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14Y1 - 접이식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214Y1 KR200479214Y1 KR2020140009472U KR20140009472U KR200479214Y1 KR 200479214 Y1 KR200479214 Y1 KR 200479214Y1 KR 2020140009472 U KR2020140009472 U KR 2020140009472U KR 20140009472 U KR20140009472 U KR 20140009472U KR 200479214 Y1 KR200479214 Y1 KR 2004792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fixed
- bulb
- hinged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근을 채굴하고, 선별하기 위해 트랙터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구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구근 수확기는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판의 후부에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의 상단를 힌지결합하고, 컨베이어 스탠드의 내측에 선별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트랙터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선별 컨베이어로 전달된다.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하여 채굴된 구근을 선별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좌석프레임이 힌지결합되고, 고정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평탄화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컨베이어 스탠드를 접을 수 있도록 일단이 측판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근을 채굴하여 흙을 털어주는 구근 채굴기에 선별작업대를 결합하여 구근의 채굴과 선별이 연속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열매를 맺는 감자, 고구마, 양파와 같은 구근을 수확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확기계가 개발되어 왔다. 예전에는 경운기 뒤에 부착하여 굴토하는 방식이 많이 개발되었고, 요즘에는 트랙터에 탈부착하거나, 차량에 전용으로 구성되는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45311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00037호가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근 수확기와 관련된 기술의 일례들이다.
공개특허공보 2003-0045311호의 구근류 채굴카는 채굴전용차량의 전반부에 칼날판, 제토 컨베이어 및 채굴물 도입장치가 결합되고, 중간에 수평이송 컨베이어, 후반부에 선별기 및 포대 재치대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외국과는 달리 대부분 소규모로 경작하기 때문에 경운기나 트랙터에 부착하여 다용도로 쓸 수 있는 기계가 적합하고, 채굴전용차량은 채굴이 끝나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다. 그리고 채굴전용차량은 제토 컨베이어의 경사가 심해 구근이 상처를 입거나, 이탈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채굴물 도입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추가로 든다. 또한, 선별기에 의해 크기별로 구근이 나뉘어져 배출되기는 하지만, 박피 및 균열이 있거나, 병충해를 입은 구근은 선별되지 않을뿐더러, 높은 위치에 있는 선별기에서 배출된 구근이 포대에 떨어지면서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00037호의 땅속 작물 수확장치는 동력부와 주행장치가 구비된 본체의 전단에 구근을 채굴하는 채굴부가 마련되고, 굴토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 1이송부, 제 1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구근을 선별하기 위해 설치된 제 2이송부, 제 2이송부에서 선별된 구근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구근류 채굴카와 마찬가지로 구근을 채굴하고 선별하기 위한 제1, 2이송부가 본체에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이 타 작업에는 활용될 수 없고, 평탄화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굴토유닛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가 평탄화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랙터에 탈착식으로 결합해 사용할 수 있고, 채굴된 구근의 상처를 최소화하며, 경지를 평탄화할 수 있고, 선별 컨베이어를 접어 올릴 수 있어 트랙터의 이동이 쉬운 구근 수확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진행에 의해 구근을 채굴하는 채굴삽과 측판에 설치되어 트랙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채굴기 구동부를 통해 전달받아 채굴된 구근으로부터 흙을 털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측판의 후부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에 설치되어, 채굴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전달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선별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컨베이어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좌석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평탄화판을 장착함과 더불어 일단이 측판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에 힌지결합되어 컨베이어 스탠드를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접이식 구근 수확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접이식 구근 수확기는 트랙터의 견인부에 탈부착되는 방식이므로 작업 후에는 트랙터에서 구근 수확기를 떼고, 쟁기, 로우더, 로타리와 같은 다양한 농업용 기계를 장착할 수 있고, 채굴된 구근을 구근 수확기에 탑승한 작업자가 크기별로 나눠 담기 때문에 수확한 구근을 다시 선별기계에 넣을 필요가 없어 선별기계에 의한 구근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평탄화판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가 고르게 정리될 뿐 아니라, 선별 컨베이어를 접어 트랙터 후미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어 트랙터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구근 수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구근 수확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이송 컨베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사시각도를 달리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3a은 선별 컨베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사시각도를 달리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좌석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구근 수확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이송 컨베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사시각도를 달리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3a은 선별 컨베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사시각도를 달리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좌석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을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감자, 고구마와 같은 구근의 채굴과 선별작업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이식 구근 수확기는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진행에 의해 구근을 채굴하는 채굴삽(120)과 측판(110)에 설치되어 상기 트랙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채굴기 구동부(144)를 통해 전달받아 채굴된 구근으로부터 흙을 털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40)와 측판의 후부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220)에 설치되어, 채굴기 구동부(144)로부터 동력전달부(27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선별 컨베이어(210)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3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좌석프레임(240)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평탄화판(250) 및 일단이 측판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301)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220)에 힌지결합되어 컨베이어 스탠드를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세부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땅속에 있는 구근을 채굴하기 위하여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판(110)의 전방에 채굴삽(120)이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고, 채굴삽의 후부에는 흔들채(130)의 양단이 측판에 결합되어 구근에 섞여 올라온 흙을 털어주며, 흔들채의 후방에는 이송 컨베이어(140)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채굴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한다.
