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028A -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 Google Patents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028A
KR20170045028A KR1020150144913A KR20150144913A KR20170045028A KR 20170045028 A KR20170045028 A KR 20170045028A KR 1020150144913 A KR1020150144913 A KR 1020150144913A KR 20150144913 A KR20150144913 A KR 20150144913A KR 20170045028 A KR20170045028 A KR 2017004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veying conveyor
conveyor
fixed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221B1 (ko
Inventor
노술해
Original Assignee
노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술해 filed Critical 노술해
Priority to KR102015014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2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구마나 감자 등을 비롯한 각종 땅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랙터 견인식 구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땅속에서 돌출된 구근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되, 이송컨베이어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관성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동력 전달축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에 구동편심축이 구비된 구동륜,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으로 확장된 머리부가 형성된 고정캡, 고정캡의 안쪽에 삽입되는 단방향 클러치,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에 고정결합되고, 외측에 종동편심축이 구비된 종동륜 및 구동편심축과 종동편심축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연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륜의 회전에 의해 종동륜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고, 종동륜과 함께 연동되는 단방향 클러치가 일정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고정캡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단방향 클러치가 공회전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흙털이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가 흙털이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흙 제거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송컨베이어 전 구간에 걸쳐 흙 제거 작용이 일어나므로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을 보다 더 깨끗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송컨베이어 동력이 연동로드 하나로 전달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종래의 풀리-벨트나 체인-스프라켓과 같은 동력 전달 장치보다 안전한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Bulbs harvesters equipped with a dirt removing conveyor}
본 발명은 고구마나 감자 등을 비롯한 각종 땅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랙터 견인식 구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에서 돌출된 구근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되, 이송컨베이어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관성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 구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구근은 땅속에 있는 줄기나 뿌리가 알 모양으로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구근이 재배되는 두둑의 폭은 60 ~ 75cm로 형성되고, 고랑은 40 ~ 50cm의 폭으로 형성되며, 구근이 수확할 수 있는 크기만큼 커지면, 수확하기 위해 두둑을 덮고 있는 비닐을 걷어내고, 구근의 잎과 넝쿨을 미리 잘라 치운 다음, 땅을 파헤쳐 수확작업을 하게 된다.
땅속에 묻힌 구근을 수확하기 위해 경운기나 트랙터에 결합되거나, 혹은 콤바인과 같이 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구근수확기 등 다양한 구근수확기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트랙터는 경운기보다 힘이 세 2개 이상의 두둑을 동시에 수확할 수 있고, 차량과 일체로 구성된 구근수확기와 달리 트랙터에서 구근수확기를 분리하고, 다른 농기계를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트랙터 견인식 구근수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근수확기에는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49034호에 개시된 흔들채(70)가 이러한 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장치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보습(30)과 이송컨베이어(60) 사이에 위치하여 양 측판(10)에 힌지결합된 흔들채(70)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구근에 붙은 흙을 털어주게 된다. 흔들채는 축에 수직으로 다수의 봉이 고정된 형태로, 많은 양의 흙이 흔들채로 유입될 경우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한 채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털어줘야해 번거러울 뿐 아니라, 흔들채가 작동되도록 구동바(80) 및 종동바(81)를 포함한 다수의 동력 전달 요소들을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을 다시 한번 제거하기 위해 이송컨베이어(60) 상부의 연결봉(63) 밑에 레일(90)이 측판(1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데, 이송컨베이어의 체인(6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봉(63)이 체인과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레일에 접촉되어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봉 사이에 있는 구근도 연결봉이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연결봉과 마찰되면서 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연결봉과 레일 사이에 흙이나 돌이 끼어 연결봉의 손상이 자주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송컨베이어(60)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51)와 피동풀리(52)에 전동벨트(53)가 감겨 결합되고, 전동벨트의 일측에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아이들풀리(54)가 결합되거나, 또는 스프라켓-체인을 이용해 동력이 전달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동력 전달 방식은 구성은 복잡하면서도 동력 전달의 효율이 낮고, 취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4903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의 동력 전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흙털이 작용을 할 수 있고, 동력 전달의 효율이 높으며, 안전한 구근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근수확기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10), 