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000B1 -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000B1
KR102308000B1 KR1020210077894A KR20210077894A KR102308000B1 KR 102308000 B1 KR102308000 B1 KR 102308000B1 KR 1020210077894 A KR1020210077894 A KR 1020210077894A KR 20210077894 A KR20210077894 A KR 20210077894A KR 102308000 B1 KR102308000 B1 KR 10230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jetto
harvester
chain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욱
윤병운
Original Assignee
윤태욱
윤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윤병운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102021007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3Constructional detail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취삽 후방에서 상향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구동축과 피동축에 걸림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장력을 조절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로서, 장력 조절장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에 접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정롤러; 조정롤러가 힌지 결합되는 한편 그 일측은 수확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수확기에서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Tension adjustment apparatus of conveyor for harvester}
본 발명은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확기의 굴취삽에 의해 두둑 속에서 채굴된 작물을 이송시키면서 작물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는 제토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류 작물은 땅속 작물로서, 땅속에서 식용 가능한 실과를 맺는 모든 식물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개 마늘, 땅콩, 양파, 무, 감자, 고구마, 인삼, 도라지, 약초류와 같은 구근, 괴근, 괴경, 근채류 등을 통칭하여 일컫는 용어이다.
이와 같은 땅속 작물의 성장이 완료되면, 이들을 채굴하여 수확하게 되는데, 땅속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땅속 작물 수확기로서 땅속 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파내어 땅속에 심어져 있던 작물을 채굴하여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땅속 작물 수확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3647호에서 수확기용 채굴장치로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수확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취삽(300) 후방의 양 프레임(110) 사이에서 제토컨베이어(20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로서 무한 회전되게 설치되고, 굴취삽(300)에 의해 채굴된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00)에 의해 이동되면서 작물의 뿌리 붙은 흙이 털어져 제토컨베이어(200)의 하부로 배출되며, 흙이 제거된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00)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토컨베이어(200) 하부로 배출되는 흙은 두둑 위에 쌓이게 되고, 두둑에 쌓인 흙은 이를 지나는 제토컨베이어(200)에 간섭될 수도 있다.
특히, 제토컨베이어(200)는 굴취삽(300) 후방의 양 프레임(110) 사이에서 지면과 대략 15도 각도를 이루며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제토컨베이어(200)의 후단부에는 제토컨베이어(200)를 직접 회전시키는 구동축(210)이 구비되며, 제토컨베이어(200)의 선단부에는 회전되는 제토컨베이어(200)를 가이드하는 피동축(220)이 구비된다.
이로써, 제토컨베이어(200)는 구동축(210)과 피동축(220)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이룬 상태로 연속 회전된다.
또한, 제토컨베이어(200)에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양 체인을 연결하는 다수의 로드바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채굴된 작물이 제토컨베이어(200)에서 이동될 때 로드바 사이로 작물의 낙하는 방지되고 작물에서 털어진 흙만 배출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210)과 피동축(220)에 걸림되는 상측 체인(201)은 하측 체인(202)이 그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늘어짐에 따라 장력이 유지되지만, 하측 체인(202)은 늘어진 상태로 프레임(1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의 아이들롤러에 걸림된 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수확기(100)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후방에 제토컨베이어(200)에서 흙이 털어진 채로 이동되어 오는 작물을 담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바가지 등과 같은 구조물(400)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설치되는 바가지 등의 구조물(400)은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에서 처짐이 발생될 시에는 하측 체인(202)과 간섭되고, 간섭시에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오작동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제토컨베이어(200)의 구동축(2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토컨베이어(200)를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늘어진 제토컨베이어(200)를 다시 긴장된 상태로 조절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제토컨베이어(200)를 후방으로 당길 때 후방의 구조물(400)과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36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확기에 설치된 제토컨베이어의 장력을 구동축의 위치 변경없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음과 더불어 두둑에서 제토컨베이어의 끌림을 방지하여 제토컨베이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는, 굴취삽 후방에서 상향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구동축과 피동축에 걸림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장력을 조절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로서, 장력 조절장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에 접한 상태로 체인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정롤러; 조정롤러가 축 결합되는 한편 그 일측은 수확기 프레임의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수확기에서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정롤러는 회전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한쌍의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내.외주면에 엇갈린 상태로 동시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조정롤러 중 전방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고, 후방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한쌍의 조정롤러는 회전브라켓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에 따르면, 수확기에 설치된 제토컨베이어의 장력을 구동축의 위치 변경없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제토컨베이어와 두둑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제토컨베이어의 끌림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제토컨베이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확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제토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에 구성된 제토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토컨베이어에 구성되는 장력 조절장치의 입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제토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입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제토컨베이어 및 이의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수확기(100)는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작업 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수확기(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두둑 속의 작물을 파내어 채굴할 수 있는 채굴유닛으로서, 수확기(100)의 전반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프레임(101)은 작업 차량 즉 트랙터(미도시)의 후미에 직접 연결되어 견인되게 구비된다.
