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355A -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355A
KR20220167355A KR1020220065755A KR20220065755A KR20220167355A KR 20220167355 A KR20220167355 A KR 20220167355A KR 1020220065755 A KR1020220065755 A KR 1020220065755A KR 20220065755 A KR20220065755 A KR 20220065755A KR 20220167355 A KR20220167355 A KR 2022016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utting
stem
sub frame
cantileve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to KR102022006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355A/ko
Publication of KR2022016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4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 A01B63/045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for vertically adjusting wheels or similar rotary 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6Devices with movable knives for topping, e.g. rotatable cutting disks
    • A01D2023/028Cutters rotating around a shaft forming a cutting r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밭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어 두둑을 따라 주행하면서 미리 줄기를 절단시키는 줄기절단장치의 중량이 두둑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에 서브 프레임을 서스펜션 링크와 스프링으로 매단 구조로 제작하여 줄기절단장치를 이용한 줄기 절단작업시 두둑에 심겨진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밭고랑(F)을 따라 주행하는 외륜(110) 및 견인부(120)가 구비되고 후방으로 외팔보(130)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 서스펜션 링크(L1,L2)와 스프링(S1,S2)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트랙터(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박스(210)와;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하부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박스(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줄기절단날(22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밭두둑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줄기절단날(220)과 밭두둑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232)가 구비된 내륜(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Stem cutting device for harvesting dry crops}
본 발명은 마늘이나 양파 또는 고구마 등의 각종 밭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어 두둑을 따라 주행하면서 미리 줄기를 절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줄기절단장치의 중량이 두둑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에 행거 프레임을 서스펜션 링크와 스프링으로 매단 구조로 제작하여 줄기절단장치를 이용한 줄기 절단작업시 두둑에 심겨진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밭작물인 마늘과 양파는 식생활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의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들 마늘과 양파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의 전체 재배과정에서 수확작업시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투하되고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수확단계에서의 기계화가 필수적이다.
한편, 마늘이나 양파의 굴취와 수집을 위한 장치는 국내외에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반면, 마늘이나 양파의 줄기를 자동으로 절단하는 기계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 수확전에 줄기를 절단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임은 물론, 수확기 자체에 줄기절단장치가 구비된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쓰러진 줄기를 세워주기 위한 장비를 따로 부착하여야 하며, 줄기가 사방으로 불규칙하게 쓰러져 있어서 이를 가지런하게 정리하면서 세워주는 것이 어렵고, 국내 양파 재배의 경우 멀칭비닐을 이용하여 재배함에 따라 멀칭비닐과 양파의 줄기가 뒤엉켜 있어 기계적으로 양파 손상 없이 줄기를 절단하여 양파를 수확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4가 검색되는바, 특허문헌 1의 자주식 양파 수확기는 잎줄기를 미리 절단하지 않고 양파의 굴취에서부터 잎줄기의 절단 및 수거를 자주식 차체에 탑재된 굴취부와 이송부 및 줄기절단부와 적하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밭에 양파의 잎줄기가 쓰러져 있는 상태에서는 굴취 및 이송과정에서 줄기로 인해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수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구근류작물수확기는 경운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굴취수단과 줄기절단수단 및 분리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특허문헌 2에서의 줄기절단수단은 단순히 수확기의 진행에 지장을 주는 밭두둑의 외측으로 뻗은 줄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또, 특허문헌 3의 자주식 양파 줄기 절단기기는 멀칭비닐을 권취함과 더불어 양파의 줄기를 절단하여 양파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양파 수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인데, 이는 멀칭비닐을 걷어낼 때 멀칭비닐과 토양 사이에 위치한 양파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부가 구비된 것으로, 이 예취부는 일종의 트리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의 트리머 날이 좌우로 교차되면서 양파 줄기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서 절단된 줄기가 적체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줄기의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4는 수확기의 줄기와 잎부을 기립시키는 장치로, 줄기잎 절단장치와 굴취날을 구비한 양파 등의 수확기에 있어서 줄기잎 절단장치의 앞에 줄기 기립장치를 설치하여 불규칙하게 쓰러진 줄기를 가르면서 세워서 후방의 절단장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수확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확기와 함께 이동하면서 쓰러진 줄기를 세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확기의 주행속도가 지체되어 수확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마늘이나 양파가 심겨진 밭은 완전한 평지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밭두둑의 좌우 기울기나 전후 굴곡이 있는 밭에서는 줄기절단기의 주행시 줄기 절단기의 절단날이 밭두둑 위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바퀴가 밭두둑이 아닌 밭두둑 좌우 측의 고랑을 타고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절단날이 