측판(10) 사이에 결합된 트랙터 결합프레임(20), 측판(10)의 하부에 결합된 보습(30), 트랙터 결합프레임(20)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0), 측판(10)에 결합되어 기어박스(4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축(50), 동력전달축(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보습(30)에 의해 돌출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로서,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동력 전달축(40)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에 구동편심축(110)이 구비된 구동륜(100);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61)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으로 확장된 머리부(210)가 형성된 고정캡(200); 고정캡(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단방향 클러치(300); 단방향 클러치(300)의 외주에 고정결합되고, 외측에 종동편심축(410)이 구비된 종동륜(400); 및 구동편심축(110)과 종동편심축(410)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연동로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륜(100)의 회전에 의해 종동륜(400)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고, 종동륜(400)과 함께 연동되는 단방향 클러치(200)가 일정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고정캡(300)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단방향 클러치(300)가 공회전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60)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흙털이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근수확기는 이송컨베이어가 흙털이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흙 제거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송컨베이어 전 구간에 걸쳐 흙 제거 작용이 일어나므로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을 보다 더 깨끗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송컨베이어 동력이 연동로드 하나로 전달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보다 안전하다.
또한, 보습이 두둑의 흙만 파헤치도록 함으로써, 트랙터의 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보습의 전방에서 넝쿨이 엉켜 적체되는 것을 덤불제거용 원반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선별컨베이어의 일측에 앉아 현장에서 바로 구근을 선별할 수 있고, 평탄화판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가 고르게 정리될 뿐 아니라, 선별컨베이어를 접을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트랙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의 구근수확기의 측판 중 하나를 제거한 측면도.
도 2 - 도1의 측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수확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 - 구동륜의 분해사시도.
도 5 - 종동륜의 분해사시도.
도 6 - 종동륜이 결합된 상태의 절단면도.
도 7 - 단방향클러치의 절단면도.
도 8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수확기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부분확대도.
도 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수확기의 평탄화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근수확기의 측후방 사시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트랙터 후미에 결합되어 땅속에 묻혀 있는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10), 측판(10) 사이에 결합된 트랙터 결합프레임(20), 측판(10)의 하부에 결합된 보습(30), 트랙터 결합프레임(20)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0), 측판(10)에 결합되어 기어박스(4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축(50) 및 동력전달축(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보습(30)에 의해 돌출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컨베이어의 가동과 정지가 짧은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관성에 의해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의 동력 전달 구조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동력전달축(50)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에 구동편심축(110)이 구비된 구동륜(100),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61)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으로 확장된 머리부(210)가 형성된 고정캡(200), 고정캡(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단방향 클러치(300), 단방향 클러치(300)의 외주에 고정결합되고, 외측에 종동편심축(410)이 구비된 종동륜(400) 및 구동편심축(110)과 종동편심축(410)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연동로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륜(100)의 회전에 의해 종동륜(400)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고, 종동륜(400)과 함께 연동되는 단방향 클러치(200)가 일정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고정캡(300) 및 이송컨베이어 구동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단방향 클러치(300)가 공회전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60)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흙털이 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세부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트랙터 결합프레임(20)은 측판(10)의 전단을 연결하는 주프레임(21)과, 측판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보강대(22)가 연결대(23)로 이어져 결합된다. 주프레임(21)의 중간 위치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41) 사이에 기어박스(40)가 고정된다.
도4를 참조하면, 이송컨베이어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축(50)이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장형성된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구동륜(100)이 키(미도시)를 통해 결합되고, 구동륜이 동력전달축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동륜의 외측홈(121)에 고정블록(120)이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동력전달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륜의 외측에 구동편심축(110)이 구동륜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구동편심축에 연동로드(500)의 일단에 결합된 조인트부(510)가 힌지결합되어 구동륜의 회전에 의해 연동로드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조인트부는 연동로드의 좌우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볼베어링이 포함된다.
