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297A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297A
KR20190063297A KR1020170162268A KR20170162268A KR20190063297A KR 20190063297 A KR20190063297 A KR 20190063297A KR 1020170162268 A KR1020170162268 A KR 1020170162268A KR 20170162268 A KR20170162268 A KR 20170162268A KR 20190063297 A KR20190063297 A KR 20190063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t
cutting
branch
c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242B1 (ko
Inventor
윤경희
Original Assignee
윤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희 filed Critical 윤경희
Priority to KR102017016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전방이 개방되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가 형성되는 이송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판부는 상기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슬라이딩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를 통해 수확물의 가지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또한, 열매 및 채소 등의 가지 부분을 2중으로 형성된 절단부를 통해 절단하는 방식으로 수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확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CROP HARVESTER}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매가 열리는 나무로는 열매가 작은 구기자, 가시오가피, 아로니아 등에서부터 열매가 큰 배, 사과, 감, 고추, 파프리카 등이 있다.
이러한 열매는 우선적으로 맛이 제일 중요한 것은 당연하나 가지가 달려있고, 외관이 매끈하며 상처가 없을 수록 최상급에 속하는 것으로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열매를 수확할 때는 상처가 나지 않도록 손으로 따도록 하여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수확시 작업자가 손으로 수확하게 되면 신체의 피로감이 크고, 수확 속도가 느려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며, 농촌에는 일손이 부족하여 제때 열매의 수확이 이루어지지 못해 피해를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열린 과일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수확하거나 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수확하게 되는데, 이러 경우에는 낙상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생산비가 더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기가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2011년04월18일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178183호는 과일 꼭지 부분이 걸리는 걸림 홈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 칼날을 부착하여서 꼭지 부분을 상기 걸림 홈 부분에 끼움하고, 당기게 되면 칼날 부분이 꼭지를 절단하여서 과일을 수확하도록 하고, 수확된 과일은 회수망을 통해서 수거되도록 하는 과일 수확 장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수확 장대 전체를 동시에 당기면서 과일을 수확하게 됨으로, 중량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이 누적되며 과일 주변에 잔가지가 많이 있을 경우 간섭을 많이 받아 적절한 사용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열매의 가지 부분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확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2중으로 절단부를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수확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형성하여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전방이 개방되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가 형성되는 이송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판부는 상기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슬라이딩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를 통해 수확물의 가지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열매의 가지 부분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수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확물을 수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중으로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수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이며, 이에 따른 인력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인력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열매를 빠르고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농작물 수확기(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전방이 개방되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수용홈(110)이 형성된 지지부(100); 수용홈(11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210) 및 제1 관통홀(210)에 수용되는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230)가 형성되는 고정판부(200); 및 고정판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310) 및 제2 관통홀(310)에 수용되는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330)가 형성되는 이송판부(300);를 포함하되,
이송판부(300)는 수용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판부(2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슬라이딩시 제1 및 제2 절단부(230, 330)를 통해 수확물(600)의 가지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지지부(100)는 상방방향으로 관통되어 전방이 개방되며, 양측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수용홈(110)이 형성된다.
수용홈(110)은, 후술할 고정판부(200) 및 이송판부(300)가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편, 고정판부(200)는 수용홈(110)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210) 및 제1 관통홀(210)에 수용되는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230)가 형성된다.
제1 관통홀(210)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수확물(600)이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절단부(230)는 제1 관통홀(210)의 내주면에 형성되거나 제1 관통홀(210)과 연결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단부(230)는 전후좌우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통홀(21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절단부(230)는, 제1 관통홀(210)에 수용하는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절단되는 면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별도의 칼날(K)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송판부(300)는 수용홈(110)의 하측 즉, 고정판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310) 및 제2 관통홀(310)에 수용되는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330)가 형성된다.
제2 관통홀(310)은,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홀(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관통홀(210)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단부(330)는, 제2 관통홀(310)의 내주면에 형성되거나 제2 관통홀(310)과 연결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절단부(331)는 전후좌우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31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판부(300)는 고정판부(200)의 하부에서 수용홈(1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고정판부(2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판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제2 절단부(331)는 제1 절단부(230)와 교차되어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제2 절단부(330)는 제1 절단부(230)와 교차되어 수확물(600)의 가지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제1 절단부(230)의 절단되는 면과 마주보는 절단되는 면이 갈수록 점차 상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별도의 칼날(K)이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단부(230)는 제1 관통홀(210)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231); 및 제1 가이드홀(231)의 일측에 절곡되어 제1 수용구(233);를 형성하며, 제2 절단부(330)는 제2 관통홀(310)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331); 및 제2 가이드홀(331)의 일측에 절곡되어 제2 수용구(333);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231)은, 제1 관통홀(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1 관통홀(210)에 수용된 수확물(600)의 가지가 후술할 제1 수용구(233)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수용구(233)는, 제1 가이드홀(231)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홀(231)를 통해 이동된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수용구(233)의 절단되는 면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별도의 칼날(K)이 구비된다.
