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128B1 - 콤바인용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128B1
KR101712128B1 KR1020140174262A KR20140174262A KR101712128B1 KR 101712128 B1 KR101712128 B1 KR 101712128B1 KR 1020140174262 A KR1020140174262 A KR 1020140174262A KR 20140174262 A KR20140174262 A KR 20140174262A KR 101712128 B1 KR101712128 B1 KR 10171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rain
combine
distan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072A (ko
Inventor
한병희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오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1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6Devices for coupling mowing tables to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5Condition responsive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용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곡물의 줄기를 모으면서 일으켜 세워주는 가이드수단(10)과, 곡물의 줄기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수단(20)과, 절단된 곡물의 줄기를 탈곡선별부로 강제 투입하는 반송부까지 강제 이송하는 인입수단(30)과, 상기 절단수단(20)과 인입수단(30)에 공급하는 구동수단(40)을 예취프레임(50)에 함께 구성하는 예취부(A)와;
상기 예취부(A) 한 쌍을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각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관(501)이 각각 끼워지는 안내봉(601)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 센터프레임(60)과, 상기 한 쌍의 예취프레임(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70)을 구비하는 거리조절부(B)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곡물을 세운 후 베기 위하여 한 조로 구성되는 예취부(A)의 조간거리(d)를 곡물이 파종된 조간거리에 맞게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취작업과 그에 따른 원활한 곡물 수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용 예취장치{Cutting device for combines}
본 발명은 콤바인용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세운 후 베기 위하여 콤바인의 전방에 한 조로 배치되는 예취부의 조간거리를 곡물이 파종된 조간거리에 맞게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콤바인용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농토 위를 주행하면서 벼·보리·밀·콩·목초종자(牧草種子) 등의 곡식을 수확과 동시에 탈곡, 선별한 후 선별된 곡물을 그대로 탱크에 저장하거나, 수확과 동시에 부대에 넣어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의 편의성까지 갖춘 곡물 수확 기계이다.
콤바인은 다양한 곡물의 수확에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자탈형(自脫型)과 보통형으로 크게 나뉜다.
자탈형 콤바인은 곡물의 밑동까지 베지만 이삭만을 탈곡기에 공급하는 콤바인이다. 그 구조는 쓰러진 곡물을 일으켜 세워서 절단날로 베는 예취부(刈取部), 곡류를 벨트나 체인에 의해서 탈곡선별부로 운반하는 수송장치, 자동탈곡기의 구실을 하는 탈곡선별부, 탈곡 선별된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콤바인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보통 무한궤도가 사용된다)로 이루어져 있다.
베는 폭은 60∼120cm이고, 2조용(베는 폭 60cm)은 15PS 내외의 내연기관을 장비하고 있으며, 1∼2명이 작업한다. 길이는 2∼2.5m, 무게는 500∼800kg이고, 주행속도는 1∼2km/h이다. 작업능률은 콤바인의 진입로, 선회부분 등 낫으로 베어야 하는 면적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10a 정도로 구획된 농장에서는 약 6%의 면적을 낫으로 베어야 하며, 이 경우 베는 폭 60cm 정도의 콤바인으로 6a/h, 120cm의 것은 12a/h의 능률로 작업할 수 있다. 그러나 곡물이 30° 이상 넘어져 있으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곡물의 손실과 손상이 증가한다.
보통형 콤바인은 서양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형콤바인이다. 줄기와 이삭을 동시에 탈곡기에 넣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구조는 자탈형과 비슷하며, 베는 폭은 2∼4m이고, 트랙터로 견인되거나 30∼90PS의 내연기관에 의해서 작동된다. 길이 7∼10m, 무게 3∼6t이고, 1∼2명이 조작한다.
주행속도는 벼를 수확할 때는 1∼2km/h, 맥류를 수확할 때는 3∼4km/h이다. 작업능률은 농장·재배조건·곡물의 수분, 탈립성(脫粒性), 기계의 조정, 운전기술 등에 따라 달라지나, 보통 베는 폭 2.5m인 콤바인의 작업능률은 15±5a/h이고, 곡물 손실은 6±2%, 곡물 손상은 4±2% 정도이다.
