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65B1 -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765B1
KR101402765B1 KR1020120138670A KR20120138670A KR101402765B1 KR 101402765 B1 KR101402765 B1 KR 101402765B1 KR 1020120138670 A KR1020120138670 A KR 1020120138670A KR 20120138670 A KR20120138670 A KR 20120138670A KR 101402765 B1 KR101402765 B1 KR 10140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conveying
stem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종
김성기
강태경
최일수
최덕규
최용
이충근
현창식
곽태용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8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cutting members on endless belts or sprocket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작물 수확기는, 몸체부, 예취부, 이송부, 지지부 및 주행부를 포함한다. 예취부는,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아서 이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작물을 절단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이송부는 절단된 작물을 절단된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하되, 제1 위치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작물을 제2 위치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한다. 지지부는 이송부의 제1 측에 배치되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부와 연결되어서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작물의 줄기를 수집부로 이송한다. 수집부는 제2 위치의 인근에서 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한다. 주행부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결합된 예취부, 이송부, 지지부 및 수집부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작물을 예취하고 이송하여 수집하는 작업을 한번에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물이 수집부까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적재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물 수확기{CROP HARVESTER}
본 발명은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수확기란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데 사용되는 농업 기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참깨와 같은 작물은 재배 후 예취하는 예취 단계, 예취된 작물들을 일정한 양으로 묶는 단묶기 단계, 묶여진 작물들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작물들을 탈곡하는 탈곡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확한다. 여기서, 예취 단계는 작업자가 넓은 재배 공간을 돌아다니며 작물을 수확하여야 하므로 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참깨와 같이 주로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재배되는 작물의 경우, 조간을 일정하게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를 수확함에 있어 기계화에 유리한 특징이 있으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고안된 농기계에 대해서는 특별히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재배하는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예취할 수 있는 작물 수확기의 개발이 요청되며, 특히 농가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업의 편의성과 예취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물 수확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KR 10-2011-0070144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예취할 수 있고, 작물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송하고 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는, 몸체부, 예취부, 이송부, 지지부 및 주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며,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아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보다 전방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상기 절단유닛으로 가이드(guide)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예취부의 절단유닛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절단된 작물을 절단된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의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를 상기 수집부로 이송한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2 위치의 인근에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한다. 상기 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수집부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두 개의 이송 벨트들 및 상기 각 이송 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들은,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회전 롤러들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인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회전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롤러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제2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롤러들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 롤러들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회전 롤러들 중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과 연결된 제1 지지부 회전 롤러,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지지부 회전 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을 둘러싸며, 상기 이송 벨트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의 상기 작물과 접촉하는 면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예취부의 가이드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1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작물을 상기 절단 유닛을 향하여 유도하는 줄기 방향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절단된 줄기 단부를 정렬하는 줄기단부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을 상기 수집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된 수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곡선 형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의 일측에 장착된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예취부 및 상기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운동을 조작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는, 몸체부, 예취부, 이송부, 지지부 및 주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며,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아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절단된 작물을 절단된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의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면서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를 상기 수집부로 이송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된 한 쌍의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들,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을 둘러싸며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 이송벨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2 위치의 인근에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한다. 상기 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수집부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절단된 줄기 단부를 정렬하는 줄기단부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을 상기 수집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된 수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곡선 형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부에 형성된 예취부의 가이드가 대지에 심어진 다수의 작물들을 가이드하므로 작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예취할 수 있으며, 예취부에서 절단된 직립 형태를 갖는 작물을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여 수집함으로써,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가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고 수집부로 이송하므로,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이 아래로 처지거나 떨어지지 않고 수집부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므로, 상기 작물이 뒤엉키지 않고 수집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물 수확기가 줄기 방향유도부, 줄기단부 정렬부, 수집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물이 상기 수집부까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고, 작물을 예취하고 이송하여 수집하는 작업을 한번에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배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에 의하여 작물이 수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배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에 의하여 작물이 수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100)는, 몸체부(110), 예취부(120), 이송부(130), 지지부(140), 수집부(150) 및 주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작물 수확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각종 프레임(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절단한다. 