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060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060A
KR20080038060A KR1020070108515A KR20070108515A KR20080038060A KR 20080038060 A KR20080038060 A KR 20080038060A KR 1020070108515 A KR1020070108515 A KR 1020070108515A KR 20070108515 A KR20070108515 A KR 20070108515A KR 20080038060 A KR20080038060 A KR 2008003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threshing
input shaft
grain stem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후지타
요시타카 우에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과제) 예취부 및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로의 전동경로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무단변속 구동되는 주행장치(2)와 주행장치(2)의 주행속도에 동조시킨 예취부(4)와 탈곡장치(3)의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앞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갖는다.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는 미션케이스(81)의 변속 출력축(86)으로부터 예취부(4)에 이르는 전동경로와 전동 기어박스(26)로부터 예취부(4)에 이르는 전동경로의 2계통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취부(4)와 변속 출력축(86) 사이에는 미션케이스(81)로부터의 회전을 예취부(4)에 전달하는 예취 클러치(87)를 설치하고, 전동 기어박스(26)와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 사이에는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로부터의 회전을 예취부(4)에 전달하는 레이킹(raking) 클러치(89)를 설치한다.
Figure P1020070108515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의 하방에 엔진의 회전이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및 미션케이스를 통해서 무단 변속해 전달되어 구동하는 주행장치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의 전방에 미션케이스의 변속 출력축으로부터 주행속도에 동조시킨 회전이 전달되는 예취부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의 상방에는 곡간(穀稈) 공급 반송장치에 의해 공급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곡간 공급 반송장치의 앞부에 나란하게 설치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는 기체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엔진의 구동력을 분기시켜 전달하는 전동 기어박스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 내에 있어서 상기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로의 회전 전달을 접속/차단하도록 한 구성은, 하기 특허문헌 1에 의해 공지이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5-9518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공지 예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동 박스에서 세 방향으로 분기시키고 있지만, 예취부의 전동 아래쪽에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가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을 정지한 채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예취부와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를 일정 속도로 구동해서 논두렁가의 곡간을 수확하기 위해서 상기 전동 박스의 내부에 예취 클러치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전동 박스 내부의 전동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예취부를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시킬 때에, 예취부의 입력축측으로 걸어 감은 전동벨트를 떼지않으면 안되지만, 이 전동벨트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이 예취부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조작에 노력을 필요로 하고, 예취부 및 기체측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원은 예취부 및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로의 전동 경로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제공 할 수 있고, 또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주행장치(2)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에 예치부(4)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탈곡장치(3)를 설치하고, 그 탈곡장치(3)의 탈곡실(6) 옆쪽에 상기 예취부(4)에 의해 수확한 곡간을 상기 탈곡실(6)에 공급하는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설치하고, 상기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앞부에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좌우 방향으 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앞부에 상기 주행장치(2)를 구동하는 미션케이스(81)를 설치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에 엔진(20)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장치(82)를 부착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 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장치(82)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 내의 전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출력축(86)과 예취부(4)의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예취 클러치(87)를 설치하고, 상기 탈곡장치(3)의 전방에 전동 기어박스(26)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에 엔진(20)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중간 입력축(25)과, 탈곡실(6) 내의 급동(扱胴)(7)을 구동하는 탈곡용 출력축(27)과,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구동하는 선별용 출력축(40)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을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 내에 상기 중간 입력축(25)에 입력된 엔진(20)의 구동력을 탈곡용 출력축(27)과 선별용 출력축(40)과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에 분기하여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탈곡장치(3)의 전방에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기어 케이스(60)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에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으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90)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 내에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에 입력된 구동력을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90)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의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과 기어 케이스(60)의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 사이에 레이킹(raking) 클러치(89)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의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과 예취부(4)의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상기 양 축(57,88)을 연동시키는 벨트(58A)를 설치하고, 엔진(20)의 구동력을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와 미션케이스(81) 내의 전동기구와 변속 출력축(86)을 거쳐서 상기 예취 입력축(88) 및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으로 전달하는 제 1 전동경로를 구성하고, 엔진(20)의 구동력을 상기 중간 입력축(25)과 전동 기어박스(26) 내의 전동기구와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을 거쳐서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 및 예취 입력축(88)으로 전달하는 제 2 전동경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취 클러치(87)를 접속으로 하면 주행장치(2)의 주행속도와 동조한 회전이 예취부(4)에 전달되어서 통상의 예취 작업이 행하여진다.
