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696A - 과일 따는 기구 - Google Patents

과일 따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696A
KR20210076696A KR1020190168159A KR20190168159A KR20210076696A KR 20210076696 A KR20210076696 A KR 20210076696A KR 1020190168159 A KR1020190168159 A KR 1020190168159A KR 20190168159 A KR20190168159 A KR 20190168159A KR 20210076696 A KR20210076696 A KR 2021007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fruit
bracket
shaped
wor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선
Original Assignee
박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선 filed Critical 박현선
Priority to KR102019016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696A/ko
Publication of KR2021007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53Portable motorised fruit p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을 따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한 작업지지대와 그 단부에 과일의 꼭지를 자르는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 및 커팅브라케트의 하부측으로 꼭지를 잘라 수확되는 과일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수확망체로 구성되고, 커팅브라케트는 그 직경을 다양하게 하여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회전 및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수단은 커팅브라케트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과일을 커팅브라케트의 내측으로 위치시킬 때 커터수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품질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따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 따는 기구{A 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채소를 따는(수확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한 작업지지대와 그 단부에 과일 또는 채소의 꼭지를 자르는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 및 커팅브라케트의 하부측으로 꼭지를 잘라 수확하는(떨어지는) 과일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수확망체로 구성되고, 커팅브라케트는 그 직경을 다양하게 하여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회전 및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수단은 커팅브라케트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과일을 커팅브라케트의 내측으로 위치시킬 때 커터수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품질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따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높은 나무에 열려있는 감이나 사과 배 같은 과일이나 나 높은 줄기에 열려있는 오이 가지 등과 같은 채소를 수확할 경우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서 직접 손으로 과일이나 채소를 따거나, 가위를 사용하여 꼭지를 자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종래에는 감과 같은 작은 과일은 과일 수확기의 가위가 설치된 하부로 주머니를 설치하여 수확된 감을 주머니에 담을 수 있게 하여 효율을 높였으나, 사과와 같은 크기가 크고 무거운 과일은 집게 모양의 장치를 설치한 과일 수확기로 하나씩 수확할 수밖에 없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높은 나무나 줄기에 열린 과일이나 채소를 수확할 때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수확하게 되면 신체의 피로감도 크고, 수확 속도가 느려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며, 그렇더라도 농촌에서는 일손이 부족하여 제때 과일이나 채소의 수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열린 과일이나 채소 등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수확하거나 과일 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수확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낙상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작업능률도 떨어져 생산비가 더욱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과일 수확기가 다수 제안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8183호에서 '과일 수확 장대'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과일 꼭지 부분이 걸리는 걸림 홈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 칼날을 부착하여서 꼭지 부분을 상기 걸림 홈 부분에 끼움하고, 당기게 되면 칼날 부분이 꼭지를 절단하여서 과일을 수확하도록 하고, 수확된 과일은 회수망을 통해서 수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수확 장대 전체를 동시에 당기면서 과일을 수확하게 되므로 수확기 자체 중량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이 누적되고, 과일 또는 채소 주변에 잔가지가 많이 있을 경우 간섭을 많이 받아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178183 (등록번호) 2012.08.23. KR 20-0474453 (등록번호) 2014.09.11. KR 20-2015-0002918 (공개번호) 2015.07.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일 또는 채소의 꼭지를 자르는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 를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다단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수단은 커팅브라케트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과일이나 채소를 커팅브라케트의 내측으로 위치시킬 때 커터수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품질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따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를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크기별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수확 대상의 과일이나 채소에 해당하는 커팅브라케트를 작업지지대의 단부에서 신속하게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팅브라케트의 하부측으로 설치되는 수확망체의 끝단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커팅되면서 떨어져 수확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손상을 막아 작업 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도록 설치되는 작업지지대(110)와;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내측으로 위치시키는 링 형상의 커터브라케트(120);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과일의 꼭지를 자르도록 커터날(131)과 구동모터(132)로 된 커터부(130); 및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터부(130)에 의해 커팅되는 과일 하강 안착되는 수확망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는 상기 커터부(130)가 삽설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ㄷ'자 