상기 작물은, 예를 들면, 참깨와 같이 주로 2열로 재배되는 작물일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0)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조작 등에 의한 상기 주행부(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주행부(160)가 이동하면, 대지에 심어진 작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예취부(120)에 제공되며, 상기 예취부(120)는 제공된 작물을 절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예취부(120)는 절단유닛(122) 및 가이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유닛(122)은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며, 일 예로 회전에 의해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는 회전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단유닛(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절단유닛(122)들은, 일 예로 톱니 형상을 가지고 서로 날이 마주보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이 상기 두 개의 절단유닛(122)들 사이에 제공될 때, 상기 절단유닛(122)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24)들은 상기 심어진 작물을 상기 절단유닛(122)들로 가이드(guide)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12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124)들은, 무성하게 자란 작물들 사이를 상기 작물 수확기(100)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무성하게 자란 상기 작물들을 상기 절단유닛(122)들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방이 뾰족한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물 수확기(100)가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4)들 내로 상기 작물들이 들어오면, 상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절단유닛(122)들 사이로 작물들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심어진 작물은, 예를 들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물 수확기(1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4)들 사이에 들어와서 상기 절단유닛(122)들 사이로 제공되고, 상기 절단유닛(122)들이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취부(120)는 상기 가이드(124)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된 보조 가이드(1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각 보조 가이드(124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24)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122)을 향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가이드(124a)는 상기 가이드(124)의 전단에 부착되어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4)들의 사이의 상기 절단유닛(122)을 향하여 연장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124)의 전단을 기준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은 상기 보조 가이드(124a)를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절단유닛(122)들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120)를 이용하면, 대지에 심어진 다수의 작물들을 예취하는 경우, 특히 2열 또는 그 이상으로 재배하는 작물의 경우,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124)가 작물을 절단하기 위한 예취부까지 가이드하여 작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예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절단된 작물을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송한다. 상기 제1 위치(P1)는 상기 작물이 절단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위치(P2)는 후술되는 상기 수집부(150)까지의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예취부(120)의 상기 절단유닛(122)들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절단유닛(122)들에 의하여 절단된 작물의 윗부분을 잡고 상기 절단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P1)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P2)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130)는 이송 벨트(132) 및 복수의 회전 롤러(13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132)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132)들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제1 위치(P1)로부터 상기 제2 위치(P2)로 이송하며, 상기 제1 위치(P1)에서 서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제2 위치(P2)에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서로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벨트(132)들의 면에는 다수의 돌기(13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132)들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돌기(132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벨트(132)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134)들은 상기 각 이송 벨트(132)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 벨트(132)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한다.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134)들은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132)들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위치(P1)에서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회전 롤러들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인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회전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132)들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롤러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P1)에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제2 위치(P2)에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꼬임 형태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13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회전 롤러(134a)들, 상기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회전 롤러(134b)들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갖는 제3 회전 롤러(134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롤러(134a) 및 상기 제3 회전 롤러(134c)는 전방에 위치하며, 대략 지면방향과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다. 상기 제2 회전 롤러(134b)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롤러들(134a, 134c)과는 다르게, 대략 지면방향과 수평인 회전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제1 위치(P1)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P2)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작물(빗금친 부분)이 상기 제1 위치(P1)에서 직립 형태를 갖고 상기 제2 위치(P2)에서 누운 형태를 갖는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회전 롤러(134a) 및 상기 제3 회전 롤러(134c)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 벨트(132)는 대략 상기 가이드(124)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작물-특히, 작물이 절단되는 부분의 윗부분-을 상기 제1 위치(P1)까지 가이드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의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한다. 