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451B1 -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 Google Patents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451B1
KR101741451B1 KR1020160121550A KR20160121550A KR101741451B1 KR 101741451 B1 KR101741451 B1 KR 101741451B1 KR 1020160121550 A KR1020160121550 A KR 1020160121550A KR 20160121550 A KR20160121550 A KR 20160121550A KR 101741451 B1 KR101741451 B1 KR 10174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age
tractor
harvesting
guide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민
Original Assignee
박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민 filed Critical 박석민
Priority to KR102016012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4Ty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l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작물을 취급함에 있어 예취에서 결속에 이르는 모든 행위가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자동화 실시되는 수확방법에 관하여 개시되고, 나아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방식의 채택으로 예취부에서 예취된 사료작물이 이송부를 거쳐 즉각적으로 결속기로 공급됨에 따라 완성된 베일의 자동화 배출을 유도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 동력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가 구동되면서 사료작물의 예취 및 예취된 사료작물을 일정 공간 내에서 이송시켜 결속함에 따라 하나의 베일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One-stop harvest method by forage harvester}
본 발명은 사료작물을 취급함에 있어 예취에서 결속에 이르는 모든 행위가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자동화 실시되는 수확방법에 관하여 개시되고, 나아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방식의 채택으로 예취부에서 예취된 사료작물이 이송부를 거쳐 즉각적으로 결속기로 공급됨에 따라 완성된 베일의 자동화 배출을 유도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에 관한 것이다.
논밭을 이용한 사료작물 재배는 수확과 동시에 다음 작물을 파종하여야 하는 신속한 작업이 요구된다.
가령 수확시기에 비가 오면 작물 수확이 어렵기 때문에 관련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특히 하계작물의 수확 적기가 되면 원활한 수확작업을 보장하여 주는 날씨를 기대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맑은 날 빠르게 수확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치는 작업과정에 의해서는 만족할 수준의 신속한 수확을 진행하기 어렵다.
즉 기존의 조사료 수확작업은 각각의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작업의 실시는 이동과 보관의 용이함을 위하여 베일로 형성하기 위함인바, 예취부터 결속, 랩핑, 운반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각기 다른 장비가 필수적이어서 또 다른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편, 종래 조사료 수확기는 고정된 예취부로서 옥수수 등의 사료작물 수확 폭이 1조만 가능하므로 작업기 일측에 부착한 상태에서 조사료 수확작업을 실시할 경우 초기 일정규모의 사료작물 수확시 인력에 의해 갓 돌리기 작업으로 주행장치 폭만큼의 수확을 한 후 조사료 수확기로 수확작업을 행하고, 인력으로 수확한 작물도 재차 인력으로 수확기에 투입 공급한 후 절단처리하여 호퍼에 이송하는 방법으로 일관되고 있다.
이는 별도의 추가적인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작업상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므로 주행장치에 탑재한 채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조사료 수확기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113535호의 "자주식 원형베일러"는 자체 주행기능을 갖도록 하는 무한궤도 주행장치와, 절단된 사료작물을 모아 걷어올리는 픽업장치와, 걷어 올려진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와, 이송된 사료작물을 압축 성형하는 베일링 키트를 포함하는 자주식 원형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픽업장치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연결부에 의해 탈착/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예취장치와; 상기 예취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예취장치를 부착한 상태에서 사료작물을 예취 픽업하여 원형 베일을 만들 수 있고 농기계의 작업가능 기간을 증진하지만, 옥수수 등의 사료작물 수확 폭이 1조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닐 뿐만 아니라 예취장치의 탈부착 작업이 작업자에게 또 다른 피로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43645호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에 의하면 예취된 농작물이 블레이드의 직하부에 일률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수동적인 조작만 가능할 뿐 아니라 억센 옥수수 조사료에 대한 수확량 증대를 도모하기 곤란한 치명적인 문제점이 초래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535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43645호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통합형 자동화기기에 의하여 예취, 이송, 결속, 배출의 전 과정이 보다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스톱 수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작물 예취부터 이송, 결속, 배출에 이르는 여러 단계를 다수의 기기에 의존하여 실행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작업 속도와 작업량 등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통합형 자동화기기만으로도 기존 대비 보다 나은 작업 구현이 가능해지므로 관련 기기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은 