한 부재들은 부등식 L1>L2를 만족시키기 위해 특정 치수 관계로 형성된다. 그러나, L2는 매우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L1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기저체(12)는 단순히 슬라이더(20)의 작은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조화된다. 따라서, 소형의 구조가 슬라이더(20)와 기저체(12)의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화된 유치바늘 조립체(10)의 바늘(11)이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될 때, 카테터 튜브(13)가 바늘(11)과 슬리브(19)를 따라 혈관계 내로 들어간다. 카테터 튜브(13)가 소정의 길이로 혈관계 내로 적당하게 들어간 것을 의료진이 확인하면, 의료진은 바늘(11)과 슬리브(19)를 카테터(15)로부터 빼낸다. 그 다음 카테터 튜브(13)는 혈관계에 유치된 상태로 남는다. 주입을 시작하기 위해 지혈 밸브(18)가 이로부터 분리되고, 주입 시스템이 연결부(17)에 연결된다.
슬리브(19)가 바늘(11)에 꼭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바늘(11)과 슬리브(19)의 전체 구조가 강화되고 및/또는 단단해진다. 따라서, 바늘(11)이 더 가는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바늘(11)은 쉽게 좌굴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전술한 구조는 찌를 때의 용이함을 퇴색시키지 않으면서 바늘(11) 직경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바늘(11)의 감소한 직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를 찌를 때의 통증의 감소를 일으킨다. 또한, 슬리브(19)의 테이퍼 단부(191)도 통증을 감소시킨다.
카테터 튜브(13)는 바늘(11)이 아닌 슬리브(19)에 꼭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바늘(11)이 가는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카테터 튜브(13)의 내부 직경이 반드시 감소되어지는 것은 않는다. 카테터 튜브(13)는 충분한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주입 유체의 충분한 유량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로 수정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카테터 튜브(23)의 먼 쪽 단부는 바늘 끝쪽으로 약간 연장된다. 카테터 튜브(23)의 연장된 먼 쪽 단부 부분은 카테터 튜브(23)로부터 먼 쪽 단부 부분 쪽으로 연속하여 매끄럽게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카테터 튜브(23) 먼 쪽 단부와 그 근방은 카테터 튜브(23)의 나머지 부분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먼 쪽 단부는 바늘(11)에 끼워맞추어진다. 카테터 튜브(23)의 먼 쪽 단부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9)의 단부로부터 바늘 끝쪽으로 돌출한다.
바늘(11)의 바늘 끝은, 기저체(12)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소정의 길이(L3)로 슬리브(19)의 단부로부터 돌출해 나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련된 부재들은, 부등식 L1>L3을 만족시키는 특정 치수 관계를 가져서, 길이(L1)만큼의 슬라이더(20)의 운동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간 바늘 끝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실시예는 바늘을 찌를 때의 용이성을 퇴색시키지 않으면서 바늘(11) 직경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늘(11)과 매끄럽게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24)에 끼워맞춤된 카테터 튜브(23)의 먼 쪽 단부 부분이 바늘(11)을 따라 카테터(15)의 매끄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므로, 환자의 신체를 찌를 때의 통증이 감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로 수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1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1)에 끼워맞춤된 제1 슬리브(291)와 제1 슬리브(291)에 끼워맞춤된 제2 슬리브(292)로 구성된다. 제1 슬리브(291)와 제2 슬리브(292)의 각 단부는 환자의 피부에 대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 테이퍼 단부로 이루어진다.
제2 슬리브(292)의 단부는 카테터 튜브(13)의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제1 슬리브(291)의 단부는 제2 슬리브(292)의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한다. 바늘(11)의 바늘 끝은 제1 슬리브(291)와 제2 슬리브(292)의 밖으로 돌출한다. 카테터 튜브(13)는 테이퍼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이와 달리 전체 카테터 튜브(13) 상에서 단일(unitary)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튜브(13)는 제1 슬리브(291)와 제2 슬리브(292)의 단부를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라, 바늘 끝과 그 근방은 충분히 가는 반면, 바늘(11)의 나머지 부분은 충분한 두께를 가진 제1 슬리브(291)와 제2 슬리브(292)에 의해 두 배로 강화되고 단단해진다. 바늘(11)과 그 부착부의 구조는 충분한 강도(strength)와 강성(stiffness)을 제공하는 반면, 바늘(11)은 환자에게 작은 통증을 유발한다.