상기 제1 측은,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물 수확기(100)를 전면에서 관측할 때 우측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꼬임 형태로 배치된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132)들에 의해 직립 형태에서 누운 형태로 이송된 상기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는 위치인 상기 제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물의 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와 연결되어서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를 상기 수집부(150)로 이송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의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134)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제2 회전 롤러(134)들 중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134b)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40)는 동력전달축(142),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 제2 지지부 회전 롤러(146) 및 보조 이송벨트(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142)은 상기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134b)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는 상기 동력전달축(142)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 롤러(134b)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 회전 롤러(146)는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보조 이송벨트(148)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144, 146)을 둘러싸며, 상기 이송 벨트(132)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보조 이송벨트(148)과 상기 이송 벨트(132) 사이에 위치한 상기 몸체부(110)의 프레임(112)이 상기 작물의 줄기의 지지를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140)도 동일한 속도로 이송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작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수집부(150)까지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50)는 상기 제2 위치(P2)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50)는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130)에 의하여 이송된 작물은 후단부에 위치한 상기 수집부(150)의 수집 공간으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수집부(150)에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20)에서 절단된 작물을 이송하되,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여 수집함으로써,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60)는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120), 상기 이송부(130), 상기 지지부(140) 및 상기 수집부(150)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주행부(160)는 전단에 위치한 제1 바퀴(162) 및 후방에 위치한 제2 바퀴(1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게 중심이 뒤에 있어 상기 제2 바퀴(164)가 상기 제1 바퀴(162)보다 크고 많은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부(16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밀고 당기는 작업자의 물리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조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70)는,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부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172) 및 조작핸들(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2)는 상기 예취부(120) 및 상기 이송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2)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레버(lev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핸들(174)은 상기 몸체부(110)의 운동을 조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핸들(174)은 손잡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를 잡아서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작물 수확기(100) 전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핸들(174)은 상기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예취부(120) 및 상기 이송부(130)가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핸들(174)을 아래로 누르면, 일 예로 상기 제2 바퀴(144)들 사이에 형성된 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예취부(120) 및 상기 이송부(130)가 위로 회전하여,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줄기 방향유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기 방향유도부(180)는 상기 예취부(120)의 가이드(124)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1 위치(P1)까지 연장되며, 상기 이송부(130)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작물을 상기 절단 유닛(122)을 향하여 유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줄기 방향유도부(180)는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물을 상기 절단 유닛(122)을 향하여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124)를 기준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심어진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절단 유닛(122)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위치(P1)까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줄기단부 정렬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기단부 정렬부(185)는 상기 이송부(130)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130)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절단된 줄기 단부를 정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단 유닛(122)에 의하여 절단된 작물이 상기 제2 위치(P2)까지 잘 정렬된 상태로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물 수확기(100)는 수집 가이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가이드부(190)는 상기 이송부(130)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130)의 제2 측에서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을 상기 수집부(150)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수집 가이드부(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된 제1 연장부(192)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곡선 형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위치(P2)로 이송된 작물이 상기 수집부(150)까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수집되고 적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작물 수확기(100a)는 지지부(140a)를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작물 수확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물 수확기(100a)는 지지부(140a)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40a)는 동력전달축(142a), 한 쌍의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a)들, 한 쌍의 제2 지지부 회전 롤러(146a)들 및 한 쌍의 보조 이송벨트(148a)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4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부(140)에 더하여,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 상기 제2 지지부 회전 롤러(146) 및 상기 보조 이송벨트(148)를 하나씩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동력전달축(142a)은 상기 제2 회전 롤러(134b)들 중에서 상기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134b)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a)들은 상기 동력전달축(142a)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 롤러(134b)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 회전 롤러(146)들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 회전 롤러(144a)들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보조 이송벨트(148a)들은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144a, 146a)을 각각 둘러싸며, 상기 이송 벨트(132)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140a)도 동일한 속도로 이송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작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수집부(150)까지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기 지지부(14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조 이송벨트(148)와 프레임(112)으로 지지하는 대신, 한 쌍의 보조 이송벨트(148a)들로 지지하므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조 이송벨트(148) 사이에서 높이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작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보조 이송벨트(148a)들 모두 이동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부에 형성된 예취부의 가이드가 대지에 심어진 다수의 작물들을 가이드하므로 작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예취할 수 있으며, 예취부에서 절단된 직립 형태를 갖는 작물을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여 수집함으로써,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가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고 수집부로 이송하므로,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이 아래로 처지거나 떨어지지 않고 수집부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므로, 상기 작물이 뒤엉키지 않고 수집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물 수확기가 줄기 방향유도부, 줄기단부 정렬부, 수집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물이 상기 수집부까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고, 작물을 예취하고 이송하여 수집하는 작업을 한번에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작물 수확기 110 : 몸체부