트랙터 동력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가 구동되면서 사료작물의 예취 및 예취된 사료작물을 일정 공간 내에서 이송시켜 결속함에 따라 하나의 베일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배출되게 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하면서 흡입하는 예취부(10); 예취부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시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이송부(20); 양측 선단이 예취부 양단에서 고정 결속되고 횡단 배치한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결속부(5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0); 가이드부와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베일을 형성하는 결속부(50); 예취부의 승강 움직임을 구현하는 승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30)는 상방에서 횡단 배열된 지지프레임(31)과, 지지프레임(31) 상에서 유압실린더(41) 단부를 구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거치대(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 양단에서 하향하여 일체된 형상으로 이어지고 각 단부가 예취부(10)의 횡단 지지바 양단에 결부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40)는 가이드레일과 롤러에 의해 예취부(10)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 내지 제어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가이드부(30)의 고정브래킷에 결부되는 보강브래킷(71)과, 상기 가이드부(30)의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연직 하방으로 고정 체결되고 보강브래킷(71)의 근접 방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면을 보유한 가이드레일(72)과, 보강브래킷(71)의 측 방향으로 서로 대응 형성되고 가이드레일(72)의 절곡면과 중첩되면서 상하 경로를 안내받는 롤러(73)로 구성되며, 상기 트랙터는 유압실린더(83)의 운용으로 측 방향에 대하여 선회 움직임이 실시되는 드로우바(80)에 의해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서로 연결 형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우바(80)는 작업시 트랙터 우측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시켜 작업 대상 사료작물을 밟지 않도록 하고, 이동시 트랙터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시켜 해당 트랙터에 트레일러를 장착하여 이동하는 것과 유사하게 운행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우바(80)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결부되는 중심바(81)와, 중심바와 힌지 결합되는 회전바(82)와, 회전바 및 중심바에 각각 결부되는 유압실린더(83)와, 회전바 단부에 구비되어 트랙터와 결부되는 커넥터(84)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중심바(81)를 기점으로 회전바(82)의 선회 움직임이 결정되게 함으로써 트랙터 위치를 기점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가 사선 방향으로 전환되게 하여 트랙터에 의한 작업 대상 사료작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은,
드로우바(80)의 유압실린더(83)를 조작하여 트랙터의 위치를 작업 공간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위치결정단계;
트랙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취부(10)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한 후 흡입하는 예취단계;
예취부 후방에서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된 이송부(20)의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10)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이송단계;
이송부(20)와 가이드부(30)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해당 사료작물이 결속부(50)에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단계;
가이드부(30)와 이송부(20)에 의해 예취 상태의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결속부(50)에서 베일을 형성하는 베일형성단계;
완성된 베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에서 결속에 이르는 모든 행위가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자동화 실시되므로 조사료 수확작업을 종래 대비 더욱 신속 정확하고 편의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방식에 기인하여 예취부에서 예취된 사료작물이 이송부를 거쳐 즉각 결속기로 공급되므로 완성된 베일의 자동화 배출이 더욱 간편하고 확실하게 구현되는 이점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자동화기기가 고가의 장비들을 대체하고 작업 단계 또한 획기적으로 줄여 수확 적기의 안정적인 조사료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노동력의 절감으로 경제적일 뿐 아니라 계절과 작물의 구분 없이 모든 종류의 작물과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또한 간편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어 차트.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관련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드로우바의 관련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사료작물을 취급함에 있어 예취에서 결속에 이르는 모든 행위가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자동화 실시되는 수확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방식의 채택으로 예취부(10)에서 예취된 사료작물이 이송부(20)를 거쳐 즉각적으로 결속부(50)로 공급됨에 따라 완성된 베일의 자동화 배출을 유도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에 관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위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은 트랙터 동력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가 구동되면서 사료작물의 예취 및 예취된 사료작물을 일정 공간 내에서 