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877B1 - 휠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휠식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877B1
KR100986877B1 KR1020087006845A KR20087006845A KR100986877B1 KR 100986877 B1 KR100986877 B1 KR 100986877B1 KR 1020087006845 A KR1020087006845 A KR 1020087006845A KR 20087006845 A KR20087006845 A KR 20087006845A KR 100986877 B1 KR100986877 B1 KR 10098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ransmission
differential
frame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425A (ko
Inventor
도시히꼬 다께무라
료오헤이 스미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3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910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3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191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3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60K17/105Units comprising at least a part of the gearing and a torque-transmitting axle, e.g. trans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outward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5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의 콤팩트화를 도모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한다. 전후륜(4, 5)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6)의 후방부에 엔진(7)을 탑재하고,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5)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를 갖는 주행체(2)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이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는,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된 후륜 차동 장치(38)와, 이것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35)과, 정유압 트랜스미션(35)과 후륜 차동 장치(3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35)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 차동 장치(38)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37)를 갖고, 엔진(7)에, 후륜 차동 장치(38), 기계식 전동 장치(37) 및 정유압 트랜스미션(35)을 일체화하고 있다.
휠식 작업기, 엔진, 주행체, 동력 전달 기구, 차동 장치

Description

휠식 작업기 {WHEEL TYPE WORK MACHINE}
본 발명은, 휠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후륜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체를 구비하고, 이 주행체 상에 선회대를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선회대의 전방부에 대지(對地) 작업 장치를, 후방부에 운전석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선회대에 주행계 조종 장치와 대지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휠식 작업기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는, 후륜 차동 장치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이 정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 차동 장치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를 갖는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71608호 공보
종래의 작업기에 있어서는, 엔진과 후륜 차동 장치와,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기계식 전동(傳動) 장치가 기체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있어, 조립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의 콤팩트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요망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의 콤팩트화를 도모한 휠식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전후륜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를 갖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이며,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는, 엔진의 전방측에 배치된 후륜 차동 장치와, 이 후륜 차동 장치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후륜 차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 차동 장치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를 갖고, 상기 엔진에, 후륜 차동 장치, 기계식 전동 장치 및 정유압 트랜스미션을 장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전방측에 상기 후륜 차동 장치를 수용한 하우징이 장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를 수용한 전동 케이스가 장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전방측에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의 케이싱이 장착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후륜 차동 장치의 좌우의 각 차동 출력축으로부터 좌우 동측에 있는 후방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좌우의 최종 전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최종 전동 장치를 수용한 최종 전동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 된 선회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대지 작업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은, 상부 벽과 당해 상부 벽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좌우 측벽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좌우 측벽 사이의 후방부에 상기 엔진을 배치하는 엔진 배치부와, 좌우 측벽 사이의 상기 엔진 전방측에 상기 하우징, 전동 케이스 및 케이싱을 배치하는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와, 전후륜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선회대를 지지하는 선회 베어링을 배치하는 베어링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측벽의 후방부에 최종 전동 케이스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지는 케이스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후륜 차동 장치의 차동 출력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을, 차동 출력축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과 겹치도록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에, 후륜 차동 장치, 기계식 전동 장치 및 정유압 트랜스미션을 장착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의 후륜 차동 장치와,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기계식 전동 장치를 엔진의 전방측에 통합하였으므로,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륜 차동 장치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을, 차동 출력축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과 겹치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기의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휠식 선회 작업기의 좌측면도.
도2는 선회 작업기의 정면도.
도3은 주행체 및 선회대의 사시도.
도4는 주행체의 평면도.
도5는 주행체의 좌측면도.
도6은 주행체 후방 상부 및 선회체 후방 하부의 좌측면도.
도7은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및 후륜의 평면도.
도8은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및 그 주변의 평면 확대도.
도9는 기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10은 기체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11은 기체 프레임의 정면도 및 기체 프레임의 배면도.
도12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좌측면도.
도13은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정면도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정단면도.
도14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의 정면도.
도15는 전방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16은 굴삭 작업 장치의 평면도.
도17은 버킷의 배면도.
도18은 버킷 및 아암의 좌측면도.
도19는 회전 수단의 단면도.
도20은 자세 유지 수단의 평면도 및 자세 유지 수단의 배면도.
도21은 회전 규제 수단의 평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22는 운전석 및 그 주변의 평면도.
도23은 운전석 및 그 주변의 좌측면도.
도24는 선회대의 평면도.
도25는 선회대의 좌측면도.
도26은 운전석 하방의 좌측면도.
도27은 운전석 하방의 다른 좌측면도.
도28은 선회 축심 및 그 주변의 정면도.
도29는 검지 기구 및 작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30은 주행체측의 유압 회로.
도31은 선회체측의 유압 회로.
[부호의 설명]
2 : 주행체, 4 : 전륜, 5 : 후륜, 6 : 기체 프레임, 7 : 엔진, 8 :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 11 : 엔진 배치부, 16 : 선회 베어링, 18, 91 : 상부벽, 19, 92 : 측벽, 35 : 정유압 트랜스미션, 37 : 기계식 전동 장치, 38 : 후륜 차동 장치, 39 : 후방 차축, 40 : 최종 전동 장치, 43 : 케이싱, 58 : 차동 출력축, 61 : 하우징, 62 : 전동 케이스, 63 :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 64 : 케이스 끼워 맞춤부, 67 : 최종 전동 케이스, 70 : 풋 브레이크 수단, 71 : 주차 브레이크 수단, 86 : 베어링 배치부, 201 : 선회대, 202 : 조종 장치, 203 : 굴삭 작업 장치, 204 :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 205 : 운전석, 206 : 조작 장치, X : 선회 축심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부호 1은 예를 들어 원예 등에 사용되는 도시형 소형 휠식 선회 작업기이다. 상기 선회 작업기(1)는 크게 구별하여, 하부의 주행체(2)와, 상부의 선회체(3)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전후방 차륜(4, 5)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된 휠식 주행체(2)이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전후륜(4, 5)과, 이 전후륜(4, 5)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6)과, 이 기체 프레임(6)에 탑재된 엔진(7)과, 이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5)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와, 이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로부터 분기되어 전륜(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구동 계통(33)을 구비하고 있다.
도1 내지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6)은, 메인 프레임(9)과, 이 메인 프레임(9)의 전방측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1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에는 엔진(7), 라디에이터(12), 배터리(13), 스위블 조인트(14), 선회 모터(15) 및 선회 베어링(16) 등이 장비된다. 전방 프레임(10)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7)가 장비되고, 메인 프레임(9)의 후방부가 좌우의 후륜(5)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프레임(10)의 전방부가 좌우의 전륜(4)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은 판재로 구성되고, 상부 벽(18)과, 이 상부 벽(18)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좌우 측벽(19)과, 상부 벽(18) 및 좌우 측벽(19)의 전단에 고정된 전방 벽(20)과, 좌우 측벽(19)의 후단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벽(2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하방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진(7)은,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크랭크축의 축심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또한 출력축(23)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7)의 상단측이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벽(18)에 절결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7)의 후방부에는 냉각 팬(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후방부가, 엔진(7)을 배치하는 엔진 배치부(11)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7)의 좌측방에는 라디에이터(12)가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9)에 장착 고정되고, 엔진(7)의 우측방에는 배터리(13)가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9)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은 사이드 커버(26)에 의해 덮여 있다. 메인 프레임(9)의 후방부는, 좌우 후륜(5)을 덮는 후륜 펜더(27)를 구비하고, 또한 좌우 후륜 펜더(27)의 전방부끼리를 연결한 고정 커버(28)와, 좌우 후륜 펜더(27)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7) 후방부의 상방측을 덮고, 또한 개폐 가능한 개 폐 커버(29)와, 메인 프레임(9)의 배면측을 덮는 후방 범퍼 커버(30)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개폐 커버(29)의 후단과 후방 범퍼 커버(30)의 상단 사이는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개구 부분을 통해 냉각 팬(25)에 의해, 엔진룸 내의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엔진룸 내로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전방 프레임(10)은, 좌우 전륜(4)을 덮는 전륜 펜더를 갖는 커버 부재(31) 및 전방 프레임(10)의 전방면을 덮는 전방 범퍼 커버(41)에 의해 덮여 있다.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는,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행 추진축(34)과, 이 주행 추진축(34)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이하, HST라 함)(35)과, 이 HST(35)로부터의 동력을 베벨 피니언축(36)으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37)와, 베벨 피니언축(36)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후륜 차동 장치(38)와, 이 후륜 차동 장치(38)에 전달된 동력을 좌우의 후방 차축(39)으로 전달하는 좌우 최종 전동 장치(40)를 구비한다. 주행 추진축(34), HST(35), 기계식 전동 장치(37), 베벨 피니언축(36) 및 후륜 차동 장치(38)는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최종 전동 장치(40)는 후륜 차동 장치(38)의 측방으로부터 엔진(7)의 전방부 측방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행 추진축(34)은, 엔진(7)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엔진(7)의 출력축(23)에 연결된 플라이 휠(42)에 후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도8 및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ST(35)는 케이싱(43) 내에, 엔진(7)으 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44)과, 후륜 차동 장치(38)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45)을 좌우로 평행 형상으로 구비하는 동시에, 입력축(44)에 설치된 유압 펌프(46)와, 출력축(45)에 설치된 유압 모터(47)를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HST(35)는, 입력축(44)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46)로부터 이송되는 압유에 의해 유압 모터(47)를 구동하여, 상기 유압 모터(47)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축(45)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하는 미션이다.
