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097B1 - 휠 로더 - Google Patents

휠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097B1
KR100998097B1 KR1020087022188A KR20087022188A KR100998097B1 KR 100998097 B1 KR100998097 B1 KR 100998097B1 KR 1020087022188 A KR1020087022188 A KR 1020087022188A KR 20087022188 A KR20087022188 A KR 20087022188A KR 100998097 B1 KR100998097 B1 KR 100998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rake
switching valve
valve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555A (ko
Inventor
료오헤이 스미요시
구니히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20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12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20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126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10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acting on transmiss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37Coordinating the movements of the implement and of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ull-face force-applying member, e.g.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12Fluid pressure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the type of actuator being irrelevant 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D2121/04 - F16D212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조작성이 좋은 휠 로더를 제공한다. 차륜(4, 5)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6)와, 기체(6)에 지지된 작업 장치(95)이며, 기부측이 기체(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120)과, 붐(120)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122)과, 아암(122)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123)를 갖는 작업 장치(95)와, 기체(6)를 주행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 수단(110)과, 주행 조작 수단(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아암(122)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4, 5)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150)를 구비한 휠 로더이다.
Figure R1020087022188
휠 로더, 주행기체, 선회기체, 아암 실린더, 조작 레버, 셔틀 밸브

Description

휠 로더 {WHEEL LOADER}
본 발명은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機體)에 작업 장치를 구비한 휠 로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후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기체의 전방부에 지지된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이 작업 장치를 기부측이 기체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측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를 구비하여 구성한 휠 로더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71608호 공보
종래의 휠 로더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작업구로서의 버킷을 전방측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그 배면측을 아암의 선단부측에 피봇 지지하여 상기 버킷이 퍼올림ㆍ덤프 동작 가능하게 된 것에 있어서는, 토사, 비료, 눈 등의 작업 대상물의 퍼올림 작업이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 버킷의 요동 지지점이 아암의 요동 지지점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한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이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을 요동시킨 상태로부터 상기 아암을 전방으로 요동하면서 버킷을 퍼올림 동작시키면, 토사 등을 다량으로 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버킷이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을 요동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전진시켜 토사 등에 버킷의 선단부를 근접 또는 접촉시키고, 그 자리에서 기체를 정지시켜 아암을 전방으로 요동하면서 버킷을 퍼올림 동작시킬 때에, 주행 페달로부터 브레이크 페달로 바꾸어 답입하면서 퍼올림 동작을 개시하면, 주행 페달로부터 발을 떼고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할 때까지의 동안에, 토사 등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기체가 후퇴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여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 퍼올림 동작을 개시하면 되지만, 이 경우, 전진으로부터 퍼올림 동작이라는 일련의 작업의 흐름이 주행 페달로부터 브레이크 페달로 바꾸어 답입할 때에 도중에 끊어져 버려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한 것을 확인하고, 그 후, 아암의 조작을 개시해야만 해서, 조작이 번잡해져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작업구로서의 버킷을 아암의 선단부측에 긁어 모으기ㆍ덤프 동작 가능하게 피봇 지지한 것, 또한 다른 작업구를 설치하여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작업구가 작업 대상물로부터 반력을 받는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작성이 좋은 휠 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휠 로더의 특징 구성은,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와, 상기 기체에 지지된 작업 장치이며, 기부(基部)측이 기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과, 당해 붐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과, 당해 아암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를 갖는 작업 장치와, 상기 기체를 주행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 수단과,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를 구비한 점에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륜을 제동하는 유압 작동식의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상기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는 아암 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상기 브레이크로 보내져, 당해 작동유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브레이크까지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비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는 상기 유통을 차단하는 제1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아암 실린더 사이에, 상기 아암의 요동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절환 밸브에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절환 밸브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2 절환 밸브가 설치되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제2 절환 밸브 사이의 관로의 압력을 제거하는 압력 제거 회로가 설치되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아암 실린더 측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까지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비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1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브레이크 사이에, 상기 아암의 요동시에는 상기 제1 절환 밸브로부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는 상기 제1 절환 밸브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2 절환 밸브가 설치되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밸브는 상기 아암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아암용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 파일럿 밸브로부터 보내지는 유압 신호 및, 상기 아암을 조작하는 아암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 발신되는 전기 신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환되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밸브가 복수의 전자기 절환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을 일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상기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절환되는 아암 일방향 조작용 전자기 절환 밸브와, 상기 아암을 타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상기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절환되는 아암 타방향 조작용 전자기 절환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주행시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보내지는 작동유에 의해서도 작동 가능하며, 상기 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에 의해 보내지는 작동유와,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상기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 실린더측으로부터 보내지는 작동유 중 어느 한쪽의 작동유를 셔틀 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브레이크에 공급 가능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이 제동되므로, 예를 들어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을 해제한 상태에서 작업 대상물에 대해 작업을 개시해도, 작업의 대상물인 토사 등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기체가 움직여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의 일련의 흐름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 차륜에 전달하는 차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차동 장치로 입력되는 동력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과 같이, 브레이크를 차동 장치로 입력되는 동력을 제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토크가 작은 곳에서 브레이크를 걸 수 있고, 오토 브레이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오토 브레이크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또한 1개의 오토 브레이크로 좌우 차륜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도1은 휠 로더의 측면도.
도2는 주행체 및 선회기체의 측면도.
도3은 주행체의 평면도.
도4는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의 평면 단면도.
도5는 메인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의 평면 단면도.
도6은 작업 장치의 측면도.
도7은 휠 로더의 유압 회로의 선회체측의 유압 회로도.
도8은 휠 로더의 유압 회로의 주행체측의 유압 회로도.
도9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0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1은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2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3은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4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15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부호의 설명]
4 : 전륜
5 : 후륜
6 : 주행기체
62 : 브레이크
93 : 선회기체
95 : 작업 장치
109 : 브레이크 페달(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
110 : 주행 페달(주행 조작 수단)
120 : 붐
122 : 아암
123 : 버킷(조작구)
137 : 아암 실린더
146 : 조작 레버(아암 조작 수단)
150 :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
153 : 제1 절환 밸브
154 : 제2 절환 밸브
155 : 셔틀 밸브
163 : 관로
164, 165 : 압력 제거 회로
V4 : 아암용 제어 밸브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1은 예를 들어 원예 등에 사용되는 도시형의 소형의 휠 로더이다. 상기 휠 로더(1)는 하부의 주행체(2)와, 상부의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전후 차륜(4, 5)에 의해 주행 가능해진 휠식의 주행체(2)이다. 이 주행차(2)는 좌우 한 쌍의 전후륜(4, 5)과, 이 전후륜(4, 5)에 의해 지지된 주행기체(6)와, 이 주행기체(6)에 탑재된 엔진(7)과, 이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륜(5)에 전달하는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8)와, 이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8)로부터 분기되어 전륜(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동력 전달 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6)는 메인 프레임(11)과, 이 메인 프레임(11)의 전방측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12)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에는 엔진(7), 라디에이터(13), 배터리(14), 스위블 조인트(15), 선회 모터(16) 및 선회 베어링(17) 등이 장비된다. 전방 프레임(12)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8)가 장비되고, 메인 프레임(11)의 후방부가 좌우 후륜(5)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프레임(12)의 전방부가 좌우 전륜(4)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주행기체(6)는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1)은 판재로 구성되고, 상벽(19)과, 이 상벽(19)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측벽(20)과, 상벽(19) 및 좌우 측벽(20)의 전단부에 고정된 전방벽(21)과, 좌우 측벽(20)의 후단부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후방벽(22)을 구비하고, 하방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진(7)은 메인 프레임(11)의 좌우 측벽(20) 사이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크랭크축의 축심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또한 출력축(23)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7)의 상단부측은 메인 프레임(11) 의 상벽(19)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엔진(7)의 후방부에는 냉각 팬(25)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7)의 좌측방에는 라디에이터(13)가 배치되고, 상기 엔진(7)의 우측방에는 배터리(14)가 배치되어 있다.