이송시켜 결속함에 따라 하나의 베일을 형성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아울러 위 트랙터는 유압실린더(83)의 운용으로 측 방향에 대하여 선회 움직임이 실시되는 드로우바(80)에 의해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서로 연결 형성됨으로써 작업시 트랙터 우측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되게 하거나 또는 이동시 트랙터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작업과 견인시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의 위치 내지 정렬을 전환하기 위함인데, 예컨대 작업시에는 트랙터 우측 후방에 위치시켜 트랙터가 작업 대상 사료작물을 밟지 않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트랙터 후방에 위치시켜 해당 트랙터에 마치 트레일러를 장착하여 이동하는 것과 유사하게 운행 유도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위 드로우바(80)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결부되는 중심바(81)와, 중심바와 힌지 결합되는 회전바(82)와, 회전바 및 중심바에 각각 결부되는 유압실린더(83)와, 회전바 단부에 구비되어 트랙터와 결부되는 커넥터(84)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바(81)를 기점으로 회전바(82)의 선회 움직임이 결정되게 함으로써 트랙터(식별번호 없음)의 위치를 기점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의 위치가 사선 방향으로 전환되게 하여 트랙터에 의해 작업 대상 사료작물이 간섭되지 않게 방지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는 작업시와 이동 및 견인되는 경우로 구분하여 그 위치를 다르게 정렬 유도하는바, 작업할 때에는 트랙터 우측 후방에 위치하여 트랙터가 사료작물 수확에 방해되지 않게 하는 반면, 이동시에는 트랙터 후방에 일치시켜 운전 등 기기를 옮기는 행위에 편의성이 부여되게 한다. 이때 듀얼 기어박스를 적용하여 기기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의 구동 내지 제어가 이루어지는바, 동력은 트랙터 PTO에서 듀얼 기어박스, 예취부 기어박스, 결속부 기어박스의 순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예취부 기어박스와 결속부 기어박스가 각 제반 요소를 구동시킨다. 기타 기계적으로 움직임이 필요한 요소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행위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취부(10)는 사료작물 수확이 개시되는 구성요소로, 2개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상승 및 하강 움직임이 구현됨으로써 두둑이나 장애물에 부딪히는 등 외부 요인에 간섭되지 않도록 적극 방지한다. 또한, 승강 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예취부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정해진 경로 상에서 상하 정확한 움직임이 실행되도록 관련 구성을 취한다.
위 예취부(10)는 원형의 드럼 2개소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드럼 2개소는 하나의 횡단 지지바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각 드럼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날이 형성되고 해당 절단날이 드럼의 회전을 통해 회전하게 되면 드럼 사이 공간으로 향하는 강력한 기류가 발생하는데 이는 예취되는 사료작물의 흡입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절단날의 회전시 사료작물에 직접 타격을 가해 상처(파쇄)를 입히게 되는바, 작물에 생긴 이러한 상처는 작물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배출 통로가 되어 해당 수분이 상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예취되는 사료작물의 건조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곧 조사료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이러한 예취부(10)는 승강부(40)의 부가 채택으로 상향 또는 하향 움직임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보다 나은 승강 움직임을 위한 위치결정수단(70)이 부가 구성됨으로써 움직임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사료작물의 예취를 행하는 예취부(10), 예취된 사료작물을 취급하여 일 방향 진행시키는 이송부(20), 이송부를 일체 형성하고 사료작물의 이동 공간으로 활용되는 가이드부(30), 예취 상태의 사료작물을 하나의 베일로 형성하는 결속부(50), 예취부의 승강 움직임을 구현하는 승강부(40)로 구분된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하면서 흡입하는 예취부(10); 예취부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시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이송부(20); 양측 선단이 예취부 양단에서 고정 결속되고 횡단 배치한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결속부(5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0); 가이드부와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베일을 형성하는 결속부(50);로 구성된다.
위 이송부(20)는 예취된 작물을 결속기(50)에 투입하기 위한 제반 요소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완료된 '컨디셔닝 장치'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6-0022955호 '컨디셔닝 장치'는 예취부(10)에 의해 바닥에 깔려지는 사료작물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컨디셔닝 처리할 뿐 아니라 결속기로 해당 사료작물이 지속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위 가이드부(30)는 예취부(10)를 선단에 고정 배치하면서 사료작물이 흡입되는 공간상으로 이송부(20)를 고정 배치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정의하고 있는 승강부(40)가 부가 형성되어 해당 승강부로 하여금 가이드부(30)를 기점으로 한 예취부의 승강 움직임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위 가이드부(30)는 상방에서 횡단 배열된 지지프레임(31)과, 지지프레임 상에서 유압실린더(41) 단부를 구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거치대(32)와,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하향하여 일체된 형상으로 이어지고 각 단부가 예취부(10)의 횡단 지지바 양단에 결부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한다.