케이싱(43)은, 후방면측이 개구 형상인 본체(48)와, 상기 본체(48)의 후방면측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49)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축(44) 및 출력축(45)은 덮개체(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HST(35)의 입력축(44)은, 주행 추진축(34)의 전방측에 상기 추진축(34)과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커플링에 의해 주행 추진축(34)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46)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이루어지고, 경사판 제어 액츄에이터(50)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고, 경사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유압 모터(47)로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을 바꾸어 출력축(45)의 회전 속도(차속)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유압 펌프(46)는 유압 모터(47)로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출력축(45)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전진 회전) 또는 역회전(후진 회전)으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 제어 액츄에이터(50)는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서보 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후진 절환 수단(5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에 파일럿압이 걸리면 출력축(45)이 정회전하도록 유압 펌프(46)의 경사판이 제어되고, 후진측 포트(53)에 파일럿압이 걸리면 출력축(45)이 역회전하도록 유압 펌프(46)의 경사판이 제어되고, 전진측 포트(52) 또는 후진측 포트(53)에 걸리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 유압 펌프(46)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이 제어되어 출력축(45)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유압 모터(47)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이루어지고, 고저 절환 액츄에이터(54)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2단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경사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출력축(45)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을 고속 상태와 저속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벨 피니언축(36)은, HST(35)의 출력축(45)의 덮개체(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좌측방이면서 또한 하방측에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고, HST(35)의 출력축(45)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베벨 피니언축(36)의 후단측에 베벨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37)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ST(35)의 출력축(45)의 덮개체(4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56)와, 베벨 피니언축(36)의 전단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기어(56)에 맞물리는 피구동측 기어(57)로 구성된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계식 전동 장치(37)는,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동속(同速) 기구라도 좋고, 또한 커플링 등의 동력 전동을 행하는 것이면 좋다.
후륜 차동 장치(38)는, 베벨 피니언축(36)의 후방이면서 또한 엔진(7) 좌측 방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차동 출력축(58)이 돌출되어 있다.
후방 차축(39)은, 후륜 차동 장치(38)의 차동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면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우 각 후방 차축(39)의 외단측에 후륜(5)이 장착 고정되어 있다.
최종 전동 장치(40)는, 차동 출력축(58)의 좌우 방향 외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59)와, 후방 차축(39)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피구동측 기어(60)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최종 전동 장치(40)에 있어서도,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동속 기구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에 있어서는, 엔진(7)으로부터 전방으로 출력된 동력은, HST(35)에서 꺾여 후방으로 전달되고, 엔진(7)의 전방측의 후륜 차동 장치(38)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전달되고, 최종 전동 장치(40)에 의해 후방으로 전달되어 후방 차축(39)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어 있다.
엔진(7)의 전방측에는, 플라이 휠(42) 및 후륜 차동 장치(38) 등을 수용한 하우징(61)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하우징(61)의 전방측에는, 기계식 전동 장치(37) 등을 수용한 전동 케이스(62)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전동 케이스(62)의 전방측에는, HST(35)의 케이싱(43)[의 덮개체(49)]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7)에, 후륜 차동 장치(38), 기계식 전동 장치(37) 및 HST(35) 등이 장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하우징(61), 전동 케이스(62) 및 케이싱(43)은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엔진 배치부(11) 전방측이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63)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1)의 좌우 양측에는, 최종 전동 장치(40)를 수용한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고정되어 있다. 이 좌우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에 후방 차축(39)이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메인 프레임(9)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 좌우의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는, 그 전방부의 좌우 방향 내단측이 상기 하우징(61)의 측면에 볼트 고정되고, 좌우의 각 최종 전동 케이스(67)의 후방부측이 메인 프레임(9)의 측벽(19) 상부측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의 후방부의 하부측에는, 최종 전동 케이스(67)의 상부측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기 위해,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끼워 맞춤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 끼워 맞춤부(64)의 주위의 메인 프레임 측벽(19)에 최종 전동 케이스(67)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엔진(7)의 전방부측이 하우징(61) 및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통해 메인 프레임(9)에 지지되어 있다. 엔진(7)의 후방부측은, 메인 프레임(9)의 후방 벽(21)에 형성된 꺾어 세움부(65)와 엔진(7)의 하부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엔진(7)에, 하우징(61), 전동 케이스(62), HST(35)의 케이싱(43),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장착하여 일체화(유닛화)하고 있으므로[엔진(7)에, 후륜 차동 장치(38), 기계식 전동 장치(37), HST(35), 최종 전동 장치(40), 후방 차축(39)을 장착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이 결과, 이들을 조립한 후에, 상기 조립체에 기체 프레임(6)을 엔진(7) 등의 상방으로부터 조립할 수 있어, 기체 프레임(6)에 대한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우징(61)과 전동 케이스(62)와 HST(35)와 종 변속 케이스를 조립한 후에, 이들 조립체에 기체 프레임(6)을 상방으로부터 조립하고, 그 후 엔진(7)을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 상면측으로부터 좌우 측벽(19)에 삽입하여 배치하고, 그 후 상기 엔진(7)을 하우징(61) 및 메인 프레임(9)의 후방 벽(21)에 장착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에 형성되는 절결 개구부(24)는, 엔진(7)을 상방으로부터 좌우 측벽(19) 사이에 삽입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엔진(7)의 전방측에 후륜 차동 장치(38)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후륜 차동 장치(38)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5)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39)을, 차동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면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겹치도록 설치함으로써, 선회 작업기(1)의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환언하면, 엔진(7)의 전방측에 후륜 차동 장치(38)를 설치함으로써, 엔진(7)을 선회체(3)의 선회 축심(X)[선회 베어링(16)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할 수 있어, 후술하는 스텝(215)의 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차축(39)이 후륜 차동 장치(38)의 차동 출력축(58)과 동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엔진(7)이 후방 차축(39)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선회체(3)를 후방향으로 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후방 차축(39)으로부터 엔진(7) 후방의 작업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후방 차축(39)을, 차동 출력축(58)의 후방 위치이면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겹치도록 설치함으로써, 선회체(3)를 후방향으로 하여 작업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후륜 차동 장치(38)를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함에 있어서, 플라이 휠(42)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륜 차동 장치(38)를 가능한 한 엔진(7)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동 출력축(58)과 후방 차축(39)의 축간 거리를 짧게 하여, 최종 전동 장치(40) 및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기체 프레임의 좌우의 측프레임 부분을 각이진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 각이진 파이프의 좌우 방향 외측면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장착 고정하면 선회 작업기의 좌우 폭이 넓어지고, 또한 상기 각이진 파이프의 하면측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장착 고정하면 선회 작업기의 좌우 폭은 넓어지지 않지만, 주행체(2)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체 프레임(6)의 메인 프레임(9)은 판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벽(18)과 좌우 측벽(19)을 구비하고, 이 좌우 측벽(19) 사이에 엔진(7)을 배치하는 동시에, 좌우 측벽(19)에 최종 전동 케이스(67)를 장착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선회 작업기(1)의 좌우 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는 상하 방향의 치수를 낮게 하여, 상부의 선회체(3)를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HST(35)의 전방측에는, 상기 HST(35)의 입력축(44)의 전단측에 연동 연결되어 구동되는 2연식 기어 펌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펌프(68)가 장착되고, 이 메인 펌프(68)로부터 당해 선회 작업기(1)에 장비된 각종 액츄에이터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7)의 하단측에 구비된 오일팬(69)이 유압기기용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로서 이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에는, HST(35)로부터 후륜 차동 장치(38)로 전달되는 주행 동력을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 수단(70)(주행 브레이크)과, HST(35)와 후륜 차동 장치(38)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 수단(7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브레이크 수단(70, 71)은, 기계식 전동 장치(37)의 구동측 기어(5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풋 브레이크 수단(70)은, 전동 케이스(62)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62)에 고정된 브레이크 케이스(72)와, HST(35)의 출력축(45)의 후단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브레이크 디스크(73)와, 브레이크 케이스(72)측에 설치된 플레이트(74)와,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를 압접시키는 피스톤(75)을 갖고, 선회체(3)측에 설치한 브레이크 페달(364)의 답입 조작에 의해 마스터 실 린더(372) 내의 압유가 피스톤(75)을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75)이 이동하여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가 압접됨으로써, HST(35)의 출력축(45)을 제동한다.
주차 브레이크 수단(71)은, 풋 브레이크 수단(7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하우징(61) 내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된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와, 이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 내에 수용된 피스톤(77)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스(72)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는 전방으로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브레이크 케이스(72)와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는 연통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6) 내에는, 엔진(7)의 정지시에 있어서, 피스톤(77)을 압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를 압접시키는 스프링(78)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7)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엔진(7)에 의해 구동되는 차지 펌프(79)(도30 참조)로부터의 유압이, 피스톤(77)에 작용하여 상기 스프링(7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스톤(77)을 이동시키고, 브레이크 디스크(73)와 플레이트(74)의 압접을 해제한다.
