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57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573A
KR20080035573A KR1020087001389A KR20087001389A KR20080035573A KR 20080035573 A KR20080035573 A KR 20080035573A KR 1020087001389 A KR1020087001389 A KR 1020087001389A KR 20087001389 A KR20087001389 A KR 20087001389A KR 20080035573 A KR20080035573 A KR 2008003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rain stem
grain
uprigh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252B1 (ko
Inventor
시게루 츠시마
고우지로우 시마다
쥰지 하야시
츠요시 나카하라
유이치 심푸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Abstract

3조분의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를 갖는 예취 전처리 장치가 장착된 3조 예취용의 콤바인에 있어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대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를 조 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에 최적인 위치로 설정해서, 세우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예취 전처리 장치(3)에 있어서의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를 그 세움 타인(21c)이 정면에서 볼 때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세움 타인(21c)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 보다 후방으로 이동해진 위치로 한다.
Figure P1020087001389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 장치에 포장(圃場)에 심어진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위한 곡간 세움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의 주행 기체에는 그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 장치에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가로 폭 방향)에 따라 병렬 배치된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를 여러 개 갖는 곡간 세움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각 곡간 세움 케이스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횡 일측 상부에 걸친 외측 둘레측부를 바깥 방향의 돌출자세로 회전하는 세움 타인(tine)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3조(條,row) 예취용의 콤바인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 장치에는 예취 조 수에 맞춰서 3개(3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가 주행 기체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병렬 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는 세움 타인이 돌출되는 작용측의 횡 일측부끼리를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정면 보기에 있어서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와 중앙 곡간 세 움 케이스 사이는 서로의 세움 타인이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3 및 도 8 참조).
한편,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는 그 작용측의 우측부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의 비작용측인 좌측부에 대향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은 일단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우측부를 향해서 돌출된 자세로 된다. 이 때문에, 정면 보기에 있어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 사이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과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3 및 도 8 참조).
또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좌측부로부터는 세움 타인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비작용측의 좌측부에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긴 세움 가이드판이 부착되어 있다.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는 한 쌍으로 2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는 단독으로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내기시 조 방향에 따라 베지 않은 곡간을 예취할(이하, 조 예취라 칭한다) 시에는 주행 기체의 전방에 있는 3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 중 우측 2조분은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의 쌍으로 세워져서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 사이에 받아들여진다.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만으로 중앙 곡간 세 움 케이스의 좌측부의 세움 가이드판으로 가이드되면서 세워져 중앙 및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 사이에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3-79220호 공보
그런데,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베지 않은 곡간의 좌우 이식 간격)은 앞서 모내기기로 모종을 이식했을 때의 간격이며, 보통은 일정(300㎜정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곡간 세움 케이스군의 배치 관계는 각각 대응하는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 간격에 맞춰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곡간 세움시에 한 쌍으로 기능하는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의 배치 관계는 조 간격에 맞춰서 설정이 되어 있다.
그러나, 곡간 세움 케이스군을 주행 기체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한다고 하는 레이아웃 관계상, 홀수 조 예취의 경우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대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의 배치 위치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과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이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좌우 외측에 떨어져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 대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의 배치 위치는 곡간 세우기에 최적인 위치보다 좌우 외측에 떨어져 있어서 조 간격에 맞춘 설정이 되지 않고, 세우기 성능 향상 등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홀수 조 예취용의 콤바인에 있어서 모든 곡간 세움 케이스의 배치 위치를 조 간격에 대응시켜서 곡간 세우기에 최적인 위치로 설정해 세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 1 항의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 장치에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3개 이상의 홀수개 배치된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를 갖는 곡간 세움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각 곡간 세움 케이스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횡 일측 상부에 걸친 외측 둘레측부를 바깥 방향의 돌출 자세로 회행(回行)하는 세움 타인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곡간 세움 케이스군 중 작용측의 횡 일측부가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횡 일측부에 대치하는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는 그 세움 타인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과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보다 후방으로 이동해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 2 항의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에는 상기 이웃한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 3 항의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에는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의 선단부와 대치되는 개소에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에 끌어들이기 위한 경사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제 1 항의 발명에 의하면, 3개 이상의 홀수개의 가로 회전형 곡간 세움 케이스군 중 작용측의 횡 일측부가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횡 일측부에 대치하는 단독 곡간 케이스를 그 세움 타인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과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보다 후방으로 이동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대한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배치 위치는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시에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가 단독으로 기능하기 쉬운(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쉬운) 위치가 된다.