이송 컨베이어(140)는 측판(110)의 내측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트랙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돌아가는 한 쌍의 체인(141)과 체인을 이어주는 내철편(141a)에 양단이 결합되어 채굴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지지봉(142) 및 체인(141)에 동력을 전달하는 채굴기 구동부(144)로 구성되는데, "凸" 형상을 갖는 내철편(141a)의 상단에 걸림봉(143)의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걸림봉(143)에 구근이 걸려 경사진 이송 컨베이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걸림봉(143)에 걸쳐진 상태로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체인(141)에 동력을 전달하는 채굴기 구동부(144)는 구동체인(144c)의 시간당 회전수가 감소되도록 원동기어(144a)의 직경이 종동기어(144b)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감속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은 스프라켓과 체인이 동력전달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풀리와 벨트 혹은 축과 기어 등 다양한 공지의 요소들로 치환될 수 있다.
상하로 요동하면서 흙을 터는 흔들채(130)는 흔들채 회전축(134)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다수의 봉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흔들채가 상하로 요동하는 과정을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채굴기 구동부(144)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원동레버(131)의 끝단과 흔들채 회전축(134)에 결합된 종동레버(132)의 끝단에 연결로드(133)의 양단이 힌지결합되고, 원동레버(131)의 길이가 종동레버(132)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원동레버(131)가 회전되면, 종동레버(132)가 전후로 진동하여 흔들채(130)를 위아래로 흔들게 된다.
한편, 채굴삽은 토질에 따라 채굴삽(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채굴삽 힌지축(121)의 후방에는 안내돌기(122)가 채굴삽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측판에 형성된 호 형상의 연장홀(123)을 따라 회동하는 안내돌기의 끝단이 너트로 조여짐으로써, 경사가 조절된 채굴삽(120)이 측판(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경작지의 토질이 사토가 아닌 점토일 경우, 채굴삽의 굴토 깊이를 조금 더 깊게하고, 채굴삽의 경사를 낮춤으로써,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송 컨베이어(140)에서 이송되는 구근을 선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측판(110)의 후부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내측에 선별 컨베이어(210)가 설치되고, 컨베이어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프레임(230)이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는 좌석프레임(240)이 힌지결합되어 컨베이어 스탠드의 양측에 펼쳐진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좌석프레임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평탄화판(250) 및 이송 컨베이어(140)의 구동력을 상기 선별 컨베이어(210)의 구동축(27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70)를 포함한다.