밭두둑의 경사나 기울기를 따라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줄기 절단 후 굴취기를 투입하기 전에 멀칭필름을 걷어내는 작업을 해주어야 했는데, 멀칭필름은 밭두둑 좌우 측이 흙으로 덮여 있어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당길 때 흙의 무게로 인해 쉽게 걷히지 않고 끊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의 줄기절단기는 트랙터 등에 견인되어 작업이 이루어질 때 앞부분은 트랙터에 3점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줄기절단기의 하중이 주로 후방에 집중되어 두둑 위의 멀칭필름 위를 후륜이 밟고 지나가면서 흙과 작물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땅을 다져주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특히 마늘과 같은 작물은 수확기가 장마철과 겹치게 되어 수확기에 땅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굴취할 경우 작물과 흙의 분리가 오히려 어려워지게 되는 것은 물론, 줄기 절단시의 다짐 압력 및 굴취기에 의한 수확 시 흙을 털어내기 위한 과도한 진동을 받게 되어 작물의 품질을 손상시키게 될 우려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4502호(2008.04.06.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48455호(2011.07.0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65215호(2015.10.27. 등록) 일본등록특허 제3454261호(2003.07.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이나 양파 또는 고구마 등의 각종 밭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인력에 의한 줄기의 절단 대신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거나 수확기의 전단에 부착하여 밭두둑을 따라 주행하면서 미리 줄기를 짧게 여러 차례 다단으로 절단시키되 누락되는 부분이 없이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줄기는 밭두둑 위에 적체되지 않고 밭두둑 좌우 측의 고랑으로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수확장비를 사용하여 수확할 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확할 작물이 위치한 밭두둑의 좌우 경사나 전후 굴곡에도 불구하고 줄기의 절단높이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줄기줄기절단장치의 중량이 두둑에 가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 절단작업시 및 굴취작업시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밭고랑을 따라 주행하는 외륜 및 견인부가 구비되고 후방으로 외팔보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서스펜션 링크와 스프링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구비되어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박스와;
상기 서브 프레임의 하부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박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줄기절단날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밭두둑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줄기절단날과 밭두둑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가 구비된 내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서스펜션 링크는 서브 프레임 전방과 메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1쌍의 전방 링크와, 서브 프레임 후방과 외팔보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후방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링크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이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링크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이 외팔보와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내륜이 두둑에 닿은 상태에서 서브프레임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마늘이나 양파 또는 고구마 등의 각종 밭작물을 수확기로 수확하기 전에 줄기절단장치의 줄기절단날이 평탄하거나 경사지거나 굴곡이 있는 밭두둑 위를 밟고 지나가는 내륜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작물의 줄기를 잘게 파쇄하여 밭두둑 양측의 고랑으로 비산시키되 줄기절단장치의 하중이 그대로 두둑 위에 가해지지 않아 흙이 다져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굴취작업을 어렵게 하지 않음은 물론 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수확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서브 프레임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줄기절단장치가 트랙터에 견인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줄기절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줄기절단장치(10)는 밭고랑(F)을 따라 주행하는 외륜(110) 및 견인부(120)가 구비되고 후방으로 외팔보(130)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 서스펜션 링크(L1,L2)와 스프링(S1,S2)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트랙터(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박스(210)와;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하부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박스(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줄기절단날(22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밭두둑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줄기절단날(220)과 밭두둑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232)가 구비된 내륜(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스펜션 링크(L1,L2)는 서브 프레임(200) 전방과 메인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는 1쌍의 전방 서스펜션 링크(L1)와, 상기 서브 프레임(200) 후방과 외팔보(13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후방 서스펜션 링크(L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서스펜션 링크(L1)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S1)이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서스펜션 링크(L2)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S2)이 외팔보(130)와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내륜(230)이 밭두둑(R)에 닿은 상태에서 서브프레임(2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방 서스펜션 링크(L1)는 좌우 양측에 각각 2개가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일종의 4절 링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후방 서스펜션 링크(L2)는 선단이 외팔보(130)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이 서브 프레임(200) 후방에 세워진 서스펜션 아암(25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방의 인장코일형 스프링(S2)은 상기 서스펜션 아암(250)의 내측에 