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95B1 -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95B1
KR101864595B1 KR1020160149042A KR20160149042A KR101864595B1 KR 101864595 B1 KR101864595 B1 KR 101864595B1 KR 1020160149042 A KR1020160149042 A KR 1020160149042A KR 20160149042 A KR20160149042 A KR 20160149042A KR 101864595 B1 KR101864595 B1 KR 10186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crops
height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010A (ko
Inventor
전현종
최일수
현창식
강태경
최용
김영근
이상희
김성우
이충근
최덕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0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cutters at the fro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2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작물 수확기는, 차체, 예취부, 이송부, 한 쌍의 회전체들, 높이조절부 및 수집배출부를 포함한다. 예취부는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물을 모아서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들 및 가이드유닛들에 의해 가이드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한다. 이송부는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한다. 회전체들은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작물을 이송부로 안내한다. 높이조절부는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한다. 수집배출부는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한다. 이에 따라, 초장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물 수확기{CROP HARVESTER}
본 발명은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범용화된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수확기란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데 사용되는 농업 기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참깨와 같은 작물은 재배 후 예취하는 예취 단계, 예취된 작물들을 일정한 양으로 묶는 단묶기 단계, 묶여진 작물들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작물들을 탈곡하는 탈곡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확한다. 여기서, 예취 단계는 작업자가 넓은 재배 공간을 돌아다니며 작물을 수확하여야 하므로 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참깨와 같이 주로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재배되는 작물의 경우, 조간을 일정하게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러한 작물을 수확함에 있어 기계화에 유리한 특징이 있으며, 농가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업의 편의성과 예취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계화된 작물 수확기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종래의 작물 수확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765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57570호 등에서 참깨와 같은 작물을 수확하기에 적합한 작물 수확기들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작물 수확기들은 초장(草長)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장(草長)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는, 차체, 예취부, 이송부, 한 쌍의 회전체들, 높이조절부 및 수집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는 상기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물을 모아서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들 및 상기 가이드유닛들에 의해 가이드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회전체들은 상기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상기 이송부로 안내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수집배출부는 상기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벨트들 및 상기 각 이송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된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체를 지지하는 이동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지지축의 상기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작물의 초장을 감지하는 초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초장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작물의 초장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축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들의 높이들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예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들에 각각 부착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차체와 결합되며, 상기 차체 및 상기 차체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회전체,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수집배출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센서유닛이 감지한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을 예취하여 수집하기 위한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작물 수확기가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작물을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이송부로 안내하는 회전체들을 포함하고,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참깨, 들깨, 콩, 팥, 녹두 등과 같이 초장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작물이라 하더라도 초장이 다소 차이가 나는 품종이나 재배된 기간이 달라 초장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형의 상태에 따라 작물의 초장이 다른 경우에도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작물을 예취하고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가 작물의 초장을 감지하는 초장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전방에 위치한 작물의 초장이 긴 경우 및 짧은 경우를 신속히 감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물 수확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된 작물의 위치에 따라 주행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진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작물 수확기의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작물 수확기의 수집배출부를 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수확기(100)는, 차체(110), 예취부(120), 이송부(130), 한 쌍의 회전체들(140), 높이조절부(150) 및 수집배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110)는 상기 작물 수확기의 외형을 형성하며, 각종 프레임(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설치되며, 대지에 있는 작물을 절단한다. 상기 작물은, 예를 들면, 참깨와 같이 주로 2열로 재배되는 작물일 수 있다. 상기 작물은, 참깨 이외에도 들깨, 콩, 팥, 녹두 등과 같이 초장(草長)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일 수 있다. 초장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을 상기 작물 수확기(100)로 수확이 가능한 이유는 후술한다.
상기 예취부(120)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조작 등에 의한 주행부(17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물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주행부(170)가 이동하면, 대지에 있는 작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예취부(120)에 제공되며, 상기 예취부(120)는 제공된 작물을 절단한다.