한편, 종래의 콤바인은 주로 수확 후 탈곡 선별한 곡물을 부대에 바로 넣어서 즉시 포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곡물을 부대에 바로 넣어 포장하기 위해서는 콤바인을 주행하는 운전자 외에, 곡물을 부대에 넣어서 포장하는 또 다른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2명이 동시에 곡물 수확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농업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자동화된 기계를 이용한 각종 작업에는 최소의 작업 인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며, 종래와 같이 콤바인을 이용해 곡물을 수확, 탈곡, 선별한 후, 곡물을 즉시 부대에 옮겨 담는 경우에는 곡물이 담긴 부대를 콤바인에 계속 싣고 다닐 수 없기 때문에 곡물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담겨 포장된 부대는 농토 여기저기에 내려놓은 후, 곡물 수확 작업이 완료된 후에 별도로 부대를 수집하여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콤바인에는 수확, 탈곡, 선별한 후, 곡물을 콤바인에 구비된 곡물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곡물저장탱크가 다 채워지면, 콤바인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한 후, 곡물저장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여 부대에 옮겨 담거나, 별도의 저장시설에 옮겨 저장함으로써 최소의 인원으로 곡식 수확 작업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수확된 곡물의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53923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6482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71363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11583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콤바인을 이용하여 농지에서 곡물을 수확할 때는 주행부를 이용해 수확할 곡물이 있는 농지의 일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곡물을 예취부로 유도하면, 예취부의 회전하는 인입벨트가 곡물을 세우면서 강제 인입한다. 이때, 인입벨트 하부에서 설치되어 회전하는 절단칼에 의해 곡물의 줄기 부분이 베어진 후, 절단된 곡물은 인입벨트에 의해 예취부 상부와 이어지는 수송장치로 이송된 후, 수송장치에 의해 탈곡선별부로 이송되어 탈곡, 선별이 이루어진 후 곡물저장탱크에는 낟알만 저장되고, 낟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탈곡선별부에서 콤바인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예취부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농지에 파종된 곡물의 줄기를 갈라주는 분초판을 설치하여 곡물이 예취부에 용이하게 인입되게 한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예취부는 2개 이상으로 구성하되, 농지의 파종된 곡물의 조간거리에 따라서 예취부의 조간거리를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예취부의 조간거리는 통상 수확할 곡물의 종류에 맞게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벼를 수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조간거리와, 콩을 수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조간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콤바인은 예취부의 조간거리가 고정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곡물의 조간거리와 콤바인의 예취부 조간거리가 불일치하여 수확을 위한 곡물의 예취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서, 통상 콩을 파종할 때에는 재배하기 용이한 조간거리를 유지하면서 파종하기 때문에, 콤바인 제조사에서 콩 수확용 콤바인을 제조할 때에는 콤바인의 예취부 조간거리를 설정하여 일반적인 콩의 조간거리에 맞게 설정하여 제작하고 있으나, 최근 품종의 다양화, 농업 기술의 선진화에 따라서 단일 곡물의 콩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면서 각 품종별 특징에 맞게 파종시 조간거리가 달라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콩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해마다 생산성, 생육성, 경제성 등이 좀 더 우수한 품종의 콩을 선정하여 재배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로 인해 해마다 다른 조간거리로 콩을 파종하는 경우가 많은데, 콩을 수확하기 위해서 농가에서 구입한 콤바인은 예취부의 조간거리가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콤바인을 이용해 콩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농지에 파종된 콩의 조간거리와 콤바인 예취부의 조간거리가 심하게 불일치 하는 경우에는 곡물이 예취부로 원활하게 인입되지 못하게 되어, 예취부 인입 과정에서의 저항 증가에 의해 줄기에 붙은 콩깍지가 떨어지면서 콤바인에 의한 곡물 수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콤바인의 전진에 따라서 곡물의 줄기를 모으면서 일으켜 세워주는 가이드수단(10)과, 절단날(201)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수단(10)에 의해 일으켜진 곡물의 줄기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수단(20)과,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되는 곡물의 줄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절단된 곡물의 줄기를 탈곡선별부로 강제 투입하는 반송부까지 강제 이송하는 인입수단(30)과, 상기 콤바인에서 인가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수단(20)과 인입수단(30)에 공급하는 구동수단(40)을 예취프레임(50)에 함께 구성하는 예취부(A)와;
