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92U - 제초 및 전지용 칼 - Google Patents
제초 및 전지용 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192U KR20180000192U KR2020160003951U KR20160003951U KR20180000192U KR 20180000192 U KR20180000192 U KR 20180000192U KR 2020160003951 U KR2020160003951 U KR 2020160003951U KR 20160003951 U KR20160003951 U KR 20160003951U KR 20180000192 U KR20180000192 U KR 2018000019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knife
- bag
- inner region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6—Kn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잡초나 잡목 또는 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베며, 잡초나 잡목의 뿌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초 및 전지용 칼을 제시한다. 그 칼은 둘레에 칼날이 있는 칼날 몸체와, 칼날 몸체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자루 및 자루가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칼이고, 칼날 몸체를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으로 분리시키고, 자루의 중심선에 대하여 칼날 몸체를 경사지게 꺾이게 하는 꺾임선 또는 꺾임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내측영역은 자루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제초 및 전지용 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잡초, 잡목, 가지 등을 자르고 베며, 또한 지면을 파서 뿌리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용도를 수행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
낫은 농작물, 풀 또는 나무를 베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칼날 몸체, 칼날 몸체와 연결된 자루 및 자루가 고정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칼날 몸체와 자루는 'ㄱ'자 형태로 구부려져 연결된다. 칼날은 상기 칼날 몸체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주로 잡초나 잡목을 자르고 베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낫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가 존재한다. 낫과 같이 제초작업을 하기 위한 동력 예초기가 있으나, 동력 예초기는 가격이 고가이고 연료가 소모되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동력 예초기는 작업을 할 때, 칼날이 부러지거나 묘목을 자르는 등 숙련자가 아니면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부러진 칼날에 다칠 위험이 있어서, 낫이 많이 사용된다. 동력 예초기는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는 농작물 사이를 침투하여 작업하기 곤란하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2015-0114836은 잡초를 자르고 베며, 또한 지면을 파서 뿌리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낫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칼날 몸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된 묘목, 채소 등의 사이에 자라는 잡초나 잡목을 자르거나 베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낫의 칼날 몸체는 평활하기 때문에 잡초나 잡목의 뿌리를 뽑기에 부적당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칼은 묘목, 채소 등의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기 어려우며, 잡초나 잡목의 뿌리를 제거하기 곤란하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잡초나 잡목 또는 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베며, 잡초나 잡목의 뿌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초 및 전지용 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초 및 전지용 칼은 둘레에 칼날이 있는 칼날 몸체와, 상기 칼날 몸체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자루 및 상기 자루가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칼이다. 이때, 상기 칼날 몸체를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자루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칼날 몸체를 경사지게 꺾이게 하는 꺾임선 또는 꺾임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자루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칼에 있어서, 상기 꺾임선 또는 꺾임부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자루의 중심선에 대하여 3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고, 상기 내측영역 및 상기 외측영역 사이는 110도 내지 15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칼날은 상기 손잡이 반대 방향에서 보아 상기 내측영역의 둘레에 위치하고 뾰족한 형태의 제1 칼날, 상기 손잡이의 반대 방향에서 보아 상기 외측영역의 둘레에 위치하며 굴곡진 형상을 가진 제3 칼날 및 상기 외측영역의 측면의 제4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방향에서 보아 상기 외측영역의 둘레에는 직선 또는 굴곡진 형태의 제5 칼날 또는 제9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고안의 칼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의 측면은 톱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꺾임부는 U자 또는 V자 형태의 그루브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자루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내측영역에 제2 및 제3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적어도 3개의 고정하는 부분이 존재하며,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대한 상기 칼날 몸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초 및 전지용 칼에 의하면, 칼날 몸체를 소정의 각도로 꺾고, 칼날 몸체 끝부분 전체를 칼날로 사용함으로써, 잡초, 잡목 및 