또한, 후륜 차동 장치(38)의 좌측방에는, 차동 로크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동 로크 장치(80)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차동 출력축(58)과 일체 회전하는 차동 로크 시프터(81)를 압유에 의해 복귀 스프링에 저항하여 후륜 차동 장치(38)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동 로크 시프터(81)에 형성된 결합 기어를, 후륜 차동 장치(38)측에 설치한 결합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후륜 차동 장치(38)의 차동 작용을 금지하여 차동 로크하는 유압식 차동 로크 장치(80)이다.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상부 벽(18) 상면측에는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83)를 폐색하도록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장착판(84)이 상기 상부 벽(18)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베어링 장착판(84) 상에 선회 베어링(16)이 배치되고, 상기 선회 베어링(16)의 아우터 레이스(85)가 베어링 장착판(84)에 볼트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선회 베어링(16)은 전후륜(4, 5)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고, 이 선회 베어링(16)의 중심이 선회 축심(X)으로 되고, 메인 프레임(9)의 전방부의 상부 벽(18) 상면측의 베어링 장착판(84) 상면측이 베어링 배치부(86)로 되어 있다.
또한,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의 내주측에는 내접 기어(89)가 형성되고, 이 내접 기어(89)에는 피니언(88)이 맞물려 있다. 이 피니언(88)은 메인 프레임(9)에 고정된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선회 모터(15)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고, 선회 모터(15)에 의해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가 선회 축심(X)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 사이의 전방부에는, 선회 축심(X)과 동심 형상으로 스위블 조인트(14)가 배치되고, 이 스위블 조인트(14)를 통해 주행체(2)측과 선회체(3)측 사이의 압유의 유통이 행해진다.
도9 내지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프레임(6)의 전방 프레임(10)은 판재로 구성된다. 즉, 전방 프레임(10)은, 상부 벽(91)과, 이 상부 벽(91)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좌우 측벽(92)과, 이 좌우 측벽(92)의 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93)을 구비하여 주로 구성되고, 후방부측이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과 전방 프레임(10)의 상부 벽(91)으로 기체 프레임(6)의 상부 벽이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9)의 좌우 측벽(19)과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측벽(92)으로 기체 프레임(6)의 측벽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폭은 메인 프레임(9)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 메인 프레임(9)의 전방이면서 또한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측방에 전륜(4)을 배치하는 전륜 배치 공간(94)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측벽(92)의 상부 벽(91)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연장 치수는, 그것의 전방부측이 후방부측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 측벽(92)은 후방부측보다도 전방부측의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전방 프레임(10)의 전방부 하방에 전방 차축 케이스(96) 및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조향 실린더(97) 등의 배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93)은, 좌우 측벽(92)의 전방부의 하단측끼리를 연결하는 수평 형상의 수평 벽부(98)와, 이 수평 벽부(98)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좌우 측벽(92)의 전후 방향 중간부끼리를 연결하는 경사 벽부(99)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측벽(92) 사이의 후방부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17)는, 좌우 측벽(92) 사이에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전방 프레임(10)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연료 탱크(17)의 전방측은 상기 연결판(93)의 경사 벽부(99)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고, 하부 후단측은 메인 프레임(9)의 전방 벽 하단측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해 메인 프레임(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0)의 상부 벽(91)에는 연료 탱크(17)의 급유구(100)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연료 탱크(17)의 하면측은 상기 연료 탱크(17)를 장착한 후에 전방 프레임(10)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에 의해 커버된다.
전방 프레임(10)의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하면측에는, 좌우의 전륜(4)을 조향 가능하게 현가(懸架)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전후 양측에는,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하면에 장착 고정된 전방 차축 베어링(101)이 배치되고, 이 전후의 전방 차축 베어링(101)에 센터 핀(102)을 통해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양측에는 기어 케이스(103)가 설치되고, 좌우 각 기어 케이스(103)에 전륜(4)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전방측에는, 전륜(4)을 조향 조작하는 조향 실린더(97)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에 장착 고정되어 있고, 이 조향 실린더(97)는 실린더 튜브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가 설치되고, 좌우 각 피스톤 로드는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전륜(4)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조향 실린더(97)는 선회체(3)측에 설치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에 의해 제어된다.
전륜(4)은 조향륜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것의 배치 공간은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전방 프레임(10)을 메인 프레임(9)과 좌우 방향 동일 폭으로 형성하고 있으면, 선회 작업기(1)의 좌우 폭은 넓은 것으로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폭을 메인 프레임(9)보다 좁게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9)의 전방이면서 또한 전방 프레임(10)의 좌우 측방에 전륜(4)을 배치하는 전륜 배치 공간(94)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회 작업기(1)의 좌우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륜(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구동 계통(33)은,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37)의 피구동측 기어(57)에 연결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6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륜 동력 취출축(104)과, 전방 차축 케이스(96) 내에 설치된 전륜 차동 장치(105)와, 이 전륜 차동 장치(105)에 동력을 입력하는 베벨 피니언축(106)과, 이 베벨 피니언축(106)과 전륜 동력 취출축(104)을 연동 연결하는 전동 샤프트(107)와, 전륜 차동 장치(105)의 차동 출력축(108)으로부터 전륜(4)을 구동하는 전륜 구동축(109)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종 감속 기구(전동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96)에는, 전방 차축 케이스(96)와 일체 요동하는 작동체(111)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6)[전방 프레임(10)]에는, 이 작동체(111)의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로크 기 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체(111)는,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좌우 방향 중앙에 전후 한 쌍 배치되고, 각각 전방 차축 케이스(96)에 설치된 장착부(113)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후 각 작동체(111)는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각 작동체(111)의 상부에는 상방 및 전후로 개방된 형상으로 된 끼워 맞춤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로크 기구(112)는 전후 작동체(111)의 상부 사이에 배치된 로크 실린더(115)와, 이 로크 실린더(115)의 실린더 튜브(116) 내의 피스톤(117)에 의해 구획되는 2실(124A, 124B)을 연통 상태와 폐쇄 상태(비연통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밸브(118)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실린더(115)는 전방 프레임(10) 상부 벽(91)에 형성된 배치 개구부(119) 내에 축심이 좌우 방향과 일치하도록 수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 실린더(115)는, 유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가 충전된 실린더 튜브(116)와, 이 실린더 튜브(116) 내에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피스톤(117)과, 상기 피스톤(117)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또한 실린더 튜브(116)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피스톤 로드(12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각 피스톤 로드(120)는,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지지판(121)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좌우 각 지지판(121)은, 전방 프레임(10)의 연결판(93)의 수평 벽부(98)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상방 및 좌우 양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장착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 각 피스톤 로드(120)의 외단측에는 헤드가 달린 볼트로 이루어지는 장착 볼트(123)가 좌우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장착 볼트(123)의 축 부분을 상기 지지판(121)의 장착 홈(122)에 상방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 맞추고, 그 후 장착 볼트(123)를 조임으로써 좌우 피스톤 로드(120)가 전방 프레임(10)[기체 프레임(6)]측에 좌우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수평 형상으로 장착 고정된다.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전후 양측에는,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상방으로부터 끼움 삽입됨으로써 실린더 튜브(116)를 작동체(111)에 연동 연결하는 피끼워 맞춤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끼워 맞춤부(126)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 핀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 로드(120)의 장착시에, 동시에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끼워 맞추어진다.
절환 밸브(118)는 2포트 2위치 절환 밸브(118)로 이루어지고, 한쪽 포트가 실린더 튜브(116) 내의 한쪽 실(124A)에 호스 등을 통해 연통되고, 다른 쪽 포트가 실린더 튜브(116) 내의 다른 쪽 실(124B)에 호스 등을 통해 연통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에 이르는 경로에 유체(오일)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로 유체를 출입시키기 위한 한 쌍의 출입 포트(125A, 125B)는, 실린더 튜브(116)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 로크 기구(112)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로 유체가 유통하는 연통 상태로 절환 밸브(118)가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이동이 허용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이 허용된다. 한편, 실린더 튜브(116)의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로 유체가 유통하지 않는 비연통 상태로 절환 밸브(118)가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의 좌우 이동이 규제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이 규제(로크)된다.
상기 구성의 요동 로크 기구(112)의 로크 실린더(115)는, 실린더 튜브(116)의 피끼워 맞춤부(126)를 작동체(111)의 끼워 맞춤부(114)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는 동시에, 피스톤 로드(120)의 장착 볼트(123)를 지지판(121)의 장착 홈(122)에 끼워 맞추고, 그 후 장착 볼트(123)를 조임으로써 장착되어, 로크 실린더(115)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방법으로서는, 작동체(111)가 장착된 전방 차축 케이스(96)를 전방 프레임(10)에 조립하고, 그 후 로크 실린더(115)를 조립해도 좋고, 먼저 전방 프레임(10)에 로크 실린더(115)를 조립하고, 그 후 작동체(111)가 장착된 전방 차축 케이스(96)를 전방 프레임(10)에 조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더 튜브(116)는 수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 튜브(116)에 설치된 유체의 출입 포트(125A, 125B)는 실린더 튜브(116)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린더 튜브(116) 내에 공기가 저류된 경우에, 공기 제거를 상기 출입 포트(125A, 125B)를 통해 행할 수 있다.
