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118B1 - 수확기용 평탄장치 - Google Patents

수확기용 평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118B1
KR102201118B1 KR1020200067246A KR20200067246A KR102201118B1 KR 102201118 B1 KR102201118 B1 KR 102201118B1 KR 1020200067246 A KR1020200067246 A KR 1020200067246A KR 20200067246 A KR20200067246 A KR 20200067246A KR 102201118 B1 KR102201118 B1 KR 10220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harvester
dug
excavated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178A (ko
Inventor
윤태욱
윤병운
Original Assignee
윤태욱
윤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윤병운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102020006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1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기용 평탄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탄한 두둑을 원호 형상의 볼록한 두둑으로 굴토하면서 두둑에 심어져 있는 작물을 채굴하여 수확하는 수확기에 구비되어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굴토된 두둑에 접한 상태로 수확기를 따라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평탄부재를 포함하는 수확기용 평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확기용 평탄장치{Flattening device for harvester}
본 발명은 수확기용 평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하여 흙을 털어낸 후 작물을 다시 두둑 위로 배출하기 전에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수확기용 평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류 작물은 땅속 작물로서, 땅속에서 식용 가능한 실과를 맺는 모든 식물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개 마늘, 땅콩, 양파, 무, 감자, 고구마, 인삼, 도라지, 약초류와 같은 구근, 괴근, 괴경, 근채류 등을 통칭하여 일컫는 용어이다.
이와 같은 땅속 작물의 성장이 완료되면, 이들을 채취하여 수확하게 되는데, 땅속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땅속 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구굴하여 지하에 심어져 있던 땅속 작물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확하는 형태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수작업으로 땅속 작물을 수확할 경우에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르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력난이 심하고 노령 인구가 많은 농촌 실정에 맞지 않아 땅속 작물의 수확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땅속 작물을 기계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땅속 작물 수확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땅속 작물 수확기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35667호(명칭 : 지중 작물 수확 장치,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땅속 작물 수확 장치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입력축을 통하여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 전달축과 기어박스를 통하여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을 상부에 가지는 본체가 구비된다.
본체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되어 지중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줄기절단유닛과, 줄기절단유닛 사이에 굴토칼날을 선단에 가지는 유닛 몸체로 구성되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면을 굴토하는 굴토유닛이 설치된다.
그리고, 굴토유닛의 후방에 다수개의 진동봉을 가지고 설치되는 진동유닛과, 진동유닛의 후방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봉을 설치하여 수확되는 땅속 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설치되는 선별유닛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안된 지중 작물 수확 장치를 비롯한 종래의 수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1)의 양 고랑(2)을 따라 주행되면서 굴토유닛을 통해 두둑(1)에 심어져 있는 작물을 굴토하고, 굴토한 작물을 수확기의 후방의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두둑(1)의 굴토과정에서 평탄했던 두둑(1)의 상면이 굴토후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올라온 둥근 원호 형태의 두둑(1-1)으로 형성되므로 굴토 후 두둑(1-1) 위로 배출되는 작물이 두둑(1-1)의 둥근 형상에 의해 양측의 고랑(2)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고, 양 고랑(2)으로 떨어진 작물은 서로 부딪쳐 훼손될 수 있으며, 수확 작업시 트랙터의 바퀴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고랑으로 떨어진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작업자 중 한 명이 수확 장치의 뒤를 따르면서 양 고랑(2)으로 떨어진 작물을 두둑(1-1) 위로 올려주는 별도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수확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물 수확에 수확 장치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수확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356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한 후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들고 채굴된 작물의 흙을 털어 평탄한 두둑 위로 배출시키는 수확기용 평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용 평탄장치는, 평탄한 두둑을 원호 형상의 볼록한 두둑으로 굴토하면서 두둑에 심어져 있는 작물을 채굴하여 수확하는 수확기에 구비되어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굴토된 두둑에 접한 상태로 수확기를 따라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평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평탄부재는 수확기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의 중앙부에 두둑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두둑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수확기에 의해 이동되면서 굴토된 원호 형상의 두둑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을 눌러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한편, 평탄한 두둑의 상면 가장자리 측에는 평탄부재에 의해 밀린 흙이 쌓여 평탄한 두둑보다 높은 둔턱부를 형성하여, 이 둔턱부에 의해 평탄한 두둑 위로 배출된 작물이 고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삭제
게다가, 평탄부재는 회전축에서 두둑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수확기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두둑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평탄부재와 수확기 사이에는 평탄부재를 수확기 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평탄부재가 굴토된 두둑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확기의 후방 양측에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마운팅브라켓의 외측에는 두둑 사이의 고랑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주행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확기용 평탄장치에 따르면,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한 후 채굴된 작물과 흙을 제토컨베이어로 공급하여 흙을 털어내면서 작물을 수확기 후방으로 배출시키기 전에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들어 작물이 평탄한 두둑 위로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랑으로 떨어진 작물을 두둑 위로 올리는 불필요한 작업이 제거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두둑의 평상시 상태와 수확기에 의해 작물이 채굴된 상태의 두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에 구비되는 평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탄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장치가 두둑의 높이에 따라 두둑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 및 평탄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100)는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작업 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수확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1) 속의 작물(20)을 파내어 채굴할 수 있는 채굴유닛으로서, 수확기(100)의 전반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101)은 트랙터(미도시)의 후미에 직접 연결되어 견인되게 구비된다.
