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527B1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527B1
KR100542527B1 KR1020030097031A KR20030097031A KR100542527B1 KR 100542527 B1 KR100542527 B1 KR 100542527B1 KR 1020030097031 A KR1020030097031 A KR 1020030097031A KR 20030097031 A KR20030097031 A KR 20030097031A KR 100542527 B1 KR100542527 B1 KR 10054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ground
support
senso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70A (ko
Inventor
니시다가즈히꼬
다까하라가즈히로
도이히사시
마쯔바야시도모야
가와세무네유끼
데라오소또까즈
쯔지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8106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03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6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03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3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188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4006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분초 프레임(16)을 갖는 예취부(10)가 주행기체에 대하여 요동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이고, 상기 예취부의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는 상기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한 접지 센서(21)와, 이 접지 센서의 요동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22)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는 상기 접지 센서(21) 및 검출부(22)를 지지하고, 이들 접지 센서 및 검출부와 함께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하여 기체 전후방향의 회전축심 Y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체(25)와, 이 지지체를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한 기준회전 위치 N으로 회전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 실린더, 예취부, 분초 프레임, 분초 프레임의 굴곡부, 접지 센서

Description

수확기 {Harvester}
도1은 콤바인 전방 부분의 측면도.
도2는 예취부의 주프레임 및 대지 높이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의 측면도.
도4는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의 평면도.
도5는 코일 스프링의 압박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6은 기어연동 기구의 측면도.
도7은 지지체의 일부 단면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8의 (a)는 결합부의 정면도, (b)는 접지 센서의 접지 작용부에서의 단면도.
도9는 블록도.
도10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예취부의 측면도.
도11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기어 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12는 도11의 기어 케이스의 스톱퍼의 배치부에서의 단면도.
도13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예취부의 종단 정면도.
도14는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예취부의 절취 정면도.
도15는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예취부를 하방의 범위에 위치시킨 때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도16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예취부를 상방의 범위에 위치시킨 때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유압 실린더
10 : 예취부
16 : 분초 프레임
16b : 분초 프레임의 굴곡부
21 : 접지 센서
22 : 검출부
22a : 검출부의 입력축
25 : 지지체
40 : 기어 케이스
41 : 회전 지지축
44 : 기어연동 기구
55 : 스토퍼
60 : 압박 수단
83 : 밸런스 스프링
D : 하방의 범위
N : 지지체의 기준회전 위치
U : 상방의 범위
Y : 지지체의 회전축심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분초 프레임을 갖는 예취부가 주행기체에 대하여 요동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이고, 상기 예취부의 대지(對地) 높이 검출 장치가,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한 접지 센서와, 이 접지 센서의 요동각에 기초하여 상기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수확기에 있어서는,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이 대지 높이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높이가 설정 높이 이하가 되면, 예취부를 주행기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있다. 또한, 대지 높이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예취부의 대지 높이가 설정 범위 내로 되도록, 예취부를 주행기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기체가 전후로 경사지더라도 예취부의 분초구가 지면에 파고드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예취 장치에 의한 베기 높이를 설정 높이로 유지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0-577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히, 제2면 및 도2 내지 도3 참조).