선회체(3)는 기체 프레임(6)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 하게 지지된 선회대(201)와, 이 선회대(201)의 전방부에 설치된 주행계 조종 장치(202) 및 대지 작업 장치로서의 굴삭 작업 장치(203)와, 선회대(201)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와, 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에 설치된 운전석(205)과, 이 운전석(20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굴삭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206)와,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에 설치된 굴삭 작업 장치용 컨트롤 밸브[조작 장치(206)의 절환 밸브](207) 및 카운터 웨이트(208)와, 로프스(Roll Over Protection System)(2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회 축심(X)은, 전후륜의 축간 중심과 직교하는 축선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22 및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대(201)는, 전방부를 평탄하게 하고, 좌우 양측방을 기체 프레임(6)보다도 팽출시켜 후방으로 신장하여, 후방부 및 좌우 측부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대(201)는, 전방 프레임재(211)와, 이 전방 프레임재(211)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후방 프레임재(212)와, 이들 전방 프레임재(211)와 후방 프레임재(212)를 좌우 양측부에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측 프레임재(213)와, 선회대(201) 하면측의 전후방 프레임재(212) 사이에 설치된 하부 벽(214)과, 이 하부 벽(214)의 상면측에 설치된 스텝(215)(발판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재(211)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부(전방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에 마스트(작업 장치 지지체)(216)가 기립 설치되고, 이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에 굴삭 작업 장치(203)가 장착되어 있다.
굴삭 작업 장치(203)는, 도1 및 도16 내지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각 마스트(216)의 상부에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붐(241)과, 기부(基部)측이 좌우 각 붐(241)의 선단측에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아암(242)과, 좌우 아암(242)의 선단측에 설치된 대지 작업을 하는 작업구로서의 버킷(243)과, 좌우 각 붐(241)을 피봇 지지부 주위로 상하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붐 실린더(244)와, 좌우 각 아암(242)을 피봇 지지부 주위로 전후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 실린더(245)와, 버킷(243)을 요동시키는 1개의 버킷 실린더(246)를 갖는다.
상기 붐 실린더(244), 아암 실린더(245) 및 버킷 실린더(246)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우 아암(242)의 기부측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47)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247)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브래킷(248)에 버킷 실린더(246)의 일단측(실린더 본체의 피스톤 정상부측)이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좌우 아암(242)의 선단측에는, 버킷(243)을 지지하는 지지체(2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249)는, 좌우 방향을 따른 판면을 갖는 판재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249)의 정면측에 버킷(243)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체(249)의 배면측의 좌우 양측에는 장착 브래킷(250)이 설치되고, 좌우의 각 장착 브래킷(250)의 하부측에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아암(242)의 선단측이 횡축(251)을 개재하여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아암(242)의 선단측의 횡축(251)보다 기부 부근에는, 좌우 아암(242)을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축(252)이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지지축(252)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는 제1 링크(253)의 일단측이 연결된다. 이 제1 링크(253)의 타단측에는 제2 링크(254)가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다. 이 제2 링크(254)의 타단측은 지지체(249) 배면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설치된 브래킷(255)에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253)의 중도부에는 버킷 실린더(246)의 타단측(피스톤 로드 선단측)이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버킷 실린더(246)를 신축시킴으로써, 버킷(243)이 상기 횡축(251) 주위로(좌우 축 주위로) 요동되고, 상기 버킷(243)이 퍼올림·덤프 동작 또는 긁어 모음·덤프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킷(243)은 상기 지지체(249)에, 상기 지지체(249)의 버킷(243)의 작업구 지지면(256)에 대해 수직인 축심(Y)을 갖는 회전축(257)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버킷(243)은, 상기 버킷(243)과 지지체(249) 사이에 설치된 회전 수단(258)에 의해, 도18의 (a)에 도시하는 퍼올림 작업 가능한 제1 작업 자세로부터, 도18의 (b)에 도시하는 긁어 모음 작업 가능한 제2 작업 자세로 상기 회전축(257)의 축심(Y) 주위로 180°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 수단(258)은, 지지체(249)에 고정된 실린더 튜브(259)와, 이 실린더 튜브(259) 내에 수용된 피스톤(260)과, 버킷(243)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피스 톤(260) 내에 삽입 관통된 상기 회전축(257)을 갖는다.
실린더 튜브(259)는, 버킷(243)의 회전축(257)의 축심(Y)을 축심으로 하여, 지지체(249)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서 지지체(249)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체(249)에 볼트 고정되어 있고, 정면측이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후방에 압유의 출입 포트(261A, 261B)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57)은, 실린더 튜브(259)에 정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 회전축(257)은, 실린더 튜브(259)의 정면측 개구를 폐색하는 전방부의 장착부(262)와, 이 장착부(262)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된 중도부로부터 후방부의 축부(263)로 주로 구성된다. 이 회전축(257)에 있어서, 장착부(262)와 축부(263) 후단측이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축부(263) 후단측이 볼트에 의해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257)의 장착부(262)에는 장착판(264)이 볼트 고정되고, 이 장착판(264)을 버킷(243)의 배면 벽(265)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회전축(257)이 버킷(24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260)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59)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축(257)의 축부(263)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57)의 축부(263)의 외주측과, 상기 피스톤(260)의 내주 측에는, 상호 맞물려 있고 피스톤(260)의 직선 이동을 회전축(257)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스크류(266, 267)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259)의 출입 포트(261A, 261B)의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튜브(259) 내로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260)이 축심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하고, 피스톤(260) 내주측의 스크류(267)와, 회전축(257)의 축부(263) 외주측의 스크류(266)가 맞물림으로써 회전축(257)이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그리고, 피스톤(260)이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버킷(243)이 180°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스톤(260)이 전단측(일단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약간(3 ㎜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버킷(243)이 제1 작업 자세로 되고, 후단측(타단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약간(3 ㎜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버킷(243)이 제2 작업 자세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굴삭 작업 장치(203)에는, 회전 규제 수단(26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제1 작업 자세에 있어서, 제2 작업 자세로부터 제1 작업 자세로 회전하는 방향(도21의 화살표 A 방향)의 버킷(243)의 회전[버킷(243)의 일방향 회전이라 함]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일방향 회전(A)과는 역방향인 버킷(243)의 회전은 허용한다. 한편,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제1 작업 자세로부터 제2 작업 자세로 회전하는 방향(도21의 화살표 B 방향)의 버킷(243)의 회전[버킷(243)의 타방향 회전이라 함]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타방향 회전(B)과는 역방향인 버킷(243)의 회전은 허용한다.
이 회전 규제 수단(268)은, 버킷(243)과 일체 회전하는 계지부(269)와, 지지체(249)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269)를 계지하는 제1 피계지부(270) 및 제2 피계지부(27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계지부(269)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핀에 의해 구성되고, 버킷(243)의 배면 벽(265)에 고정된 브래킷(27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피계지부(270) 및 제2 피계지부(271)는,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249)의 정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피계지부(270)는, 버킷(243)의 타방향 회전 방향(B)으로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243)의 일방향 회전(A)을 규제하고 또한 버킷(243)의 타방향 회전(B)은 허용하도록 계지부(269)를 계지한다. 제2 피계지부(271)는, 버킷(243)의 일방향 회전 방향(A)으로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243)의 타방향 회전(B)을 규제하고 또한 버킷(243)의 일방향 회전(A)은 허용하도록 계지부(269)를 계지한다.
또한, 이들 계지부(269), 제1 피계지부(270) 및 제2 피계지부(271)는, 굴삭 작업시에 있어서 버킷(243)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고, 회전 수단(258)의 주위에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굴삭 작업시에 있어서 버킷(243)으로부터 회전축(257)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굴삭 작업 장치(203)에는, 버킷(243)을 제1 작업 자세와 제2 작업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수단(27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세 유지 수단(273)은, 지지체(249)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 자세 유 지 수단은, 지지체(249)의 버킷 지지면(25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선단이 지지체(249) 외주 모서리로부터 출퇴 가능한 결합 부재(276)와, 작업구측에 회전축(257) 주위로 180°변위한 2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체(249)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부재(276)와 결합하여 제1, 제2 작업 자세에 있어서의 버킷(243)의 회전을 규제하는 피결합부(277)를 갖는다.
결합 부재(276)는, 선단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핀에 의해 구성되고, 이 결합 부재(276)를 출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통(278)이 지지체(249)의 배면에 고정된 브래킷(279)에 고정되어 있고, 결합 부재(276)는 이 브래킷(279)을 관통하여 가이드 통(278)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피결합부(277)는, 결합 부재(276)의 선단측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이 결합 부재(276) 선단측의 테이퍼 형상에 일치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결합부(277)는, 버킷(243)의 배면 벽(265)에 장착 고정된 장착 부재(28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부재(276)의 기부측의 측방에는,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로부터 이탈시켜 이들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2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는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 부분이 지지체(249)에 고정된 단차 형상의 장착 축(282)에 회전축(257)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의 일단측에는, 상기 해제 레버(281)의 회전 축심과 평행 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결합 블록(28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해제 레버(281)는, 상기 해제 레버(281)와 장착 축(282)의 단부측에 외부 끼움된 스프링 받침부(284)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285)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저항이 부여되어 있다.