상기 예취부(A) 한 쌍을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각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관(501)이 각각 끼워지는 안내봉(601)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 센터프레임(60)과,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예취프레임(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70)을 구비하는 거리조절부(B)를 포함하여 콤바인용 예취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거리조절수단(70)은,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701)와; 상기 유압실린더(701)의 실린더보디(701a)와 피스톤로드(701b)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면에 형성된 장공(603)을 따라서 이동 가능케 설치한 연결수단(702)과; 상기 연결수단(702)과 상기 예취프레임(50) 간을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링크수단(703)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취작업과 그에 따른 원활한 곡물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는 복수로 구성되는 예취부의 조간거리를 곡물이 파종된 조간거리에 맞게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 줄기 부분의 굵기에 따라서 인입벨트의 간격 조절을 통해 곡물 수확을 위한 예취 과정에서 곡물이 예취부로 원활하게 인입되어 예취되기 때문에 예취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되고, 그에 따라 콤바인을 이용한 곡물 수확 과정에서의 손실량을 최소화하여 수확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리조절부의 작동 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가 장착된 콤바인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는 곡물의 줄기를 일으켜 세워 절단한 후, 이송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 예취부(A)와, 상기 예취부(A)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B)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A)는 콤바인의 전진에 따라서 곡물의 줄기를 모으면서 일으켜 세워주는 가이드수단(10)과, 절단날(201)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수단(10)에 의해 일으켜진 곡물의 줄기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수단(20)과,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되는 곡물의 줄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절단된 곡물의 줄기를 탈곡선별부로 강제 투입하는 반송부까지 강제 이송하는 인입수단(30)과, 상기 콤바인에서 인가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수단(20)과 인입수단(30)에 공급하는 구동수단(40)을 예취프레임(50)에 함께 구성한다.
상기 예취부(A)의 가이드수단(10)은 예취부(A)의 전방에 위치하며, 예취프레임(50) 전방에 내측 단부를 회전 가능케 설치한 한 쌍의 지지대(101)와, 상기 각 지지대(101)의 전방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쇄기 형태의 분초구(102)와, 상기 각 분초구(102)에 선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후방으로 가면서 부챗살처럼 간격이 벌어지는 다수의 가이드(103)와, 상기 각 지지대(101)의 중간 지점과 상기 예취프레임(50) 일측 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설치한 연결봉(10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수단(10)의 가이드(103)는 부챗살 형태로 형성하되, 분초구(102)에서부터 전저후고(前低後高)의 경사상으로 세워서 형성하여, 각 분초구(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103) 간의 간격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전광후협(前廣後狹) 형태로 배치한다.
상기 예취부(A)의 절단수단(20)은 상기 가이드수단(10)으로 인입되면서 일으켜지는 곡물의 줄기 밑동을 절단하는 디스크 형상의 절단날(201)과, 상기 절단날(201)을 구동하는 동력수단(202)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날(201)은 상기 인입수단(30)의 입구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동력수단(202)은 상기 절단날(20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콤바인의 기체에서 인가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40)과 연동하여 작동하게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예취부(A)의 인입수단(30)은 상기 예취부(A)의 구동수단(40)에 의해 구동하도록 상기 예취프레임(50)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50a)의 일측 단부에 설치하는 구동풀리(301)와, 상기 서브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설치하는 피동풀리(302)와, 상기 구동풀리(301)와 피동풀리(302) 간을 연결하는 인입벨트(30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성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서브프레임(50a, 50b) 일측에는 상기 구동풀리(301)와 피동풀리(302) 간에 설치된 인입벨트(303)의 장력 조절을 위한 텐션롤러(304)를 구비하되, 상기 텐션롤러(304)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인입벨트(303)의 하단부(입구) 쪽에 설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인입벨트(303)의 입구 쪽 간격을 넓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예취프레임(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서브프레임(50a, 50b) 간에는 간격조절볼트(502)를 설치하여 간격조절볼트(502)를 풀고 조임에 따라서 서브프레임(50a, 50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인입수단(30)의 구동풀리(301)와 피동풀리(302) 간을 연결하는 인입벨트(303)의 외주면에는 절단된 곡물줄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이송하기 위해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타인(303a)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예취부(A)의 구동수단(40)은 콤바인에서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401)과; 상기 구동축(40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각각의 서브프레임(50a, 50b) 저면에 설치한 기어박스(402)를 포함한다.