부착된 브라켓(260)과 외팔보(130)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링(S1,S2)은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00)과 외팔보(130)에 아이볼트(B1,B2)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1쌍의 줄기절단날(220)은 줄기의 상,중,하부를 3단계에 걸쳐 절단하도록 3단날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줄기절단날(220)은 회전반경이 일부 중첩되도록 하되 서로 충돌하지 않는 회전각으로 배치되어 줄기 절단이 누락되는 구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줄기절단날(220)은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중간부가 축결합된 상,중,하 3개의 회전날개(222)와, 상기 회전날개(222)의 말단부에 고정된 디스크날(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상으로 축결합된 3개의 회전날개(222) 중 상,하부 회전날개는 각각 중간부에서 외곽을 향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벤딩되어 말단의 디스크날(224)이 상호 상하로 위상차를 가지며, 중간의 회전날개는 평판형을 이루어 상,하부 회전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상,중,하 회전날개(222)는 하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 줄어들도록 하여 상부에서부터 1,2,3단계로 마늘과 같은 작물(G)의 줄기(M)가 상단부 줄기의 절단, 중간부 줄기의 절단 및 하단부 줄기의 절단이 순차적으로 3차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줄기를 여러 높이에서 절단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줄기를 잘게 파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줄기를 잘게 파쇄하는 것에 의해 밭두둑에 무성하게 자란 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2개의 줄기절단날(220)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즉, 좌,우측의 줄기절단날(220)이 각각 진행방향에서 외측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회전반경이 일부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줄기가 절단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외측에는 외륜(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륜(11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서브 프레임(200)에 설치된 내륜(230)도 조절핸들(232)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상부에는 구동박스(21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으로는 3점식 견인부(120)가 구비되어 있어 여기에 트랙터가 핀으로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 안 된 트랙터의 PTO로부터 입력축(212)을 통해 상기 구동박스(210)로 연결되어 줄기절단날(2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박스(210)는 트랙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적정한 가감속을 실시한 후 양측 줄기절단날(220)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도 3의 저면도에서 우측의 줄기절단날(2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의 줄기절단날(2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줄기절단날(220)의 외곽에는 절단된 줄기가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된 줄기가 밭두둑 양측의 고랑으로 떨어지도록 서브프레임(200)의 후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주는 스커트 가드(2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 가드(240)는 절단된 줄기가 부딪히더라도 파손되지 않음은 물론 소음이 적게 발생할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재질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륜(230)은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밭두둑(R)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높이조절구(232)에 의해 상기 줄기절단날(220)과 밭두둑(R)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밭두둑(R) 위에는 마늘 등의 작물(G)이 심겨져 있으므로 밭두둑(R) 위에 접지되는 내륜(230)은 작물(G)의 좌우 식재간격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축(234)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234)의 양단은 상기 높이조절구(232)에 의해 서브프레임(200)에 상하로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컬럼(236)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륜(230)은 작물(G)의 좌우 식재간격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줄기절단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T) 등에 부착되어 견인되면서 마늘이나 양파가 심겨진 밭두둑(R) 위를 지나가면서 작물(G)의 줄기(M)를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 내륜(230)이 밭두둑 위를 밟고 지나가게 되고 높이조절구(232)를 사용하여 줄기절단날(220)과 밭두둑(R)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물(G)의 줄기 절단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내륜(230)이 부착된 서브프레임(200)은 외륜(110)이 부착된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서스펜션 링크(L1,L2)와 스프링(S1,S2)에 의해 수평으로 매달린 상태에서 밭두둑(R)의 굴곡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내측의 줄기절단날(220)에 의한 작물의 줄기 절단시 내륜(2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어 작물이 심겨진 밭두둑(R)을 세게 누르지 않게 되어 진 흙이 다져지게 되어 수분이 잘 증발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작물을 누르지 않으므로 작물의 손상방지와 아울러 후속하는 굴취작업시 작물에서 흙이 쉽게 떨어지게 되며, 상기 내륜(230)은 밭두둑의 좌우 기울기나 전후 굴곡을 따라 주행하게 되므로 평지가 아닌 기울기나 굴곡이 있는 밭두둑 위에서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좌,우측 줄기절단날의 회전반경은 일부 중첩되므로 중간에 위치한 줄기가 누락되지 않고 모두 절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좌,우의 줄기절단날은 상호 반대방향이면서 바깥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밭두둑 위의 줄기를 절단하여 밭두둑 좌우측의 고랑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절단된 줄기가 밭두둑 위에 정체되어 줄기절단장치의 주행에 지장을 주거나 후속하는 수확기의 수확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줄기절단날은 밭두둑 위의 줄기를 다단으로 여러 번 잘게 파쇄하게 됨으로써 절단되지 않는 줄기가 잔류하지 않게 되어 밭두둑 위에 마늘이나 양파 또는 고구마 등의 줄기를 깨끗하게 제거한 후 수확기를 투입하여 굴취와 이송을 하게 됨으로써 굴취와 이송과정에서 줄기에 의해 수확기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밭작물 수확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줄기절단장치
100 : 메인 프레임
110 : 외륜
120 : 견인부
130 : 외팔보
200 : 서브 프레임
210 : 구동박스
220 : 줄기절단날
222 : 회전날개
224 : 디스크날
230 : 내륜
232 : 높이조절구