이 해제 레버(281)의 일단측과 상기 결합 부재(276)의 기단측은, 연동 부재(286)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연동 부재(286)의 일단측은 결합 부재(276)의 기단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이 연동 부재(286)의 타단측은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로드부(287)가 상기 해제 레버(281)의 일단측의 결합 블록(283)을 관통 형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고, 상기 로드부(287)의 단부측에는 수형 나사(288)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너트(28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동 부재(286)의 일단측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 단차부(290)와 결합 블록(283)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291)가 로드부(287)를 씌워 끼운 형상으로서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49)에는,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로드부(287)를 씌워 끼운 상기 스프링 부재(291)의 가압력의 작용에 의한 해제 레버(281)의 회전[도20의 (b)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28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해제 레버(281)의 일단측이 접촉하는 접촉 벽(292)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로드부(287)를 씌워 끼운 상기 스프링 부재(291)가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결합 부재(276)가 피결합부(277)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레버(281)의 타단측을, 도20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블록(283)이 너트(289)에 접촉하여 연동 부재(286)를 당긴다. 이에 의해 결합 부재(276)가 이탈 방향으로 당겨지고, 결합 부재(276)와 피결합부(277)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버킷(243)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249)에는, 결합 부재(276)를 피결합부(277)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의 해제 레버(281)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2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 레버(281)는, 푸시풀 케이블 등의 연동 부재(294)를 통해 운전석(205)의 근방에 설치되는 원격 조작 레버에 연동 연결된다. 해제 레버(281)는, 이 원격 조작 레버 및 상기 연동 부재(294) 등에 의해 구성되는 원격 조작 수단에 의해 운전석(205)측으로부터 원격 조작되거나, 또는 지지체(249)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해제 레버(281)를 조작하는 수동 레버를 지지체(249)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붐(241)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아암(242)을 후방으로 요동시켜 굴삭 작업 장치(203)를 절첩함으로써 선회대(201) 상으로부터 상기 수동 레버가 조작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굴삭 작업 장치(203)에 있어서는, 회전축(257)에 굴착시의 하중이 그다지 걸리지 않으므로, 회전축(257)을 가늘게 하여 실린더 튜브(259)[회전 수단(25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수단(258)을 모터에 의해 구성하면 비용이 높아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버킷(243)에 있어서는, 제1 작업 자세와 제2 작업 자세의 2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으면 좋고, 회전 수단(258)을, 실린더 튜브(259)와 피스톤(260)과 회전축(257)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회전 수단(258)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57)을 FC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조품으로 함으로써, 스크류(266, 267)의 리드를 제작하는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선회체(3)는, 선회대(201)의 하부 벽(214)이 상기 주행체(2)의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 상에 적재되어 볼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선회 베어링(16)에 의해 선회대(201)가 주행체(2) 상에 선회 축심(X)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체(3)는 좌우 양방향으로 전체 둘레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체(2)는 엔진(7)을 탑재하고 있어도 선회대(201)를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엔진(7)을 후방부에 배치하고, 또한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8)를 엔진(7)보다 전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행체(2)의 선회대(201)에 대향하는 부분의 상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선회대(201)의 스텝(215)의 상면을 주행체(2)측의 엔진(7)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한 상태로 주행체(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의 운전 공간의 높이를 확보하면서 차 높이가 억제되게 되어, 선회 작업기(1) 전체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콤팩트하게 구성 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선회 작업기(1)의 무게 중심이 낮은 위치에 유지되어, 이에 의해 안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선회체(3)에 승강하는 작업자의 승강시의 부담이 경감되게 된다.
또한, 스텝(215)의 상면을 엔진(7)의 상면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로 한 상태로 선회체(3)를 주행체(2) 상에 배치한 경우에도 선회 작업기(1)의 상하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적어도 선회대(201)에 배치된 선회 베어링(16)의 상면을 엔진(7)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한 상태로 선회체(3)를 주행체(2) 상에 배치함으로써, 선회 작업기(1) 전체의 상하 방향의 콤팩트화나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선회체(3)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한 경우,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의 후방부 및 카운터 웨이트(208)는, 주행체(2)에 배치된 엔진(7)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선회 축심(X)으로부터 선회체(3)의 후단까지의 거리(L1)는, 선회 축심(X)으로부터 후륜의 후단까지의 거리(L2) 이내에 대략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를 선회시킨 경우에도, 후방의 장해물과 충돌이 회피되는 것으로 된다.
도24 및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는, 선회대(201)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321)과, 이 지지 프레임(321)에 장착되어 있고 운전석(205)을 전방측 피봇 지지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감 가능하게 적재하는 적재대(322)와, 카운터 웨이트(208)를 장착하는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321)은, 선회대(201)의 후방 프레임재(212)에 측 프레임재(213)를 연결한 좌우 한 쌍의 연결 부분에 걸쳐 가설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321)은, 연결 부분으로부터 선회대(201)의 후방 상방을 향해 신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행부(324)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행부(32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5)를 갖고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사행부(324)의 사이이며 또한 연결부(325)의 전방부에 적재대(322)가 배치되어 있다.
적재대(322)는 지지 프레임(321)의 좌우 한 쌍의 사행부(324)를 따라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벽(326)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326)의 전방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선회대(201)로부터 기립 설치된 전방 벽(327)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326) 및 전방 벽(327)의 상단 모서리부를 연결하여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의 하방까지 연장된 상부 벽(328)과, 상기 상부 벽(328)의 상면에 배치되어 운전석(205)을 지지하는 시트대(329)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대(329)는 좌우 한 쌍의 측벽(326)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신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또한 선회대(20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평판부(331)로 구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331)는, 상기 상부 벽(328)과의 대향 위치에 개구(3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332)보다도 선회대(201) 전방으로 되는 위치에는, 운전석(205)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구(33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작은 창(333a)이 개방 설 치되어 있다.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은, 상기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에 지지되어 있다. 이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은, 상기 연결부(325)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프레임부(334)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334)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 프레임부(335)와, 상기 측 프레임부(335)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좌우로 신장되는 하부 프레임부(336)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프레임부(334)가 지지 프레임(321)의 연결부(325)에 용접 접합된 장착구(325a)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지지 프레임(32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1이나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208)는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의 하부 프레임부(336)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321)의 사행부(324)의 후방부 및 적재대(322)의 후방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하부 웨이트(208a)와,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의 하부 프레임부(336) 및 좌우 한 쌍의 측 프레임부(335)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321)의 사행부(324)의 후방부, 연결부(325) 및 적재대(322)의 후방부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웨이트(208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하 웨이트(208a, 208b)는, 작업 상황이나 굴삭 작업 장치(203)의 중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도시 생략) 등으로 바꾸어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204)는, 운전석(205)의 하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배치된 커버체(341)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커버체(341)는, 도22 및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조작 장 치(206)의 하방으로부터 운전석(205)의 후방에 걸쳐 배치된 메인 커버(342)와, 운전석(205)의 하방을 덮는 서브 커버(343)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 커버(34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재대(322)의 전방 벽(327)과 대향하고 있고, 하단 모서리가 스텝(215)에 접촉하는 동시에 양측 모서리가 메인 커버(342)의 측부 모서리와 대향하고 있고, 또한 상단 모서리가 시트대(329)의 전단 모서리를 덮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커버(343)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스텝(215)이나 적재대(322) 등에 장착되어 있어, 메인 커버(342)를 제거하지 않고 장착 위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 장착 프레임(323)의 상부 프레임부(334)의 상면은, 상기 장착구(325a)의 상단부에 배치된 후판 부재(345)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후판 부재(345)의 상면의 좌우 양단부에 앵글 부재(34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앵글 부재(346)의 상승부 상단에는, 로프스(209)를 지지하는 홈 형상의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에는 각각, 상단부에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선회대(201)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 및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에 로프스(209)가 지지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스(209)는, 원통 형상의 강관을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로프스(209)는, 상기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전방 지지 기둥부(351)와, 웨이트 장착 프레 임(323)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후방 지지 기둥부(352)와, 이들 전방 지지 기둥부(351)의 상단 및 후방 지지 기둥부(352)의 상단을 연결하는 빔부(353)를 좌우 한 쌍씩 갖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부(352)의 기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프스(209)에는, 좌우 한 쌍의 빔부(353)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레버(354)가 배치되고, 또한 상부에 천장 덮개(도시 생략)를 장착하여 차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스(209)의 좌우 한 쌍 전방 지지 기둥부(351)의 하단에는 판 형상의 연결편(351a)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351a)을, 체결구를 통해 전방 로프스 지지부(348)에 체결하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부(352)의 기단을 후방 로프스 지지부(347)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로프스(209)는 선회대(201)에 장착되는 것으로 된다.