특히, 프레임(101)의 선단부 상측에는 트랙터의 후미에 연결할 수 있는 견인브라켓과, 트랙터의 PTO축(미도시)과 연결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수확기(100)의 동력으로 전달하는 입력축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단단한 두둑 속의 작물을 캐내어 채굴하는 굴취삽(300)이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굴취삽(300) 후방의 프레임(110) 양측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토컨베이어(2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토컨베이어(200)는 복수의 양 체인이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 체인 사이에는 다수의 로드바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무한궤도를 이루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전,후부는 각각 구동축(210)과 피동축(220)에 걸림되게 구비되고, 구동축(210)과 피동축(220) 사이에는 복수의 상측 아이들롤러(230)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제토컨베이어(200)를 지지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20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축(210)과 피동축(220), 상측 아이들롤러(23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바, 구동축(210)의 양측부에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체인과 치합되어 제토컨베이어(20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211)가 구비되고, 피동축(220)의 양측부에는 회전되는 제토컨베이어(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피동기어 또는 가이드롤러(221)가 아이들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동축(220)의 양측부에 상측 아이들롤러(230)와 마찬가지로 제토컨베이어(200)를 가이드하는 아이들 상태의 가이드롤러(221)가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200)는 그 자중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 체인(201)은 구동기어(211)와 가이드롤러(221), 복수의 상측 아이들롤러(230)에 걸림되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지만,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 체인(202)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져 늘어진 상태로 구비되므로 프레임(110)에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하측 아이들롤러(2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받쳐 지지하는 하측 아이들롤러(231)는 도 2에서와 같이, 제토컨베이어(200)의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낮아 두둑에 가깝게 위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프레임(110) 전방에서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상측으로 받쳐 올린 상태로 구비된다.
이로써, 제토컨베이어(200)의 상측 체인(201)은 구동기어(211)와 가이드롤러(221), 상측 아이들롤러(230)에 걸림되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그 자중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고, 하측 체인(202) 역시도 구동축(210)의 구동기어(211), 하측 아이들롤러(231), 피동축(220)의 가이드롤러(221) 및 후술될 장력 조절장치의 조정롤러(240)(241)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반복되는 작동되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오랜 사용으로 인해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에서는 처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이 두둑 또는 두둑 위의 흙에 끌리는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장치가 구성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장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토컨베이어(200)의 체인 즉 하측 체인(202)에 접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정롤러(240)(241)와, 조정롤러(240)(241)가 힌지 결합되는 한편 그 일측은 수확기(100)의 프레임(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242)과, 수확기(100)의 프레임(110)에서 회전브라켓(24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정롤러(240)(241)는 회전브라켓(242)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 내.외주면에 엇갈린 상태로 접하여 구비된다.
