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110A - 휠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휠식 작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7110A KR20080037110A KR1020087006847A KR20087006847A KR20080037110A KR 20080037110 A KR20080037110 A KR 20080037110A KR 1020087006847 A KR1020087006847 A KR 1020087006847A KR 20087006847 A KR20087006847 A KR 20087006847A KR 20080037110 A KR20080037110 A KR 20080037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ng
- frame
- cylinder
- turning
- bu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outward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00—Suspensions with rigid connection between axle and frame
- B60G1/02—Suspensions with rigid connection between axle and frame with continuous ax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05—Suspension lock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5—Lock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 B60G2200/32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with a single pivot point and a straight ax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8—Agricultural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9—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의 무게 중심을 저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작업 시의 선회대의 선회에 수반하는 무게 중심 이동에 상관없이 작업 자세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방향 중앙에는 전방 차축 케이스(96)와 일체 요동하는 작동체(111)가 배치되고, 기체 프레임(6)에는 작동체(111)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로크 기구(112)가 배치되어 있다. 요동 로크 기구(112)는 기체 프레임(6)에 피스톤 로드(120)가 수평 형상으로 고정 설치된 로크 실린더(115)와, 로크 실린더(115)의 2 유실(124A, 124B)을 연통 상태와 폐쇄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밸브(118)가 구비되고, 로크 실린더(115)의 실린더 튜브(116)가 작동체(11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휠식 작업기, 전방 차축 케이스, 작동체, 기체 프레임, 피스톤 로드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엔진 및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 주행체 상에 선회 베어링을 개재하여 선회대가 배치되고, 상기 선회대 상에, 운전석과 승강 가능한 작업구를 갖는 대지 작업 장치(Ground Working Appratus)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휠식 작업기에 있어서, 계단 등의 요철이 심한 장소라도 승강 모두 주행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작업 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좌우 한 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를 기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동시에, 작업 시의 무게 중심 이동에 수반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로크 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상기 요동 로크 기구로서, 2 유실로의 압유의 공급을 온 오프 가능한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를 채용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의 길이 방향을 기체의 상하 방향과 일치시켜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6105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06-5240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 로크 기구를 휠식 작업기에 배치하면, 실린더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주행체에 배치되게 되고, 이에 의해 주행체의 상면이 고위치로 되고, 이에 수반하여 선회대가 고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기체 전체의 무게 중심이 상승하여, 기체의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체의 무게 중심을 저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작업 시의 선회대의 선회에 수반하는 무게 중심 이동에 상관없이 작업 자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휠식 작업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도모하였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 수단은 기체 프레임과, 상기 기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차륜을 현가하는 차축 케이스와, 상기 차축 케이스의 요동을 기재하는 요동 로크 기구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이며, 상기 차축 케이스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상기 차축 케이스와 일체 요동하는 작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동 로크 기구는 로크 실린더와 상기 로크 실린더의 양 실린더실을 연통 상태와 폐쇄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밸브를 갖고, 상기 로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기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가 상기 작동체에 연동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것에 따르면, 요동 로크 기구에 의해 작동체의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차축 케이스의 요동은 규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에, 주행체가 차축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시의 작업 자세의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요동 로크 기구의 로크 실린더는 길이 방향을 수평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기체 프레임에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로크 실린더를 차축 케이스의 요동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주행체의 상면에 걸리는 로크 실린더를 구비한 것보다도 저위치로 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선회대를 저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어, 기체 전체의 무게 중심을 저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에는 상기 작동체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르면, 실린더 튜브의 피끼워 맞춤부를 작동체의 끼워 맞춤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차축 케이스가 기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는 동시에 상기 차축 케이스에 요동 로크 기구가 연결되게 되어, 주행체의 조립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 로크 기구와 선회대 사이에 선회대를 전후 방향 자세로부터 소요 각도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요동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시에 선회대의 선회에 수반하여 큰 횡력이나 모멘트가 주행체에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전후 방향 자세로 한 선회대를 소정 각도 이상으로 선회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절환 밸브가 연통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는 절환 밸브를 절환하기 위한 루버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 등을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기체 프레임과 상기 선회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 요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아암과,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어 선회대를 전후 방향 자세로부터 소정 각도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작동 아암을 요동시키는 작동 캠을 가지면 좋다.
이것에 따르면, 선회대의 선회에 의해 작동 캠이 동작하고, 상기 작동 캠의 동작에 수반하여 작동 아암이 작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동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새로운 동력원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작동 수단의 배치에 의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의 무게 중심을 저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작업 시의 선회대의 선회에 수반하는 무게 중심 이동에 상관없이 작업 자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휠식 선회 작업기의 좌측면도.
도2는 선회 작업기의 정면도.
도3은 주행체 및 선회대의 사시도.
도4는 주행체의 평면도.
도5는 주행체의 좌측면도.
도6은 주행체 후방 상부 및 선회체 후방 하부의 좌측면도.
도7은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및 후륜의 평면도.
도8은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및 그 주변의 평면 확대도.
도9는 기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10은 기체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11은 기체 프레임의 정면도 및 기체 프레임의 배면도.
도12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좌측면도.
도13은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정면도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정단면도.
도14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정면도.
도15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16은 굴삭 작업 장치의 평면도.
도17은 버킷의 배면도.
도18은 버킷 및 아암의 좌측면도.
도19는 회전 수단의 단면도.
도20은 자세 유지 수단의 평면도 및 자세 유지 수단의 배면도.
도21은 회전 규제 수단의 평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22는 운전석 및 그 주변의 평면도.
도23은 운전석 및 그 주변의 좌측면도.
도24는 선회대의 평면도.
도25는 선회대의 좌측면도.
도26은 운전석 하방의 좌측면도.
도27은 운전석 하방의 다른 좌측면도.
도28은 선회 축심 및 그 주변의 정면도.
도29는 검지 기구 및 작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30은 주행체측의 유압 회로.
도31은 선회체측의 유압 회로.
[부호의 설명]
2 : 주행체
4 : 전륜
5 : 후륜
6 : 기체 프레임
7 : 엔진
8 :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11 : 엔진 배치부
16 : 선회 베어링
18 : 상벽
19 : 측벽
35 : 정유압 트랜스미션
37 : 기계식 전동 장치
38 : 후륜 차동 기어 장치
39 : 후방 차축
40 : 최종 전동 장치
43 : 케이싱
58 : 차동 기어 출력축
61 : 하우징
62 : 전동 케이스
63 :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
64 : 케이스 끼워 맞춤부
67 : 최종 전동 케이스
70 : 풋 브레이크 수단
71 : 주차 브레이크 수단
86 : 베어링 배치부
91 : 상벽
92 : 측벽
201 : 선회대
202 : 조종 장치
203 : 굴삭 작업 장치
204 :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
205 : 운전석
206 : 조작 장치
X : 선회 축심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부호 1은, 예를 들어 원예 등에 사용되는 도시형의 소형의 휠식 선회 작업기이다. 상기 선회 작업기(1)는 크게 구별하여 하부의 주행체(2)와, 상부의 선회체(3)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전후 차륜(4, 5)에 의해 주행 가능해진 휠식 주행체(2)이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전후륜(4, 5)과, 이 전후륜(4, 5)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6)과, 이 기체 프레임(6)에 탑재된 엔진(7)과, 이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5)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와, 이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로부터 분기되어 전륜(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구동 계통(33)을 구비하고 있다.
도1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6)은 메인 프레임(9)과, 이 메인 프레임(9)의 전방측에 설치된 프론트 프레임(1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에는 엔진(7), 라디에이터(12), 배터리(13), 스위블 조인트(14), 선회 모터(15) 및 선회 베어링(16) 등이 장비된다. 프론트 프레임(10)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7)가 장비되어, 메인 프레임(9)의 후방부가 좌우 후륜(5)에 의해 지지되고,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부가 좌우 전륜(4)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은 판재로 구성되고, 상벽(18)과, 이 상벽(18)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측벽(19)과, 상벽(18) 및 좌우 측벽(19) 의 전단부에 고정된 전방벽(20)과, 좌우 측벽(19)의 각 후단부 하부를 연결하는 후방벽(2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하방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진(7)은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크랭크축의 축심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또한 출력축(23)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7)의 상단부측이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벽(18)에 절결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7)의 후방부에는 냉각 팬(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후방부가, 엔진(7)을 배치하는 엔진 배치부(11)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7)의 좌측방에는 라디에이터(12)가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9)에 설치 고정되고, 엔진(7)의 우측방에는 배터리(13)가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9)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은 사이드 커버(26)에 의해 덮여 있다. 메인 프레임(9)의 후방부는 좌우 후륜(5)을 덮는 후륜 펜더(27)를 구비하고, 또한 좌우 후륜 펜더(27)의 각 전방부를 연결한 고정 커버(28)와, 좌우 후륜 펜더(27)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7) 후방부의 상방측을 덮고 또한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29)와, 메인 프레임(9)의 배면측을 덮는 후방 범퍼 커버(30)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개폐 커버(29)의 후단부와 후방 범퍼 커버(30)의 상단부와의 사이는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 부분을 통해 냉각 팬(25)에 의해 엔진 룸 내의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엔진 룸 내에 외기가 취입된다.
