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446B1 - 풋옥수수 수확기 - Google Patents

풋옥수수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446B1
KR102366446B1 KR1020190155808A KR20190155808A KR102366446B1 KR 102366446 B1 KR102366446 B1 KR 102366446B1 KR 1020190155808 A KR1020190155808 A KR 1020190155808A KR 20190155808 A KR20190155808 A KR 20190155808A KR 102366446 B1 KR102366446 B1 KR 10236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unit
universal joint
pair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501A (ko
Inventor
최일수
김영근
용 최
유승화
우제근
전현종
강태경
이상희
김진구
현창식
김성국
심강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5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maize, i.e. kernel 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8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 A01D43/081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ensilage of maize
    • A01D43/082Gathering units
    • A01D43/083Gathering units with belt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1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rushing or bruising the mown cr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들은 풋옥수수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풋옥수수 수확기는 전방 측 보다 후방 측이 위로 향하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수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부는, 옥수수대가 투입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관, 상기 투입된 옥수수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상에 놓이는 탈과된 옥수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옥수수대를 파쇄하는 다수의 절단날이 장착된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일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풋옥수수 수확기{GREEN CORN HARVESTER}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은 풋옥수수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벼, 밀과 함께 세계 3대 식량 작물인 옥수수는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소비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식용 옥수수의 재배 면적은 증가 추세이다. 옥수수 재배는 식용과 사료용으로 구분되는데, 사료용 옥수수의 수확은 기계화되었으나, 식용 옥수수 수확은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식용 옥수수 수확기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여기서, 식용 옥수수는 풋옥수수(green corn)이라 칭한다.
풋옥수수 수확은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만을 분리하여 이를 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옥수수 자루 및 줄기 부분 상관없이 모두 파쇄하는 사료용 옥수수 수확과는 차이가 있어서 기존의 사료용 옥수수 수확기를 풋옥수수 수확기로 대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451호(2017.05.30 공고)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들은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를 탈과하여 옥수수 자루는 별도로 분리 저장하고 옥수수대는 파쇄하는 풋옥수수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들은 트랙터 등과 같은 원동기와 체결되고 상기 원동기와의 체결부에서 수확부가 측방으로 가변 가능한 풋옥수수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예를 들면, 전방 측 보다 후방 측이 위로 향하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수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부는, 옥수수대가 투입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관, 상기 투입된 옥수수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옥수수대로부터 옥수수를 탈과시키는 한 쌍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상에 놓이는 탈과된 옥수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옥수수대를 파쇄하는 다수의 절단날이 장착된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과된 옥수수를 모으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수납 상자와 상기 탈과된 옥수수를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수납 상자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트랙터의 PTO 축과 연결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제1 유니버셜 조인트와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 및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가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는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확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를 덮는 커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는, 상기 가변 프레임의 가변 범위에 맞추어 제1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전달받은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수확부와 상기 수집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 기어박스, 제2 기어박스, 구동 샤프트 및 제3 기어박스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랙터의 전진 이동과 연동하여 굴러가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옥수수 자루만 탈과하여 보관하고 옥수수대는 파쇄함으로써 