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941B1 - 자주식 수확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941B1 KR101880941B1 KR1020170136251A KR20170136251A KR101880941B1 KR 101880941 B1 KR101880941 B1 KR 101880941B1 KR 1020170136251 A KR1020170136251 A KR 1020170136251A KR 20170136251 A KR20170136251 A KR 20170136251A KR 101880941 B1 KR101880941 B1 KR 101880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frame
- crop
- soil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견인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스스로 이동할 수 있고 미리 채취 또는 굴취된 작물을 이송하면서 작물에 묻어 있는 흙을 제거하여 작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흙이 제거된 작물을 저장용기에 담아 저장창고 등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주식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주식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견인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스스로 이동할 수 있고 미리 채취 또는 굴취된 작물을 이송하면서 작물에 묻어 있는 흙을 제거하여 작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흙이 제거된 작물을 저장용기에 담아 저장창고 등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주식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구근은 땅속에 있는 줄기나 뿌리가 알 모양으로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구근이 재배되는 두둑의 폭은 60 ~ 75cm로 형성되고, 고랑은 40 ~ 50cm의 폭으로 형성되며, 구근이 수확할 수 있는 크기만큼 커지면, 수확하기 위해 두둑을 덮고 있는 비닐을 걷어내고, 구근의 잎과 넝쿨을 미리 잘라 치운 다음, 땅을 파헤쳐 수확작업을 하게 된다.
땅속에 묻힌 구근을 수확하기 위해 경운기나 트랙터에 결합되거나, 혹은 콤바인과 같이 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구근수확기 등 다양한 구근수확기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트랙터는 경운기보다 힘이 세 2개 이상의 두둑을 동시에 수확할 수 있고, 차량과 일체로 구성된 구근수확기와 달리 트랙터에서 구근수확기를 분리하고, 다른 농기계를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트랙터 견인식 구근수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근수확기에는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구근의 흙을 제거하지 않으면 저장 도중 구근이 발아하여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의 구근 수확기는 보습과 같은 날을 이용하여 구근을 수확하고 있기 때문에 수확 도중 구근이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열무나 파 등의 수확에는 이용하기가 어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자주식 수확기는 밭에 있는 작물을 먼저 수확한 후 작물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에 묻어 있는 흙을 최대한 제거하여 작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용기를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주식 수확기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밭에서 채취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자체 이동이 가능하며 이송부가 측부에 설치되는 차체부;를 포함하고, 차체부는 운전석이 구비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적재된 저장용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부는 저장용기가 얹혀지는 한 쌍의 포크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지와, 배출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캐리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마스트 레일과,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스트 레일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체부의 이동바퀴는 캐터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는 전방은 낮고 후방을 높게 설치되어 전방 측에 쏟아진 작물을 후방 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진동을 이용하여 작물에 묻은 흙을 털어준 후 측방으로 배출하도록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털이부와, 이송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흙털이부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베이어는 하부로 흙이 떨어지도록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컨베이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베이어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이송부 프레임에 연장 프레임이 설치되고, 연장 프레임에 수확물 박스가 얹혀지는 받침 프레임이 설치됨과 아울러 받침 프레임의 전방에 수확물 박스의 측부에 밀착되어 수확물 박스를 지지하고 수확물 박스의 회동 중심으로 작용하는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 프레임은 컨베이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베이어의 상단 측에 작물을 흙털이부의 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흙털이부는 하부에 진동 모터가 설치되고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흙털이 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흙털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저장용기로 작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에 의해 떨어진 흙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흙털이 프레임은 개방된 출구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는 이송부 프레임에 고정된 하부부재와, 흙털이부의 흙털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일단은 하부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브래킷에 고정되어 흙털이 프레임이 진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 프레임에 차체부의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발전기가 구비되고, 컨베이어를 작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 및 흙털이부의 진동모터가 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기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는, 미리 채취되어 수확용 박스에 담겨 있는 작물을 저장용기로 이송함과 아울러 차체부에 지게차 형태의 배출부가 구비되어 작물이 수납된 저장용기를 쉽게 내려놓거나 저장창고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부의 이동바퀴가 캐터필러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토압이 약한 밭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확용 박스에 담긴 작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에 묻어 있는 흙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컨베이어의 틈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후방에 배치된 흙털이부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작물의 흙을 분리하게 되므로 작물에 묻어 있는 흙이 대부분 제거되어 수확물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물을 밭에서 미리 수확한 후 저장용기로 이송함에 따라 작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작물이 거의 손상되지 않아 수확량이 증가하고 상품성이 좋아진다.
