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688A -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688A
KR20080037688A KR1020087004480A KR20087004480A KR20080037688A KR 20080037688 A KR20080037688 A KR 20080037688A KR 1020087004480 A KR1020087004480 A KR 1020087004480A KR 20087004480 A KR20087004480 A KR 20087004480A KR 20080037688 A KR20080037688 A KR 2008003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lat
flat cable
carrier tape
conducto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733B1 (ko
Inventor
데츠지 고지마
히사야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도체의 절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소정의 피치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2a)가 절연재(2b)로 끼이고, 양단에 도체(2a)가 소정의 길이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어느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3)로 구성된다. 복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소위 하프컷에 의해 개별적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3)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맞붙여져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하프컷, 절단, 캐리어 테이프, 절곡, 도체, 절연재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FLEXIBLE FLAT CABLE WITH CARRIER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컨대 각종 전자 기기 내 등에서 중계 케이블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캐리어 테이프로 지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단에 도체가 노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취급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프린터나 스캐너 등의 각종 전자 기기 제품에서는, 내부에 배열되어 설치된 부품이나 배선 기판간의 중계 케이블로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그 뛰어난 가용성으로 가동부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가지므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소정의 폭을 갖는 박판형의 도체(소위 평각도체)를 절연재로 끼움으로써 구성되며, 각 도체가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배선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예컨대 각 도체를 배선 기판이나 부품의 소정의 단자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양단 부분에서 절연재가 제거되어 도체가 노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접속 시에는 이 노출된 도체를 납땜함으로써 상기 배 선 기판이나 부품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그런데, 전술한 납땜 대응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체가 절연재로부터 돌출된 형태에서 취급되게 되어 절곡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박판형의 도체는 약간의 힘이 가해져도 절곡되어 버려, 상기와 같이 도체가 돌출된 상태에서 취급하면 빈번하게 절곡이 발생한다. 도체의 절곡은 납땜을 행하는 데 커다란 지장이 되며, 작업성을 열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도체가 돌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한데 모아서 취급하면, 도체의 돌출 부분이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서로 얽혀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 돌출된 도체 부분에 예컨대 절곡 방지의 목적에서 한면 테이프를 맞붙여 도체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등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두 장의 절연 테이프 사이에 복수 개의 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하고, 양단부의 도체를 일정 길이에 걸쳐 노출시켜 접속 단말부로 한 플랫 케이블의 한쪽 면의 절연 테이프의 단부에 이 테이프 단부와 상기 접속 단말부를 덮는 단말 보호용 필름이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단말 보호 필름을 붙인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단말 보호용 필름에는 폭이 좁은 접착층이 플랫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접착층의 두께는 플랫 케이블의 도체 간격 부분에 위치하는 절연 테이프 표면에는 접착하지 않는 두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보호 필름을 붙인 플랫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단 순히 돌출된 도체 부분에 한면 테이프(단말 보호 필름)를 붙일 뿐만 아니라, 단말 보호 필름을 테이프측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 방향 상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절연 테이프로부터 뜯어벗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14966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발명과 같이 돌출된 도체 부분에 한면 테이프(단말 보호 필름)를 붙이는 방법에서는,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 2군데에 단말 보호 필름을 붙일 필요가 있어 그를 위한 작업이 번잡하며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도 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플렉시블 인쇄 기판에 비하여 저비용인 것이 장점인데, 상기 제조 비용의 상승은 이러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이점을 손상시키게 된다. 더욱이, 단말 보호 필름을 벗기는 품도 필요하고 도체 컬(curl)도 일어나기 쉽다.