옥수수 수확 작업 및 옥수수대의 처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옥수수 수확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트랙터 등과 같은 원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이동이 수월하고 옥수수 수확 작업을 하는데 노동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원동기와의 체결부가 수확부에서 측방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 가능하기 때문에 밭에 심어진 옥수수대의 정렬에 수확부의 이동 경로를 정확히 맞출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II'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일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수확부(100), 수집부(200), 체결부(300) 및 동력전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확부(100)는 밭에 심어진 옥수수대로 접근하여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만 탈과하여 수집부로 이송하고, 옥수수대를 파쇄할 수 있다. 수집부(200)는 탈과된 옥수수 자루를 이동시키고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체결부(300)는 트랙터 등의 원동기와 연결되고 연결된 원동기로부터 수확부(100)와 수집부(200)가 필요로하는 동력을 전달해 줄 수 있다. 동력전달부(500)는 체결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수확부(100) 및 수집부(200)의 구성 요소들에 각각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수확부(100)는 체결부(300)의 측방에 배치되고 수집부(200)는 수확부(100) 및 체결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수확부(100), 수집부(200), 체결부(300) 및 동력전달부(500)의 하방에 주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바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400)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풋옥수수 수확기와 연결된 원동기가 움직이면 상기 수확기가 무리 없이 전진 이동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400)은 원형일 수 있지만, 바퀴부(400)는 상기 도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여러 형태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확부(100)는 한 쌍의 롤러(140), 한 쌍의 분리판(130), 한 쌍의 제1 이송 컨베이어(120) 및 파쇄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140), 분리판(130), 및 제1 이송 컨베이어(120)는 옥수수대가 상기 수확부(100)로 투입되어 들어오는 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경로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140)는 수확부(100)로 투입된 옥수수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몸통 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130)은 상기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만을 떠받치면서 옥수수 자루를 탈과할 수 있다. 한 쌍의 분리판(130)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탈과시킬 옥수수 자루의 크기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120)는 분리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컨베이어(12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이송 돌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돌기(121)는 제1 이송 컨베이어(120)의 회전에 의해 수확부(100)로 투입되어 들어오는 옥수수대를 밀어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분리판(130) 상에 놓인 탈과된 옥수수 자루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120)는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이송 컨베이어(120)의 회전 속도 조절을 위해 상기 스프로킷은 교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쇄부(150)는 롤러(140)의 하측에 옥수수대의 투입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몸통과 회전 몸통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절단날(151)을 포함하여 회전 몸통이 회전하면서 롤러(140)에 의해 하방으로 빨려 내려오는 옥수수대를 파쇄할 수 있다. 또한 파쇄부(150)는 양단과 구비되는 지지대에 의해 수확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확부(100)는 전방 측 보다 후방 측이 위로 향하는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확부의 전방 측이 수확부의 후방 측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옥수수대의 아래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수확부(100)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120)를 덮는 커버체(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체(110)은 옥수수 수확 중에 수확부(100)의 구성들에 옥수수대의 파편 등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옥수수 수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수확기의 고장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커버체(110)는 옥수수대가 수확부(100)로 투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관(111)은, 커버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이격 간격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수확부(100)은 커버체(11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봉(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옥수수대의 신장은 180 cm에서 200 cm에 달하기 때문에 옥수수대의 아래가 절단되면 수평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우며, 절단된 옥수수대가 옥수수 자루 탈과 및 옥수수대 파쇄의 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절단된 옥수수대가 한 쌍의 롤러에 잘 맞물려야 하며 수확부에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가이드 봉(112)은 절단된 옥수수대가 수확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탈과 및 파쇄 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집부(200)는 제2 이송 컨베이어(210) 및 수납상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컨베이어(210)는 제1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옥수수 자루를 전달받아 수납상자(220)에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전달부(500)은 제1 기어박스(510), 제2 기어박스(520), 구동 샤프트(530) 및 제3 기어박스(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박스(510)는 체결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 기어박스(5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기어박스는 증속용 기어박스일 수 있다. 