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946A - 동력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946A
KR20080055946A KR1020087009834A KR20087009834A KR20080055946A KR 20080055946 A KR20080055946 A KR 20080055946A KR 1020087009834 A KR1020087009834 A KR 1020087009834A KR 20087009834 A KR20087009834 A KR 20087009834A KR 20080055946 A KR20080055946 A KR 2008005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oil
surrounding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649B1 (ko
Inventor
가즈아키 나카무라
가즈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23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in view of cooling and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3Guidance of lubricant within rotary parts, e.g. axial channels or radial openings in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이 동력 전달 기구는 1개 이상의 회전 부재 (140), 상기 회전 부재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 (121,122), 상기 회전 부재 아래에 제공되는 오일 저장소 (160),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 (100) 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 (100)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 (111) 가 된다.
Figure P1020087009834
회전 부재, 오일 공급로, 오일 저장소, 외주면, 외주면 포위 부재, 단면 포위 부재, 개방 단부, 오일 배출 구멍, 치형부, 록업 클러치

Description

동력 전달 기구 {POWER TRAIN MECHANISM}
본 발명은 동력 전달 기구,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력 전달 기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78667 호 및 제 2001-221326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78667 호는 유성 기어식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gear train)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221326 호는 기어와 부재 사이에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부재를 교반되는 오일의 양을 줄이기 위해 기어의 외경 형상을 따라 성형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재된 기술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가 회전될 때, 그 회전에 의해 큰 저항력이 발생하고, 그에 의해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상되었다. 본 발명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한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1개 이상의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 회전 부재 아래에 제공되는 오일 저장소,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기구에서, 외주면 포위 부재는 외주면 회전 부재가 회전하는 동안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외주면을 둘러싸며, 외주면 포위 부재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단면 포위 부재가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고, 이에 의해 두 포위 부재로 덮힌 회전 부재 주변의 공기를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개방 단부로부터 배출시키고, 회전 부재 주변의 공기압을 감소시켜 공기 저항이 감소된다. 또한, 외주면 포위 부재의 단면 포위 부재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가 되기 때문에, 회전 부재에 공급되는 윤활유 등의 오일이 회전 부재로부터 배출되더라도 포위 부재 내에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오일 저장소에 저장되는 오일의 표면이 오일 온도의 증가에 따라 회전 부재가 잠기는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도, 회전 부재의 회전 저항을 일으키는 오일의 양이 포위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 내로 제한되어 오일에 의한 회전 저항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오일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축방향 길이는, 축방향으로 상기 오일 배출 구멍을 덮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외주면 포위 부재의 축방향 길이는 축방향으로 오일 배출 구멍을 덮지 않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외주면 포위 부재는 오일 배출에 장애가 되지 않고, 이에 의해 오일 배출 성능이 확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단면 포위 부재 측으로부터 개방 단부까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홈 또는 리브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공기 또는 오일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홈 또는 리브를 따라 개방 단부로부터 쉽게 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외주면에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치형부는 오일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기구에서, 외주면 포위 부재 및 단면 포위 부재로 덮힌 회전 부재 주위의 공기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개방 단부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회전 부재 주위의 공기압이 저하되어, 공기 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오일로 윤활되는 치형부를 갖는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외주면 포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치형부를 윤활하는 오일이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흩어져도, 이 흩어진 오일이 외주면 포위 부재에 의해 수집되며, 이에 의해 치형부를 다시 윤활할 수 있다. 그 결과, 치형부의 원활한 윤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유체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작동 유체 내에 제공되는 외주면 포위 부재,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기구에서, 외주면 포위 부재 및 단면 포위 부재로 덮힌 회전 부재 주위의 공기압은 낮아지며, 이에 의해 유체 저항이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력 전달 기구는 록업 클러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는 상기 단면 포위 부재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까지 상기 록업 클러치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기구에서, 개방 단부로부터 배출된 작동 유체가 록업 클러치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록업 클러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오일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오일에 잠겨 있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기구에서, 외주면 포위 부재 및 단면 포위 부재로 덮힌 회전 부재 주위의 유체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개방 단부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회전 부재 주위의 공기압이 낮아져 유체 저항을 감소시킨다. 또한, 외주면 포위 부재가 오일에 잠겨진 외주면을 둘러싸기 때문에, 오일에 의해 윤활되는 외주면 주위의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오일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의 화살표 (II) 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자동 변속기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화살표 (III) 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외주면 포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서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외주면 포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서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서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은 또한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외주면 포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서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서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서의 화살표 (XII) 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트랜스 액슬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엔진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서의 화살표 (XV) 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엔진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에 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또는 일치하는 부분에는 같은 참조 부호가 주어지며, 그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는 자동 변속기를 구성하며, 여기서 전동 기구부 (131) 는 샤프트(shaft) (120) 의 외주에 설치된다. 각 전동 기구부 (131) 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클러치 드럼 (140) 이 전동 기구부 (131) 의 외주에 고정된다. 마찰 맞물림 요소 (150) 가 클러치 드럼 (140) 의 내주 측에 고정되며,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동력을 상대 부재에 전달한다.
