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056B1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6056B1 KR101416056B1 KR1020120153234A KR20120153234A KR101416056B1 KR 101416056 B1 KR101416056 B1 KR 101416056B1 KR 1020120153234 A KR1020120153234 A KR 1020120153234A KR 20120153234 A KR20120153234 A KR 20120153234A KR 101416056 B1 KR101416056 B1 KR 101416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 pulleys
- base frame
- crop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는, 운전석 및 엔진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이 마련되며 작물을 커팅한 후 후방으로 이송하는 자주차량으로서의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로서,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하측 및 상측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을 분기하여 전달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박스모듈;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1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3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4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상기 제1 회전풀리와 상기 제4 회전풀리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하나의 제2 이송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이송벨트는, 서로 간의 사이 틈을 통해 작물이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좌식 상태로 운전 가능하면서 콩 등의 작물 줄기를 커팅한 후 이송 및 지면상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일 예로 콩을 수확하기 위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콩 등과 같은 작물을 커팅 및 이송하는 자주식 차량으로서 작업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커팅, 이송 및 지면에 재배치하는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콩 수확을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은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53837호(2005.06.10.공개, 발명의 명칭: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등에서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콩 작물은 초장이 50~70cm 전후이며, 콩 자실(이하 콩이라 칭함)은 콩 깍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콩은 콩 깍지에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이 가해짐으로써 콩깍지가 벌어져 분리되어 나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콩과 콩깍지의 분리과정에서 과도한 마찰이나 충격을 가하게 되면 콩은 두 조각으로 갈라져 손상립이 발생되며, 콩 줄기와 콩 깍지가 과도하게 분쇄되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콩과 함께 선별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선별 부하가 발생하여 완전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수확물에 이물질 혼입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현재는 콩 예취기를 이용한 예취(刈取)작업을 한 후 포장에서 건조작업 과정을 거쳐 트랙터 부착용 콩 탈곡기 또는 전기모터가 장착된 콩 탈곡기를 이용하여 콩 수확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콩 수확작업은 고역작업이라 콩 예취, 이송, 탈곡, 선별-정선, 수집 배출을 위한 일련의 수확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대단위 면적의 콩 재배농가를 중심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콩 줄기를 커팅하고 커팅된 콩 줄기를 지면상에 배치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작업자가 장치를 손으로 끌거나 밀고 다니면서 하는 장치로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크게 소모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좌식 상태로 운전 가능하면서 콩 등의 작물 줄기를 커팅한 후 이송 및 지면상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물 줄기를 커팅하고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제조가 용이하며 작물이 특정 자세(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며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운전석 및 엔진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이 마련되며 작물을 커팅한 후 후방으로 이송하는 자주차량으로서의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로서,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하측 및 상측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을 분기하여 전달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박스모듈;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1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3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4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상기 제1 회전풀리와 상기 제4 회전풀리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하나의 제2 이송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이송벨트는, 서로 간의 사이 틈을 통해 작물이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5 회전풀리; 상기 복수의 제5 회전풀리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제5 회전풀리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커터;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 제5 회전풀리의 양측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6 회전풀리; 및 상기 복수의 제6 회전풀리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제6 회전풀리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커터에 의해 커팅된 작물이 상기 제1 이송벨트에 밀착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제1 이송벨트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작물이송 보조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작물이송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결합쇠; 상기 결합쇠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봉; 상기 결합쇠의 내측에 상기 결합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봉; 및 상기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중 나머지 제1 이송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2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쇠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봉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은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이송벨트 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자주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들이 상기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사이 틈으로 진입하는 것을 유도하는 작물진입 유도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작물진입 유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며 전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디바이더; 및 상기 디바이더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작업자가 좌식 상태로 운전 가능하면서 콩 등의 작물 줄기를 커팅한 후 이송 및 지면상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일 예로 콩을 수확하기 위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콩 줄기를 커팅하고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제조가 용이하며 작물이 특정 자세(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며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주행중 지면의 