도4,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8)는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행 추진축(26)과, 이 주행 추진축(26)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 트랜스미션(이하, HST라 함)(27)과, 이 HST(27)로부터의 동력을 베벨 피니온축(28)에 전달하는 기계식 전동 수단(29)과, 베벨 피니온축(28)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후륜 차동 장치(30)와, 이 후륜 차동 장치(30)에 전달된 동력을 좌우 후방 차축(31)에 전달하는 좌우 종전동 장치(32)를 구비한다. 주행 추진축(26), HST(27), 기계식 전동 수단(29), 베벨 피니온축(28) 및 후륜 차동 장치(30)는 엔진(7)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종전동 장치(32)는 후륜 차동 장치(30)의 측방으로부터 엔진(7)의 전방부 측방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행 추진축(26)은 엔진(7)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엔진(7)의 출력축(23)에 연결된 플라이 휠(33)에 후단부측이 연결되어 있다.
HST(27)는 케이싱(34) 내에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36)과, 후륜 차동 장치(30)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37)을 축심이 전후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구비한다. 이 HST(27)는 입력축(36)에 설치된 유압 펌프(38)와, 출력축(37)에 설치된 유압 모터(39)를 구비하고, 입력축(36)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38)로부터 보내지는 작동유에 의해 유압 모터(39)를 구동하여, 상기 유압 모 터(39)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축(37)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하는 미션이다.
케이싱(34)은 후방면측이 개구 형상의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후방면측 개구를 가로막는 덮개(41)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축(36) 및 출력축(37)은 덮개(4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HST(27)의 입력축(36)은 주행 추진축(26)의 전방측에 상기 추진축(26)과 동심상에 배치되어 커플링에 의해 주행 추진축(26)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38)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이루어지고, 경사판 제어 액추에이터(42)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고, 경사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유압 모터(39)로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바꾸어 출력축(37)의 회전 속도(차속)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이 유압 펌프(38)는 유압 모터(39)로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출력축(37)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전진 회전) 또는 역회전(후진 회전)으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 제어 액추에이터(42)는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서보 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후진 절환 수단(43)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전진측 포트(44)에 파일럿 작동압이 발생하면 출력축(37)이 정회전하도록 유압 펌프(38)의 경사판이 제어된다. 후진측 포트(45)에 파일럿 작동압이 발생하면 출력축(37)이 역회전하도록 유압 펌프(38)의 경사판이 제어된다. 또한, 전진측 포트(44) 또는 후진측 포트(45)에 발생하는 압력의 정도에 의해 유압 펌프(38)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제어되어 출력축(37)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유압 모터(39)는 가변 용량형 모터로 이루어지고, 고저 절환 액추에이터(46)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가 2단계로 변경 가능해져, 경사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출력축(37)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을 고속 상태와 저속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벨 피니온축(28)은 HST(27)의 출력축(37)의, 덮개(4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좌측방에서 또한 하방측에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고, HST(27)의 출력축(37) 후단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 후단부측에 베벨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식 전동 수단(29)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ST(27)의 출력축(37)의, 덮개(4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47)와, 베벨 피니온축(28)의 전단부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어 상기 구동측 기어(47)에 맞물리는 피구동측 기어(48)로 구성된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계식 전동 수단(29)은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동속(同速) 기구라도 좋고, 또한 커플링 등의 동력 전동을 행하는 것이면 된다.
후륜 차동 장치(30)는 베벨 피니온축(28)의 후방이면서 또한 엔진(7) 좌측방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차동 출력축(49)을 돌출시키고 있다.
후방 차축(31)은 후륜 차동 장치(30)의 차동 출력축(49)의 후방 위치에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오버랩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우 각 후방 차축(31)의 외측 단부측에 후륜(5)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종전동 장치(32)는 차동 출력축(49)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 기어(51)와, 후방 차축(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피구동측 기어(52)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종전동 장치(32)에 있어서도, 증속 기구(변속 기구) 또는 동속 기구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8)에 있어서는, 엔진(7)으로부터 전방으로 출력된 동력은 HST(27)에서 되돌아오게 되어 후방으로 전달되고, 엔진(7)의 전방측 후륜 차동 장치(30)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전달되고, 종전동 장치(32)에 의해 후방으로 전달되어 후방 차축(31)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엔진(7)의 전방면측에는 플라이 휠(33) 및 후륜 차동 장치(30) 등을 수용한 하우징(53)이 연결 고정된다. 이 하우징(53)의 전방면측에는, 기계식 전동 수단(29) 등을 수용한 전동 케이스(54)가 연결 고정되고, 이 전동 케이스(54)의 전방면측에는 HST(27)의 케이싱(34)[의 덮개(41)]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엔진(7)에 후륜 차동 장치(30), 기계식 전동 수단(29) 및 HST(27)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하우징(53), 전동 케이스(54) 및 케이싱(34)은 메인 프레임(11)의 좌우 측벽(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3)의 좌우 양측에는 종전동 장치(32)를 수용한 종전동 케이스(55)가 고정되어 있고, 이 좌우 각 종전동 케이스(55)에 후방 차축(31)이 지지되 어 있는 동시에, 종전동 케이스(55)가 메인 프레임(1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 좌우의 각 종전동 케이스(55)는 그 전방부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이 상기 하우징(53)의 측면에 볼트 고정되고, 좌우의 각 종전동 케이스(55)의 후방부측이 메인 프레임(11)의 측벽(20) 상부측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1)의 좌우 측벽(20)의 후방부의 하부측에는, 종전동 케이스(55)의 상부측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기 위해 하방으로 개방 형상의 절결부(56)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56) 주위의 메인 프레임 측벽(20)에 종전동 케이스(55)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7)의 전방부측이 하우징(53) 및 종전동 케이스(55)를 통해 메인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고, 엔진(7)의 후방부측은 메인 프레임(11)의 후방벽(22)에 연결판 등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주행체(2)에 있어서는 엔진(7)의 전방측에 후륜 차동 장치(30)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후륜 차동 장치(3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후륜(5)을 회전시키는 후방 차축(31)을 차동 출력축(49)의 후방 위치에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엔진(7)과 오버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휠 로더(1)의 전후 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상기 HST(27)의 전방면측에는, 상기 HST(27)의 입력축(36)의 전단부측에 연동 연결되어 엔진(7)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2연식의 기어 펌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펌프(58)가 설치된다. 이 메인 펌프(58)로부터의 작동유가 스위블 조인트(15)를 통해 당해 휠 로더(1)에 장비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또한, 당해 휠 로더(1)에는 엔진(7)에 의해 구동되고, 주로 파일럿압용 작동유를 공급하는 서브 펌프(59)가 설치된다. 이 서브 펌프(59)로부터의 파일럿압용 작동유는 스위블 조인트(15)를 통해 당해 휠 로더(1)에 장비된 파일럿 밸브에 보내지는 동시에, 상기 서브 펌프(79)로부터의 작동유는 상기 전후진 절환 수단(43) 등에도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7)의 하단부측에 구비된 오일 팬(60)이 유압 기기용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계 주동력 전달 기구(8)에는 메인 브레이크(주행 브레이크, 오토 브레이크)(62) 및 주차 브레이크(63)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브레이크(62)는 주행시나 작업시 등에 있어서 HST(27)로부터 후륜 차동 장치(30) 및 후술하는 전륜 차동 장치(61)에 전달되는[후륜 차동 장치(30) 및 전륜 차동 장치(61)에 입력되는] 주행 동력을 제동하는 유압 작동식 브레이크이다. 주차 브레이크(63)는 주차시에 있어서 전륜(4) 및 후륜(5)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유압 작동식 브레이크이다. 이들 브레이크(62, 63)는 기계식 전동 수단(29)의 구동측 기어(47)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브레이크(62)는 전동 케이스(54)측에 수용되어 있다. 이 메인 브레이크(62)는 상기 전동 케이스(54)에 고정된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와, 상기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 내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된 복수매의 플레이트(66)와, 이 플레이트(66) 사이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67)와,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를 압접시키는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을 갖는 다.