선별 컨베이어(210)는 벨트(211)를 회전시키는 구동축(271)이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전방에 고정된 베어링(214)에 힌지결합되되, 베어링(214)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구동축(271)의 양단을 측판(110)의 후방에 힌지결합함으로써, 선별 컨베이어(210)가 구동축(27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선별 컨베이어(210)의 동력은 동력전달부(270)에 의해 전달되며, 동력전달부는 이송 컨베이어(140)의 종동축(145)의 일단에 결합된 종동기어(144b)의 내측에 결합된 연동기어(272)와 선별 컨베이어의 구동축(271)의 일단에 결합된 구동 스프라켓(273)이 서로 연결체인(274)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선별 컨베이어(210)의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구근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230)이 선별 컨베이어의 하부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좌석프레임(240)이 힌지결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230)은 다수의 파이프가 가로와 세로로 결합된 사각형태로 구성되되, 컨베이어 스탠드(220) 양쪽으로 약간 확장되게 구성하여 좌석프레임(240)이 접어 올려질 때, 측판(110)의 후부에 좌석프레임이 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고정프레임(23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좌석프레임(240)는 직사각형의 받침부재(241)와 받침부재의 내측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다수의 보강부재(242) 및 상부에 철망(243)이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 후에는 양측으로 펼쳐진 좌석프레임(240)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좌석프레임의 후단부에 고정편(244)의 하단을 힌지결합하고, 요홈이 형성된 고정편의 상단을 접혀진 좌석프레임(240)의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45)에 걸어 좌석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철망(243)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되는 작업의자(232)는 하부에 한 쌍의 의자지지봉(232a)이 나란히 고정되며, 선별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구근을 작업자가 일렬로 앉아서 크기별(대,중,소)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수확기들은 돌이나 마른 줄기와 같은 이물질만 제거한 뒤, 500kg 단위의 대형 자루에 한꺼번에 담아내고, 선별기계에 투입하여 크기별로 선별해 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선별기계는 크기별로 구근이 나뉘기는 하지만, 상처가 발생한 구근은 선별되지 않기 때문에 선별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참고로 현재 보급되는 선별기계는 벨트에 원형의 구멍이 뚫린 형태와 회전하는 봉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여 선별하는 형태가 있는데, 벨트에 뚫린 구멍에서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처가 발생하거나, 회전하는 봉 사이에 짓눌려 구근이 손상되기 때문에 구근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그리고 선별기계는 크기를 기준으로 한 선별에는 유효하나, 상처난 구근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선별기계의 이송라인에 다수의 인력이 배치되어 규격 외의 구근를 별도로 골라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채굴된 구근을 구근 수확기에 탑승한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별 및 포장을 하고, 규격 외의 구근은 별도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채굴삽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를 평탄화하기 위하여 평탄화판(250)이 장착된다. 평탄화판(250)은 하단부에 갈퀴(251)가 하향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바(253)가 선별 컨베이어(210)의 하부 테두리에 고정된 다수의 삽입구(252)에 삽입되어 고정핀(254)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평탄화판(250)은 컨베이어 스탠드(220)가 펼쳐지면, 평탄화판(250)이 지면에 닿게 되고, 좌석프레임(24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평탄화판이 지면을 강하게 누르게 되며, 전진되는 평탄화판에 의해 경지가 평탄화되기 때문에 경작지를 평탄화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위와 같이 지면을 강하게 누르며 전진하는 평탄화판(250)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평탄화판(250)만 분리해 수리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한 쌍의 유압실린더(300)가 결합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유압실린더(300)는 일단이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측판(110)의 후방에 상향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301)에 힌지결합되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스탠드(220)가 접거나 펼 수 있게 된다. 트랙터가 밭둑 끝에서 다음 수확작업을 위해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접음으로써, 트랙터 후미의 회전반경이 줄어들게 되어 트랙터가 밭둑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설하우스의 내부에는 기둥파이프 등의 장애물이 많아 노지에 있는 경작지에 비해 트랙터의 방향전환이 더욱 제한되는데, 본 고안은 구근 수확기의 후미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구근도 좀 더 쉽게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겨울철에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겨울감자는 난방비가 적게 들고, 식재, 수확 및 선별 이외에는 별다른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타 작물에 비해 수익성이 좋아서 재배면적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시설하우스 내에서 구근 수확기의 방향전환이 원활하지 않아 트랙터나 경운기에 구근 채굴기만 장착하여 구근을 채굴한 뒤, 경지에 널려있는 구근은 작업자가 일일이 주워 모아야 하는 실정이여서 시설하우스에서도 쓸 수 있는 구근 수확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좌석프레임(240)이 자동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홈에 삽입되고, 접촉면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덧붙임부재(248)의 외측에 좌석프레임(240)의 양단이 힌지결합되되, 힌지축이 좌석프레임의 상부에서 이루어지고, 좌석프레임(240)의 하부에 다수의 삼각브라켓(240b)을 고정하여 좌석프레임(24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좌석프레임의 상부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작업의자(232)가 일렬로 설치되고,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하부에 평탄화판(250)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컨베이어 스탠드(220) 상부에는 각파이프 형상의 상부에 일정길이의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45)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유압실린더(300)의 헤드부(300a)가 가이드레일(245)에 결합된다.