연동로드(500)와 이송컨베이어(60)의 구동축(61)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5와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이송컨베이어(60)의 구동축(61)에 고정캡(200)이 삽입고정되고, 고정캡의 안쪽에 단방향클러치(300)가 삽입된다. 이때, 단방향클러치를 고정캡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캡(200)이 구동축(61)과 나사결합되고, 단방향클러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의 외측에는 확장된 머리부(210)가 형성된다. 고정캡 및 구동축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단방향클러치가 왼쪽으로 회전될 때는 공회전하여 고정캡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풀리지 않는다.
고정캡(200)과 구동축(61)은 키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구동축의 단면이 기어 형상을 이루도록 스플라인 홈을 내고, 이에 대응되도록 고정캡의 중공에도 홈을 내어 삽입할 수도 있으나, 구동축에서 고정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캡의 외측에 고정블록과 볼트가 추가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나사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방향클러치(300)가 연동로드(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의 외주에 종동륜(400)이 고정결합되고, 연동로드의 조인트부(510)가 종동륜의 외측에 형성된 종동편심축(410)에 볼트로 결합된다. 단방향클러치와 종동륜은 키를 통해 결합되되, 종동륜(400)의 내주면 양측에 링 형상으로 절삭된 홈에 한 쌍의 스냅링(420)이 끼워져 단방향클러치가 고정된다.
단방향클러치(3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시트부(310)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321)에 각각 롤러(320)가 수용되고, 요홈의 일측면이 파여 형성된 스프링안착부(331)에 스프링(330)이 고정되어 롤러를 가압하되, 요홈이 스프링안착부로 갈수록 깊어져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송컨베이어(60)의 구동축(61)에 삽입된 단방향클러치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축과 구름접촉하고 있는 롤러가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밀려가 요홈과 구동축 사이에 상하로 압착되어 롤러가 정지하여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단방향클러치가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롤러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체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축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단방향 클러치가 공회전하게 된다. 시트부(310)의 외주면에는 원환(340)이 고정결합되고, 시트부가 원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원환의 단부에 각각 커버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해 단방향 클러치(30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고정캡(200)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6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단방향 클러치(300)가 공회전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60)의 가동과 정지가 짧은 주기로 반복되어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관성에 의해 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가 흙털이 기능을 하고 있어 이송컨베이어에 별도의 흙털이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송컨베이어 전 구간에 걸쳐 흙 제거 작용이 일어나므로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이 더 깨끗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송컨베이어 동력이 연동로드 하나로 전달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장갑이나 옷이 낄 우려가 있는 풀리-벨트, 체인-스프라켓과 같은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구근수확기들의 보습은 평판의 전면에 다수의 포크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형태로, 두둑은 물론 두둑과 두둑사이의 고랑까지도 함께 파헤치도록 되어 있어 트랙터의 동력손실이 컷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30)은 도8과 같이 측판(10)의 전방 하부에 평판(31)이 하향경사지게 고정되고, 평판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로 좁아지다 다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다수의 삽입부(32)가 형성되되, 삽입부의 폭이 두둑의 폭과 동등하게 형성되고, 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폭과 동등하게 형성됨으로써, 보습이 고랑을 제외한 두둑의 흙만 파헤치므로 트랙터 동력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근을 수확하다 보면, 보습의 전방에 잔 넝쿨이 엉클어져 덤불을 이루고, 굴토된 흙이 덤불에 막혀 적체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습(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선단회전축(620)의 양단이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측판(10)에 결합되고, 선단회전축의 양단 및 중앙에 각각 덤불제거용 원반(600)이 삽입고정된다. 선단회전축(620)은 동력전달축(50)과 체인-스프라켓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덤불제거용 원반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단날(610)이 볼트로 결합되어 덤불제거용 원반과 함께 회전하며 보습 전방에 엉켜있는 덤불을 잘라 후방으로 보내게 된다. 이송컨베이어로 유입된 흙은 이송컨베이어의 흙털이 작용에 의해 더욱 작게 부서져 연결봉(63) 사이로 떨어지고, 절단날에 의해 잘라진 넝쿨은 채굴된 구근과 함께 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근을 현장에서 선별하여 박스에 포장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0)의 후부에 가로방향으로 선별컨베이어(700)가 힌지결합된다. 