상기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는 후방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 내에는 HST(27)의 출력축(37)의 후단부측이 삽입된다. 이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 내에 삽입된 출력축(37)의 후단부측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67)가 축 방향(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은 전단부측 플레이트(66)의 전방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설치된 후방 개방 형상의 피스톤 수용부(69) 내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출퇴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63)는 메인 브레이크(62)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63)는 하우징(53)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3)에 고정된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와, 이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 내에 수용된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과,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에 고정된 피스톤 지지 부재(72)와,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을 압박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를 압접시키는 스프링(73)을 갖는다.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는 전방으로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는 상기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와 연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 지지 부재(72)는 후단부측 플레이트(66)에 대향 형상으로 배치된 원판부(74)와, 이 원판부(74)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주차 브레이 크 케이스(70)의 후방벽(70a)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로드부(75)로 구성되고, 로드부(75)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의 후방벽(70a)에 고정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은 피스톤 지지 부재(72)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스프링(73)은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에 후방 개방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76)에 수용되어 있어,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과 주차 브레이크 케이스(70)의 후방벽(70a) 사이에 압축 형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메인 브레이크(62)에 있어서는, 피스톤 수용부(69)의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의 배면측[도면예에서는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의 전방측]에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작동유에 의해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이 압박되어 상기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이 후방 이동하고,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를 주차 브레이크(63)의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에 압박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가 압접되고, 이에 의해 메인 브레이크(62)가 작동하여 HST(27)의 출력축(37)이 제동된다[후륜(5) 및 전륜(4)이 제동됨].
또한, 상기 구성의 주차 브레이크(63)에 있어서는, 엔진(7) 정지시(주차시)에 있어서, 스프링(73)이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을 압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를 메인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가 압접되고, 이에 의해 전륜(4) 및 후륜(5)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엔진(7)을 시동시키면, 메인 펌프(58) 또는 서브 펌프(59)로부터의 작 동유가 피스톤 지지 부재(72)의 원판부(74)의 배면과,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 사이에 공급되어, 상기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73)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71)이 후방 이동되어, 브레이크 디스크(67)와 플레이트(66)의 압접이 해제된다.
상기 구성의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는, 메인 브레이크(62)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67) 및 플레이트(66)가 주차 브레이크(63)에 겸용되고 있다.
또한, 후륜 차동 장치(30)의 좌측방에는 차동 로크 장치(77)가 설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차동 로크 장치(77)는 좌측의 차동 출력축(49)과 일체 회전하는 차동 로크 시프터(78)를 작동유에 의해 복귀 스프링에 저항하여 후륜 차동 장치(30)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동 로크 시프터(78)에 형성된 결합 기어를 후륜 차동 장치(30)측에 설치한 결합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후륜 차동 장치(30)의 차동 작용을 금지하여 차동 로크하는 유압 작동식 차동 로크 장치(77)이다.
메인 프레임(11)의 전방부 상벽(19) 상면측에는 후판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설치판(79)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 설치판(79) 상에 선회 베어링(17)의 외측 레이스가 설치 고정되어 있고, 이 선회 베어링(17)의 중심이 선회 축심(X)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선회 베어링(17)의 내측 레이스의 내주측에는 내부 기어가 형성되고, 이 내부 기어에 맞물린 피니온이 메인 프레임(11)이 고정된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 는 선회 모터(16)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선회 모터(16)에 의해 선회 베어링(17)의 내측 레이스가 선회 축심(X)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1)의 좌우 측벽(20) 사이의 전방부에는 선회 축심(X)과 동심 형상으로 스위블 조인트(15)가 배치되고, 이 스위블 조인트(15)를 통해 주행체(2)측과 선회체(3) 사이의 작동유의 유통이 행해진다.
상기 주행기체(6)의 전방 프레임(12)은 판재로 구성되고, 상벽(81)과, 이 상벽(81)의 좌우 양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측벽(82)과, 이 좌우 측벽(82)의 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구비하여 주구성되고, 후방부측이 하방으로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12)의 전방부 하부측에는 전방 차축 케이스(83)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전방 차축 케이스(83)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전후 양측에는 전방 프레임(12)에 지지된 전방 차 베어링(84)이 배치된다. 이 전후의 전방 차 베어링(84)에 센터 핀을 통해 전방 차축 케이스(83)가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83)의 좌우 양측에 기어 케이스 등을 통해 전륜(4)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전방 차축 케이스(83)의 전방측에는 전륜(4)을 조향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조향 실린더(85)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전방 차축 케이스(83)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 조향 실린더(85)에는 실린더 튜브(8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87)가 설치되어 있고, 좌우 각 피스톤 로드(87)는 좌우 방향에서 같은 측에 있는 전륜(4)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조향 실린더(85)는 선회체(3)측에 설치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88)에 의해 제어된다.
전방 프레임(12)의 좌우 측벽(82) 사이의 후방부에는 엔진(7)용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8)가 배치되어 있다.
전륜(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동력 전달 기구(9)는 상기 기계식 전동 수단(29)의 피구동측 기어(48)에 연결되어 있어 전동 케이스(5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륜 동력 취출축(89)과, 전방 차축 케이스(83) 내에 설치된 전륜 차동 장치(61)와, 이 전륜 차동 장치(61)에 동력을 입력하는 베벨 피니온축(90)과, 이 베벨 피니온축(90)과 전륜 동력 취출축(89)을 연동 연결하는 전동 샤프트(91)와, 전륜 차동 장치(61)의 차동 출력축(92)으로부터 전륜(4)에 동력 전달하는 도시 생략된 종감속 기구(전동 기구)를 구비한다.
선회체(3)는 주행기체(6)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둘레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기체(93)와, 주행계의 조종 장치(94)와, 작업 장치(대지 작업 장치, 굴삭 작업 장치)(95)와, 운전석(96)과, 작업 장치(95) 및 선회기체(93)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97)와, 작업 장치(95)의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는 카운터 웨이트(98)와, 로프스(ROPS,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99) 등을 구비한다.
주행기체(6)와 선회기체(93)로 휠 로더(1)의 기체가 구성되어 있다. 선회기체(93)는 상기 선회 베어링(17)의 내측 레이스에 설치 고정되어 있어 선회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한 선회대(101)와, 이 선회대(101)의 전방부에 기립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마스트(작업 장치 지지체)(102)와, 선회대(101)의 후방부에 설치된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103)로 주구성되어 있다.
운전석 배치 프레임체(103)는 선회대(101)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104)과, 이 지지 프레임(104)에 설치되어 있어 운전석(96)을 전방측 피봇 지지로 앞으로 넘어짐 가능하게 적재하는 시트대(105)와, 카운터 웨이트(98)가 설치되는 웨이트 설치 프레임(106)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104)에 상기 컨트롤 밸브(97)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프스(99)의 전방부 하단부는 마스트(102)의 상단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로프스(99)의 후방부 하단부는 웨이트 설치 프레임(106)에 고정되어 있다.
주행계의 조종 장치(94)는 선회대 전방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이며[운전석(96)의 전방측에서] 또한 좌우 한 쌍의 마스트(102) 사이에 배치된 조종대(107)에 지지된 스티어링 핸들(108) 및 브레이크 페달(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109)과, 운전석(96)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선회대(101)에 지지된 주행 페달(주행 조작 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핸들(108)은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88)를 조작 가능하고, 브레이크 페달(109)은 상단부측이 조종대(107)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인위적 조작에 의해 답입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페달(109)을 답입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111) 내의 작동유가 메인 브레이크(62)[의 피스톤 수용부(69)의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의 배면측]로 공급되어 상기 메인 브레이크(62)가 작동한다.