그렇다면, 상기 홀수 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 전부가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에 최적의 배치 위치로 되므로 조 예취를 할 때의 곡간 세우기를 상기 모든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에서 적절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상기 홀수 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 전체로서의 세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제 2 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에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이 돌출 초기의 단계에서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작용측을 향해서 돌출된 자세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이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에 대응하는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잘못해서 긁어 내려버릴(쓰러지게 해 버린다) 우려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으로 방해되는 일은 없고,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만으로 확실하게 세우고,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와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 사이에 받아 들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제 3 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규제 부재에는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의 선단부와 대치하는 개소에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사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규제 부재에 있어서의 경사상의 안내면과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의 협동에 의해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가 후방의 곡간 반송 장치 등을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가이드)되게 되고, 짚 흘림이나 세우기 자세의 혼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예취 전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취 전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예취 전처리 장치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는 스켈리톤도이다.
도 7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이다.
도 8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를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개략사시도이다.
도 9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를 길이 방향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 기체 2 : 주행 크롤러
3 : 예취 전처리 장치 12 : 커팅 날 장치
13 : 곡간 세움 장치 14 : 곡간 반송 장치
15 : 분초체 21 : 세움 타인
22 : 곡간 세움 케이스 35 : 예취 입력 파이프
36 : 세로 전동 파이프 37 : 가로 전동 파이프
38 : 예취 프레임 39 : 지지 파이프
41 : 예취 입력축 42 : 세로 전동축
43 : 가로 전동축 44 : 세움 전동축
45 : 커팅 날 구동축 46 : 세움 스프로킷축
47 : 세움 스프로킷 51 : 세움 가이드판
61 : 앞 덮개 62 : 포위벽
63 : 이면판 64 : 타인 홈구멍
66 : 종동 스프로킷 67 : 무단 체인
70 : 규제 부재 70a : 안내면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도 1~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 도 4는 예취 전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예취 전처리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예취 전처리 장치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는 스켈리톤도, 도 7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도 8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를 좌후방으로부터 본 개략사시도, 도 9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를 길이 방향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평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칭한다.
처음에,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조 예취용의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 러(2,2)로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받아들이는 예취 전처리 장치(3)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4)에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부착한 탈곡 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7)가 가로 배열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좌측에, 곡립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는 주행 기체(1)의 후부에 설치된 세로축(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오거(8)의 세로 오거통(9), 도 1 및 도 2 참조) 주위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 장치(3)와 곡립 탱크(7) 사이에는 조향 레버나 운전 좌석 등을 갖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1)이 배치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 장치(3)에서 예취된 예취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계승·반송되어 탈곡 장치(5)에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급실의 하방에는 급망이나 채프 시브(chaff sieve) 등에 의한 요동 선별을 행하기 위한 요동 선별 기구(도시생략)와 풍구팬에 의한 바람 선별을 행하기 위한 바람 선별 기구(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양 선별 기구에서 선별되어서 1번 인수 홈통(도시생략)에 모아진 곡립은 1번 컨베이어 및 곡립 양곡(揚穀) 컨베이어(도시생략)를 통해서 곡립 탱크(7)에 집적된다. 곡립 탱크(7) 내의 1번 곡립은 배출 오거(8)를 통해서 기기 외부로 반출된다.
또, 피드 체인(6)의 후단으로부터 짚 배출 체인(18)(도 2 참조)에 이어받아진 배출되는 짚은 긴 상태로 주행 기체(1)의 후방에 배출되든지 또는 짚 배출 커 터(도시생략)에서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 기체(1)의 후방에 배출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예취 전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취 전처리 장치(3)는 탈곡 장치(5)의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 받침대(도시생략)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가로로 긴 예취 입력 파이프(35)(도 1, 도 4 및 도 5 참조) 주위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입력 파이프(35)의 중도부에는 전방경사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전동 파이프(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중도부와 주행 기체(1) 앞단부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4)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선단부(하단부)에는 가로로 긴 가로 전동 파이프(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앞 방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예취 프레임(38)이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병설되어 있다. 상기 예취 프레임(38)군의 하방에는 바리캉식의 커팅 날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예취 프레임(38)의 선단부에는 분초체(15)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예취 조 수에 맞춰서 3개의 세움 구동 파이프(39)가 전방경사 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움 구동 파이프(39)군은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주행 기체(1)의 가로 폭 방향)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세움 구동 파이프(39)에는 포장에 심어진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위한 곡간 세움 장치(13)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전처리 장치(3)의 전방부에 3조분의 곡간 세움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곡간 세움 장치(13)와 피드 체인(6)의 앞단부 사이에는 곡간 반송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세움 장치(13)는 분초체(15)를 통해서 받아들인 베지 않은 곡간을 기립시키는 세움 타인(21)을 갖는 곡간 이송 장치로서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22)와 이들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 스타 휠(23) 및 긁어 모음 벨트(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타 휠(23) 및 긁어 모음 벨트(24)는 이들 세트에 대응하는 세움 타인(21)에서 세워진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에 긁어 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들 스타 휠(23) 및 긁어 모음 벨트(24)로 긁어 모아진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가 바리캉식의 커팅날 장치(12)로 절단된다.