운전석(205)은, 작업자가 착좌 가능한 시트(355)와, 상기 시트(355)를 전후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356)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지지부(356)의 전방부에는 상기 시트대(329)의 지지구(333)에 연결되는 연결구(35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357)는, 좌우 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피봇 지지 핀(도시 생략)을 통해 지지구(333)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운전석(205)은 적재대(322)의 시트대(329)에 전방측 피봇 지지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감 가능하게 적재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시트 지지부(356)는, 운전석(205)을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 태에서 상기 시트대(329)의 개구(332)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3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23 중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205)을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넘어감 상태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332)는 덮개 부재(358)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된다. 한편,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쓰러짐 상태로부터 시트대(329) 상에 적재한 상태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332)는 개방된 상태로부터 덮개 부재(358)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시트대(329)의 좌우 한 쌍의 다리부(330)는, 지지 부재(도시 생략)를 통해 운전석(205)의 측방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361)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이들 조작 레버(361L, 361R)는 굴삭 작업 장치용 조작 장치(206)이다. 좌측 조작 레버(361L)는 선회대(201) 및 굴삭 작업 장치의 아암(242)을 조작하는 것이다. 우측 조작 레버(361R)는 붐(241) 및 버킷(243)을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R)의 후방에는, 버킷(243)의 회전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버킷 회전 레버(361C)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계 조종 장치(202)는, 선회대 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이고 또한 좌우 한 쌍의 마스트(216) 사이에 배치된 조종대(362)와, 이 조종대(362)에 지지된 스티어링 핸들(363) 및 브레이크 페달(364)과, 선회대(201)에 지지된 전후진 절환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365)을 구비하고 있다.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대(362)는 스티어링 핸들(363)을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366)와,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스티어링 핸들(363)의 전후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틸트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들 부재는, 1세트의 어셈블리로서 조립한 후에 선회대(201) 상에 콤팩트하게 장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3 및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364)은 조종대(362)의 좌우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큰 좌우 길이를 갖는 답입부(364a)를 조종대(362)의 기부의 후방에 구비하고 있고, 조종대(362)에 배치된 좌우 방향의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364)은, 답입을 해제하면 답입 전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다.
도23 및 도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도부가 좌우 방향의 지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장척(長尺) 형상의 요동체(365a)와, 상기 요동체(365a)의 전단부에 배치된 전방 답입부(365b)와, 후단부에 배치된 후방 답입부(365c)를 구비하는 동시에, 전방 답입 또는 후방 답입을 해제하면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다.
도22 및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대 상에 적재된 운전석(205)의 하방이며, 또한 서브 커버(343) 및 적재대(322)의 전방 벽(327), 상부 벽(328), 시트대(32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조종 장치(202)의 조작력 중계부(371)와 상기 컨트롤 밸브(207)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력 중계부(371)는, 상기 풋 브레이크 수단(70)을 조작하기 위한 마스터 실린더(372) 및 이것의 조작구와, HST용 리모콘 밸브(절환 밸브)(373) 및 이것의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72)는, 상기 전방 벽(327)과 서브 커버(343) 사이에 장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선회대(201)에 돌출된 장착 부재(37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364)은 조작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 기구나 로드 등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37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364)을 답입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372)의 피스톤이 압입되어 마스터 실린더(372) 내의 유압이 높아지고, 상기 유압이 주행체(2)의 풋 브레이크 수단(70)에 전달되어 후륜이 제동되는 것이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372)의 측방에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의 오일 주입구(375a)는 상기 시트대(329)의 작은 창(333a)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374)에는, 주행체(2)에 배치된 차동 로크 장치(80)를 작동시키는 차동 로크 작동 수단(37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동 로크 작동 수단(377)은, 차동 로크 장치(80)의 온/오프(ON/OFF)를 절환 가능한 절환 밸브(378)와, 상기 절환 밸브(378)를 조작 가능한 차동 로크 레버(37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동 로크 레버(379)는, 일단이 절환 밸브(378)의 회전 스풀에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이 서브 커버(343)에 형성된 안내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서브 커버(343)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205)에 착좌한 작업자가 상기 차동 로크 레버(379)의 타단을 답입함으로써, 차동 로크 장치(80)가 온 상태로 되어 작동한다. 또한, 차동 로크 레버(379)는, 답입을 해제하면 답입 전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어,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차동 로크 장치(80)는 자동적으 로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용 리모콘 밸브(373)는 주행체(2)에 배치된 상기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 또는 후진측 포트(53)에 파일럿압을 걸리게 하여 HST(35)의 경사판을 전진 상태와 후진 상태로 절환하는 동시에, 주행체(2)의 주행 속도를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콘 밸브(373)는, 파일럿압을 제어하는 요동 스풀(381)을 선회대(201)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여 상면측을 시트대(329)의 개구(332)에 대향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적재대(322)의 상부 벽(328)에 세워 설치된 브래킷(382)에 지지되어 있다.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조작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 기구나 로드 등을 통해 리모콘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작구는,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리모콘 밸브(373) 사이에,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요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 부재(383)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 부재(383)에는,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리모콘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을 연동 연결하는 제1 플레이트(384)와, 전후진 절환 페달(365)과 댐퍼 장치(386)를 연동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385)가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댐퍼 장치(386)는 전방 답입용 제1 댐퍼(386a)와 후방 답입용 제2 댐퍼(386b)를 구비하여 리모콘 밸브(373)의 후방 또한 상기 상부 벽(32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플레이트(385)는 2갈래로 나누어진 선단에 이들 제1 댐퍼(386a) 및 제2 댐퍼(386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 써, 조작구를 통해 리모콘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이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리모콘 밸브(373)가 전방 답입 상태로 되어 조작된다. 그리고, 전방 답입부(365b)의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되지만, 이 복귀 동작은 제1 댐퍼(386a)에 의해 느리게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조작구를 통해 리모콘 밸브(373)의 요동 스풀(381)이 타방향으로 요동하고, 리모콘 밸브(373)가 후방 답입 상태로 되어 조작된다. 그리고, 후방 답입부(365c)의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전후진 절환 페달(365)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되지만, 이 복귀 동작은 제2 댐퍼(386b)에 의해 느리게 행해진다.
또한, 도23 및 도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ST의 리모콘 밸브(373)의 후방 또한 댐퍼 장치(386)측으로 되는 위치에 컨트롤 밸브(20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밸브(207)의 상면은 상기 개구(332)와 대향하고 있다.
컨트롤 밸브(207)는, 작업기에 장비된 각 유압 액츄에이터[선회 모터(15), 붐 실린더(244), 아암 실린더(245), 버킷 실린더(246), 회전 수단(258)]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밸브(207)는, 직동 스풀형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어 밸브를 스풀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선회 작업기(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205)의 하방의 공간(S)에 조작력 중계부(371)로 되는 HST의 리모콘 밸브(373), 상기 리모콘 밸브(373)의 조작구, 댐퍼 장치(386), 풋 브레이크 수단(70)을 동작시키는 마 스터 실린더(372), 상기 마스터 실린더(372)의 조작구,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 차동 로크 작동 수단(377) 및 컨트롤 밸브(207)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들 장치 및 이들 장치의 조작구에 의한 운전 공간의 침식이 가급적 작은 것으로 된다. 또한, HST의 리모콘 밸브(373), 댐퍼 장치(386) 및 컨트롤 밸브(207)는, 시트대(329)의 개구(33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넘어감 상태로 설정하여 개구(332)를 개방함으로써, 이들 장치의 점검 및 정비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205)을 전방으로 넘어감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시트대(329)의 작은 창(33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의 오일 주입구(375a)도 노출되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로의 오일의 주입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커버(343)의 후방으로 되는 위치에 마스터 실린더(372), 브레이크 오일 탱크(375) 및 차동 로크 작동 수단(377)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브 커버(343)를 제거함으로써, 이들 장치의 점검 및 정비 작업도 용이하고 또한 통합하여 행할 수 있다.
도30 및 도31은, 본 실시 형태의 선회 작업기(1)의 유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유압 회로는 스위블 조인트(14)를 경계로 하여 주행체측(도30)과 선회대측(도31)으로 나누어져 있다.
엔진(7)의 동력은, HST(35)의 유압 펌프(46)를 구동하는 동시에 차지 펌 프(79) 및 메인 펌프(68)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엔진(7)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펌프(68)로부터의 작동유는, 스위블 조인트(14)를 통해 컨트롤 밸브(207)에도 공급되고, 상기 컨트롤 밸브(207)의 각 제어 밸브(V1 내지 V5)로부터 각각의 액츄에이터로 보내진다.
상기 컨트롤 밸브(207)에 있어서, V1은 선회 모터(15)를 제어하는 선회용 제어 밸브, V2는 아암 실린더(245)를 제어하는 아암용 제어 밸브, V3은 버킷(243)의 회전 수단(258)을 제어하는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 V4는 붐 실린더(244)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 V5는 버킷 실린더(246)를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이다.
그리고, 조작 장치(206)의 좌측 조작 레버(361L)에는 아암용과 선회용 리모콘 밸브(393L)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좌측 조작 레버(361L)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아암용 제어 밸브(V1)를 통해 아암 실린더(245)가 긁어 모음·덤프 동작한다. 한편, 좌측 조작 레버(361L)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선회용 제어 밸브(V2)를 통해 선회 모터(15)가 좌우 회전 동작하게 된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R)에는 버킷용과 붐용 리모콘 밸브(393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 조작 레버(361R)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작업구용 제어 밸브(V5)를 통해 버킷(243)이 틸트·덤프 동작한다. 한편, 우측 조작 레버(361R)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붐용 제어 밸브(V4)를 통해 붐 실린더(244)가 상승·하강 동작하게 된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361R)의 후방에 배치된 버킷 회전 레버(394)에 의해,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를 통해 버킷(243)의 회전 수단(258)에 압유가 공급되 고, 이에 의해 버킷(243)이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용 제어 밸브(V1), 아암용 제어 밸브(V2), 붐용 제어 밸브(V4), 버킷용 제어 밸브(V5), 상기 리모콘 밸브(393L, 393R)와 같은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는 인위적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인위 조작 절환 밸브(378)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제어 밸브(V1 내지 V5)를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메인 펌프(68)의 작동유는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를 거쳐서, 조향 실린더(97)로 공급된다.
