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53A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53A
KR20220033253A KR1020200115420A KR20200115420A KR20220033253A KR 20220033253 A KR20220033253 A KR 20220033253A KR 1020200115420 A KR1020200115420 A KR 1020200115420A KR 20200115420 A KR20200115420 A KR 20200115420A KR 20220033253 A KR20220033253 A KR 2022003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tractor
bulbous
excavated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983B1 (ko
Inventor
이학남
Original Assignee
이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남 filed Critical 이학남
Priority to KR102020011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장착되어 고구마, 감자와 같은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랑의 위치에 따라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구비된 몸체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는,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좌우이동장치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측에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설치된 굴취위치조절을 위한 좌우이동용 몸체와,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굴취장치로부터 굴취된 구근류 농작물을 상측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하측방향으로 구근류 농작물 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가 구비된 견인이동용 몸체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에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별작업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A collection type bulb crop extractor for tractors}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장착되어 고구마, 감자와 같은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랑의 위치에 따라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구비된 몸체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 경운기 등과 같은 견인이 가능한 농기계의 일측에는 다양한 작업에 알맞은 기구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농작물의 수확시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키고자 다양한 농작물수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구근류 농작물의 수확기는 트랙터,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근류의 작물을 작업자가 손쉽게 수집할 수 있도록 굴취장치를 이용하여 땅속에 묻혀 있는 구근류 작물을 땅 표면 위로 파서 꺼내 놓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점점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한편, 고령화로 인하여 종래의 구근류 농작물의 수확기 후방을 따라 다니며 캐 놓은 구근류 작물을 수집하는 것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구근류의 농작물은 보통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야 하나 구근류 농작물의 수확기 후방을 따라 다니며 캐 놓은 구근류 작물을 수집한 후, 별도의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의 트랙터에 장착되어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작물 수확기의 경우에는 이랑의 형성 등과 같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트랙터가 정확하게 안내를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농작물 수확기에 구비되어 있는 굴취장치의 굴취날 위치가 구근류 농작물이 묻혀 있는 이랑에 위치하지 못함으로써 구근류 농작물을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다.
(KR) 특허등록 10-1587220 (KR) 특허등록 10-194276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트랙터의 이동하는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도 이를 보정하여 굴취장치의 굴취날 위치가 구근류 농작물이 묻혀 있는 이랑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확이 이루어지는 구근류 농작물이 굴취날에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근류 농작물의 수확시 작업자가 구근류 농작물의 수확기 후방을 따라 다니지 않고도 농작물을 선별하여 수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은 아래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는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좌우이동장치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측에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설치된 굴취위치조절을 위한 좌우이동용 몸체와,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굴취장치로부터 굴취된 구근류 농작물을 상측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하측방향으로 구근류 농작물 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가 구비된 견인이동용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에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별작업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취장치와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 사이에는 굴취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뭉쳐진 구근류 농작물을 풀어주거나, 이물질 덩어리를 파괴하여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에 전달하도록 하는 풀림용 회전롤러와, 상기 풀림용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롤러용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풀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의 후방 일측에는 선별작업공간부에서 작업자가 선별한 구근류 농작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1 보관박스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 보관박스용 설치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의 후방에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의 컨베이어의 반전시 추락하는 구근류 작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 보관박스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 보관박스용 설치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별작업공간부에는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용 의자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용 의자는 이동용 바퀴의 상측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견인이동용 몸체가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할 수 있도록 좌우이동용 몸체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견인이동용 몸체에 설치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는 일측에 굴취(수확)되어 이동하는 구근류 농산물을 