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16Y1 -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 Google Patents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16Y1
KR200329316Y1 KR20-2003-0023184U KR20030023184U KR200329316Y1 KR 200329316 Y1 KR200329316 Y1 KR 200329316Y1 KR 20030023184 U KR20030023184 U KR 20030023184U KR 200329316 Y1 KR200329316 Y1 KR 200329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rops
mowing machine
cro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택
Original Assignee
윤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택 filed Critical 윤희택
Priority to KR20-2003-0023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2Non-rotating tools; Resilient or flexible mounting of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취기의 회전날을 이용하여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면 농작물이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놓여지도록 한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예취기의 스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5)(6)와 연결편(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4)의 양쪽에는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앞쪽은 좁고,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벌어지는 형상의 가이드(1)(2)가 형성된 것이며,
가이드(1)(2)(11)(12)의 앞쪽에 작동편(9)(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핀(13)으로 설치하고 가이드와 작동편사이에는 작동편(9)(1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14)(15)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예취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면서 농작물이 가이드의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놓여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을 수확할 때 매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농민들의 작업환경 개선효과와,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Crops guide of reaper for agriculture}
본 고안은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취기의 회전날을 이용하여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면 농작물이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놓여지도록 한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예취기의 개략적인 구성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스틱이 있고, 스틱의 하단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소정의 목적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회전날과 안전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예취기는 고추, 깨, 콩과 같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수확하기 보다는 잡초, 잡목을 절단하여 처리하는 작업도구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예취기가 잡초, 잡목을 절단하는 작업도구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고추, 깨, 콩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하여 절단하는 용도로 알려져 있지도 않고 사용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목적물을 절단하면 그 자리에서 지그재그로 눕혀지기 때문에 절단후, 가지런하게 정리를 해야하는 고추, 깨, 콩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하여 절단하는데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낫과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한손으로 고추, 깨, 콩과 같은 농작물을 잡고, 다른 한손에는 낫을 잡고 농작물을 절단하여 수확함으로써 많은 노동력과 시간적인 손실이 있었고, 또, 농작물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예취기를 이용하여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면 농작물이 가이드의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12: 가이드
3:4:3a:4a: 연결편
5:6: 고정구
7:8: 간격유지구
9:10: 작동편
13: 핀
14:15: 스프링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는 예취기의 스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 위에는 앞에서 뒤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가이드에는 스프링으로 탄력지게 설치된 작동편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예취기의 스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5)(6)와 연결편(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4)의 양쪽에는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앞쪽은 좁고,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벌어지는 형상의 가이드(1)(2)가 형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으로서, 양쪽으로 형성된 가이드(1)(2)를 연결하는 연결편(3)(4)에 간격유지구(7)(8)를 개재하고, 연결편(3a)(4a)이 형성된 양쪽 가이드(11)(12)를 상기 간격유지구(7)(8)에 하나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가이드(1)(2)(11)(12)의 앞쪽에 작동편(9)(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핀(13)으로 설치하고 가이드와 작동편사이에는 작동편(9)(1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14)(15)을 설치한 구조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예취기, 31은 회전날, 32는 스틱, 33는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을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가이드를 예취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두 개의 고정구(5)(6)를 이용하여 예취기를 구성하는 스틱(32)에 결합/고정하는데 이 때 고정구를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장과 사용하는 습관에 맞추어 농작물가이드를 설치한다.
이렇게 예취기에 농작물가이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날을 작동시키고, 앞쪽은 좁고,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벌어지는 가이드(1)(2)를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 사이로 진행시킨다.