상기 콤바인의 기체에서 인가되는 동력은 체인에 의해 구동축(401)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축(401)은 콤바인 기체의 전방 양단부에 설치된 축잡이부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의 기어박스(402)는 각각의 서브프레임(50a, 50b) 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401)의 구동력을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장치(403)를 서브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으로 전달하고, 상기 체인스프로킷의 구동력을 체인을 이용해 구동풀리(301)로 전달하여 인입벨트(303)의 구동이 가능케 한다. 이때, 서로 대향하는 인입벨트(303)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 기어박스(402)의 기어장치를 인입벨트(303)의 회전 방향에 맞게 배치한다.
한편, 상기 거리조절부(B)는 상기 예취부(A) 한 쌍을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각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관(501)이 각각 끼워지는 안내봉(601)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 센터프레임(60)과,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예취프레임(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거리조절부(B)의 센터프레임(60)은 상기 한 쌍의 예취부(A) 사이에 위치하도록 콤바인 기체의 전면부 중앙에 배치하여, 전방 단부에는 센터프레임(60)을 지지하는 바퀴(602)를 설치한다. 또한, 양 측면에는 안내봉(601)을 돌출 형성하여 센터프레임(60) 양측에 위치하는 예취프레임(5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관(501)에 각각 끼워지게 하되, 상기 안내봉(601)과 결합관(501)은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된 단면 형상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조절부(B)의 거리조절수단(70)은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701)와; 상기 유압실린더(701)의 실린더보디(701a)와 피스톤로드(701b)에 각각 연결수단(702)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수단(702)과 상기 예취프레임(50) 간을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링크수단(703)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701)는 센터프레임(60) 상부에 별도로 고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실린더보디(701a)와 피스톤로드(701b)에 각각 연결된 연결수단(702)의 저면에 결합돌부(702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702a)가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면에 형성된 장공(603) 내부에 투입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장공(603)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센터프레임(60) 내부에 투입된 결합돌부(702a)의 하단부에 스냅링 등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701)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701)는 전동모터나 유압모터 등으로 대체 가능함으로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콤바인용 예취장치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콤바인을 이용해 곡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하여 곡물이 다자란 농지에서 곡물이 심어진 방향을 따라서 콤바인을 진행시킨다. 이때, 콤바인의 전면에 배치되는 예취부(A)의 가이드수단(10)은 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곡물이 가이드수단(10) 사이로 투입되도록 콤바인을 진행시킨다.
예취부(A)의 각 장치가 동작하면서 콤바인이 진행하면, 곡물의 줄기 부분은 가이드수단(10)의 분초구(102) 사이로 투입된 후 분초구(102) 후방으로 가면서 부챗살처럼 간격이 벌어지는 다수의 가이드(103)에 의해 곡물의 줄기 부분이 가이드수단(10)의 가운데로 모이면서 일으켜져 다발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절단수단(20)의 절단날(201)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수단(10)에 의해 일으켜서 다발이 된 곡물 줄기의 밑동이 한꺼번에 절단되기 때문에 곡물 줄기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줄기의 밑동이 절단된 곡물의 줄기는 절단과 동시에 인입수단(30)의 인입벨트(303) 사이로 투입되어 인입벨트(303)에 의해 절단된 곡물의 줄기를 탈곡선별부로 강제 투입하는 반송부까지 강제 이송된다. 이때 인입벨트(303)의 외주면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타인(303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벨트(303)가 가지는 탄력에 의하여,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된 곡물 줄기 다발을 안정적으로 압송함으로써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에 의한 곡물의 일련의 예취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예취 작업이 완료되어 반송부까지 압송이 이루어진 곡물 줄기는 반송부에 의해 탈속선별부로 강제 이송된 후, 탈곡선별부에서 탈곡되어 곡물은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송 후 저장되고, 곡물을 제외한 줄기, 잎, 깍지 등 이물질은 콤바인 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콤바인을 이용한 곡물의 수확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는 콤바인의 전방에 한 쌍의 예취부(A)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함으로써 한꺼번에 두 개의 두둑에 심어진 곡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콤바인을 이용하여 콩밭에 심어진 콩을 수확하고자 할 때 콤바인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예취부(A)를 나란히 형성된 밭 두둑으로 맞추어 콤바인을 진행하면 두 줄의 두둑에 심어진 콩을 한꺼번에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줄의 두둑 간의 거리와 콤바인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예취부(A) 간의 거리가 서로 일치해야 콤바인을 이용한 곡물의 수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콤바인을 진행하기에 앞서, 콤바인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예취부(A) 간의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예취부(A) 간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기 한 쌍의 예취부(A) 사이에 설치된 거리조절부(B)의 거리조절수단(70)은 유압실린더(701)의 압력을 제어한다.