또한, 예취 클러치(87)를 차단하고 레이킹 클러치(89)를 접속으로 하면, 상기 전동 기어박스(26)로부터의 회전이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에 전달되어서 구동하고, 이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에 연동해 예취부(4)도 구동되어, 주행을 정지한 채 논두렁가 곡간의 예취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예취 클러치(87)를 변속 출력축(86)과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설치한 전동용 벨트(84A)를 긴장시키는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로 하고, 상기 예취부(4)를 기체 프레임(1)의 앞부 한쪽에 설치한 지지부(65)에 기체외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취 클러치(87)의 벨트(84A)를 떼고, 또한 기어 케이스(60)의 입력축(57)과 예취 입력축(88)을 연동시키는 벨트(58A)를 떼면, 예취부(4)를 기체외측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이 예취부(4) 및 기체측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주행속도에 동조한 예취부(4)의 회전을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에도 전달해서 통상의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기체의 주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엔진(20)의 구동력을 전동 기어박스(26)를 통해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와 예취부(4)에 전달하여 논두렁가의 곡간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탈곡장치(3)의 전방에 설치한 전동 기어박스(26)에 의해 엔진(20)의 구동력을 급동(7)을 구동하는 탈곡용 출력축(27)과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구동하는 선별용 출력축(40)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에 분기하여 전동함으로써, 논두렁가의 곡간을 수확하기 위한 특별한 클러치를 전동 기어박스(26)의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의 전동구성을 간소화해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얻은 데 더하여 예취 클러치(87)의 전동용 벨트(84A)를 떼고, 또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60)의 입력축(57)과 예취 입력축(88)을 연동시키는 벨트(58A)를 떼어서, 예취부(4)를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이 예취부(4) 및 기체측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 2는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설치한 주행장치,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설치한 탈곡장치, 4는 탈곡장치(3)의 앞측에 설치한 예취부, 5는 탈곡장치(3)의 측부에 설치한 그레인 탱크이다.
상기 예취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의 앞부 한쪽에 설치한 2개의 지주(지지부)(65)에 지지시켜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3)의 탈곡실(6)에 급동(7)을 설치하고, 급동(7)의 하방에는 풍구(8)를 설치하고, 풍구(8)의 아래쪽에는 곡립과 이물을 풍선(風選)할 수 있는 풍선실(부호생략)을 형성한다. 풍선실 내에는 풍구(8)의 송풍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는 요동 선별선반(9)에 의해 구성한 요동 선별장치(부호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10은 배진 처리장치의 배진 처리통, 11은 배진 처리통(10)과 동축의 2번 처리통, 12는 1번 컨베이어, 13은 2번 컨베이어, 14는 흡인 배진팬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실(6)의 측부에는 탈곡실(6)에 곡간을 공급하는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설치하고,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앞부에 일부 겹치도록 배열하여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설치하여, 예취부(4)로부터 반송되는 곡간을 원활·확실하게 넘겨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종단에는 탈곡이 끝난 폐볏짚을 폐볏짚 처리부(커터장치 혹은 결속장치)까지 반송하는 폐볏짚 반송장치(17)를 설치한다.
그리고 20은 엔진이고, 엔진(20)의 엔진 출력축(21)에는 엔진 출력풀리(22)를 설치하고, 엔진 출력풀리(22)에는 중간 입력풀리(23)와의 사이에 벨트(24)를 걸어 감는다. 상기 벨트(24)를 긴장 및 이완시키는 텐션 풀리(18)를 설치해 탈곡 클러치를 형성한다.
중간 입력풀리(23)는 중간 입력축(25)에 고정하고, 중간 입력축(25)은 전동 기어박스(26)에 베어링한다. 전동 기어박스(26)는 임의의 부착부재에 의해 기체 고정부(예를 들면 탈곡실(6) 앞 판 등)에 설치한다.
전동 기어박스(26)에는 상기 급동(7) 등에 회전을 출력하는 탈곡용 출력축(27)을 베어링하고, 탈곡용 출력축(27)과 상기 중간 입력축(25) 사이에 복수의 기어(28)를 맞물리게 하여 회전을 전달한다.