제2 기어박스(520)는 제1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5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 기어박스(520)는 역회전용 기어박스일 수 있다. 구동 샤프트(530)는 제1 풀리와 연결되고 제1 풀리는 벨트로 제3 기어박스의 제2 풀리(5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어박스의 제3 풀리(550)는 수확부의 파쇄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4 풀리와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제1 기어박스(510), 제2 기어박스(520), 구동 샤프트(530) 및 제3 기어박스(560)를 차례로 연결하여 수확부(110)의 회전 구성(예: 제1 이송 컨베이어(120), 롤러(140) 및 파쇄부(150)) 및 수집부(200)의 회전 구성(예: 제2 이송 컨베이어(21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300)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universal joint), 제2 유니버셜 조인트(340), 가변프레임(320) 및 실린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는 원동기의 동력축과 연결되며, 예를들어,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와 제2 유니버셜 조인트(340)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니버셜 조인트(310)는 동력전달부의 제1 기어박스(5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와 제2 유니버셜 조인트(340)의 상부에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가변 프레임(320)의 일단은, 풋옥수수 수확기의 주프레임에 연결되는 부분을 축으로 한 쌍의 가변 프레임(320)이 회전하도록 풋옥수수 수확기의 주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330)는, 한 쌍의 가변 프레임(320) 중 수확부(100)에서 더 멀리 배치되는 하나의 타단과 한 쌍의 가변 프레임(320) 중 다른 하나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의 일 지점에 단부가 연결되어, 한 쌍의 가변 프레임(3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330)의 신장에 의해 가변 프레임은 회전할 수 있고 가변 프레임(320)의 회전에 의해 체결부(300)와 수확부(100)의 이격 거리를 넓힐 수 있고 체결부는 수평 방향으로 470 mm까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330)는 유압에 의해 신장될 수 있고, 체결부(300)와 연결되는 원동기를 통해 유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유니버셜 조인트(340)는 가변 프레임(320)의 회전 또는 가변 범위에 맞추어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를 통해 전달받은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선 II'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수확부(100)는 밭에 심어진 옥수수대로 접근하여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만 탈과하여 수집부(200)로 이송하고, 옥수수대를 파쇄할 수 있다. 수확부(100)는, 예를 들어 상기 수확기가 트랙터에 연결되고 트랙터가 전진함으로 인해 바퀴부의 회전과 함께 수확 대상인 옥수수대로 접근하게 된다. 수확부(100)는 가이드관(111)을 통해 옥수수대를 수확부(100) 내로 끌어들이고 제1 이송 컨베이어(120)에 형성된 이송 돌기(121) 또는 롤러(140)에 의해 옥수수대의 하단을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롤러(140)는 옥수수대가 끼일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140)는 회전을 통해 절단된 옥수수대를 하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140)가 옥수수대를 이동시키는 힘과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옥수수대는 통과할 수 있고 옥수수 자루는 통과할 수 없는 간격을 두고 이격된 분리판(130)이 옥수수 자루를 떠받치는 힘은 옥수수대에서 옥수수 자루만을 탈과할 수 있다. 옥수수 자루를 탈과하는데 칼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옥수수 자루가 손상되거나 자루 속의 옥수수가 상처받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송 컨베이어(120)는 분리판(130) 상에 놓인 탈과된 옥수수 자루를 이송 돌기(121)를 통해 후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수집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파쇄부(150)는 롤러(140)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끌려 내려오는 옥수수대를 절단날(151)에 의해 파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풋옥수수 수확기는 체결부(300)를 통해 트랙터, 경운기 등의 원동기에 체결되어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수확기는 트랙터(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는 트랙터의 PTO 축과 연결되고, 제1 유니버셜 조인트(310) 및 제2 유니버셜 조인트(340)는 회전하여 제1 기어박스(510)로 트랙터(10)에서 받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00)는 밭에 심어진 옥수수대의 방향으로 수확부의 수확 또는 진행 경로를 확보하고 상기 수확 또는 진행 경로가 트랙터의 의해 방해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변위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300)와 수확부(100)의 이격 거리를 넓히기 위해 체결부는, 실린더(330)의 신장에 의해 가변 프레임이 회전하고 가변 프레임(320)의 회전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470 mm까지 변위될 수 있다.