그러면 가이드(1)(2)는 농작물을 양쪽으로 갈라주고, 회전날은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의 하단에 접근되면서 농작물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된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은 가이드가 뒤쪽으로 벌어져 있기때문에 농작물이 뒤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점점 기울어지고 결국에는 가이드의 외측으로 가지런하게 눕혀지면서 정리되는 것이다.(도 6참조)
그리고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의 길이가 길 때에는 가이드(1)(2)를 연결하는 연결편(3)(4)에 간격유지구(7)(8)를 개재하고 연결편(3a)(4a)이 형성된 가이드(11)(12)를 하나 더 설치하여 사용하면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이 절단되면서 상부에 있는 가이드가 절단된 고추,깨,콩의 상부를 밀어주기 때문에 농작물의 길이가 길더라도 원만하게 눕혀지면서 정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가이드(1)(2)(11)(12)의 앞쪽에는 작동편(9)(10)을 핀(13)으로 설치하고 가이드와 작동편사이에는 작동편(9)(1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14)(15)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농작물을 양쪽으로 갈라주는 작용과 작동편의 탄성작용이 농작물을 밀어주기 때문에 고추,깨,콩과 같은 농작물이 절단되면 더욱 확실하게 외측으로 눕혀지면서 정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예취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면서 농작물이 가이드의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놓여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추, 깨, 콩과 같은 줄기가 있는 농작물을 수확할 때 매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농민들의 작업환경 개선효과와,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예취기의 스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구(5)(6)와, 상기 고정구에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3)(4)에는 농작물을 양쪽으로 갈라주도록 하기 위하여 앞쪽은 좁고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벌어지는 형상의 가이드(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1)(2)를 연결하는 연결편(3)(4)에 간격유지구를 이용하여 가이드(11)(12)를 하나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가이드의 앞쪽에 작동편(9)(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핀(13)으로 설치하고 작동편이 탄성을 갖도록 가이드와 작동편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5)(6)와 연결편(3)(4)을 움직이게 연결하여 가이드(1)(2)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KR20-2003-0023184U 2003-07-18 2003-07-18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KR200329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84U KR200329316Y1 (ko) 2003-07-18 2003-07-18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84U KR200329316Y1 (ko) 2003-07-18 2003-07-18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16Y1 true KR200329316Y1 (ko) 2003-10-08

Family

ID=4941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184U KR200329316Y1 (ko) 2003-07-18 2003-07-18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1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39B1 (ko) * 2009-10-10 2011-12-28 임병준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200460767Y1 (ko) 2011-12-12 2012-06-12 남미정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KR200461182Y1 (ko) 2011-11-25 2012-06-26 김귀홍 예초기용 농작물 가이드
KR101205511B1 (ko) 2012-08-27 2012-11-27 권기원 관리기 부착형 줄기 제거장치
KR101254568B1 (ko) 2013-01-31 2013-04-15 한동윤 다기능 예초기 보조대
KR200468959Y1 (ko) 2013-06-21 2013-09-09 이재구 트랙터 진입을 위한 관리기 장착용 고랑 확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39B1 (ko) * 2009-10-10 2011-12-28 임병준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200461182Y1 (ko) 2011-11-25 2012-06-26 김귀홍 예초기용 농작물 가이드
KR200460767Y1 (ko) 2011-12-12 2012-06-12 남미정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KR101205511B1 (ko) 2012-08-27 2012-11-27 권기원 관리기 부착형 줄기 제거장치
KR101254568B1 (ko) 2013-01-31 2013-04-15 한동윤 다기능 예초기 보조대
WO2014119885A1 (ko) * 2013-01-31 2014-08-07 Han Dong Yun 다기능 예초기 보조대
KR200468959Y1 (ko) 2013-06-21 2013-09-09 이재구 트랙터 진입을 위한 관리기 장착용 고랑 확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381B2 (en) Crop lifter pans
KR200329316Y1 (ko) 농업용 예취기의 농작물가이드
AU2019251512B2 (en) Improved cutting blade
RU2363136C1 (ru) Режущий аппарат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CA2839310C (en) Sickle cutter system with blades moving across wider guard fingers
EP3310152B1 (en) Harvesting inter-seeded crops
KR200443646Y1 (ko) 예취기용 가이드
KR20180000192U (ko) 제초 및 전지용 칼
KR20070049025A (ko) 농작물 수확장치
KR20190063297A (ko) 농작물 수확기
US20090183483A1 (en) Crop lifter pans
CN208807140U (zh) 一种茭白疏苗修剪刀头及茭白疏苗修剪机
KR200408715Y1 (ko) 농작물 수확장치
KR200460268Y1 (ko) 순제거기용 덩굴유도편
KR20100054059A (ko) 예초기용 커터
JP2002176819A (ja) 根菜収穫機
JP3197499U (ja) 草刈機防護装置
CN211240946U (zh) 小型打草机的防护装置
KR100571363B1 (ko) 콤바인용 예취날 구조
CN207491538U (zh) 一种可调节农用收割机刀具
KR200199157Y1 (ko) 관리기의 제초기겸용 비닐절단기
JP2011103848A (ja) 刈取り作業機
KR200376441Y1 (ko) 콤바인용 예취날 구조
KR200230209Y1 (ko) 과일 수확 장치
RU2626633C1 (ru) Гребенка для очеса со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