또한, 프론트 프레임(10)은 좌우 전륜(4)을 덮는 전륜 펜더를 갖는 커버 부재(31) 및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면을 덮는 전방 범퍼 커버(41)에 의해 덮여 있다.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는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행 추진축(34)과, 이 주행 추진축(34)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이하, HST라고 함)(35)과, 이 HST(35)로부터의 동력을 베벨 피니온축(36)으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37)와, 베벨 피니온축(36)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와, 이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로 전달된 동력을 좌우 후방 차축(39)으로 전달하는 좌우의 최종 전동 장치(40)를 구비한다. 주행 추진축(34), HST(35), 기계식 전동 장치(37), 베벨 피니온축(36) 및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는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최종 전동 장치(40)는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의 측방으로부터 엔진(7)의 전방부 측방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행 추진축(34)은 엔진(7)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엔진(7)의 출력축(23)에 연결된 플라이 휠(42)에 후단부측이 연결되어 있다.
도8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35)는 케이싱(43) 내에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44)과,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45)을 좌우에 평행 형상으로 구비하는 동시에, 입력축(44)에 설치된 유압 펌프(46)와, 출력축(45)에 설치된 유압 모터(47)를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HST(35)는 입력축(44)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46)로부터 이송되는 압유에 의해 유압 모터(47)를 구동하여 상기 유압 모터(47)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축(45)으로부 터 동력을 출력하는 트랜스미션이다.
케이싱(43)은 후방면측이 개구 형상의 본체(48)와, 상기 본체(48)의 후방면측 개구를 막는 덮개(49)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축(44) 및 출력축(45)은 덮개(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HST(35)의 입력축(44)은 주행 추진축(34)의 전방측에 상기 추진축(34)과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커플링에 의해 주행 추진축(34)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46)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이루어지고, 경사판 제어 액츄에이터(50)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변경 가능해져, 경사판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유압 모터(47)로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을 바꾸어 출력축(45)의 회전 속도(차속)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유압 펌프(46)는 유압 모터(47)로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출력축(45)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전진 회전) 또는 역회전(후진 회전)으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 제어 액츄에이터(50)는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서보 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후진 절환 수단(5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에 파일럿압이 생기면 출력축(45)이 정회전하도록 유압 펌프(46)의 경사판이 제어되고, 후진측 포트(53)에 파일럿압이 생기면 출력축(45)이 역회전하도록 유압 펌프(46)의 경사판이 제어되어, 전진측 포트(52) 또는 후진측 포트(53)에 생기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서 유압 펌프(46)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이 제어되어 출력축(45)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유압 모터(47)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이루어지고, 고저 절환 액츄에이터(54) 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2단으로 변경 가능해져, 경사판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출력축(45)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을 고속 상태와 저속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벨 피니온축(36)은 HST(35)의 출력축(45)의 덮개(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좌측방이고 또한 하방측에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HST(35)의 출력축(45) 후단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베벨 피니온축(36)의 후단부측에 베벨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37)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ST(35)의 출력축(45)의 덮개(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56)와, 베벨 피니온축(36)의 전단부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기어(56)에 맞물리는 피구동측 기어(57)로 구성된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계식 전동 장치(37)는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등속 기구라도 좋고, 또한 커플링 등의 동력 전동을 행하는 것이면 좋다.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는 베벨 피니온축(36)의 후방이고 또한 엔진(7) 좌측방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에 차동 기어 출력축(58)을 돌출시키고 있다.
후방 차축(39)은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의 차동 기어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오버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우 각 후방 차축(39)의 외측 단부측에 후륜(5)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최종 전동 장치(40)는 차동 기어 출력축(58)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59)와, 후방 차축(39)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피구동측 기어(60)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최종 전동 장치(40)에 있어서도,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등속 기구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에 있어서는, 엔진(7)으로부터 전방으로 출력된 동력은 HST(35)에서 반환되어 후방으로 전달되어, 엔진(7)의 전방측의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전달되고, 최종 전동 장치(40)에 의해 후방으로 전달되어 후방 차축(39)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엔진(7)의 전방면측에는 플라이 휠(42) 및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 등을 수용한 하우징(61)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하우징(61)의 전방면측에는 기계식 전동 장치(37) 등을 수용한 전동 케이스(62)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전동 케이스(62)의 전방면측에는 HST(35)의 케이싱(43)[의 덮개(49)]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7)에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 기계식 전동 장치(37) 및 HST(35)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하우징(61), 전동 케이스(62) 및 케이싱(43)은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엔진 배치부(11) 전방측이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63)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1)의 좌우 양측에는 최종 전동 장치(40)를 수용한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고정되어 있다. 이 좌우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에 후방 차축(39)이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메인 프레임(9)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 좌우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는 그 전방부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이 상기 하우징(61)의 측면에 볼트 고정되고, 좌우의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의 후방부측이 메인 프레임(9)의 측벽(19) 상부측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의 후방부의 하부측에는 최종 전동 케이스(67)의 상부측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기 위해, 하방에 개방 형상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끼워 맞춤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 끼워 맞춤부(64)의 주위의 메인 프레임 측벽(19)에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엔진(7)의 전방부측이 하우징(61) 및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개재하여 메인 프레임(9)에 지지되어 있다. 엔진(7)의 후방부측은 메인 프레임(9)의 후방벽(21)에 형성된 수직 절곡부(65)와 엔진(7)의 하부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엔진(7)에 하우징(61), 전동 케이스(62), HST(35)의 케이싱(43),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설치하여 일체화(유닛화)하고 있으므로[엔진(7)에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 기계식 전동 장치(37), HST(35), 최종 전동 장치(40), 후방 차축(39)을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이 결과, 이들을 조합한 후에, 상기 조립 부착체에 기체 프레임(6)을 엔진(7) 등의 상방으로부터 조립 부착할 수 있어, 기체 프레임(6)에 대한 조립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우징(61)과 전동 케이스(62)와 HST(35)와 최종 변속 케이스를 조합한 후에, 이들 조립 부착체에 기체 프레임(6)을 상방으로부터 조립 부착하고, 그 후, 엔진(7)을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 상면측으로부터 좌우 측벽(19)으로 삽입하여 배치하고, 그 후, 상기 엔진(7)을 하우징(61) 및 메인 프레임(9)의 후방벽(21)에 설치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에 형성되는 절결 개구부(24)는 엔진(7)을 상방으로부터 좌우 측벽(19) 사이로 삽입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엔진(7)의 전방측에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5)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39)을, 차동 기어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오버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선회 작업기(1)의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환언하면, 엔진(7)의 전방측에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를 설치함으로써, 엔진(7)을 선회체(3)의 선회 축심(X)[선회 베어링(16)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할 수 있어, 후술하는 스텝(215)의 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차축(39)이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의 차동 기어 출력축(58)과 동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엔진(7)이 후방 차축(39)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선회체(3)를 후방향으로 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후방 차축(39)으로부터 엔진(7) 후방의 작업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후방 차축(39)을, 차동 기어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오버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선회체(3)를 후방향으로 하여 작업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를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하는 데 있어서, 플라이 휠(42)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를 최대한 엔진(7)측으로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동 기어 출력축(58)과 후방 차축(39)의 축간 거리를 짧게 하여, 최종 전동 장치(40) 및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기체 프레임의 좌우의 측방 프레임 부분을 각진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 각진 파이프의 좌우 방향 외측면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설치 고정하면 선회 작업기의 좌우 폭이 넓어지고, 또한 상기 각진 파이프의 하면측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설치 고정하면 선회 작업기의 좌우 폭은 넓어지지 않지만, 주행체(2)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체 프레임(6)의 메인 프레임(9)은 판재에 의해 형성된 상벽(18)과 좌우 측벽(19)을 구비하고, 이 좌우 측벽(19) 사이에 엔진(7)을 배치하는 동시에, 좌우 측벽(19)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설치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선회 작업기(1)의 좌우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거나, 또는 상하 방향의 치수를 낮게 하여 상부의 선회체(3)를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HST(35)의 전방면측에는 상기 HST(35)의 입력축(44)의 전단부측에 연동 연결되어 구동되는 2연식 기어 펌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펌프(68)가 설치되고, 이 메인 펌프(68)로부터 상기 선회 작업기(1)에 장비된 각종 액츄에이터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7)의 하단부측에 구비된 오일 팬(69)이 유압 기기용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에는 HST(35)로부터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로 전달되는 주행 동력을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 수단(70)(주행 브레이크)과, HST(35)와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 수단(71)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브레이크 수단(70, 71)은 기계식 전동 장치(37)의 구동측 기어(5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풋 브레이크 수단(70)은 전동 케이스(62)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62)에 고정된 브레이크 케이스(72)와, HST(35)의 출력축(45)의 후단부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브레이크 디스크(73)와, 브레이크 케이스(72)측에 설치된 플레이트(74)와,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를 압접시키는 피스톤(75)을 갖고, 선회체(3)측에 설치한 브레이크 페달(364)의 답입(stepping) 조작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372) 내의 압유가 피스톤(75)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피스톤(75)이 이동하여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가 압접됨으로써, HST(35)의 출력축(45)을 제동한다.
주차 브레이크 수단(71)은 풋 브레이크 수단(7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하우징(61) 내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된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와, 이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 내에 수용된 피스톤(77)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스(72)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는 전방으로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브레이크 케이스(72)와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는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 내에는 엔진(7)의 정지 시에 있어서, 피스톤(77)을 압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를 압접시키는 스프링(78)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7)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엔진(7)에 의해 구동되는 차지 펌프(79)(도30 참조)로부터의 유압이, 피스톤(77)에 작용하여 상기 스프링(7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피스톤(77)을 이동시켜,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의 압접을 해제한다.