브레이크 페달(109)은 답입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 답입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압박되어 있고, 답입을 해제하면 메인 브레이크(62)에 공급된 작동 유가 마스터 실린더(111)로 복귀된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111)는 운전석(96)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이 근방에는 마스터 실린더(111)용 작동유를 저류하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112)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페달(110)은 전후 방향 중도부가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축(113)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인위적 조작에 의해 운전자로부터 볼 때 전방측으로 답입 조작 또는 후방측으로 답입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전방 답입 또는 후방 답입을 해제하면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이 주행 페달(110)을 답입 조작함으로써 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가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는 HST(27)의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전진측 포트(44) 또는 후진측 포트(45)에 파일럿 작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HST(27)를 전진 상태와 후진 상태로 절환하는 동시에, 주행체(2)의 주행 스피드를 조정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 전후진 절환 수단(43)에 이르는 파일럿 유로(115a, 115b)에는 선회대(101)를 전방 배향 자세로부터 후방 배향 자세로 선회시켰을 때에 주행 페달(110)에 의한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절환 조작을 반전하는 전후진 절환 밸브(11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전후진 변환 절환 밸브(116)는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와 전후진 절환 수단(43) 사이의 파일럿 유로(115a, 115b)를 흐르는 파일럿 작동유의 흐름을 절환하여 상기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를 전후진 절환 수 단(43)에 공급 가능한 4포트 3위치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전후진 절환 밸브(116)는 A 위치로 절환된 상태에서는 주행 페달(110)의 전방 답입에 의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전진측 포트(44)에 공급되고, 주행 페달(110)의 후답입에 의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작동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후진측 포트(45)로 공급되게 된다. 주행 페달(110)을 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고, 주행 페달(110)을 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한다.
또한, 전후진 절환 밸브(116)가 B 위치로 절환된 상태에서는,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 전후진 절환 수단(43)으로의 파일럿 작동유의 공급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주행 페달(110)의 조작에 의한 주행체(2)의 주행은 불가능해진다.
또한, 전후진 절환 밸브(116)가 C 위치로 절환된 상태에서는, 주행 페달(110)의 전방 답입에 의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작동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후진측 포트(45)에 공급된다. 주행 페달(110)의 후방 답입에 의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작동유가 전후진 절환 수단(43)의 전진측 포트(44)에 공급되게 되고, 주행 페달(110)을 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고, 주행 페달(110)을 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한다.
그리고, 이 전후진 절환 밸브(116)는 선회기체(93)가 전방 배향 자세일 때에 A 위치로 절환되고, 선회기체(93)가 후방 배향 자세일 때에 C 위치로 절환되고, 선회기체(93)가 횡배향 자세일 때에 B 위치로 절환된다.
따라서, 선회기체(93)가 전방 배향 자세일 때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을 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고, 주행 페달(110)을 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한다. 또한, 선회기체(93)가 후방 배향 자세일 때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을 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후진하고, 주행 페달(110)을 후방측으로 답입함으로써 주행체(2)는 전진하고, 또한 선회기체(93)가 횡배향 자세일 때에는 주행체(2)의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컨트롤러(88)로부터 조향 실린더(85)에 이르는 작동유 유통 경로에는 선회기체(93)를 전방 배향 자세로 하였을 때나, 후방 배향 자세로 하였을 때에 있어서도, 운전석(96)에 착좌한 운전자로부터 볼 때 스티어링 핸들(108)을 꺾는 방향과 주행체(2)의 선회 방향이 일치하도록 작동유의 흐름을 절환하는 스티어링 변환 수단(117)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스티어링 변환 수단(117)은 선회기체(93)가 횡배향인 경우에는 중립 상태가 되고, 스티어링 핸들(108)의 조작에 관계없이 주행체(2)는 조향 불가능해진다.
작업 장치(95)는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118)와, 이 설치 부재(118)의 상부에 기부측이 붐 지지축(119)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붐(120)과, 기부측이 붐(120)의 선단부측에 아암 지지축(121)을 통해 좌우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122)을 좌우 1쌍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작업구로서의 1개의 버킷(123)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설치 부재(118)는 좌우 방향에서 같은 측에 있는 마스트(102)에 상하 연결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붐(120)의 길이 방향 중도부 및 좌우 아암(122)의 기부는 각각 연결 부재(124, 1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버킷(123)은 좌우 아암(122)의 선단부측에 상기 좌우 아암(12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 아암(122)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좌우 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의 버킷(123)은 토사, 비료, 눈 등의 퍼올림 작업, 굴삭 작업 등의 대지 작업을 하는 것으로, 저벽부(126)와 배면벽부(127)와 좌우 측벽부(128)를 구비한다. 버킷(123)은 저면이 지면과 대향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개구 부분이 전방측을 향하도록, 아암(122)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부착체(129)에 그 배면측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착체(129)는 아암(122)의 선단부측에 버킷 지지축(130)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부착체(129)에는 제1 링크(131)의 일단부측이 피봇축(132)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다. 이 제1 링크(131)의 타단부측에는 제2 링크(133)의 일단부측이 연결축(134)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이 제2 링크(133)의 타단부측은 아암(122)의 선단부측의, 상기 버킷 지지축(130)보다도 선단부 반대측에서 횡축(135)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좌우 각 붐(120)의 기부측(후방부측)의 하측에는, 각각 붐 실린더(136)가 배치되고, 상기 붐 실린더(136)의 일단부측은 설치 부재(118)의 하부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붐(120)의 하면측 길이 방향 중도부에 피봇 지지 연결된다. 이 붐 실린더(136)를 신장ㆍ수축시킴으로써 붐(120)이 붐 지지축(119) 둘레로 요동하여 올림ㆍ내림 동작된다.
붐(120)의 선단부측(전방부측)의 상측에는 각각 아암 실린더(137)가 배치되고, 상기 아암 실린더(137)의 일단부측은 붐(120)의 상면측 길이 방향 중도부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아암(122)의 기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아암 실린더(137)를 신장ㆍ수축시킴으로써 아암(122)이 아암 지지축(121) 둘레로 요동하여 전ㆍ후로 요동 동작한다.
좌우 아암(122) 사이에는 1개의 버킷 실린더(138)가 배치되고, 이 버킷 실린더(138)의 일단부측은 좌우 아암(122)의 기부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25)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3)의 연결 부분에 상기 연결축(134)을 통해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버킷 실린더(138)를 신장ㆍ수축시킴으로써 버킷(123)이 버킷 지지축(130) 둘레로 요동하여 덤프 동작(하방 요동)ㆍ퍼올림 동작(상방 요동)한다.
상기 붐 실린더(136), 아암 실린더(137) 및 버킷 실린더(138)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123)을 설치ㆍ지지하는 설치체(129)는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버킷 지지축(130)]이 아암(122)의 요동 지지점[아암 지지축(121)]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123)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는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상기 버킷(123)의 배면측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아암(122)의 선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아암(122)은 그 길이 방향 중도부에서 버킷(123)으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아암(122)의 전방측 길이 방향 모서리부(122a)가 상기 길이 방향 모서리부(122a)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접하는 접선(140)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아암(122)이 굴곡 형성되어 있어, 아암(122)의 전방측 길이 방향 중도부에 버킷(123)을 퍼올림 동작(상방 요동 동작)시켰을 때에, 버킷(123)의 배면 상단부측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 공간(141)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아암(122)의 요동 지지점(121)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123)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고 또한 버킷(123)이 휠 로더(1)의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122)을 요동시킨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상기 버킷(123)의 배면측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122)은 그 길이 방향 상부측이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이 되고 또한 아암(122)의 길이 방향 하부측이 대략 늘어짐 형상[연직 하방으로 늘어짐 형상, 또는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이며 또한 아암(122) 상부측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작은 경사 각도의 경사 형상]이 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122)의 굴곡부(139)보다도 하측 아암(122)의 하부측은 직선 형상 또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아암(122)의 요동 지지점(121)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123)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는 작업 자세 에 있어서,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상기 버킷(123)의 배면측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아암(122)을 전방으로 요동시켜 버킷(123)의 선단부측을 토사 등에 대해 찌르는 경우에, 버킷(123)이 배면측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버킷(123)의 선단부측이 토사 등에 양호하게 찌른다.