120 : 예취부 130 : 이송부
140 : 지지부 150 : 수집부
160 : 주행부 170 : 조작부
180 : 줄기 방향유도부 185 : 줄기단부 정렬부
190 : 수집 가이드부

Claims (14)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며,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아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보다 전방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상기 절단유닛으로 가이드(guide)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들을 포함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의 절단유닛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절단된 작물을 절단된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제2 위치의 인근에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이송부의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를 상기 수집부로 이송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수집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두 개의 이송 벨트들; 및
    상기 각 이송 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이송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 롤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들은,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회전 롤러들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인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회전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롤러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제2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꼬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롤러들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 롤러들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회전 롤러들 중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아래에 배치된 제2 회전 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과 연결된 제1 지지부 회전 롤러;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지지부 회전 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을 둘러싸며, 상기 이송 벨트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이송 벨트들의 상기 작물과 접촉하는 면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가이드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1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작물을 상기 절단 유닛을 향하여 유도하는 줄기 방향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절단된 줄기 단부를 정렬하는 줄기단부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을 상기 수집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된 수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곡선 형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의 일측에 장착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예취부 및 상기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운동을 조작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12.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며, 대지에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아서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절단된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제2 위치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제2 위치의 인근에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이송부의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를 지지하면서 상기 작물의 이송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의 줄기를 상기 수집부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부와 연결된 한 쌍의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들, 상기 제1 지지부 회전 롤러들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회전 롤러들을 둘러싸며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 이송벨트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예취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수집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작물 수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의 절단된 줄기 단부를 정렬하는 줄기단부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이송부의 제2 측에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누운 형태의 작물을 상기 수집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된 수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곡선 형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KR1020120138670A 2012-12-03 2012-12-03 작물 수확기 KR10140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70A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2-12-03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70A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2-12-03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765B1 true KR101402765B1 (ko) 2014-06-02

Family

ID=5113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670A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2-12-03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7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533B1 (ko) 2015-08-18 2015-10-16 박상길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KR20160057570A (ko) * 2014-11-13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20180052010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20190052291A (ko) * 2017-11-08 2019-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826B1 (ko) 1997-06-20 1999-08-02 김강권 무, 당근 수확장치
KR200401392Y1 (ko) 2005-08-26 2005-11-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콩 예취 장치
KR20120068086A (ko) * 2010-10-27 201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조식 콩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826B1 (ko) 1997-06-20 1999-08-02 김강권 무, 당근 수확장치
KR200401392Y1 (ko) 2005-08-26 2005-11-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콩 예취 장치
KR20120068086A (ko) * 2010-10-27 201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조식 콩 수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70A (ko) * 2014-11-13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101714548B1 (ko) * 2014-11-13 2017-03-15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101560533B1 (ko) 2015-08-18 2015-10-16 박상길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KR20180052010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101864595B1 (ko) 2016-11-09 2018-06-11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20190052291A (ko) * 2017-11-08 2019-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기
KR102010845B1 (ko) * 2017-11-08 2019-08-14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765B1 (ko) 작물 수확기
KR101714548B1 (ko) 작물 수확기
CN202907471U (zh) 一种联合收获打瓜上料机
KR101864595B1 (ko) 작물 수확기
JP6476428B2 (ja) 自走式鱗茎野菜収穫機
CN102726813A (zh) 大型甘蔗剥叶站
CN102884913B (zh) 一种玉米收获机及其割台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JP6274088B2 (ja) 苗移植機
KR101416055B1 (ko)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KR101466280B1 (ko) 밭작물 수확기
JP4377503B2 (ja) 根菜類の収穫方法と収穫機
JP5492062B2 (ja) 茎切断搬送装置
KR200200092Y1 (ko) 농산물 채취기
JP3279551B2 (ja) 玉葱等の根茎収穫機
KR102010845B1 (ko) 작물 수확기
CN102217462B (zh) 一种高秆作物立姿输送割台及其输送装置
JP3940240B2 (ja) 野菜移植機
JP3070296U (ja) 根菜類の掘取装置
JP2009142227A (ja) 葉菜収穫機
JP3279506B2 (ja) 玉葱等の根茎収穫機
JP3222825B2 (ja) 根菜類収穫機
JPH0530842A (ja) 多条刈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H041768Y2 (ko)
CN116806520A (zh) 一种山药自动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