상기 탈곡용 출력축(27)에는 탈곡 출력풀리(30)를 고정하고, 탈곡 출력풀리(30)에는 급동 입력풀리(31)와 배진 처리통(10) 및 2번 처리통(11)의 입력풀리(32) 사이에 벨트(34)를 걸어 감는다. 35는 급동(7)에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36)를 설치한 기어 케이스, 37은 폐볏짚 반송장치(17)에 회전을 전달하는 폐볏짚 입력풀리이다.
또한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에는 별도로 선별용 출력축(40)을 설치하고, 선별용 출력축(40)에는 선별용 출력풀리(41)를 설치한다. 선별용 출력풀리(41)와, 요동 입력풀리(42)와, 1번 컨베이어 입력풀리(43)와, 2번 컨베이어 입력풀리(44)와, 배진팬 입력풀리(45)에 벨트(46)를 걸어 감는다. 또한 선별용 출력축(40)에는 따로 풍구 출력풀리(47)를 설치하고, 풍구 출력풀리(47)와 풍구 입력풀리(48) 사이에 벨 트(49)를 걸어 감는다. 이 경우, 풍구 입력풀리(48)는 소위 분할 풀리(split pulley)에 의해 구성하고, 풍구(8)에 전달되는 회전을 변속시킨다.
51은 배진팬 입력풀리(45)를 설치한 후측 기어 케이스이고, 후측 기어 케이스(51)에는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후측 구동기어(52)를 베어링하고,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에 회전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에는 별도로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을 설치하고,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에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풀리(55)를 설치하고,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풀리(55)와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풀리(56A) 사이에 벨트(59)를 걸어 감는다.
또한, 상기 공급 반송용 출력축(54)과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풀리(55) 사이, 또는 후술하는 기어 케이스(60)에 축지지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풀리(56A)부에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미션케이스(81)로부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에 의해 무단 변속된 주행속도와 동조한 구동회전으로부터, 엔진(20)으로부터의 일정 구동회전으로 전동을 스위칭하여, 논두렁가 곡간의 예취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풀리(56A)는 탈곡장치(3)의 전방에 설치한 기어 케이스(60)에 베어링한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의 일단(내단측)에 설치하고,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의 기어 케이스(60)의 외측 타단측에는 별도 앞측 공급 반송 싱크로용 입력풀리(56B)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앞측 공급 반송 싱크로용 입력풀리(56B)에 상기 주행장치(2)의 주행속도에 동조시켜 변속해 예취부(4)에 전달하는 회전을 입력한다.
또한, 상기 기어 케이스(60)에는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의 앞측 구동기어(61)를 부착한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90)을 베어링하고, 앞측 구동기어(61)에 반송체인을 걸어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성한다.
따라서, 엔진(20)으로부터의 회전을 전동 기어박스(26)에서 적어도 급동(7)등과 요동 선별선반(9) 등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 등의 세 방면의 각 부로 분기시켜서 전달하므로, 전동기구를 경량·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에는 별도로, 임의의 외부기기용 출력축(61A)을 설치하고, 외부기기용 출력축(61A)으로부터 에어콘 혹은 유압펌프 등의 외부기기를 구동한다.
즉, 외부기기에는 항상 일정 회전을 전달하므로, 엔진(20)으로부터의 일정 회전이 전달되는 전동 기어박스(26)로부터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것은 형편이 좋다. 이것에 의해 전동 기어박스(26)를 외부기기용의 전동 기어박스로서 겸용하는 구성이 되어, 전달 경로를 짧게 해서 전체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2는 예취부(4)를 지지하는 예취 지지프레임, 63은 예취 지지프레임(62)의 기초부에 설치한 전동통, 64는 전동통(63)에 설치한 이삭끝 인계 반송장치 및 포기 밑동 인계 반송장치(도시생략)의 구동기어이다.
그리고, 상기 예취부(4)의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시키는 구성은 임의이지만, 일례를 들자면, 상기 전동통(63)의 외단측 근방에는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한 쌍 의 지주(지지부)(65)를 설치하고, 각 지주(65)에는 각각 길이가 상위한 암(66)의 기초부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암(66)의 선단은 상기 전동통(63)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한다.