또한,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의 좌측방에는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차동 기어 출력축(58)과 일체 회전하는 차동 기어 로크 시프터(81)를 압유에 의해 복귀 스프링에 대항하여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동 기어 로크 시프터(81)에 형성된 결합 톱나를,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측에 설치한 결합 톱니에 맞물림으로써 후륜 차동 기어 장치(38)의 차동 작용을 금지하여 차동 기어 로크하는 유압식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이다.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상벽(18) 상면측에는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83)를 막도록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설치판(84)이 상기 상벽(18)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베어링 설치판(84) 상에 선회 베어링(16)이 배치되고, 상기 선회 베어 링(16)의 아우터 레이스(85)가 베어링 설치판(84)에 볼트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 베어링(16)은 전후륜(4, 5)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이 선회 베어링(16)의 중심이 선회 축심(X)이 되고,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상벽(18) 상면측의 베어링 설치판(84) 상면측이 베어링 배치부(86)로 되어 있다.
또한,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의 내주측에는 안 톱니바퀴(Internal gear)(89)가 형성되고, 이 안 톱니바퀴(89)에는 피니온(88)이 맞물려 있다. 이 피니온(88)은 메인 프레임(9)에 고정된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선회 모터(15)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고, 선회 모터(15)에 의해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가 선회 축심(X)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전방부에는 선회 축심(X)과 동심 형상으로 스위블 조인트(14)가 배치되고, 이 스위블 조인트(14)를 개재하여 주행체(2)측과 선회체(3)측 사이의 압유의 유통이 행해진다.
도9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프레임(6)의 프론트 프레임(10)은 판재로 구성된다. 즉, 프론트 프레임(10)은 상벽(91)과, 이 상벽(91)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측벽(92)과, 이 좌우 측벽(92)의 각 전방부를 연결하는 연결판(93)을 구비하여 주로 구성되고, 후방부측이 하방으로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과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벽(91)으로 기체 프레임(6)의 상벽이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과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측벽(92)으로 기체 프레임(6)의 상벽이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폭은 메인 프레임(9)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9)의 전방이고 또한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측방에 전륜(4)을 배치하는 전륜 배치 공간(94)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측벽(92)의 상벽(91)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연장 치수는 그 전방부측이 후방부측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 측벽(92)은 후방부측보다도 전방부측의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부 하방에 전방 차축 케이스(96) 및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조향 실린더(97) 등의 배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93)은 좌우 측벽(92)의 전방부의 각 하단부측을 연결하는 수평 형상의 수평 벽부(98)와, 이 수평 벽부(98)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좌우 측벽(92)의 각 전후 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경사 벽부(99)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측벽(92) 사이의 후방부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17)는 좌우 측벽(92) 사이에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프론트 프레임(10)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연료 탱크(17)의 전방면측은 상기 연결판(93)의 경사 벽부(99)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고, 하부 후단부측은 메인 프레임(9)의 전방벽 하단부측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해 메인 프레임(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벽(91)에는 연료 탱크(17)의 급유구(100)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연료 탱크(17)의 하면측은 상기 연료 탱크(17)를 장착한 후에 프론트 프레임(10)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도시 생략의 커버에 의해 커버된다.
프론트 프레임(10)의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하면측에는 좌우 전륜(4)을 조향 가능하게 현가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전후 양측에는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하면에 설치 고정된 전방 차축 베어링(101)이 배치되고, 이 전후 전방 차축 베어링(101)에 센터 핀(102)을 개재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전후 방향의 축심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양측에는 기어 케이스(103)가 설치되어, 좌우 각 기어 케이스(103)에 전륜(4)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전방측에는 전륜(4)을 조향 조작하는 조향 실린더(97)가 좌우 방향에 배치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이 조향 실린더(97)는 실린더 튜브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가 설치되고, 좌우 각 피스톤 로드는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전륜(4)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조향 실린더(97)는 선회체(3)측에 설치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에 의해 제어된다.
전륜(4)은 조향륜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배치 공간은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프론트 프레임(10)을 메인 프레임(9)과 좌우 방향 동일 폭으로 형성해 놓으면, 선회 작업기(1)의 좌우 폭은 넓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폭을 메인 프레임(9)보다 좁게 형성하여, 메인 프레임(9)의 전방 이고 또한 프론트 프레임(10)의 좌우 측방에 전륜(4)을 배치하는 전륜 배치 공간(94)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회 작업기(1)의 좌우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륜(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구동 계통(33)은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37)의 피구동측 기어(57)에 연결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6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륜 동력 취출축(104)과, 전방 차축 케이스(96) 내에 설치된 전륜 차동 기어 장치(105)와, 이 전륜 차동 기어 장치(105)에 동력을 입력하는 베벨 피니온축(106)과, 이 베벨 피니온축(106)과 전륜 동력 취출축(104)을 연동 연결하는 전동 샤프트(107)와, 전륜 차동 기어 장치(105)의 차동 기어 출력축(108)으로부터 전륜(4)을 구동하는 전륜 구동축(109)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도시가 생략된 최종 감속 기구(전동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96)에는 전방 차축 케이스(96)와 일체 요동하는 작동체(111)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6)[프론트 프레임(10)]에는 이 작동체(111)의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로크 기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체(111)는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방향 중앙에 전후 한 쌍 배치되어, 각각 전방 차축 케이스(96)에 설치한 설치부(113)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후 각 작동체(111)는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각 작동체(111)의 상부에는 상방 및 전후에 개방 형상으로 된 끼워 맞춤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로크 기구(112)는 전후의 작동체(111)의 상부 사이에 배치된 로크 실린더(115)와, 이 로크 실린더(115)의 실린더 튜브(116) 내의 피스톤(117)으로 구획되는 2실(124A, 124B)을 연통 상태와 폐쇄 상태(비연통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밸브(118)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실린더(115)는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벽(91)에 형성된 배치 개구부(119) 내에 축심이 좌우 방향과 일치하도록 수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 실린더(115)는 유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가 충전된 실린더 튜브(116)와, 이 실린더 튜브(116) 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피스톤(117)과, 상기 피스톤(117)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또한 실린더 튜브(116)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피스톤 로드(12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각 피스톤 로드(120)는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지지판(121)에 설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좌우 각 지지판(121)은 프론트 프레임(10)의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상방 및 좌우 양측에 개방 형상의 설치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 각 피스톤 로드(120)의 외측 단부측에는 머리가 부착되어 있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설치 볼트(123)가 좌우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설치 볼트(123)의 축부분을 상기 지지판(121)의 설치 홈(122)에 상방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 맞추고, 그 후, 설치 볼트(123)를 체결함으로써, 좌우 피스톤 로드(120)가 프론트 프레임(10)[기체 프레임(6)]측에 좌우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수평 형상으 로 설치 고정된다.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전후 양측에는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짐으로써 실린더 튜브(116)를 작동체(111)에 연동 연결하는 피끼워 맞춤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끼워 맞춤부(126)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 핀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 로드(120)의 설치 시에 동시에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끼워 맞춘다.
절환 밸브(118)는 2포트 2위치 절환 밸브(118)로 이루어져, 한쪽 포트가 실린더 튜브(116) 내의 한쪽 실(124A)에 호스 등을 통해 연통되고, 다른 쪽 포트가 실린더 튜브(116) 내의 다른 쪽 실(124B)에 호스 등을 통해 연통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에 이르는 경로에 유체(오일)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로 유체를 출입시키기 위한 한 쌍의 출입 포트(125A, 125B)는 실린더 튜브(116)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 로크 기구(112)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로 유체가 유통하는 연통 상태로 절환 밸브(118)가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이동이 허용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이 허용된다. 한편,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로 유체가 유통되지 않는 비연통 상태로 절환 밸브(118)가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이동이 규제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이 규제(로크)된다.
상기 구성의 요동 로크 기구(112)의 로크 실린더(115)는 실린더 튜브(116)의 피끼워 맞춤부(126)를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는 동시에, 피스톤 로드(120)의 설치 볼트(123)를 지지판(121)의 설치 홈(122)에 끼워 맞추고, 그 후, 설치 볼트(123)를 체결함으로써 설치되어, 로크 실린더(115)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부착 방법으로서는, 작동체(111)가 설치된 전방 차축 케이스(96)를 프론트 프레임(10)에 조립 부착하고, 그 후, 로크 실린더(115)를 조립 부착해도 좋고, 먼저 프론트 프레임(10)에 로크 실린더(115)를 조립 부착하고, 그 후, 작동체(111)가 설치된 전방 차축 케이스(96)를 프론트 프레임(10)에 조립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는 수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 튜브(116)에 설치된 유체의 출입 포트(125A, 125B)는 실린더 튜브(116)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린더 튜브(116) 내에 공기가 저장된 경우에, 공기 빼기를 상기 출입 포트(125A, 125B)를 통해 행할 수 있다.
