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372A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372A
KR20230171372A KR1020230056920A KR20230056920A KR20230171372A KR 20230171372 A KR20230171372 A KR 20230171372A KR 1020230056920 A KR1020230056920 A KR 1020230056920A KR 20230056920 A KR20230056920 A KR 20230056920A KR 20230171372 A KR20230171372 A KR 2023017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harvester
shaped por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아베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7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과제) 분초체에 관한 작업성이 개선된 수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확기 (1) 는, 예취부 (3) 와, 분초체 (16) 를 구비한다. 예취부 (3) 는, 기체 횡폭 방향으로 예취폭을 갖는다. 분초체 (16) 는, 예취폭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작물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한다. 분초체 (16) 는, 본체부 (30) 와, 하측 분초체 (40) 를 갖는다. 하측 분초체 (40) 는, 본체부 (30) 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분초체 (40) 는, 판상부 (41) 와, 안내부 (43) 를 갖는다. 안내부 (43) 는, 본체부 (30) 에 장착되고, 판상부 (41) 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ER}
본 발명은,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수확기는, 예취부와, 분초체 (分草體) (디바이더) 를 구비한다. 예취부는, 기체 횡폭 방향으로 예취폭을 갖는다. 분초체는, 예취폭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작물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한다. 분초체는, 디바이더 본체와, 저부 분할체를 갖는다. 저부 분할체는, 디바이더 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저부 분할체가 디바이더 본체에 장착되면, 디바이더 본체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의 많은 부분이 닫히는 결과, 도복 작물이 예취되지 않고 남는 것이 억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51164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수확기에서는, 디바이더 본체에 대한 저부 분할체의 착탈 작업이 번잡하였다.
본 발명은, 분초체에 관한 작업성이 개선된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확기는, 예취부와, 분초체를 구비한다. 상기 예취부는, 기체 횡폭 방향으로 예취폭을 갖는다. 상기 분초체는, 상기 예취폭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작물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한다. 상기 분초체는, 본체부와, 하측 분초체를 갖는다. 상기 하측 분초체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초체에 관한 작업성이 개선된 수확기가 제공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수확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수확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분초체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분초체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체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분초체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8(a) 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체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고, 도 8(b) 는, 분초체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이면도이다.
도 9(a) 는, 분초체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고, 도 9(b) 는, 분초체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이면도이다.
도 10 은, 예취부의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 은, 예취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면 중에, 서로 직교하는 X 축, Y 축 및 Z 축이 도시된다. X 축 및 Y 축은 수평면에 평행하고, Z 축은 연직 방향에 평행하다.
먼저, 도 1 ∼ 도 3 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확기 (1) 의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수확기 (1) 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수확기 (1) 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수확기 (1) 의 평면도이다. 수확기 (1) 는, 예를 들어 콤바인이다.
수확기 (1) 는, 고무 크롤러제의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 (2) 로 지지된 주행 기체 (1a) 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 (1a) 의 전방부에는, 벼 등의 곡간 (穀稈) 을 예취하면서 거두어 들이는 예취부 (3) 가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 (3) 의 예취 대상은, 벼에 한정되지 않고, 보리, 대두 및 옥수수 등이다. 주행 기체 (1a) 의 좌측에는, 예취부 (3) 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탈곡부 (9) 가 탑재되어 있다.
예취부 (3) 는, 가로로 긴 버킷 형상의 곡물 헤더 (12) 를 구비한다. 곡립 헤더 (12) 의 내부에, 레이크 오거 (13) 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레이크 오거 (13) 의 전방부 상방에는, 레이크 릴 (14) 이 배치되어 있다. 곡립 헤더 (12) 의 전방부에는, 바리캉 형상의 예취날 (15) 이 배치되어 있다. 곡물 헤더 (12) 전방부의 좌우 양측에는, 분초체 (16) 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 (3) 는, 기체 횡폭 방향으로 예취폭을 갖는다. 분초체 (16) 는, 예취폭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작물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한다. 즉, 좌측의 분초체 (16) 에서 우측의 분초체 (16) 까지의 사이의 미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이, 레이크 릴 (14) 에 의해 긁어 모아지고, 미예취 곡간의 밑동측이, 예취날 (15) 에 의해 예취된다. 예취날 (15) 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은, 레이크 오거 (13) 의 회전 구동에 의해 모아져 탈곡부 (9) 에 투입된다.