곡간 반송 장치(14)는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을 좌경사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측 하부 반송 체인(25)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을 우경사 후방으로 반송해서 그 밑동부를 우측 하부 반송 체인(25)의 반송 종단 위치 근방에 합류시키는 좌측 하부 반송 체인(27)과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부를 좌경사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부를 우경사 후방으로 반송해서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에 합류시키는 좌측 상부 반송 타인(28)과 우측 하부 반송 체인(25)의 반송 종단 위치 근방에서 합류한 3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부를 피드 체인(6)에 계승해 반송하기 위한 세로 반송 체인(30)을 구비하고 있다. 세로 반송 체인(30)에 보내진 3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부는 그 후 피드 체인(6)에 계승되어져 끼워져서 반송된다. 그리고, 이 예취 곡간의 이삭 끝부 가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급실 내의 급동(17)에서 탈곡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동력 전달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11)으로부터 예취 전처리 장치(3)를 향한 동력은 급동 입력축이나 예취 변속 기구(모두 도시생략) 및 예취 입력 풀리(40)(도 4~도 6 참조) 등을 통해서 우선 예취 입력 파이프(35)에 내장된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다. 예취 입력 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세로 전동 파이프(36) 내의 세로 전동축(42)을 통해서 가로 전동 파이프(37) 내의 가로 전동축(43)에 전달되고, 이어서, 가로 전동축(43)으로부터 세움 구동 파이프(39)에 내장된 세움 전동축(44)(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과 커팅 날 구동축(45)에 동력 전달된다. 각 세움 전동축(44)에 전달된 동력은 세움 구동축(46) 및 이것에 연결된 세움 구동 스프로킷(47)을 통해서 곡간 세움 장치(13)의 각 세움 타인(21)을 구동시킨다. 커팅 날 구동축(45)에 전달된 동력은 커팅 날 장치(12)를 구동시킨다.
좌우 세움 전동축(44)으로부터는 인접하는 세움 전동축(44,44) 사이에 배치된 하부 반송 구동축(48)에도 동력이 분기되어서 전달된다. 좌측 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좌측 주동 스프로킷(49)을 통해서 곡간 반송 장치(14)의 좌측 하부 반송 체인(27), 곡간 세움 장치(13)에 있어서의 좌측의 스타 휠(23) 및 긁어 모음 벨트(24)를 구동시킨다. 우측 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우측 주동 스프로킷(49)을 통해서 곡간 반송 장치(14)의 우측 하부 반송 체인(25), 곡간 세움 장치(13)에 있어서의 우측과 중앙의 스타 휠(23) 및 긁어 모음 벨트(24)를 구동시킨다.
또한,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세로 구동축(50)을 경유해서 곡간 반송 장치(14)의 세로 반송 체인(30),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 및 좌측 상부 반송 타인(28)에도 분기되어서 전달된다.
다음에 도 4~도 9를 참조하면서 곡간 세움 장치를 구성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군의 배치 등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22)는 예취 전처리 장치(3)의 전방부에 대하여 주행 기체(1)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각각이 후방경사 위 방향의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횡 일측 상부에 걸친 외측 둘레측부를 바깥 방향의 돌출 자세로 회전해서 베지 않은 곡간을 기립시키는 세움 타인(21)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는 소위 가로 회전형인 것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도 4~도 9에 있어서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에는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부호(a,b,c)를 붙이고 있다.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는 각각의 세움 타인(21a,21b)이 돌출되는 작용측의 횡 일측부끼리를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한편,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로서의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는 그 작용측의 우측부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비작용측인 좌측부에 대향시키고 있다.