[제4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보면, 제4 실시예의 유치바늘 조립체의 바늘(21)은 찌르는 바늘 끝을 포함하고 금속으로 만들어진 헤드 부분(211)과 헤드 부분(211)과 연결된 몸통 부분(212)으로 구성된다.
헤드 부분(211)은 짧은 중공 바늘로 이루어진다. 헤드 부분(211)에 응용된 금속의 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및 이들의 합금이 있다.
몸통 부분(212)는 이를 통한 혈액 플래쉬백(flashback)의 가시적인 검사를 허용하는 반투명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가늘고 긴 튜브이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헤드 부분(211)의 표면은 몸통 부분(212)의 표면으로 매끄럽게 연속적이어야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라, 바늘(21)을 통한 혈액의 플래쉬백이 지점 B(도 8 참조) 를 통과하면 곧, 혈액 플래쉬백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바늘이 혈관계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었는지에 대한 가시적인 검사에 응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점 B에서 카테터 아답터(14)까지 이르는 부분은 혈관계 내로 카테터 튜브(13)를 삽입하는 행위과정에서 환자의 피부나 의료진의 손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이 가시적인 검사에 이용가능하다는 것이 바늘 위치의 적절성 검사의 용이성 관점에서 유리하다.
[제5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슬리브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 다. 제5 실시예의 슬리브(19)는 바늘 끝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단부(191)를 갖고, 테이퍼 단부(191)는 카테터 튜브(13)의 먼 쪽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바늘(11)의 바늘 끝은 테이퍼 단부(191)로부터 약간 돌출한다. 카테터 튜브(13)의 먼 쪽 단부는 둥글게 된 엣지 부분(131)을 갖는다.
테이퍼 단부(19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절단된다. 테이퍼 단부(191)의 최단부는 둥글게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테이퍼 단부(191)는 바늘 끝과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그 최단부는 바늘 끝으로 찌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5 실시예는 슬리브(19)가 바늘 끝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찌르는 통증을 더 감소시킨다.
[제6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카테터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다. 제6 실시예의 카테터 튜브(23)는 카테터 튜브(23)의 주 부분으로부터 그 먼 쪽 단부쪽으로 연속하여 매끄럽게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24)을 갖는다. 가늘어짐으로 인해, 먼 쪽 단부와 그 근방은 바늘(11)에 꼭 끼워맞춤된다.
슬리브(19)는 카테터 튜브(23) 내로 들어간다. 또한, 슬리브(19)의 먼 쪽 단부는 비스듬하게 절단된다. 비스듬하게 절단된 단부는 바늘 끝의 비스듬한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본 제6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슬리브(19)가 카테터 튜브(23)에 덮이므로 바늘(11)을 따라 카테터 튜브(23)의 매끄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이 찌르는 통증의 감소를 일으킨다.
공간(30)이 바늘(11)과 카테터 튜브(23) 사이에 유지되면, 카테터 튜브(23)가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공간(30) 둘레 부분이 변형되기 쉽다. 이 변형은 찌름의 용이성을 퇴색시키고, 찌르는 통증을 증가시킨다. 비스듬하게 절단된 단부는 공간(30)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카테터 튜브(23)의 변형이 억제된다. 특히, 찌를 때 바늘 끝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절단된 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놓인다. 환자의 피부와 대면하는 측면의 공간(30)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환자의 피부와 대면하는 측면에서의 카테터 튜브(23)의 변형이 억제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제6 실시예는 찌름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찌르는 통증을 감소시킨다.
[제7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카테터 튜브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다. 제7 실시예의 카테터 튜브(23)는 바늘 끝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24)을 갖는다. 따라서, 카테터 튜브(23)의 먼 쪽 단부와 그 근방은 카테터 튜브(23)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카테터 튜브(23)가 먼 쪽 단부는 바늘(11)에 끼워맞춤된다. 슬리브(19)는 카테터 튜브(23) 내로 들어간다.
슬리브(19)의 먼 쪽 단부는 바늘(11)과 카테터 튜브(23) 사이에 유지된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된다.
본 제7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슬리브(19)가 카테터 튜브(23)에 덮이기 때문에 바늘(11)을 따라 카테터 튜브(23)의 매끄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찌르는 통증의 감소를 일으킨다.