특히, 프레임(101)의 선단부 상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랙터의 후미에 연결할 수 있는 견인브라켓과,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수확기(100)의 동력으로 전달하는 동력 입력축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두둑(1) 속의 작물(20)을 채굴하여 캐내는 굴취삽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101)의 중앙부에는 굴취삽 상부의 프레임(101) 선단부에서 후단부 측으로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굴취삽에 의해 채굴된 작물(20)과 함께 이송되는 흙을 털어내 제거하여 작물만을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120)가 구비된다.
특히, 제토컨베이어(120)는 굴취삽과 이격된 프레임(101)의 선단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15도 정도로 경사지게 눕혀진 상태로 구비되고, 이러한 제토컨베이어(12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제토컨베이어(12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미도시)과 회전축(미도시)이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며, 구동축은 제토컨베이어(120)의 선단부에서 동력 입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제토컨베이어(120)를 회전 구동시키고, 회전축은 제토컨베이어(120)의 후단부에서 회전되는 제토컨베이어(120)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토컨베이어(12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로써, 제토컨베이어(120)는 구동축과 회전축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이룬 상태로 연속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토컨베이어(120)에는 프레임(10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로드바(121)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러한 로드바(121) 간의 간격은 채굴된 작물이 로드바(121) 사이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확기(100)의 후단부에는 두둑(1)에서 채굴되어 수확기(100) 후방으로 배출되는 작물(2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0)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재(110)는 수확기(10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고무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양 가이드부재(110)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가이드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양 가이드부재(110)에 의해서 수확기(1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작물(20)은 굴토된 두둑(1-1)의 상면 중앙부에 모여진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10)는 수확기(100)의 프레임(101) 후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111)에 구비되되, 가이드프레임(111)은 그 일단부가 프레임(101)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1)의 후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가이드프레임(111)은 외팔보로서, 일단부의 고정단을 기준으로 타단부의 자유단이 벤딩 즉 굽힘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프레임(111)의 자유단부인 타단부에는 가이드부재(110)가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가이드프레임(111)의 타단부와 수확기(100)의 프레임(101) 사이에는 실린더(112)가 구비된다.
실린더(11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서, 그 후단부는 수확기(100)의 프레임(101)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112)의 선단부에서 출입되는 로드(113)는 그 선단부가 가이드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112)에서 출입되는 로드(113)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의 휨이 조절되면서 양 가이드프레임(111)에 각각 구비된 양 가이드부재(110) 간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수확기(100) 후방으로 배출되는 작물(20)의 배출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10)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의 상면 중앙부로 배출된 작물이 두둑(1-1)의 양측 고랑(2)으로 굴러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탄장치(200)가 수확기(100)의 후단부에 더 구비되고, 이러한 평탄장치(200)는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을 고르게 펴면서 눌러 단단하고 평탄한 두둑(1)으로 만들게 된다.
평탄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기(100)의 프레임(101) 후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210)을 포함한다.
마운팅브라켓(210)은 프레임(101)의 후단부에 결합 고정되어 구비되되, 마운팅브라켓(210)의 선단부는 프레임(101)의 후단부에 결합 고정되고, 후단부와 하단부는 프레임(101)의 후방과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210)의 후단부에는 후술될 회전축(230)이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210)의 하단부에는 주행 가이드(220)가 구비된다.