환언하면,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배 치 관계는 세움 타인(21a,21b)의 돌출되는 방향이 좌우 대칭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를 사이에 두고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는 그 세움 타인(21c)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세움 타인(22b)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의 작용측이란 상기 곡간 세움 케이스(22)의 외둘레측부 중 세움 타인(21)이 바깥 방향의 돌출 상태로 회전하는 영역을 말한다.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의 작용측은 그 하부 부근의 우측 단부로부터 밑바닥부를 거쳐서 좌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작용측은 그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밑바닥부를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또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작용측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밑바닥부를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따라서,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의 세움 타인(21)은 도 3에 2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동 궤적을 통과하게 된다.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는 주행 기체(1)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병렬상으로 배열되서 배치되어 있다. 정면 보기에 있어서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 사이는 서로의 세움 타인(21a,21b)이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TD1)이 벌어져 있다. 이 간격(TD1)은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300㎜ 정도)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시에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a,22b)가 한 쌍으로 기능하기 쉬운(우측 2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쉬운) 폭 치수로 되어 있다.
한편, 정면 보기에 있어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 사이는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세움 타인(21c)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좌측부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TD2)(TD2<TD1)이 비어 있다.
즉,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는 그 세움 타인(21c)이 정면 보기에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우측부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근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면 보기에 있어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 사이의 간격(TD2)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21c)의 돌출 길이보다 약간 긴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간격(TD2)도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시에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가 단독으로 기능하기 쉬운(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기 쉬운) 폭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는 그 세움 타인(21c)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보다 후방에 간격 RD만큼 이동되어 있다(도 4, 도 5 및 도 9 참조).
또,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좌측부에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긴 세움 가이드판(51)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세움 가이드판(51)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개소와 작용측의 개소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정면 보기에 있어서는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좌측부로부터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를 향해서 돌출된 세움 타인(21c)의 선단부는 세움 가이드판(51)의 후방에 숨겨지게 된다.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a,22b)는 한 쌍으로 2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는 단독으로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세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내기시의 조 방향을 따라 베지 않은 곡간을 예취할(조 예취) 때에는 주행 기체(1)의 전방에 있는 3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 중 우측 2조분은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a,22b)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대(21a,21b)에서 세워져서 우측 및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a,22b) 사이로 받아들여진다.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세움 타인(21c)만으로 세워져서 중앙 및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b,22c) 사이에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는 그 세움 타인(21c)이 정면 보기에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1b)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근접하고, 또한 상기 세움 타인(21c)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보다 후방으로 옮겨져 있으므로 3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22) 전부가 포장에 있어서의 베지 않은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세우기에 최적인 배치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조 예취시의 곡간 세우기를 3조분 모두 곡간 세움 케이스(22)의 세움 타 인(21)에서 적절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곡간 세움 케이스(22) 전체로서의 세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각 곡간 세움 케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곡간 세움 케이스(22)는 우측 곡간 세움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는 좌우 대칭상이라든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만 세움 가이드판(51)이 설치되어 있는 등의 작은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그래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를 예로서 그 상세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는 세움 타인(21b)의 비작용 영역 주위에 포위벽(62)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판제 앞 덮개(61)와 상기 앞 덮개(61)의 이면측에 장착된 금속판제의 이면판(63)에 의해 상하로 긴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 덮개(61)의 포위벽(62) 중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밑바닥부를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는 세움 타인(21b)을 바깥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타인 홈구멍(64)이 개구되어 있다(도 8에 일부에만 나타낸다). 이 포위벽(62)에 있어서의 타인 홈구멍(64)의 개소가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작용측과 합치되게 된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내부 중 상부측에 설치된 세움 구동 스프로킷(47) 및 텐션 스프로킷(65)과 하부측에 설치된 종동 롤러(66)에는 무단 체인(67)이 감겨져 있다. 