또한, 바늘(11)과 카테터 튜브(23) 사이에 유지된 공간이 슬리브(19)의 먼 쪽 단부로 채워지므로, 공간의 존재로 인해 일어나는 카테터 튜브(23)의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7 실시예는 찌름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제8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4a와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8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수단이 추가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2)는 슬라이더(20)가 튀어나가 밖으로(바늘 끝쪽으로) 돌출하도록 바늘 기저와 슬라이더(20) 사이에 압축되어 끼인다. 이에 따라,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초기 위치에서 풀리면, 의료진의 수동 구동 없이 탄성체(스프링)(32)의 반발력이 슬라이더(20)를 도 14b에 도시된 다음 위치로 이동시킨다.
래치 수단도 수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한 쌍의 탄성 래치(201) 대신, 초기 위치에 슬라이더(20)를 유지하는 제1 래치(221)와 다음 위치에 슬라이더(20)를 유지하는 제2 래치(2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기저체(12)는 제1 래치(221)를 붙잡는 후크(124)와 가압될 수 있는 릴리스 버튼(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릴리스 버튼(31)은 기저체(12)의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기저체(12)는 릴리스 버튼(31)의 돌출부가 내부로 돌출하는 구멍(31)으로 더 구성된다.
초기에, 제1 래치(221)는 후크(124)에 의해 붙잡혀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0)는 바늘 끝이 슬리브(19)로부터 돌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초기 위치에 있다. 릴리스 버튼(31)이 아래로 가압되면, 제1 래치(221)는 릴리스 버튼(31)의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고, 따라서 후크(124)의 뒤로 진행한다. 이때 슬라이더(20)는 초기 위치에서 풀리고, 탄성체(스프링)(32)에 의해 바늘 끝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가는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 그 다음 슬라이더(20)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제2 래치(222)가 릴리스 버튼(31)의 돌출부에 의해 붙잡힌다.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전술한 수단은 도 15a-17c에 도시된 또 다른 버전으로 더 수정될 수 있다.
도 15a를 보면, 한 쌍의 슬롯(122A)이 바늘 기저(122)의 양측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슬롯(122A)의 각 단면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과 호(arc)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바늘 기저(122)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기저체(12)는 가압될 수 있는 릴리스 버튼(35)으로 구성된다. 릴리스 버튼(35)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키 홈(keyway)(312)을 가진 키홀(keyhole)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311)을 갖는다.
키 홈(312)을 가진 관통 구멍(311)은 릴리스 버튼(35)이 도 1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래로 가압되지 않을 때 바늘 기저(122)의 슬롯(122A)과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관통 구멍(311)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35)이 아래로 완전히 가압될 때 이를 통한 바늘 기저(122)의 자유 운동을 허용하도록 더 형성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4)는 바늘 기저(122)를 바늘(11)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바늘 기저(122)와 기저체(12) 사이에 끼인다.
바늘 기저(122)와 기저체(12)는 초기에 도 16a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바늘 기저(122)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35)과 맞물리고, 바늘(11)의 바늘 끝은 슬리브(19)로부터 돌출한다. 릴리스 버튼(35)이 아래로 가압되면, 바늘 기저(122)와 릴리스 버튼(35) 간의 맞물림은 도 1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제되고, 바늘 기저(122)는 전술한 초기 위치에서 풀린다. 탄성체(스프링)(34)는 바늘 기저(122)를 바늘(11)의 바늘 끝이 슬리브(19) 내로 들어가는 도 16b에 도시된 다음 위치쪽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가능해진다.
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설명의 관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수정과 변형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일어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II가 확대된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유치바늘 조립체에 응용된 중공 및 중실 코어(solid core) 바늘의 바늘 끝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바늘 및 카테터로부터 빼내어진 부착부의 단면도로서, 도 4a는 바늘 끝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바늘 끝을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바늘 끝이 확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바늘 끝이 확대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늘의 입면도(elevation view)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를 요약하여 보여주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도 9는 바늘 끝이 확대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입면도이다.
도 11은 바늘 끝이 확대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입면도이다.
도 13은 바늘 끝이 확대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치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늘 및 카테터로부터 빼내어진 그 부착부의 단면도로서, 도 14a는 바늘 끝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14b는 바늘 끝을 들어가게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a는 수정 예의 바늘 기저의 입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선 XVB-XV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a와 도 16b는 수정 예의 카테터로부터 빼내어진 바늘 및 그 부착부의 단면도로서, 도 16a는 바늘 끝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b는 바늘 끝을 들어가게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a-17c는 바늘 조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 바늘 기저와 릴리스 버튼의 측면도이다.