또한, 컨베이어의 하단 측에 받침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구비됨에 따라 수확물 박스를 올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수확물 박스를 뒤집어 컨베이어로 작물을 공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컨베이어의 상단 측에 가이드가 구비되어 작물을 흙털이부의 후단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흙털이부에서 작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흙 제거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흙털이부가 배출구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진동모터가 구비됨에 따라 진동을 이용한 흙털이 및 흙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차체부의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발전기가 구비됨에 따라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작물의 이송 및 흙털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이송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털이부 및 탄성 지지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와 흙털이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를 이송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털이부 및 탄성 지지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와 흙털이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수확기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0)를 이용하여 밭에서 채취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100)와; 자체 이동이 가능하며 이송부(100)가 측부에 설치되는 차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체부(200)는 엔진(도시 생략)과 운전석(220)이 구비되고 캐터필러로 이루어진 이동바퀴(230)가 하부에 설치된 차체 프레임(210)과,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적재된 톤 박스 형태의 저장용기(250)를 배출할 수 있도록 차체 프레임(210)의 후방에 구비된 지게차 형태의 배출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240)는 공지의 지게차와 마찬가지로 저장용기(250)가 얹혀지는 한 쌍의 포크(245)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지(244)와, 배출부 프레임(241)에 설치되어 캐리지(24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마스트 레일(242)과, 캐리지(244)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스트 레일(242)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2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부(100)는, 하측에 위치되는 이송부 프레임(150)과, 이송부 프레임(150)에 설치되되 전방은 낮고 후방을 높게 설치되어 전방 측에 쏟아진 작물을 후방 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10)와, 진동을 이용하여 작물에 묻은 흙을 털어준 후 측방으로 배출하도록 컨베이어(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털이부(120)와, 이송부 프레임(150)에 설치되어 흙털이부(120)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물이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는 도중 작물에서 떨어진 흙이 컨베이어(110)의 틈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고, 흙털이부(120)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작물의 흙이 분리되도록 하여 작물의 흙이 대부분 제거된다. 이와 같이, 작물의 흙이 거의 제거되면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구근류에서 싹이 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컨베이어(110)는 하부로 흙이 떨어지도록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베이어(110)의 작동을 위하여 컨베이어 구동모터(114)가 이송부 프레임(150)에 설치됨으로써 컨베이어 구동모터(114)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110)의 하부 측에 쏟아진 작물이 컨베이어(110)를 따라 상향 이동하여 컨베이어(110)의 후방에 위치한 흙털이부(120)로 공급되며,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진동에 의해 작물에 남아 있는 흙이 분리되어 컨베이어 롤러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1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이송부 프레임(150)에 연장 프레임(111)이 설치되고, 연장 프레임(111)에 수확물 박스(116)가 얹혀지는 받침 프레임(112)이 컨베이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과 아울러 받침 프레임(112)의 전방에 수확물 박스(116)의 측부에 밀착되어 수확물 박스(116)를 지지하고 수확물 박스(116)의 회동 중심으로 작용하는 지지 프레임(113)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미리 