또한,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ST용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을 연결하는 파일럿 유로(395a, 395b)에, 전후진 변환 수단(40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후진 변환 수단(401)은, 선회대(201)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부터 뒤로 향한 자세로 선회시켰을 때에 그것을 검출하여, 전후진 절환 페달(365)에 의한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절환 조작을 반전하는 전후진 변환 수단(401)이 배치되어 있다.
도28 및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진 변환 수단(401)은, HST용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 사이의 파일럿 유로(395a, 395b)를 절환하여 상기 리모콘 밸브(373)로부터의 압유를 전후진 절환 수단(51)에 공급 가능한 4포트 3위치의 절환 밸브(402)와, 선회대(201)의 선회 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3위치 사이에서 절환하는 검지 기구(403)를 구비하고 있다.
도28 및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환 밸브(402)는, 회전 스풀(402a)을 갖는 로터리 밸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스풀(402a)의 상단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작동편(404)이 상기 상부 벽(18)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404)의 선단에는 핀(405)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절환 밸브(402)는,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스풀(402a)을 A위치(순접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이 순접 상태로 접속되게 되어, 리모콘 밸브(373)의 전진측 포트(343a)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에 공급되는 동시에, 리모콘 밸브(373)의 후진측 포트(373b)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후진측 포트(53)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고,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게 된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B위치(중립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콘 밸브(373)로부터의 전후진 절환 수단(51)으로의 압유의 공급이 중단되게 되어, 이에 의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조작에 의한 주행체(2)의 주행은 불가능해진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C위치(역접 상태)로 함으로써,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이 역접 상태로 접속되게 되어, 리모콘 밸브(373)의 전진측 포트(373a)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후진측 포트(53)에 공급되는 동시에, 리모콘 밸브(373)의 후진측 포트(373b)로부터의 압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전진측 포트(52)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고,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게 된다.
또한, 도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 기구(403)는, 주행체(2)측에 배치된 검지 아암(406)과, 선회대(201)측에 배치되어 상기 검지 아암(406)을 동작시키는 검지 캠(407)을 구비하고 있다.
검지 아암(406)은, 장척의 요동편(408)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편(408)은, 한쪽 단부가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에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에 긴 구멍(40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긴 구멍(408a)에는 상기 작동편(404)의 핀(40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지 아암(406)을 요동시킴으로써 작동편(404)이 요동하고, 상기 작동편(404)의 요동에 수반하여 회전 스풀(402a)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검지 아암(406)의 장척 방향 중도부에는, 선회대(201)를 향해 롤러(408b)가 돌출되어 있다.
선회대(201)의 하부 벽(214)에 배치된 선회 베어링(16)의 이너 레이스(87)의 내측에는, 캠 형성 부재(410)가 그 회전 중심을 선회대(201)의 선회 축심(X)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검지 캠(407)은, 상기 캠 형성 부재(410)에 캠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홈은, 직경이 상이한 3개의 원호를 매끄럽게 연결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캠 홈의 내면에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주행체(2)의 기체 프레임(6)과 선회대(201) 사이에는, 상기 요동 로크 기구(112)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411)이 설치되어 있다.
도28 및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동 로크 기구(112)의 절환 밸브(118)는, 회전 스풀(412a)을 갖는 로터리 밸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스풀(412a)의 상단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작동편(414)이 상부 벽(18)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414)의 선단에는 핀(415)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절환 밸브(118)는, 회전 스풀(412a)을 A위치로 함으로써, 요동 로크 기구(112)의 실린더 튜브(116)에 형성된 2실(124A, 124B)을 연통하는 연통 유로가 접속 상태로 되어 상기 2실(124A, 124B)이 연통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당해 회로 내의 유체는 2실 내를 자유롭게 출입 가능해진다. 따라서,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게 되고, 노면의 상황에 따라서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요동하게 된다.
또한,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을 B위치로 함으로써, 연통 유로가 불연통 상태로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이 폐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당해 유압 회로 내의 압유는 한쪽 실(124A)로부터 다른 쪽 실(124B)을 향해 이동 불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요동 로크 기구(112)는 작동하고,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요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작동 수단(411)은, 주행체측에 배치된 작동 아암(416)과, 선회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아암(416)을 동작시키는 작동 캠(417)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아암(416)은, 상기 검지 아암(406)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장척의 요동편(418)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편(418)의 일단이 주행체(2)의 메인 프레임(9)의 상부 벽(18)에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418a)에 상기 작동편(414)의 핀(41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의 장척 방향 중도부에는, 선회대(201)를 향해 롤러(418b)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작동 캠(417)은, 상기 캠 형성 부재(410)에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면은,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원호를 매끄럽게 연결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캠면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은 롤러(418b)를 캠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잡아당김 스프링(419)에 의해 선회 축심(X)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또한, 작동 아암(416)은, 그 롤러(418b)를 선회 축심(X)을 통해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에 정면으로 마주보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의 중심축, 선회 축심(X) 및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은 주행체(2)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29를 이용하여 전후진 변환 수단(401) 및 작동 수단(41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2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이 일치하여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가 0°(앞으로 향한 자세)인 경우,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대직경 홈부(421a)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수단(411)의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가 작동 캠(417)의 한쪽 대직경면부(422a)에 접촉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A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은 순접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 조작되게 되고, 주행체(2)가 전진 주행하는 것은 물론, 운전석(205)에 착좌한 작업자로부터 보아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한다.
또한, 이때, 작동 아암(41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A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연통 상태로 되어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 가능해지고, 노면의 상황에 따라서 좌우 한 쌍의 전륜(4)이 상하 이동하게 되어, 주행시의 선회 작업기(1)의 자세가 안정된 것으로 된다.
여기서, 검지 캠(407)에 의한 검지 캠(407)의 대직경 홈부(421a)에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캠(417)에 의한 작동 캠(417)의 한쪽 대직경면부(422a)에의 접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선 회 각도로 부여되는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선회 각도가 전방 선회 범위를 초과할 때까지 선회체(3)를 선회시켜, 예를 들어 도2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을 각각 직교시켜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90°로 한 경우,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중간 직경 홈부(421b)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가 작동 캠(417)의 소직경면부(422b)에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요동하여 중립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B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의 접속 상태가 끊어지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 또는 후방 답입부(365c) 중 어느 것을 답입한 경우에도, 주행체(2)는 주행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때, 작동 아암(416)은 타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B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불연통 상태로 되어 요동 로크 기구(112)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 불가능해진다. 이때, 주행체(2)는 주행 불가능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방 차축 케이스(96)는, 좌우 한 쌍의 전륜을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접지압을 받아 노면에 접지시킨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이에 의해 주행 불가능 상태로 된 선회 작업기(1)의 자세가 안정된 것으로 된다.
여기서, 검지 아암(406)에 의한 검지 캠(407)의 중간 직경 홈부(421b)에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아암(416)에 의한 작동 아암(417)의 소직경면부(422b)에의 접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를 초과하여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로 부여되는 중간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유지된다.
그리고, 선회 각도가 중간 선회 범위를 초과할 때까지 선회체(3)를 선회시켜, 예를 들어 도2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의 방향을 각각 상반시켜 주행체(2)에 대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180°(뒤로 향한 자세)로 한 경우, 검지 아암(406)의 롤러(408b)가 검지 캠(407)의 소직경 홈부(421c)에 접촉하는 동시에, 작동 아암(416)의 롤러(418b)가 작동 캠(417)의 상기 대직경면부(422a)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쪽 대직경면부(422a)에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검지 아암(406)은 중립 상태로부터 타방향으로 요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402)의 회전 스풀(402a)이 C위치로 설정되어, 리모콘 밸브(373)와 전후진 절환 수단(51)은 역접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 조작되게 되어 주행체(2)는 후진하는 것으로 되지만, 운전석(205)에 착좌한 작업자로부터 보아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작동 아암(416)은 일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절환 밸브(118)의 회전 스풀(412a)이 A위치로 설정되게 되어, 실린더 튜브(116)의 2실(124A, 124B)은 연통 상태로 되어 요동 로크 기구(112)는 해제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검지 아암(406)에 의한 검지 캠(407)의 소직경 홈부(421c)에의 접촉 상태 및 작동 아암(416)에 의한 작동 캠(417)의 다른 쪽 대직경면부(422a)에의 접 촉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중간 선회 범위를 초과하여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로 부여되는 후방 선회 범위 내로 설정한 경우에 유지된다.