Claims (9)

  1. 환자의 신체 내로의 주입을 위한 주입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치바늘 조립체로서,
    상기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가능한 바늘 끝을 가진 바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상기 바늘에 끼워맞춤된 슬리브;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상기 슬리브에 끼워맞춤된 카테터 튜브를 포함하는 카테터;
    상기 바늘의 가까운 쪽 단부에 고정된 기저체; 및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로부터 돌출하는 바늘 끝을 갖는 제1 위치와 상기 슬리브 내로 들어간 바늘 끝을 갖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상기 기저체와 맞물린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상기 슬리브, 상기 기저체, 및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카테터로부터 단일하게 빼내어지는, 유치바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테이퍼 단부와 비스듬하게 절단된 단부 그룹 중에서 선택된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는 상기 카테터로부터 상기 바늘 끝쪽으로 돌출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바늘에 끼워맞춤된 먼 쪽 단부와,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먼 쪽 단부쪽으로 연속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바늘과 상기 카테터 사이에 유지된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된, 유치바늘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더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스토퍼 래치를 더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위치 쪽으로 내보내도록 구성된 탄성체; 및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슬라이더를 풀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저체에 고정 되어 상기 기저체의 외부로부터의 작동을 허용하는 릴리스를 더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제1 슬리브와 상기 제1 슬리브에 끼워맞춤된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중공의 찌르는 부분과 반투명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하는, 유치바늘 조립체.
KR1020070133597A 2006-12-18 2007-12-18 유치바늘 조립체 KR101404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0501 2006-12-18
JP2006340501 2006-12-18
JP2007319259A JP5232458B2 (ja) 2006-12-18 2007-12-11 留置針組立体
JPJP-P-2007-00319259 200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81A true KR20080056681A (ko) 2008-06-23
KR101404311B1 KR101404311B1 (ko) 2014-06-05

Family

ID=3956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597A KR101404311B1 (ko) 2006-12-18 2007-12-18 유치바늘 조립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75529B2 (ko)
EP (1) EP1935447B9 (ko)
JP (2) JP5232458B2 (ko)
KR (1) KR101404311B1 (ko)
CN (1) CN101204601B (ko)
AT (1) ATE466619T1 (ko)
AU (1) AU2007249102B2 (ko)
CA (1) CA2615090C (ko)
DE (1) DE602007006269D1 (ko)
DK (1) DK1935447T3 (ko)
ES (1) ES2345406T3 (ko)
TW (1) TWI474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2037B2 (en) 2005-07-06 2015-10-20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4994775B2 (ja) 2006-10-12 2012-08-0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針先保護具
EP2150304B1 (en) 2007-05-07 2010-12-01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and blood sample devices and method of use
US20100004651A1 (en) * 2008-06-13 2010-01-07 The University Of Toledo Transpedicular access to the intervertebral disc space for discectomy, end plate preparation, and interbody fusion
US9186128B2 (en) 2008-10-01 2015-11-17 Covidien Lp Needle biopsy device
US8968210B2 (en) 2008-10-01 2015-03-03 Covidien LLP Device for needle biopsy with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US11298113B2 (en) 2008-10-01 2022-04-12 Covidien Lp Device for needle biopsy with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US20110190662A1 (en) * 2008-10-01 2011-08-04 Beacon Endoscopic Corporation Rapid exchange fna biopsy device with diagnostic and therapeutic capabilities
US9782565B2 (en) 2008-10-01 2017-10-10 Covidien Lp Endoscopic ultrasound-guided biliary access system
TR201104731T1 (tr) * 2009-08-06 2011-10-21 Deni̇z Kumbasar Sadetti̇n İnce atardamarlara giriş için geliştirilmiş çok uçlu iğne ve üzerinde çoklu plastik kılıf içeren aparat.