즉, 유압실린더(701)의 피스톤로드(701b)가 실린더보디(701a)에서 배출되면, 유압실린더(701)의 실린더보디(701a)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수단(702)과, 피스톤로드(701b)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수단(702)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연결수단(702)과 상기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간을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링크수단(703)이 직선에 가깝게 펴지면서 예취프레임(50)이 거리조절부(B)의 센터프레임(60) 쪽으로 당겨진다.
이때, 상기 양측의 예취프레임(50) 내측에 형성된 결합관(501)에는 상기 센터프레임(6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된 안내봉(601)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센터프레임(60)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예취프레임(50)은 안내봉(601)을 따라서 센터프레임(60) 쪽으로 이동하여 두 예취프레임(5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유압실린더(701)의 피스톤로드(701b)가 실린더보디(701a) 내부로 투입되면 유압실린더(701)의 실린더보디(701a)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수단(702)과, 피스톤로드(701b)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수단(70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수단(702)과 상기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간을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링크수단(703)이 접히면서 예취프레임(50)이 거리조절부(B)의 센터프레임(60)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두 예취프레임(5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701)의 제어를 통해서 한 쌍의 예취프레임(50) 간의 거리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곡물이 심어진 조간거리(d)에 맞도록 예취부(A)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예취 과정에서 이삭이 달린 곡물의 줄기가 예취부(A)로 원활하게 인입되어 예취되게 함으로써 원활한 예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예취장치는 상기 예취프레임(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서브프레임(50a, 50b) 간에는 간격조절볼트(502)를 설치하여 간격조절볼트(502)를 풀고 조임에 따라서 서브프레임(50a, 50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예취하고자 곡물 줄기의 굵기에 따라서 서브프레임(50a, 50b)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서브프레임(50a, 50b)에 설치된 인입벨트(303)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인입벨트(303)에 의한 곡물 줄기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취 과정에서 곡물의 낟알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줄기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예취 과정에서의 낟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예취부 B: 거리조절부
10: 가이드수단 101: 지지대
102: 분초구 103: 가이드
104: 연결봉 20: 절단수단
201: 절단날 30: 인입수단
301: 구동풀리 302: 피동풀리
303: 인입벨트 303a: 타인
304: 텐션롤러 40: 구동수단
401: 구동축 402: 기어박스
50: 예취프레임 501: 결합관
60: 센터프레임 601: 안내봉
70: 거리조절수단 701: 유압실린더
701a: 실린더보디 701b: 피스톤로드
702: 연결수단 703: 링크수단

Claims (5)

  1. 콤바인의 전진에 따라서 곡물의 줄기를 모으면서 일으켜 세워주는 가이드수단(10)과, 절단날(201)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수단(10)에 의해 일으켜진 곡물의 줄기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수단(20)과,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되는 곡물의 줄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절단된 곡물의 줄기를 탈곡선별부로 강제 투입하는 반송부까지 강제 이송하는 인입수단(30)과, 상기 콤바인에서 인가되는 동력을 상기 절단수단(20)과 인입수단(30)에 공급하는 구동수단(40)을 예취프레임(50)에 함께 구성하는 예취부(A)와;
    상기 예취부(A) 한 쌍을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각 예취부(A)의 예취프레임(5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관(501)이 각각 끼워지는 안내봉(601)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 센터프레임(60)과,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예취프레임(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70)을 구비하는 거리조절부(B)를 포함하여 콤바인용 예취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거리조절수단(70)은,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701)와; 상기 유압실린더(701)의 실린더보디(701a)와 피스톤로드(701b)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센터프레임(60) 상면에 형성된 장공(603)을 따라서 이동 가능케 설치한 연결수단(702)과; 상기 연결수단(702)과 상기 예취프레임(50) 간을 회전 가능케 연결하는 링크수단(7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수단(30)은 상기 예취부(A)의 구동수단(40)에 의해 구동하도록 상기 예취프레임(50)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설치하는 구동풀리(301)와, 상기 서브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설치하는 피동풀리(302)와, 상기 구동풀리(301)와 피동풀리(302) 간을 연결하는 인입벨트(30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성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콤바인에서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401)과; 상기 구동축(40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서브프레임 저면에 설치한 기어박스(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프레임(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서브프레임(50a, 50b) 간에는 상기 서브프레임(50a, 50b)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50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예취장치.