또한,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을 버킷(123)의 배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데 있어서는, 아암(122)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직선 형상인 것이면,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아암(122)의 요동 지지점(121)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123)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는 작업 자세에 있어서, 아암(122)을 후방으로 요동시켜 버킷(123)을 휠 로더(1)의 기체에 근접시켰을 때에 버킷(123)의 배면 상단부가 아암(122)에 근접하므로, 버킷(123)의 배면 상단부와 아암(122)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버킷(123)을 기체에 그다지 근접시킬 수 없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아암(122)이 그 길이 방향 중도부에서 버킷(123)으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으므로[아암(122)의 전방 모서리측 중도부에 간섭 회피 공간(141)이 형성되어 있음], 아암(122)을 후방으로 요동시켜 버킷(123)을 기체에 근접시켰을 때에 있어서, 아암(122)과 버킷(123)의 배면 상단부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을 버킷(123) 배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버킷(123)을 기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킷(123)을 기체에 근접시킬 수 있음으로써 버킷(123)의 전후 방향의 스트로크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버킷(123)을 기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버킷(123)을 요 동시킬 때의 버킷(123)의 요동각[버킷(123) 저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을 크게 취할(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킷(123)은 퍼올림ㆍ덤프 동작 가능한 버킷(123)이 설치되어 있지만,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는 자세로 개구 부분이 후방을 향해 또한 퍼올림ㆍ덤프 동작 가능한 버킷(123)이 설치되어도 좋고, 또한 버킷(123) 대신에 그 밖의 작업구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좌우 아암의 선단부측에 상기 좌우 아암에 걸쳐서 설치된 지지체에, 버킷이 버킷 지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상기 버킷을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회전 축심 둘레로 180°회전함으로써, 퍼올림 작업 가능한 제1 작업 자세로부터, 긁어 모으기 작업 가능한 제2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운전석(96)의 좌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95) 및 선회기체(93)의 조작용 조작 레버(작업계 조작 수단)(146)가 배치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조작 레버(14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조작 레버(146)가 선회대(101) 및 아암(122)을 조작하는 것(아암 조작 수단)이 되고, 우측 조작 레버(146)가 붐(120) 및 버킷(123)을 조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97)는 버킷 실린더(138)를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V1)와, 붐 실린더(136)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V2)와, 버킷을 퍼올림 자세와 긁어 모으기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회전용 유압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와, 아암 실린더(137) 를 제어하는 아암용 제어 밸브(V4)와, 선회 모터(16)를 제어하는 선회용 제어 밸브(V5)를 구비한다. 이 컨트롤 밸브(97)는 직동 스풀형의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각 제어 밸브를 스풀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펌프(58)로부터의 작동유가 스위블 조인트(15)를 통해 컨트롤 밸브(97)에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 밸브(97)의 각 제어 밸브(V1 내지 V5)로부터 각각의 액추에이터로 보내진다.
버킷용 제어 밸브(V1), 붐용 제어 밸브(V2), 아암용 제어 밸브(V4), 선회용 제어 밸브(V5) 제어 밸브는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절환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버킷 회전용 제어 밸브(V3)는 선회기체(93)에 설치되는 절환 레버에 의해 절환되는 인력 방식의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좌측 조작 레버(146)는 아암용 제어 밸브(V4)와 선회용 제어 밸브(V5)를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에 설치되고, 우측 조작 레버(146)는 붐용 제어 밸브(V2)와 버킷용 제어 밸브(V1)를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붐ㆍ버킷용 리모콘 밸브(148)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 레버(146)에 의해 상기 리모콘 밸브(147, 148)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좌측 조작 레버(146)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아암용 제어 밸브(V4)가 조작되어 아암(122)이 전ㆍ후로 요동동작하고, 상기 좌측 조작 레버(146)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선회용 제어 밸브(V5)가 조작되어 선회기체(93)가 좌ㆍ우로 선회 동작한다.
또한, 상기 우측 조작 레버(146)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붐용 제어 밸 브(V2)가 조작되어 붐(120)이 하강ㆍ상승 동작하고, 상기 우측 조작 레버(146)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버킷용 제어 밸브(V1)가 조작되어 버킷(123)이 덤프ㆍ퍼올림 동작한다.
그런데, 아암의 선단부측에 버킷을 퍼올림ㆍ덤프 동작 가능하게 피봇 지지한 휠 로더에 있어서는, 토사, 비료, 눈 등의 작업 대상물의 퍼울림 작업을 행하는 경우, 버킷의 요동 지지점이 아암의 요동 지지점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한 작업 자세에 있어서, 버킷이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을 요동시킨 상태로부터 상기 아암을 전방으로 요동하면서 버킷을 퍼올림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버킷이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을 요동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전진시켜 토사 등에 버킷의 선단부를 근접 또는 접촉시키고, 그 자리에서 기체를 정지시켜 아암을 전방으로 요동하면서 버킷을 퍼올림 동작시킬 때에, 주행 페달로부터 브레이크 페달로 바꾸어 답입하면서 퍼올림 동작을 개시하면, 주행 페달로부터 발을 떼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까지의 동안에, 토사 등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기체가 후퇴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휠 로더(1)에 있어서는, 도9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페달(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122)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4, 5)을 제동시키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을 구비하고 있다.
도9, 도10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지 않을(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있어서, 아암 실린더(137)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상기 메인 브레이크(62)에 전달되어 상기 작동유에 의해 상기 메인 브레이크(62)가 작동함으로써 차륜(4, 5)[전후륜(4, 5)]이 제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휠 로더에 있어서는, 메인 브레이크(62)가 브레이크 페달(109)을 답입함으로써 차륜(4, 5)을 제동하는 주행 브레이크와, 주행 페달(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122)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4, 5)을 제동시키는 오토 브레이크에 겸용되고 있다.
또한, 주행 브레이크와 오토 브레이크를 각각 독립하여 설치해도 좋고, 또한 오토 브레이크로서는 유압 작동식 브레이크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 작동식 브레이크라도 좋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가 아니라도 드럼 브레이크 또는 그 밖의 형식의 브레이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제1 셔틀 밸브(151), 감압 밸브(152), 제1 절환 밸브(153), 제2 절환 밸브(154) 및 제2 셔틀 밸브(155)를 구비한다.
제1 셔틀 밸브(151)는 아암용 제어 밸브(V4)를 통해 아암 실린더(137)의 보텀측 또는 로드측에 공급되는 메인 펌프(58)로부터의 작동유 중, 압력이 높은 쪽의 작동유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메인 브레이크(62)측으로 보낸다.
감압 밸브(152)는 제1 셔틀 밸브(151)로부터의 작동유를 감압하여 메인 브레이크(62)측으로 보낸다.
제1 절환 밸브(153)는 주행 페달(110)의 비조작시에 있어서 감압 밸브 (152)[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의 작동유의 메인 브레이크(62)측으로의 유통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153a)와, 주행 페달(110)의 조작시에 있어서 감압 밸브(152)[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 메인 브레이크(62)측으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53b)로 절환 가능하다.
제2 절환 밸브(154)는 제1 절환 밸브(153)와 감압 밸브(152)[아암 실린더(137)측] 사이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개재되어 있어, 아암(122)의 요동시에 있어서 감압 밸브(152)[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 제1 절환 밸브(153)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154a)와, 아암(122)의 비요동시에 있어서 감압 밸브(152)[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 제1 절환 밸브(153)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54b)로 절환 가능하다.
제2 셔틀 밸브(155)는 마스터 실린더(111)[브레이크 페달(109)측]로부터 보내지는 작동유와, 주행 페달(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제1 절환 밸브(153)[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 보내지는 작동유 중 어느 한쪽(압력이 높은 쪽)의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메인 브레이크(62)에 공급 가능하다.
제1 절환 밸브(153)는 스프링(156)에 의해 차단 위치(153b)로 절환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또한 전기 신호[온(ON) 신호]에 의해 연통 위치(153a)로 절환되는 전자기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행 페달(110)이 답입되면, 예를 들어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행 센서(157)가 오프(OFF)되어 [제1 절환 밸브(153)에 오프 신호가 발신되 어] 제1 절환 밸브(153)가 소자되어 상기 제1 절환 밸브(153)가 차단 위치(153b)로 절환되고, 주행 페달(110)이 답입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는, 주행 센서(157)가 온되어 [제1 절환 밸브(153)에 온 신호가 발신되어] 제1 절환 밸브(153)가 여자(勵磁)되어 상기 제1 절환 밸브(153)가 연통 위치(153a)로 절환된다.
제2 절환 밸브(154)는 스프링(158)에 의해 차단 위치(154b)로 절환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또한 전기 신호(온 신호)에 의해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되는 전자기 절환 밸브이다. 제2 절환 밸브(154)는 아암(122)이 요동하고 있지 않을 때는, 예를 들어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가 조작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아암 센서(159)가 오프되어 제2 절환 밸브(154)가 소자되어 상기 제2 절환 밸브(154)가 차단 위치(154b)로 절환되고, 아암(122)이 요동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는, 아암 센서(159)가 온되어 제2 절환 밸브(154)가 여자되어 상기 제2 절환 밸브(154)가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된다.