클러치 드럼 (140) 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오일 배출 구멍 (141, 142) 이 클러치 드럼 (140) 을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하여 제공된다. 다수의 오일 배출 구멍 (141, 142) 이 클러치 드럼 (140) 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클러치 드럼 (140) 의 일부분과 샤프트 (120) 는 트랜스 액슬 (trans-axle) 후방 커버 (100) 로 덮혀 있다.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 (100) 는 샤프트 (120) 의 일단부를 잡아 덮는다.
오일 팬(oil pan)으로 구성된 오일 저장소 (160) 는 클러치 드럼 (140) 아래에 제공되며, 오일을 저장한다.
외주면 포위 부재 (110) 가 클러치 드럼 (140) 의 외주면 (143) 과 대면하도록 제공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가지며, 샤프트 (120) 의 신장 방향으로 신장되어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 (100) 측은 폐쇄 단부 (112) 이며, 그 반대 측이 개방 단부 (111) 가 된다.
샤프트 (120) 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오일 통로 (122) 와 이 중심 오일 통로 (122) 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강제 공급 오일 통로 (121) 를 갖는다. 오일 펌프로부터의 오일은 중심 오일 통로 (122) 에 공급된다. 오일은 조작 유체 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자동 변속기 유체 (ATF) 로 구성된다. 이 오일은 강제 공급 오일 통로 (121) 로부터 외주로 공급된다. 공급된 오일은 마찰 맞물림 요소 (150) 를 윤활하고 냉각시키며, 오일 배출 구멍 (141, 142) 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동력 전달 기구는 회전 부재로서 1개 이상의 클러치 드럼 (140), 강제 공급 오일 통로 (121), 클러치 드럼 (140) 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통로로서 중심 오일 통로 (122), 클러치 드럼 (140) 아래에 제공되는 오일 저장소 (160), 외주면 (143) 을 향하여 클러치 드럼 (140) 의 외주면 (143) 이 회전하는 동안에 외주면 (143) 과의 접촉을 피할 정도로 이 외주면 (143) 과 틈을 두고 대면하면서 클러치 드럼 (140) 의 외주면 (143) 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클러치 드럼 (140) 의 축방향의 한 단면 (145) 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로서의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외주면 포위 부재의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 (100)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은 개방 단부 (111) 가 된다.
고속 회전하는 클러치 드럼 (140) 의 외주면 (143) 에 덮개로서의 외주면 포위 부재 (110) 가 틈을 두고 제공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한 측이 개방 단부 (111) 이며, 다른 한 측이 폐쇄 단부 (112) 가 된다.
도 2 는 도 1 에서 화살표 (II)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본 자동 변속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 (100) 에서 원호 형상의 외주면 포위 부재 (110) 가 제공된다. 클러치 드럼 (140) 과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사이에 틈을 두고 클러치 드럼 (140) 이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드럼 (140) 은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에 대해서 회전한다. 클러치 드럼 (140) 과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사이의 틈은 대체로 일정하다. 오일 저장소 (160) 는 클러치 드럼 (140) 아래에 제공된다.
도 3 은 도 2 에서 화살표 (III)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본 외주면 포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는 원통형 덮개이며, 회전체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오일은, 덮개에 설치되고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rib) (113) 및 홈(groove) (114) 을 따라 개방 단부 (111) 측으로 배출된다. 화살표 (149)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클러치 드럼이 회전함과 함께, 공기와 오일은 화살표 (148) 의 방향으로 흐른다.
도 3 에서, 리브 (113) 와 홈 (144) 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 (113) 와 홈 (144) 은 구부러져 형성되어도 된다. 화살표 (149) 로 나타내는 방향에 대한 리브 (113) 와 홈 (144) 의 경사는 변화해도 좋다. 즉, 폐쇄 단부 (112) 로부터 개방 단부 (111) 로 다가감에 따라 리브 (113) 와 홈 (144) 의 경사는 커져도 되고 또는 작아져도 된다.
도 5 는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외주면 포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서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서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삼각 기둥 형상의 리브 (113) 와 홈 (144) 이 제공되어도 된다. 즉, 도 5 내지 도 7 에서 보여지는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위에는 삼각 기둥이 덮히며, 그 삼각 기둥은 리브 (113) 를 구성한다. 리브 (113) 의 가장 긴 측은 화살표 (149) 로 나타내는 회전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공기 및 오일은 이 삼각 기둥의 경사면을 따라 화살표 (148)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흐른다.