고르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회전 커터를 지면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으므로, 콩 줄기의 특정 부위를 일정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회전풀리와 제1 및 제2 회전 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작물이송 보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커터 높낮이조절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회전풀리와 제1 및 제2 회전 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작물이송 보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커터 높낮이조절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회전풀리와 제1 및 제2 회전 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작물이송 보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에서 커터 높낮이조절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이하, '장치'라 함)는, 콩 등의 작물의 줄기 하단부를 커팅하여 후방으로 이송한 후 별도의 수용공간에 적재하다가 필요시 다시 지면으로 낙하하여 지면상에 가지런히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덧붙이자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운전석(101) 및 엔진(102)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00)이 마련되어 일 예로 콩 등의 작물 줄기를 커팅한 후 커팅된 작물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마련된 적재공간(103)으로 이송하는 자주차량이다. 이러한 장치에는 실질적으로 무한궤도 구조의 이동바퀴(104)가 마련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는, 엔진(102)의 출력을 전달받아 하측 및 상측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을 분기하여 전달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박스모듈(110), 복수의 기어박스모듈(110)의 제1 방향(하측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제1 회전풀리(120), 복수의 제1 회전풀리(120)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회전풀리(120)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풀리(180), 복수의 제2 회전풀리(18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제2 회전풀리(180)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커터(140), 복수의 기어박스모듈(110)의 제2 방향(상측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3 회전풀리(190), 및 복수의 제3 회전풀리(19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제3 회전풀리(190)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커터(16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 앞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풀리(120) 및 제2 회전풀리(180)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제3 회전풀리 내지 제6 회전풀리(190,200,130,150) 또한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가로 방향으로 더 배치되어 각각의 회전풀리들이 2쌍 이상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회전풀리 내지 제6 회전풀리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으로서 일측에는 운전석(101)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자주 타입으로 운전 가능하도록 엔진(102)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모듈(110)은 엔진 출력축을 통해 엔진(102)의 출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엔진 출력 토오크를 조절하여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기어박스모듈(110)의 출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하측 방향) 및 제2 방향(상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전달되며, 이를 위해 각각의 기어박스모듈(110)에는 2개의 출력축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풀리(120)는 각각의 기어박스모듈(110)의 제1 방향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모듈(110)과 제1 회전풀리(120)는 각각 동력전달축(111)을 통해 연결되며, 기어박스모듈(110)의 제1 출력 방향과 제1 회전풀리(120)의 회전축 방향이 서로 대략 평행한 관계로 기어박스모듈(110)과 동력전달축(111)의 연결 조인트 부위, 제1 회전풀리(120)의 회전축과 동력전달축(111)의 연결 조인트 부위에는 동력 전달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일 예로 베벨기어(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풀리(180)는, 제1 회전풀리(120)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회전풀리(120)와 동력전달수단(벨트 포함)을 통해 연결되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 회전풀리(1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이중 하나에는 제2 회전풀리(180)와 연결되도록 벨트가 결합되며 나머지에는 후술하는 제6 회전풀리(150)와 연결되도록 또 다른 벨트가 결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커터(140)는, 제2 회전풀리(18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제2 회전풀리(180)의 하측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터(140)는 제2 회전풀리(180)에 대해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제1 회전 커터(140)는 일 예로 콩 줄기의 아래 부분을 커팅하는 것으로서, 보다 아래 부분을 커팅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회전 커터(140)는 제2 회전풀리(180)에 대해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해 제1 회전 커터(140)의 회전축과 제2 회전풀리(18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동력의 전달방향을 변경하도록 유니버셜조인트(170)가 마련된다.
제3 회전풀리(190)는, 2개의 기어박스모듈(110)의 제2 방향(상측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3 회전풀리(19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서 2개의 제1 회전풀리(120), 2개의 제2 회전풀리(180)의 양측 방향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 커터(160)는, 제3 회전풀리(19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제3 회전풀리(190)의 하측에 각각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 커터(160)는 제3 회전풀리(190)에 대해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제2 회전 커터(160)는 콩 줄기의 아래 부분을 커팅하는 것으로서, 보다 아래 부분을 커팅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회전 커터(160)는 제3 회전풀리(190)에 대해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해 제2 회전 커터(160)의 회전축과 제3 회전풀리(19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동력의 전달방향을 변경하도록 유니버셜조인트(17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회전 커터(140)와 2개의 제2 회전 커터(160)는 서로 간에 하나씩 일부 영역이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즉, 겹쳐지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마련되며 따라서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된 작물은 회전 커터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잠시 정리하자면, 작업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엔진을 구동시키면 엔진 출력을 전달받아 제1 회전풀리(120) 및 제3 회전풀리(190)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1 회전풀리(120) 및 제3 회전풀리(190)의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제1 회전 커터(140) 및 제2 회전 커터(160)가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 아래 부분을 커팅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작물의 줄기를 커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커팅된 작물을 장치의 후방에 마련된 수용공간으로 이송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 회전풀리(200)가 기어박스모듈(110)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2개로 설치된다.