따라서, 상기 예취부(4)는 기체 프레임(1)의 앞부 한쪽에 설치한 2개의 지주(65)에 의해 지지되고, 전동통(63) 및 예취 지지프레임(62)과 함께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 출력풀리(30)는 상기 전동 기어박스(26) 앞측에 설치하고 (도 5), 탈곡 출력풀리(30)와 급동 입력풀리(31) 사이에 걸어 감은 벨트(34)보다 후측에 전동 기어박스(26)가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벨트(34)의 후방에 전동 기어박스(26)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예취부(4)의 예취 현가대(도시생략)와 전동 기어박스(26) 사이의 공간을 넓힐 수 있고, 엔진(20)으로부터의 열풍 배출성이 양호해져 히트 밸런스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24)에는 탈곡 클러치(18)를 형성하는 텐션 클러치 풀리를 접속/분리 가능하게 접촉시켜 상기 텐션 클러치 풀리를 텐션암의 선단에 설치하고, 텐션암의 기초부는 축에 의해 전동 기어박스(26)에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텐션암의 기초부의 축은 축의 기초부 및 축 선단의 양쪽을 전동 기어박스(26)의 지지부에 의해 소위 센터 임펠러(center impeller) 상태에서 지지한다.
탈곡 클러치(18)가 접속으로 될 때는 급동(7)의 기동 토크(torque)가 크고, 충격적인 큰 힘이 텐션암의 축에 걸리는 일이 있지만, 텐션암의 축은 기초부 및 선단의 양쪽을 소위 센터 임펠러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을 분산시켜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벨트(24)의 탈곡 클러치(18)를 형성하는 텐션 클러치 풀리를 전동 기어박스(26)에 부착함으로써 전동 기어박스(26)의 부착부재를 겸용할 수 있고, 탈곡 출력풀리(30)와 급동 입력풀리(31)와 탈곡 클러치(18)의 배치 정밀도도 향상하고, 벨트(24)의 벗겨짐 등의 불량 발생도 방지한다.
그리고,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기어박스(26)는 정면으로 볼 때에 본체 케이스(71)의 하방에 좌측(엔진(20)측)으로 돌출되는 하측 통부(72)를 설치하고, 하측 통부(72) 내에는 중간 입력축(25)을 베어링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71)의 상방에 우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통부(73)를 설치하고, 상측 통부(73) 내에는 상기 선별용 출력축(40)을 베어링하고, 선별용 출력축(40)에는 선별용 출력풀리(41)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71) 내의 상하 중간위치에 상기 탈곡용 출력축(27)으로부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베벨기어(74)를 베어링하고, 베벨기어(74)에 의해 상기 탈곡 출력풀리(30)에 회전을 전달한다.
따라서, 전동 기어박스(26)는 정면으로 볼 때에 대략 「역Z」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벨트의 장력 밸런스가 잡힌 형상으로 됨과 아울러 상하로 긴 형상이 되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콤바인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합리적 구성으로 된다.
75는 상기 상측 통부(73)의 하방에 설치한 배터리이고, 탈곡장치(3)의 전방 좌측에 배터리(75)를 배치하게 되어 배터리(75)의 착탈, 교환·충전 등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75)의 상방에 상측 통부(73)를 설치하고, 상측 통부(73)에 선별용 출력풀리(41)를 베어링하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선별용 출력풀리(41)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기어박스(26)는 측면으로 볼 때에 본체 케이스(71)의 하방에 하측 통부(72)가 위치하고, 본체 케이스(71)의 상방에 상측 통부(73)를 설치하여, 본체 케이스(71)와 하측 통부(72)와 상측 통부(73)는 대략 같은 폭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측 통부(73)에 축장착한 선별용 출력풀리(41)가 탈곡장치(3)의 앞 판(78)에 형성한 곡간 공급구(79)에 곡간을 안내하는 입구깔때기(76)의 하방이고 요동 선별선반(9)의 전방에 배치한다.
또한, 전동 기어박스(26)를 세로로 길게 구성함으로써 예취부(4)의 예취 현가대(도시생략)와 전동 기어박스(26) 사이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고, 엔진(20)으로부터의 열풍 배출성이 양호해져 히트 밸런스에 효과가 있다.