도 8 은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외주면 포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서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서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면, 삼각뿔 형상이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표면에 형성되며, 이 삼각뿔의 경사면에 의해 화살표 (148) 로 나타낸 방향으로 공기 및 오일이 흐르도록 외주면 포위 부재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삼각기둥 또는 삼각뿔에 의해 요철을 구성하고, 다이캐스팅으로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를 제작하는 경우에,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를 형(die)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에서, 원통형의 덮개로서의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내주에 개방 단부 (111) 측으로 오일 및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경사 방향의 홈 (114) 및 리브 (113)(볼록한 부분) 를 제공한다. 클러치 드럼 (140) 의 외주는 좁은 틈으로 덮혀 있다. 이는 변속기 내부의 손실의 감소를 도모하며, 이에 의해 연비 및 동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 다. 게다가, 발열량을 감소시켜 오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오일 및 변속기의 더욱 긴 작동 수명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교반을 억제하여 환기관의 복귀 한계를 향상시키며, 유량 관리의 간편화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트랜스 액슬 (2) 은 토크가 입력되는 입력 샤프트(input shaft) (52), 입력 샤프트 (52) 의 축상에 배치되는 후방 유성 기어(rear planetary gear) (59), 전방 유성 기어(front planetary gear) (58) 와 카운터 구동 기어(counter drive gear) (54), 및 카운터 구동 기어 (54) 에 맞물리는 카운터 종동 기어(counter driven gear) (56) 를 포함한다. 카운터 종동 기어 (56) 가 배치된 축상에는 카운터 종동 기어 (56) 의 옆에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이 마련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를 구성하는 트랜스 액슬 (2) 은 차동 구동 피니언(differential drive pinion) (61) 에 맞물리는 링 기어(ring gear) (63) 를 갖는 디퍼런셜 (62) 을 더 포함한다.
트랜스 액슬 (2) 에 제공되는 이들 기어는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에 수납되어 있다. 오일 팬(도시되지 않음)은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의 밑면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을 저장한다.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내에는 칸막이 벽 (71) 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유성 기어 (59), 전방 유성 기어 (58) 등이 배치되 어 있는 주 변속 기어실 (65) 과 카운터 종동 기어가 배치되어 있는 카운터 기어실 (55) 이 형성되어 칸막이 벽 (71) 에 의해 구획된다.
트랜스 액슬 후방 커버 (100) 와 트랜스 액슬 하우징 (3) 이 배치되어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과 접촉하게 된다. 트랜스 액슬 하우징 (3) 은 토크 컨버터 (torque converter) (1) 를 수납한다. 트랜스 액슬 하우징 (3) 의 내면에는, 토크 컨버터 (1) 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외주면 포위 부재 (10) 가 배치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10) 는 폐쇄 단부 (12) 로부터 개방 단부 (11) 로 연장되어 있으며 토크 컨버터를 구성하는 회전 요소와 외주면 포위 부재 (10) 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두고 배치된다. 토크 컨버터 (1) 주위는 공기로 채워지며 외주면 포위 부재 (10) 와 토크 컨버터 (1) 와의 사이에 공기가 개재한다.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을 덮는 외주면 포위 부재 (20) 는 트랜스 액슬 하우징 (3) 의 내벽 (4) 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20) 는 폐쇄 단부 (22) 로부터 개방 단부 (21) 로 연장되어 있으며,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치형부(teeth) (66) 가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치형부 (66) 는 이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축방향 및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20) 로 덮힌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은 오일로 윤활된다. 이 오일은 오일 팬에 저장되며, 링 기어 (63) 가 오일 팬의 오일을 끌어올려, 링 기어 (63) 와 서로 맞물리는 차동 구동 피니언 (61) 에 오일을 공급하고, 이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윤활 치형부 (66) 가 오일로 윤활된다.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이 회전하면, 치형부 (66) 내에 수집된 오일이 외주 부분으로 흩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외주면이 외주면 포위 부재 (20) 로 덮혀 있기 때문에, 오일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을 항상 오일로 윤활시킬 수 있다.
도 12 는 도 11 에서의 화살표 (XII) 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트랜스 액슬의 측면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트랜스 액슬 (2) 은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를 갖는다.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에서, 링 기어 (63), 링 기어 (63) 에 맞물리는 차동 구동 피니언 (61), 차동 구동 피니언 (61) 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카운터 종동 기어 (56), 및 카운터 종동 기어 (56) 에 맞물리는 카운터 구동 기어 (54) 가 수납된다.
