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480Y1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5480Y1 KR200325480Y1 KR20-2003-0018416U KR20030018416U KR200325480Y1 KR 200325480 Y1 KR200325480 Y1 KR 200325480Y1 KR 20030018416 U KR20030018416 U KR 20030018416U KR 200325480 Y1 KR200325480 Y1 KR 2003254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pulley
- shaft
- driving
-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1/00—Thinning machines
- A01B41/02—Thinning machines with oscilla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진행방향을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하부영역에 지중에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되는 삽날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후방으로 제공되는 수확물을 상기 흙과 분리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를 상하로 진동시켜 상기 수확물에 부착된 흙이 제거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수확물의 잔뿌리에 부착된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확물의 잔뿌리에 부착된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구근 수확기는, 지중에서 생육된 구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한 농기계의 일종이다. 이러한 구근 수확기는, 통상 전방에 지중으로 삽입되는 삽날부와, 삽날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을 흙으로부터 분리되게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지중의 구근을 연속적으로 수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구근 수확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 수확기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112a) 및 양 측판부(112a)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12b)를 구비한 프레임(111)과, 양 측판부(112a)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121)와, 각 컨베이어(121)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1)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방 하부영역에는 프레임(111)의 전방으로 이동시 지중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는 삽날부(114)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 영역에는 프레임(111)의 하단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11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16)의 일측은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111)에 결합된 지지부재(117)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프레임(111)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연결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11)의 폭방향을 따라 상부 중앙영역에는 프레임(1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력축(1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121)는, 프레임(1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고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피치로 이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복수의 로드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회전구동부(131)는, 컨베이어(121)의 일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구동축(133)과, 컨베이어(121)의 로드부(122)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고 구동축(133)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휠(135)과, 구동축(133)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134)와, 입력축(119)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입력축(119)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전동축(137)과, 전동축(137)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138)와, 구동풀리(138) 및 피동풀리(134)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14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119)에는 구동기어(120)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동축(137)의 타단에는 구동기어(120)와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피동기어(139)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미도시)의 후미에 연결부(118)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입력축(119)의 단부를 견인차량의 출력부와 연결한다.
이런 상태에서, 견인차량이 전방으로 진행되면 삽날부(114)는 지중으로 소정 깊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이동되고, 이에 의해 수확물은 흙과 함께 삽날부(114)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 때, 입력축(119)이 회전되면 전동축(137)이 회전되고, 전동축(137)의 구동력은 구동풀리(138), 전동벨트(140) 및 피동풀리(134)를 통해 구동축(133)에 전달된다. 구동축(133)이 회전되면 구동축(133)과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휠(135)에 의해 컨베이어(1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은 컨베이어(121)의 로드부(122)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으로 이송되고 흙은 로드부(122) 사이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는, 감자, 고구마 및 당근과 같이 잔뿌리가 없는 구근의 경우 흙이 비교적 쉽게 제거되지만 마늘, 인삼, 약초 등과 같이 잔뿌리가 많은 경우 잔뿌리에 부착된 흙은 쉽게 제거되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흙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흙제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확물의 잔뿌리에 부착된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근 수확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3의 진동스프로킷휠영역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3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프로킷휠영역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프레임 12a : 측판부
12c : 삽날부 21 : 입력축
23 : 제1구동기어 25 : 제2구동기어
31 : 컨베이어 32 : 로드부
41 : 컨베이어회전구동부 43 : 제2전동축
44 : 제2구동풀리 46 : 제2피동기어
47 : 제2구동축 52 : 구동스프로킷휠
61 : 컨베이어진동부 62 : 제1전동축
64 : 제1구동풀리 66 : 제1피동기어
67 : 제1구동축 68 : 편심부
70 : 베어링 72 : 진동스프로킷휠
74 : 제1피동풀리 76 : 제1전동벨트
81 : 아이들풀리 83 : 지지아암
85 : 레버 87 : 고정핀