전동 기어박스(26)의 하측 통부(72)의 중간 입력풀리(23)를 요동 선별선반(9)의 시단부 하방에 위치시켜서, 엔진(20)의 엔진 출력축(21)과 전동 기어박스(26)의 중간 입력풀리(23)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벨트(34)의 붙어서 회전이나 벗겨짐 등의 불량발생을 방지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통부(72)의 축심은 탈곡장치(3) 앞 판(78)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면 엔진(20)의 엔진 출력축(21)과 전동 기어박스(26)의 중간 입력풀리(23)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엔진 출력축(21) 및 중간 입력풀리(23)의 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 출력풀리(30)는 급동(7)의 중심으로부터 정면으로 볼 때에 좌측에 배치하면, 입구 깔때기(76)를 피해서 무리가 없는 벨트(34)의 라인으로 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비용을 저감시킨다.
또한 입구 깔때기(76)를 피해 무리가 없는 벨트(34)의 라인으로 했으므로, 여분의 카운터풀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전동 기어박스(26)에는 에어콘(도시생략)의 컴프레셔(80)를 설치하고, 전동 기어박스(26)를 컴프레셔(80)의 전동 케이스로서 겸용한다. 컴프레셔(80)는 정면으로 볼 때에 중간 입력풀리(23)와 배터리(75)의 사이이며 탈곡 출력풀리(30)의 하방에 배치한다.
따라서, 컴프레셔(80) 전용의 전동 케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감소하며, 비용 및 중량이 모두 경감되어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1은 엔진(20)의 회전을 주행장치(2)에 전달하는 미션케이스이고, 미션케이스(81)에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HST)(82)를 설치한다.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의 변속 입력풀리(83)에는 엔진(20)의 회전을 입력하고,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가 무단 변속해 미션케이스(81)에 전달해 주행한다.
미션케이스(81)에는 예취 출력풀리(84)를 설치하고, 예취 출력풀리(84)는 예 취 입력풀리(85)와의 사이에 벨트(84A)를 걸어 감는다.
상기 예취 출력풀리(84)는 미션케이스(81)에 설치한 변속 출력축(86)에 고정하고, 변속 출력축(86)은 주변속 레버에 의해 변속 조작되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HST)(82)의 출력에 의해 무단변속 구동되어, 상기 변속 출력축(86)의 선단부에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서 부착한 예취 출력풀리(84)로부터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87)를 통해서 예취부(4)의 예취 입력축(88)에 변속 회전이 입력되어 예취부(4)를 주행장치(2)의 주행속도와 동조시켜서 변속한다.
이 경우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4)는 통상의 주행하면서의 예취 작업에서는 엔진(20),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 미션케이스(81)의 변속 출력축(86)의 순서로 전달되는 전동경로(H)에 의해 주행장치(2)의 주행속도와 동조한 회전이 전달되고, 한편 예취부(4)에 전달된 회전이 예취 입력축(88), 중간 전달풀리(58), 벨트(58A), 앞측 공급 반송 싱크로용 입력풀리(56B)의 순서로 전달되어서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시킨다.
또한, 논두렁가의 주행을 정지한 상태에서의 예취 작업에서는 엔진(20), 전동 기어박스(26),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풀리(55), 벨트(59),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풀리(56A),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 앞측 공급 반송 싱크로용 입력풀리(56B), 예취 입력축(88)의 순서로 전달되는 전동경로(G)에 의해 일정 구동회전이 입력되어 예취부(4) 및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상기 벨트(59)를 긴장 및 이완시키는 텐션롤러를 설치해서 레이 킹 클러치(89)를 형성하고, 상기 레이킹 클러치(89)를 접속/차단 조작하는 레이킹 페달(도면생략)을 조종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케이스(60)에 축장착한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의 양단에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풀리(56A)와 앞측 공급 반송 싱크로용 입력풀리(56B)를 각각 설치하고,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에 두 개의 전동경로로부터 별개의 구동을 전달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예취부(4) 및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주행속도와 동조시킨 변속 회전과 엔진(20)으로부터의 일정 회전으로 전환, 구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작용)
엔진(20)을 시동하면 엔진(20)의 회전이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를 통해서 미션케이스(81)에 전달되고 미션케이스(81)는 주행장치(2)를 구동해서 주행한다. 또한 미션케이스(81)로부터 주행속도에 동조한 회전이 예취부(4)에 전달되어서 예취부(4)를 구동하고, 이 예취부(4)의 주행속도에 동조한 회전을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에 전달하여 예취부(4)에서 수확한 곡간을 원활하게 반송한다.
즉, 통상의 예취 작업에서는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는 예취부(4)의 아래쪽이 되는 전동경로(H)에 의해 전달되어서 구동한다.