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베며, 잡초 및 잡목의 뿌리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된 묘목, 채소 등의 농작물 사이에 자라는 잡초나 잡목을 제거하기가 쉽고, 열매를 수확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1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조 및 전지용 제2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3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4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조 및 전지용 제2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3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4 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칼날 몸체를 소정의 각도로 꺾고, 칼날 몸체 끝부분 전체를 칼날로 사용함으로써, 잡초나 잡목 및 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베며, 잡초 및 잡목의 뿌리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의 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칼날 몸체 및 칼날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고, 그 기능 및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칼날은 잡초, 잡목, 가지를 자르거나 베고 뿌리를 제거하는 데 사용한다. 여기서 자른다는 것은 칼날을 잡초, 잡목, 가지 방향으로 밀어서 절단하는 것이고, 베는 것은 잡초, 잡목, 가지를 칼날 안쪽에 위치한 후 잡아당겨서 절단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민다는 것은 힘으로 쳐내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지면을 파서 뿌리를 제거하는 것은 종래의 호미의 역할과 유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1 칼(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꺾임선(23) 부위는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칼(100)은 칼날 몸체(10), 본 고안의 칼날, 자루(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자루(30)는 칼날 몸체(10)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며, 제1 고정부(41)에 의해 손잡이(40)에 고정된다. 손잡이(40)는 신축이 가능하여 용도에 따라, 짧게 또는 길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서 작업을 하는 경우는 손잡이(40)를 길게 하고,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는 손잡이(40)를 짧게 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40)를 길게 하면, 나무 가지를 자르거나 열매를 따는 데 유용하다. 손잡이(40)를 신축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칼날 몸체(10)는 꺾임선(23)에 의해 굽어지며, 꺾임선(23)은 제1 칼(100)에 호미의 기능을 부가시킨다. 꺾임선(23)은 칼날 몸체(10)를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으로 구분시킨다. 내측영역(A)은 자루(30)와 연결되고, 외측영역(B)은 꺾임선(23)에 대하여 내측영역(A)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꺾임선(23)은 자루 중심선(31)에 대하여 제1 각(θ1)을 이룬다. 제1 각(θ1)은 30도 내지 50도의 각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40도가 좋다. 제1 각(θ1)이 30도보다 작거나 50도 보다 크면, 상기 호미의 기능을 포함한 본 고안의 제1 칼(100)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꺾임선(23)은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 사이는 제2 각(θ2)만큼 벌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꺾임선(23)은 원래 평탄한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을 제2 각(θ)을 이루면서 벌어지도록 한다. 제2 각(θ2)은 110도 내지 150도가 바람직하며, 제2 각(θ2)이 110도보다 작거나 150도 보다 크면, 상기 호미의 기능을 포함한 본 고안의 제1 칼(100)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꺾임선(23)은 칼날 몸체(10)의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을 경사지게 구부러지게 하므로, 이를 경사진 꺾임선(23)라고 한다. 실질적으로, 꺾임선(23)은 약간의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약간의 폭은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꺾임선(23)에 자명하게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칼날은 손잡이(40) 반대 방향에서 보아 내측영역(A)의 둘레에 위치하고 뾰족한 형태의 제1 칼날(20a) 및 제1 칼날(20a)와 연결되며 내측영역(A)의 둘레의 위치하는 제2 칼날(20b)을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40)의 반대 방향에서 보아 외측영역(B)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3 칼날(20c), 외측영역(B)의 측면의 제4 칼날(20d), 손잡이(40) 방향으로 외측영역(B) 및 내측영역(A)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5 칼날(20e)을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칼날은 칼날 몸체(10)의 전체의 둘레에 걸쳐서 존재한다. 이때, 제4 칼날(20d) 및 제5 칼날(20e)이 만나는 코너(a)는 뾰족하거나, 둥글게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모따기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뾰족한 형상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1 칼날(20a)는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칼날(20a)을 뾰족하게 하면, 제1 칼날(20a) 및 제2 칼날(20b) 사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잡초, 잡목, 가지를 상기 사이에 수용하고 밀어서 쉽게 자르는 전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1 칼날(20a)는 열매를 수확하거나 나무 가지를 자를 때 유용하다. 예컨대, 열매가 붙어 있는 가지에 제1 칼날(20a)을 접촉시키고 밀면 열매를 쉽게 딸 수 있다. 종래에는 가위를 이용하였으나, 제1 칼날(20a)을 사용하며, 보다 간편하게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제2 칼날(20b)는 제1 칼날(20a)와 같이 잡초, 잡목, 가지를 자르는 역할을 한다.