즉, 한쌍의 조정롤러(240)(241) 중 전방 조정롤러(240)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될 수 있게 구비되고, 후방 조정롤러(241)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로써,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는 회전브라켓(24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후방으로 당기거나 또는 느슨하게 풀어줌으로써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쌍의 조정롤러(240)(241) 중 전방 조정롤러(240)가 도 5의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고, 후방 조정롤러(241)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경우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후방으로 당겨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긴장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전방 조정롤러(240)가 도 7의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고, 후방 조정롤러(241)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경우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이 느슨하게 풀어진 상태로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정롤러(240)(241)는 전방의 하측 아이들롤러(231) 및 피동축(220)의 가이드롤러(221)보다 높은 위치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한쌍의 조정롤러(240)(241)가 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은 하측 아이들롤러(231)보다 높은 위치로 지지되어 장력이 유지되고, 제토컨베이어(200)의 처짐 발생시는 스프링과 회전브라켓(242)에 의해 한쌍의 조정롤러(240)(241)가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 상에서 회전되어 도 6 및 도 7과 같이 위치됨에 따라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이 후방으로 당겨져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긴장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전방 조정롤러(240)와 하측 아이들롤러(231) 사이에서 팽팽히 당겨져 긴장될 뿐 아니라 전방 조정롤러(240)와 후방 조정롤러(241) 사이에서도 팽팽히 당겨져 2중으로 긴장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특히, 도 7과 같이 장력 조절된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은 전방 조정롤러(240)와 후방 조정롤러(241)가 상하로 위치됨에 따라 전방보다 후방이 높은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00)와 바가지 등과 같은 후방 구조물(4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한쌍의 조정롤러(240)(241)가 축 결합돼 있는 회전브라켓(242)은 그 중앙부가 고정브라켓(243)에 힌지 결합되고, 고정브라켓(243)은 수확기(100)의 프레임(110)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로써, 회전브라켓(242)은 고정브라켓(243)과의 힌지부(244)를 축으로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회전브라켓(242)의 전단부 상측에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이러한 스프링은 회전브라켓(24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가스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이 인장형 가스스프링(250)으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즉, 가스스프링(250)은 제토컨베이어(200) 상부의 프레임(110)에 그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본체(251)와, 본체(251)의 하단부에서 출입되는 한편 그 하단부는 회전브라켓(242)의 전단부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2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스프링(250)은 본체(251) 내의 가스압에 의해 로드(252)를 인출시키는 인장력이 작용되고, 로드(252)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브라켓(242)에는 지속적인 회전력이 작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가스스프링(250)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브라켓(242)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후방으로 당기는 지지력이 지속적으로 작용되고, 이에 의해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는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항시 후방으로 당긴 상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제토컨베이어(200)는 항상 긴장된 상태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항시 긴장된 상태로 장력 조절되는 제토컨베이어(200)에는 오랜 사용으로 인해 하측 체인(202)이 하방으로 늘어지는 처짐이 발생될수록 한쌍의 조정롤러(240)(241)의 회전량이 더 커짐에 따라 양 조정롤러(240)(241) 사이에서 하측 체인(202)의 전방보다 후방이 높은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00)와 후방의 바가지 등과 같은 구조물(4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트랙터의 후방에 수확기(100)를 연결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작동시키면, 트랙터의 동력이 PTO축을 통해 수확기(100)로 전달되고, 수확기(100)로 전달된 동력은 제토컨베이어(200)의 구동축(210)으로 입력되어 제토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가 전진 주행하면, 트랙터에 견인된 수확기(100)도 전진 이동되면서 수확기(100)의 선단부 하부에 구비된 굴취삽(300)에 의해 두둑 속의 작물이 굴토되어 파내어진다.
