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392Y1 - 콩 예취 장치 - Google Patents

콩 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392Y1
KR200401392Y1 KR20-2005-0024608U KR20050024608U KR200401392Y1 KR 200401392 Y1 KR200401392 Y1 KR 200401392Y1 KR 20050024608 U KR20050024608 U KR 20050024608U KR 200401392 Y1 KR200401392 Y1 KR 200401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frame
plate
beans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종
홍종태
최용
김영근
조영목
홍석봉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5-0024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15Cutt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콩 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콩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동력을 이용하여 콩 예취 작업량을 늘리고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보조 바퀴;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콩 줄기를 한 줄씩 벨트로 인도하는 안내판;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판으로 인도된 콩 줄기에서 콩이 열린 부분과 뿌리 부분으로 절단하는 절삭 톱날; 상기 절삭 톱날에서 절단된 콩이 열린 부분을 수집판까지 이송시키는 한 쌍의 서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는 벨트;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의해 이송된 콩이 열린 부분을 저장하는 수집판; 상기 수집판에 저장된 콩이 열린 부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 상기 배출판의 개방 여부 동작을 제어하는 배출 레버; 상기 절삭 톱날와 롤러부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장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부에 대해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롤러부가 90도 회전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인입된 콩 줄기가 수집판으로 수집될 때 수평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콩 예취 장치{A bean cutter}
본 고안은 콩 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동력을 이용하여 콩 예취 작업량을 늘리고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콩은 대두(大豆)라고도 하는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와 같은 콩은, 꽃이 7∼8월에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대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협과이고 줄 모양의 편평한 타원형이며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완전히 익으면 꼬투리가 터져서 종자가 흩어진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 모양과 편평하고 둥근 모양 등 다양하고 크기도 매우 다양하다. 종자의 빛깔은 황색·검은색·연한 갈색·초록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콩은 야생의 들콩(덩굴콩)으로부터 재배작물로 발달하였는데, 중국 동북 지방에서 야생콩과 콩의 중간형이 재배되고 이들의 변이형(變異型)의 분포로 볼 때, 원산지는 중국 동북 지방에서 화베이[華北]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된다. 중국에서는 오곡의 하나로 4,000년 전부터 재배되었으며, 한국에는 삼국시대 초기(BC 1세기 초)부터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은 콩의 수확은 일반적으로 재배 농가에서 수작업으로 예취하기 때문에 작업량이 많고, 작업 시간이 길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상존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예취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취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시간을 줄여 재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콩 예취 장치는, 프레임;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보조 바퀴;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콩 줄기를 한 줄씩 벨트로 인도하는 안내판;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판으로 인도된 콩 줄기에서 콩이 열린 부분과 뿌리 부분으로 절단하는 절삭 톱날; 상기 절삭 톱날에서 절단된 콩이 열린 부분을 수집판까지 이송시키는 한 쌍의 서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는 벨트;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의해 이송된 콩이 열린 부분을 저장하는 수집판; 상기 수집판에 저장된 콩이 열린 부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 상기 배출판의 개방 여부 동작을 제어하는 배출 레버; 상기 절삭 톱날와 롤러부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장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부에 대해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롤러부가 90도 회전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인입된 콩 줄기가 수집판으로 수집될 때 수평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보조 바퀴는 콩의 절단 높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벨트는 회전시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벨트는 서로의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콩 예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 투사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배면 투사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방 상세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콩 예취 장치(100, 이하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간단히 "예취 장치"라 한다)는 프레임(4)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전방에 안내판(1)과 높이 조절 바퀴(2)가, 중앙부에 엔진(31)과 구동부(30,33)가, 후방에 각종 레버(40,50,36)와 수집판(28) 등이 위치된다.
프레임(4)은 수직 프레임(27)과 함께 예취 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한다.
안내판(1)은 콩 줄기가 일렬로 벨트(5)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안내판(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콩 줄기가 용이하게 벨트(5) 쪽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톱날(10)은 안내판(1)을 통해 일렬로 이동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절삭톱날은 원형의 회전 톱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5)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 콩 줄기를 벨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6)를 사용하여 수집판(28)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5)를 구동시키는 롤러는 전방롤러(7)와 상부롤러(16)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방롤러(7)와 하부롤러(17)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방롤러(7)에 대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는 90도 회전되어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롤러(7)에 수직으로 인입된 콩줄기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의 회전위치에 의해 수평으로 수집판(28)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예취 장치(100)는 수집판(28)에 콩줄기를 차곡차곡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집판(28)은 벨트(5)에 의해 이동된 콩 줄기를 수집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프레임(4)의 전방에 위치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콩 줄기의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레버(40)에 의해 지지대(3)의 각도를 변경시켜 높이가 조절된다.
엔진(31)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미션(30)을 통해 구동 바퀴(33)에 동력을 전달하여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절삭 톱날(10)을 동작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이때 손잡이(35)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36)에 의해 구동 바퀴(33)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수집 배출판(29)은 힌지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집판(28)을 통해 수집된 콩줄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수집 배출판(29)의 동작은 배출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배출 조작부(51,52)의 동작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배출 레버(50) 없이도, 소정량의 콩줄기가 수집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예)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콩 예취 장치(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사용예의 설명에 앞서, 본 사용예는 하나의 콩줄기가 예취되어 수집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콩줄기가 연속적으로 예취되어 수집됨에 유의한다.
제1단계, 조작자는 높이 조절 레버(40)를 사용하여 높이 조절 바퀴(2)와 연결된 지지대(30)의 각도를 변경하여 적절한 높이를 설정한다.
제2단계, 클러치 레버(36)를 조작하여 구동 바퀴(33)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예취 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제3단계, 예취 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안내판(10)으로 콩줄기가 일렬로 안내된다.
제4단계, 안내판(10)을 통해 안내된 콩줄기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다.
제5단계, 절단된 콩줄기는 벨트(5)에 의해 수집판(28)까지 이동된다. 이때 전방롤러(7)에 대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가 90도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인입된 콩줄기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가 위치된 곳에서는 수평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절단된 콩줄기를 차곡차곡 수집판(28)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단계, 수집판(28)을 통해 수집된 콩줄기의 양이 소정량이 되면, 배출 레버(50)를 조작하여 수집 배출판(29)을 회절시킨다. 이에 의해 수집된 콩줄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콩 예취 작업이 자동화 및 기계화되어 예취 작업 시간을 줄여 재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롤러에 대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90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되어 콩줄기가 수평으로 적층되어 수집판에 콩줄기가 차곡차곡 적층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 투사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배면 투사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방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콩 예취 장치 1: 안내판
2: 높이 조절 바퀴 3: 지지대
4: 프레임 5: 벨트
6: 파지 돌기 7: 전방 롤러
10: 절삭 톱날 15: 풀리
16: 상부 롤러 17: 하부 롤러
27: 수직 프레임 28: 수집판
29: 수집 배출판 30: 미션
31: 엔진 33: 구동 바퀴
35: 손잡이 36: 클러치 레버
40: 높이 조절 레버 50: 배출 레버
51, 52: 배출 조작부