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는, 분초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한 접지 센서 및 이 접지 센서의 요동각에 기초하여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여,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접지 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썰매형의 대지 접촉부재(접지 센서에 상당)가, 분초 지지간(분초 프레임에 상당)에 대하여 횡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지 접촉부재가 하방으로 일정 이상 요동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대지 접촉부재가 상방으로 일정 이상 요동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하여지면, 예취부가 지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흔들려 움직이는 것으로부터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으로 미끄러짐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검출 장치를 채용한 경우에는,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으로 미끄러졌을 때, 접지 센서가 지면상의 융기부나 흙덩어리 등에 걸려, 접지 센서나 센서 지지부 등에 강한 굽힘력 등이 걸리기 쉽게 되어 있었다. 검출부에도 무리한 힘이 걸리기 쉽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으로 미끄러지더라도, 접지 센서 등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은 수확기의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수확기의 특징 구성은, 상기 대지 높이 검출 장치가, 상기 접지 센서 및 검출부를 지지하여, 이들 접지 센서 및 검출부과 함께,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하여 기체 전후방향의 회전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체와, 이 지지체를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한 기준회전 위치로 회전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즉, 접지 센서를 기체 전후방향의 회전축심 주위에서 회전[소위 롤링(ro1ling)]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상의 융기부나 흙덩어리 등과의 충돌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 가능하게 한 점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이동할 때, 융기부에 걸리는 등에 의하여 이동저항이 작용하면, 이 저항의 크기에 따라서는 접지 센서가 지지체와 함께 압박 수단에 대항하여 롤링을 한다. 이 때, 검출부도 접지 센서와 함께 롤링한다. 그 다음, 접지 센서의 걸림이 벗어나서 회전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지지체가 압박 수단에 의한 회전압박 때문에 기준회전 위치로 되돌아가고, 접지 센서도 지지체와 함께 회동하여 검출용 자세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지 센서가 융기부 등에 걸리더라도, 접지 센서와 검출부가 롤링함으로써, 접지 센서나 센서 지지부나 검출부에는,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세기보다도 강한 굴곡력 등의 무리한 조작력이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으로 미끄러지더라도, 접지 센서나 검출부 등에 무리한 굴곡력 등이 걸리기 어렵고,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운 내구성이 풍부한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접지 센서가, 상기 회전축심에 직교하는 요동축심 주위에,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하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만일 접지 센서의 요동축심이 지지체의 회전축심보다 저레벨로 위치하면, 기준회전 위치에 있는 지지체의 하단측이 지지체 회전축심보다 기체 하방측으로 크게 돌출하여 지지체의 최저 지상높이가 낮게 되어, 지지체가 지면상의 융기부에 닿는 등의 일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다른 한편, 접지 센서의 요동축심이 지지체의 회전축심보다 고레벨로 위치하면, 기준회전 위치에 있는 지지체의 상단측이 지지체 회전축심보다 기체 상방측으로 크게 돌출하여 지지체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게 되어, 지지체가 대형화하기 쉽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이 구성에서는 접지 센서의 요동축심과 지지체의 회전축심이 직교하므로, 접지 센서나 검출부의 롤링에 의한 파손회피가 가능한 구성을 얻는 때는, 지지체의 최저 지상높이를 적극적으로 높게 하고, 또한 지지체의 상하 방향 길이를 적극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접지 센서나 검출부의 롤링에 의해서 그 변형이나 파손을 회피 가능한 것에 더하여, 지지체의 최저 지상높이가 높아져 지지체의 접지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도 회피하기 쉽게 되고, 또한 지지체가 상하 길이가 짧은 소형인 것이 되므로 검출 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초 프레임에, 상기 지지체를 기체 상방측으로 우회하는 굴곡부를 설치하여 놓은 것도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굴곡부를 설치하면, 지지체가 기준회전 위치에 있는 접지 센서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분초 프레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상태로 롤링을 할 수가 있 다. 만일 이 굴곡부가 기체 상방측으로 우회하는 대신에 지지체를 기체 가로측으로 우회하는 것이면, 그 굴곡부가 분초 프레임 가로측의 경간 이동 경로에 들어가 경간 이동의 장애물로 되기 쉽게 된다. 이 점,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를 기체 상방측으로 우회하는 것이므로, 경간 이동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 접지 센서가 분초 프레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센서가 전체 길이에 걸쳐 분초 프레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분초 프레임의 가로측을 이동하는 경간에 대한 이동 장애가 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분초 프레임의 굴곡부도 경간 이동의 장애물로 되기 어렵게 되고, 접지 센서가 롤링하여 변형이나 파손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경간이 분초 프레임의 가로측을 지장없이 이동하여 원활히 수확 작업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 센서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지지축을 상기 검출부의 입력축으로 대하여 증속 연동시키는 기어연동 기구와, 이 기어연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기어 케이스와, 상기 회전지지축에 대하여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스토퍼 작용하여 접지 센서의 하강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우선, 접지 센서의 요동에 수반하는 회전지지축의 회전이 기어 기구에 의해서 증속되어 검출부의 입력축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접지 센서가 조금만 요동하더라도 그 요동각의 크기에 비해 검출부가 민감하게 큰 스트로크에 걸쳐 동작하여 검출작동을 한다.