주행 가이드(220)는 트랙터에 의한 수확기(100)의 이동시 수확기(100)의 주행을 돕기 위한 부재로서, 마운팅브라켓(2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한편 그 하면이 두둑(1)의 고랑(2)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된다. 특히, 주행 가이드(220)의 선단부 즉 수확기(100)의 전방(주행 방향) 측으로 위치된 선단부는 그 하면이 후단부보다 상방향으로 급격한 각도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수확기(100)의 전진 주행시 걸림을 방지하여 원활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회전축(230)은 양 마운팅브라켓(21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로서, 마운팅브라켓(210)에 힌지 결합되는 양측 단부에는 연결링크(231)가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링크(231)에는 탄성부재(250)가 연결되어 구비되되, 탄성부재(250)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일단부는 연결링크(231)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확기(100)의 프레임(101)에 연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탄성부재(250)는 연결링크(231)를 통해 회전축(230) 즉 후술될 평탄부재(240)를 수확기(100) 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특히, 탄성부재(250)의 일단부는 연결링크(231)에 연결핀 등을 매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탄성부재(2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0)은 연결링크(231)와 탄성부재(250)의 연결부가 마운팅브라켓(210)에 접하여 걸림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230)의 중앙부에는 수확기(100)에 의해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1-1)을 눌러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한편, 그 형성 길이가 회전축(230)보다는 짧게, 즉 두둑(1)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하기할 둔턱부(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평탄부재(240)가 구비된다.
평탄부재(240)는 회전축(230)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241)와, 연장부(241)에서 수확기(100)의 후방 즉 수확기(100)의 반대편 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평탄부(242)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탄부재(240)는 회전축(230)과 같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도 4의 상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1)의 높이가 낮은 경우는 연결링크(231)에 연결된 탄성부재(250)의 연결부가 마운팅브라켓(210)에 걸림될 때까지 연결링크(231)를 수확기(100) 측으로 당겨 회전시킴으로써 평탄부(242)는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1-1)의 상면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지게 된다.
또한, 도 4의 하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1)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평탄부(242)가 굴토된 두둑(1-1)의 높은 상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되므로 평탄부(242)는 두둑(1-1)과의 마찰 저항으로 인해 수확기(100) 반대편 측으로 역회전된 상태로 이동되지만, 이때 역 회전된 평탄부(242)는 탄성부재(250)의 복원력 즉 당김력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에 견고하게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1-1)의 상면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용 평탄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트랙터의 후방에 수확기(100)의 견인하여 연결하고, 트랙터의 동력이 수확기(1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트랙터의 PTO축에 수확기(100)의 입력축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된 수확기(100)의 후방에는 평탄장치(200)가 구비되고, 평탄장치(200)의 평탄부(242)는 지면 즉 굴토전의 두둑(1) 또는 굴토된 두둑(1-1)에 면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를 전진 주행시키면, 수확기(100) 역시도 트랙터를 따라 전진 이동되는데, 트랙터와는 달리 바퀴가 없는 수확기(100)는 그 양측의 주행 가이드(220)가 고랑(2)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수확기(100)의 주행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확기(100)의 전진 이동시 평탄부재(240)의 평탄부(242)는 굴토된 두둑(1-1)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두둑(1-1)과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수확기(100)의 후방으로 역회전된 상태로 수확기(100)를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진 이동되는 수확기(100)는 그 선단부의 굴취삽을 통해 두둑(1)의 흙을 파내면서 작물(20)을 채굴하게 되고, 채굴된 작물(20)은 수확기(100)의 제토컨베이어(120) 위로 올려져 이송되며, 제토컨베이어(120)에서 이송되는 작물(20)은 진동에 의해 작물(20)에 묻은 흙이 완전히 털려 제거되고, 털어진 흙은 제토컨베이어(120)의 로드바(121) 사이를 통해 굴토된 두둑(1-1) 상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흙이 제거된 작물(20)은 제토컨베이어(120)를 통해 수확기(100)의 후단부로 이송되어 두둑(1)의 상면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굴취삽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평탄부재(240)의 평탄부(242)에 의해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져져 평탄한 두둑(1)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확기(100)에서 배출되는 작물(20)은 평탄한 두둑(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랑(2)으로의 구름이 방지된다.
특히, 두둑(1)의 높이가 낮은 경우는 도 5에서와 같이, 수확기(100)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평탄부(242)가 탄성부재(250)의 당김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평탄부(242)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은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져져 평탄한 두둑(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둑(1)의 높이가 높은 경우는 도 6에서와 같이, 굴토된 두둑(1-1)의 높은 높이로 인해 평탄부(242)가 수확기(100)의 후방으로 최대한 역 회전된 상태로 전진 이동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50)는 평탄부(242)의 역 회전량만큼 최대한 인장되어 복원력 즉 당김력이 최대로 작용된 상태로서, 역 회전된 상태로 전진 이동되는 평탄부(242)를 당겨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에 견고하게 면접촉시킴으로써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은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져져 평탄한 두둑(1)으로 형성된다.