Claims (4)

  1. 프레임;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보조 바퀴;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콩 줄기를 한 줄씩 벨트로 인도하는 안내판;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판으로 인도된 콩 줄기에서 콩이 열린 부분과 뿌리 부분으로 절단하는 절삭 톱날;
    상기 절삭 톱날에서 절단된 콩이 열린 부분을 수집판까지 이송시키는 한 쌍의 서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는 벨트;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의해 이송된 콩이 열린 부분을 저장하는 수집판;
    상기 수집판에 저장된 콩이 열린 부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
    상기 배출판의 개방 여부 동작을 제어하는 배출 레버;
    상기 절삭 톱날와 롤러부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장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부에 대해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롤러부가 90도 회전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인입된 콩 줄기가 수집판으로 수집될 때 수평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예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는 콩의 절단 높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예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회전시의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예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서로의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예취 장치.
KR20-2005-0024608U 2005-08-26 2005-08-26 콩 예취 장치 KR200401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08U KR200401392Y1 (ko) 2005-08-26 2005-08-26 콩 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08U KR200401392Y1 (ko) 2005-08-26 2005-08-26 콩 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392Y1 true KR200401392Y1 (ko) 2005-11-16

Family

ID=4370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08U KR200401392Y1 (ko) 2005-08-26 2005-08-26 콩 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3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뜨리에이 작물 수확용 콤바인장치
KR200472610Y1 (ko) * 2012-03-20 2014-05-12 (주)한서정공 전동식 콩 예취장치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101466280B1 (ko) * 2013-01-14 2014-12-01 (주)한서정공 밭작물 수확기
KR20160009128A (ko) 2014-07-15 2016-01-26 (주)한서정공 2조식 콩 수확기
KR20230036207A (ko) 2021-09-07 2023-03-14 노정현 작업성능이 우수한 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10Y1 (ko) * 2012-03-20 2014-05-12 (주)한서정공 전동식 콩 예취장치
WO20131577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뜨리에이 작물 수확용 콤바인장치
KR101362223B1 (ko) * 2012-04-16 2014-02-27 (주)에이스테크 작물 수확용 콤바인장치
KR101402765B1 (ko)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작물 수확기
KR101466280B1 (ko) * 2013-01-14 2014-12-01 (주)한서정공 밭작물 수확기
KR20160009128A (ko) 2014-07-15 2016-01-26 (주)한서정공 2조식 콩 수확기
KR20230036207A (ko) 2021-09-07 2023-03-14 노정현 작업성능이 우수한 작물 줄기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392Y1 (ko) 콩 예취 장치
AU2011247839B2 (en) Basecutter assembly for a cane harvester
EP2210469B1 (en) A seed gathering device for use by an agricultural harvester
AU2011247841B2 (en) Basecutter for a cane harvester
CN107251707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US20120110969A1 (en) Topper For A Cane Harvester
AU2010200098A1 (en) A seed gathering device for use by an agricultural harvester
BR102017007632A2 (pt) Harvest, and, sugar cane harvest disponteer
MXPA04012120A (es) Metodo y aparato para reducir corte de tallos.
CN101305679A (zh) 一种核桃“t”字形芽接方法
US20120036601A1 (en) Broccoli Type Adapted for Ease of Harvest
CN101312643B (zh) 选择性收割机
CN204392866U (zh) 叶菜有序收获机收集装置
GB2490511A (en) A lawn mower having two auxiliary cutters
JP6256945B2 (ja) 苗移植機
CN214046691U (zh) 一种父本水稻收割机
CN208807140U (zh) 一种茭白疏苗修剪刀头及茭白疏苗修剪机
US2005012069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utting and slicing vegetation
KR200329316Y1 (ko)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CN109121663A (zh) 一种优质稻谷筛选方法
CN2819743Y (zh) 收割机的割台装置
JP2006075013A (ja) 2条植落花生用歩行型収穫機
JP2002176819A (ja) 根菜収穫機
CN220191475U (zh) 一种苜蓿茎秆低损伤小型苜蓿刈割机
JP2011103848A (ja) 刈取り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