또한, 접지 센서를 접지한 채로 하여 후진 주행하면 접지 센서에 하강 요동 시키는 조작력이 계속하여 작용하지만, 이 경우 접지 센서가 하강 요동하는 것에 따라 스토퍼가 회전 지지축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하강 요동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접지 센서에 하강 요동시키는 조작력이 계속하여 작용하더라도, 검출부의 입력축이 한계 이상으로 과잉 회전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스토퍼는 기어 케이스 내에서 작용하므로, 스토퍼에 경간 부스러기 등이 부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간 부스러기 등의 부착에 의한 접지 센서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검출부의 과잉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센서의 요동각의 크기에 비해, 검출부가 민감하게 큰 스트로크에 걸쳐 동작하여 정확하고도 정밀도 좋은 검출작동을 할 수가 있다. 또, 접지 센서가 접지한 채로 후진되는 등, 접지 센서에 하강 조작력이 계속하여 작용하더라도, 검출부가 과잉 조작되어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만큼 스토퍼에 경간 부스러기 등이 부착하여 센서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부에 압력유 공급에 따라 중량에 저항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배유에 따라 예취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예취부의 접지압을 감소시키도록 예취부를 탄성 지지하는 밸런스 스프링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예취부의 승강 범위가 설정레벨을 기준으로 상하 2개의 범위로 구획되어, 이 설정레벨보다도 하방의 범위에서는 예취부의 탄성지지를 행하고, 이 설정레벨보다도 상방의 범위에서는 예취부의 탄성지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취부를 승강 범위중 설정레벨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위치시켜 예취하는 작업시에는, 밸런스 스프링을 통하여 예취부를 탄성지지시키는 상태로 접지 썰매를 접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접지 썰매의 접지반력으로 지면의 요철에 추종하여 예취부를 자동 승강시킴으로써,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상방의 범위에 예취부를 위치시킨 때에는, 밸런스 스프링의 예취부에 대한 작용을 해제시켜 예취부를 고정 지지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예취부를 상방의 범위에 위치시켜 부정지 등에서의 이동주행이더라도, 예취부의 자주기체에 대한 상하 요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취시에는, 설정된 높이로 예취하면서 이동주행을 안정한 상태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수확기의 그 외의 다른 특징적 구성 및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작용효과 및 유리한 점에 관하여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수확기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이 콤바인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1)에 의해서 자주하는 자주기체에, 운전좌석(2)이 장비된 탑승형의 운전부와, 운전좌석(2)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 원동부를 탑재하고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지지부(4)에는, 예취부(10)의 전처리부 프레임(11)의 기단부가 횡방향의 축심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의 후단측으로는, 탈곡 장치(5)와, 탈곡후의 벼 또는 보리 등의 어떤 곡물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처리부 프레임(11)에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유압 실린더에 상당함, 8)의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어 있다. 이 리프트 실린더(8)는, 신축조작하여 전 처리부 프레임(11)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따라, 예취부(10)를, 이 예취부(10)가 지면상 가까이 까지 하강한 작업 위치와, 예취부(10)가 지면상에서 높게 부상한 상승 비작업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리프트 실린더(8)는 예취부(10)를 압력유 공급에 따라 중량에 저항하여 상승시키는 동시에, 배유에 따라 예취부(10)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0)를 하강작업 위치로 하여 자주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부(10)가 복수의 식부조의 예취 대상 식립 경간을 기체 가로 방향에 나란히 서는 여러 개의 분초구(12)에 의해서 분초하여 기체 가로 방향에 나란히 서는 복수의 인기(引起) 장치(13) 중의 대응하는 것에 안내하여, 각 인기 장치(13)의 상승이동하는 일으켜 세운 갈고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인기 처리함과 동시에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4)에 의해서 예취되고, 예취된 곡간을 그루터기 측으로 작용하는 협지 반송 장치와 이삭 전방측으로 작용하는 걸림 고정 반송 장치로 이루어지는 반송 장치(17)에 의해서 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고, 탈곡 장치(5)가 반송 장치(17)로부터 예취된 곡간을 탈곡 피드체인(5a)에 의해서 기체 후방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삭 끝을 취급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여, 곡물 탱크(6)가 탈곡 장치(5)로부터의 탈곡 알갱이를 회수하여 저류하여 간다.
예취부(10)에 관해서 더 상술하면, 도1, 도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기체 프레임(3)의 상기 지지부(4)에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기체 전후방향의 전동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11a) 및 이 메인 프레임(11a)의 선단부에 중간부가 연결되어 있는 기체 횡방향의 전동 케이스(15) 등에 의해서 상기 전처리부 프레임(11)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전동 케이스(15)가 구비하고 있는 지지 부재(15a)의 기체 가로 방향에서의 복수개소에서 분초 프레임(16)을 기체 전방향으로 연장시켜, 인접하는 한 쌍의 분초 프레임(16)에 의해 곡간 인기 경로(18)를 형성하여, 각 분초 프레임(16)의 선단부에 상기 분초구(12)를 고정하고, 각 곡간 인기 경로(18)의 가로측으로 상기 곡간 인기 장치(13)를 배치하여, 상기 복수 라인의 분초 프레임(16)의 기단부에 걸쳐 상기 예취 장치(14)가 부착되어 있다.