주행 기체 (1a) 의 전방부 우측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 조작부 (5) 가 탑재되어 있다. 주행 기체 (1a) 의 우측이면서 또한 운전 조작부 (5) 의 후방에는, 탈곡부 (9) 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 (6) 가 탑재되어 있다.
곡립 탱크 (6) 의 후방에서는, 곡립 탱크 (6) 의 저부에 세로 이송 오거 (62) 가 연결되어 있다. 세로 이송 오거 (62) 는 Z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곡립 탱크 (6) 및 탈곡부 (9) 의 상측에는, 세로 이송 오거 (62) 에 의해 송급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1 ∼ 도 5 를 참조하여, 분초체 (16) 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는 커버체 (20) 를 갖는다. 도 4 및 도 5 는, 커버체 (20) 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는, 본체부 (30) 와, 하측 분초체 (40) 를 갖는다. 하측 분초체 (40) 는, 본체부 (30) 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하다.
본체부 (30) 는, 판재의 절곡부 (31) 를 갖는다. 절곡부 (31) 는, 상측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하측 분초체 (40) 는, 슬라이드식의 출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측 분초체 (40) 는, 판상부 (41) 와, 플랜지부 (42) 와, 안내부 (43) 와, 로크 핀 (44) 을 갖는다.
판상부 (41) 는, 대략 평행사변형의 외형을 갖는 판재이다. 플랜지부 (42) 는, 판상부 (41) 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두꺼운 부분이다. 판상부 (41) 는, 제 1 구멍 (41a) 과, 제 2 구멍 (41b) 을 갖는다. 제 1 구멍 (41a) 은, 제 2 구멍 (41b)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 1 구멍 (41a) 과 제 2 구멍 (41b) 의 사이에 제 3 구멍이 추가로 형성되어도 된다.
안내부 (43) 는, 본체부 (30) 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본체부 (30) 에 장착되어, 판상부 (41) 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플랜지부 (42) 는, 판상부 (41) 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안내부 (43) 로부터의 판상부 (41) 의 탈락을 규제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로부터 돌출된다. 로크 핀 (44) 은, 안내부 (43) 에 형성된 구멍과, 판상부 (41) 의 제 2 구멍 (41b) 을 관통한다. 이것에 의해,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가 고정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의 안으로 퇴피된다. 로크 핀 (44) 은, 안내부 (43) 에 형성된 구멍과, 판상부 (41) 의 제 1 구멍 (41a) 을 관통한다. 이것에 의해,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가 고정된다. 판상부 (41) 의 상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본체부 (30) 의 절곡부 (31) 는 판상부 (41) 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안내부 (43) 로부터의 판상부 (41) 의 상측으로의 탈락을 규제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판상부 (41) 가 제 1 슬라이드 방향 (A1) 으로 이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 (도 5) 로 변화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판상부 (41) 가 제 2 슬라이드 방향 (A2) 으로 이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 (도 4) 로 변화한다. 제 2 슬라이드 방향 (A2) 은, 제 1 슬라이드 방향 (A1) 의 역방향이다.
이어서, 도 1 ∼ 도 3,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분초체 (16) 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는, 본체부 (30) 와, 하측 분초체 (40) 를 갖는다. 하측 분초체 (40) 는, 본체부 (30) 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하다.
하측 분초체 (40) 는, 회동식 (回動式) 의 출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측 분초체 (40) 는, 판상부 (41) 와 지지부 (45) 를 갖는다.
판상부 (41) 는, 대략 평행사변형의 외형을 갖는 판재이다. 지지부 (45) 는, 본체부 (30) 에 대하여 판상부 (41)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판상부 (41) 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 (45) 는, 판상부 (41) 를 본체부 (30) 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없도록 조립되는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판상부 (41) 를 본체부 (30) 에 대하여 회동시켜 판상부 (41) 의 자세를 전환 가능하면서, 본체부 (30) 로부터 판상부 (41) 의 탈락을 규제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로부터 돌출된다. 지지부 (45) 는,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를 고정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의 안으로 퇴피된다. 지지부 (45) 는,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판상부 (41) 가 제 1 회동 방향 (B1) 으로 회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 (도 7) 로 변화한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제 2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판상부 (41) 가 제 2 회동 방향 (B2) 으로 회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 (도 6) 로 변화한다. 제 2 회동 방향 (B2) 은, 제 1 회동 방향 (B1) 의 역방향이다.