89 : 고정부재 90 : 핀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진행방향을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하부영역에 지중에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되는 삽날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후방으로 제공되는 수확물을 상기 흙과 분리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를 상하로 진동시켜 상기 수확물에 부착된 흙이 제거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에는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한 입력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진동부는, 상기 입력축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전동축과,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면의 하측에 상기 제1전동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전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전동축의 동력을 상기 제1구동축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제1전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1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피동풀리에 동시에 결합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구동풀리의 구동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클러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벨트는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시 상기 피동풀리가 회전되지 아니하게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전동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게 하는 동력전달위치와, 상기 전동벨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지 아니하는 동력차단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아이들풀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클러치수단은,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아이들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에 각각 고정시키는 레버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고정수단은, 상기 레버의 단부에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방향에 대해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핀공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전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대해 각각 다른 속도로 상기 피동풀리가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 사이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형성된 복수의 핀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의 피치에 대응되게 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의 둘레에 상기 편심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진동스프로킷휠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진동스프로킷휠은 상기 편심부에 대해 편심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회전구동부는, 상기 입력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전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전동축과, 제2전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와, 상기 제2전동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부와 맞물림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동풀리와, 상기 제2구동풀리 및 상기 제2피동풀리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2전동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동축 및 제2전동축의 각 일측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입력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에 각각 맞물림되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진동스프로킷휠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프로킷휠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12a)와, 양 측판부(12a)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는 삽날부(12c)를 구비한 프레임(11)과,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32)로 구성되어 양 측판부(12a)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선별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와, 컨베이어(31)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41)와, 컨베이어(31)를 상하로 진동시켜 수확물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는 컨베이어진동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12a)와, 측판부(12a)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12b)와, 양 측판부(12a)의 전방 하부영역에 지중에 삽입가능하도록 소정 경사지게 배치되는 삽날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미도시)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하부영역에는 프레임(11)이 흙속으로 매몰되지 않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1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16)의 일단은 양 측판부(12a)의 각 하부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프레임(11)에 대해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양 측판부(12a)의 내측에는 소정 피치로 이격되고 각각의 양 단부가 서로 체인과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무한 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삽날부(12c)로부터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흙과 선별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31)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진행방향을 따라 입력축(21)이 배치되어 있으며, 입력축(21)에는 컨베이어(31)의 회전구동 및 진동을 위해 베벨기어로 된 제1구동기어(23) 및 제2구동기어(25)가 각각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컨베이어진동부(61)는, 입력축(21)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전동축(62)과, 제1전동축(62)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64)와, 제1전동축(62)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구동기어(23)와 맞물림되는 제1피동기어(66)와, 제1전동축(6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편심부(68)가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축(67)과, 로드부(32)와 맞물림되게 형성된 치형부를 구비하여 편심부(68)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동스프로킷휠(72)과, 제1구동축(67)의 일측 단부에 제1구동풀리(64)와 대응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제1피동풀리(74)와, 제1구동풀리(64) 및 제1피동풀리(74)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전동벨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스프로킷휠(7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68)와 동심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68)에 대해 편심되게 결합되도록 진동스프로킷휠(73)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전동벨트(76)는 제1구동풀리(64)의 구동력을 제1피동풀리(74)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전동벨트(76)의 일측에는 제1전동벨트(7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아이들풀리(81)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이들풀리(81)의 회전축은 아이들풀리(81)가 제1전동벨트(76)에 대해 위치 이동되게 회동되는 지지아암(83)에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아암(83)의 타단은 측판부(12a)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아암(83)의 단부에는 지지아암(83)을 회동구동시킬 수 있도록 레버(8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85)의 단부에는 레버(8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86)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86)의 축심에는 레버(85)를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핀(87)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핀(87)에는 고정핀(87)이 측판부(12a)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88)스프링(88)되어 있다.