위 승강부(40)는 조사료 수확시 활용되는 예취부(10)의 관련 구성 내지 취급의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제공되고, 작업자 제어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 승강부(40)는 가이드부(30)의 지지프레임(31)에서 하향 연장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각 단부를 예취부(10)에 결속시킴으로써 운용된다.
이를 위해 위 승강부(40)는 가이드부(30)의 지지프레임(3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거치대(32)에 구속된 상태에서 하향하는 유압실린더(41)와, 유압실린더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대(32)와 일체 형성되는 보강바(42)와, 유압실린더와 예취부(10)를 서로 결부시켜 유압실린더의 작동 여부에 따라 예취부의 수직선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 단부에 체결되는 연결편(43)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위 승강부(40)는 가이드레일(72)과 롤러(73)에 의해 예취부(10)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 내지 제어하는 위치결정수단(70)이 더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은 예취부(10)의 승강을 도모하기 위한 승강부(40)의 세부 구성을 제안하되, 위 예취부의 승강 움직임이 더욱 정확하게 제어됨은 물론 흔들림이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한 유동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위 위치결정수단(70)은 가이드부(30)의 고정브래킷(33)에 결부되는 보강브래킷(71)과, 가이드부의 지지프레임(31) 양단에서 연직 하방으로 고정 체결되고 보강브래킷의 근접 방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면을 보유한 가이드레일(72)과, 보강브래킷의 측 방향으로 서로 대응 형성되고 가이드레일의 절곡면과 중첩되면서 상하 경로를 안내받는 롤러(73)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치결정단계]
드로우바(80)의 조작으로 실행된다.
드로우바(80)의 유압실린더(83)를 조작하여 트랙터의 위치를 작업 공간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예취단계]
예취부(10)의 조작으로 실행된다.
트랙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취부(10)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한 후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이때 예취부(10)는 노면 상태 내지 외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부(40)에 의해 상하 움직임이 선택적으로 허용되고, 위치결정수단(70)의 작용으로 보다 정확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송단계]
이송부(20)의 조작으로 실행된다.
예취부 후방에서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된 이송부(20)의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10)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이때 해당 사료작물의 파쇄 또한 동시에 실시된다.
[가이드단계]
가이드부(30)의 조작으로 실행된다.
이송부(20)와 가이드부(30)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해당 사료작물이 결속부(50)에 안내되게 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베일형성단계]
결속부(50)의 조작으로 실행된다.
가이드부(30)와 이송부(20)에 의해 예취 상태의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결속부(50)에서 베일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배출단계]
완성된 베일을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에서 결속에 이르는 모든 행위가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자동화 실시되므로 조사료 수확작업을 종래 대비 더욱 신속 정확하고 편의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방식에 기인하여 예취부에서 예취된 사료작물이 이송부를 거쳐 즉각 결속기로 공급되므로 완성된 베일의 자동화 배출이 더욱 간편하고 확실하게 구현되는 이점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자동화기기가 고가의 장비들을 대체하고 작업 단계 또한 획기적으로 줄여 수확 적기의 안정적인 조사료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노동력의 절감으로 경제적일 뿐 아니라 계절과 작물의 구분 없이 모든 종류의 작물과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또한 간편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1.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10. 예취부
20. 이송부
30. 가이드부
40. 승강부
50. 결속부
70. 위치결정수단

Claims (5)

  1. 트랙터 동력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가 구동되면서 사료작물의 예취 및 예취된 사료작물을 일정 공간 내에서 이송시켜 결속함에 따라 하나의 베일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배출되게 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하면서 흡입하는 예취부(10); 예취부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시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이송부(20); 양측 선단이 예취부 양단에서 고정 결속되고 횡단 배치한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결속부(5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0); 가이드부와 이송부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베일을 형성하는 결속부(50); 예취부의 승강 움직임을 구현하는 승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30)는 상방에서 횡단 배열된 지지프레임(31)과, 지지프레임(31) 상에서 유압실린더(41) 단부를 구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거치대(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 양단에서 하향하여 일체된 형상으로 이어지고 각 단부가 예취부(10)의 횡단 지지바 양단에 결부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40)는 가이드레일과 롤러에 의해 예취부(10)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 내지 제어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가이드부(30)의 고정브래킷에 결부되는 보강브래킷(71)과, 상기 가이드부(30)의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연직 하방으로 고정 체결되고 보강브래킷(71)의 근접 방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면을 보유한 가이드레일(72)과, 보강브래킷(71)의 측 방향으로 서로 대응 형성되고 가이드레일(72)의 절곡면과 중첩되면서 상하 경로를 안내받는 롤러(73)로 구성되며,