이어서, 도 1 ∼ 도 3,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분초체 (16) 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는,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8(b) 는,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이면도이다. 즉, 도 8(b) 는, 도 8(a) 의 분초체 (16) 의 반대측의 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9(a) 는,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9(b) 는,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이면도이다. 즉, 도 9(b) 는, 도 9(a) 의 분초체 (16) 의 반대측의 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 및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는, 본체부 (30) 와, 하측 분초체 (40) 를 갖는다. 하측 분초체 (40) 는, 본체부 (30) 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하다.
하측 분초체 (40) 는,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 슬라이드식의 출퇴 구조와 상이한 슬라이드식의 출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 b) 및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분초체 (40) 는, 판상부 (41) 와, 돌기부 (41c) 와, 고정부 (46) 를 갖는다. 또한, 본체부 (30) 는, 긴 구멍 (30a) 을 갖는다.
판상부 (41) 는, 대략 평행사변형의 외형을 갖는 판재이다. 돌기부 (41c) 는, 판상부 (41) 로부터, 예를 들어 수직으로 돌기되어 있다. 도 8(b) 및 도 9(b) 의 예에서는, 돌기부 (41c) 는, Y 축의 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부 (41c) 는, 예를 들어 대략 원기둥상의 핀이고, 나사부 (수나사) 를 갖는다. 돌기부 (41c) 는, 긴 구멍 (30a) 을 관통한다. 긴 구멍 (30a) 은, 제 1 슬라이드 방향 (A1) 및 제 2 슬라이드 방향 (A2) 을 따라 연장된다.
도 8(a) 및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고정부 (46) 는, 예를 들면 긴 구멍 (30a) 의 하단에 있어서, 긴 구멍 (30a) 을 관통한 돌기부 (41c) 에 결합함으로써, 판상부 (41) 를 본체부 (30) 에 고정시킨다. 고정부 (46) 는, 예를 들어 나사부 (암나사) 를 갖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 (46) 는, 돌기부 (41c)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판상부 (41) 를 본체부 (30) 에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분초체 (16) 의 제 1 상태가 고정된다.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에서는, 판상부 (41) 가 본체부 (30) 의 안으로 퇴피된다. 그리고, 고정부 (46) 는, 예를 들면 긴 구멍 (30a) 의 상단에 있어서, 긴 구멍 (30a) 을 관통한 돌기부 (41c) 에 결합함으로써, 판상부 (41) 를 본체부 (30) 에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분초체 (16) 의 제 2 상태가 고정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제 1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돌기부 (41c) 가 긴 구멍 (30a) 에 삽입된 상태에서 판상부 (41) 가 제 1 슬라이드 방향 (A1) 으로 이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 (도 9) 로 변화한다. 이 경우, 돌기부 (41c) 는, 긴 구멍 (30a) 안을, 긴 구멍 (30a) 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이동한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제 2 상태의 분초체 (16) 에 있어서, 돌기부 (41c) 가 긴 구멍 (30a) 에 삽입된 상태에서 판상부 (41) 가 제 2 슬라이드 방향 (A2) 으로 이동함으로써, 분초체 (16) 의 상태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 (도 8) 로 변화한다. 이 경우, 돌기부 (41c) 는, 긴 구멍 (30a) 안을, 긴 구멍 (30a) 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이동한다.
이상, 도 1 ∼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초체 (16) 에 관한 작업성이 개선된 수확기 (1) 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1 ∼ 도 3,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예취부 (3) 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0 은, 예취부 (3) 의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 은, 예취부 (3) 의 평면도이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기 (1) 는, 자주 (自走) 가능한 주행 기체 (1a) 의 전단부에, 예취부 (3) 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있다.
주행 기체 (1a) 는, 좌우 한 쌍의 주행부 (10, 10) 사이에 기체 프레임 (11) 이 가설 (架設) 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 (11) 상의 좌측부에는, 예취된 곡간의 이삭 끝측부를 탈곡하는 탈곡부 (9) 와, 탈곡된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부 (17) 를 상하단에 배치 형성하고, 이들의 후방에 짚 부스러기 등을 기체 밖인 포장으로 배출하는 배진구부 (18) 를 후방을 향해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 (11) 상의 우측부에는, 전방부에 운전 조작을 실시하는 운전 조작부 (5) 를 배치 형성하고, 그 후방에 선별부 (17) 에서 선별된 곡립 (청립) 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 (6) 를 배치 형성하고 있다. 운전 조작부 (5) 의 후방부의 하방에는, 동력원이 되는 원동기부로서의 엔진 (22) 등을 배치 형성하고 있다.