또한, 제4 회전풀리(200)와 동력전달수단(벨트 포함)을 통해 연결되어 제4 회전풀리(200)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2개의 제5 회전풀리(1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5 회전풀리(130)는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벨트를 추가하여 부연설명한다.
한편, 기어박스모듈(110)의 제2 방향 출력은 체인을 통해 제4 회전풀리(200)로 전달되며, 제4 회전풀리(200)는 벨트를 통해 제5 회전풀리(1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4 회전풀리(200)에는 체인 및 벨트가 모두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제4 회전풀리(200)의 상측에는 체인 연결이 가능한 스프라킷 휠이 마련되고 그 아래에는 벨트 연결이 가능한 벨트홈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풀리(120)와 동력전달수단(벨트)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회전풀리(120)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2개의 제6 회전풀리(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6 회전풀리(150)는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제5 회전풀리(130)의 사이 영역에 마련되어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 회전풀리(200)와 제5 회전풀리(130)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2개의 제1 이송벨트(310), 제1 회전풀리(120)와 제6 회전풀리(150)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하나의 제2 이송벨트(320)를 포함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이러한 제1 이송벨트(310) 및 제2 이송벨트(32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텐션조절풀리(330)가 적절한 위치에 다수로 마련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자주차량의 이동에 따라,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된 작물은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커터(140) 및 제2 회전 커터(160)는 각각, 제1 및 제2 이송벨트(310,3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주차량의 주행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의 회전시 줄기 부위가 절단된 작물은, 제1 및 제2 이송벨트(310,320)의 사이 틈으로 진입한 후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회전에 따른 접촉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은 사이 간격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중앙 영역에서는 커팅된 작물의 후방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커팅된 작물이 제1 이송벨트(310)에 밀착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제1 이송벨트(31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작물이송 보조부(400)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작물이송 보조부(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결합쇠(410), 결합쇠(4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2개의 제1 이송벨트(310)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봉(420), 결합쇠(410)의 내측에 결합쇠(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봉(430), 슬라이드봉(4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2개의 제1 이송벨트(310) 중 나머지 이송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2 가이드봉(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쇠(410)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 가능하며, 결합쇠(410)의 내측에는 슬라이드봉(430)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450)이 더 마련된다. 여기서, 결합쇠(4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에서 의해 줄기 부위가 커팅된 작물이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사이 틈으로 진입하여 벨트 회전에 따른 접촉 마찰력에 의해 벨트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며, 어느 정도 이송된 후에는 제1 가이드봉(420)과 제1 이송벨트(310)의 사이 틈, 제2 가이드봉(440)과 제1 이송벨트(310)의 사이 틈으로 각각 진입한 후 마찬가지로 접촉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다가 제1 및 제2 가이드봉(420,440)의 후방 단부를 벗어난 지점에서는 다시 2개의 제1 이송벨트(310)의 사이 틈으로 진입하여 후방 이송된다.
한편, 전술한 스프링에 의해 제1 가이드봉(420) 및 제2 가이드봉(440)은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이송벨트(310) 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되며, 일 예로, 커팅되어 진입된 작물의 진입량 등에 따라 제1 가이드봉(420) 및 제2 가이드봉(440)은 탄성적으로 제1 이송벨트(310)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커팅된 작물의 작물량 등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봉(420,440)이 유연하게 이동 가능하므로, 일정 범위 내에서 커팅된 작물량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작물들이 특정 영역,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사이 틈(2개 영역)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작물진입 유도수단이 마련된다.