선회체(3)는 기체 프레임(6)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201)와, 이 선회대(201)의 전방부에 설치된 주행계의 조종 장치(202) 및 대지 작업 장치로서의 굴삭 작업 장치(203)와, 선회대(201)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와,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에 설치된 운전석(205)과, 이 운전석(20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굴삭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206)와,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에 설치된 굴삭 작업 장치용 컨트롤 밸브[조 작 장치(206)의 절환 밸브](207) 및 카운터 웨이트(208)와, 로프스(ROPS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2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회 축심(X)은 전후륜의 축간 중심과 직교하는 축선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201)는 전방부를 평탄하게 하고, 좌우 양측방을 기체 프레임(6)보다도 팽출시켜 후방으로 연신하고, 후방부 및 좌우측부를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선회대(201)는 전방 프레임재(211)와, 이 전방 프레임재(211)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후방 프레임재(212)와, 이들 전방 프레임재(211)와 후방 프레임재(212)를 좌우 양측부에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재(213)와, 선회대(201) 하면측의 전후방 프레임재(212) 사이에 설치된 하부벽(214)과, 이 하부벽(214)의 상면측에 설치된 스텝(215)(발판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재(211)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부(전방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에 마스트(작업 장치 지지체)(216)가 세워 설치되고, 이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에 굴삭 작업 장치(203)가 설치되어 있다.
굴삭 작업 장치(203)는, 도1 및 도16 내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마스트(216)의 상부에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붐(241)과, 기초부측이 좌우 각 붐(241)의 선단부측에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아암(242)과, 좌우 아암(242)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대지 작업(ground working)을 하는 작업구로서의 버킷(243)과, 좌우 각 붐(241)을 피봇부 방향으로 상하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붐 실린더(244)와, 좌우 각 아 암(242)을 피봇부 방향으로 전후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 실린더(245)와, 버킷(243)을 요동시키는 1개의 버킷 실린더(246)를 갖는다.
상기 버킷 실린더(246), 아암 실린더(245) 및 버킷 실린더(246)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우 아암(242)의 기초부측은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47)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247)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브래킷(248)에 버킷 실린더(246)의 일단부측(실린더 본체의 피스톤 꼭대기부측)이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좌우 아암(242)의 선단부측에는 버킷(243)을 지지하는 지지체(2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249)는 좌우 방향을 따른 판면을 갖는 판재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249)의 정면측에 버킷(243)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체(249)의 배면측의 좌우 양측에는 설치 브래킷(250)이 설치되고, 좌우의 각 설치 브래킷(250)의 하부측에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아암(242)의 선단부측이 횡축(251)을 개재하여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아암(242)의 선단부측의 횡축(251)보다 기초부 근처에는 좌우 아암(242)을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축(252)이 축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지지축(252)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는 제1 링크(253)의 일단부측이 연결된다. 이 제1 링크(253)의 타단부측에는 제2 링크(254)가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다. 이 제2 링크(254)의 타단부측은 지지체(249) 배면 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설치된 브래킷(255)에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253)의 중도부에는 버킷 실린더(246)의 타단부측(피스톤 로드 선단부측)이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버킷 실린더(246)를 신축시킴으로써 버킷(243)이 상기 횡축(251) 방향으로(좌우 축 방향으로) 요동되어, 상기 버킷(243)이 퍼올리기ㆍ덤프 동작 또는 긁어 넣기ㆍ덤프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킷(243)은 상기 지지체(249)에 상기 지지체(249)의 버킷(243)(작업구 지지면)(256)에 대해 수직인 축심(Y)을 갖는 회전축(257)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버킷(243)은 상기 버킷(243)과 지지체(249) 사이에 마련된 회전 수단(258)에 의해 도18의 (a)에 도시하는 퍼올리기 작업 가능한 제1 작업 자세로부터, 도18의 (b)에 도시하는 긁어 넣기 작업 가능한 제2 작업 자세로 상기 회전축(257)의 축심(Y) 방향으로 180°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 수단(258)은 지지체(249)에 고정된 실린더 튜브(259)와, 이 실린더 튜브(259) 내에 수용된 피스톤(260)과, 버킷(243)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260) 내에 삽입 관통된 상기 회전축(257)을 갖는다.
실린더 튜브(259)는 버킷(243)의 회전축(257)의 축심(Y)을 축심으로 하고, 지지체(249)의 전후로 돌출된 형상으로 하여 지지체(249)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체(249)에 볼트 고정되어 정면측이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후에 압유의 출입 포트(261A, 261B)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57)은 실린더 튜브(259)에 정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 회전축(257)은 실린더 튜브(259)의 정면측 개구를 막는 전방부의 설치부(262)와, 이 설치부(262)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된 중도부로부터 후방부의 축부(263)로 주로 구성된다. 이 회전축(257)에 있어서, 설치부(262)와 축부(263) 후단부측이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축부(263) 후단부측이 볼트에 의해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57)의 설치부(262)에는 설치판(264)이 볼트 고정되고, 이 설치판(264)을 버킷(243)의 배면벽(265)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회전축(257)이 버킷(24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260)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심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축(257)의 축부(263)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심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57)의 축부(263)의 외주측과, 상기 피스톤(260)의 내주측에는 서로 맞물려 있고 피스톤(260)의 직선 이동을 회전축(257)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스크류(266, 267)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259)의 출입 포트(261A, 261B)의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튜브(259) 내로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260)이 축심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하고, 피스톤(260) 내주측의 스크류(267)와 회전축(257)의 축부(263) 외주측의 스크류(266)가 맞물림으로써 회전축(257)이 축심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피스톤(260)이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버킷(243)이 180°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의 것에서는, 피스톤(260)이 전단부측(일단부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약간(3 ㎜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버킷(243)이 제1 작업 자세로 되고, 후단부측(타단부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약간(3 ㎜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버킷(243)이 제2 작업 자세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굴삭 작업 장치(203)에는 회전 규제 수단(268)이 마련되어 있다.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제1 작업 자세에 있어서 제2 작업 자세로부터 제1 작업 자세로 회전하는 방향(도21의 화살표 A 방향)의 버킷(243)의 회전[버킷(243)의 일방향의 회전이라고 함]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일방향의 회전 A와는 역방향의 버킷(243)의 회전은 허용한다. 한편,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제1 작업 자세로부터 제2 작업 자세로 회전하는 방향(도21의 화살표 B 방향)의 버킷(243)의 회전[버킷(243)의 타방향의 회전이라고 함]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타방향의 회전 B와는 역방향의 버킷(243)의 회전은 허용한다.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버킷(243)과 일체 회전하는 걸림부(269)와, 지지체(249)측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69)에 걸리는 제1 피걸림부(270) 및 제2 피걸림부(27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269)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핀에 의해 구성되어, 버킷(243)의 배면벽(265)에 고정된 브래킷(27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피걸림부(270) 및 제2 피걸림부(271)는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 체(249)의 정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피걸림부(270)는 버킷(243)의 타방향의 회전 방향 B에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243)의 일방향의 회전 A를 규제하고 또한 버킷(243)의 타방향의 회전 B는 허용하도록 걸림부(269)에 걸린다. 제2 피걸림부(271)는 버킷(243)의 일방향의 회전 방향 A에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243)의 타방향의 회전 B를 규제하고 또한 버킷(243)의 일방향의 회전 A는 허용하도록 걸림부(269)에 걸린다.
또한, 이들 걸림부(269), 제1 피걸림부(270) 및 제2 피걸림부(271)는 굴삭 작업 시에 있어서 버킷(243)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어, 회전 수단(258)의 주위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굴삭 작업 시에 있어서 버킷(243)으로부터 회전축(257)으로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굴삭 작업 장치(203)에는 버킷(243)을 제1 작업 자세와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 유지하는 자세 유지 수단(27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자세 유지 수단(273)은 지지체(249)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 자세 유지 수단은 지지체(249)의 버킷 지지면(256)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선단부가 지지체(249) 외주연으로부터 출퇴 가능한 결합 부재(276)와, 작업구측에 회전축(257) 방향으로 180°변위된 2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체(249)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부재(276)와 결합하여 제1,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의 버킷(243)의 회전을 규제하는 피결합부(277)를 갖는다.