한편, 제2 가이드홀(331)은 제2 관통홀(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홀(231)과 동일한 형상 및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수용구(333)는, 제2 가이드홀(331)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수용구(233)와 동일한 형상 및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수용구(333)는 제1 수용구(233)와 교차되어 수확물(600)의 가지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제1 수용구(233)의 절단되는 면과 마주보는 절단되는 면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별도의 칼날(K)이 구비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판부(300)는 일측에 지지바(350)가 연결된다.
지지바(350)는, 이송판부(300)의 일측면에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바(351) 및 연결바(351)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353)를 포함한다.
연결바(351)는, 이송판부(300)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장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바(351)는, 일예로, 회동가능하게 힌지방식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이송판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거리가 먼 열매를 수확할 시 이송판부(300)를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송판부(300)는 항시 수평을 유지하여 열매를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바(351)는 이송판부(300)에서 회동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하게 된다.
고리(353)는, 연결바(35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353a)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리(353)는, 지지바(350)를 작동시 사용자의 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당기는 힘이 더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리(353)는 관통공(353a)을 통해 와이어(W) 등에 연결되어 멀리서도 힘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리(353)와 연결되는 와이어(W)의 반대편 단부에 이동구(360)를 형성하여 이송판부(300)의 작동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농작물 수확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수확물(600)이 수집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4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400)는 길이조절 되는 지지대(430) 및 손잡이부(450)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부(400)는 지지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지지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1 절단부(230) 및 제2 절단부(330)를 통해 절단된 수확물(600)이 수집되도록 이송부(410)를 포함한다.
이송부(410)는, 몸체부(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다양하게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그믈망 또는 투명비닐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400)는 지지부(100)와 고정판부(200) 및 이송판부(300)의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대(430)는, 몸체부(400)의 일측면에 일체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450)는, 지지대(430)의 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몸체부(400)는 높은 곳 또는 낮은 곳에 열리는 수확물(600)를 지상으로 손상 없이 안전하게 지상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역할 수 있다.
한편, 농작물 수확기(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판부(3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후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500)는,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400)는 지지부(100)가 개방된 면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탄성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500)는, 일측이 이송판부(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400)에 연결되어 이송판부(300)를 항시 지지부(1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재공한다.
상세하게, 탄성부(500)는 제1 관통홀(210) 및 제2 관통홀(310)에 수확물(600)를 수용한 후 제1 가이드홀(231) 및 제2 가이드홀(331)을 통해 제1 수용구(233) 및 제2 수용구(333)에 수확물(600)의 가지가 위치하게 되면, 이송판부(300)에 연결된 지지바(350)를 당겨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 후 이송판부(300)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농작물 수확기(10)는 주로, 크기가 사과, 배, 감, 고추, 파프리카, 등의 수확물(600)을 수확할 때 사용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부(200')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절단부(230')가 구비되는 제1 관통홀(210')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이송판부(300')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절단부(330')가 구비되는 제2 관통홀(310')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먼저, 제1 관통홀(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크기가 작은 수확물(600)이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육각형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1 관통홀(210')은 내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제1 절단부(230')가 형성된다.
제1 절단부(230')는 제1 관통홀(210')에 수용된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2 관통홀(310')은 제1 관통홀(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제2 절단부(330')가 형성된다.
제2 절단부(330')는 제1 관통홀(210') 및 제2 관통홀(310')에 수용된 수확물(600)의 가지를 제1 절단부(230')와 교차하여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관통홀(210) 및 제2 관통홀(310)은 별도의 칼날(K)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고정판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송판부(300')가 수용홈(1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면, 하방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제1 절단부(230')가 상방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제2 절단부(330')와 서로 교차하면서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농작물 수확기(10)는 주로, 크기가 작은 고추, 구기자, 아로니아, 가시오가피 등의 수확물(600)을 수확할 때 사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고정판부(200")는 제1 관통홀(210")의 좌우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제1 절단부(230")가 돌출형성되며, 이송판부(300")는 제2 관통홀(310")의 좌우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제2 절단부(330")가 돌출형성된다.
먼저, 제1 절단부(230")는 일예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좌측 내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복수개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절단부(230")는, 제1 관통홀(210")을 통해 수용된 수확물(600)의 가지를 유인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1 유인홀(230a")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제1 절단부(230")는 절단되는 면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하부 면에 별도의 칼날(K)이 구비된다.
이어서, 제2 절단부(330")는 일예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좌측 내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복수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 절단부(330")는, 제2 관통홀(310")을 통해 수용된 수확물(600)의 가지를 유인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2 유인홀(330a")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제2 절단부(330")는 제1 절단부(230")와 교차되어 수확물(600)의 가지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제1 절단부(230")의 절단되는 면과 마주보는 절단되는 면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되는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거나 상부 면에 별도의 칼날(K)이 구비된다.