도 1, 도 2,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물진입 유도수단(5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각각 연결봉을 개재한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디바이더(510), 디바이더(510)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을 향해 일저 길이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바(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더(510)는 3개로 마련되며 각각 자주차량의 주행 방향상 전방을 향하는 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디바이더(510)에 연결된 가이드바(520)로 인해 대략 삼각형 형상의 가이드 영역이 마련되며, 이러한 가이드바(520)에 의해 작물은 제1 이송벨트(310)와 제2 이송벨트(320)의 사이 틈으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바이더(510)는 별도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임(회전 등)이 가능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디바이더(510)는 전방이 뾰족한 상태로 대략 삼각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특히 지면상에 누워있는 작물을 세울 수 있어 제1 및 제2 회전 커터(160)가 작물의 줄기 하단부를 용이하게 커팅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바(520)도 마찬가지로 디바이더(510)를 통해 세워진 작물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 제1 및 제2 이송벨트(310,320) 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제1 및 제2 이송벨트(310,32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 커팅된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재공간(103)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공간(103)의 바닥에는 필요시 작업자가 버튼 또는 핸들바 등을 작동하여 적재공간(103) 상에 적재되어 있는 작물을 일정량씩 지면상으로 가지런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호퍼 기능을 하는 작물배출부(미도시)가 더 마련되어 있다.
한편, 작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전진 이동시키면서 작물 커팅 및 이송작업을 진행할 때, 지면이 평탄하지 않거나 갑자기 돌출된 부분을 지나갈 시에는 작물이 원치 않는 부위에 커팅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지면의 고르기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조작하여 베이스 프레임(100), 제1 회전 커터(140) 및 제2 회전 커터(16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능하면 작물의 정해진 부위가 커팅될 수 있도록 하는 커터 높낮이조절부(600)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 높낮이조절부(600)는, 지면에 대해 복수의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를 접근 또는 이격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610), 및 실린더(610)의 로드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타단부에 보조 바퀴(630)가 마련되는 절곡된 형상의 회전 브래킷(6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61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마련된 별도의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며, 운전석에는 작업자가 실린더(610)를 구동하도록 별도의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브래킷(62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실린더(610)의 로드에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보조 바퀴(630)가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 브래킷(620)의 중앙 꼭지점 부위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마련된 별도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실린더(610) 로드가 전진 이동하게 되면 회전 브래킷(620)이 하측으로 회전하여 보조 바퀴(630) 또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610) 로드가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 브래킷(620)이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실린더(610)의 구동에 의해 회전 브래킷(620)이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을 지면에 대해 이격 및 접근함으로써 제1 및 제2 회전 커터(140,160)를 지면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보조 바퀴(630)는 항상 지면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대한 회전 브래킷(620)의 경사 각도에 따라 지면과 베이스 프레임(100)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 높낮이조절부(600)는, 중앙에 배치된 디바이더(5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봉(640),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돌출돌기(651)가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650), 상기 연장봉(640)에 결합되되 돌출돌기(651)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공형상의 슬릿홀(661)이 마련되는 보조 브래킷(660)을 더 포한한다.
여기서, 보조 브래킷(660)은 그 일측이 연장봉(640)과 고정 결합되며 중앙 부분은 회전 브래킷(620)과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실린더(610) 구동에 의해 회전 브래킷(620)이 회전하는 경우, 보조 브래킷(66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돌출돌기(651)는 슬릿홀(661)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조 브래킷(66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연장봉(640)은 중앙에 위치하는 디바이더(510)와 일체로 마련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디바이더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나머지 디바이더 또한 중앙의 디바이어와 별도의 결합봉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610) 구동에 의해 회전 브래킷(620)이 회전하게 되면, 보조 브래킷(660) 또한 동시에 회전면서 디바이더(510)를 지면에 대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베이스 프레임 110: 기어박스모듈
120: 제1 회전풀리 180: 제2 회전풀리
140: 제1 회전 커터 160: 제2 회전 커터
310: 제1 이송벨트 320: 제2 이송벨트
330: 텐션조절풀리 400: 작물이송 보조부
500: 작물진입 유도수단 600: 커터 높낮이조절부
120: 제1 회전풀리 180: 제2 회전풀리
140: 제1 회전 커터 160: 제2 회전 커터
310: 제1 이송벨트 320: 제2 이송벨트
330: 텐션조절풀리 400: 작물이송 보조부
500: 작물진입 유도수단 600: 커터 높낮이조절부
Claims (3)
- 운전석 및 엔진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이 마련되며 작물을 커팅한 후 후방으로 이송하는 자주차량으로서의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로서,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하측 및 상측인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을 분기하여 전달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박스모듈(110);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1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회전풀리(120);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회전풀리(180);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3 회전풀리(190);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물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4 회전풀리(200);