도 1 ∼ 도 3,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부 (3) 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사각형 통상의 피더 하우스 (19) 와, 피더 하우스 (19) 의 전단 개구부 (50) 에 연통 연설된 가로로 긴 버킷상의 곡립 헤더 (12) 와, 곡립 헤더 (12) 의 전하단 가장자리부에 배치 형성한 바리캉 형상의 예취날 (15) 과, 곡립 헤더 (12) 의 전(前)좌우측부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켜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분초체 (16, 16) 와, 곡립 헤더 (12) 의 전상방에 배치 형성한 레이크 릴 (14) 을 구비하고 있다.
피더 하우스 (19) 의 후단부는, 탈곡부 (9) 의 전방부에 좌우 방향의 축선을 향한 예취 입력축 (65) 을 피봇 지지하고, 피더 하우스 (19) 의 하면부와 기체 프레임 (11) 의 전단부 사이에 승강용 실린더 (24) 를 형성하여, 승강용 실린더 (24) 를 신축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입력축 (65) 을 승강 지점으로 하여, 예취부 (3) 를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피더 하우스 (19) 내에는 공급 컨베이어 (23) 를 배치 형성하고, 곡립 헤더 (12) 내에는 레이크 오거 (13) 를 좌우 방향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 가설하고 있다. 레이크 릴 (14) 은, 곡립 헤더 (12) 에 기단부가 피봇 지지된 좌우 한 쌍의 릴 지지 암 (24a, 24a) 의 선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 가설되어, 입모의 곡간의 이삭 끝부에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레이크 오거 (13) 측으로 긁어 넣기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각 부의 작동부는, 각 연동 기구를 통해서 엔진 (22) 에 연동 연결되어, 적절히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수확기 (1) 에서는, 포장에 있어서, 예취부 (3) 를 원하는 지상 높이 (입모의 곡간의 예취 위치) 가 될 때까지 상승시키고, 그 상태에서 주행 기체 (1a) 를 주행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입모의 곡간을 분초체 (16, 16) 에 의해 분초하고, 분초한 곡간의 이삭 끝부를 레이크 릴 (14) 에 의해 긁어 넣으면서 예취날 (15) 에 의해 곡간의 중도부로부터 이삭 끝측부를 예취한다. 원하는 예취 위치에서 예취된 곡간의 이삭 끝측부는, 레이크 오거 (13) 에 의해 곡립 헤더 (12) 안으로 긁어 넣어짐과 함께, 공급 컨베이어 (25) 에 의해 피더 하우스 (19) 안을 통해서 탈곡부 (9) 에 공급된다. 탈곡부 (9) 에 공급된 곡간의 이삭 끝측부는 탈곡부 (9) 에 의해 탈곡 처리됨과 함께, 탈곡부 (9) 에서 탈곡 처리된 곡립은 선별부 (17) 에 의해 선별 처리된다. 선별부 (17) 에서 선별 처리된 곡립 (청립) 은 곡립 탱크 (6) 에 저장류된다. 곡립 탱크 (6) 에 저장되어 있는 곡립은, 적절히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에 의해 기 밖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탈곡부 (9) 에서 곡립과 분리 처리된 짚 부스러기 등은, 배진구부 (18) 로부터 기체 밖인 포장으로 배출된다.
예취부 (3) 에 있어서, 레이크 오거 (13) 는, 도 1,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헤더 (12) 의 좌우 측벽 (21b, 21a) 사이에, 베어링 등의 축받이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회전 지축 (27) 을 그 축선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로로 걸치고, 회전 지축 (27) 의 외주에 통 형상의 오거 본체 (28) 를 동심원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오거 본체 (28) 의 외주면의 좌측부에는, 예취한 곡간을 우측방으로 반송하는 나선 날개 형상의 좌측 나선 반송편 (53) 을 돌출 형성하는 한편, 오거 본체 (28) 의 외주면의 우측부에는 예취한 곡간을 좌측방으로 반송하는 나선 날개 형상의 우측 나선 반송편 (54) 을 돌출 형성하고, 좌측 나선 반송편 (53) 의 반송 종단부와 우측 나선 반송편 (54) 의 반송 종단부의 사이에, 예취 곡간 집결 공간 (51) 을 피더 하우스 (19) 의 전단 개구부 (50) 의 직전방에 위치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예취 곡간 집결 공간 (51) 에는, 좌우 한 쌍의 직선 막대상의 레이크 돌편인 핑거 (33) 를, 오거 본체 (28) 의 둘레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배치 형성하고 있다. 오거 본체 (28) 내에는 출몰 기구 (32) 를 배치 형성하고, 출몰 기구 (32) 에 핑거 (33) 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여, 핑거 (33) 가 오거 본체 (28) 로부터 간헐적으로 방사 방향 (오거 본체 (28) 의 반경 방향) 을 향해 출몰하도록 하고 있다.