그러면, 굴취삽(300)에 의해 파내어진 작물은 굴취삽(300)의 뒤를 따르는 제토컨베이어(200)의 상면으로 올려져 수확된 상태로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송되면서 작물에 붙은 흙을 털어내면서 작물을 수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토컨베이어(200)의 오랜 사용으로 인해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이 느슨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토컨베이어(200)의 상측 체인(201)은 그 자중에 의해 구동기어(211)와 가이드롤러(221), 상측 아이들롤러(230)에 지지된 상태로 당겨져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하측 체인(202)은 처짐이 발생되어 하방으로 늘어지게 되고, 늘어진 하측 체인(202)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00)가 후방의 구조물(400)과 간섭됨과 더불어 두둑 위로 배출된 흙에 끌림되는 간섭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토컨베이어의 간섭 현상은 본 발명의 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장치는 가스스프링(250)의 본체(251)에서 인출되려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로드(252)에 의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회전브라켓(242)이 힌지부(244)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브라켓(242)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하측 체인(202)에 엇갈린 위치로 구비되는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는 회전브라켓(242)과 같이 회전 이동되면서 하측 체인(202)을 후방으로 당겨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한쌍의 조정롤러(240)(241)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회전되는 바, 전방 조정롤러(240)가 하방으로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후방 조정롤러(241)는 상방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제토컨베이어(200)의 하측 체인(202)을 도 7과 같이 후방으로 당겨 제토컨베이어(200)의 장력을 긴장된 상태로 조절하게 되고, 가스스프링(250)에 의해 이러한 장력 조절은 항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토컨베이어(200)의 긴장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긴장된 상태로 장력이 항시 조절되는 제토컨베이어(200)는 후방의 구조물(400)과 간섭을 피할 수 있고, 두둑 위의 흙에 접하여 끌리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오작동 없이 정상적인 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수확기 110 : 프레임
200 : 제토컨베이어 201 : 상측 체인
202 : 하측 체인 210 : 구동축
211 : 구동기어 220 : 피동축
221 : 가이드롤러 230,231 : 아이들롤러
240,241 : 조정롤러 242 : 회전브라켓
243 : 고정브라켓 244 : 힌지부
250 : 가스스프링 251 : 본체
252 : 로드 300 : 굴취삽

Claims (4)

  1. 굴취삽 후방에서 상향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구동축과 피동축에 걸림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장력을 조절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로서,
    장력 조절장치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에 접한 상태로 체인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정롤러;
    조정롤러가 축 결합되는 한편 그 일측은 수확기 프레임의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수확기에서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조정롤러는 회전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한쌍의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내.외주면에 엇갈린 상태로 동시에 접하여 구비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한쌍의 조정롤러 중 전방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고, 후방 조정롤러는 제토컨베이어의 체인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한쌍의 조정롤러는 회전브라켓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KR1020210077894A 2021-06-16 2021-06-16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KR10230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94A KR102308000B1 (ko) 2021-06-16 2021-06-16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94A KR102308000B1 (ko) 2021-06-16 2021-06-16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00B1 true KR102308000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94A KR102308000B1 (ko) 2021-06-16 2021-06-16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2876A1 (en) * 1988-12-02 1990-06-13 Btg International Limited Root crop harvester
JPH078061A (ja) * 1993-06-21 1995-01-13 Kubota Corp 玉葱収穫機
KR200325480Y1 (ko) * 2003-06-12 2003-09-03 윤태욱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KR102183647B1 (ko) 2020-06-05 2020-11-26 윤태욱 수확기용 채굴장치
JP2021045048A (ja) * 2019-09-17 2021-03-25 日農機製工株式会社 収穫機におけるコンベアのテンション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収穫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2876A1 (en) * 1988-12-02 1990-06-13 Btg International Limited Root crop harvester
JPH078061A (ja) * 1993-06-21 1995-01-13 Kubota Corp 玉葱収穫機
KR200325480Y1 (ko) * 2003-06-12 2003-09-03 윤태욱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JP2021045048A (ja) * 2019-09-17 2021-03-25 日農機製工株式会社 収穫機におけるコンベアのテンション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収穫機
KR102183647B1 (ko) 2020-06-05 2020-11-26 윤태욱 수확기용 채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014B1 (ko) 잡초 배출이 용이한 구근 수확기
JP2014236681A (ja) 根菜収穫機
KR20070025409A (ko) 고구마 수확기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KR102308000B1 (ko) 수확기용 제토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KR102201118B1 (ko) 수확기용 평탄장치
KR102309475B1 (ko) 수확기용 장력 조절장치
US3995412A (en) Row unit attachment for combines
US2771728A (en) Root crop harvesting and cutting machine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CN204796164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式收获装置
KR102431181B1 (ko) 흙 제거가 용이한 구근 수확기
CN204796160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796163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的收获储存装置
CN20479615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挖掘支撑机构
US2691261A (en) Adjusting means for root harvesters
KR20200064205A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CN20465299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796166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
US2523024A (en) Peanut and grass harvester
KR20240092442A (ko)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자주식 수확기
JP4107755B2 (ja) 根菜作物収穫機
CN20465296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作物收获装置
JP6644973B2 (ja) 鱗茎野菜収穫機
JP2000316345A (ja) 根菜類用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