도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의 상기 여러 개의 분초구(12) 중의 기체의 가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2)의 약간 뒤쪽에, 접지 센서(21)를 이용하여 예취부(10)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를 설치하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의 검출부(22)를 연계시킨 제어 수단(30)에, 상기 리프트 실린더(8)의 제어밸브(31)의 전자 조작부, 운전부에 설치된 베기 높이 설정 수단을 연계시켜 놓는다.
베기 높이 설정 수단(32)은, 인위 조작가능한 포텐셔미터로 이루어져, 베기 높이 제어에 의해서 유지될 예취 장치(14)의 베기 높이를 변경가능하게 설정하여, 이 설정 베기 높이를 전기 신호로 하여 제어 수단(3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져,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 정보 및 베기 높이 설정 수단(32)에 의한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실린더(8)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베기 높이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높이가 베기 높이 설정 수단(32)에 의한 설정 베기 높이로부터 벗어나면, 제어밸브(31)에 리프트 실린더(8)를 조작시키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리프트 실린더(8)를 예취부(10)의 상승측이나 하강측으로 조작하여, 이에 의해서 예취부(10)가 상승하든지 하강하여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가 베기 높이 설정 수단(32)에 의한 설정 베기 높이에 대응하는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상태가 되면 제어밸브(31)에 리프트 실린더(8)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리프트 실린더(8)를 정지 조작하여 예취부(10)의 상승이나 하강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확작업을 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수단(30)에 의한 베기 높이 제어를 온으로 전환하여 놓는다. 그러면,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높이가 베기 높이 설정 수단(32)에 의한 설정 베기 높이로 되도록 예취부(10)를 자동적으로 승강 조작하는 베기 높이 제어가 행해져, 주행지면의 요철이나 경사 때문에 자주기체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더라도 예취 장치(14)의 대지 높이가 설정높이 또는 그에 가깝게 유지되어, 그루터기의 높이가 설정 베기 높이 또는 그에 가깝게 되는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승강 레버(34)는 운전부에 인위 조작하도록 설치되고, 조작되 면 예취부(10)를 상승이나 하강시키는 지령을 제어 수단(30)에 출력함으로써 예취부(10)를 상승조작이나 하강 조작시키는 것이다. 즉, 예취부(10)를 인위적으로 승강 조작하는 것이다. 제어 수단(30)은, 상기 승강 레버(34)가 조작되어 상승이나 하강 지령을 입력한 경우,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결과에 우선하여 제어밸브(31)를 절환 조작하여 리프트 실린더(8)를 예취부(10)의 상승측이나 하강측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도2, 도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는, 상기 여러 개의 분초구(12) 중, 운전부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기체의 가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2)의 뒤쪽에 가까운데서, 이 분초구(12)를 지지하는 상기 분초 프레임(16)의 선단 부근에 부착된 지지체(25), 이 지지체(25)의 하부의 가로 측면쪽에 기단측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접지 센서(21), 상기 지지체(25)의 상부의 가로 측면쪽에 부착된 상기 검출부(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5)는, 전후측으로 핀모양의 부착부(51, 52)가 붙어 있는 판금제의 부착부재(50)와, 이 부착부재(50)의 상기 양부착부(51, 52)의 사이에 일 측면이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어 케이스(40)로 구성되고, 그리고 분초 프레임(16)의 기단측 부분(16a)을 구성하는 환형 강관제의 선단부에 굴곡 환봉재를 연결함으로써 분초 프레임(16)의 선단부에 설치한 굴곡부(16b)에 상기 양부착부(51, 52)로 연결되어 있다. 즉, 굴곡부(16b)의 선단측에 있어서 기체 상하방향 부분의 하부에 통형체를 부착하여 설치한 전방 지지부(16c)의 부착 구멍에 상기 전방측의 부착부(51)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굴곡부(16b) 의 기단측에 있어서 기체 상하방향 부분의 하부에 브래킷을 부착하여 설치한 후방 지지부(16d)의 부착 구멍에 상기 후방측의 부착부(52)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굴곡부(16b)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25)는, 양부착부(51, 52)의 축심상에 위치하는 기체 전후방향의 축심 Y 주위에서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고 있고, 분초 프레임(16)의 상기 굴곡부(16b)는, 지지체(25)를 기체 상방측으로 우회하도록 되어 있다.