  5. 삭제
KR1020140174262A 2014-12-05 2014-12-05 콤바인용 예취장치 KR10171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62A KR101712128B1 (ko) 2014-12-05 2014-12-05 콤바인용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62A KR101712128B1 (ko) 2014-12-05 2014-12-05 콤바인용 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72A KR20160069072A (ko) 2016-06-16
KR101712128B1 true KR101712128B1 (ko) 2017-03-06

Family

ID=5635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62A KR101712128B1 (ko) 2014-12-05 2014-12-05 콤바인용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052B1 (ko) * 2021-10-25 2022-06-14 오페주식회사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74B1 (ko) * 2017-11-20 2019-09-09 함영철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KR102377253B1 (ko) * 2019-12-19 2022-03-21 강명수 밭 작물 수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706A (ja) * 2005-03-15 2006-09-2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6033795B2 (ja) * 2012-01-30 2016-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および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95Y2 (ja) * 1988-11-09 1994-09-07 三菱農機株式会社 スライド式走行体を有するコンバインのフレーム構造
KR100453923B1 (ko) 1997-06-27 2005-04-06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KR20010064822A (ko) 1999-12-20 2001-07-11 모영환 콤바인의 예취장치
KR100571363B1 (ko) 2004-12-01 2006-04-24 엄성만 콤바인용 예취날 구조
KR100711583B1 (ko) 2005-10-19 2007-04-27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날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706A (ja) * 2005-03-15 2006-09-2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6033795B2 (ja) * 2012-01-30 2016-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および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発光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052B1 (ko) * 2021-10-25 2022-06-14 오페주식회사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72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8783A (en) Soybean harvesting header
US4967545A (en) Harvesting apparatus for leafy vegetables
US3399517A (en) Harvester header
US3508387A (en) Harvesting attachment for combine
CN106304969A (zh) 一种用于收割机器的收割台和用于农业机器的收割台
RU2545762C2 (ru) Лесоуборочные машины
CN107258210A (zh) 普通型联合收割机
USRE37267E1 (en) Combine harvester with secondary cutter
KR101712128B1 (ko) 콤바인용 예취장치
CN217470767U (zh) 一种用于玉米大豆带状复合种植的双系统收获机
US3681901A (en) Cutting knife assembly for a combine
KR101330093B1 (ko) 시금치 수확기
KR101232269B1 (ko) 2조식 콩 수확기
JP2008154536A (ja) 豆刈り機の茎葉搬送装置
KR101170513B1 (ko) 조사료 수확기의 가변폭 예취기구
US5167110A (en) One pass bean cutting and windrowing apparatus
JP2006075013A (ja) 2条植落花生用歩行型収穫機
US2518732A (en) Gatherer for corn harvesters
US4040238A (en) Row crop rogue vehicle
JP3800579B2 (ja) 収穫機
JP200733023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KR102010845B1 (ko) 작물 수확기
KR102176908B1 (ko) 땅콩 수확기
KR102018574B1 (ko)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KR102366446B1 (ko) 풋옥수수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