선별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어 작업자는 이동하지 않고 편안하게 구근류 농산물을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작업자의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용 트랙터의 위치와 상관없이 굴취장치의 굴취날이 구근류 농작물이 묻혀 있는 이랑에 정확하게 위치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취날에 의한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평면부분 상세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부분 상세개략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굴취된 농작물을 이동하는 농작물 이동장치의 부분 상세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노면의 요철부분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의 몸체가 트랙터에 의하여 올려지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되어 고구마, 감자와 같은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여 수집하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이다.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는 이랑의 위치에 따라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구비된 몸체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랑에 굴취날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수확(굴취)시 굴취날에 의하여 농작물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가 탑승하여 굴취되어 이동하는 구근류 농작물을 선별 및 수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2)는 트랙터(1)의 후방에 장착되어 이랑에 심어져 있는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구근류 농작물(c)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2)는 트랙터(1)의 후방에 핀으로 연결되어 3점 지지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3점 연결브라켓(12)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와; 상기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하며, 하측에 구근류 농작물(c)을 굴취하도록 굴취장치(40)를 구비하는 굴취위치조절을 위한 좌우이동용 몸체(20)와;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20)를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시켜 굴취장치(40)의 굴취날(41)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장치(30)와;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20)의 후방에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굴취장치(40)로부터 굴취된 구근류 농작물(c)을 상측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하측방향으로 구근류 농작물(c) 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가 구비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52)가 구비된 견인이동용 몸체(50)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는 트랙터(1)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용 프레임(11)의 전방으로 트랙터(1)의 후방에 3점 지지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 연결브라켓(12a)과 하부 연결브라켓(12b)으로 이루어진 3점 지지방식의 연결브라켓(12)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상기 고정용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좌우이동용 몸체(2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이동장치(30)의 구성 중 하나인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가이드용 프레임(32)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20)는 굴취장치(40)의 굴취날(41) 위치가 환경적 요인에 상관없이 이랑(a)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고정용 프레임(11)과 좌우이동장치(30)로 연결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1)과, 상기 외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1)과 다수개의 연결용 프레임(23)으로 연결되어 함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체형태로 이루어지는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1)에는 가이드용 프레임(32)의 관통되게 삽입설치되어 가이드용 프레임(32)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용 빔(33)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의 하측에는 굴취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굴취장치(4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이동용 바퀴(52)가 구비된 견인이동용 몸체(50)가 회동점(P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수개의 상기 연결용 프레임(23)은 좌우이동장치(30)에 의하여 외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1)과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이 함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보통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의 후방부분에는 견인이동용 몸체(50)에 형성되는 선별작업공간부(d)에서 작업자가 선별한 구근류 농작물(c)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보관박스(b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1 보관박스용 설치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동장치(30)는 굴취장치(40)의 굴취날(41)이 구근류 농작물(c)이 심어져 있는 이랑(a)의 위치에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위치할(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장치(30)는 일측은 좌우이동용 몸체(20)에 고정되고, 타측은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신축을 하는 좌우이동용 신축장치(31)와, 상기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10)에 설치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용 프레임(32)과, 상기 가이드용 프레임(32)을 관통하여 양단이 좌우이동용 몸체(20)의 외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1)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용 빔(33)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이동용 신축장치(31)는 보통 트랙터(1)와 유압호스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좌우이동용 신축장치(31)에 의하여 좌우이동용 몸체(20)는 도 5에서와 같이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굴취장치(40)는 좌우이동용 몸체(20)의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랑(a) 내에 있는 구근류 농작물(c)을 파내어 견인이동용 몸체(50)에 구비되어 있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굴취장치(40)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의 하측에 양단부분이 고정설치되는 굴취날(쟁기)(41)과, 상기 굴취날(41)의 후방에 위치하여 구근류 농작물(c)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흙, 자갈 등)이 하측으로 떨어져 분리되도록 하는 거름장치(42)로 구성된다.