수확된 작물이 적재된 수확물 박스(116)를 받침 프레임(112)에 올려놓았다가 수확물 박스(116)의 상단을 컨베이어 방향으로 밀어 줌으로써 수확물 박스(116)가 지지 프레임(11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수확물 박스(116)의 작물이 컨베이어(110)의 하단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에 있는 수확물 박스(116)를 들어올린 후 컨베이어(110)의 하단 측으로 작물을 쏟아넣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110)의 상단 측에는 작물을 흙털이부(120)의 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11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110)의 상단으로 이동한 작물이 가이드(115)에 의해 흙털이부(120)의 후방으로 공급되고, 흙털이부(120)에서 작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흙털이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흙털이부(120)는 하부에 진동 모터(125)가 설치되고 탄성 지지부재(130)에 의해 지지되며 개방된 출구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흙털이 프레임(121)과,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흙털이 프레임(121)에 설치되어 저장용기(250)로 작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에 의해 떨어진 흙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출판(12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물이 컨베이어(110)에서 배출판(122)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흙이 배출판(122)의 구멍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진동 모터(125)에 의해 진동하는 흙털이 프레임(121)으로 인해 작물이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작물의 흙이 분리되어 배출판(122)의 구멍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흙털이 프레임(121)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작물이 출구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배출부(240)의 저장용기(250)로 배출되며, 흙털이 프레임(121)으로 떨어진 흙도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탄성 지지부재(130)는 흙털이부(120)가 자연스럽게 진동하도록 흙털이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송부 프레임(150)에 고정된 하부부재(131)와, 흙털이부(120)의 흙털이 프레임(121)에 설치되는 브래킷(133)과, 일단은 하부부재(131)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브래킷(133)에 고정되어 흙털이 프레임(121)이 진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32)를 포함한다.
한편, 이송부 프레임(150)에 차체부(200)의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발전기(140)가 구비되고, 컨베이어(110)를 작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114) 및 흙털이부(120)의 진동모터(125)가 발전기(140)에 의해 생산된 전기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체부(200)의 엔진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발전기(140)에서 생산되어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110)와 흙털이부(120)를 작동시켜 작물을 이송하고 흙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주식 수확기를 이용하여 구근류 작물 또는 열무나 파와 같은 채소류 작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자나 고구마 등의 구근류 작물 또는 열무나 파와 같은 채소류 작물을 밭에서 수작업으로 수확하여 군데군데 모아둔다. 이때, 구근류 작물은 수확물 박스(116)에 담아두고 채소류 작물은 단을 형성하여 수확물 박스(116)에 담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차체부(200)를 통해 수확기를 이동시키면서 수확물 박스(116)의 작물을 이송부(100)의 컨베이어(110)로 공급한다. 이때, 수확물 박스(116)를 이송부(100)의 받침 프레임(112)에 올려놓음으로써 작물이 모두 이송된 후 수확물 박스(116)의 작물을 컨베이어(110)에 쉽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확물 박스(116)가 지지 프레임(113)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수확물 박스(116)의 작물을 힘들이지 않고 컨베이어(110)에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컨베이어(110)로 공급된 작물은 컨베이어(100)의 작동에 따라 차례로 컨베이어(110)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가이드(115)에 의해 흙털이부(120)의 후방으로 공급된다. 이때, 컨베이어(110)에 다수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연속적인 진동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작물이 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작물에서 흙이 분리되고 분리된 흙이 컨베이어(110)의 틈으로 배출된다.