US11925779B2 (en) 2010-05-14 2024-03-12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8932258B2 (en) 2010-05-14 2015-01-13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and method
US10384039B2 (en) 2010-05-14 2019-08-20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9950139B2 (en) 2010-05-14 2018-04-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including guidewire and catheter control elements
US9872971B2 (en) 2010-05-14 2018-01-23 C. R. Bard, Inc. Guidewire extension system for a catheter placement device
US8690833B2 (en) 2011-01-31 2014-04-08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and insertion device with reduced blood spatter
ES2835652T3 (es) 2011-02-25 2021-06-22 Bard Inc C R Dispositivo de inserción de componente médico que incluye una aguja retraíble
ES2662356T3 (es) 2011-04-27 2018-04-06 Kpr U.S., Llc Conjuntos de catéter IV de seguridad
USD903101S1 (en) 2011-05-13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US8628497B2 (en) 2011-09-26 2014-01-14 Covidien Lp Safety catheter
US8715250B2 (en) 2011-09-26 2014-05-06 Covidien Lp Safety catheter and needle assembly
WO2013056223A1 (en) 2011-10-14 2013-04-18 Covidien Lp Safety iv catheter assembly
JP5913358B2 (ja) 2011-11-07 2016-04-27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先端および側面が被覆される安全針
US8746075B2 (en) 2012-02-16 2014-06-10 7-Sigma, Inc. Flexible electrically conductive nanotube sensor for elastomeric devices
CN104302343B (zh) * 2012-05-16 2017-05-24 泰尔茂株式会社 导管组装体
CA2901175A1 (en) * 2013-03-14 2014-09-18 7-Sigma, Inc. Responsive device with sensors
JP6303293B2 (ja) * 2013-05-28 2018-04-04 ニプロ株式会社 安全針組立体
WO2015082566A1 (en) * 2013-12-04 2015-06-11 B. Braun Melsungen Ag Needle assembly with sealed notch and related methods
CN103691031A (zh) * 2013-12-16 2014-04-02 苏州林华医疗器械有限公司 安全型静脉留置针
CN106061540B (zh) * 2014-02-24 2019-04-23 梅迪弗斯特有限公司 安全导管
WO2016037127A1 (en) 2014-09-05 2016-03-10 C.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retractable needle
USD903100S1 (en) 2015-05-01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BR112017024570B1 (pt) 2015-05-15 2022-06-28 C.R. Bard, Inc Dispositivo de inserção para inserir um cateter no corpo de um paciente
PT109051A1 (pt) * 2015-12-23 2017-12-21 Escola Superior De Enfermagem De Coimbra Dispositivo de hidratação subcutânea
CN105997510A (zh) * 2016-08-03 2016-10-12 深圳市库贝尔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针
CN112206397B (zh) 2016-09-12 2023-03-21 C·R·巴德股份有限公司 导管插入装置的血液控制
EP3585471A4 (en) 2017-03-01 2021-03-10 C.R. Bard, Inc. CATHETER INTRODUCTION DEVICE
JP6771406B2 (ja) * 2017-03-03 2020-10-21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JP7049315B2 (ja) * 2017-03-16 2022-04-0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JP7237858B2 (ja) * 2017-05-26 2023-03-13 パイパー・アクセス、エルエルシー カテーテル送達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042881A (zh) * 2017-12-25 2018-05-18 朱郎平 一种临床输液留置针
EP3762084B1 (en) 2018-03-07 2024-04-24 Bard Access Systems, Inc. Guidewire advancement and blood flashback systems for a medical device insertion system
USD921884S1 (en) 2018-07-27 2021-06-08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CN114206410A (zh) * 2019-07-31 2022-03-18 何塞·拉米雷斯 用于血液透析输药的接入组件
EP4010057A4 (en) 2019-08-19 2023-10-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ENTERLINE CATHETER PLACEMENT DEVICE
CN115300711A (zh) * 2022-05-24 2022-11-08 舒尔特机械设备(徐州)有限公司 一种具有针管安全装置的输液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5074A (en) * 1969-04-24 1971-02-23 Becton Dickinson Co Indwelling arterial cannula assembly
US3811440A (en) * 1971-08-09 1974-05-21 Deseret Pharma Catheter placement unit with pressure closure
JPS558589U (ko) * 1978-07-04 1980-01-19