접지 센서(21)는, 전단측에 부착편 부재(21c)를 구비하도록, 중간부에 전방 단부(21b)나 후단측으로부터 기체 하방 방향으로 돌출한 접지작용부(21a)를 구비하도록 굽힘 성형한 띠형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그리고 지지체(25)의 상기 기어 케이스(40)의 입력축(41)에 부착편 부재(21c)를 일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지지체(25)에 지지시켜 놓는다. 이에 따라, 접지 센서(21)는, 상기 입력축(41)의 지지체(25)의 상기 회전축심 Y와 직교하는 축심 X 주위에서 지지체(25)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지지체(25)와 함께 상기 축심 Y 주위에서 분초 프레임(25)에 대하여 도5의 (b)에 도시한 정회전 방향 A로도, 도5의 (c)에 도시한 역회전 방향 B로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3, 도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의 부착핀(51)에 코일부가 외삽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의 일례; 60)의 양단부(61, 62)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배치한 스프링 스토퍼부(16e)를 분초 프레임(16)의 굴곡부(16b)에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 스토퍼부(16e)보다 코일 스프링(60)의 코일부측으로 들어간 위치로 상기 양스프링 단부(61, 62)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배치한 스프링 조작핀(53)을 지지체(25)의 상기 부착부재(50)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지지체(25)는 상기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회전 압박되어 있다. 즉, 지지체(25)의 분초 프레임(16)에 관한 회전축심 Y 주위에서의 회전 위치 중,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센서(21)의 지지체(25)에 대한 요동축심 X가 기체 횡방향으로 되어 접지 센서(21)가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축심 X 주위에서 상하 요동하는 것으로 되는 회전 위치를 기준회전 위치 N으로 하고, 지지체(25)가 이 기준회전 위치 N에서 정회전 방향 A 및 역회전 방향 B의 어느 쪽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더라도, 그 회전 조작력이 해제되면, 기준회전 위치 N으로 자연히 회전 복귀하도록 회전 압박되어 있다.
즉,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5)가 기준회전 위치 N에서 플러스 회전 방향 A로 회전 조작되면, 코일 스프링(60)의 한 쪽 제1 스프링 단부(61)가 스프링 스토퍼(16e)에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다른 쪽 제2 스프링 단부(62)가 스프링 조작핀(53)에 의해서 플러스회전 방향 A로 압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이 탄성 변형하여 지지체(25)를 기준회전 위치 N으로 복귀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5)가 기준회전 위치 N에서 역회전 방향 B로 회전 조작되면, 코일 스프링(60)의 제2 스프링 단부(62)가 스프링 스토퍼(16e)에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제1 스프링 단부(61)가 스프링 조작핀(53)에 의해 역회전 방향 B로 압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이 탄성 변형하여 지지체(25)를 기준회전 위치 N으로 복귀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도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22)는, 본체가 상기 기어 케이스(40)의 측면쪽에 고정되어, 입력축(22a)이 상기 기어 케이스(40)의 도6과 같은 이 출력축(4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식의 포텐셔미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40)의 상기 입력축(41)에 대하여 부착부(42a)가 외삽됨과 동시에 입력축(41)의 비원형 형상에 따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부채형 기어(42)와, 이 부채형 기어(42)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출력축(45)에 대하여 외삽되어 있는 동시에 출력축(45)의 비원형 형상에 따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원형 기어(43)로 이루어지는 기어연동 기구(44)가 기어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연동 기구(44)는, 입력축(41)을 출력축(45)에 연동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또한 부채형 기어(42)의 피치원 직경이 원형기어(43)의 피치원 직경보다 큰 것에 의해, 지지체(25)의 접지 센서(21)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회전지지축으로서의 입력축(41)의 회전을 증속하여 검출부(22)의 입력축(22a)에 전달하도록 기어 케이스(40)의 입력축(41)을 검출부(22)의 입력축(22a)에 연동시키고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40)의 내부에, 코일부가 상기 입력축(41)에 외삽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스프링(46)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센서 스프링(46)은, 부채형 기어(42)를 회전 압박함으로써, 접지 센서(21)의 접지작용부(21a)가 확실하게 접지작용 하도록 접지 센서(21)를 하강측으로 요동압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보통시는, 코일 스프링(60) 때문에 지지체(25)가 상기 기준회전 위치 N으로 되어 있어 접지 센서(21)가 축심 X 주위에서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상하 요동하도록 되고 있고, 예취부(10)의 대지 높이가 변화하여 분초 프레임(16)의 대지 높이가 변화하면 접지 센서(21)는 이것의 접지작용부(21a)에 작용하는 접지반력과, 접지 센서(21)의 탄성복원력이나 상기 센서 스프링(46)에 의한 하강력을 때문에 축심 X 주위에서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상승 요동하든지 하강 요동한다. 그러면, 접지 센서(21)의 회전이 기어연동 기구(44)에 의해서 증속하여 검출부(22)의 입력축(22a)에 전달되어 검출부(22)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검출부(22)에 의해, 접지 센서(21)의 지지체(25)에 관한 요동각을 기초로 하여 예취부(10)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예취 장치(14)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를 전기 신호로 하여 제어 수단(30)에 출력한다.