또한, 특히 길이가 짧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취급하는 경우, 손으로 쥐기가 어려워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으며, 정렬 작업이 어려워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는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보호 필름을 붙이는 것으로는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조 비용을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도체의 절곡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짧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도 간단히 취급할 수 있고, 핸들링이 양호하여 공정 수 삭감이 가능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소정의 피치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재로 끼이고, 양단에 상기 도체가 소정의 길이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어느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로 구성되며, 복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맞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피치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재로 끼이고,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절연재가 제거되어 상기 도체가 노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캐리어 테이프에 맞붙인 후, 상기 도체가 노출되는 위치에서 하프컷을 행하고, 상기 도체만을 절단하여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서는 도체가 노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말 보호 필름을 붙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체의 강도가 확보되어 절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길이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캐리어 테이프 상에 연속적으로 맞붙여져 있으므로 길이가 짧아도 취급이 용이하고, 도체가 서로 얽히지 않아 정렬하는 작업도 불필요해지는 등 핸들링이 양호해져 작업 효율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캐리어 테이프에 맞붙인 후 하프컷을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분리하고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캐리어 테이프에 붙일 필요가 없어, 전술한 구성의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생산성 양호하게 제조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붙일 때에는 각별한 위치 결정 등도 필요가 없어, 이 점에서도 공정의 간략화가 실현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제조 비용을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도체의 절곡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길이가 짧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도 간단히 취급할 수 있고, 핸들링을 양호하게 하여 공정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례를 보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권회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a…도체,
2b…절연재, 3…캐리어 테이프,
11…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 11a…도체,
11b…절연재, 21, 22…가이드 롤,
23…위치 결정 기구, 23a…지지대,
23b…제1 가이드판, 23c…제2 가이드판,
24, 25…라미네이트 롤, 26…커터,
27…센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례를 보인 도시한 것이다. 이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소정의 길이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길다란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3)에 일렬로 맞붙여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으나, 캐리어 테이프(3)는 연속체의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서 비록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길이가 짧아도 길다란 형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동일한 취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서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박판형의 도체(2a)가 대략 나란히 배열됨과 아울러, 이들 도체(2a)에 상하 두 장의 절연재(2b)가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그 결과, 각 도체(2a) 사이의 절연이 확보됨과 아울러, 각 도체(2a)가 상하 두 장의 절연재(2b) 사이에 끼여 보호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있어서는 양단 부분에 있어서 도체(2a)가 소정의 길이 노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노출된 도체(2a)를 납땜함으로써 접속을 행하는 납땜 대응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구성하는 도체(2a)는 소위 평각도체로서 형성되는 것이며, 그 재질은 전기 전도 재료(금속)이면 임의이다. 예컨대, 주석 도금을 실시한 평각 연동선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체(2a)의 치수나 수도 임의인데, 예컨대 도체(2a)의 두께는 35μm∼100μm 정도이며, 폭은 0.3mm∼0.8mm 정도이다. 도체간 피치는 예컨대 0.5mm∼1.25mm 정도이다. 배열되는 도체(2a)의 수(선심수)는 예컨대 4개∼60개 정도이다.
상기 도체(2a)를 끼우는 절연재(2b)는 절연성을 갖는 각종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절연재(2b)는 연소되어도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3)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일련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동일한 취급을 가능하 게 하며,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돌출되는 도체(2a)를 보강(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갖는 재료이면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3)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3)를 통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서의 불량의 발생이나 이물질의 혼입 등을 검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3)의 어느 하나의 면에는 점착제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들 점착제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맞붙여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나 접착제는 소위 미점착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간단히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예컨대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길이가 짧아도 길다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핸들링할 때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하나씩 손에 쥐지 않아도 되어 공정수 삭감을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도체(2a)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3)에 의해 보강된 형태가 되어, 도체(2a)의 절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돌출되는 도체(2a)가 서로 얽히지도 않는다.