흙털이부(120)에서는 진동모터(125)의 작동과 탄성 지지부재(130)로 인해 흙털이 프레임(121)이 연속으로 진동하고 있어, 배출판(122)으로 낙하한 작물에서 흙이 분리되어 배출판(122)의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흙털이 프레임(121)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작물이 자연스럽게 출구 방향으로 배출되어 차체부(200)에 구비된 배출부(240)의 저장용기(250)에 수용되며, 흙털이 프레임(121)으로 떨어진 흙도 흙털이 프레임(121)의 경사면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저장용기(250)에 작물이 충분히 수용되면, 배출부(240)의 포크(245)를 승강시켜 저장용기(250)를 일정 위치에 내려놓았다가, 수확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이들 저장용기(250)를 저장창고로 이동시켜 저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송부 110 : 컨베이어
111 : 연장 프레임 112 : 받침 프레임
113 : 지지 프레임 114 : 컨베이어 모터
115 : 가이드 116 : 수확물 박스
120 : 흙털이부 121 : 흙털이 프레임
122 : 배출판 125 : 진동 모터
130 : 탄성 지지부재 131 : 하부부재
132 : 스프링부재 133 : 브래킷
140 : 발전기 150 : 이송부 프레임
200 : 차체부 210 : 차체 프레임
220 : 운전석 230 : 이동바퀴
240 : 배출부 241 : 배출부 프레임
242 : 마스트 레일 243 : 유압 실린더
244 : 캐리지 245 : 포크
250 : 저장용기
111 : 연장 프레임 112 : 받침 프레임
113 : 지지 프레임 114 : 컨베이어 모터
115 : 가이드 116 : 수확물 박스
120 : 흙털이부 121 : 흙털이 프레임
122 : 배출판 125 : 진동 모터
130 : 탄성 지지부재 131 : 하부부재
132 : 스프링부재 133 : 브래킷
140 : 발전기 150 : 이송부 프레임
200 : 차체부 210 : 차체 프레임
220 : 운전석 230 : 이동바퀴
240 : 배출부 241 : 배출부 프레임
242 : 마스트 레일 243 : 유압 실린더
244 : 캐리지 245 : 포크
250 : 저장용기
Claims (12)
-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밭에서 채취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자체 이동이 가능하며 이송부가 측부에 설치되는 차체부;를 포함하고,
차체부는 운전석이 구비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적재된 저장용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며,
이송부는 하측에 위치되는 이송부 프레임과, 이송부 프레임상에 전방은 낮고 후방을 높게 설치되어 전방 측에 쏟아진 작물을 후방 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진동을 이용하여 작물에 묻은 흙을 털어준 후 측방으로 배출하도록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털이부와, 이송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흙털이부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흙털이부는 하부에 진동 모터가 설치되고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흙털이 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흙털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저장용기로 작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에 의해 떨어진 흙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출판을 포함하고,
탄성 지지부재는 이송부 프레임에 고정된 하부부재와, 흙털이부의 흙털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일단은 하부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브래킷에 고정되어 흙털이 프레임이 진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부는 저장용기가 얹혀지는 한 쌍의 포크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지와, 배출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캐리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마스트 레일과,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스트 레일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체부의 이동바퀴는 캐터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베이어는 하부로 흙이 떨어지도록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컨베이어를 작동시키도록 컨베이어 구동모터가 이송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구동모터에 의해 컨베이어가 상향 이동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이송부 프레임에 연장 프레임이 설치되고,
연장 프레임에 수확물 박스가 얹혀지는 받침 프레임이 설치됨과 아울러 받침 프레임의 전방에 수확물 박스의 측부에 밀착되어 수확물 박스를 지지하고 수확물 박스의 회동 중심으로 작용하는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받침 프레임은 컨베이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상단 측에 작물을 흙털이부의 후방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흙털이 프레임은 개방된 출구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수확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251A KR101880941B1 (ko) | 2017-10-20 | 2017-10-20 | 자주식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251A KR101880941B1 (ko) | 2017-10-20 | 2017-10-20 | 자주식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941B1 true KR101880941B1 (ko) | 2018-07-26 |