자주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하여져 예취부(10)가 횡으로 흔들리면 접지 센서(21)가 지면 상을 옆으로 미끄러짐 이동하지만, 이 때 접지 센서(21)가 흙덩어리에 걸리거나 하면 이것에 의해서 접지 센서(21)에 작용하는 이동저항 때문에, 접지 센서(21)가 지지체(25)와 함께 축심 Y 주위에서 코일 스프링(60)에 대항하여 롤링하는 동시에 검출부(22)도 함께 롤링하여, 접지 센서(21)나 입력축(41)이 검출부(22)에 코일스프링(60)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세기보다도 강한 무리한 굴곡력 등의 조작력이 걸리지 않게 된다.
도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초 프레임(16)의 상기 기단측 부분(16a)에는, U 자형으로 굽힘 성형한 굴곡 환봉 부재를 부착하여 접지 센서(21)에 대한 결합부(65)를 설치하고 있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결합부(65)에는, 접지 센서(21)의 후단측으로, 그 횡폭 W1가 도8의 (b)와 같은 접지작용부(21a)의 횡폭 W2보다 좁게 되도록 하여 설치한 걸림부(21d)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들어가 있고, 결합부(65)는, 접지 센서(21)의 자유단측이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옆으로 어긋나려고 해도, 좌우 한 쌍의 기체 상하방향의 세로변부(65a)에서 걸림부(21d)에 물림 작용하여, 세로변부(65a) 끼리의 간격이 걸림부(21d)의 옆폭 W1보다 큰 것에 기인하여 센서 자유단측이 틀어져 움직이는 스트로크 이상은 어긋나 움직이지 않도록 그 횡방향으로 어긋남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65)는, 세로변부(65a) 끼리의 간격이 걸림부(21d)의 횡쪽 W1보다 크고, 걸림부(21d)가 결합부(6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접지 센서(21)가 축심 Y 주위에서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즉, 결합부(65)는, 접지 센서(21)에 회전조작력이 작용했을 때, 걸림부(21d)의 횡폭 W1과 세로변부 간격과의 차에 의해서 접지 센서(21)의 축심 Y 주위에서의 롤링을 허용하면서, 접지 센서(21)의 자유단측이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크게 위치가 어긋나서 접지 센서(21)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이것에 의해서 접지 센서(21) 및 입력축(41)등에 무리한 굽힘력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부(10)를 도시한다. 이 예취부(10)에 있어서는,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의 설치 개소와 설치수 이외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콤바인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기체 가로 방향에 나란히 서는 복수 라인의 분초 프레임(16) 중, 기체 양측 가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16)보다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 라인의 분초 프레임(16)의 선단부에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를 설치하여 놓는다.