형상의 설치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121)에 장착되는 상기 커터부(130)의 상기 커터날(131)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보다 외측으로 설치 고정되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으로 접촉하면서 유입하는 과일의 외부면이 상기 커터날(131)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확망체(140)의 내측 하단부에는 그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과일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손상을 방지하는 쿠션재(16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재(160)는 커팅되어 떨어지는 과일이 슬라이딩되면서 수납상자(1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터부(130)는 상기 설치부(121)의 상하부를 막아주도록 설치편(12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132)는 상기 설치부(121)의 후면 또는 내면부에 설치하되,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은 상기 설치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설치편(12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커터날(13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커터날(131)이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링형 몸체(120a)는 그 내측으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중심(R) 방향을 향해 돌출되면서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는 콘 형상의 가이드부(123)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절곡되는 동시에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탈장착 교환되는 관절부(1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절부(170)는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부채꼴 고정부(171)와, 일단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브채꼴 고정부(171)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연결브라케트(172),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부채꼴 고정부(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73)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회동축(17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는 과일 또는 채소의 꼭지를 자르는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를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다단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수단은 커팅브라케트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과일이나 채소를 커팅브라케트의 내측으로 위치시킬 때 커터수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품질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를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크기별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수확 대상의 과일이나 채소에 해당하는 커팅브라케트를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신속하게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브라케트의 하부측으로 설치되는 수확망체의 끝단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커팅되면서 떨어져 수확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손상을 막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의 커팅부에 대한 측면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의 관절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의 커팅부로 과일 꼭지를 자르는 요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를 통해 과일을 따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에 있어 커팅부가 다수 군데 설치되는 상태도 및 커터브라케트의 직경이 다양한 실시 형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 등과 같이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한 작업지지대(110)와;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내측으로 위치시키는 링 형상의 커터브라케트(120);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꼭지를 자르도록 커터날(131)과 구동모터(132)로 된 커터부(130); 및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터부(130)에 의해 커팅되는 과일이나 채소가 하강 안착되는 수확망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는 상기 커터부(130)가 삽설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ㄷ'자 형상의 설치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121)에 장착되는 상기 커터부(130)의 상기 커터날(131)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보다 외측으로 설치 고정되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으로 접촉하면서 유입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외부면이 상기 커터날(131)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과일 따는 기구는 나무에 열리는 감, 사과, 배, 복숭아 등과 같은 과일은 물론 줄기에 열리는 오이나 가지 등과 같은 채소도 수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작업지지대(110)를 과일이나 채소가 열려 있는 위치까지 신장시킨 다음 그 단부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상기 커터브라케트(120) 내측으로 따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위치시키고 상기 커터날(131)을 과일이나 채소의 꼭지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모터(13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커터날(131)이 회전하면서 꼭지를 잘라줌으로써 해당 과일이나 채소가 수확된다.
이렇게 상기 커터날(131)의 회전에 의해 수확되는 과일이나 채소는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 구비되는 상기 수확망체(140)의 내부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떨어져 수납상자(150)로 저장 처리된다. 상기 수확망체(140)는 신축성이 큰 그물망 등으로 제작되어 과일의 손상을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수확망체(140)의 내측 하단부에는 그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과일이나 채소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재(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쿠션재(160)는 그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면으로 떨어지는 과일 등이 경사면을 따라 굴러 상기 수납상자(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일 등은 상기 커터날(131)에 의해 그 꼭지가 커팅되면서 상기 수확망체(140)의 내측으로 하강한 다음 상기 쿠션재(160)의 상부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쿠션재(160)가 충격력을 흡수하여 과일 등의 손상을 막아주게 된다.