상기 거름장치(42)는 보통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50)는 내측 좌우이동용 프레임(22)의 후방부분에 회동점(P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측부분에 굴취장치(40)로부터 굴취된 구근류 농작물(c)를 이동시키기 위한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의 일부 구성이 구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견인이동용 프레임(51)과, 상기 견인이동용 프레임(51)의 후방부분의 하측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치된 이동용 바퀴(52)와, 상기 견인이동용 프레임(51)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견인이동용 프레임(51)의 양측으로 작업자의 선별작업공간부(d)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2 보관박스(b2)가 놓여질 수 있는 제2 보관박스용 설치대(54)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견인이동용 바닥프레임(53)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작업공간부(d)에는 작업자가 앉아서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로 이동되는 구근류 농작물(c)을 수집 및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자용 의자(5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자용 의자(55)는 보통 이동용 바퀴(52)의 상측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견인이동용 프레임(51) 양측에 형성된 선별작업공간부(d)에 구비되어 있는 작업자용 의자(55)에 앉아서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근류 농작물(c)의 수집 또는 선별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50)는 도 8에서와 같이 노면이 요철이 형성된 경우에는 회동점(P1)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50)가 회동점(P1)을 중심으로 회동할 경우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장치(8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완충장치(80)는 회동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견인이동용 몸체(50)가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완충장치(80)는 좌우이동용 몸체(20)의 내측 좌우이동용 몸체(22)에 설치된 제1 설치대(82)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견인이동용 몸체(50)의 견인이동용 프레임(51)에 설치된 제2 설치대(83)에 설치된 유압쇼바(81)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쇼바(81)를 대신하여 유압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쇼바(81)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는 견인이동용 몸체(50)를 노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된다.
상기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는 굴취장치(40)로부터 굴취되어진 구근류 농작물(c)을 견인이동용 몸체(50)의 견인이동용 프레임(51)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는 견인이동용 프레임(51)의 일측에 설치된 이동용 유압모터(61)와, 상기 이동용 유압모터(61)와 동력전달장치(63)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이동용 구동축(62)과, 상기 이동용 구동축(62)의 양단부분에 구비된 구동풀리(64)와, 상기 회동점(P1)에 구비된 종동풀리(65)와, 상기 구동풀리(64)와 종동풀리(65)를 선회하도록 설치된 봉타입의 이동용 컨베이어(66)와, 상기 이동용 구동축(6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동용 컨베이어(6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장치(67)와, 상기 이동용 컨베이어(66)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용 롤러(68)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용 구동축(62)은 종동풀리(65)가 설치되어 있는 회동점(P1)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용 구동축(62)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풀리(64)가 종동풀리(65)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이동되는 구근류 농작물(c)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잘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집 및 선별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용 컨베이어(66)는 다수의 이동용 봉(66a)과, 다수의 상기 이동용 봉(66a)의 양단을 고정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밸트(66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는 굴취장치(40)로부터 굴취되어진 구근류 농작물(c)을 견인이동용 프레임(51) 내측으로 이동시켜 선별작업공간부(d)에 위치한 작업자가 수집 및 선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동용 컨베이어(66)가 이동용 구동축(62)에서 반전시 이동하는 구근류 농작물(c)이 제2 보관박스용 설치대(54)에 위치한 제2 보관박스(b2)에 수집되도록 한다(도 7를 참조함).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동용 봉(66a)으로 이루어진 이동용 컨베이어(66)를 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근류 농작물(c)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하측방향으로 추락되어 구근류 농작물(c)에서 자동으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 굴취장치(40)와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60) 사이에는 굴취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뭉쳐진 구근류 농작물을 풀어주거나, 이물질 덩어리를 파괴하도록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풀림장치(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를 이용한 풀림장치(70)는 회전롤러용 유압모터(71)와, 상기 회전롤러용 유압모터(7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풀림용 회전롤러(72)으로 구성되며, 상기 풀림용 회전롤러(72)는 굴취장치(40)에서 굴취되어 이물질과 함께 전달되는 구근류 농작물이 상측으로 올려졌다가 떨어지는 소정의 충격이 가해져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2)는 트랙터(1)의 후방에 장착되어 이랑에 심어져 있는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게 된다.