JPS62180451U (ko) * 1986-05-08 1987-11-16
US4747831A (en) * 1987-04-29 1988-05-31 Phase Medical, Inc. Cannula insertion set with safety retracting needle
JPH01212567A (ja) * 1988-02-18 1989-08-25 Terumo Corp カテーテル針管組立体
US4994027A (en) * 1988-06-08 1991-02-19 Farrell Edward M Percutaneous femoral bypass system
US5242410A (en) * 1991-04-15 1993-09-07 University Of Florida Wireless high flow intravascular sheath introducer and method
US5330432A (en) * 1991-12-06 1994-07-19 Inbae Yoon Retractable safety penetrating instrument
US5312361A (en) * 1991-09-13 1994-05-17 Zadini Filiberto P Automatic cannulation device
US5250036A (en) * 1992-11-24 1993-10-05 Mohammad Farivar Intravenous catheter placement system
JPH06217988A (ja) * 1993-01-26 1994-08-09 Terumo Corp 血管穿刺器具
GB9307572D0 (en) * 1993-04-13 1993-06-02 Gould Derek A Transintimal recanalisation device
CA2127206A1 (en) * 1993-07-23 1995-01-24 Charles W. Daugherty Self contained needle and shield
US5380292A (en) * 1993-12-22 1995-01-10 Wilson-Cook Medical, Inc. Gastrointestinal needle mechanism
US5531701A (en) * 1994-06-06 1996-07-02 Luther Medical Products, Inc. Over-the-needle catheter
CA2168615A1 (en) * 1995-03-07 1996-09-08 Timothy J. Erskine Catheter-advancement actuated needle retraction system
US6007519A (en) * 1997-07-30 1999-12-28 Rosselli; Matteo Central access cannulation device
WO2000020058A1 (en) * 1998-10-06 2000-04-13 Dean Brian Prestidge A needle apparatus
JP4383572B2 (ja) 1999-03-05 2009-12-16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安全留置針
JP3808806B2 (ja) 2002-06-26 2006-08-16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留置針
JP2004057516A (ja) * 2002-07-29 2004-02-26 Terumo Corp 二重針組立体
AU2002951827A0 (en) 2002-10-07 2002-10-24 Prestidge, Dean Brian Automatic sleeved needle
BR0315124A (pt) * 2002-10-07 2005-08-16 Maxwell Edmund Whisson Dispositivo de agulha e método para operar o mesmo
JP2005237639A (ja) * 2004-02-26 2005-09-08 Nipro Corp 安全留置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5529B2 (en) 2011-12-13
US20080147010A1 (en) 2008-06-19
DK1935447T3 (da) 2010-08-23
CN101204601A (zh) 2008-06-25
CA2615090A1 (en) 2008-06-18
AU2007249102B2 (en) 2012-12-20
DE602007006269D1 (de) 2010-06-17
EP1935447A1 (en) 2008-06-25
EP1935447B9 (en) 2010-09-01
KR101404311B1 (ko) 2014-06-05
ATE466619T1 (de) 2010-05-15
CN101204601B (zh) 2012-08-15
TW200841892A (en) 2008-11-01
JP2008173463A (ja) 2008-07-31
JP2012223644A (ja) 2012-11-15
TWI474845B (zh) 2015-03-01
ES2345406T3 (es) 2010-09-22
JP5232458B2 (ja) 2013-07-10
CA2615090C (en) 2012-09-11
AU2007249102A1 (en) 2008-07-03
EP1935447B1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6681A (ko) 유치바늘 조립체
JP6721735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US6969376B2 (en) Safety indwelling needle
CN110072575B (zh) 安全针装置
JP2974299B2 (ja) 片手操作可能な針バリアーを備えた針アセンブリ
US7699814B2 (en) Syringe sheath
US20040138619A1 (en) Retractable needle assembly for a catheter and which uses an elastomeric member to retract the needle
JPWO2007083770A1 (ja) 医療用針装置
EP0646387A1 (en) Catheter introducer assembly
JP6886775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US20060079844A1 (en) Needle apparatus
JP2009095392A (ja) 注射針及びそれを利用した注射器
JP4842948B2 (ja) 注射器を含む注射装置
US20060052755A1 (en)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JP3576765B2 (ja) 留置針組立体
KR102120615B1 (ko) 이지 카테터 조립체
JP7313749B2 (ja) 針組立体
KR102110729B1 (ko) 이지 카테터 조립체
JP4803914B2 (ja) 安全留置針
JP3746041B2 (ja) 翼付留置針用プロテクタ
AU2003266824B2 (en) Needle apparatus
JP2005080962A (ja) 留置針及びカテーテル用内針
AU2002304994A1 (en) A retractable needle assembly for a catheter and which uses an elastomeric member to retract the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