또한 엔진(20)의 회전이 전동 기어박스(26)의 중간 입력풀리(23)에 전달되어서 전동 기어박스(26)에서 분기된 회전이 전동 기어박스(26)의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으로부터 출력되어서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풀리(55)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고, 예취부(4)에서 베어낸 곡간을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에 의해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와 주고받는다. 전동 기어박스(26)의 선별용 출력축(40)으로부터 출력된 회전이 배진팬 입력풀리(45)와 후측 기어 케이스(51)를 통해서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후측 구동기어(52)에 전달되어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구동하고,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는 곡간을 잡고 반송하면서 이삭끝쪽을 탈곡실(6)에 공급한다.
탈곡실(6)에서는 급동(7)과 전동 기어박스(26)에 전달된 회전 중 탈곡용 출력축(27)으로 분기된 회전이 탈곡 출력풀리(30)로부터 급동 입력풀리(31) 및 기어 케이스(35)를 통해서 전달되어, 회전하는 급동(7)에 의해 곡간 공급장치(7)로 잡고 반송된 곡간의 이삭끝쪽을 탈곡한다.
또한 전동 기어박스(26)에서 분기된 회전의 다른 하나가 풍구 출력풀리(47)로부터 출력되어서 풍구 입력풀리(48)에 전달되어 풍구(8)를 회전시킨다. 또한 선별용 출력풀리(41)로부터 출력된 회전이 요동 입력풀리(42)를 통해서 요동 선별선반(9)을 요동시켜 선별된다. 선별된 곡립은 선별용 출력풀리(41)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1번 컨베이어 입력풀리(43)에 의해 구동되는 1번 컨베이어(12)에서 회수된다.
그리고, 논두렁가의 예취 작업은 주행장치(2)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행하기 때문에 엔진(20)으로부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를 경유하지 않는 전동경로(G)에 의하여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고, 전동경로(G)에서는 예취부(4)가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의 아래쪽이 되어서 회전이 전달되어 구동한다.
즉 논두렁가의 작업에서는 조종부의 주변속 레버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82)의 출력을 정지시켜서 주행이 정지되면 예취부(4)는 일단 구동이 정지되고, 다음에 조종부의 레이킹 페달(도시생략)에 의해 레이킹 클러치(89)를 접속 조작하면, 예취부(4)에 회전이 전달되어서 예취를 행한다.
따라서, 주행 정지조작과 예취 구동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논두렁가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조작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그리고, 예취부(4)를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시킬 때에는 벨트(84A)를 예취 입력풀리(85)로부터 벗기고, 또한 벨트(58A)를 중간 전동풀리(58)로부터 벗기면,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과 같이 벨트 3개를 벗기지 않아도 예취부(4)를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예취부(4) 및 기체측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의 구성을 적당하게 조합시키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콤바인 예의 측면도.
도 2는 탈곡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예취부와 탈곡장치 사이의 측면도.
도 4는 콤바인의 전동기구 개략도.
도 5는 동일부 전개상태 정면도.
도 6은 전동 기어박스 부근의 전개상태도.
도 7은 동 측면도.