상기 복수의 제2 회전풀리와 상기 복수의 제3 회전풀리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1 이송벨트(310), 상기 제1 회전풀리와 상기 제4 회전풀리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풀리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하나의 제2 이송벨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이송벨트는, 서로 간의 사이 틈을 통해 작물이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의 회전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풀리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5 회전풀리(130);
상기 복수의 제5 회전풀리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제5 회전풀리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커터(140);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모듈의 제2 방향으로의 출력을 각각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회전풀리(120), 제5 회전풀리(130)의 양측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6 회전풀리(150); 및
상기 복수의 제6 회전풀리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제6 회전풀리의 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커터(16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커터에 의해 커팅된 작물이 상기 제1 이송벨트에 밀착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제1 이송벨트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작물이송 보조부(400)가 더 마련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되,
상기 작물이송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결합쇠(410);
상기 결합쇠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1 가이드봉(420);
상기 결합쇠의 내측에 상기 결합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봉(430); 및
상기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복수의 제1 이송벨트 중 나머지 제1 이송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2 가이드봉(440)을 포함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쇠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봉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450)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은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이송벨트 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며,
상기 자주차량의 전방 이동시, 자주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들이 상기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사이 틈으로 진입하는 것을 유도하는 작물진입 유도수단(500)이 마련되며,
상기 작물진입 유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며 전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디바이더(510); 및
상기 디바이더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바(520)를 포함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234A KR101416056B1 (ko) | 2012-12-26 | 2012-12-26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234A KR101416056B1 (ko) | 2012-12-26 | 2012-12-26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458A KR20140083458A (ko) | 2014-07-04 |
KR101416056B1 true KR101416056B1 (ko) | 2014-07-07 |
Family
ID=5173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3234A KR101416056B1 (ko) | 2012-12-26 | 2012-12-26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60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2010A (ko) * | 2016-11-09 | 2018-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작물 수확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0845B1 (ko) * | 2017-11-08 | 2019-08-14 | 대한민국 | 작물 수확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809Y1 (ko) * | 1988-10-10 | 1991-02-08 | 강헌국 | 경운기용 예취기 |
JPH08172847A (ja) * | 1994-12-22 | 1996-07-09 | Honda Motor Co Ltd | 草刈機 |
KR19980060919U (ko) * | 1997-03-19 | 1998-11-05 | 연희철 | 트랙터용 잔디깍기 |
KR101030783B1 (ko) | 2011-01-25 | 2011-04-28 | 서종태 | 부추 수확기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3234A patent/KR101416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809Y1 (ko) * | 1988-10-10 | 1991-02-08 | 강헌국 | 경운기용 예취기 |
JPH08172847A (ja) * | 1994-12-22 | 1996-07-09 | Honda Motor Co Ltd | 草刈機 |
KR19980060919U (ko) * | 1997-03-19 | 1998-11-05 | 연희철 | 트랙터용 잔디깍기 |
KR101030783B1 (ko) | 2011-01-25 | 2011-04-28 | 서종태 | 부추 수확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2010A (ko) * | 2016-11-09 | 2018-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작물 수확기 |
KR101864595B1 (ko) | 2016-11-09 | 2018-06-11 | 대한민국 | 작물 수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458A (ko) | 2014-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37359B2 (ja) | コンバイン | |
JP6437361B2 (ja) | コンバイン | |
KR101349337B1 (ko) | 콤바인용 작물 이송장치 | |
KR101416056B1 (ko)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
JP2008154536A (ja) | 豆刈り機の茎葉搬送装置 | |
KR101416055B1 (ko) |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
KR200325480Y1 (ko)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
JP4402904B2 (ja) | 農作業機 | |
JP4956303B2 (ja) | 自脱型コンバイン | |
KR101560533B1 (ko) |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 |
JPH08289641A (ja) | 農産物収穫機 | |
KR101416054B1 (ko) | 콤바인용 작물 이송장치 | |
JP7157403B2 (ja) | 作物収穫機 | |
JP5653887B2 (ja) | トラクタ牽引式食用コーン収穫機 | |
JP2004159574A (ja) | 農作業機 | |
KR101797159B1 (ko) | 박스재배 농작물 수확장치 | |
JP6437360B2 (ja) | コンバイン | |
JP3763808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構造 | |
JP2009011235A (ja) | コンバイン | |
KR101362223B1 (ko) | 작물 수확용 콤바인장치 | |
JP4539931B2 (ja) | 野菜収穫機 | |
JP2006254706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JP4104118B2 (ja) |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 |
JP3547331B2 (ja) | 作物収穫機 | |
JP5313748B2 (ja) | 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