무단 체인(67)에는 여러 개의 세움 타인(21b)이 적당한 간격으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세움 구동 파이프(39) 내의 세움 전동축(44)으로부터 세움 구동축(46)에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세움 구동 스프로킷(47)에 의 해 무단 체인(67)에 부착된 여러 개의 세움 타인(21b)은 정면 보기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내부 중 종동 롤러(66)의 상방 장소에는 세움 타인(21b)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했을 때(비작용측으로부터 작용측으로 이행할 때)에 상기 세움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에 접촉하는 돌출 안내 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세움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가 돌출 안내 부재(68)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세움 타인(21b)은 포위벽(62)으로 형성된 타인 홈구멍(64)의 시단 개소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자세로 바뀌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동 롤러(66)의 개소에 있어서는 세움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가 종동 롤러(66)의 외주연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세움 타인(21b)은 종동 롤러(66)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봐서 방사상으로 바깥 방향 돌출하는 자세가 된다(도 7 참조).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내부 중 작용측쪽의 개소에는 세움 타인(21b)을 바깥 방향 돌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타인 가이드(69)가 무단 체인(67)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개소(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밑바닥을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각 세움 타인(21b)이 타인 홈구멍(64)을 따라 바깥 방향 돌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개소(우측 상부로 부터 상부를 거쳐서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는 세움 타인(21b)의 선단부를 포위벽(62)의 내벽 등에 접촉시키는 등해서 상기 세움 타인(21b)을 세움 케이스(3) 내에 쓰러진 자세(무단 체인(67)에 달라붙은 자세)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텐션 스프로킷(65)은 이면판(63)에 대하여 무단 체인(67)이 긴장·이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에만 설치된 규제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 즉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는 단면 く자상의 규제 부재(70)가 용접 또는 볼트 조임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70)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세움 타인(21b)이 타인 홈구멍(64)의 시단 개소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전환될 때에 상기 세움 타인(21b)에 있어서의 기단부 주위의 상승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대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배치 관계상 세움 가이드판(51)의 이면과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우측부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세움 타인(21c)의 선단부 사이에 전후 방향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도 9 참조). 이 간격을 벌어진 채로 해 두면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가 상기 간격에 들어갈 가능성이 염려된다. 이 점에서 규제 부재(70)는 상기 간격을 없애고,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의 침입을 방 지하는 역할도 해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규제 부재(70)는 세움 가이드판(51)의 이면측에 타인 홈구멍(64)의 시단 개소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70)와 세움 가이드판(51)으로 둘러싸진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고 있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움 타인(21b)의 돌출 초기의 단계(세움 타인(21b)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단계)에 있어서는 바깥 방향의 돌출자세로 변환되려고 하는 세움 타인(21b)의 선단부가 규제 부재(70)의 내벽면에 충돌해서 상기 세움 타인(21b)은 도중까지 상승 회동한 자세로 유지된다.
즉, 세움 타인(21b)이 규제 부재(70)의 개소를 지나갈 때까지의 돌출 초기 단계에서는 무단 체인(67)에 대한 세움 타인(21b)의 상승 각도(θ)(도 7 참조)가 작은 상태로 규제된다. 세움 타인(21b)이 규제 부재(70)의 개소를 지나면 상기 세움 타인(21b)은 그 회동 기단부가 종동 롤러(66)의 외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완전하게 바깥 방향 돌출 자세로 변환되어 타인 홈구멍(64)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에 상기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21b)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70)를 설치한다는 구성을 채용하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세움 타인(21b)이 돌출 초기의 단계에서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우측부를 향해서 돌출된 자세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21b)이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대응하는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잘못해서 긁어 내려버릴(쓰러지게 해 버린다) 우려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중앙 곡간 세움 케이스(22b)의 세움 타인(21b)으로 방해되는 일 없이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을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세움 타인(21c) 단독으로 확실하게 세우고, 중앙 및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b,22c) 사이에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규제 부재(70)의 존재에 의해 세움 가이드판(51)의 이면과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21c)의 선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간격이 없어지므로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가 상기 간격에 들어가는 것에 기인하는 곡간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70)에는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21c)의 선단부와 대치되는 외측면을 평면보기에서 후방경사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면(70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규제 부재(70)의 안내면(70a)은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세움 타인(21c)과 협동 해서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의 스타 휠(23) 등을 향해서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규제 부재(70) 중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세움 타인(21c)의 선단부와 대치되는 장소에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 를 후방에 끌어들이기 위한 경사상의 안내면(70a)을 형성하면, 규제 부재(70)의 안내면(70a)과 좌측 곡간 세움 케이스(22c)의 세움 타인(21c)과의 협동에 의해 좌측 1조분의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가 후방의 스타 휠(23) 등을 향해서 부드럽게 안내(가이드)되게 되고, 곡간을 세울 시의 짚 흘림이나 반송 혼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소위 중간 분할 작업시와 같이 다량의 베지 않은 곡간을 곡간 세움 케이스군에서 세우는 경우에 규제 부재(70)에 있어서의 경사상의 안내면(70a)은 높은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은 3조 타입에 한하지 않고, 5조 타입 등과 같이 홀수개이면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3조분의 곡간 세움 케이스(22)는 우측 2조·좌측 1조이었지만, 본 발명은 좌측 2조·우측 1조인 것에도 좌우 대칭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의 형상도 상술의 실시형태의 것에 한하지 않고, 상하로 긴 판자 모양 등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 자세를 규제할 수 있다면 되는 것이다.