선별컨베이어는 내측 스탠드(720)의 양단에 고정된 베어링에 힌지결합된 힌지축이 측판까지 연장되어 측판의 후방에 고정된 베어링(12)에 각각 결합된다. 선별컨베이어가 구동되도록 선별컨베이어(700)의 구동축에 동력발생부(710)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동력발생부의 하우징이 스탠드(720)에 고정된다. 동력발생부는 소형 컨베이어에 적합한 12V 전동모터가 장착되어 트랙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선별컨베이어를 접을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730)의 일단이 측판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11)와 각각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선별컨베이어의 외측 스탠드(720)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트랙터가 밭둑 끝에 도달하여 다음 두둑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선별컨베이어를 접었다 다시 폄으로써, 트랙터가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선별컨베이어의 외측 스탠드의 하부에는 좌석프레임(740)이 고정된다. 고정프레임은 다수의 파이프가 가로와 세로로 결합된 사각형태로 상부에는 철망(741)이 용접되고, 철망의 상부에 다수의 작업의자(742)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일렬로 앉아서 선별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구근을 육안으로 선별하게 된다. 참고로 기존의 구근수확기는 구근을 500kg 단위의 대형 자루에 한꺼번에 담아내고, 선별기계에 투입하여 크기별로 선별해 내는 방식이었으나, 선별의 신뢰도가 낮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보급되는 선별기계는 벨트에 원형의 구멍이 뚫린 형태와 회전하는 봉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여 선별하는 형태가 있는데, 벨트에 뚫린 구멍에서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처가 발생하거나, 회전하는 봉 사이에 짓눌려 구근이 손상되기 때문에 구근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그리고 선별기계는 크기를 기준으로 한 선별에는 유효하나, 상처난 구근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선별기계의 이송라인에 다수의 인력이 배치되어 규격 외의 구근를 별도로 골라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채굴된 구근을 구근 수확기에 탑승한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별 및 포장을 하고, 규격 외의 구근은 별도로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컨베이어(700)의 외측 스탠드(720)의 하부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습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를 평탄화하기 위하여 평탄화판(750)이 장착된다. 평탄화판(750)은 하단부에 갈퀴(751)가 하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바(752)가 스탠드(720)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72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핀(753)으로 고정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선별컨베이어가 펼쳐지면, 평탄화판이 지면에 닿게 되고, 좌석프레임(74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평탄화판이 지면을 강하게 누르게 되며, 전진되는 평탄화판에 의해 경지가 평탄화되기 때문에 경작지를 평탄화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근수확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송컨베이어의 후방에 선별컨베이어가 장착되지 않고, 도 10과 같이 구근수확기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근이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측판(10)의 후부에 배출안내판(800)이 고정된다. 배출안내판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밑판(810)의 양측에 차단판(820)이 용접된 형태로, 차단판의 선단부가 측판의 후미 부분에 볼트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구근수확기에서 배출된 구근을 줍기 위한 작업 폭을 최소화하기 위함으로 배출안내판은 약간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근수확기의 작동과정을 요약하면, 트랙터와 같이 전진되는 보습에 의해 구근이 흙과 함께 채굴되어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된다. 구근과 함께 섞여 올라온 흙은 이송컨베이어의 연결봉 사이로 떨어지고, 구근에 붙어 있는 흙은 이송컨베이어의 흙털이 작용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송컨베이어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선별컨베이어로 이송된 구근은 작업자에 의해 크기별로 포장박스(미도시)에 담아지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규격 외 구근은 별도로 보관된다. 일정량의 구근이 채워진 포장박스는 작업자에 의해 좌석프레임 외측의 경작지에 놓여지고, 경작지에 놓여진 포장박스는 수확작업 후에 트럭에 적재된다. 트랙터가 밭둑 끝에서 다음 수확작업을 위해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작업자가 좌석프레임에서 내린 후, 선별컨베이어를 접어 올리고, 방향을 전환하여 밭둑으로 진입하면, 선별컨베이어를 다시 펼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선별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 수준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측판 11 : 힌지바
20 : 트랙터 결합프레임 30 : 보습
40 : 기어박스 50 : 동력전달축
60 : 이송컨베이어 100 : 구동륜
110 : 구동편심축 120 : 고정블록
200 : 고정캡 210 : 머리부
300 : 단방향클러치 400 : 종동륜
410 : 종동편심축 420 : 스냅링
500 : 연동로드 510 : 조인트부
600 : 덤불제거용 원반 610 : 절단날