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회동하는 헤드부(300a)에 와이어로프(246)의 일단이 고정되고, 좌석프레임(240)의 후단부에 타단이 고정되되, 헤드부의 전면부과 좌석프레임의 후단부에 돌출형성된 반원고리(246a)에 감아진 와어어로프(246)의 끝단을 고정구(246b)로 조여 고정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300)가 와이어로프(246)를 당기면 좌석프레임(240)이 접어지게 되고, 유압실린더의 헤드부(300a)가 가이드레일(245)의 턱(245a)에 걸리면,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접어 올리게 되며, 유압실린더(300)가 역으로 구동되어 컨베이어 스탠드(220)와 좌석프레임(240)이 펴지게 된다. 더불어 와이어로프(246)의 굴절부에는 지지롤러(247)를 부착하여 와이어로프가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좌석프레임(240)이 자동으로 접어져 고정되기 때문에, 트랙터가 경작지의 밭둑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마다 작업자가 직접 좌석프레임(240)을 접어 고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덜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와이어로프의 노출을 막고, 가이드레일의 상부를 덮어주는 보호케이스(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이식 구근 수확기의 작동과정을 요약하면, 트랙터와 같이 전진하는 채굴삽(120)에 의해 땅속에 구근이 채굴되고, 섞여 올라온 흙이 흔들채(130)에 의해 어느 정도 제거된 후, 채굴된 구근이 이송 컨베이어(14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선별 컨베이어(210)로 이송된 구근은 작업자에 의해 크기별로 포장박스(미도시)에 담아지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규격 외 구근은 별도로 보관된다. 또한, 컨베이어 스탠드(220) 하부에 장착된 평탄화판(250)에 의해 파헤쳐진 경지도 평탄화된다. 일정량의 구근이 채워진 포장박스는 작업자에 의해 좌석프레임(240) 외측의 경작지에 놓여지고, 경작지에 놓여진 포장박스는 수확작업 후에 트럭에 적재된다. 트랙터가 밭둑 끝에서 다음 수확작업을 위해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작업자가 좌석프레임에서 내린 후,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접어 올리고, 방향을 전환하여 밭둑으로 진입하면,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다시 펼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선별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 측판 120 : 채굴삽
130 : 흔들채 140 : 이송 컨베이어
141 : 체인 210 : 선별 컨베이어
220 : 컨베이어 스탠드 230 : 고정프레임
240 : 좌석프레임 250 : 평탄화판
251 : 갈퀴 270 : 동력전달부
271 : 구동축 272 : 연동기어
273 : 구동 스프라켓 300 : 유압실린더
130 : 흔들채 140 : 이송 컨베이어
141 : 체인 210 : 선별 컨베이어
220 : 컨베이어 스탠드 230 : 고정프레임
240 : 좌석프레임 250 : 평탄화판
251 : 갈퀴 270 : 동력전달부
271 : 구동축 272 : 연동기어
273 : 구동 스프라켓 300 : 유압실린더
Claims (5)
- 트랙터에 결합되어 트랙터의 진행에 의해 구근을 채굴하는 채굴삽(120)과 측판(110)에 설치되어 상기 트랙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채굴기 구동부(144)를 통해 전달받아 채굴된 구근으로부터 흙을 털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40)와 상기 측판(110)의 후부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컨베이어 스탠드(220)에 설치되어, 상기 채굴기 구동부(144)로부터 동력전달부(27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선별 컨베이어(210)로 구성된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30);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좌석프레임(240);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후방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평탄화판(250); 및 일단이 상기 측판(110)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바(301)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를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근 수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140)는 상기 측판(110)의 내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채굴기 구동부(144)에 의해 무한궤도로 돌아가는 한 쌍의 체인(141);과
상기 체인(141)의 내철편(141a)의 하단에 양단이 고정되어 채굴된 구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지지봉(142);을 포함하고,
상기 내철편(141a)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걸림봉(143);에 의해 구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근 수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판(250)의 하단부에 갈퀴(25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모서리에 상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바(253);가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하부 테두리에 고정된 삽입구(252);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근 수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10)의 하부에 상기 채굴삽(120)의 중앙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채굴삽(120)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판(110)에 형성된 호 형상의 연장홀(123)을 따라 회동하는 안내돌기(122)가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안내돌기의 고정위치에 따라 상기 채굴삽(120)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근 수확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홈에 고정되는 한 쌍의 덧붙임부재(248);