상기 구성의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토사 등의 퍼올림 작업을 행하는 경우, 버킷(123)의 요동 지지점(130)이 아암(122)의 요동 지지점(121)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123)의 저면이 지면에 대향하고 또한 버킷(123)이 기체에 근접하도록 아암(122)을 요동시킨 도1에 도시하는 작업 자세로부터, 휠 로더(1)를 전진시켜 토사 등에 버킷(123)의 선단부를 근접 또는 접촉시키고, 전진 주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주행 페달(110)의 답입 조작을 해제하는 동시에 아암(122)을 전방으로 요동시키면서 버킷(123)을 퍼올림 동작시키면,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환 밸브(153) 및 제2 절환 밸브(154)가 각각 연통 위 치(153a, 154a)로 절환되어, 아암 실린더(137)의 로드측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제1 셔틀 밸브(151) → 감압 밸브(152) → 제2 절환 밸브(154)의 연통 유로(175) → 제1 절환 밸브(153)의 연통 유로(162) → 제2 셔틀 밸브(155)를 거쳐서 메인 브레이크(62)의 피스톤 수용부(69)의 메인 브레이크 피스톤(68)의 배면측에 공급되고, 상기 메인 브레이크(62)가 작동하여 차륜(4, 5)이 제동된다.
이에 의해, 아암(122)을 전방으로 요동시키면서 버킷(123)을 퍼올림 동작시킬 때에 주행 페달(110)로부터 발을 떼어도, 토사 등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휠 로더(1)가 후퇴하지 않고, 또한 전진 → 퍼올림 동작이라는 일련의 작업의 흐름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토사 등의 퍼올림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아암(122)의 요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면,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환 밸브(153)가 차단 위치(153b)로 절환되고, 아암 실린더(137)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의 메인 브레이크(62)측으로의 유통이 제1 절환 밸브(153)에 의해 차단되는 동시에, 메인 브레이크(62)의 피스톤 수용부(69) 내의 작동유가 제2 셔틀 밸브(155) → 제1 절환 밸브(153)의 드레인 유로(160) → 제1 절환 밸브(153)로부터 작동유 탱크(오일 팬)(60)에 이르는 드레인 회로(161)를 거쳐서 탱크 드레인되어 차륜(4, 5)의 제동이 해제된다.
따라서, 주행 중에는 아암(122)을 요동시켜도 메인 브레이크(62)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주행 페달(110)의 답입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암(122)의 요동을 정지시키면,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환 밸브(154)가 차단 위 치(154b)로 절환되어, 메인 브레이크(62)의 피스톤 수용부(69) 내의 작동유는 제2 셔틀 밸브(155) → 제1 절환 밸브(153)의 연통 유로(162) →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 → 제2 절환 밸브(154)의 드레인 유로(164) → 제2 절환 밸브(154)로부터 작동유 탱크(오일 팬)(60)에 이르는 드레인 회로(165)를 거쳐서 탱크 드레인되어 차륜(4, 5)의 제동이 해제된다.
상기 구성의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고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122)의 요동을 정지시키면,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는 제2 절환 밸브(154)의 드레인 유로(164) 및 상기 드레인 회로(165)를 통해 작동유 탱크(60)에 연통하여,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에 폐쇄압이 남는 일이 없다[폐쇄압이 있으면, 아암(122)의 비요동시이며 또한 주행 중에, 주행 페달(110)의 답입을 해제한 경우에 상기 폐쇄압이 메인 브레이크(62)에 작용하여 차륜(4, 5)에 제동력이 작용하여 쇼크를 받음].
상기 제2 절환 밸브(154)의 드레인 유로(164) 및 상기 드레인 회로(165)에 의해, 주행 페달(110)의 조작시이며 또한 아암(122)의 비요동시에 있어서,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의 압력을 제거하는 압력 제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고 있지 않을 때에 브레이크 페달(109)을 답입하면, 마스터 실린더(111)로부터 작동유(브레이크 오일)가 제2 셔틀 밸브(155)를 거쳐서 메인 브레이크(62)에 공급되어 상기 메인 브레이크(62)가 작동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 제1 절환 밸브(153)를 소자하였을 때에 스프링에 의해 연통 위치(153a)로 절환되고, 여자하였을 때에 차단 위치(153b)로 절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2 절환 밸브(154)를 소자하였을 때에 스프링에 의해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되고, 여자하였을 때에 차단 위치(154b)를 절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2 절환 밸브(154)를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셔틀 밸브(155) 사이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개재 장착해도 좋다.
또한, 제1 절환 밸브(153) 및/또는 제2 절환 밸브(154)를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절환 밸브(153)를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로 구성한 경우에는,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였을 때에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제1 절환 밸브(153)가 차단 위치(153b)로 절환되고,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제1 절환 밸브(153)가 연통 위치(153a)로 절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절환 밸브(154)를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조작하였을 때에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제2 절환 밸브(154)가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되고,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제2 절환 밸브(154)가 차단 위치(154b)로 절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122)의 요동에 연동하여 아암 실린더(137)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메인 브레이크(62)(오토 브레이크)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펌프(58)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공급 회로의 적절한 부위로부터 메인 브레이크(62)로 보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아암용 제어 밸브(V4)를 제어하는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 또는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의 파일럿 작동유를, 주행 페달(110)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 메인 브레이크(62)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로 해도 좋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한 설계 변경 사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도11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전술한 전자기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2 절환 밸브(154)를 감압 밸브(152)[아암 실린더(137)측]로부터 제1 절환 밸브(153)에 이르는 작동유 유통 경로에 병렬적으로 2개 개재 장착하고 있는 동시에, 이 2개의 제2 절환 밸브(154) 중 여자되어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된 제2 절환 밸브(154)를 통과한 작동유를 제1 절환 밸브(153)로 보내기 위한 제3 셔틀 밸브(166)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구성이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제2 절환 밸브(154) 중, 한쪽의 제2 절환 밸브(154)는 아암(122)을 일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였을 때에 여자되어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되는 아암 방향 조작용 제2 절환 밸브(154)로 되고, 다른 쪽 제2 절환 밸브(154)는 아암(122)을 타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였을 때에 여자되어 연통 위치(154a)로 절환되는 아암 타방향 조작용 제2 절환 밸브(154)로 되어 있다.
아암 조작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암 실린더(137)의 신장 조작용 조작 버튼과, 아암 실린더(137)의 수축 조작용 조작 버튼을 구비한다. 이들 조작 버튼의 압박 조작에 의해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를 조작하도록 한 조작 수단이 채용되고, 한쪽의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167)에 의해 한쪽 제2 절환 밸브(154)가 여자되고, 다른 쪽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168)에 의해 다른 쪽 제2 절환 밸브(154)가 여자되고,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스위치(167, 168)가 오프되어 제2 절환 밸브(154)가 소자된다.
또한, 아암 실린더(137)의 신장 조작용 조작 버튼과, 아암 실린더(137)의 수축 조작용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이들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아암(122)을 요동 조작시키는 경우, 아암용 제어 밸브(V4)를 전자기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하고,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한 전기 신호에 의해 아암용 제어 밸브(V4)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11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제1 셔틀 밸브(151)를 없애고, 제1 절환 밸브(153)와 제3 셔틀 밸브(166) 사이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감압 밸브(152)를 개재 장착한 점에서 도11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상이한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도11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11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 전술한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일방향으로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조작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검출 센서와, 상기 조작 레버(146)를 타방향으로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조작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검출 센서를 설치하고, 한쪽의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한쪽의 제2 절환 밸브(154)를 절환 동작시키고, 다른 쪽의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다른 쪽의 제2 절환 밸브(154)를 절환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12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154)로서, 파일럿 체크 밸브가 채용되는 동시에,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154)를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셔틀 밸브(155) 사이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개재 장착하고, 또한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 아암용 제어 밸브(V4)에 보내지는 (아암 실린더 신장용과 아암 실린더 수축용의) 2계통의 파일럿 작동유의 내고압측 파일럿 작동유를 제2 절환 밸브(154)로 보내기 위한 제3 셔틀 밸브(169)를 설치한 점에서 다른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2 절환 밸브(154)는 폐쇄되어 있다. 주행 페달(110)을 답입 조작하지 않고 또한 아암(122)을 요동시켰을 때에는, 제1 절환 밸브(153)가 여자되어 연통 위치(153a)로 절환되는 동시에, 제2 절환 밸브(154)가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개방되고, 아암 실린더(137)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감압 밸브(152)를 통해 제1 절환 밸브(153)에 보내지는 동시에, 제1 절환 밸브(153) 및 제2 절환 밸브(154)를 통과하여 제2 셔틀 밸브(155)를 통해 메인 브레이크(62)로 보내져 차륜(4, 5)이 제동된다.