상기 예취부(120)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 및 예취날(124)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모아서 후방으로 가이드(guide)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은 상기 대지에 심어져 있는 작물을 상기 예취날(124)로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유닛(122)들은, 무성하게 자란 작물들 사이를 상기 작물 수확기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무성하게 자란 상기 작물들을 상기 예취날(124)들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방이 뾰족한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지며, 그 형상에 있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 사이로 상기 작물들이 들어오면, 상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경사면을 다라 자연스럽게 상기 절단유닛들 사이로 작물들이 순차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예취날(124)은 상기 가이드유닛(122)에 의해 가이드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한다. 상기 예취날(124)은, 일 예로, 회전에 의해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는 회전날일 수 있다. 상기 예취날(1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122)에 대응하여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예취날(124)들은, 원판형의 회전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톱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예취날(124)은 한 쌍이 배치되어 서로 날이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이 상기 예취날(124)들 사이에 제공될 때, 상기 예취날(124)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취부(12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에 각각 부착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126)이 감지한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주행부(170)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센서유닛(126)은 상기 주행부(17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상기 작물이 위치한 방향으로만 진행될 수 있고, 작물이 위치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진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0)를 이용하면, 대지에 심어진 다수의 작물들을 예취하는 경우, 특히 2열 또는 그 이상으로 재배하는 작물의 경우,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124)가 작물을 절단하기 위한 예취부까지 가이드하여 작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예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예취부(120)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상기 차체(110)의 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예취부(120)의 상기 예취날(124)들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하여 절단된 작물의 윗부분을 잡고 상기 절단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130)는 한 쌍의 이송벨트(132)들 및 복수의 롤러모듈들(134, 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2)들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차체(110)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체(110)의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2)들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서로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벨트(132)들의 면에는 다수의 돌기(도시되지 않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134)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모듈들(134, 136)은 상기 각 이송벨트(132)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벨트(132)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한다.
상기 롤러모듈들(134, 136)은,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수평하게 상기 각 이송벨트(132)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롤러(134) 및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롤러(134)에 비해 낮은 위치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132)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롤러(134)는 대략 지면방향과 수평인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롤러(136)는 대략 지면방향과 수직인 회전축을 가져서,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2)들은 꼬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130)는 전방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후방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36)는 전방 가이드롤러(136a) 및 후방 가이드롤러(13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136a)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도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6b)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뒤쪽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136a)는 후술되는 회전체(1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6b)는 상기 회전체(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136)는 상기 주행롤러(13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순환하는 상기 이송벨트(132)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136)의 회전은 후술하는 상기 회전체(14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체(140)들은, 상기 예취날(1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상기 이송부(130)로 안내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체(14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체(140)들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이송벨트(132)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140)들은, 상기 작물 수확기(100)가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절단된 상기 작물들을 상기 이송벨트(132)로 안전하고 효율적이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에 대응하여 상기 예취날(124)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들의 상부를 그립(grip)하여 상기 이송벨트(134)로 가이드한다.
상기 회전체(140)들 각각은, 회전판(142) 및 다수의 이송가이드(1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144)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42)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판(142)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가이드(144)들은 상기 회전판(142)의 상단 또는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판(1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판(142)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긴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이송벨트(132) 사이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체(140)들의 회전 동력은 상기 이송벨트(132)들을 순환시키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36)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체(140)들의 회전 동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136) 중에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6b)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6b)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가이드롤러(136b)의 회전 속도가 빠를 경우 상기 작물을 적절히 그립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속도감속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고정축(152) 및 이동지지축(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2)은 상기 차체(110)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지지축(154)은 상기 고정축(15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체(140)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상기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140)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어느 하나의 작물 혹은 유사한 초장을 갖는 몇 개의 작물들에 대해서만 채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초장을 갖는 다수의 작물들에 대해서도 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참깨, 들깨, 콩, 팥, 녹두 등과 같이 초장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작물이라 하더라도 초장이 다소 차이가 나는 품종이나 재배된 기간이 달라 초장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품종의 작물이 한 곳에 심어져 있는 경우에도, 지형의 상태에 따라(예를 들면, 중간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작물의 초장이 다를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 높이조절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140)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작물을 예취하고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수동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초장센서(156, 도 3 및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장센서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작물의 초장을 감지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초장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작물의 초장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140)들의 높이들을 서로 동일하게 조절할 수도 있지만,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체(140)들의 