제3 칼날(20c)은 꺾임선(23) 부위로 지면을 파고 밀어서 뿌리를 절단하기 위하여 굴곡진 형상, 예컨대 곡면 또는 V자 형상을 가진다. 제3 칼날(20c)은 잡초, 잡목의 뿌리를 제거하는 데 사용한다. 즉, 상기 뿌리는 꺾임선(23) 및 제3 칼날(20c)에 의해 절단된다. 구체적으로, 꺾임선(23) 부위를 이용하여 지면을 파고, 제3 칼날(20c)로 뿌리를 자른다. 제3 칼날(20c)가 굴곡진 형상이므로, 제2 칼날(20b) 및 제3 칼날(20c)의 측면은 제3 각(θ3)을 이룬다. 제3 각(θ3)이 있으면, 잡초나 잡목에 밀착시켜 밀 때, 잡초나 잡목이 꺾임선(23)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자르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된다. 제3 각(θ3)은 자르는 과정이 쉽게 할 정도로 충분하며, 150도 이상 내지 180도보다 작은 것이 좋다. 제4 칼날(20d)는 쳐서 자른 것이기 때문에, 직선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제5 칼날(20e)는 곡면을 이루게 하여 자르거나 베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칼(100)은 꺾임선(23)으로 칼날 몸체(10)을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으로 분리하고,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에는 제1 내지 제5 칼날(20a~20e)을 구비함으로써, 자르기, 베기 및 뿌리 제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주로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된 묘목, 채소 등의 농작물 사이에 자라는 잡초나 잡목, 불필요한 나무 가지 또는 열매에 붙어 있는 가지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지면을 파서 뿌리를 제거하여 종래의 호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칼날(20a) 및 자루(30) 사이에는 톱날(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톱날(21)은 밀어서 자르거나 당겨서 베기가 어려운 잡초, 잡목, 가지를 자르는 데 사용된다. 특히, 잡목이나 가지를 톱날(21)에 대고 왕복운동을 하면, 상기 잡목이나 나무 가지가 잘려나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칼(100)은 톱날(21)을 추가하여, 농작물을 기르고,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2 칼(2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꺾임부(24) 부위는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2 칼(200)은 꺾임부(24)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칼(10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칼(100)의 제5 칼날(20e)은 꺾임부(24)의 존재로 제2 칼(200)의 칼날(20f~20h)로 변형된다.
도 3에 의하면, 제2 칼(200)의 칼날 몸체(10)는 꺾임부(24)에 의해 굽어지며, 꺾임부(24)은 제2 칼(200)에 호미의 기능을 부가시킨다. 꺾임부(24)은 칼날 몸체(10)를 자루(30)와 연결된 내측영역(C) 및 꺾임부(24)에 대하여 내측영역(C)에 대향하는 외측영역(D)로 분리시킨다. 이때,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C, D)는 제1 칼(100)의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A,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차이가 있다면,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C, D)은 제1 칼(100)의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A, B)과 형태를 달리하는 정도이다. 제1 칼(100)의 제5 칼날(20e)은 제2 칼(200)에서 외측영역(D)에 위치하는 제6 칼날(20f), 꺾임부(24)에 존재하는 제7 칼날(20g) 및 내측영역(C)에 위치하는 제8 칼날(20h)로 변형된다.