측판부(12a)에는 고정핀(87)의 회동궤적을 따라 레버(85)가 제1구동풀리(64)의 동력이 제1피동풀리(74)에 전달되도록 아이들풀리(81)가 이동되는동력전달위치(P1) 및 제1구동풀리(64)의 동력이 전달되지 아니하는 동력차단위치(P2)에 각각 고정되게 고정핀(87)을 수용하는 복수의 핀공을 구비한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에는 동력전달위치(P1) 및 동력차단위치(P2)에 각각 형성된 핀공 사이에는 제1피동풀리(74)가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게 제1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회전구동부(41)는, 입력축(21)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전동축(43)과, 제2전동축(43)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44)와, 제2전동축(43)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2구동기어(25)와 맞물림되는 베벨기어로 된 제2피동기어(46)와, 제2전동축(43)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제2구동축(47)과, 제2구동축(47)의 일측 단부에 제2구동풀리(44)에 대응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제2피동풀리(48)와, 제2구동풀리(44) 및 제2피동풀리(48)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전동벨트(50)와, 컨베이어(31)의 로드부(32)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의 치형부를 구비하여 로드부(32)와 맞물림되고 제2구동축(47)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컨베이어(31)를 회전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스프로킷휠(52)과, 양 측판부(12a)의 내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부(32)와 맞물림되어 컨베이어(31)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스프로킷휠(5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확될 작물의 구근의 깊이에 대응되게 삽날부(12c)가 지중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16)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 후,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부(14)를 연결하고,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견인차량의 출력부와 입력축(21)이 상호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다음, 수확될 작물의 종류에 따라 컨베이어(31)의 진동여부를 결정하고, 감자 또는 고구마, 당근과 같이 잔뿌리가 없는 작물의 경우, 핀공으로부터 고정핀(87)이 분리되도록 한 후 레버(85)를 회동시켜 동력차단위치(P2)에 형성된 핀공에 고정핀(87)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아이들풀리(81)는 제1전동벨트(76)로부터 이격되고 제1구동풀리(64)만 회전되고 제1피동풀리(74)는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 상태에서, 프레임(11)이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면 삽날부(12c)의 선단은 수확될 구근의 하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수확될 구근 및 흙은 삽날부(12c)의 경사면을 따라 후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입력축(21)과 일체로 제2전동축(43)이 회전하게 되고 제2전동축(43)의 회전력은 제2구동풀리(44), 제2전동벨트(50) 및 제2피동풀리(48)를 통해 제2구동축(47)에 전달된다. 제2구동축(47)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스프로킷휠(52)이 회전되고 이에 의해 컨베이어(31)가 회전된다. 컨베이어(31)의 상측으로 제공된 흙 및 수확물중 흙은 로드부(3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게 되고, 수확물은 로드부(32)에 의해 지지되어 후상방으로 이송된다.
한편, 수확물이 마늘, 인삼 또는 약초와 같이 잔뿌리가 있는 경우에는, 핀공(90)으로부터 고정핀(87)이 분리되도록 한 후 레버(85)를 회동시켜 아이들풀리(81)가 제1전동벨트(76)와 접촉되어 제1피동풀리(74)가 회전되는 동력전달위치(P1)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핀공(90)에 고정핀(87)을 삽입하여 레버(85)가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레버(85)의 고정위치는 수확물의 종류 및 토양의 점도를 고려하여 컨베이어(31)가 적절히 진동할 수 있도록 핀공(90)의 위치를 선택하면 된다.