높이들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140)들로부터 연장된 상기 이송가이드(144)들이 회전에 의해 서로 교차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방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140)들의 가이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장센서는 동일한 작물들을 예취할 때에도 지형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작물 수확기의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전방에 위치한 초장이 비교적 짧은 제1 작물(10)에 대해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높이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회전판(140)이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제1 작물(10)의 상부를 그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전방에 위치한 초장이 비교적 긴 제2 작물(20)에 대해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높이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회전판(140)이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제2 작물(10)의 상부를 그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50)가 상기 초장센서(156)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초장센서(156)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작물이 상기 제1 작물(10)과 같이 초장이 비교적 짧은 경우와, 상기 제2 작물(20)과 같이 초장이 비교적 긴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동지지축(154)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초장센서(156)가 상기 고정축(152)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장센서(156)는 앞서 설명한 상기 센서유닛(126)과 동일한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센서유닛(126)과 상기 초장센서(156)가 일체화된 센서는 상기 센서유닛(126)이 배치된 위치 혹은 상기 초장센서(156)가 배치된 위치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부(150)가 초장센서(156)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지형의 상태에 따라 작물의 초장이 다를 때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작물 수확기의 수집배출부를 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집배출부(160)는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집배출부(160)는 수집유닛(162) 및 고정장치(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된 작물들은 상기 이송부(130)가 상기 수집배출부(160)로 이송하여, 상기 작물들이 일정량 수집되면 독립적으로 배출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집유닛(162)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수집유닛(1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6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유닛(162)에 이송된 작물들이 일정량 수집되면, 사용자는 상기 수집유닛(162)을 상기 고정장치(164)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상기 차체(110)와 결합되며, 상기 차체(110) 및 상기 차체(110)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120), 상기 이송부(130), 상기 회전체(140), 상기 높이조절부(150) 및 상기 수집배출부(16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7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밀고 당기는 작업자의 물리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을 예취하여 수집하기 위한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작물 수확기가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작물을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이송부로 안내하는 회전체들을 포함하고,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참깨, 들깨, 콩, 팥, 녹두 등과 같이 초장이 상이한 다양한 작물들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작물이라 하더라도 초장이 다소 차이가 나는 품종이나 재배된 기간이 달라 초장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형의 상태에 따라 작물의 초장이 다른 경우에도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작물을 예취하고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가 작물의 초장을 감지하는 초장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전방에 위치한 작물의 초장이 긴 경우 및 짧은 경우를 신속히 감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물 수확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된 작물의 위치에 따라 주행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진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작물 수확기 110 : 차체
120 : 예취부 130 : 이송부
140 : 회전체 150 : 높이조절부
160 : 수집배출부 170 : 주행부

Claims (8)

  1. 차체;
    상기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물을 모아서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들 및 상기 가이드유닛들에 의해 가이드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상기 이송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체들;
    상기 작물의 초장(草長)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체를 지지하는 이동지지축;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초장이 상이한 다수의 작물들의 초장을 감지하기 위한 초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초장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작물의 초장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축의 상기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들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벨트들; 및
    상기 각 이송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초장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작물의 초장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축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들의 높이들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들에 각각 부착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작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결합되며, 상기 차체 및 상기 차체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회전체,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수집배출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센서유닛이 감지한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KR1020160149042A 2016-11-09 2016-11-09 작물 수확기 KR10186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42A KR101864595B1 (ko) 2016-11-09 2016-11-09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42A KR101864595B1 (ko) 2016-11-09 2016-11-09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10A KR20180052010A (ko) 2018-05-17
KR101864595B1 true KR101864595B1 (ko) 2018-06-11

Family

ID=6248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42A KR101864595B1 (ko) 2016-11-09 2016-11-09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0511A (zh) * 2019-06-05 2019-08-20 厦门道塑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林业工程的草坪修剪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87B1 (ko) * 2020-10-27 2021-09-16 이혁진 농작물 이식 및 수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527B1 (ko) * 2002-12-27 2006-01-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확기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101416056B1 (ko) 2012-12-26 2014-07-07 (주)에이스테크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548B1 (ko) * 2014-11-13 2017-03-15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527B1 (ko) * 2002-12-27 2006-01-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확기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101416056B1 (ko) 2012-12-26 2014-07-07 (주)에이스테크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0511A (zh) * 2019-06-05 2019-08-20 厦门道塑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林业工程的草坪修剪设备
CN110140511B (zh) * 2019-06-05 2020-08-25 浙江木田工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林业工程的草坪修剪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10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405B1 (ko)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714548B1 (ko) 작물 수확기
KR101864595B1 (ko) 작물 수확기
JP2018143198A (ja) 農作物収穫機
EP3269225B1 (en) Dual header
US5255500A (en) Cutter unit for combines
JP4934581B2 (ja) 葉菜収穫機
JP2020141568A (ja) 根菜収穫機
KR101402765B1 (ko) 작물 수확기
KR101442981B1 (ko) 채소 수확기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KR20190052291A (ko) 작물 수확기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JP5059578B2 (ja) 葉菜収穫機
JP6688028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の茎葉引起し装置
KR200473861Y1 (ko) 야채 수확기
KR200200092Y1 (ko) 농산물 채취기
KR101860526B1 (ko) 모종 정리기
JP2002000029A (ja) 収穫機
JP3351784B2 (ja) 収穫機
JP2918516B2 (ja) 収穫機
JPH119045A (ja) 収穫機
JPH11346521A (ja) 作物の収穫機
JP2008079520A (ja) 農作物の収穫装置又は調整装置
KR101362223B1 (ko) 작물 수확용 콤바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