도 8은 전동 기어박스에 컴프레셔를 일체로 설치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프레임 2 : 주행장치
3 : 탈곡장치 4 : 예취부
6 : 탈곡실 7 : 급동
15 : 곡간 공급 반송장치 16 :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
17 : 폐볏짚 반송장치 20 : 엔진
25 : 중간 입력축 26 : 전동 기어박스
27 : 탈곡용 출력축 40 : 선별용 출력축
54 :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 57 :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
58A : 벨트 60 : 기어 케이스
65 : 지주(지지부) 81 : 미션케이스
82 :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 84A : 벨트
86 : 변속 출력축 87 : 예취 클러치
88 : 예취 입력축 89 : 레이킹 클러치
90 :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

Claims (2)

  1.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주행장치(2)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에 예취부(4)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탈곡 장치(3)를 설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3)의 탈곡실(6)의 옆쪽에 상기 예취부(4)에 의해 수확한 곡간을 상기 탈곡실(6)에 공급하는 곡간 공급 반송장치(15)를 설치하고,
    상기 곡간 공급 반송장치(15)의 앞부에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앞부에 상기 주행장치(2)를 구동하는 미션케이스(81)를 설치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에 엔진(20)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장치(82)를 부착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 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장치(82)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미션케이스(81) 내의 전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출력축(86)과 예취부(4)의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예취 클러치(87)를 설치하고,
    상기 탈곡장치(3)의 전방에 전동 기어박스(26)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에 엔진(20)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중간 입력축(25)과, 탈곡실(6) 내의 급동(7)을 구동하는 탈곡용 출력축(27)과, 곡간 공급 반송장 치(15)를 구동하는 선별용 출력축(40)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을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 내에 상기 중간 입력축(25)에 입력된 엔진(20)의 구동력을 탈곡용 출력축(27)과 선별용 출력축(40)과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에 분기해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탈곡장치(3)의 전방에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기어 케이스(60)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에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으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과, 앞측 곡간 공급 반송장치(16)를 구동하는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90)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 내에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에 입력된 구동력을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90)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박스(26)의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과 기어 케이스(60)의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 사이에 레이킹 클러치(89)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 케이스(60)의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과 예취부(4)의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상기 양 축(57,88)을 연동시키는 벨트(58A)를 설치하고,
    엔진(20)의 구동력을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82)와 미션케이스(81) 내의 전동기구와 변속 출력축(86)을 거쳐서 상기 예취 입력축(88) 및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에 전달하는 제 1 전동경로를 구성하고,
    엔진(20)의 구동력을 상기 중간 입력축(25)과 전동 기어박스(26) 내의 전동 기구와 앞측 공급 반송용 출력축(54)을 거쳐서 상기 앞측 공급 반송용 입력축(57) 및 예취 입력축(88)에 전달하는 제 2 전동경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클러치(87)를 변속 출력축(86)과 예취 입력축(88) 사이에 설치한 전동용 벨트(84A)를 긴장시키는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로 하고,
    상기 예취부(4)를 기체 프레임(1)의 앞부 한쪽에 설치한 지지부(65)에 기체 외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70108515A 2006-10-27 2007-10-26 콤바인 KR20080038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3195 2006-10-27
JP2006293195A JP4968446B2 (ja) 2006-10-27 2006-10-2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60A true KR20080038060A (ko) 2008-05-02

Family

ID=3944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515A KR20080038060A (ko) 2006-10-27 2007-10-26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68446B2 (ko)
KR (1) KR200800380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8132B2 (ja) * 2009-09-24 2013-09-1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835747B2 (ja) * 2009-10-30 2011-12-1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2726171A (zh) * 2012-06-12 2012-10-17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高地隙行走的履带式联合收割机
CN102696352B (zh) * 2012-06-18 2014-11-05 南昌江铃集团协和传动技术有限公司 用于收获机械的带无级增扭机构的变速箱总成
JP5765396B2 (ja) * 2013-09-26 2015-08-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4160824B (zh) * 2014-07-29 2016-01-27 江苏大学 一种切横流多滚筒联合收割机的传动系统
JP5854101B2 (ja) * 2014-09-18 2016-02-0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146A (ja) * 1997-11-28 1998-05-1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部の同調制御機構
JP2002176832A (ja) * 2000-12-15 2002-06-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3842176B2 (ja) * 2002-06-28 2006-11-0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5027543A (ja) * 2003-07-10 2005-02-0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部回動装置
JP2005095189A (ja) * 2004-12-28 2005-04-1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の補助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68446B2 (ja) 2012-07-04
JP2008109860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8060A (ko) 콤바인
KR20130129097A (ko) 콤바인
JP2009240211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への動力伝達装置
JP2010051220A (ja) 刈取収穫機
KR101669332B1 (ko)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JP2013005784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4835747B2 (ja) コンバイン
CN107114054B (zh) 用于联合收割机的驱动组件
KR101064244B1 (ko) 콤바인
JP2008245610A (ja) コンバイン
JP4756375B2 (ja) コンバイン
JP5655819B2 (ja) コンバイン
KR20050057212A (ko) 콤바인
KR101669331B1 (ko) 콤바인의 회전축 속도 조절장치
JP5099353B2 (ja) コンバイン
JP4935940B2 (ja) コンバイン
JP2014000032A5 (ko)
JP5991231B2 (ja) コンバイン
KR101669333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JP6020636B2 (ja) コンバイン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11160813A5 (ko)
KR101686295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예취부 동력전달장치
JP2003143926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4807433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