이런 상태에서 견인차량을 진행시키면 선단부가 수확물의 하측에 배치된 삽날부(12c)의 경사면을 따라 수확물 및 흙은 후상방으로 이동되고, 이 때 컨베이어(31)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41)에 의해 회전되면서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후상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입력축(21)이 회전됨에 따라 제1구동기어(23) 및 제1피동기어(66)에 의해 제1전동축(62)이 회전되고, 제1전동축(62)의 회전력은 제1구동풀리(64), 제1전동벨트(76) 및 제1피동풀리(74)에 의해 제1구동축(67)에 전달된다. 제1구동축(67)이 회전됨에 따라 편심부(68)에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진동스프로킷휠(72)은 제1구동축(67)에 대해 편심운동하고, 진동스프로킷휠(72)에 맞물림된 로드부(32)의 진행에 따라 편심부(68)에 대해 상대회전 하면서 로드부(32)를 상하로 진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부(32)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수확물의 잔뿌리에 부착되어 있는 흙은 잔뿌리로부터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양 측판부 및 삽날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소정 피치로 배치된 로드부로 구성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흙과 분리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와, 컨베이어를 상하로 진동시켜 수확물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는 컨베이어진동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마늘, 인삼 및 약초 등 잔뿌리가 많은 수확물에 부착된 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자, 고구마 또는 당근과 같이 잔뿌리가 없는 수확물의 경우 진동을 억제하여진동에 기인한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가 제공된다.
Claims (11)
-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진행방향을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하부영역에 지중에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되는 삽날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후방으로 제공되는 수확물을 상기 흙과 분리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를 상하로 진동시켜 상기 수확물에 부착된 흙이 제거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는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한 입력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진동부는, 상기 입력축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전동축과,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면의 하측에 상기 제1전동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전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전동축의 동력을 상기 제1구동축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제1전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1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피동풀리에 동시에 결합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구동풀리의 구동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클러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전동벨트는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시 상기 피동풀리가 회전되지 아니하게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전동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게 하는 동력전달위치와, 상기 전동벨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이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되지 아니하는 동력차단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아이들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수단은,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아이들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에 각각 고정시키는 레버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레버고정수단은, 상기 레버의 단부에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방향에 대해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전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대해 각각 다른 속도로 상기 피동풀리가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위치 및 상기 동력차단위치 사이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형성된 복수의 핀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로드부의 피치에 대응되게 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의 둘레에 상기 편심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진동스프로킷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진동스프로킷휠은 상기 편심부에 대해 편심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컨베이어회전구동부는, 상기 입력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전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전동축과, 제2전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와, 상기 제2전동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부와 맞물림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동풀리와, 상기 제2구동풀리 및 상기 제2피동풀리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2전동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동축 및 제2전동축의 각 일측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입력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에 각각 맞물림되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8416U KR200325480Y1 (ko) | 2003-06-12 | 2003-06-12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8416U KR200325480Y1 (ko) | 2003-06-12 | 2003-06-12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5480Y1 true KR200325480Y1 (ko) | 2003-09-03 |