그 외, 각 부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3)

  1.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 장치에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3개 이상의 홀수개 배치된 가로 회전형의 곡간 세움 케이스를 갖는 곡간 세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각 곡간 세움 케이스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횡 일측 상부에 걸친 외둘레측부를 바깥 방향 돌출 자세로 회행하는 세움 타인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곡간 세움 케이스군 중, 작용측의 횡 일측부가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횡 일측부에 대치되는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는 그 세움 타인이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의 세움 타인과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보다 후방으로 이동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 초기의 세움 타인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에는 상기 단독 곡간 세움 케이스에 있어 서의 세움 타인의 선단부와 대치하는 개소에 베지 않은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사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87001389A 2005-09-13 2006-02-10 콤바인 KR101322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5251 2005-09-13
JP2005265251A JP4860215B2 (ja) 2005-09-13 2005-09-13 コンバイン
PCT/JP2006/302375 WO2007032103A1 (ja) 2005-09-13 2006-02-1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573A true KR20080035573A (ko) 2008-04-23
KR101322252B1 KR101322252B1 (ko) 2013-10-28

Family

ID=3786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389A KR101322252B1 (ko) 2005-09-13 2006-02-10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60215B2 (ko)
KR (1) KR101322252B1 (ko)
CN (1) CN101252828B (ko)
WO (1) WO2007032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9900B2 (ja) * 2008-07-02 2013-02-06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刈り取り搬送構造
WO2014057981A1 (ja) * 2012-10-10 2014-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5004937B (zh) * 2022-06-01 2023-10-27 河南农业大学 一种鲜食玉米采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8318A (ja) * 1982-02-10 1983-08-17 井関農機株式会社 刈取機
JPS59196023A (ja) * 1983-04-18 1984-11-07 古野電気株式会社 延縄監視装置
JPS59196023U (ja) * 1983-06-13 1984-12-26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穀稈引起しケ−スにおけるタインの突出案内装置
JP2003079220A (ja) * 2001-09-12 2003-03-18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0215B2 (ja) 2012-01-25
WO2007032103A1 (ja) 2007-03-22
KR101322252B1 (ko) 2013-10-28
CN101252828A (zh) 2008-08-27
JP2007074952A (ja) 2007-03-29
CN101252828B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4836A1 (en) Narrow row head unit
CN102172122B (zh) 一种联合收割机
CN106470541A (zh) 联合收割机
BR102019008401A2 (pt) Espigadeira de cultivo em fileira e divisor de cultivo para uma máquina agrícola, e, combinada
KR101322252B1 (ko) 콤바인
RU2651141C2 (ru) Жатка для очёса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на корню
KR101151834B1 (ko) 일으킴 장치
KR101712128B1 (ko) 콤바인용 예취장치
JP4688052B2 (ja) 植物葉茎刈取機
US20070294995A1 (en) Machine For Harvesting Stalk-Like Plants With A Stripper
JP5066903B2 (ja) 収穫機
JPH06253652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収穫構造
JP7239404B2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の収穫前処理装置
RU2294082C1 (ru) Способ уборки кукуруз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7239405B2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の収穫前処理装置
JP5790064B2 (ja) コンバイン
JP2012147738A (ja) コンバイン
JP2013176341A (ja) コンバイン
JP2022085327A (ja) 農作穀物刈取補助機構及び農作穀物刈取補助機構を備えたコンバイン
KR20230171372A (ko) 수확기
JP2013176333A (ja) 刈取装置
JP5206023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部
JP2013176334A (ja) 刈取装置
JP2020103127A (ja) 収穫機
JP200625477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