꺾임부(24)는 그루브(groove; 24a)를 이루며, 그루브의 마루(24b)은 제1 칼(100)의 꺾임선(23)과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기능 및 역할을 경계선이다. 그루브(24a)은 V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24a)의 폭(W) 및 높이(H)는 제2 칼(200)이 호미의 역할을 충분하게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루브(24a)의 폭(W) 및 높이(H)는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값이다. 그루브(24a)의 폭(W) 및 높이(H)가 지나치게 작으면 지면을 파기가 용이하지 않고, 지나치게 크면 자르고 베는 데 방해가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3 칼(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꺾임선(23) 부위는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3 칼(300)은 제9 칼날(20i) 및 제10 칼날(20j)가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칼(100, 20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제1 칼(100)의 경우를 사례로 들었다.
도 4에 의하면, 제3 칼(300)은 제9 칼날(20i) 및 제10 칼날(20j)가 존재한다. 제9 칼날(20i)은 손잡이(40) 방향으로 외측영역(G)의 둘레에 위치하며 굴곡진 형상(예, 곡선, V자 등)을 가지고, 제10 칼날(20j)은 손잡이(40) 방향으로 내측영역(F)의 둘레에 위치하며 곡선 형태이다. 이때,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F, G)는 제1 칼(100)의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A,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차이가 있다면,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F, G)은 제1 칼(100)의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A, B)과 형태를 달리하는 정도이다.
제9 칼날(20i)은 제1 칼(100)에서의 제3 칼날(20c)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9 칼날(20i)은 잡초나 잡목의 뿌리를 베는 것이나, 제3 칼날(20c)은 자를 때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꺾임선(23) 또는 꺾임부(24) 부위를 이용하여 지면을 파고, 제9 칼날(20i)로 뿌리를 벤다. 제9 및 제10 칼날(20j)의 측면은 제4 각(θ4)을 이룰 수 있다. 제4 각(θ4)이 있으면, 잡초, 잡목, 가지에 밀착시켜 당길 때, 잡초, 잡목, 가지가 꺾임선(23)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자르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된다. 제4 각(θ4)은 자르는 과정이 쉽게 할 정도로 충분하며, 150도 이상 내지 180도보다 작은 것이 좋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초 및 전지용 제4 칼(4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꺾임선(23) 부위는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4 칼(300)은 손잡이(40)가 내측영역(A)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내지 제3 칼(100, 200, 30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제1 칼(100)의 경우를 사례로 들었다.
도 5에 의하면, 제4 칼(400)은 손잡이(40)가 내측영역(A)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내측영역(A)에는 손잡이(40)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42) 및 제3 고정부(43)가 있다. 자루(32)는 손잡이(40)를 내측영역(A)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1 칼(100)의 자루(30)에서 손잡이(40)에 삽입되는 부분이 제거된다. 제2 고정부(42)는 자루(32)의 중심선(31)에 위치하고, 제3 고정부(43)는 제2 고정부(42)와 이격되어 적어도 3개의 고정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제3 고정부(43)는 편의상 좌측 고정부(43a), 중심 고정부(43b), 우측 고정부(43c)로 구분된다.