링 기어 (63) 는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를 따라 원호를 그리며, 트랜스 액슬 케이스 (70) 에서 벗어나는 부분은 외주면 포위 부재 (15, 16) 로 덮혀 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15, 16) 는 다른 기어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링 기어 (63) 의 외주면을 따라 원 형상을 갖는다.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은 링 기어 (63) 와 맞물리며, 링 기어 (63) 와 맞물리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외주면 포위 부재 (20) 로 덮혀 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20) 는 차동 구동 피니언 (61) 과 외주면 포위 부재 (20) 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갖는다. 외주면 포위 부재 (20) 는 차동 구동 피니언 (61) 과 링 기어 (63) 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대해서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로서 트랜스 액슬 (2) 은 외주면에 치 형부 (66) 가 형성되고, 이 치형부 (66) 는 오일 (1000) 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로서의 차동 구동 피니언 (61),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외주면과의 접촉을 피할 정도의 틈을 두고 그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20), 및 외주면 포위 부재 (20) 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차동 구동 피니언 (61) 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로서의 내벽 (4) 을 포함한다. 축방향으로 내벽 (4) 의 반대편에 있는 외주면 포위 부재 (20) 의 일측은 개방 단부 (21) 가 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13) 는 카운터 종동 기어 (56) 와 카운터 구동 기어 (54) 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링 기어 (63), 차동 구동 피니언 (61), 카운터 종동 기어 (56), 및 카운터 구동 기어 (54) 는 각각 오일 (1000) 로 윤활된다. 링 기어, 차동 구동 피니언 (61), 카운터 종동 기어 (56), 및 카운터 구동 기어 (54) 가 회전할 때, 오일 (1000) 은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배출된 오일 (1000) 은 외주면 포위 부재 (15, 13, 16, 20) 를 유지함으로써 다시 되돌아온다. 따라서, 윤활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외주면 포위 부재의 존재는 압력을 낮추고, 회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토크 컨버터 (1) 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으로부터 변속기의 입력 샤프트 (52) 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엔진은 도 13 에 서 왼 측에 배치되며, 오른 측에 배치된 입력 샤프트 (52) 는 토크 컨버터 (1) 의 회전축으로서 역할을 한다.
토크 컨버터 (1) 는 3 종류의 블레이드로서 터빈 러너(turbine runner) (202), 펌프 임펠러(pump impeller) (208) 및 스테이터(stator) (223) 를 갖는 작동 유체실과 록업(lock-up) 기구 (270) 로 구성되어 있다.
원판 형상을 갖는 전방 커버(front cover) (203) 는 토크 컨버터 (1) 의 앞측, 즉 엔진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며, 회전축 (201a)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즉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전방 커버 (203) 는 토크 컨버터 (1) 의 앞면 하우징으로서 작용한다. 임펠러 쉘(impeller shell) (226) 이 전방 커버 (203) 에 고정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 (1) 의 다양한 요소는 전방 커버 (203) 와 임펠러 쉘 (226) 로 구성된 케이스 (205) 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된다. 전방 커버 (203) 와 임펠러 쉘 (226)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오일이 봉입되어 있다.
전방 커버 (203) 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받는 부재이다. 동력이 엔진으로부터 전방 커버 (203) 에 입력되면, 이 동력은 임펠러 쉘 (226) 에 전달된다. 임펠러 쉘 (226) 은 임펠러 쉘 (226) 과 일체적으로 구성된 펌프 임펠러 (208) 를 구성한다. 펌프 임펠러 (208) 는 터빈 러너 (202) 와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고, 입력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펌프 임펠러 (208) 에는 작동 유체인 오일이 터빈 러너 (202) 를 향해 압출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펌프 임펠러 (208) 가 회전하면, 펌프 임펠러 (208) 부근의 오일은 터빈 러너 (202) 를 향해 압출된다.
스테이터 (223) 는 펌프 임펠러 (208) 와 터빈 러너 (202) 의 사이에 개재되고, 터빈 러너 (202) 는 펌프 임펠러 (208) 에 흐르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작용을 한다. 스테이터 (223) 는 일방 클러치(one way clutch) (237) 를 경유하여 고정 샤프트 (239) 에 설치되어 있고, 단지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일방 클러치 (237) 는 롤러(roller), 스프리그(sprig) 또는 래칫(rachet) 을 이용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스테이터 (223) 는 터빈 러너 (202) 로부터 펌프 임펠러 (208) 로 되돌아오는 오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이며, 수지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다.
터빈 러너 (202) 는 윤활유를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 터빈 쉘 (230) 을 가지며, 펌프 임펠러 (208) 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터빈 러너 (202) 는 펌프 임펠러 (208) 에 의해 밖으로 내보내진 오일을 받고, 이 오일에 의해 토크가 주어진다. 터빈 러너 (202) 에 전달된 오일은 내주 측으로 이동하여 스테이터 (223) 를 경유하여 펌프 임펠러 (208) 에 다시 보내진다. 터빈 러너 (202) 는 펌프 임펠러 (208) 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펌프 임펠러 (208) 가 전방 커버 (203)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편, 터빈 러너 (202) 는 록업 피스톤 (204) 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동력 전달 부재 (244) 는 터빈 쉘 (230) 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동력 전달 부재 (244) 는 리벳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로 터빈 쉘 (230)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터빈 쉘 (230) 과 함께 회전한다.