이어 상기 쿠션재(160)의 상부면으로 떨어진 과일 등은 작업자기 일일이 손으로 상기 수납상자(150)로 수납 처리하거나 상기 수납상자(150)와 상기 쿠션재(160)를 연통시켜 상기 쿠션재(160)로 떨어진 과일이 그 상부 경사면을 굴러 수납상자(150)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자동처리기(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그 크기를 선별하여 정해진 별도의 수납구로 저장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과일나무에서 과일을 분리하거나 큰 키의 채소에서 채소열매의 일부를 분리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므로, 과일과 채소를 통칭하여 ‘과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경이 5cm, 10cm, 15cm, 20cm 등과 같이 다양한 내경 크기로 제작 구비하여 수확하고자 하는 대상의 과일 등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 구비되는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커터부(130)가 설치되면서 과일(A)의 꼭지(C)가 유입되는 입구부(121a)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21)에 고정되는 상기 커터부(130)는 상기 설치부(121)의 상하부를 막아 폐쇄되도록 설치편(12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132)는 상기 설치부(121)의 후면 또는 내면부에 설치하되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은 상기 설치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설치편(12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커터날(13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커터날(131)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날(131)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경보다 바깥쪽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경에 접촉되면서 유입되는 과일의 외부면이 상기 커터날(13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육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과 상기 커터날(131)과 연결 구성은 베벨기어 등으로 연결하여 구동축 회전력을 직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 공지 기술을 통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설치부(121)의 상기 입구부(121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경이 단절되는 부분이다. 하여 과일의 외형은 대부분이 라운드형상으로 되고 그 크기는 상기 입구부(121a) 보다 크기 때문에 과일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경에 접촉하면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커터날(131)이 상기 입구부(121a, 도면에서 점선으로 기재된 부분) 보다 바깥쪽으로 구비되어 있어 과일의 외부면(몸체)이 상기 커터날(131)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커터부(130)는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링형 몸체(120a)는 그 내측으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중심(R) 방향을 향해 돌출되면서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는 콘 형상의 가이드부(123)가 더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과일(A)이 달려 있는 가지(B)에서 꼭지(C)가 연결되는 과일 몸체 사이의 거리(w)가 좁은 경우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링형 몸체(120a)가 이들 사이로 무리하게 들어가지 않고 링형 몸체(120a)보다 두께가 작은 상기 가이드부(123)가 선제적으로 이들 사이로 가이드되면서 들어가 과일 꼭지를 상기 커터날(131)이 신속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절곡되는 동시에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탈장착 되는 관절부(17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는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상기 관절부(170)를 통해 교환하고 필요한 각도로 절곡하여 작업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부(170)는 도 2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부채꼴 고정부(171)와, 일단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채꼴 고정부(171)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연결브라케트(172),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부채꼴 고정부(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73)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회동축(17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173)의 단부에는 나사부(17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173a)에는 너트(174)가 체결 설치되어, 상기 너트(174)의 체결력으로 상기 연결브라케트(17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174)를 풀고 상기 회동축(173)을 제거한 다음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를 탈거하고 다른 사이즈의 커터브라케트(120)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를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단부에서 필요한 작업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사이즈에 적합한 크기의 커터브라케트(120)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부(170)는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연결브라케트(172)의 양측면부에 회전각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홈(172a)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71)의 양측 내면부에는 상기 요홈(172a)에 대응되는 탄성돌기(171a)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채꼴 고정부(171)에는 상기 탄성돌기(171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때 상기 탄성돌기(171a)가 상기 요홈(172a)에서 벗어날 때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축되며 이어 상기 요홈(172a)을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돌기(171a)가 탄성적으로 삽입 지지되어 회전이 정지되면서 회전각도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과일 따는 기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연장선상으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를 회전시켜 수평으로 조절한 다음 상기 작업지지대(110)를 신축적으로 조절하면 작업자의 키 높이보다 낮으면서 손이 미치지 못하는 멀리 있는 과일을 쉽고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다.