결합 부재(276)는 선단부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핀에 의해 구성되고, 이 결합 부재(276)를 출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통(278)이 지지체(249)의 배면에 고정된 브래킷(279)에 고정되어 있고, 결합 부재(276)는 이 브래킷(279)을 관통하여 가이드 통(278)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피결합부(277)는 결합 부재(276)의 선단부측이 삽입됨으로써 결합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이 결합 부재(276) 선단부측의 테이퍼 형상에 일치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결합부(277)는 버킷(243)의 배면벽(265)에 설치 고정된 설치 부재(28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부재(276)의 기초부측의 측방에는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로부터 제거하여 이들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2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는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 부분이 지지체(249)에 고정된 단차 형상의 설치축(282)에 회전축(257)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해제 레버(281)의 회전 축심과 평행한 축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결합 블럭(28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해제 레버(281)는 상기 해제 레버(281)와 설치축(282)의 단부측에 외부 끼움된 스프링 받이(284)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285)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 저항이 부여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의 일단부측과 상기 결합 부재(276)의 기단부측은 연동 부재(286)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연동 부재(286)의 일단부측은 결합 부재(276)의 기단부측에 피봇 연결되고, 이 연동 부재(286)의 타단부측은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로드부(287)가 상기 해제 레버(281)의 일단부측의 결합 블럭(283)을 관통 형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고, 상기 로드부(287)의 단부측에는 수나사(288)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너트(28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동 부재(286)의 일단부측에 설치한 스프링 받이 단차부(290)와 결합 블럭(283)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291)가 로드부(287)에 씌워서 끼워진 형상으로서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49)에는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로드부(287)에 씌워서 끼워진 상기 스프링 부재(291)의 압박력의 작용에 의한 해제 레버(281)의 회전[도20의 (b)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28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해제 레버(281)의 일단부측이 접촉하는 접촉벽(292)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로드부(287)에 씌워서 끼워진 상기 스프링 부재(291)가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또한,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레버(281)의 타단부측을, 도20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블럭(283)이 너트(289)에 접촉하여 연동 부재(286)를 당김 동작한다. 이에 의해 결합 부재(276)가 제거 방향으로 당김 동작되어, 결합 부재(276)와 피결합부(277)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버킷(243)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249)에는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로부터 제거하는 방향의 해제 레버(281)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2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 레버(281)는 푸시풀 케이블 등의 연동 부재(294)를 개재하여 운전석(205)의 근방에 설치되는 원격 조작 레버에 연동 연결된다. 해제 레버(281)는 이 원격 조작 레버 및 상기 연동 부재(294) 등에 의해 구성되는 원격 조작 수단에 의해 운전석(205)측으로부터 원격 조작되거나, 또는 지지체(249)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해제 레버(281)를 조작하는 수동 레버를 지지체(249)에 설치하는 경우에, 붐(241)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아암(242)을 후방으로 요동시켜 굴삭 작업 장치(203)를 절첩함으로써 선회대(201) 상으로부터 상기 수동 레버를 조작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굴삭 작업 장치(203)에 있어서는, 회전축(257)에 굴착 시의 하중이 그다지 가해지지 않으므로, 회전축(257)을 가늘게 하여 실린더 튜브(259)[회전 수단(25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수단(258)을 모터에 의해 구성하면 비용이 높아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버킷(243)에 있어서는, 제1 작업 자세와 제2 작업 자세의 2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으면 되며, 회전 수단(258)을, 실린더 튜브(259)와 피스톤(260)과 회전축(257)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회전 수단(258)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57)을 FC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조품으로 함으로써, 스크류(266, 267)의 리드를 제작하는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선회체(3)는 선회대(201)의 하부벽(214)이 상기 주행체(2)의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 상에 적재되어 볼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선회 베어링(16)에 의해 선회대(201)가 주행체(2) 상에 선회 축심(X)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체(3)는 좌우 양방향으로 전체 둘레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2)는 엔진(7)을 탑재하고 있어도 선회대(201)를 보다 저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엔진(7)을 후방부에 배치하고, 또한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를 엔진(7)보다 전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행체(2)의 선회대(201)에 대향하는 부분의 상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선회대(201)의 스텝(215)의 상면을 주행체(2)측의 엔진(7)의 상면보다도 저위치로 한 상태에서 주행체(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의 운전 공간의 높이를 확보하면서 차고가 억제되게 되고, 선회 작업기(1) 전체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콤팩트하게 구성되게 된다. 또한, 선회 작업기(1)의 무게 중심이 저위치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안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선회체(3)에 승강하는 작업자의 승강 시의 부담이 경감되게 된다.
또한, 스텝(215)의 상면을 엔진(7)의 상면보다도 약간 고위치로 한 상태에서 선회체(3)를 주행체(2) 상에 배치한 경우에도 선회 작업기(1)의 상하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적어도 선회대(201)에 배치된 선회 베어링(16)의 상면을 엔진(7)의 상면보다도 저위치로 한 상태에서 선회체(3)를 주행체(2) 상에 배치함으 로써, 선회 작업기(1) 전체의 상하 방향의 콤팩트화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회체(3)를 전방향 자세로 한 경우,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의 후방부 및 카운터 웨이트(208)는 주행체(2)에 배치된 엔진(7)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선회 축심(X)으로부터 선회체(3)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1)는 선회 축심(X)으로부터 후륜의 후단부까지의 거리(L2) 이내로 대략 억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를 선회시킨 경우에도 후방의 장해물과 충돌이 회피되게 된다.
도24 및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는 선회대(201)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321)과, 이 지지 프레임(321)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205)을 전방측 피봇으로 전방으로 쓰러짐 가능하게 적재하는 적재대(322)와, 카운터 웨이트(208)를 설치하는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321)은 선회대(201)의 후방 프레임재(212)에 측방 프레임재(213)를 연결한 좌우 한 쌍의 연결 부분에 걸쳐서 가설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321)은 연결 부분으로부터 선회대(201)의 후방 상방을 향해 연신되는 좌우 한 쌍의 경사부(324)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경사부(32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25)를 갖고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경사부(324)의 사이이며 또한 연결부(225)의 전방부에 적재대(322)가 배치되어 있다.
적재대(322)는 지지 프레임(321)의 좌우 한 쌍의 경사부(324)를 따라서 배치 된 좌우 한 쌍의 측벽(326)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326)의 전방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선회대(201)로부터 세워 설치된 전방벽(327)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326) 및 전방벽(327)의 상단부 모서리부를 연결하여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의 하방까지 연장 설치된 상벽(328)과, 상기 상벽(328)의 상면에 배치되어 운전석(205)을 지지하는 시트대(329)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대(329)는 좌우 한 쌍의 측벽(326)의 상단부 모서리를 따라서 연신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또한 선회대(201)의 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평판부(331)로 구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331)는 상기 상벽(328)과의 대향 위치에 개구(3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332)보다도 선회대(201) 전방이 되는 위치에는 운전석(205)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구(33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작은 창(333a)이 개방 형성되어 있다.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은 상기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에 지지되어 있다. 이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은 상기 연결부(325)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프레임부(334)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334)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신되는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335)와, 상기 측방 프레임부(335)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좌우로 연신되는 하부 프레임부(336)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프레임부(334)가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에 용접 접합된 설치구(325a)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개재하여 체결됨으로써, 지지 프레임(32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이나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208)는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의 하부 프레임부(336)에 체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321)의 경사부(324)의 후방부 및 적재대(322)의 후방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하부 웨이트(208a)와,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의 하부 프레임부(336) 및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335)에 체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321)의 경사부(324)의 후방부, 연결부(325) 및 적재대(322)의 후방부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웨이트(208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하부 웨이트(208a, 208B)는 작업 상황이나 굴삭 작업 장치(203)의 중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도시 생략) 등과 교환 부착 가능하다.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는 운전석(205)의 하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배치된 커버체(341)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커버체(341)는,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조작 장치(206)의 하방으로부터 운전석(205)의 후방에 걸쳐서 배치된 메인 커버(342)와, 운전석(205)의 하방을 덮는 서브 커버(343)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 커버(34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재대(322)의 전방벽(327)과 대향하고 있고, 하측 단부 모서리가 스텝(215)에 접촉하는 동시에 양측 모서리가 메인 커버(342)의 측부 모서리와 대향하고 있고, 또한 상단부 모서리가 시트대(329)의 전방 단부 모서리를 덮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커버(343)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개재하여 스텝(215)이나 적재대(322) 등에 설치되어 있어, 메인 커버(342)를 제거하지 않고 설치 위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의 상부 프레임부(334)의 상면은 상기 설치구(325a)의 상단부에 배치된 두꺼운 판부재(345)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두꺼운 판부재(345)의 상면의 좌우 양단부에 앵글재(34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앵글재(346)의 수직 상승부의 상단부에는 로프스(209)를 지지하는 홈 형상의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에는 각각 상단부에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선회대(201)의 전후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 및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에 로프스(209)가 지지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스(209)는 원통 형상의 강관을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로프스(209)는 상기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로부터 상방으로 연신되는 전방 지주부(351)와, 웨이트 설치 프레임(32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신되는 후방 지주부(352)와, 이들 전방 지주부(351)의 상단부 및 후방 지주부(35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빔부(353)를 좌우 한 쌍씩 갖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부(352)의 기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프스(209)에는 좌우 한 쌍의 빔부(353)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레버(354)가 배치되고, 또한 상부에 천장 덮개(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햇빛을 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스(209)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부(351)의 하단부에는 판 형상의 연결편(351a)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351a)을, 체결구를 개재하여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에 체결하고, 좌우 한 쌍 의 후방 지주부(352)의 기단부를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로프스(209)는 선회대(201)에 장착되게 된다.
운전석(205)은 작업자가 안착 가능한 시트(355)와, 상기 시트(355)를 전후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356)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지지부(356)의 전방부에는 상기 시트대(329)의 지지구(333)에 연결되는 연결구(35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357)는 좌우 방향에 축심을 갖는 피봇 핀(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지지구(333)에 피봇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운전석(205)은 적재대(322)의 시트대(329)에 전방측 피봇으로 전방으로 쓰러짐 가능하게 적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 지지부(356)는 운전석(205)을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대(329)의 개구(332)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3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23 중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205)을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332)는 덮개 부재(358)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된다. 한편,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로부터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태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332)는 개방된 상태로부터 덮개 부재(358)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대(329)의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는 지지 부재(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운전석(205)의 측방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361)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이들 조작 레버(361L, 361R)는 굴삭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206)이다. 좌 측 조작 레버(361L)는 선회대(201) 및 굴삭 작업 장치의 아암(242)을 조작하는 것이다. 우측 조작 레버(361R)는 붐(241) 및 버킷(243)을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R)의 후방에는 버킷(243)의 회전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버킷 회전 레버(361C)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계의 조종 장치(202)는 선회대 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이고 또한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 사이에 배치된 조종대(362)와, 이 조종대(362)에 지지된 스티어링 핸들(363) 및 브레이크 페달(364)과, 선회대(201)에 지지된 전후진 절환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365)을 구비하고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대(362)는 스티어링 핸들(363)을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366)와,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스티어링 핸들(363)의 전후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틸트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의 부재는 1세트의 어셈블리로서 조립한 후에 선회대(201) 상에 콤팩트하게 장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3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364)은 조종대(362)의 좌우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큰 좌우 길이를 갖는 답입부(364a)를 조종대(362)의 기초부의 후방에 구비하고 있고, 조종대(362)에 배치된 좌우 방향의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364)은 답입을 해제하면 답입 전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압박되어 있다.