또한,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아암(122)의 비요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답입 조작한 경우, 메인 브레이크(62)로부터 제2 셔틀 밸브(155) → 제2 절환 밸브(154) → 제1 절환 밸브(153)의 드레인 유로(160) → 드레인 회로(161)를 거쳐서 작동유가 탱크 드레인되어, 메인 브레이크(62)의 작동이 해제된다.
또한, 도12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제2 절환 밸브(154)가 감압 밸브(152)와 제1 절환 밸브(153) 사이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개재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도12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12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아암(122) 요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면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에 폐쇄압이 발생하므로, 파일럿 체크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2 절환 밸브(154)는 제 1 절환 밸브(153)와 제2 셔틀 밸브(155) 사이에 개재 장착하는 것이 좋다.
도13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154)를 파일럿 작동압에 의해 절환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고압측의 파일럿 작동유를 제2 절환 밸브(154)로 보내는 제3 셔틀 밸브(180)를 설치하고, 상기 제2 절환 밸브(154)를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연통 위치(154a)로 절환 조작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도9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13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도12의 (b)에 있어서의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의 제3 셔틀 밸브(169)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파일럿 유로(170)에 개재된 제3 절환 밸브(171)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제1 절환 밸브(153)가 주행 페달(110)의 조작시에 스프링(156)에 의해 절환되었을 때에, 오토 브레이크로부터의 작동유를 드레인 회로(161)에 흐르게 하기 위한 제1 드레인 유로(194)와,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의 압력을 드레인 관로(172)를 통해 드레인 회로(161)에 제거하기 위한 제2 드레인 유로(195)를 제1 절환 밸브(153)가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12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도12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절환 밸브(171)는 전자기 절환 밸브로 구성되어 있어, 주행 페 달(110)이 답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여자됨으로써 파일럿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171a)로 절환된다. 주행 페달(110)이 답입되고 있을 때에는, 소자됨으로써 파일럿 작동유(170)의 유통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71b)에 스프링(173)에 의해 절환된다.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의 조작시이며 또한 아암(122)의 비요동시에 있어서, 제1 절환 밸브(153)와 제2 절환 밸브(154) 사이의 관로(163)에 폐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14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도12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제1 절환 밸브(153)를, 주행 페달(110)을 전방 답입하였을 때 또는 후방 답입하였을 때에 있어서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에 의해 차단 위치(153b)로 절환 조작되는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전방 답입하였을 때 또는 후방 답입하였을 때에 있어서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를 제1 절환 밸브(153)로 보내기 위한 제4 셔틀 밸브(174)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도12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을 답입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1 절환 밸브(153)에 파일럿 작동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절환 밸브(153)가 연통 위치(153a)에 스프링(156)에 의해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4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오토 브레이크[전술한 주행 브레이크 겸용의 메인 브레이크(62)라도 좋고,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 전용의 브레이크라도 좋음]에 작동유를 보내는 마스터 실린더(176)과,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와, 주행 페달(110)을 전방 답입하였을 때 또는 후방 답입하였을 때에 있어서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의 일부(고압측)를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보텀측으로 보내기 위한 주행용 셔틀 밸브(178)와,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요동 조작하였을 때에 있어서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 아암용 제어 밸브(V4)로 보내지는 파일럿 작동유의 일부(고압측)를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로드측으로 보내기 위한 아암용 셔틀 밸브(179)와,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의 움직임을 마스터 실린더(176)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180)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기구(180)는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181)에 기부측이 고정된 제1 아암(182) 및 제2 아암(183)과,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184)에 기부측이 고정된 제3 아암(185) 및 제4 아암(186)과, 제2 아암(183)의 선단부측과 제3 아암(185)의 선단부측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링크(187)와, 제3 링크에 접촉하여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의 돌출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토퍼(188)를 구비한다.
제1 아암(182)의 선단부측에는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의 선단부측이 연결된다. 제4 아암(186)의 선단부측에는 마스터 실린더(176)의 푸쉬 로드(189)의 선단부측이 연결되어 있다. 오토 브레이크 실린 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가 퇴피함으로써 제1 아암(182)이 당겨져 제1, 제2 아암(122)이 회전하는 동시에, 연동 링크(187)에 의해 제3 아암(185)이 당겨져 제3, 제4 아암(122)이 회전한다. 제4 아암(186)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76)의 푸쉬 로드(189)가 압입되어 상기 마스터 실린더(176) 내의 피스톤이 압박되고, 이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76) 내의 작동유가 오토 브레이크로 보내져 상기 오토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륜(4, 5)이 제동된다.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조작하면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가 아암용 셔틀 밸브(179)를 통해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로드측에 공급된다.
이때, 주행 페달(110)을 답입 조작하고 있으면, 주행용 리모콘 밸브(114)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가 주행용 셔틀 밸브(178)를 통해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보텀측에 공급되므로, 수압 면적이 큰 보텀측이 승압됨으로써,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가 퇴피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잉여의 파일럿 작동유는 릴리프 밸브를 통해 드레인된다.
또한,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의 조작시에, 주행 페달(110)이 비답입 상태이면,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로드측이 승압되므로 상기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가 퇴피 이동하여 오토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또한,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의 조작을 해제하면,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로드측 파일럿 작동유는 아암용 셔틀 밸브(179)를 통해 드레인 회로에 흘러 오토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도15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메인 펌프(58)로부터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보텀측에 이르는 작동유 유통 경로에 개재 장착된 주행용 절환 밸브(191)와, 이 주행용 절환 밸브(191)의 상류측에 설치된 파일럿 체크 밸브(192)와,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요동 조작하였을 때에 있어서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 아암용 제어 밸브(V4)로 보내지는 파일럿 작동유의 일부를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192)에 보내기 위한 아암용 셔틀 밸브(179)와,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의 움직임을 마스터 실린더(176)에 전달해는 전동 기구(180)를 구비한다.
주행용 절환 밸브(191)는 전술한 제1 절환 밸브(153)와 같은 절환 밸브로 구성되고, 파일럿 체크 밸브(192)는 전술한 제2 절환 밸브(154)와 같은 파일럿 체크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전동 기구(180)는 전술한 전동 기구(180)에 있어서의 스토퍼(188)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4 아암(186)의 배향이 다른 점에서 상이하며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전동 기구(18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는, 주행 페달(110)을 답입하지 않을 때에는 주행용 절환 밸브(191)는 차단 위치(191b)로 절환되어 있다.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파일럿 체크 밸브(192)는 폐쇄되어 있고, 아암 조작용 조작 레버(146)를 조작하는 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비답입 상태로 하면, 아암ㆍ선회용 리모콘 밸브(147)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가 아암용 셔틀 밸브(179)를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192)로 보내져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192)가 개방되는 동시에 주행용 절환 밸브(191)가 여자되어 연통 위치(191a)로 절환되어, 메인 펌프(58)로부터의 작동유가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보텀측에 공급된다.
그리고, 오토 브레이크 실린더(177)의 피스톤 로드(177a)가 돌출되어 제1 아암(182)이 압박 이동되어 제1, 제2 아암(122)이 회전하는 동시에, 연동 링크(187)에 의해 제3 아암(185)이 압박 이동되어 제3, 제4 아암(122)이 회전한다. 제4 아암(186)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76)의 푸쉬 로드(189)가 압입되어 상기 마스터 실린더(176) 내의 피스톤이 압박된다. 이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76) 내의 작동유가 오토 브레이크로 보내져 상기 오토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륜(4, 5)이 제동된다.