출몰 기구 (32) 는, 오거 본체 (28) 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오거 본체 (28) 의 둘레면 상부와 둘레면 전방부에 있어서, 오거 본체 (28) 로부터 핑거 (33) 를 돌출 작동시킴과 함께, 오거 본체 (28) 의 둘레면 하부와 둘레면 후부에 있어서, 오거 본체 (28) 내에 핑거 (33) 를 몰입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동 작동하는 오거 본체 (28) 로부터 돌출 작동한 각 핑거 (33) 는, 예취 곡간 집결 공간 (51) 내에 집결되는 예취 곡간에 교차상으로 긁어 넣기 작용함과 함께,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회동 이송하여, 전단 개구부 (50) 로부터 피더 하우스 (19) 내에 예취 곡간을 긁어 넣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레이크 오거 (13) 는, 우측면도인 도 10 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핑거 (33) 가 오거 본체 (28) 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폭은, 좌·우측 나선 반송편 (53, 54) 이 오거 본체 (28) 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폭과 대략 동일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발명의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도면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에서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는 일례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확기의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 수확기
3 : 예취부
16 : 분초체
30 : 본체부
40 : 하측 분초체
41 : 판상부
42 : 플랜지부
43 : 안내부
45 : 지지부

Claims (7)

  1. 기체 횡폭 방향으로 예취폭을 갖는 예취부와,
    상기 예취폭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작물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하는 분초체를 구비하고,
    상기 분초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대하여 출퇴 가능한 하측 분초체를 갖는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초체는 슬라이드식의 출퇴 구조를 갖는, 수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초체는,
    판상부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판상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초체는, 상기 안내부로부터의 상기 판상부의 탈락을 규제하도록 상기 판상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추가로 갖는, 수확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판상부의 상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는, 수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초체는 회동식의 출퇴 구조를 갖는, 수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초체는,
    판상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판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수확기.
KR1020230056920A 2022-06-13 2023-05-02 수확기 KR20230171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94793A JP2023181583A (ja) 2022-06-13 2022-06-13 収穫機
JPJP-P-2022-094793 2022-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372A true KR20230171372A (ko) 2023-12-20

Family

ID=8909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920A KR20230171372A (ko) 2022-06-13 2023-05-02 수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81583A (ko)
KR (1) KR20230171372A (ko)
CN (1) CN1172234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164A (ja) 2015-09-11 2017-03-1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164A (ja) 2015-09-11 2017-03-1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23477A (zh) 2023-12-15
JP2023181583A (ja) 202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4237B2 (en) Threshing corn header with screw crop conveyors
US3508387A (en) Harvesting attachment for combine
US3399517A (en) Harvester header
JP6437361B2 (ja) コンバイン
US11272665B2 (en) Tined-tube auger
JP2006000085A (ja) 収穫機
EP2769612A1 (en) Frusto-conical conveyor with retracting fingers
JP2016185108A (ja) コンバイン
EP3087821B1 (en) Agricultural header with multiple finger infeed assembly
RU2709763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вращающимся элеватором
JP6436884B2 (ja) 収穫機
EP3516945B1 (en) Down crop attachment for a header
KR20230171372A (ko) 수확기
JP2006304652A (ja) コンバイン
JP6283582B2 (ja) コンバイン
JP2010263852A (ja) コンバイン
JP2008136374A (ja) 収穫機
JP4968377B2 (ja) コンバイン
JP6265880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376380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構造
KR102018574B1 (ko)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JP4820080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5021388B2 (ja) コンバインの分草デバイダ構造
JP3227147U (ja) 倒伏農作穀物起立ユニット
JP6711851B2 (ja) コンバインの穀稈刈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