이와 같이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를 여러 개 설치하여 놓으면, 가령 접지 센서(21)가 홈에 끼워넣어져 일부의 검출 장치(20)가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검출 장치(20)에 의해서 예취부 승강 제어를 계속해서 행할 수가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11,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상기 기어 케이스(40)의 상기 입력축(41)의 일단측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부(40a)에, 스토퍼 볼트(스토퍼의 일례;5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 볼트(55)는, 입력축(41)의 단부에 설치한 평탄부(41a)에 대하여 기어 케이스(40)의 내부에서 스토퍼 작용한다. 이에 따라, 검출부(22)가 조작한계에 이르기 직전에 접지 센서(21)가 하강한계가 되도록 접지 센서(21)의 하강한계를 조절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지 센서(21)가 접지한 채로 자주기체가 후진 주행되어, 접지 센서(21)에 하강 요동시키는 조작력이 계속하여 작용하더라도, 접지 센서(21)가 하강 요동하여 감에 따라, 스토퍼 볼트(55)의 선단부(55a)가 입력축(41)에 접촉하여 접지 센 서(21)의 그 이상의 하강 요동이 저지되어 검출부(22)에 한계 이상의 조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13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부(10)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의 분초 프레임(16)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의 접지 센서(21)가 부착되고 예취부(10)의 대지 높이 검출을 하는 한편,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분초 프레임(16)의 각각에는 접지 썰매(8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접지 썰매(82)를 구비한 분초 프레임(16)에는, 이 접지 썰매(82)의 접지압을 감소시키도록 예취부(10)의 전처리부 프레임(11)을 탄성 지지하는 밸런스 스프링(8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처리부 프레임(11)은 제1 좌우방향 축심(p1) 주위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처리부 프레임(11)의 상하 요동은, 아암 부재(77)가 리프트 실린더(8)의 신축에 의해서 제2 좌우방향 축심(p2) 주위로 요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밸런스 스프링(83)은, 도15, 도16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3)과 아암 부재(77)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받침(84)에 대하여, 예취부(10)의 승강에 따라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런스 스프링(83)은 예취부(10)의 승강 범위 중 설정 레벨보다도 하방의 범위 D에서는 스프링 받침(84)에 작용함으로써 예취부(10)의 탄성지지를 한다. 다른 한편, 설정 레벨보다도 상방의 범위 U에서는 밸런스 스프링(83)이 스프링 받침(84)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밸런스 스프링(83)은 예취부(10)의 탄성지지를 하지 않고, 탄성지지가 해제되어 있다. 즉, 상방의 범위 U는 밸런스 스프링(83)에 의한 예취부(10)의 탄성지지가 작용하지 않는 불감대에 설정되어 있다.
만일 예취부(10)의 승강 범위의 전 범위에서 밸런스 스프링(83)이 예취부(1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예취부(10)를 상승시켜 부정지를 이동 주행 중에는,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10)가 빈번히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기체의 전후 밸런스가 나빠지는 일이 있다. 이 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의 범위 U에서는 밸런스 스프링(83)의 예취부(10)에 관한 작용을 해제시켜 예취부(10)를 고정 지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하 움직임이 방지되어 이동주행이 안정되게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자주 기체의 전후 경사도 불구하고 예취 장치(14)의 대지 높이가 설정 범위로 되도록,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결과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실린더(8)가 예취부(10)의 상승측이나 하강측으로 자동적으로 조작되도록 구성하는 외에, 분초구(12)의 지면에 대한 돌입을 방지하도록,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에 의한 검출결과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실린더(8)가 예취부(10)의 상승측으로 자동적으로 조작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60)에 대체하여, 판 스프링, 고무 등 각종의 스프링 수단을 채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고, 이들 코일 스프링(60), 판 스프링, 고무 등을 총칭하여 압박 수단(60)이라 칭한다.