Claims (9)

  1. 전방 측 보다 후방 측이 위로 향하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수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부는,
    옥수수대가 투입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관;
    상기 투입된 옥수수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옥수수대로부터 옥수수를 탈과시키는 한 쌍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상에 놓이는 탈과된 옥수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옥수수대를 파쇄하는 다수의 절단날이 장착된 파쇄부;
    상기 탈과된 옥수수를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수납 상자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탈과된 옥수수를 모으는 수집부; 및
    트랙터의 PTO 축과 연결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제1 유니버셜 조인트와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와,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가변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풋옥수수 수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풋옥수수 수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를 덮는 커버체를 더 포함하는, 풋옥수수 수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풋옥수수 수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는, 상기 가변 프레임의 가변 범위에 맞추어 제1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전달받은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된, 풋옥수수 수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버셜 조인트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수확부와 상기 수집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 기어박스, 제2 기어박스, 구동 샤프트 및 제3 기어박스가 차례로 연결되는, 풋옥수수 수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전진 이동과 연동하여 굴러가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풋옥수수 수확기.
KR1020190155808A 2019-11-28 2019-11-28 풋옥수수 수확기 KR10236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08A KR102366446B1 (ko) 2019-11-28 2019-11-28 풋옥수수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08A KR102366446B1 (ko) 2019-11-28 2019-11-28 풋옥수수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01A KR20210066501A (ko) 2021-06-07
KR102366446B1 true KR102366446B1 (ko) 2022-02-24

Family

ID=763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808A KR102366446B1 (ko) 2019-11-28 2019-11-28 풋옥수수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4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7810A1 (en) 2012-08-17 2014-02-20 Deere & Company Self-Propelled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Having A Crop Attachment Which Is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US20140083556A1 (en) 2012-02-10 2014-03-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etecting and filling void areas of agricultural commodity containers
JP2014209881A (ja) * 2013-04-19 2014-11-13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07493815A (zh) * 2017-09-22 2017-12-22 禹州市宇胜机械制造有限公司 小型玉米收获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420U (ja) * 1983-03-22 1984-10-02 株式会社クボタ 刈取り送り装置
KR101741451B1 (ko) 2016-09-22 2017-05-30 박석민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3556A1 (en) 2012-02-10 2014-03-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etecting and filling void areas of agricultural commodity containers
US20140047810A1 (en) 2012-08-17 2014-02-20 Deere & Company Self-Propelled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Having A Crop Attachment Which Is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JP2014209881A (ja) * 2013-04-19 2014-11-13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07493815A (zh) * 2017-09-22 2017-12-22 禹州市宇胜机械制造有限公司 小型玉米收获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0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3006B1 (en) Non-row sensitive threshing corn header
EP2210470B1 (en) A seed gathering device for use by an agricultural harvester
AU2008207549A1 (en) Linear stalk separator with alternating oscillating movements
US4581878A (en) Multi-row adapter for the complete harvesting of corn or sunflower
US4377062A (en) Snapper head for harvesting maize
CN112106518B (zh) 一种蓖麻收获装置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CN112205159A (zh) 一种五行纵置摘穗式的穗茎兼收玉米收获机割台
CN115250732A (zh) 一种穗茎兼收玉米收获机
EP2166831B1 (en) Harvester adapter for harvesting grain crops, particularly corn
CN108617266B (zh) 一种玉米穗茎收割台
KR102366446B1 (ko) 풋옥수수 수확기
CN113141859A (zh) 一种玉米穗茎兼收收割台及具有该收割台的联合收获机
CN112106519B (zh) 一种蓖麻收割机械用蓖麻采摘台
CN106612875A (zh) 一种甘薯藤蔓收获机
KR101712128B1 (ko) 콤바인용 예취장치
CN110832986A (zh) 升运器及收获机
CN110402690A (zh) 一种油葵收割割台
EP3108739B1 (en) Harvesting head for corn cobs
CN213214389U (zh) 一种蓖麻采摘机械的采摘台结构
RU2584475C1 (ru) Корнеклубне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CN208029482U (zh) 乱垄或无垄喂入玉米机割台
CN110771341A (zh) 毛苕子联合收获机
CN101828465A (zh) 油菜割晒机纵向拨动机构
CN206423150U (zh) 一种玉米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