전술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된 상태에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권회된 상태에서 취급하면 보존 등도 용이하며, 또한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길이 감아냄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에 있어서는, 캐리어 테이프(3)에 절단 전의 연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라미네이트하고, 소위 하프컷에 의해 연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절단하여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로 분리하고 있으므로,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캐리어 테이프(3) 상에 정연하게 나란한 상태에서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로부터 필요한 길이를 감아냄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고, 예컨대 자동화도 용이하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꺼냄에 있어서는 캐리어 테이프(3)를 예컨대 180도 방향으로 박리하면 되며, 이에 따라 신속하게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전술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조하려면 캐리어 테이프(3)에 절단 전의 연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라미네이트하고, 소위 하프컷에 의해 연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절단하여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로 분리한다.
도 3은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장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 및 캐리어 테이프(3)를 각각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21, 22)과, 공급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 및 캐리어 테이프(3)를 폭방향에 있어서 위치맞춤하는 위치 맞춤 기구(2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 캐리어 테이프(3)를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롤(24, 25) 및 라미네이트(7) 후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를 절단하는 커터(2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는 도체(11a)와 절연재(11b)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체(11a)가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절연재(11b)가 박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는 상기 도체(11a)에 의해 길다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 테이프(3)에 대해서는 예컨대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한다. 투명한 캐리어 테이프(3)를 사용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3)를 통하여 맞붙여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 및 캐리어 테이프(3)를 가이드 롤(21, 22)로 가이드하면서 서로 대향하도록 공급한다. 공급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 및 캐리어 테이프(3)는 위치 맞춤 기구(23)에 의해 폭 방향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상기 위치 맞춤 기구(23)는 지지대(23a) 상에 캐리어 테이프(3)와 대략 같은 폭의 슬릿을 갖는 제1 가이드판(23b)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 대략 같은 폭의 슬릿을 갖는 제2 가이드판(23c)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1 가이드판(23b) 및 제 2 가이드판(23c)의 작용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 캐리어 테이프(3)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서로 위치 맞춤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 캐리어 테이프(3)는 그 후 라미네이트 롤(24, 25)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라미네이트된다. 캐리어 테이프(3)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의 대향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라미네이트 롤(24, 25)로 가압함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와 캐리어 테이프(3)가 라미네이트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후, 커터(26)에 의한 하프컷이 행해져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가 절단되어 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로 분리된다. 상기 하프컷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를 노출시키는 도체(11)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행해지며, 그 결과 절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양단에 도체(2a)가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하프컷에서는 캐리어 테이프(3)가 절단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커터(26)의 바로 앞 위치에 센서(27)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의 도체(11a)의 노출 위치, 나아가서는 도체(11a)나 캐리어 테이프(3)의 높이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적정한 위치에서 적정하게 하프컷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센서(27)(또는 다른 센서나 육안 등)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에 맞붙여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의 불량이나 이물질의 혼입 등을 검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하프컷 후에 캐리어 테이프(3)에 맞붙여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불량이나 이물질의 혼입 등을 검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3)을 투명하게 함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11)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일부러 벗기지 않아도 상기 검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일괄적으로 캐리어 테이프(3)를 라미네이트할 수 있고, 예컨대 단말 보호 필름을 도체(2a)에 붙이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 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저절로 캐리어 테이프(3) 상에 정연하게 나란한 상태가 되어 정렬 작업 등도 불필요하므로, 이 점에 있어서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각 구성 요소의 형상, 치수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9)

  1. 소정의 피치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재로 끼이고, 양단에 상기 도체가 소정의 길이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어느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로 구성되며,
    복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맞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미점착 상태에서 맞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회 상태에서 취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6. 소정의 피치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도체가 절연재로 끼이고,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절연재가 제거되어 상기 도체가 노출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캐리어 테이프에 맞붙인 후,