또한, 제2 절단부(330")는 제2 유인홀(330a")에 유인된 수확물(600)의 가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절단부(230")와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제2 절단부(330")는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제2 유인홀(330a")의 입구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된 고정판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송판부(300")가 수용홈(1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면, 제1 절단부(230")와 제2 절단부(330")가 서로 교차되면서 수확물(600)의 가지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매 및 채소 등의 가지 부분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수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확물을 수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중으로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수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이며, 이에 따른 인력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인력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열매를 빠르고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농작물 수확기 100 : 지지부
110 : 수용홈 200, 200', 200" : 고정판부
210, 210', 210" : 제1 관통홀 230, 230', 230" : 제1 절단부
231 : 제1 가이드홀 233 : 제1 수용구
300, 300', 300" : 이송판부 310, 310', 310" : 제2 관통홀
330, 330', 330" : 제2 절단부 331 : 제2 가이드홀
333 : 제2 수용구 350 : 지지바
351 : 연결바 353 : 고리
353a : 관통공 360 : 이동구
400 : 몸체부 410 : 이송부
430 : 지지대 450 : 손잡이
500 : 탄성부 600 : 수확물
K : 칼날 W : 와이어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전방이 개방되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용되는 수확물의 가지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가 형성되는 이송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판부는 상기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슬라이딩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를 통해 수확물의 가지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1 가이드홀의 일측에 절곡되어 제1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제2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의 일측에 절곡되어 제2 수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수확물이 수집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후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절단부가 구비되는 제1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판부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절단부가 구비되는 제2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제1 관통홀의 좌우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제1 절단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송판부는 제2 관통홀의 좌우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제2 절단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KR1020170162268A 2017-11-29 2017-11-29 농작물 수확기 KR10203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68A KR102034242B1 (ko) 2017-11-29 2017-11-29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68A KR102034242B1 (ko) 2017-11-29 2017-11-29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97A true KR20190063297A (ko) 2019-06-07
KR102034242B1 KR102034242B1 (ko) 2019-10-18

Family

ID=6684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268A KR102034242B1 (ko) 2017-11-29 2017-11-29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786A (zh) * 2020-05-27 2020-08-11 叶慧珍 一种木瓜采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734B1 (ko) 2019-11-14 2022-04-01 박기범 고추 수확 보조 장비, 고추 수확 보조 장비를 이용한 포도 수확 보조 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02U (ko) * 2008-05-29 2009-12-03 김규석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KR20150002757U (ko) * 2014-01-03 2015-07-14 정광모 과일 수확기
JP2017051103A (ja) * 2015-09-07 2017-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収穫装置
CN107306601A (zh) * 2017-07-19 2017-11-03 开阳县尚氏四季水果种植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梨种植用的熟梨摘取装置
CN107318381A (zh) * 2017-07-19 2017-11-07 刘奇美 一种用于果树高枝的果实采摘机械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02U (ko) * 2008-05-29 2009-12-03 김규석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KR20150002757U (ko) * 2014-01-03 2015-07-14 정광모 과일 수확기
JP2017051103A (ja) * 2015-09-07 2017-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収穫装置
CN107306601A (zh) * 2017-07-19 2017-11-03 开阳县尚氏四季水果种植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梨种植用的熟梨摘取装置
CN107318381A (zh) * 2017-07-19 2017-11-07 刘奇美 一种用于果树高枝的果实采摘机械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786A (zh) * 2020-05-27 2020-08-11 叶慧珍 一种木瓜采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42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9340A2 (en) Olive harvesting device
CN109348841B (zh) 一种柔动分禾扶倒装置及安装该装置的收获机
US5433065A (en) Combine harvester with secondary cutter
US20150156967A1 (en) Compact hop harvester
KR20190063297A (ko) 농작물 수확기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KR101566629B1 (ko) 농산물 수확용 앞치마
CN203912596U (zh) 多功能伸缩式球状果物采摘捡拾器
Kaur et al. Insights into the harvesting tools and equipment's for horticultural crops: From then to now
US2214965A (en) Crop lifter
Larbi et al. Modification and field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mechanical sweet cherry harvester
CN216415152U (zh) 一种再生稻收获用切割刀
KR101373361B1 (ko) 과일 수확기
CN203537873U (zh) 蒜苗收割机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KR20180099409A (ko) 과일수확기에 사용되는 스톱퍼
RU2565025C1 (ru) Жатка
KR20120005338U (ko) 과실 수확기
KR200488824Y1 (ko) 수동식 알뿌리작물 수확기구
Ruiz-Altisent et al. Fruit and vegetables harvesting systems
JP2017127298A (ja) 果実取り具
KR20210076696A (ko) 과일 따는 기구
US4759174A (en) Vegetable harvesting apparatus
JP3863898B2 (ja) 根菜収穫機
Dixit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lutch lever operated fruit picker for small scale on farm mech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