도23 및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도부가 좌우 방향의 지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된 긴 형상의 요동체(365a)와, 상기 요동 체(365a)의 전단부에 배치된 전방 답입부(365b)와, 후단부에 배치된 후방 답입부(365c)를 구비하는 동시에, 전방 답입 또는 후방 답입을 해제하면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압박되어 있다.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대 상에 적재된 운전석(205)의 하방이며, 또한 서브 커버(343) 및 적재대(322)의 전방벽(327), 상벽(328), 시트대(32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조종 장치(202)의 조작력 중계부(371)와 상기 컨트롤 밸브(207)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력 중계부(371)는 상기 풋 브레이크 수단(70)을 조작하기 위한 마스터 실린더(372) 및 이 조작구와, HST용 리모컨 밸브(절환 밸브)(373) 및 이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72)는 상기 전방벽(327)과 서브 커버(343) 사이에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선회대(201)에 돌출 설치된 설치 부재(37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364)은 조작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 기구나 로드 등을 개재하여 마스터 실린더(37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364)을 답입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372)의 피스톤이 압입되어 마스터 실린더(372) 내의 유압이 높아져, 상기 유압이 주행체(2)의 풋 브레이크 수단(70)으로 전달되어 후륜이 제동되는 것이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372)의 측방에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의 오일 주입구(375a)는 상기 시트대(329)의 작은 창(333a)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 부재(374)에는 주행체(2)에 배치된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를 작동시키는 차동 기어 로크 작동 수단(37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동 기어 로크 작동 수단(377)은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의 온/오프를 절환 가능한 절환 밸브(378)와, 상기 절환 밸브(378)를 조작 가능한 차동 기어 로크 레버(37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동 기어 로크 레버(379)는 일단부가 절환 밸브(378)의 회전 스풀에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서브 커버(343)에 형성된 안내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서브 커버(343)의 전방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205)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차동 기어 로크 레버(379)의 타단부를 답입함으로써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가 온 상태로 되어 작동한다. 또한, 차동 기어 로크 레버(379)는 답입을 해제하면 답입 전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압박되어 있고,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차동 기어 로크 장치(80)는 자동적으로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용 리모컨 밸브(373)는 주행체(2)에 배치된 상기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 또는 후진측 포트(53)에 파일럿압을 생기게 하여 HST(35)의 경사판을 전진 상태와 후진 상태로 절환하는 동시에, 주행체(2)의 주행 스피드를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 밸브(373)는, 파일럿압을 제어하는 요동 스풀(381)을 선회대(201)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여 상면측을 시트대(329)의 개구(332)에 대향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적재대(322)의 상벽(328)에 세워 설치된 브래킷(382)에 지지되어 있다.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조작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 기구나 로드 등을 개재하여 리모컨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작구는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리모컨 밸브(373) 사이에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요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 부재(383)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 부재(383)에는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리모컨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을 연동 연결하는 제1 플레이트(384)와,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댐퍼 장치(386)를 연동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385)가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댐퍼 장치(386)는 전방 답입용 제1 댐퍼(386a)와 후방 답입용 제2 댐퍼(386b)를 구비하여 리모컨 밸브(373)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상벽(32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플레이트(385)는 2갈래로 나뉘어진 선단부에 이들 제1 댐퍼(386a) 및 제2 댐퍼(386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조작구를 개재하여 리모컨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이 일방향으로 요동하여, 리모컨 밸브(373)가 전방 답입 상태로서 조작된다. 그리고, 전방 답입부(365b)의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되지만, 이 복귀 동작은 제1 댐퍼(386a)에 의해 완만하게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조작구를 개재하여 리모컨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이 타방향으로 요동하여, 리모컨 밸브(373)가 후방 답입 상태로서 조작된다. 그리고, 후방 답입부(365c)의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되지만, 이 복귀 동작은 제2 댐퍼(386b)에 의해 완만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23 및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의 리모컨 밸브(373)의 후방이고 또한 댐퍼 장치(386)의 측방이 되는 위치에 컨트롤 밸브(20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밸브(207)의 상면은 상기 개구(332)와 대향하고 있다.
컨트롤 밸브(207)는 작업기에 장비된 각 유압 액츄에이터[선회 모터(15), 붐 실린더(244), 아암 실린더(245), 버킷 실린더(246), 회전 수단(258)]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밸브(207)는 직동 스풀형의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어 밸브를 스풀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선회 작업기(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205)의 하방의 공간(S)에 조작력 중계부(371)가 되는 HST의 리모컨 밸브(373), 상기 리모컨 밸브(373)의 조작구, 댐퍼 장치(386), 풋 브레이크 수단(70)을 동작시키는 마스터 실린더(372), 상기 마스터 실린더(372)의 조작구,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 차동 기어 로크 작동 수단(377) 및 컨트롤 밸브(207)가 집중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장치 및 이들 장치의 조작구에 의한 운전 공간의 침식이 가급적 작은 것이 된다. 또한, HST의 리모컨 밸브(373), 댐퍼 장치(386) 및 컨트롤 밸브(207)는 시트대(329)의 개구(33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설정하여 개구(332)를 개방함으로써, 이들 장치의 점검ㆍ정비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시트대(329)의 작은 창(33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의 오일 주입구(375a)도 노출되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로의 오일의 주입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커버(343)의 후방이 되는 위치에 마스터 실린더(372),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 및 차동 기어 로크 작동 수단(377)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브 커버(343)를 제거함으로써, 이들 장치의 점검ㆍ정비 작업도 용이하고 또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도30 및 도31은 본 실시 형태의 선회 작업기(1)의 유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유압 회로는 스위블 조인트(14)를 경계로 하여 주행체측(도30)과 선회대측(도31)으로 나뉘어져 있다.
엔진(7)의 동력은 HST(35)의 유압 펌프(46)를 구동하는 동시에 차지 펌프(79) 및 메인 펌프(68)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엔진(7)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펌프(68)로부터의 작동유는 스위블 조인트(14)를 개재하여 컨트롤 밸브(207)에도 공급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207)의 각 제어 밸브(V1 내지 V5)로부터 각각의 액츄에이터로 보내진다.
상기 컨트롤 밸브(207)에 있어서, V1은 선회 모터(15)를 제어하는 선회용 제어 밸브, V2는 아암 실린더(245)를 제어하는 아암용 제어 밸브, V3은 버킷(243)의 회전 수단(258)을 제어하는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 V4는 붐 실린더(244)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 V5는 버킷 실린더(246)를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이다.
그리고, 조작 장치(206)의 좌측 조작 레버(361L)에는 아암용과 선회용의 리모컨 밸브(393L)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좌측 조작 레버(361L)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아암용 제어 밸브(V1)를 개재하여 아암 실린더(245)가 긁기ㆍ덤프 동작한다. 한편, 좌측 조작 레버(361)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선회용 제어 밸브(V2)를 개재하여 선회 모터(15)가 좌우 회전 동작하게 된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R)에는 버킷용과 붐용의 리모컨 밸브(393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 조작 레버(361)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작업구용 제어 밸브(V5)를 개재하여 버킷(243)이 틸트ㆍ덤프 동작한다. 한편, 우측 조작 레버(361R)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붐용 제어 밸브(V4)를 개재하여 붐 실린더(244)가 상승ㆍ하강 동작하게 된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L)의 후방에 배치된 버킷 회전 레버(394)에 의해,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를 개재하여 버킷(243)의 회전 수단(258)에 압유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버킷(243)이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용 제어 밸브(V1), 아암용 제어 밸브(V2), 붐용 제어 밸브(V4), 버킷용 제어 밸브(V5), 상기 리모컨 밸브(393L, 393R)와 같이 파일럿압으로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는 인위적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인위 조작 절환 밸브(378)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제어 밸브(V1 내지 V5)를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메인 펌프(68)의 작동유는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를 경유하여 조향 실린더(97)로 공급된다.
또한,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용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을 연결하는 파일럿 유로(395a, 395b)에 전후진 변환 수단(40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후진 변환 수단(401)은 선회대(201)를 전방향 자세로부터 후방향 자세 로 선회시켰을 때에 그것을 검출하여, 전후진 절환 페달(365)에 의한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절환 조작을 반전시키는 전후진 변환 수단(401)이 배치되어 있다.