Family
ID=4933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8416U KR200325480Y1 (ko) | 2003-06-12 | 2003-06-12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5480Y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325B1 (ko) | 2008-10-20 | 2009-02-19 | 한부산업 주식회사 | 땅속 작물수확기 |
KR101011675B1 (ko) * | 2008-09-24 | 2011-01-31 | 윤병운 | 진동장치를 구비한 땅속작물 수확기 |
KR101195232B1 (ko) | 2012-06-27 | 2012-10-29 | 김영석 | 땅속작물 수확을 위한 진동장치를 설치한 농작물 수확기 |
KR101506363B1 (ko) | 2008-03-13 | 2015-03-26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KR101669615B1 (ko) * | 2016-03-29 | 2016-10-27 | 정다운 | 지중 작물 수확장치 |
KR101880947B1 (ko) | 2017-10-20 | 2018-07-26 | 창녕군 | 수확기용 이송장치 |
KR101880941B1 (ko) | 2017-10-20 | 2018-07-26 | 창녕군 | 자주식 수확기 |
CN111406491A (zh) * | 2020-04-27 | 2020-07-14 | 湖北科技学院 | 一种红薯收割机 |
JP2021045072A (ja) * | 2019-09-18 | 2021-03-25 | 松山株式会社 | 収穫機 |
KR102308000B1 (ko) * | 2021-06-16 | 2021-10-05 | 윤태욱 |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
KR102309475B1 (ko) * | 2021-06-16 | 2021-10-07 | 윤태욱 | 수확기용 장력 조절장치 |
KR20240064061A (ko) | 2022-11-04 | 2024-05-13 | 김재동 | 이송체인 진동 조절기능을 갖는 땅속작물 수확기 |
-
2003
- 2003-06-12 KR KR20-2003-0018416U patent/KR20032548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363B1 (ko) | 2008-03-13 | 2015-03-26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KR101011675B1 (ko) * | 2008-09-24 | 2011-01-31 | 윤병운 | 진동장치를 구비한 땅속작물 수확기 |
KR100883325B1 (ko) | 2008-10-20 | 2009-02-19 | 한부산업 주식회사 | 땅속 작물수확기 |
KR101195232B1 (ko) | 2012-06-27 | 2012-10-29 | 김영석 | 땅속작물 수확을 위한 진동장치를 설치한 농작물 수확기 |
KR101669615B1 (ko) * | 2016-03-29 | 2016-10-27 | 정다운 | 지중 작물 수확장치 |
KR101880941B1 (ko) | 2017-10-20 | 2018-07-26 | 창녕군 | 자주식 수확기 |
KR101880947B1 (ko) | 2017-10-20 | 2018-07-26 | 창녕군 | 수확기용 이송장치 |
JP2021045072A (ja) * | 2019-09-18 | 2021-03-25 | 松山株式会社 | 収穫機 |
JP7177489B2 (ja) | 2019-09-18 | 2022-11-24 | 松山株式会社 | 収穫機 |
CN111406491A (zh) * | 2020-04-27 | 2020-07-14 | 湖北科技学院 | 一种红薯收割机 |
CN111406491B (zh) * | 2020-04-27 | 2023-12-15 | 湖北科技学院 | 一种红薯收割机 |
KR102308000B1 (ko) * | 2021-06-16 | 2021-10-05 | 윤태욱 |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
KR102309475B1 (ko) * | 2021-06-16 | 2021-10-07 | 윤태욱 | 수확기용 장력 조절장치 |
KR20240064061A (ko) | 2022-11-04 | 2024-05-13 | 김재동 | 이송체인 진동 조절기능을 갖는 땅속작물 수확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25480Y1 (ko)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
KR101011675B1 (ko) | 진동장치를 구비한 땅속작물 수확기 | |
JP2018117594A (ja) |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 |
KR200445527Y1 (ko) | 구근 수확기 | |
KR20200094317A (ko) |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 |
JP4283422B2 (ja) | 収穫機 | |
KR101416056B1 (ko) |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 |
JP4116403B2 (ja) | 根菜作物収穫機 | |
JP3184798B2 (ja) | 根茎収穫機 | |
JP4194170B2 (ja) | 歩行型結球野菜収穫機 | |
JP3844948B2 (ja) | 根茎収穫機 | |
KR100287386B1 (ko) | 보행형 예취기 | |
JP3547331B2 (ja) | 作物収穫機 | |
JP7198502B2 (ja) |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 |
JP2022173712A (ja) | 枝豆収穫機 | |
JP3450740B2 (ja) | 栽培作物用作業機 | |
JP3287546B2 (ja) | 根茎収穫機 | |
JP3894641B2 (ja) | 根茎収穫機 | |
JP2020198833A (ja) | 地下茎作物収穫機及び作業方法 | |
JP3792150B2 (ja) | 鱗茎作物調製機 | |
JP2914913B2 (ja) | 収穫機 | |
JPH0956236A (ja) | 根菜収穫機の切断装置 | |
JP2000032824A (ja) | 収穫機及び、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 | |
JP3408414B2 (ja) | 根菜収穫機 | |
JP2000125636A (ja) | 根茎収穫機及びその茎葉誘導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