본 발명은, 콤바인 외에, 양파, 당근 등 각종의 작물을 수확대상으로 삼는 작업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 작업차나 콤바인등을 총칭하여 수확기라 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지 센서가 지면상을 횡으로 미끄러지더라도, 접지 센서 등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은 수확기의 예취부 대지 높이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분초 프레임(16)을 갖는 예취부(10)가 주행기체에 대하여 요동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이며, 상기 예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인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가, 상기 분초 프레임(16)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한 접지 센서(21)와, 이 접지 센서의 요동각에 기초하여 상기 예취부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22)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대지 높이 검출 장치(20)는,
    상기 접지 센서(21) 및 검출부(22)를 지지하여, 이들 접지 센서 및 검출부와 함께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하여 기체 전후방향의 회전축심(Y)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체(25)와,
    이 지지체를, 상기 분초 프레임에 대한 기준 회전 위치(N)로 회전을 가하는 압박 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센서(21)가 상기 회전축심(Y)에 직교하는 요동 축심(X) 주위로, 상기 지지체(25)에 대하여 상하 요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초 프레임에 상기 지지체를 기체 상방측으로 우회하는 굴곡부(16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센서(21)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 지지축(41)을 상기 검출부(22)의 입력축(22a)에 대하여 증속 연동시키는 기어 연동 기구(44)와, 이 기어 연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기어 케이스(40)와, 상기 회전 지지축에 대하여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스토퍼 작용하여 접지 센서의 하강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5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0)에 압력 유체 공급에 따라 중량에 저항하여 상승시킴과 동시에 유체 배출에 따라 예취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유압 실린더(8)와, 상기 예취부의 접지압을 감소시키도록 예취부를 탄성 지지하는 밸런스 스프링(83)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예취부의 승강 범위가 설정 레벨을 기준으로 상하 2개의 범위로 구획되어 이 설정 레벨보다 하방의 범위(D)에서는 예취부의 탄성 지지를 행하고, 이 설정 레벨보다 상방의 범위(U)에서는 예취부의 탄성지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KR1020030097031A 2002-12-27 2003-12-26 수확기 KR100542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1064 2002-12-27
JP2002381064A JP3850372B2 (ja) 2002-12-27 2002-12-27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2003016215A JP3850376B2 (ja) 2003-01-24 2003-01-24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JP-P-2003-00016215 2003-01-24
JP2003063656A JP3851883B2 (ja) 2003-03-10 2003-03-10 コンバイン
JPJP-P-2003-00063656 2003-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70A KR20040060770A (ko) 2004-07-06
KR100542527B1 true KR100542527B1 (ko) 2006-01-11

Family

ID=3427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031A KR100542527B1 (ko) 2002-12-27 2003-12-26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2527B1 (ko)
CN (1) CN129379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010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6905B2 (en) * 2008-05-16 2010-05-18 Deere & Company Sensing assembly for detection of one or more plants
CN102550185A (zh) * 2012-01-04 2012-07-11 张桂荣 一种三行秧苗移栽装置
FR3007240B1 (fr) * 2013-06-25 2015-06-12 Kuhn Sa Machine de recolte comportant un asservissement de la hauteur de relevage d'un outil de recolte
CN104081940A (zh) * 2013-10-10 2014-10-08 江苏江淮动力股份有限公司 水稻联合收割机的行走底盘
US9713305B2 (en) * 2015-07-24 2017-07-25 Deere & Company Harvesting head support arrangement
JP6752123B2 (ja) * 2016-11-16 2020-09-0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収穫機
CN107046928A (zh) * 2017-06-01 2017-08-18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联合收割机割台仿形系统
CN112243343B (zh) * 2018-04-12 2023-01-31 株式会社久保田 收割机
WO2020218464A1 (ja) * 2019-04-25 2020-10-2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障害物判定プログラム、障害物判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障害物判定方法、農作業機、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057A (en) * 1978-03-20 1980-07-08 Massey-Ferguson Industries Limited Combine harvester automatic table height control
JP2813708B2 (ja) * 1993-03-03 1998-10-22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対地高さ検出構造
CA2257049A1 (en) * 1997-12-31 1999-06-30 Richard Gramm Combine header height control
JP2001269031A (ja) * 2000-03-28 2001-10-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010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101864595B1 (ko) * 2016-11-09 2018-06-11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1439A (zh) 2004-07-14
KR20040060770A (ko) 2004-07-06
CN1293796C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659B1 (en) Dual pivot height sensing shoe assembly
US5203154A (en) Hay rake and merger
EP2168421B1 (en) Header ground sensor
USRE30056E (en) Crop harvesting machine header suspension system
KR100542527B1 (ko) 수확기
CN202218524U (zh) 联合收割机
JP2005095045A (ja)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KR20100050327A (ko) 굴취 깊이 조절기구를 갖는 수확기
JP2004283008A (ja) 収穫機
JP393586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JP3850372B2 (ja)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4769217B2 (ja) 刈取収穫機の刈取昇降制御装置
JP3850376B2 (ja)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3828085B2 (ja)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2813708B2 (ja) 刈取収穫機の対地高さ検出構造
JP4101139B2 (ja) 収穫機
JP4818813B2 (ja) 作物列検知装置、作物列追従装置および農業用作業機
JP3828062B2 (ja) 収穫機の刈取り部対地高さ検出装置
JP2643195B2 (ja) 農作業機の水平制御装置
JP3850396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JP2005261304A (ja) 刈取収穫機
JPH0420166Y2 (ko)
JP2004097076A (ja) 刈取り収穫機
JP406385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JP483239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