Family
ID=6304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6251A KR101880941B1 (ko) | 2017-10-20 | 2017-10-20 | 자주식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94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66450A (zh) * | 2020-01-19 | 2020-04-28 | 南京林业大学 | 一种花生收割分离车 |
KR20210052608A (ko) * | 2019-10-29 | 2021-05-11 | 김재동 | 자주식 대파 수확기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415U (ja) * | 1992-07-15 | 1994-02-08 | 小橋工業株式会社 | 農産物選別装置 |
JPH0847318A (ja) * | 1994-08-08 | 1996-02-20 | Honda Uiru:Kk | 地下作物収穫機 |
KR200325480Y1 (ko) | 2003-06-12 | 2003-09-03 | 윤태욱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KR20060018543A (ko) | 2004-08-25 | 2006-03-02 | 해표산업 주식회사 | 구근작물 수확기 |
KR20090044223A (ko) | 2007-10-31 | 2009-05-07 | 경기도농업기술원 | 채소수확기 |
JP2010284124A (ja) * | 2009-06-14 | 2010-12-24 | Fe:Kk | 根菜類の収穫装置 |
KR20160014952A (ko) * | 2014-07-30 | 2016-02-12 | 김재동 |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
KR20170045028A (ko) | 2015-10-16 | 2017-04-26 | 노술해 |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
-
2017
- 2017-10-20 KR KR1020170136251A patent/KR101880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415U (ja) * | 1992-07-15 | 1994-02-08 | 小橋工業株式会社 | 農産物選別装置 |
JPH0847318A (ja) * | 1994-08-08 | 1996-02-20 | Honda Uiru:Kk | 地下作物収穫機 |
KR200325480Y1 (ko) | 2003-06-12 | 2003-09-03 | 윤태욱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KR20060018543A (ko) | 2004-08-25 | 2006-03-02 | 해표산업 주식회사 | 구근작물 수확기 |
KR20090044223A (ko) | 2007-10-31 | 2009-05-07 | 경기도농업기술원 | 채소수확기 |
JP2010284124A (ja) * | 2009-06-14 | 2010-12-24 | Fe:Kk | 根菜類の収穫装置 |
KR20160014952A (ko) * | 2014-07-30 | 2016-02-12 | 김재동 |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
KR20170045028A (ko) | 2015-10-16 | 2017-04-26 | 노술해 |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2608A (ko) * | 2019-10-29 | 2021-05-11 | 김재동 | 자주식 대파 수확기 |
KR102334939B1 (ko) | 2019-10-29 | 2021-12-06 | 김재동 | 자주식 대파 수확기 |
CN111066450A (zh) * | 2020-01-19 | 2020-04-28 | 南京林业大学 | 一种花生收割分离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35917E (en) | Harvesting method for leafy vegetables | |
US3596456A (en) | Strawberry-harvesting device | |
KR101961857B1 (ko) |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 |
KR101880941B1 (ko) | 자주식 수확기 | |
KR20200079615A (ko) |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 |
US3986324A (en) | Melon pickup and loading machine | |
JP5476698B2 (ja) | 作物分離収穫機 | |
US3198259A (en) | Potato digging and separating apparatus | |
KR101880947B1 (ko) | 수확기용 이송장치 | |
NL2017172B1 (nl) | Loofbewerkingsinrichting alsmede rooimachine omvattende een dergelijke loofbewerkingsinrichting | |
US5450716A (en) | Blueberry harvesting machine and method of harvesting | |
US3527304A (en) | Machine for harvesting vine crops | |
JP4402904B2 (ja) | 農作業機 | |
KR101712128B1 (ko) | 콤바인용 예취장치 | |
JP2009171902A (ja) | 作物分離収穫機 | |
US3416298A (en) | Crop harvesting machine | |
JPH11253020A (ja) | 野菜収穫機 | |
US3426515A (en) | Cabbage harvester | |
US2882976A (en) | Machine for harvesting crops | |
JP2014097034A (ja) | 農作業機 | |
US20070214764A1 (en) | Harvester | |
NL1010255C2 (nl) | Bollenplanter. | |
JP2006075013A (ja) | 2条植落花生用歩行型収穫機 | |
JPH0728813Y2 (ja) | 引抜き機 | |
JP6926030B2 (ja) | 農作物の収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