도 9와 같이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2)는 트랙터(1)에 의하여 상부로 들러 올려져 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좌우이동장치(30)는 도 5와 같이 굴취장치(40)의 굴취날(41)이 이랑(a)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도록 한다.
a : 이랑
1 : 트랙터
2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10 :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
20 : 좌우이동용 몸체
30 : 좌우이동장치
40 : 굴취장치
50 : 견인이동용 몸체
60 :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
70 : 회전롤러를 이용한 풀림장치
80 : 완충장치

Claims (5)

  1.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트랙터 연결용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좌우이동장치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측에 구근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굴취날을 포함하는 굴취장치가 설치된 굴취위치조절을 위한 좌우이동용 몸체와;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굴취장치로부터 굴취된 구근류 농작물을 상측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하측방향으로 구근류 농작물 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가 구비된 견인이동용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에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별작업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장치와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 사이에는 굴취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뭉쳐진 구근류 농작물을 풀어주거나, 이물질 덩어리를 파괴하여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에 전달하도록 하는 풀림용 회전롤러와, 상기 풀림용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롤러용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풀림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용 몸체의 후방 일측에는 선별작업공간부에서 작업자가 선별한 구근류 농작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1 보관박스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 보관박스용 설치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이동용 몸체의 후방에는 굴취된 농작물 이동장치의 컨베이어의 반전으로 추락하는 구근류 작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 보관박스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 보관박스용 설치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작업공간부에는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용 의자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용 의자는 이동용 바퀴의 상측부분에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견인이동용 몸체가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할 수 있도록 좌우이동용 몸체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견인이동용 몸체에 설치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KR1020200115420A 2020-09-09 2020-09-09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KR10247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20A KR102471983B1 (ko) 2020-09-09 2020-09-09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20A KR102471983B1 (ko) 2020-09-09 2020-09-09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53A true KR20220033253A (ko) 2022-03-16
KR102471983B1 KR102471983B1 (ko) 2022-11-29

Family

ID=8093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420A KR102471983B1 (ko) 2020-09-09 2020-09-09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302B1 (ko) * 2022-05-24 2022-12-16 최돈 마늘 수확 포장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5Y1 (ko) *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KR200479214Y1 (ko) * 2014-12-23 2016-01-04 노술해 접이식 구근 수확기
KR101587220B1 (ko) 2015-09-02 2016-01-20 이학남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CN107046911A (zh) * 2016-11-16 2017-08-18 河南通和机械有限公司 一种振动型根茎植物收获机
KR20180072141A (ko) * 2016-12-21 2018-06-29 사단법인 울금식품가공사업단 알뿌리 작물 수확기
KR101942767B1 (ko) 2018-10-22 2019-04-17 이학남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KR202000626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5Y1 (ko) *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KR200479214Y1 (ko) * 2014-12-23 2016-01-04 노술해 접이식 구근 수확기
KR101587220B1 (ko) 2015-09-02 2016-01-20 이학남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CN107046911A (zh) * 2016-11-16 2017-08-18 河南通和机械有限公司 一种振动型根茎植物收获机
KR20180072141A (ko) * 2016-12-21 2018-06-29 사단법인 울금식품가공사업단 알뿌리 작물 수확기
KR101942767B1 (ko) 2018-10-22 2019-04-17 이학남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KR202000626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302B1 (ko) * 2022-05-24 2022-12-16 최돈 마늘 수확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83B1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7355A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102556707B1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102417247B1 (ko) 뿌리작물 수확기용 수집부 제어장치
US6095253A (en) Linkage for independent vertical movement of digger/shaker/inverter root-crop harvester apparatus
KR20220033253A (ko)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CN201064102Y (zh) 大蒜自动采收机
KR100194999B1 (ko) 괴경 작물 수확기
KR20200110827A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CN204796160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KR102217750B1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US5762146A (en) Nursery plant digger
US2923073A (en) Ditch digger
JP4866055B2 (ja) 収穫機
KR102503121B1 (ko) 구근류 수확장치
KR102349437B1 (ko) 굴취날 위치조절형 구근류 작물 수확기
CN2351923Y (zh) 花生挖掘机
US5979567A (en) Front mounted mechanical row crop guidance system
US4142585A (en) Digger assembly for root-crop harvester
CN20479615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挖掘支撑机构
KR101421969B1 (ko) 농산물 수확기용 견인장치
CN204796164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式收获装置
CN204796158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收获输送履带机
KR200461743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농작물 배출구조
CN204652996U (zh) 前推滚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