도28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변환 수단(401)은 HST용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 사이의 파일럿 유로(395a, 395b)를 절환하여 상기 리모컨 밸브(373)로부터의 압유를 전후진 절환 수단(51)에 공급 가능한 4포트 3위치의 절환 밸브(402)와, 선회대(201)의 선회 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3위치 사이에서 절환하는 검지 기구(403)를 구비하고 있다.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환 밸브(402)는 회전 스풀(402a)을 갖는 로터리 밸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스풀(402a)의 상단부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작동편(404)이 상기 상벽(18)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404)의 선단부에는 핀(40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환 밸브(402)는,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스풀(402a)을 A 위치(순접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이 순접 상태에서 접속되게 되어, 리모컨 밸브(373)의 전진측 포트(343a)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로 공급되는 동시에, 리모컨 밸브(373)의 후진측 포트(373b)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후진측 포트(53)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 행체(2)는 전진하고,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게 된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B 위치(중립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컨 밸브(373)로부터의 전후진 절환 수단(51)으로의 압유의 공급이 끊기게 되고, 이에 의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조작에 의한 주행체(2)의 주행은 불가능해진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C 위치(역접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이 역접 상태로 접속되게 되고, 리모컨 밸브(373)의 전진측 포트(373a)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후진측 포트(53)로 공급되는 동시에, 리모컨 밸브(373)의 후진측 포트(373b)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고,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게 된다.
또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기구(403)는 주행체(2)측에 배치된 검지 아암(406)과, 선회대(201)측에 배치되어 상기 검지 아암(406)을 동작시키는 검지 캠(407)을 구비하고 있다.
검지 아암(406)은 가로로 긴 요동편(408)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편(408)은 한쪽 단부가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에 피봇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에 긴 구멍(40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긴 구멍(408a)에는 상기 작동편(404)의 핀(40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지 아암(406)을 요동시킴으로써 작동편(404)이 요동하고, 상기 작동편(404)의 요동에 수반하여 회전 스풀(402a)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검지 아암(406)의 긴 방향 중도부에는 선회대(201)를 향해 롤러(408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201)의 하부벽(214)에 배치된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의 내측에는 캠 형성 부재(410)가 그 회전 중심을 선회대(201)의 선회 축심(X)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검지 캠(407)은 상기 캠 형성 부재(410)에 캠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홈은 직경이 다른 3개의 원호를 매끄럽게 연결한 형상을 띠고 있고, 상기 캠 홈의 내면에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주행체(2)의 기체 프레임(6)과 선회대(201) 사이에는 상기 요동 로크 기구(112)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411)이 마련되어 있다.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 로크 기구(112)의 절환 밸브(118)는 회전 스풀(412a)을 갖는 로터리 밸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스풀(412a)의 상단부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작동편(414)이 상벽(18)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414)의 선단부에는 핀(41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환 밸브(118)는 회전 스풀(412a)을 A 위치로 함으로써, 요동 로크 기구(112)의 실린더 튜브(116)에 형성된 2실(124A, 124B)을 연통하는 연통 유로가 접 속 상태로 되어 상기 2실(124A, 124B)이 연통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로 내의 유체는 2실 내를 자유자재로 출입 가능해진다. 따라서,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게 되어, 노면의 상황에 따라서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요동하게 된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B 위치로 함으로써, 연통 유로가 불통 상태로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이 폐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유압 회로 내의 압유는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을 향해 이동 불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요동 로크 기구(112)는 작동하고,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요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작동 수단(411)은 주행체측에 배치된 작동 아암(416)과, 선회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 아암(416)을 동작시키는 작동 캠(417)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아암(416)은 상기 검지 아암(406)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긴 요동편(418)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편(418)의 일단부가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벽(18)에 피봇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418a)에 상기 작동편(414)의 핀(41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의 긴 방향 중도부에는 선회대(201)를 향해 롤러(418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동 캠(417)은 상기 캠 형성 부재(410)에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면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호를 매끄럽게 연결한 형상을 띠고 있고, 상기 캠면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은 롤러(418b)를 캠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당김 스프링(419)에 의해 선회 축심(X)을 향해 압박되어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은 그 롤러(418b)를 선회 축심(X)을 통해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에 마주보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의 중심축, 선회 축심(X) 및 검지 아암(416)의 롤러(408b)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은 주행체(2)의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중심축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29를 이용하여 전후진 변환 수단(401) 및 작동 수단(41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이 일치하여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가 0°(전방향 자세)인 경우,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대경 홈부(421a)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수단(411)의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가 작동 캠(417)의 한쪽 대경면부(422a)에 접촉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A 위치로 설정되게 되고,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은 순접 상태에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 조작되게 되고, 주행체(2)가 전진 주행하는 것은 물론, 운전석(205)에 착석한 작업자로부터 볼 때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한다.
또한, 이때, 작동 아암(41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어,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A 위치로 설정되게 되고,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연통 상태로 되고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 가능하게 되고, 노면의 상황에 추종하여 좌우 한 쌍의 전륜(4)이 상하 이동하게 되어, 주행 시의 선회 작업기(1)의 자세가 안정된 것이 된다.
여기서, 검지 캠(407)에 의한 검지 캠(407)의 대경 홈부(421a)로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캠(417)에 의한 작동 캠(417)의 한쪽 대경면부(422a)로의 접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향 자세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선회 각도로 부여되는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선회 각도가 전방 선회 범위를 초과할 때까지 선회체(3)를 선회시키고, 예를 들어 도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을 각각 직교시켜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90°로 한 경우,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중간 직경 홈부(421b)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가 작동 캠(417)의 소경면부(422b)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일방향으로 요동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요동하여 중립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B 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접속 상태가 끊기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 또는 후방 답입부(365c) 중 어느 하나를 밟은 경우에도 주행체(2)는 주행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 작동 아암(416)은 타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B 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불통 상태로 되어 요동 로크 기구(112)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 불능이 된다. 이때, 주행체(2)는 주행 불능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좌우 한 쌍의 전륜을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접지압을 받아 노면에 접지시킨 상태로 고정되게 되고, 이에 의해 주행 불능 상태로 된 선회 작업기(1)의 자세가 안정된 것이 된다.
여기서, 검지 아암(406)에 의한 검지 캠(407)의 중간 직경 홈부(421b)로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아암(416)에 의한 작동 아암(417)의 소경면부(422b)로의 접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를 초과하여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에서 부여되는 중간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유지된다.
그리고, 선회 각도가 중간 선회 범위를 초과할 때까지 선회체(3)를 선회시켜, 예를 들어 도2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을 각각 상반시켜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180°(후방향 자세)로 한 경우,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소경 홈부(421c)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08b)가 작동 캠(417)의 상기 대경면부(422a)에 마주보는 다른 쪽 대경면부(422a)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중립 상태로부터 타방향으로 요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C위치로 설정되어, 리모컨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은 역접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 조작되게 되어, 주행체(2)는 후진하게 되지만, 운전석(205)에 착석한 작업자로부터 볼 때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하게 된다.
한편, 작동 아암(41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A 위치로 설정되게 되고,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연통 상태로 되어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검지 아암(406)에 의한 검지 캠(407)의 소경 홈부(421c)로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아암(416)에 의한 작동 캠(417)의 다른 쪽 대경면부(422a)로의 접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중간 선회 범위를 초과하여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로 부여되는 후방 선회 범위 내로 설정한 경우에 유지된다.
즉, 선회체(3)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상기 선회체(3)는 전방 선회 범위, 후방 선회 범위 및 이들 선회 범위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중간 선회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선회 범위에 위치하게 되고, 위치하고 있는 선회 범위에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65)의 전후진 조작이 절환되고(반전되고), 또한 요동 로크 기구(112)가 절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선회체(3)를 전방향 자세로 한 경우와 후방향 자세로 한 경우에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을 바꾸어 밟을 필요가 없다. 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운전석(205)에 착석한 작업자로부터 볼 때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하고,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상기 작업자로부터 볼 때 선회 작업기(1)는 후진하게 된다.
또한,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순접 상태 및 요동 로크 기구(112)의 작동 수단(411)의 비동작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하고 있는 동안 유지된다. 이로 인해, 전방향 자세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 체(3)를 선회시킨 경우에도, 전후진 변환 수단(401) 및 작동 수단(401)이 절환되는 일은 없다. 선회체(3)를 후방 선회 범위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절환 밸브(402)를 순접 상태로 하는 전방 선회 각도 범위와 역접 상태로 하는 후방 선회 각도 범위와의 사이에 중립 상태로 하는 중간 선회 범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201)를 전방향 자세측과 후방향 자세측 사이에서 왕복시킨 경우에도, 임의의 경계를 경계로 하여 전후진 절환 페달(365)에 의한 전후진 조작이 반전될 우려는 없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후진의 절환은 주행체(2)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중립 상태를 통해 절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 중인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후진 조작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가 중간 선회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요동 로크 기구(112)가 작동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선회체(3)를 선회시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선회체(3)의 선회에 수반하여 무게 중심 이동이 생기지만, 상기 무게 중심 이동에 수반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선회대(201)가 차축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는 일이 없어, 작업 시의 작업 자세의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요동 로크 기구(112)를 작동시킴으로써, 전후륜(4, 5)은 접지압을 대략 균등하게 한 상태에서 노면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 시에 선회대(201)의 선회에 수반하여 큰 횡력이나 모멘트가 주행체(2)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행체(2)를 지지하는 전후륜(4, 5) 전체로 이들 힘에 저항할 수 있어, 작업 시의 작업 자세의 안정 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도30 및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조향 실린더(97) 사이에는 상기 전후진 변환 수단(401)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조향 실린더(97)의 접속 상태가 절환된다. 따라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순접 상태로 되고, 스티어링 핸들(363)의 우측 꺾기 조작에 의해 주행체(2)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한다.