제2 고정부(42) 및 중심 고정부(43b)을 중심선(31)에 놓고 고정한 것을 제1 결합이라고 한다. 제2 고정부(42) 및 좌측 고정부(43a)를 중심선(31)에 놓고 고정하는 제2 결합은 제1 결합에 비해, 칼날 몸체(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고정부(42) 및 좌측 고정부(43a)를 고정하는 제3 결합은 칼날 몸체(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 제3 고정부(43)에 의해 손잡이(40)에 대한 칼날 몸체(10)의 각도가 달라진다. 중심선(31)과 손잡이(40) 사이의 각도는 본 고안의 제4 칼(400)이 사용되는 용도, 칼날 몸체의 모양, 크기,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200, 300, 400; 제1 내지 제4 칼
10; 칼날 몸체
20a~20j; 제1 내지 제10 칼날
23; 몸체 꺾임선 24; 꺾임부
30; 자루 40; 손잡이
A, C, F; 내측영역
B, D, G; 외측영역
θ1, θ2, θ3, θ4; 제1 내지 제4 각
a; 코너
10; 칼날 몸체
20a~20j; 제1 내지 제10 칼날
23; 몸체 꺾임선 24; 꺾임부
30; 자루 40; 손잡이
A, C, F; 내측영역
B, D, G; 외측영역
θ1, θ2, θ3, θ4; 제1 내지 제4 각
a; 코너
Claims (8)
- 둘레에 칼날이 있는 칼날 몸체;
상기 칼날 몸체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자루; 및
상기 자루가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 몸체를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자루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칼날 몸체를 경사지게 꺾이게 하는 꺾임선 또는 꺾임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자루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선 또는 꺾임부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자루의 중심선에 대하여 3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 및 상기 외측영역 사이는 110도 내지 15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손잡이 반대 방향에서 보아 상기 내측영역의 둘레에 위치하고 뾰족한 형태의 제1 칼날, 상기 손잡이의 반대 방향에서 보아 상기 외측영역의 둘레에 위치하며 굴곡진 형상을 가진 제3 칼날 및 상기 외측영역의 측면의 제4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방향에서 보아 상기 외측영역의 둘레에는 직선 또는 굴곡진 형태의 제5 칼날 또는 제9 칼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의 측면은 톱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U자 또는 V자 형태의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자루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내측영역에 제2 및 제3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적어도 3개의 고정하는 부분이 존재하며,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대한 상기 칼날 몸체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전지용 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951U KR20180000192U (ko) | 2016-07-08 | 2016-07-08 | 제초 및 전지용 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951U KR20180000192U (ko) | 2016-07-08 | 2016-07-08 | 제초 및 전지용 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192U true KR20180000192U (ko) | 2018-01-17 |
Family
ID=6127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3951U KR20180000192U (ko) | 2016-07-08 | 2016-07-08 | 제초 및 전지용 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192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53139A (zh) * | 2018-12-31 | 2019-04-19 | 济宁山云宇内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道路树枝清除装备及工作方法 |
WO2019182302A1 (ko) * | 2018-03-20 | 2019-09-26 | 최동국 | 잡초제거기 |
KR20240044690A (ko) | 2022-09-29 | 2024-04-05 | 이의근 |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
-
2016
- 2016-07-08 KR KR2020160003951U patent/KR2018000019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2302A1 (ko) * | 2018-03-20 | 2019-09-26 | 최동국 | 잡초제거기 |
CN109653139A (zh) * | 2018-12-31 | 2019-04-19 | 济宁山云宇内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道路树枝清除装备及工作方法 |
KR20240044690A (ko) | 2022-09-29 | 2024-04-05 | 이의근 |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7001508A2 (en) | Garden tool | |
KR20180000192U (ko) | 제초 및 전지용 칼 | |
AU734769B2 (en) | Hand-held fruit picking tool | |
US20030182808A1 (en) | V-cut knife for cutting crop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1872251B1 (ko) | 잡초제거기 | |
JP2003126570A (ja) | 指装着式切断器 | |
US6173875B1 (en) | Sheath for secateurs | |
KR20150114836A (ko) |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 |
US20200352090A1 (en) | Rake having a spade implement | |
US2635336A (en) | Garden cutting tool | |
KR20190003175U (ko) | 김매기용 낫 호미 | |
KR200460268Y1 (ko) | 순제거기용 덩굴유도편 | |
KR102125622B1 (ko) | 잡초제거기 | |
KR20130124712A (ko) | 귤 수확용 가위 | |
CN206371105U (zh) | 一种采摘剪 | |
JP2007151842A (ja) | 摘果鋏 | |
KR20190110394A (ko) | 잡초제거기 | |
KR200272871Y1 (ko) | 칼날을 갖는 호미 | |
CN209964700U (zh) | 一种果树修剪用剪刀 | |
CN104541605A (zh) | 拔草工具 | |
US5377374A (en) | Turf and garden tool | |
JP5305369B1 (ja) | 除草具 | |
KR100890129B1 (ko) | 낫 겸용 호미 | |
RU178240U1 (ru) | Нож для ручной косы | |
US1731174A (en) | Asparagus cut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