상기 덧붙임부재(248)의 외측에 힌지결합되는 좌석프레임(240);
각파이프 형상의 상부에 일정길이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스탠드(22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45); 및
상기 가이드레일(245)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00)의 헤드부(300a)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좌석프레임(240)의 후단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로프(246);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300a)가 상기 와이어로프(246)를 당겨 상기 좌석프레임(240)이 접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근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472U KR200479214Y1 (ko) | 2014-12-23 | 2014-12-23 | 접이식 구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472U KR200479214Y1 (ko) | 2014-12-23 | 2014-12-23 | 접이식 구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214Y1 true KR200479214Y1 (ko) | 2016-01-04 |
Family
ID=5517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472U KR200479214Y1 (ko) | 2014-12-23 | 2014-12-23 | 접이식 구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214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76567A (zh) * | 2016-11-23 | 2017-04-26 | 昆明理工大学 | 一种设施化轨道式根茎类中药材收获机 |
KR101940578B1 (ko) | 2018-09-21 | 2019-01-21 | 서후원 | 선별 포장구조를 갖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 |
KR20200065238A (ko) | 2018-11-30 | 2020-06-09 | 김재동 |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
KR20220033253A (ko) * | 2020-09-09 | 2022-03-16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5311A (ko) | 2001-12-03 | 2003-06-11 | 윤태욱 | 구근류 채굴카 |
KR100835669B1 (ko) * | 2007-11-21 | 2008-06-05 | 엠테크영농조합법인 | 지중 작물 일괄 수확장치 |
KR100874950B1 (ko) * | 2008-08-08 | 2009-01-21 | (주)엠엔지 | 땅속 작물 수확 장치 |
KR20090004790U (ko) * | 2007-11-15 | 2009-05-20 | 서재근 | 구근 수확기 |
KR20100000037A (ko) | 2008-06-24 | 2010-01-06 | 전영후 | 땅속 작물 수확장치 |
-
2014
- 2014-12-23 KR KR2020140009472U patent/KR2004792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5311A (ko) | 2001-12-03 | 2003-06-11 | 윤태욱 | 구근류 채굴카 |
KR20090004790U (ko) * | 2007-11-15 | 2009-05-20 | 서재근 | 구근 수확기 |
KR100835669B1 (ko) * | 2007-11-21 | 2008-06-05 | 엠테크영농조합법인 | 지중 작물 일괄 수확장치 |
KR20100000037A (ko) | 2008-06-24 | 2010-01-06 | 전영후 | 땅속 작물 수확장치 |
KR100874950B1 (ko) * | 2008-08-08 | 2009-01-21 | (주)엠엔지 | 땅속 작물 수확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76567A (zh) * | 2016-11-23 | 2017-04-26 | 昆明理工大学 | 一种设施化轨道式根茎类中药材收获机 |
KR101940578B1 (ko) | 2018-09-21 | 2019-01-21 | 서후원 | 선별 포장구조를 갖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 |
KR20200065238A (ko) | 2018-11-30 | 2020-06-09 | 김재동 |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
KR20220033253A (ko) * | 2020-09-09 | 2022-03-16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KR102471983B1 (ko) * | 2020-09-09 | 2022-11-29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4221B1 (ko) |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 |
KR200479214Y1 (ko) | 접이식 구근 수확기 | |
KR101942767B1 (ko) |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 |
KR101771239B1 (ko) |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 |
KR100871106B1 (ko) | 구근작물 수확기 | |
KR101782255B1 (ko) |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 |
KR102283662B1 (ko) | 뿌리 작물 수확 장치 | |
KR20200079615A (ko) |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 |
JP5476698B2 (ja) | 作物分離収穫機 | |
CN104380905B (zh) | 一种天麻收获机 | |
KR102247159B1 (ko) |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 |
US8746360B2 (en) | Plastic mulch retrievers | |
KR102549998B1 (ko) | 농작물 수확기 | |
KR102378861B1 (ko)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
JP2002335729A (ja) | 作物収穫機の移送装置 | |
KR100883325B1 (ko) | 땅속 작물수확기 | |
KR20160035844A (ko) |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 |
JP2014060982A (ja) | 作物引抜収穫機 | |
JP6069908B2 (ja) | 農作物収穫機 | |
JP5407481B2 (ja) | 根菜類収穫機 | |
JP4848578B2 (ja) | 根菜類収穫機 | |
KR102492355B1 (ko) |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 |
FR2695293A1 (fr) | Dispositif pour tailler les tiges de plantes poussant en pots ou en pleine terre. | |
KR102503121B1 (ko) | 구근류 수확장치 | |
KR200366868Y1 (ko) | 구근작물 수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