620 : 선단회전축 700 : 선별컨베이어
710 : 동력발생부 720 : 스탠드
730 : 유압실린더 740 : 좌석프레임
800 : 배출안내판

Claims (5)

  1.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10), 상기 측판(10) 사이에 결합된 트랙터 결합프레임(20), 상기 측판(10)의 하부에 결합된 보습(30), 상기 트랙터 결합프레임(20)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0), 상기 측판(10)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4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축(50), 상기 동력전달축(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습(30)에 의해 돌출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근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동력 전달축(40)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에 구동편심축(110)이 구비된 구동륜(100);
    상기 측판(1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구동축(61)에 삽입고정되고, 외측으로 확장된 머리부(210)가 형성된 고정캡(200);
    상기 고정캡(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단방향 클러치(300);
    상기 단방향 클러치(300)의 외주에 고정결합되고, 외측에 종동편심축(410)이 구비된 종동륜(400); 및
    상기 구동편심축(110) 및 종동편심축(410)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연동로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륜(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륜(400)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고, 상기 종동륜(400)과 함께 연동되는 상기 단방향 클러치(200)가 일정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상기 고정캡(300) 및 이송컨베이어 구동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상기 단방향 클러치(300)가 공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컨베이어(60)가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흙털이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30)은 상기 측판(10)의 전방 하부에 하향경사지게 고정된 평판(31);과 상기 평판(31)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로 좁아지다 다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다수의 삽입부(32);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2)의 폭이 두둑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습(30)이 고랑을 제외한 두둑의 흙만 파헤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판(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축(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선단회전축(620); 및
    상기 선단회전축(620)의 양단 및 중앙에 각각 삽입고정되고, 외주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단날(610)이 결합된 덤불제거용 원반(6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의 후부에 가로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선별컨베이어(700);
    상기 선별컨베이어(7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동력발생부(710);
    일단이 상기 측판(10)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11)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선별컨베이어(700)의 스탠드(7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선별컨베이어(700)를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730);
    상기 스탠드(720)의 외측에 고정된 좌석프레임(740); 및
    상기 스탠드(72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평탄화판(7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형상의 배출안내판(800)이 결합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근이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KR1020150144913A 2015-10-16 2015-10-16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KR10182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13A KR101824221B1 (ko) 2015-10-16 2015-10-16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13A KR101824221B1 (ko) 2015-10-16 2015-10-16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28A true KR20170045028A (ko) 2017-04-26
KR101824221B1 KR101824221B1 (ko) 2018-03-14

Family

ID=5870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13A KR101824221B1 (ko) 2015-10-16 2015-10-16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221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47B1 (ko) 2017-10-20 2018-07-26 창녕군 수확기용 이송장치
KR101880941B1 (ko) 2017-10-20 2018-07-26 창녕군 자주식 수확기
CN109220153A (zh) * 2018-10-25 2019-01-18 南通科技职业学院 复合式甘薯挖掘装置
KR20190001049U (ko) 2017-10-24 2019-05-03 김재동 충돌식 흙털기 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20190048066A (ko) * 2017-10-30 2019-05-09 정다운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1961857B1 (ko) 2017-11-13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110583202A (zh) * 2019-10-18 2019-12-20 安徽邓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收薯机