도15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은, 도15의 (a)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에 있어서의 주행용 절환 밸브(191)가 파일럿 조작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행 페달(110)을 전방 답입하였을 때 또는 후방 답입하였을 때에 있어서 주행 리모콘 밸브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압의 일부를 주행용 절환 밸브(191)로 보내기 위한 주행용 셔틀 밸브(178)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도15의 (b)에 도시하는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150)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에 작업 장치를 구비한 휠 로더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와,
    상기 기체에 지지된 작업 장치이며, 기부측이 기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과, 당해 붐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과, 당해 아암의 선단부측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를 갖는 작업 장치와,
    상기 기체를 주행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 수단과,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차륜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를 구비한 휠 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을 제동하는 유압 작동식의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상기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는 아암 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상기 브레이크로 보내져, 당해 작동유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휠 로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브레이크까지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비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는 상기 유통을 차단하는 제1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아암 실린더 사이에, 상기 아암의 요동시에는 상 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절환 밸브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절환 밸브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2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휠 로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제2 절환 밸브 사이의 관로의 압력을 제거하는 압력 제거 회로가 설치되는 휠 로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실린더 측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까지의 작동유 유통 경로에,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비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는 상기 아암 실린더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1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브레이크 사이에, 상기 아암의 요동시에는 상기 제1 절환 밸브로부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비요동시에는 상기 제1 절환 밸브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로의 작동유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2 절환 밸브가 설치되는 휠 로더.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밸브는 상기 아암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아암용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 파일럿 밸브로부터 보내지는 유압 신호 및, 상기 아암을 조작하는 아암 조작 수단의 조작시에 발신되는 전기 신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환되는 휠 로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밸브가 복수의 전자기 절환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을 일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상기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절환되는 아암 일방향 조작용 전자기 절환 밸브와, 상기 아암을 타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상기 아암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작동유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절환되는 아암 타방향 조작용 전자기 절환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휠 로더.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주행시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보내지는 작동유에 의해서도 작동 가능하며,
    상기 주행계 브레이크 조작 수단에 의해 보내지는 작동유와, 상기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또한 상기 아암을 요동시켰을 때에 상기 아암 실린더측으로부터 보내지는 작동유 중 어느 한쪽의 작동유를 셔틀 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브레이크에 공급 가능한 휠 로더.
  9. 제1항에 있어서, 엔진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 차륜에 전달하는 차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차동 장치로 입력되는 동력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휠 로더.
KR1020087022188A 2006-03-29 2007-03-16 휠 로더 KR10099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2024A JP4481265B2 (ja) 2006-03-29 2006-03-29 ホイールローダ
JP2006092023A JP4481264B2 (ja) 2006-03-29 2006-03-29 ホイールローダのオートブレーキ方法及びホイールローダ
JPJP-P-2006-00092023 2006-03-29
JPJP-P-2006-00092024 200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555A KR20080103555A (ko) 2008-11-27
KR100998097B1 true KR100998097B1 (ko) 2010-12-02

Family

ID=3854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88A KR100998097B1 (ko) 2006-03-29 2007-03-16 휠 로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76705B2 (ko)
EP (1) EP2000600A1 (ko)
KR (1) KR100998097B1 (ko)
WO (1) WO2007111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521A1 (ko) 2011-12-27 2013-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9171A (zh) * 2010-07-26 2010-12-29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江苏徐州工程机械研究院 轮式装载机的动臂定位方法及装置
US8858151B2 (en) * 2011-08-16 2014-10-14 Caterpillar Inc. Machine having hydraulically actuated implement system with down force control, and method
JP5205536B1 (ja) * 2012-06-28 2013-06-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US9181676B2 (en) * 2013-01-11 2015-11-10 Deere & Company Machine foot control operational pattern and method thereof
US9453519B2 (en) * 2013-07-05 2016-09-2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axle
JP6398446B2 (ja) * 2014-08-08 2018-10-03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ー
JP1522701S (ko) * 2014-09-05 2015-04-27
JP1522700S (ko) * 2014-09-05 2015-04-27
US9212038B1 (en) * 2014-10-07 2015-12-15 Kelly Presti Automated portable personal lift
EP3239553B1 (en) * 2014-12-25 2019-09-04 Mitsubishi Logisnext Co., Ltd. Axle for industrial vehicle
US10641388B2 (en) 2015-12-07 2020-05-05 Kubota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of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CN110065497B (zh) * 2019-05-24 2023-05-19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高速装载机高低速自动切换控制系统
US11623492B2 (en) * 2020-11-04 2023-04-11 Terex South Dakota, Inc. Vehicle suspension system
US11623493B2 (en) * 2020-11-04 2023-04-11 Terex South Dakota, Inc. Vehicle suspens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041A (en) 1979-10-31 1981-06-01 Furukawa Mining Co Ltd Wheel type loader
JPS6092914A (ja) 1983-10-27 1985-05-24 Nippon Denso Co Ltd 車高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879A (en) * 1970-07-07 1972-09-05 Arnold A Buletti Auxiliary brake system
US3973805A (en) * 1971-09-20 1976-08-10 Royal Industries, Inc. Motor vehicle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JPS60261765A (ja) * 1984-06-07 1985-12-2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制動装置
JPS622472U (ko) * 1985-06-21 1987-01-09
JPH0790883A (ja) * 1991-09-02 1995-04-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ルロ−ダの自動デフロック制御装置
JPH0622472U (ja) 1992-06-24 1994-03-25 チュァン チン−パオ 折り畳み式テント・フレーム
KR970040698A (ko) * 1995-12-29 1997-07-24 유상부 휠타입 굴삭기의 작업브레이크장치
DE19616732B4 (de) * 1996-04-26 2007-0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Bremsanlage eines Fahrzeugs
JP2003106967A (ja) * 2001-09-28 2003-04-09 Shimadzu Corp 油圧−サーボ式材料試験機
US6631320B1 (en) * 2002-11-27 2003-10-07 Caterpillar Inc Electronic traction control system
JP2005171608A (ja) 2003-12-10 2005-06-30 Kubota Corp 作業機
GB2439333A (en) * 2006-06-20 2007-12-27 Bamford Excavators Ltd Loading machine with AB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041A (en) 1979-10-31 1981-06-01 Furukawa Mining Co Ltd Wheel type loader
JPS6092914A (ja) 1983-10-27 1985-05-24 Nippon Denso Co Ltd 車高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521A1 (ko) 2011-12-27 2013-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US9447560B2 (en) 2011-12-27 2016-09-20 Doosan Infacore Co., Ltd. Parallel linkage-type work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6705B2 (en) 2012-10-02
EP2000600A1 (en) 2008-12-10
WO2007111158A1 (ja) 2007-10-04
KR20080103555A (ko) 2008-11-27
US20090252586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097B1 (ko) 휠 로더
EP2112052B1 (en) Steering device for construction vehicle
US20150191894A1 (en) Mobile Device
EP2673422B1 (en) Hydrostatic system configured to be integrated in an excavator
US9845590B2 (en) Hydraulic system for an earth moving machine
JP2008025161A (ja) 作業車
JP7324654B2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US8109356B2 (en) Auxiliary hydraulic flow control system for a small loader
JP4606365B2 (ja) ローダ
JP4481264B2 (ja) ホイールローダのオートブレーキ方法及びホイールローダ
CN111287232A (zh) 用于作业机械的改进的作业机具附接件
JP4481265B2 (ja) ホイールローダ
CN113498387B (zh) 用于使铰接式动力机器转向的牵引控件
US4015679A (en) Drive range and lock control system
EP3181763A1 (en) Hydraulic clam actuator valve block
JPH0533359A (ja) 全旋回型の小型バツクホウ
JP2007091042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US20230257965A1 (en) Control systems for drive systems and work elements of power machines
JP2019065996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4471916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7046754A (ja) トラクタの油圧装置
JP2023151644A (ja) ショベル
JP2007092399A (ja) 旋回作業機
JP2005065611A (ja) 作業車両
JP2007091041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