또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중간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중립 상태로 되어, 스티어링 핸들(363)의 조작에 상관없이 주행체(2)는 선회 불능이 된다.
그리고,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역접 상태로 되어, 스티어링 핸들(363)의 우측 꺾기 조작에 의해 주행체(2)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운전석(205)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볼 때 스티어링 핸들(363)을 꺾는 방향과 주행체(2)의 선회 방향이 일치하게 되어, 작업 중인 핸들 조작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우 한 쌍의 후륜(5)을 좌우 한 쌍의 전륜(7)과 같이 차축 케이스를 개재하여 주행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차축 케이스에 요동 로크 기구(112)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동 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112)는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후륜(5)의 한쪽 혹은 양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 기구(403)의 검지 아암(406)을 선회체(3)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검지 캠(407)을 주행체(2)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작동 기구의 작동 아암(416)을 선회체(3)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작동 캠(417)을 주행체(2)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조종 장치(202)에 핸드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배치하여, 상기 핸드 액셀러레이터 레버에 의해 대지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 형태에 따라서 엔진(7)의 회전 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지 펌프와 리모컨 밸브(373) 사이에 차지 펌프로부터 리모컨 밸브(373)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을 끊는 주행 로크 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회대(201)를 구비하고, 이 선회대(201) 상에 대지 작업 장치(203), 운전석(205) 등을 구비한 휠식 작업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선회대(201)는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고, 예를 들어 주행체(2)에 직접, 대지 작업 장치(203)이나 운전석(205) 등을 구비하는 등 상술한 것 이외의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전후륜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를 갖는 주행체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 기체 프레임과, 상기 기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차륜을 현가하는 차축 케이스와, 상기 차축 케이스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로크 기구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이며,상기 차축 케이스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상기 차축 케이스와 일체 요동하는 작동체가 설치되어 있고,상기 요동 로크 기구는 로크 실린더와 상기 로크 실린더의 양 실린더실을 연통 상태와 폐쇄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밸브를 갖고,상기 로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기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가 상기 작동체에 연동 연결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에는 상기 작동체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를 구비하고,상기 요동 로크 기구와 상기 선회대 사이에 상기 선회대를 전후 방향 자세로부터 소요 각도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요동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휠식 작업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기체 프레임과 상기 선회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요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아암과, 다른 쪽에 설치되어 선회대를 전후 방향 자세로부터 소정 각도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작동 아암을 요동시키는 작동 캠을 갖는 휠식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83378 | 2005-09-29 | ||
JP2005283378A JP2007091042A (ja) | 2005-09-29 | 2005-09-29 | ホイール式作業機 |
JP2005283377A JP2007091041A (ja) | 2005-09-29 | 2005-09-29 | ホイール式作業機 |
JPJP-P-2005-00283377 | 2005-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7110A true KR20080037110A (ko) | 2008-04-29 |
KR100952534B1 KR100952534B1 (ko) | 2010-04-12 |
Family
ID=3789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6847A KR100952534B1 (ko) | 2005-09-29 | 2006-09-07 | 휠식 작업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740254B2 (ko) |
EP (1) | EP1930190A4 (ko) |
KR (1) | KR100952534B1 (ko) |
WO (1) | WO20070371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95870B2 (en) * | 2009-03-19 | 2013-07-30 | Kubota Corporation | Work machine |
US9010867B2 (en) * | 2012-06-01 | 2015-04-21 | Steelcase Inc. | Stool with tilted orientation |
JP5892041B2 (ja) * | 2012-11-02 | 2016-03-2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 |
JP5966867B2 (ja) * | 2012-11-02 | 2016-08-1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 |
GB2531766A (en) * | 2014-10-29 | 2016-05-04 | Bamford Excavators Ltd | Working Machine |
GB2531765B (en) * | 2014-10-29 | 2017-09-13 | Bamford Excavators Ltd | An undercarriage for a working machine |
GB2531768B (en) * | 2014-10-29 | 2018-01-17 | Bamford Excavators Ltd | An Undercarriage for a Working Machine |
GB2531762A (en) | 2014-10-29 | 2016-05-04 | Bamford Excavators Ltd | Working machine |
GB2531764A (en) | 2014-10-29 | 2016-05-04 | Bamford Excavators Ltd | Working machine |
US10442458B2 (en) * | 2015-01-29 | 2019-10-15 |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
JP6206425B2 (ja) * | 2015-02-06 | 2017-10-04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トーイングトラクタ |
EP3279401B1 (en) * | 2015-03-30 | 2023-05-31 | Kubota Corporation | Work machine |
JP7319160B2 (ja) * | 2019-09-30 | 2023-08-0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機械 |
EP4085172B1 (en) * | 2019-12-30 | 2024-02-21 | Hidromek-Hidrolik Ve Mekanik Makina Imalat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Hydraulic cylinder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ttachment integrat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52605A (en) * | 1963-03-12 | 1966-05-24 | Eaton Yale & Towne | Overshot loader |
JPS6241886Y2 (ko) * | 1980-04-12 | 1987-10-27 | ||
US4393959A (en) * | 1980-12-10 | 1983-07-19 | Allis-Chalmers Corporation | Hydraulic stabilizer for axle on mast lift vehicle |
JPS58167400A (ja) | 1982-03-27 | 1983-10-0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における車軸固定装置 |
JPH0510048Y2 (ko) * | 1987-12-28 | 1993-03-11 | ||
JPH0642274Y2 (ja) * | 1988-11-01 | 1994-11-02 | 株式会社クボタ | 制御弁操作構造 |
US5161353A (en) * | 1991-08-21 | 1992-11-10 | Deweze Manufacturing, Inc. | Slope mower with improved blade housing floatation |
JP2559294Y2 (ja) * | 1992-03-26 | 1998-01-14 | 日立建機株式会社 | ホイール式作業車両 |
JP2589713Y2 (ja) | 1992-12-18 | 1999-02-03 | 三菱農機株式会社 | 歩行型田面作業機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におけるロツク構造 |
DE19616302A1 (de) | 1996-04-24 | 1997-10-30 | Fendt Xaver Gmbh & Co | Einrichtung zum Begrenzen der Pendelbewegung einer Starrachse eines Nutzfahrzeuges, insbesondere eines Ackerschleppers |
JP2001047829A (ja) * | 1999-08-05 | 2001-02-20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産業車両の揺動規制装置 |
SE519249C2 (sv) * | 2001-06-18 | 2003-02-04 | Volvo Articulated Haulers Ab | Fordon innefattande en första och en andra fordonssektion förbundna med en vridmidja, samt metod att positionera sektionerna kring fordonets längdaxel |
US6772544B2 (en) * | 2002-03-28 | 2004-08-10 | Kubota Corporation | Wheeled work vehicle |
ITTO20021068A1 (it) * | 2002-12-06 | 2004-06-07 | Fiat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S P A | Veicolo su ruote provvisto di un assale oscillante attorno ad un asse longitudinale. |
JP4080974B2 (ja) * | 2003-08-12 | 2008-04-23 | 株式会社クボタ | ホイール式作業機 |
US7510198B2 (en) * | 2007-03-22 | 2009-03-31 | Cnh America Llc | Axle suspension system |
-
2006
- 2006-09-07 EP EP06797623A patent/EP193019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09-07 KR KR1020087006847A patent/KR1009525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9-07 WO PCT/JP2006/317750 patent/WO200703710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9-07 US US12/088,026 patent/US774025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930190A1 (en) | 2008-06-11 |
US20090066046A1 (en) | 2009-03-12 |
KR100952534B1 (ko) | 2010-04-12 |
US7740254B2 (en) | 2010-06-22 |
WO2007037107A1 (ja) | 2007-04-05 |
EP1930190A4 (en) | 2010-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2534B1 (ko) | 휠식 작업기 | |
KR100986877B1 (ko) | 휠식 작업기 | |
US6990757B2 (en) | Wheeled work vehicle | |
KR20080103555A (ko) | 휠 로더 | |
JP4451831B2 (ja) | ホイール式作業機 | |
JP2007091042A (ja) | ホイール式作業機 | |
JP2007091044A (ja) | ホイール式作業機 | |
KR20200049517A (ko) | 고소 작업차 | |
JP4606365B2 (ja) | ローダ | |
JP3730590B2 (ja) |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 |
JP2007092398A (ja) | 旋回作業機 | |
JP4471916B2 (ja) | ホイール式作業機 | |
KR102706108B1 (ko) | 유압 동력의 우선처리 | |
JP2007092399A (ja) | 旋回作業機 | |
JP6670268B2 (ja) | トラクタ | |
JP2007091041A (ja) | ホイール式作業機 | |
JP2007092397A (ja) | 掘削作業装置 | |
JP4170881B2 (ja) | 旋回作業機 | |
JP7091206B2 (ja) | 作業用車両 | |
JP7080567B2 (ja) | 作業用車両 | |
JP4170880B2 (ja) | 旋回作業機 | |
JP2017065577A (ja) | 作業車両 | |
JPH0559741A (ja) | 積込車 | |
JP2020045733A (ja) | 作業用車両 | |
JP4357274B2 (ja) | 旋回作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