CN110679266A (zh) * 2019-11-05 2020-01-14 宁夏智源农业装备有限公司 马铃薯收挖机
CN110959361A (zh) * 2019-12-27 2020-04-0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马铃薯收获机
KR20200062622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CN111229742A (zh) * 2020-03-26 2020-06-05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生物用带土式植物植株样本采集装置
KR20200073178A (ko) * 2020-06-03 2020-06-23 윤태욱 수확기용 평탄장치
KR20200079615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KR20210076404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구근작물 수확기
CN113597872A (zh) * 2021-09-13 2021-11-05 山东思代尔农业装备有限公司 装袋型马铃薯联合收获机揉搓清土除杂装置
KR20220061396A (ko)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밭작물 수집형 수확기
KR102452875B1 (ko) 2021-08-06 2022-10-11 주식회사 반석산업 땅속작물수확기
KR20230155159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38A (ko) 2018-11-30 2020-06-09 김재동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20200088129A (ko) 2019-01-14 2020-07-22 이재용 구근작물 수확장치
KR102283662B1 (ko) 2020-10-30 2021-07-29 박민규 뿌리 작물 수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344B1 (ko) * 2005-05-17 2006-09-20 진재효 고무판 이송장치
KR200445293Y1 (ko) * 2007-10-12 2009-07-16 모영환 구근 수확기
KR101323850B1 (ko) * 2013-02-06 2013-10-31 주식회사 불스 뿌리작물 수확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47B1 (ko) 2017-10-20 2018-07-26 창녕군 수확기용 이송장치
KR101880941B1 (ko) 2017-10-20 2018-07-26 창녕군 자주식 수확기
KR20190001049U (ko) 2017-10-24 2019-05-03 김재동 충돌식 흙털기 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20190048066A (ko) * 2017-10-30 2019-05-09 정다운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1961857B1 (ko) 2017-11-13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109220153A (zh) * 2018-10-25 2019-01-18 南通科技职业学院 复合式甘薯挖掘装置
KR20200062622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KR20200079615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110583202A (zh) * 2019-10-18 2019-12-20 安徽邓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收薯机
CN110679266A (zh) * 2019-11-05 2020-01-14 宁夏智源农业装备有限公司 马铃薯收挖机
KR20210076404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구근작물 수확기
CN110959361A (zh) * 2019-12-27 2020-04-0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马铃薯收获机
CN110959361B (zh) * 2019-12-27 2021-09-28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马铃薯收获机
CN111229742A (zh) * 2020-03-26 2020-06-05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生物用带土式植物植株样本采集装置
KR20200073178A (ko) * 2020-06-03 2020-06-23 윤태욱 수확기용 평탄장치
KR20220061396A (ko)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밭작물 수집형 수확기
KR102452875B1 (ko) 2021-08-06 2022-10-11 주식회사 반석산업 땅속작물수확기
CN113597872A (zh) * 2021-09-13 2021-11-05 山东思代尔农业装备有限公司 装袋型马铃薯联合收获机揉搓清土除杂装置
CN113597872B (zh) * 2021-09-13 2023-02-24 山东思代尔农业装备有限公司 装袋型马铃薯联合收获机揉搓清土除杂装置
KR20230155159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221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21B1 (ko)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CA2878715C (en) Agricultural implement for reaping and windrowing
JP6034230B2 (ja) ねぎ掘り起し収穫機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CN104106339A (zh) 一种蔬菜有序收获机
CN106717455B (zh) 土豆收获装置
KR101349337B1 (ko) 콤바인용 작물 이송장치
JP2014233225A (ja) 収穫機
CN206433380U (zh) 一种甘薯藤蔓收获机
KR200479214Y1 (ko) 접이식 구근 수확기
CN106612875A (zh) 一种甘薯藤蔓收获机
JP4362184B2 (ja) ホールクロップ用ロールベーラ
JP4795710B2 (ja) 根菜収穫機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CN107580851B (zh) 大葱联合收获机
JP2004041159A (ja) ニンニク等の収穫装置
KR100883325B1 (ko) 땅속 작물수확기
KR10086827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US6827151B1 (en) Sprig harvester
JP2014068567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05284275A (zh) 一种有序输送收集装置
JP4781250B2 (ja) 豆刈り装置の刈取り刃体
US6286605B1 (en) Cutting system
JP2008237105A (ja) 採種用たまねぎ収穫機
JP2014233227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