동력 전달 부재 (244) 와 터빈 쉘 (230) 은 모두 터빈 허브(turbine hub) (207) 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터빈 허브 (207) 와 함께 입력 샤프트 (52) 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터빈 허브 (207) 는, 예를 들어, 스플라인(spline) 끼워맞춤되어 있고 입력 샤프트 (52) 의 외주 측에 위치한다. 터빈 허브 (207) 는 입력 샤프트 (52) 와 터빈 쉘 (230) 을 연결하며, 터빈 쉘 (230) 에 입력되는 토크를 입력 샤프트 (52) 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이제, 록업 기구 (270) 에 관하여 설명한다. 록업 기구 (270) 는 전방 커버 (203) 의 토크를 입력 샤프트 (206) 에 직접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며, 여기서 마찰재로서의 외장재(facing material) (276) 가 전방 커버 (203) 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전방 커버 (203) 의 토크는 입력 샤프트 (52) 에 전달된다. 록업 기구 (270) 는 외장재 (276) 를 설치하기 위한 록업 피스톤 (240) 을 갖는다. 록업 피스톤 (240) 은 축방향, 즉 전방 커버 (203) 에 다가오는 방향 및 전방 커버 (20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의해 외장재 (276) 는 전방 커버 (203) 에 접합할 수 있다. 록업 피스톤 (204) 은 회전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전방 커버 (203) 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외장재 (276) 는 록업 피스톤 (204) 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터빈 허브 (270) 의 내주 측에 접촉되어 있다.
전방 커버 (203) 와 록업 피스톤 (204) 사이의 공간이 제 1 유압실 (210a) 이고, 록업 피스톤 (204) 과 동력 전달 부재 (244) 사이의 공간이 제 2 유압실 (210b) 이다. 제 1 유압실 (210a) 과 제 2 유압실 (210b) 은 각각 오일로 채워져 있다. 유압을 변경함에 의해, 전방 커버에 다가가는 방향 및 전방 커버 (20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록업 피스톤 (204) 을 이동시킬 수 있다.
록업 기구 (270) 에는 록업 댐퍼(lock-up damper) (274) 가 제공되며, 이 록업 기구는 가변 입력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록업 댐퍼 (274) 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토크가 가해지면, 록업 댐퍼 (274) 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토크의 변동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록업 댐퍼 (274) 는 록업 피스톤 (204) 과 동력 전달 부재 (244) 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록업 기구 (270) 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토크 컨버터 (1) 의 토크 증폭 작용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경우, 외장재 (276) 는 전방 커버 (203) 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방 커버 (203) 의 토크를 입력 샤프트 (52) 에 직접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유압실 (210a) 의 오일은 연통 구멍 (206h) 을 통해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제 1 유압실 (210a) 의 유압은 제 2 유압실 (210b) 의 유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록업 피스톤 (204) 은 전방 커버 (203) 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외장재 (276) 는 전방 커버 (203) 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방 커버 (203) 의 동력(토크)은 외장재 (276), 록업 피스톤 (204), 동력 전달 부재 (244) 및 터빈 허브 (270) 를 경유하여 입력 샤프트 (52) 에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는, 토크 컨버터 (1) 에 의한 동력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토크 증폭 작용도 또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토크 컨버터의 토크 증폭 작용이 필요한 경우, 오일은 연통 구멍 (206h) 을통해 제 1 유압실 (210a) 안으로 보내진다. 이에 의해, 제 1 유압실 (210a) 에서 의 압력은 높아지며, 록업 피스톤 (204) 은 전방 커버 (20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 결과, 전방 커버 (203) 와 외장재 (276) 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전방 커버 (203) 의 토크는 외장재 (276) 에 전달되지 않는다.
하우징으로서의 임펠러 쉘 (226) 에는, 터빈 쉘의 외주면을 덮도록 외주면 포위 부재 (220) 가 설치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는 터빈 쉘 (230) 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며, 폐쇄 단부 (222) 로부터 개방 단부 (221) 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연장 방향은 록업 기구 (270) 를 향하는 방향이다.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는 오일의 흐름을 조정하고, 오일을 록업 기구 (270) 에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즉,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토크 컨버터 (1) 는 유체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로서 터빈 쉘 (230), 터빈 쉘의 외주면 (232) 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은 정도의 틈으로 외주면 (232) 과 대면하면서 터빈 쉘의 외주면 (232) 을 둘러싸며, 토크 컨버터 (1) 의 오일 내에 제공되는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및 외주면 포위 부재 (220) 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터빈 쉘 (230) 의 축방향의 단면 (231) 을 둘러싸는 단면으로서의 임펠러 쉘 (226) 을 포함한다. 외주면 포위 부재 (220) 의 임펠러 쉘 (226) 과의 축방향 반대 측은 개방 단부 (221) 가 된다.
토크 컨버터 (1) 는 록업 클러치로서 록업 기구 (270) 를 포함한다.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는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로부터 개방 단부 (221) 로 록업 기구 (270) 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토크 컨버터 (1)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 4 실시형태)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의 엔진의 단면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엔진 (301) 은 4개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직렬 4기통 엔진이다.