한편, 평탄부재(240)의 평탄부(242)는 그 형성 길이가 회전축(230)보다는 짧게, 즉 두둑(1)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이와 같은 평탄 작업시 평탄부재(240)의 평탄부(242)에 의해 굴토된 두둑(1-1)이 단단하고 평탄한 두둑(1)으로 만들어지면, 평탄한 두둑(1)의 상면 양 가장자리 측에는 평탄부(242)에 의해 밀린 흙이 쌓여 평탄한 두둑(1)보다 높은 둔턱부(10)가 형성되고, 이 둔턱부(10)에 의해 평탄한 두둑(1) 위로 배출된 작물(20)이 고랑(2)으로 떨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250)의 복원력(당김력)은 굴토된 두둑(1-1)에 면접촉되는 평탄부(242)의 저항력에 비례하여 작용되므로 큰 저항에도 평탄부(242)는 굴토된 두둑(1-1)의 상면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져 평탄한 두둑(1)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1 : 두둑 2 : 고랑
10 : 둔턱부 20 : 작물
100 : 수확기 101 : 프레임
110 : 가이드부재 111 : 가이드프레임
112 : 실린더 113 : 로드
120 : 제토컨베이어 121 : 로드바
200 : 평탄장치 210 : 마운팅브라켓
220 : 주행 가이드 230 : 회전축
231 : 연결링크 240 : 평탄부재
241 : 연장부 242 : 평탄부
250 : 탄성부재

Claims (5)

  1. 평탄한 두둑을 원호 형상의 볼록한 두둑으로 굴토하면서 두둑에 심어져 있는 작물을 채굴하여 수확하는 수확기에 구비되어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굴토된 두둑에 접한 상태로 수확기를 따라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평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평탄부재는 수확기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의 중앙부에 두둑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두둑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수확기에 의해 이동되면서 굴토된 원호 형상의 두둑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굴토된 두둑을 눌러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한편, 평탄한 두둑의 상면 가장자리 측에는 평탄부재에 의해 밀린 흙이 쌓여 평탄한 두둑보다 높은 둔턱부를 형성하여, 이 둔턱부에 의해 평탄한 두둑 위로 배출된 작물이 고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수확기용 평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탄부재는 회전축에서 두둑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수확기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두둑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수확기용 평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탄부재와 수확기 사이에는 평탄부재를 수확기 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평탄부재가 굴토된 두둑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두둑을 단단하고 평탄하게 만드는 수확기용 평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확기의 후방 양측에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마운팅브라켓의 외측에는 두둑 사이의 고랑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주행 가이드가 구비되는 수확기용 평탄장치.
KR1020200067246A 2020-06-03 2020-06-03 수확기용 평탄장치 KR10220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46A KR102201118B1 (ko) 2020-06-03 2020-06-03 수확기용 평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46A KR102201118B1 (ko) 2020-06-03 2020-06-03 수확기용 평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78A KR20200073178A (ko) 2020-06-23
KR102201118B1 true KR102201118B1 (ko) 2021-01-12

Family

ID=7113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46A KR102201118B1 (ko) 2020-06-03 2020-06-03 수확기용 평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5133B (zh) * 2020-08-18 2021-07-02 芜湖农翔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马蹄收获用仿人工采挖自动松泥装置
CN114793504B (zh) * 2022-04-11 2024-06-04 山东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小麦双镇压全幅精量播种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27Y1 (ko) 2007-11-15 2009-08-06 서재근 구근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15A (ja) * 1996-06-28 1998-01-20 Iseki & Co Ltd ロータリ耕耘具の均し板取付装置
JPH11318103A (ja) * 1998-05-13 1999-11-24 Iseki & Co Ltd 耕耘均平装置
KR100835667B1 (ko) 2007-10-26 2008-06-05 엠테크영농조합법인 지중 작물 수확 장치
KR101824221B1 (ko) * 2015-10-16 2018-03-14 노술해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27Y1 (ko) 2007-11-15 2009-08-06 서재근 구근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78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6458B (zh) 分级袋装式薯类联合收获机
KR102183647B1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KR102136607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2201118B1 (ko) 수확기용 평탄장치
CN107046912B (zh) 根茎类农作物收获机
CN107820828A (zh) 组合式单垄收获机
CN107615924A (zh) 农膜卷收机
CN209861608U (zh) 一种结球类蔬菜收获割台
CN201430778Y (zh) 一种薯类联合收获机
KR20200065238A (ko)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US10470353B2 (en) Rock collection and rock rowing device
KR20200110827A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CN114651590B (zh) 一种农业收获装置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US3565178A (en) Peanut digger and shaker
CN216218787U (zh) 一种针对粘性土壤的马铃薯收获机
CN215530015U (zh) 干式收获机
CN212487304U (zh) 一种芋头收获机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CN210987048U (zh) 一种小型马铃薯联合收获机
CN113767745A (zh) 一种薯类作物机械收获方法及收获机
CN207783467U (zh) 农膜卷收机
US2462128A (en) Beet harvesting means
KR102553816B1 (ko) 구형 농산물 수집장치
CN2351923Y (zh) 花生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