또한 과일이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를 상기 관절부(170)에서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켜 조절함으로써 해당 과일을 쉽고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지대(110)에는 상기 구동모터(132)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s/w)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따는 기구는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한 작업지지대와 그 단부에 과일의 꼭지를 자르는 커터수단이 구비된 링형상의 커팅브라케트 및 커팅브라케트의 하부측으로 꼭지를 잘라 수확되는(떨어지는) 과일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수확망체로 구성되고, 커팅브라케트는 그 직경을 다양하게 하여 작업지지대의 단부에 회전 및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수단은 커팅브라케트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과일을 커팅브라케트의 내측으로 위치시킬 때 커터수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 등의 수확 품질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100:과일 따는 기구
110:작업지지대
120:커터브라케트 120a;링형 몸체
121:설치부 121a:입구부 122:설치편 123:가이드부
130:커터부
131:커터날 132:구동모터
140:수확망체 150:수납상자 160:쿠션재
170:관절부
171:부채꼴 고정부 171a:탄성돌기 172:연결브라케트 172a:요홈
173:회동축 173a:나사부 174:너트
R:중심 w:간격

Claims (6)

  1. 다단으로 신축이 가능도록 설치되는 작업지지대(110)와;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내측으로 위치시키는 링 형상의 커터브라케트(120);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과일의 꼭지를 자르도록 커터날(131)과 구동모터(132)로 된 커터부(130); 및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터부(130)에 의해 커팅되는 과일 하강 안착되는 수확망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는 상기 커터부(130)가 삽설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ㄷ'자 형상의 설치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121)에 장착되는 상기 커터부(130)의 상기 커터날(131)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보다 외측으로 설치 고정되어,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내면으로 접촉하면서 유입하는 과일의 외부면이 상기 커터날(131)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과일 따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망체(140)의 내측 하단부에는 그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과일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손상을 방지하는 쿠션재(16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재(160)는 커팅되어 떨어지는 과일이 슬라이딩되면서 수납상자(1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과일 따는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130)는 상기 설치부(121)의 상하부를 막아주도록 설치편(12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132)는 상기 설치부(121)의 후면 또는 내면부에 설치하되,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은 상기 설치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설치편(12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커터날(13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커터날(131)이 회전되는 과일 따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링형 몸체(120a)는 그 내측으로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의 중심(R) 방향을 향해 돌출되면서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는 콘 형상의 가이드부(123)가 더 형성되는 과일 따는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절곡되는 동시에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탈장착 교환되는 관절부(170)가 더 구비되는 과일 따는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170)는 상기 작업지지대(110)의 선단부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부채꼴 고정부(171)와, 일단은 상기 커터브라케트(1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브채꼴 고정부(171)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연결브라케트(172),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부채꼴 고정부(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73)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케트(172)가 상기 회동축(17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터브라케트(120)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과일 따는 기구.
KR1020190168159A 2019-12-16 2019-12-16 과일 따는 기구 KR20210076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59A KR20210076696A (ko) 2019-12-16 2019-12-16 과일 따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59A KR20210076696A (ko) 2019-12-16 2019-12-16 과일 따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696A true KR20210076696A (ko) 2021-06-24

Family

ID=7660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159A KR20210076696A (ko) 2019-12-16 2019-12-16 과일 따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122A (zh) * 2023-10-11 2023-11-17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183B1 (ko) 2011-04-18 2012-08-29 박중수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과일 수확 장대
KR200474453Y1 (ko) 2013-02-07 2014-09-23 김규석 과일 수확기
KR20150002918U (ko) 2014-01-17 2015-07-28 정광모 과일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183B1 (ko) 2011-04-18 2012-08-29 박중수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과일 수확 장대
KR200474453Y1 (ko) 2013-02-07 2014-09-23 김규석 과일 수확기
KR20150002918U (ko) 2014-01-17 2015-07-28 정광모 과일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122A (zh) * 2023-10-11 2023-11-17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CN117066122B (zh) * 2023-10-11 2023-12-19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1852B1 (en) Method and collection vehicle for harvesting crops growing on stems
US20030033749A1 (en) Vineyar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neyard mechanization
CN109348841B (zh) 一种柔动分禾扶倒装置及安装该装置的收获机
EA034662B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товила жатки комбайна для подсолнечников
KR20210076696A (ko) 과일 따는 기구
Nasini et al. Olive harvesting
CN111011000A (zh) 一种柔性水果采摘装置
CN101312643A (zh) 选择性收割机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KR20150002918U (ko) 과일 수확기
JP6712809B2 (ja) 自走式花蕾採取機
KR20190063297A (ko) 농작물 수확기
US3306019A (en) Device for picking stem-supported articles
CN109168613A (zh) 一种果树采摘装置
US3645075A (en) Device for harvesting randomly grown plants
AU2006100034B4 (en) S G Pruning Machine for Clearing Windows of Vegetation
US4697406A (en) Harvester for vine type crops
KR200309368Y1 (ko) 과일수확기
JP2017127298A (ja) 果実取り具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CN111201893A (zh) 一种便携式樱桃采摘装置
KR101827635B1 (ko) 겨우살이 열매 채취기
KR20200092671A (ko) 온실내 고상작물의 자율형 지지대
RU22518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борки плодов
SU906432A1 (ru) Плодосъ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