이 엔진은 직렬 형에 제한되지 않고, V 형, W 형, 수평 대향 형 등의 다양한 종류의 엔진이 채택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디젤 엔진과 가솔린 엔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엔진 (301) 은 실린더 블록 (302), 오일 팬 (306), 도 14 에 나타나지 않은 실린더 헤드 커버, 및 피스톤 (308) 으로 주로 구성된다. 실린더 블록 (302) 은 상부에 위치한 실린더부 (303), 하부에 위치한 스커트(skirt)부 (304), 및 각각의 실린더 엔진 사이에 배치된 칸막이 벽 (305) 을 포함한다. 실린더 (309) 는 실린더부 (303) 내에 제공되며, 피스톤 (308) 이 실린더 (309) 에 끼워져 있다. 각각의 실린더 엔진 사이에 배치된 피스톤 (308) 은 연결 봉 (380) 을 경유하여 크랭크 샤프트 (310) 에 연결되어 있다.
오일 팬 (306) 은 실린더 블록 (302) 아래에 설치된다. 크랭크 샤프트 (310) 가 위치한 크랭크 케이스 (411) 는 실린더 블록 (302) 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커트부 (304) 와 오일 팬 (306) 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 (411) 의 내부 공간 (312) 에는, 상기 언급한 실린더부 (303) 로부터 하방으로 연결된 칸막 이 벽 (305) 이 위치되며, 이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 (411) 의 내부 공간 (312) 은 각각의 실린더 엔진에 대응하는 크랭크실 (312a) 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다.
크랭크 케이스는 오일 (1000) 로 채워져 있으며, 크랭크 샤프트 (310) 의 일부는 오일 (1000) 에 잠겨 있다. 크랭크 샤프트 (310) 의 외주면 (311) 과 대면하는 외주면 포위 부재 (330, 340, 350) 는 각각 오일 팬 (306) 과 칸막이벽 (305) 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면 포위 부재 (330) 는 오일 (1000) 에 잠겨 있고, 크랭크 샤프트 (310) 와 외주면 (311) 과의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된다. 외주면 포위 부재 (330, 340, 350) 는 각각 폐쇄 단부 (332) 로부터 개방 단부 (331) 로 연장되어 있다.
도 14 에서, 외주면 포위 부재 (330, 340, 350) 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일 (1000) 에 잠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외주면 포위 부재 (330, 340, 350) 의 일부분은 필수적으로 오일 (1000) 에 잠겨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전체 부분이 공기 중에 존재해도 된다.
도 15 는 도 14 에서의 화살표 (XV)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본 엔진의 부분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엔진 (301) 은 실린더 블록 (302), 오일 팬 (306), 실린더 헤드 커버 (307) 및 피스톤 (308) 으로 주로 구성된다. 실린더 블록 (302) 은 상부에 위치된 실린더부 (303), 및 하부에 위치된 스커트부 (304) 를 포함한다. 실린더부 (303) 는 실린더 (309) 내에 제공되며, 피스톤 (308) 은 실린더 (309) 의 내부에 끼워진다. 오일 팬 (306) 은 실린더 블록 (302) 아래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 (310) 가 설치된 크랭크 케이스 (411) 는 실 린더 블록 (302) 의 스커트부 (304) 및 오일 팬 (306) 에 의해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 커버 (307) 는 실린더 블록 (302)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PCV실 (307a) 이 실린더 헤드 커버 (307) 의 내부에 형성된다. PCV실 (307a) 은 실린더 헤드 커버 (307) 에 연결되는 제 1 PCV 경로 (318) 및 제 2 PCV 경로 (319) 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크랭크 케이스 (411) 의 내부 공간 (312) 과 PCV실 (307a) 은 실린더 (309) 의 측벽에 제공되는 연통로 (317) 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blow-by gas)는 피스톤 (308) 과 실린더 (309) 사이의 틈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 (411) 의 내부 공간 (312) 으로 누출되는 혼합 가스이다. 블로우바이 가스는 다량의 탄화 수소를 포함하며 약한 산성이기 때문에, 너무 많은 블로우바이 가스는 엔진 오일의 열화 및 엔진 (301) 내부의 녹을 발생시킨다. 또한, 탄화 수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 없이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는 강제로 흡입계 (320) 로 되돌아오게 된다.