즉, 선회체(3)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상기 선회체(3)는 전방 선회 범위, 후방 선회 범위 및 이들 선회 범위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중간 선회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선회 범위에 위치하게 되고, 위치하고 있는 선회 범위에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후진 조작이 절환되고(반전하고), 또한 요동 로크 기구(112)가 절환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선회체(3)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한 경우와 뒤로 향한 자세로 한 경우에 따라서 전후진 절환 페달(365)을 바꾸어 답입할 필요가 없다. 이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방 답입부(365b)를 답입함으로써 운전석(205)에 착좌한 작업자로부터 보아 선회 작업기(1)는 전진하고, 후방 답입부(365c)를 답입함으로써 상기 작업자로부터 보아 선회 작업기(1)는 후진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순접 상태 및 요동 로크 기구(112)의 작동 수단(411)의 비동작 상태는,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하고 있는 동안 유지된다. 이로 인해, 앞으로 향한 자세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체(3)를 선회시킨 경우에도, 전후진 변환 수단(401) 및 작동 수단(411)이 절환되는 일은 없다. 선회체(3)를 후방 선회 범위로 한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전후진 변환 수단(401)의 절환 밸브(402)를 순접 상태로 하는 전방 선회 각도 범위와 역접 상태로 하는 후방 선회 각도 범위 사이에 중립 상태로 하는 중간 선회 범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회대(201)를 앞으로 향한 자세측 과 뒤로 향한 자세측 사이에서 왕복시킨 경우에도, 임의의 경계를 경계로 하여 전후진 절환 페달(365)에 의한 전후진 조작이 반전될 우려는 없으며,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후진 절환은 주행체(2)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중립 상태를 통해 절환되는 것으로 된다. 이로 인해, 작업 중인 전후진 절환 페달(365)의 전후진 조작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가 중간 선회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요동 로크 기구(112)가 작동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96)의 요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선회체(3)를 선회시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선회체(3)의 선회에 수반하여 무게 중심 이동이 발생하지만, 상기 무게 중심 이동에 수반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96)가 요동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선회대(201)가 차축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는 일은 없어, 작업시의 작업 자세의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요동 로크 기구(112)를 작동시킴으로써, 전후륜(4, 5)은 접지압을 대략 균등하게 한 상태에서 노면에 접하는 것으로 된다. 이로 인해, 작업시에 선회대(201)의 선회에 수반하여 큰 횡력이나 모멘트가 주행체(2)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행체(2)를 지지하는 전후륜(4, 5) 전부로 이들 힘에 저항할 수 있어, 작업시의 작업 자세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도30 및 도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조향 실린더(97) 사이에는, 상기 전후진 변환 수단(401)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3)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367)와 조향 실린더(97)의 접속 상태가 절환된 다. 따라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순접 상태로 되고, 스티어링 핸들(363)의 우측 꺾음 조작에 의해 주행체(2)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한다.
또한,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중간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중립 상태로 되어, 스티어링 핸들(363)의 조작에 상관없이 주행체(2)는 선회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선회체(3)의 선회 각도를 후방 선회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스티어링 변환 수단(425)은 역접 상태로 되고, 스티어링 핸들(363)의 우측 꺾음 조작에 의해 주행체(2)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운전석(205)에 착좌한 운전자로부터 보면 스티어링 핸들(363)을 꺾는 방향과 주행체(2)의 선회 방향이 일치하게 되어, 작업 중인 핸들 조작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우 한 쌍의 후륜(5)을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같이 차축 케이스를 통해 주행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차축 케이스에 요동 로크 기구(112)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차축 케이스 및 요동 로크 기구(112)는,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후륜(5)의 한쪽 혹은 양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 기구(403)의 검지 아암(406)을 선회체(3)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검지 캠(407)을 주행체(2)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작동 기구의 작동 아암(416)을 선회체(3)측에 배치 하는 동시에 작동 캠(417)을 주행체(2)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조종 장치(202)에 핸드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배치하여, 상기 핸드 액셀러레이터 레버에 의해 대지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 형태에 따라서 엔진(7)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지 펌프와 리모콘 밸브(373) 사이에, 차지 펌프로부터 리모콘 밸브(373)로의 파일럿압의 공급을 중단하는 주행 로크 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회대(201)를 구비하고, 이 선회대(201) 상에 대지 작업 장치(203), 운전석(205) 등을 구비한 휠식 작업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선회대(201)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예를 들어 주행체(2)에 직접, 대지 작업 장치(203)나 운전석(205) 등을 구비하는 것 등, 상술한 것 이외의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전후륜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를 갖는 주행체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전후륜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를 갖는 주행체를 구비한 휠식 작업기이며,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는, 엔진의 전방측에 배치된 후륜 차동 장치와, 이 후륜 차동 장치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과 상기 후륜 차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후륜 차동 장치로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傳動) 장치를 갖고,
    상기 엔진에, 상기 후륜 차동 장치,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 및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을 장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전방측에 상기 후륜 차동 장치를 수용한 하우징이 장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상기 기계식 전동 장치를 수용한 전동 케이스가 장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전방측에 상기 정유압 트랜스미션의 케이싱이 장착 고정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계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후륜 차동 장치의 좌우의 각 차동 출력축으로부터 좌우 동측에 있는 후방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좌우의 최종 전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최종 전동 장치를 수용한 최종 전동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 고정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대의 전방부에 대지(對地) 작업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선회대의 후방부에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는 휠식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은, 상부 벽과 당해 상부 벽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좌우 측벽을 갖는 동시에, 상기 좌우 측벽 사이의 후방부에 상기 엔진을 배치하는 엔진 배치부와, 좌우 측벽 사이의 상기 엔진 전방측에 상기 하우징, 상기 전동 케이스 및 상기 케이싱을 배치하는 주행 동력 전달계 배치부와, 전후륜 사이의 중앙 위치에 선회대를 지지하는 선회 베어링을 배치하는 베어링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측벽의 후방부에 최종 전동 케이스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지는 케이스 끼워 맞춤부를 형성한 휠식 작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차동 장치의 차동 출력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을, 차동 출력축의 후방 위치이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엔진과 겹치도록 설치한 휠식 작업기.
KR1020087006845A 2005-09-29 2006-09-07 휠식 작업기 KR100986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3381 2005-09-29
JPJP-P-2005-00283380 2005-09-29
JP2005283380A JP2007091044A (ja) 2005-09-29 2005-09-29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5283381A JP4471916B2 (ja) 2005-09-29 2005-09-29 ホイール式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25A KR20080038425A (ko) 2008-05-06
KR100986877B1 true KR100986877B1 (ko) 2010-10-08

Family

ID=3789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45A KR100986877B1 (ko) 2005-09-29 2006-09-07 휠식 작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7077B2 (ko)
EP (1) EP1930199A1 (ko)
KR (1) KR100986877B1 (ko)
WO (1) WO2007037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9859C (en) * 2006-08-08 2014-02-04 Clark Equipment Company Multiple configuration utility vehicle
DE102012103070A1 (de) * 2012-04-10 2013-10-10 Bernd Braun Nutzfahrzeug oder Baumaschine
US9010867B2 (en) * 2012-06-01 2015-04-21 Steelcase Inc. Stool with tilted orientation
JP5884791B2 (ja) * 2013-08-27 2016-03-1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機体構造
CN103738136B (zh) * 2014-01-27 2017-02-15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独立悬架系统及具有该独立悬架系统的起重机
GB2531764A (en) *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US10442458B2 (en) * 2015-01-29 2019-10-15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JP6206425B2 (ja) * 2015-02-06 2017-10-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トーイングトラクタ
US10689908B2 (en) * 2016-12-28 2020-06-23 Werner Co. End cap with grip and rag holder
US20210276383A1 (en) * 2020-03-09 2021-09-09 Robby Gordon Leading-edge front suspension
EP4253666A1 (en) * 2020-11-27 2023-10-04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45A (ja) * 1994-05-17 1995-11-28 Honda Motor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配置構造
JP2000025638A (ja) 1998-07-08 2000-01-2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走行車両の操向駆動装置
JP2005024027A (ja) 2003-07-03 2005-01-2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油圧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作業車輌
JP2005171608A (ja) 2003-12-10 2005-06-30 Kubota Corp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010A (en) * 1987-07-27 1989-07-18 Zimmerman Harold M Backhoe machine
US6578656B2 (en) * 1998-09-03 2003-06-17 Kubota Corporation Riding mower
US6722464B2 (en) * 2001-03-29 2004-04-20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45A (ja) * 1994-05-17 1995-11-28 Honda Motor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配置構造
JP2000025638A (ja) 1998-07-08 2000-01-2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走行車両の操向駆動装置
JP2005024027A (ja) 2003-07-03 2005-01-2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油圧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作業車輌
JP2005171608A (ja) 2003-12-10 2005-06-30 Kubota Corp 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25A (ko) 2008-05-06
WO2007037108A1 (ja) 2007-04-05
EP1930199A1 (en) 2008-06-11
US20090133950A1 (en) 2009-05-28
US8167077B2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877B1 (ko) 휠식 작업기
KR100952534B1 (ko) 휠식 작업기
EP2060475B1 (en) Working vehicle with cabin
US6990757B2 (en) Wheeled work vehicle
KR100998097B1 (ko) 휠 로더
JP4451831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7091044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7091042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7092398A (ja) 旋回作業機
JP4471916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4913541B2 (ja) キャビン付作業車両
JP2007092399A (ja) 旋回作業機
JP6670268B2 (ja) トラクタ
JP4983250B2 (ja)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2007092397A (ja) 掘削作業装置
JP2007091041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KR100255978B1 (ko) 크레인의 유압시스템용 다중조종장치
JP4170881B2 (ja) 旋回作業機
JP3789461B2 (ja) 作業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4170880B2 (ja) 旋回作業機
JP2005059727A (ja) 作業機の車輪縣架装置
JP2005153572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