    상기 트랙터는 유압실린더(83)의 운용으로 측 방향에 대하여 선회 움직임이 실시되는 드로우바(80)에 의해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서로 연결 형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우바(80)는 작업시 트랙터 우측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시켜 작업 대상 사료작물을 밟지 않도록 하고, 이동시 트랙터 후방에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를 위치시켜 해당 트랙터에 트레일러를 장착하여 이동하는 것과 유사하게 운행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우바(80)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1)와 결부되는 중심바(81)와, 중심바와 힌지 결합되는 회전바(82)와, 회전바 및 중심바에 각각 결부되는 유압실린더(83)와, 회전바 단부에 구비되어 트랙터와 결부되는 커넥터(84)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중심바(81)를 기점으로 회전바(82)의 선회 움직임이 결정되게 함으로써 트랙터 위치를 기점으로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가 사선 방향으로 전환되게 하여 트랙터에 의한 작업 대상 사료작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드로우바(80)의 유압실린더(83)를 조작하여 트랙터의 위치를 작업 공간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위치결정단계;
    트랙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취부(10)에 의해 사료작물을 예취한 후 흡입하는 예취단계;
    예취부 후방에서 가이드부(30) 양단을 기점으로 횡단 배열된 이송부(20)의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예취부(10)로부터 예취된 사료작물을 끌어올리는 이송단계;
    이송부(20)와 가이드부(30)에 의해 예취된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해당 사료작물이 결속부(50)에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단계;
    가이드부(30)와 이송부(20)에 의해 예취 상태의 사료작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결속부(50)에서 베일을 형성하는 베일형성단계;
    완성된 베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5. 삭제
KR1020160121550A 2016-09-22 2016-09-22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KR10174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50A KR101741451B1 (ko) 2016-09-22 2016-09-22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50A KR101741451B1 (ko) 2016-09-22 2016-09-22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451B1 true KR101741451B1 (ko) 2017-05-30

Family

ID=5905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550A KR101741451B1 (ko) 2016-09-22 2016-09-22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01A (ko) 2019-11-28 2021-06-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풋옥수수 수확기
KR20230044749A (ko) 2021-09-27 2023-04-04 박환이 탈착식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49A (ja) * 2001-06-19 2003-01-07 Atex Co Ltd ロールベーラ
JP5419274B2 (ja) * 2009-11-20 2014-02-19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り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49A (ja) * 2001-06-19 2003-01-07 Atex Co Ltd ロールベーラ
JP5419274B2 (ja) * 2009-11-20 2014-02-19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り作業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01A (ko) 2019-11-28 2021-06-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풋옥수수 수확기
KR20230044749A (ko) 2021-09-27 2023-04-04 박환이 탈착식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5185B (zh) 小型履带式油菜割晒机
CN203661641U (zh) 草捆捡拾输送装置
KR102226681B1 (ko) 콤바인
KR101838697B1 (ko)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CN105123132B (zh) 一种圆草捆捡拾车
KR101741451B1 (ko)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에 의한 조사료 원스톱 수확방법
US8109070B1 (en) Dual windrow crop inverting and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804769A (zh) 一种青菜头收获机
CN101366335B (zh) 油菜捡拾脱粒机
KR101402765B1 (ko) 작물 수확기
CN205727087U (zh) 一种履带式带自动粮仓的青饲收获机
CN209710723U (zh) 一种青菜头收获机
US11647697B2 (en) Rear mount bale spreader
KR101723971B1 (ko) 승강식 예취부를 갖는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KR101170513B1 (ko) 조사료 수확기의 가변폭 예취기구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101560533B1 (ko)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JP200708946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US2287379A (en) Two-row topper
KR101275736B1 (ko) 컨베이어 구조를 가지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CN212677787U (zh) 工业大麻专用割晒机
JP3070296U (ja) 根菜類の掘取装置
JP5588415B2 (ja) コンバイン
JP2012115201A (ja) 作物幹刈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