흡입계 (320) 는 주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321), 스로틀 밸브 (323) (throttle valve) 및 서지 탱크 (324) (surge tank) 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 (321) 는 필터 (322) 를 가지며, 흡입계 (320) 로 도입되는 공기를 정상화한다. 공기 청정기 (321) 에서 정상화된 흡입 공기는 엔진 (301) 에 공급되는 흡입 공기 부피가 스로틀 밸브 (323) 에서 조절된 후에 서지 탱크 (324) 에 공급된다. 서지 탱크 (324) 에 공급된 흡입 공기는 흡입 포트 (325) 를 통해 흡입 밸브 (315a) 로 부터 엔진 (301) 내의 연소실 (316) 에 공급된다. 연료는 공급된 흡입 공기에 의해 연소되며, 연료 가스는 배기 밸브 (315b) 와 배기 포트 (381) 를 통해 엔진 (301) 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390) 는 피스톤 (308) 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오일 (1000) 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로서의 크랭크 샤프트 (310), 크랭크 샤프트 (310) 의 외주면 (311) 이 회전하는 동안 외주면 (311) 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그 외주면 (311) 과 대면하면서 오일 (1000) 에 잠겨진 크랭크 샤프트의 외주면 (311) 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330), 및 크랭크 샤프트 (310) 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고 외주면 포위 부재 (330) 와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단면 포위 부재로서의 오일 팬 (306) 을 포함하며, 외주면 포위 부재 (330) 의 오일 팬 (306) 과의 축방향 반대 측은 개방 단부 (331) 가 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390) 는,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부분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위를 가진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수동 변속기, 엔진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러치 드럼, 기어 트레인, 차동 기어, 카운터 기어, 토크 컨버터, 플라이 휠(fly-wheel), 클러치, 크랭크 샤프트, 평형기(balance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보다 특허 청구 범위 에 의해 정의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7)

1개 이상의 회전 부재 (140),
상기 회전 부재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 (121, 122),
회전 부재의 아래에 제공되는 오일 저장소 (160),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110),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 (100) 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 (100)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 (111) 가 되는 동력 전달 기구.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오일 배출 구멍 (141, 142)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축방향 길이는, 축방향으로 상기 오일 배출 구멍 (141, 142) 을 덮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력 전달 기구.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110) 의 내주면에, 상기 단면 포위 부재 (100) 측으로부터 개방 단부 (111) 까지 상기 회전 부재 (140) 의 회전 방 향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의 홈 (114) 또는 리브 (113) 가 제공되어 있는 동력 전달 기구.
외주면에 치형부 (66)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치형부 (66) 는 오일 (1000) 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 (61),
상기 회전 부재 (61) 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 (61) 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20),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20) 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 (61) 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20) 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 (4)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 (21) 가 되는 동력 전달 기구.
유체 구동 장치 (1) 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 (230),
상기 회전 부재 (230) 의 외주면 (232) 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 (232) 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 (232) 과 대면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 (230) 의 외주면 (232) 을 둘러싸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 (1) 의 작동 유체 내에 제공되는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220) 와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회전 부재 (230) 의 축방향의 한 단면 (231) 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 (226) 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220) 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 (226)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 (221) 가 되는 동력 전달 기구.
제 5 항에 있어서, 록업 클러치 (2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220) 는 상기 단면 포위 부재 (226) 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 (221) 까지 상기 록업 클러치 (270) 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력 전달 기구.
피스톤 (308) 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오일 (1000) 로 윤활되는 회전 부재 (310),
상기 회전 부재 (310) 의 외주면 (311) 이 회전하는 동안 이 외주면 (311) 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틈을 두고 상기 외주면 (311) 과 대면하면서 오일 (1000) 에 잠겨 있는 상기 회전 부재 (310) 의 외주면 (311) 을 둘러싸는 외주면 포위 부재 (330), 및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330) 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전 부재 (310) 의 축방향의 한 단면을 둘러싸는 단면 포위 부재 (306) 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 포위 부재 (330) 의 상기 단면 포위 부재 (306) 와의 축방향 반대 측이 개방 단부 (331) 가 되는 동력 전달 기구.
KR1020087009834A 2005-10-20 2006-10-10 동력 전달 기구 KR100933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6075 2005-10-20
JP2005306075A JP4438732B2 (ja) 2005-10-20 2005-10-20 動力伝達機構
PCT/JP2006/320524 WO2007046310A2 (en) 2005-10-20 2006-10-10 Power train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46A true KR20080055946A (ko) 2008-06-19
KR100933649B1 KR100933649B1 (ko) 2009-12-23

Family

ID=3753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34A KR100933649B1 (ko) 2005-10-20 2006-10-10 동력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9257B2 (ko)
EP (1) EP1937999B1 (ko)
JP (1) JP4438732B2 (ko)
KR (1) KR100933649B1 (ko)
CN (1) CN101292100B (ko)
RU (1) RU2382262C2 (ko)