    상기 도체가 노출되는 위치에서 하프컷을 행하고, 상기 도체만을 절단하여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를 개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와 캐리어 테이프를 지그에 의해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와 캐리어 테이프를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투명하게 하고, 해당 캐리어 테이프를 통하여 맞붙여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원재료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1020087004480A 2006-06-16 2007-06-01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0926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7518A JP2007335296A (ja) 2006-06-16 2006-06-16 キャリアテープ付き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167518 2006-06-16
PCT/JP2007/061167 WO2007145084A1 (ja) 2006-06-16 2007-06-01 キャリアテープ付き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688A true KR20080037688A (ko) 2008-04-30
KR100926733B1 KR100926733B1 (ko) 2009-11-17

Family

ID=3883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480A KR100926733B1 (ko) 2006-06-16 2007-06-01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33898A1 (ko)
JP (1) JP2007335296A (ko)
KR (1) KR100926733B1 (ko)
CN (1) CN101341554B (ko)
HK (1) HK1127905A1 (ko)
WO (1) WO2007145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08B1 (ko) * 2010-07-28 2012-04-16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방법
CN102194552B (zh) * 2010-12-29 2012-08-08 今皓光电(昆山)有限公司 柔性扁平电缆制程工艺
KR101228888B1 (ko) * 2011-05-31 2013-02-01 김선기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2258406U (zh) * 2011-08-17 2012-05-30 何少敦 一种间断式粘连电源排线
US8660287B2 (en) * 2011-09-28 2014-02-25 Htc Corporation Seamless heads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2945709B (zh) * 2012-11-07 2015-12-16 深圳闻信电子有限公司 一种ffc综合加工机
US9526285B2 (en) * 2012-12-18 2016-12-27 Intel Corporation Flexible computing fabric
CN106164202A (zh) * 2014-04-28 2016-11-2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扁平电缆用增强带及扁平电缆
JP7226111B2 (ja) * 2019-05-31 2023-0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
KR20210034386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593A (en) * 1979-05-25 1981-08-11 Thomas & Betts Corporation Multiconductor cable
US4460804A (en) * 1982-08-02 1984-07-17 Svejkovsky Roger L Flexible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FR2557385B1 (fr) * 1983-12-23 1986-10-17 Nozick Jacques Connecteur electrique multipol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S62193914A (ja) * 1986-02-21 1987-08-26 ソニ−ケミカル株式会社 電子部品用接着キヤリアテ−プ及びこの接着キヤリアテ−プによる電子部品の実装方法
US4730146A (en) * 1986-10-21 1988-03-08 W. H. Brady Co. Folded electroluminescent lamp assembly
JPH04328211A (ja) * 1991-04-26 1992-11-17 Hirata Kiko Kk フラットケーブ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着方法
JPH07141936A (ja) * 1993-11-17 1995-06-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7161245A (ja) * 1993-12-10 1995-06-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9203907A (ja) * 1995-11-20 1997-08-05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装置
JPH1055726A (ja) * 1996-08-09 1998-0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0149668A (ja) * 1998-11-13 2000-05-30 Totoku Electric Co Ltd 端末保護フィルム貼付フラットケーブル
CN1327456C (zh) * 2005-01-04 2007-07-18 天津竹内装璜有限公司 挠性扁平电缆母材和挠性扁平电缆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5084A1 (ja) 2007-12-21
JP2007335296A (ja) 2007-12-27
HK1127905A1 (en) 2009-10-09
US20090133898A1 (en) 2009-05-28
CN101341554A (zh) 2009-01-07
CN101341554B (zh) 2011-07-06
KR100926733B1 (ko) 2009-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33B1 (ko) 캐리어 테이프를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JP4506818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1180619B1 (ko)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JP5245580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529750B (zh) Flat cable
WO2020158606A1 (ja) 複数の積層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部材集合体
JP4459078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239133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625015B (zh) Solder pad connection structure of cable conductor and flexible circuit board
JP2015050206A (ja) 配線部材
JPH087052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スプライス構造
JP661750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体
JP201004486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13595B2 (ja) 平角導線の整列治具
JP311866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820357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とプリント配線基板との接続方法
JP3124813U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5446742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668164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6689135B2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H0820333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H0516054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201203848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
JPH07153322A (ja) テープ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12369A (ja) 電子部品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