234 : 지지축
236 : 컬럼
240 : 스커트가드
250 : 서스펜션 아암
260 : 브라켓
B1,B2 : 아이볼트
F : 밭고랑
G : 작물
L1,L2 : 링크
M : 줄기
R : 밭두둑
S1,S2 : 스프링

Claims (4)

  1. 밭고랑(F)을 따라 주행하는 외륜(110) 및 견인부(120)가 구비되고 후방으로 외팔보(130)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 서스펜션 링크(L1,L2)와 스프링(S1,S2)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트랙터(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박스(210)와;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하부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박스(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줄기절단날(22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밭두둑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줄기절단날(220)과 밭두둑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232)가 구비된 내륜(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링크(L1,L2)는 서브 프레임(200) 전방과 메인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는 1쌍의 전방 링크(L1)와, 서브 프레임(200) 후방과 외팔보(13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후방 링크(L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링크(L1)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S1)이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링크(L2)의 내측에는 인장코일형 스프링(S2)이 외팔보(130)와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내륜(230)이 두둑에 닿은 상태에서 서브프레임(2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서스펜션 링크(L1)는 좌우 양측에 각각 2개가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4절 링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서스펜션 링크(L2)는 선단이 외팔보(130)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이 서브 프레임(200) 후방에 세워진 서스펜션 아암(25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후방의 인장코일형 스프링(S2)은 상기 서스펜션 아암(250)의 내측에 부착된 브라켓(260)과 외팔보(130)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S1,S2)은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 메인 프레임(100)과 외팔보(130)에 아이볼트(B1,B2)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1020220065755A 2022-05-30 2022-05-30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20220167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55A KR20220167355A (ko) 2022-05-30 2022-05-30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55A KR20220167355A (ko) 2022-05-30 2022-05-30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355A true KR20220167355A (ko) 2022-12-20

Family

ID=8453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755A KR20220167355A (ko) 2022-05-30 2022-05-30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3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246B1 (ko) 2023-02-27 2023-07-28 주식회사 불스 농산물 절단기 무게 경감 장치
KR102634555B1 (ko) * 2023-06-13 2024-02-08 윤태욱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마늘줄기 커팅장치
KR102634552B1 (ko) * 2023-06-13 2024-02-08 윤태욱 마늘줄기 커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261B2 (ja) 2001-10-29 2003-10-06 井関農機株式会社 収穫機の茎葉部引起し装置
KR100824502B1 (ko) 2006-10-31 2008-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101048455B1 (ko) 2010-12-31 2011-07-12 남미정 구근류작물수확기
KR101565215B1 (ko) 2013-11-11 2015-11-02 경상남도 자주식 양파 줄기 절단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261B2 (ja) 2001-10-29 2003-10-06 井関農機株式会社 収穫機の茎葉部引起し装置
KR100824502B1 (ko) 2006-10-31 2008-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101048455B1 (ko) 2010-12-31 2011-07-12 남미정 구근류작물수확기
KR101565215B1 (ko) 2013-11-11 2015-11-02 경상남도 자주식 양파 줄기 절단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246B1 (ko) 2023-02-27 2023-07-28 주식회사 불스 농산물 절단기 무게 경감 장치
KR102634555B1 (ko) * 2023-06-13 2024-02-08 윤태욱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마늘줄기 커팅장치
KR102634552B1 (ko) * 2023-06-13 2024-02-08 윤태욱 마늘줄기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7355A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US4796711A (en) Apparatus for removing plastic film from raised plant beds
US20130008674A1 (en) Peanut plant uprooter
US42611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produce on plastic mulch beds
US4910948A (en) Front mounted dethatching apparatus
KR101741125B1 (ko)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KR102556707B1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200488946Y1 (ko) 농업용 고랑 제초기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US11606905B2 (en) Crop canopy gleaning machine
US5588494A (en) Crop inve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361293B1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 절단장치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101330093B1 (ko) 시금치 수확기
US4588033A (en) Cotton root cutter and shredder
KR20200024389A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102471983B1 (ko)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EP0533246B1 (en) Device for making sowing furrows in a lawn
US4577697A (en) Sod cutting apparatus
JP2010035440A (ja) 作業車両用の分草装置
US4884391A (en) Stalk cutting apparatus
KR102303174B1 (ko) 초목 제거 파쇄 장치
JP3130514B2 (ja) 甘藷の蔓切り機
US4553381A (en) Cucumber harvester
KR20220005339A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