WO (1) WO20070463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0165C1 (ru) * 2011-07-29 2012-12-20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промторг России)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зубчатого редуктора
US9587731B2 (en) * 2013-08-27 2017-03-0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Lubricating apparatus for rotating shaft
US9945471B2 (en) * 2013-08-27 2018-04-1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Lubricating apparatus for rotating shaft
CN103671803B (zh) * 2013-12-16 2016-07-06 天津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限矩型液力耦合器
CN105020358A (zh) * 2015-08-06 2015-11-04 中交一航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限矩型液力耦合器
DE102015217893B3 (de) * 2015-09-17 2016-10-20 Zf Friedrichshafen Ag Schmier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sowie Getriebe mit dieser Schmiervorrichtung
US9759302B2 (en) 2016-01-25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ypass clutch for a torque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079A (en) * 1964-03-24 Hydrodynamic device with lock-up clutch
FR415319A (fr) * 1910-04-27 1910-09-23 Louis Renault Dispositif de graissage pour les commandes par engrenages
JPS5187656A (ja) * 1975-01-23 1976-07-31 Caterpillar Tractor Co Hagurumakudokiko
DE3104307A1 (de) * 1981-02-07 1982-08-19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ueberbrueckungskupplung
JPS6217428A (ja) 1985-07-15 1987-01-26 Yamaha Motor Co Ltd 湿式多板クラツチのクツシヨンリング
US5101953A (en) * 1986-09-16 1992-04-07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High capacity viscous pumping groove pattern for a wet clutch
JPH0369847A (ja) 1989-08-10 1991-03-26 Tochigi Fuji Ind Co Ltd エアブリーザ機構
US5404964A (en) * 1991-08-05 1995-04-11 Carrier Corporation System for reducing oil migration from a transmission
JP2760693B2 (ja) 1992-02-28 1998-06-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収納構造
DE4207991C2 (de) * 1992-03-13 1995-03-23 Ford Werke Ag Lagerung für die Kurbelwelle einer Zweitakt-Brennkraftmaschine mit Kurbelgehäuseverdichtung
DE4321655A1 (de) * 1993-06-30 1995-01-12 Rudolf Stegherr Einrichtung zur Schmierung von schnellaufenden Zahnradgetrieben durch einen Öltransport, bewirkt durch die rotierenden Zahnräder selbst
US5689993A (en) * 1995-04-21 1997-11-25 Kokusai Keisokuki Kabushiki Kaisha Double flank meshing test method
WO1997023362A1 (fr) * 1995-12-21 1997-07-03 Aisin Aw Co., Ltd. Dispositif d'entrainement pou automobiles electriques
JP3582288B2 (ja) 1997-03-31 2004-10-2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クラッチ装置
GB9717593D0 (en) * 1997-08-19 1997-10-22 Perkins Lt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increased lubricating oil capacity and/or an increased gradiability
IT1299078B1 (it) * 1998-04-15 2000-02-07 Baruffaldi Spa Cambio di velocita' con paratia interposta tra carcassa e gruppo di trasmissione rotante
JP4169414B2 (ja) * 1999-02-02 2008-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軸の潤滑油供給通路構造
DE10024191B4 (de) 1999-05-21 2012-06-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JP2001221326A (ja) 2000-02-08 2001-08-17 Nissan Diesel Motor Co Ltd 変速機の潤滑装置
US6467578B1 (en) * 2000-05-17 2002-10-2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ear baffle windage test rig
JP2003287056A (ja) 2002-03-29 2003-10-10 Okamura Corp 湿式多板クラッチ
JP4543613B2 (ja) * 2003-03-14 2010-09-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変速機
KR100692124B1 (ko) * 2003-11-04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오일 누유 방지장치
JP2006162039A (ja) * 2004-12-10 2006-06-22 Aisin Ai Co Ltd 自動車等の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6310A2 (en) 2007-04-26
JP2007113703A (ja) 2007-05-10
CN101292100A (zh) 2008-10-22
CN101292100B (zh) 2012-05-02
RU2382262C2 (ru) 2010-02-20
EP1937999A2 (en) 2008-07-02
JP4438732B2 (ja) 2010-03-24
RU2008119836A (ru) 2009-11-27
US20070137920A1 (en) 2007-06-21
EP1937999B1 (en) 2012-12-26
WO2007046310A3 (en) 2007-08-30
KR100933649B1 (ko) 2009-12-23
US8939257B2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49B1 (ko) 동력 전달 기구
US7455159B2 (en) Torque transmitting unit and power train having a torque transmitting unit
US6896087B2 (en) Component arrangement for an all terrain vehicle
US7100562B2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340578C (en)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CA2431567A1 (en) Blow-by gas separator and decompres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542028C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orque converter
US6758197B2 (en) Blow-by gas separator and decompres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3085241A1 (fr) Moteur
WO2003085285A1 (fr) Moteur
EP1134365B1 (en)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US7802667B2 (en) Clutch exhaust assembly and method
US6257192B1 (en) Four cycle engine lubrication structure
JP4200708B2 (ja) 自動変速機
EP1523614A1 (en) Motorcycle engine
JPS59106761A (ja) 歯車装置の潤滑油導入装置
US7779727B2 (en) Power unit case configured to house both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nd power unit including same
CN113090384A (zh) 一种摩托车及其水冷式发动机
JP2024017414A (ja) 変速機
CN215474442U (zh) 混合动力汽车的驱动装置
JP2024017415A (ja) 変速機
JP2008031900A (ja) エンジン用オイルポンプ
CN116291857A (zh) 一种共腔式驱动总成及农机
JP4847279B2 (ja) 発進装置
GB2562500A (en) Gear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